KR20200017051A -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항균필터 - Google Patents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항균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051A
KR20200017051A KR1020180092186A KR20180092186A KR20200017051A KR 20200017051 A KR20200017051 A KR 20200017051A KR 1020180092186 A KR1020180092186 A KR 1020180092186A KR 20180092186 A KR20180092186 A KR 20180092186A KR 20200017051 A KR20200017051 A KR 20200017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electrospinning
antimicrobial
filter
melt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호
박규현
최지수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2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7051A/ko
Publication of KR20200017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31Electro-sp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의 항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섬유에 항균물질을 포함하고, 항균물질이 섬유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열처리 과정이 포함되는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섬유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항균물질과 용융점이 서로 다른 폴리머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전기 방사부에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 방사부가 섬유를 방사하여 필터 여재를 제작하는 단계 및 용융점이 낮은 상기 폴리머가 증발하도록 상기 필터 여재를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에서, 용융점이 낮은 상기 폴리머가 증발하면서 상기 섬유에 다공이 형성되며, 상기 다공으로 인해 상기 항균물질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항균필터{ANTIBIOTIC FILTER USING ELECTROSPINNING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항균필터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항균필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필터의 항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섬유에 항균물질을 포함하고, 항균물질이 섬유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열처리 과정이 포함되는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항균필터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와 도시 개발로 인해 환경 오염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언제 어디서나 자주 접하게 되는 대기 오염이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야외로 외출할 때 마스크를 착용하고 다니며, 가정과 같은 실내에서는 구비해 둔 공기 청정기를 작동시켜 사용하기도 한다.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 구비된 필터 여과 능력에 따라 공기 청정기의 성능이 결정된다. 필터는 오염된 공기의 먼지와 세균을 제거하여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여과하는 장치로 필터 제작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각종 냄새, 세균, 꽃가루부터 매우 미세한 크기의 먼지까지 집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필터는 미세한 크기의 섬유를 균일하게 배치하고, 여러 겹으로 적층시켜 여과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섬유의 방사 방법은 전기 방사로 수 kV 이상의 고전압에 의한 정전기력에 의해서 고분자 용액 또는 고분자 용융체가 저장소(reservoir)의 노즐을 통해 그라운드(ground) 처리가 되어있는 집적판으로 이동하면서 수십에서 수백 나노 크기의 단면적을 갖게 된다.
즉, 외부에서 가해진 전기장이 특정 임계값을 넘어가게 되면 노즐에서 압출된 고분자 용액의 표면에서 발생하게 되는 전하가 고분자 용액의 표면장력보다 커지게 되면서 액체 분사물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하게 된 분사물은 극세사로, 극세사는 전기적으로 발생된 굴곡 불안정성을 거쳐서 초극세사로 연신된다. 이러한 공정은 전기장의 크기와 고분자 용액의 농도를 다양화함에 따라 섬유의 굵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전기 방사를 이용하여 나노 섬유를 제작하는 방법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6143호 (등록일자: 2017.08.01)은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정렬된 활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높은 속도로 회전 집전체를 가동할 경우 한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이온 수송 속도를 높이기 위한 우수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어,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활성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6143호 (등록일자: 2017.08.01)
본 발명은 항균필터에 필요한 섬유의 전기방사와 항균 공정이 동시에 진행되는 필터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항균섬유의 제조 공정을 줄여 단가가 낮으면서도, 생산성이 높은 항균필터를 제작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필터의 항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섬유에 항균물질을 포함하고, 항균물질이 섬유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섬유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항균물질과 용융점이 서로 다른 폴리머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전기 방사부에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 방사부가 섬유를 방사하여 필터 여재를 제작하는 단계 및 용융점이 낮은 상기 폴리머가 증발하도록 상기 필터 여재를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에서, 용융점이 낮은 상기 폴리머가 증발하면서 상기 섬유에 다공이 형성되며, 상기 다공으로 인해 상기 항균물질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용액은 PMMA(polymethyl methacrylate)와 PAN(peroxyacetyl nitrate)을 사용하며, 상기 항균물질로 은나노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용액과 상기 항균물질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용매로 디메칠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 용융점이 낮은 상기 PMMA가 증발할 수 있도록 PMMA의 용융점인 160도와 PAN의 용융점이 300도 사이의 온도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0도에서 250도로 온도를 상승시켜 2시간 동안 유지하고, 공기를 공급하여 안정화(Stabilization)까지 진행하여 상기 섬유가 플라스틱 성질을 갖지 않는 고리(cyclic)나 사다리(ladder) 구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 여재에 구비된 상기 항균물질을 와이어 타입으로 사용하면 상기 필터 여재의 필터의 포집효율이 유지 또는 상승하고, 차압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방사부는 단일 노즐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항균필터를 제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섬유 제작방법은 섬유 방사시 항균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열처리 과정을 통해 항균물질의 구조 변화로 필터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섬유 방사 공정과 섬유를 항균 처리하는 두 번의 공정 없이, 항균 기능이 향상된 섬유를 한 번의 공정으로 제작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항균섬유 제작의 공정이 단순화되어 낮은 단가에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 장치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으로 섬유가 생산되는 모습,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섬유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 장치의 전체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작되는 필터 여재는 미세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성능을 나타내지만, 미세먼지와 함께 포집된 세균 등 미생물을 살균하는 어떠한 수단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필터 여재를 구성하는 섬유(30)에 항균효과가 있는 은나노(31) 입자를 고르게 분산시키면,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갖는 항균필터(40)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항균 성능이 향상된 항균필터(4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기판(미도시)에 미세한 굵기의 섬유(30)를 균일하게 배치하고, 하나의 섬유층보단 복수개의 섬유층 여러 겹으로 적층시켜 사용하는 것이 항균필터(40)의 항균 및 여과 성능이 향상될 것이다.
섬유(30)를 방사하여 항균필터(40)를 제작하는 전기 방사부(10)는 폴리머 용액을 토출하여 섬유(30)를 방사하는 토출구(12)와, 방사된 섬유(30)가 안착되는 기판을 위치시키는 스탠드(14)를 포함한다.
전기 방사부(10)의 내부에는 항균물질과 용융점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폴리머 용액이 혼합된 혼합물(36)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 방사부(10)가 혼합물(36)을 안정적으로 전기 방사할 수 있도록 전기 방사부(10)에는 펌프(22)와, 고압 발전기(20)가 더 포함되어 있다.
고압 발전기(20)가 전기 방사부(10)로 전류를 공급하게 되면, 펌프(22)가 전기 방사부(10)에 저장된 혼합물(36)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혼합물(36)은 압력에 의해 전기 방사부(10)에서 섬유(30)가 방사되는데, 이때 섬유(30)는 토출구(12)에서 미세한 굵기의 섬유(30)로 방사된다. 그리고 방사된 섬유(30)는 기판에 안착하게 된다. 여기서 스탠드(14)는 방사된 섬유(30)가 기판에 고르게 위치하고, 여러겹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기판이 이동하면서 섬유(30)를 안착시키는 이동식 스탠드(14)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기 방사에 사용하는 혼합물(36)은 폴리머 용액으로, 용융점이 서로 다른 폴리머 용액을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PMMA(polymethyl methacrylate)(33)와, PAN(peroxyacetyl nitrate)(32)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항균물질은 은나노(31)를 사용한다. 이는 열처리 과정을 통한 섬유(30)와 은나노(31) 물질의 구조변화로 인해 항균 기능이 향상된 항균 필터(40)를 제조하기 위함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기방사에 의하여 섬유(30)를 형성하는 폴리머 용액은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도 다양한 폴리머 용액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은나노(31)는 질산은, 황산은, 염화은 등으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폴리머 용액과 은나노(31)의 혼합이 용이하도록 용매(미도시)를 더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용매의 종류로는 디메칠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나 디메칠아세트아마이드(dimethylacetamide, DMAc), 알콜류(alcolol) 등의 유기용매를 단독 혹은 복합화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물 등의 수용성 용매를 단독 혹은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섬유성형성 폴리머 용액과 은나노(31)를 방사 가능한 농도, 점도, 표면장력, 용액의 전기전도도 등을 고려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면 될 것이다.
한편, 섬유(30)에는 PMMA(33)와 PAN(32)이 혼합되어 있으며, 섬유(30)의 외주면과 내부에 은나노(31)가 포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은나노(31) 물질이 섬유(30) 표면에 고르게 분산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은나노(31)를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다른 종류의 필터 여재와 적층시켜 사용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고가인 은나노(31)가 함유된 항균필터(40)를 적게 사용해도 항균 효과가 충분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섬유 제작방법에서 섬유의 열처리 전, 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전기 방사부(10)에서 방사된 섬유(30)는 PMMA(33)와 PAN(3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은나노(31) 물질이 더 포함되어 있다. 섬유(30)에 단순히 은나노(31)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정도로는 항균효과가 높지 않기 때문에 열처리 과정을 통한 섬유(30)와 은나노(31) 물질의 구조변화로 인해 항균 기능을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섬유(30)에 열처리 과정을 통해 용융점이 낮은 폴리머를 증발시키고, 상대적으로 용융점이 높은 폴리머는 열처리 과정의 안정화(Stabilization) 단계까지 진행한다.
일반적인 섬유(30)의 열처리 과정은 섬유(30)를 튜브 퍼니스(Tube Furnace)와 같은 가열을 위한 구조체에서 안정화(Stabilization) 단계와, 탄화(carbonization) 단계 및 활성화(activation)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안정화 단계는 공기를 공급하면서 기설정된 시간동안 기설정된 온도로 상승시키고,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한다. 안정화 단계에서 섬유(30)는 공기와 반응하여, 섬유(30)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H2O)이 증발하게 되면서, 다공(34)이 형성된다. 즉, 처음 CH2=CHN였던 섬유(30)의 구조가 활성화 단계를 거치는 동안 CH2=CN의 구조로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탄화 단계는 안정화 단계를 마친 섬유(30)를 질소 분위기에서 기설정된 시간동안 기설정된 온도로 상승시켜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한다. 안정화 단계에서 섬유(30)는 비활성(inert) 가스와 반응하여 섬유(30) 속에 함유된 질소가스(N2)와 수소가스(H2)가 증발하게 된다. 따라서 CH2=CN 이었던 섬유(30) 구조가 C=C로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단, 탄화 단계의 온도가 안정화 단계의 온도보다 높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활성화 단계는 탄화 단계의 섬유(30)를 이산화탄소(CO2) 분위기에서 기설정된 시간동안 기설정된 온도로 감소시킨다. 활성화 단계에서 섬유(30)는 이산화탄소(CO2)와 물(H2O)과 반응하여 일산화탄소(CO)와 수소기체(H2)가 증발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섬유(30)는 C(S)의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튜브 퍼나스(미도시)에서 섬유(30)에 공기를 공급하면서, 2시간 동안 기설정된 온도인 0℃에서 250℃까지 온도를 상승시켜, 섬유(30)가 CH2=CN의 구조로 변형되는 안정화 단계까지 진행 한다.
열처리된 섬유(30)는 용융점이 낮은 폴리머가 증발하며, 폴리머가 증발한 자리에 다공(34)이 형성된다. 다공(34)이 형성됨에 따라 섬유(30)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던 은나노(31) 물질이 외부로 노출되어 열처리하기 전의 섬유(30)보다 열처리하고 난 다음의 섬유(30)에서 은나노(31) 물질이 더 많이 노출되기 때문에 항균 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열처리 과정에서 용융점이 낮은 PMMA(33)가 증발할 수 있도록 PMMA(33)의 용융점인 160℃와 PAN(32)의 용융점이 300℃ 사이의 온도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 160℃ 내지 300℃의 온도 범위는 안정화 단계에 적합한 온도 범위로서, 열처리 과정에서 용융점이 160℃인 PMMA(33)는 증발하여 사라짐에 따라 섬유(30)에 다공(34)을 형성하고, 용융점이 300℃인 PAN(32)의 용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안정화 단계까지 진행하기 때문에 PAN(32)은 증발되거나 녹지 않는다. 즉, 160℃보다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면, PMMA(33)가 증발하지 않아 섬유(30)에 다공(34)을 형성하지 못하게 되며, 300℃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면, PMMA(33)와 PAN(32)이 모두 녹거나 증발하게 되어, 섬유(30)가 남아있지 않게 된다. 한편, 은나노(31)의 녹는점은 962℃이기 때문에 열처리하는 동안 은나노(31)가 변형되거나 증발하는 등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열처리 단계에서 섬유(30)를 0℃에서 250℃로 온도를 상승시켜 2시간 동안 유지하고, 공기를 공급하여 안정화(Stabilization)단계까지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안정화 단계를 거친 섬유(30)는 플라스틱 성질을 갖지 않는 고리(cyclic)나 사다리(ladder) 구조로 변환된다.
또한 섬유(30)를 열처리 하는 동안 PMMA(33)가 증발하기 때문에 열처리 전의 섬유(30)보다 직경이 작아지게 될 것이다.
상기 과정을 통해 제작된 항균 섬유(30)를 이용해 만든 필터 여재는 방진, 방취에 사용되는 필터와 추가로 적층하여 필터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항균필터(40)는 공기 청정기, 에어컨 필터, 차량용 에어필터, 각종 정수기용 필터 및 방진 마스크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섬유의 확대도에 관한 것이다.
전기 방사부(10)에서 방사된 섬유(30)와 열처리된 섬유(30)를 비교하는 모습으로, 방사된 섬유(30)가 여러겹으로 적층되어 있어, 적층된 섬유(30)로 인해 기공이 형성된다. 하지만, 섬유(30)의 표면에는 다공(34)이 거의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섬유(30)에 열처리를 하게 되면, PMMA(33)가 증발하게 되어, PMMA(33)가 있던 자리에 다공(34)이 형성되며, 형성된 다공(34)에 의해 섬유(30)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은나노(31)가 노출된다. 따라서 열처리된 섬유(30)는 항균효과가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며, 적층된 섬유(30)의 기공과 섬유(30) 표면의 다공(34)이 형성되어, 필터 성능 또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열처리된 섬유(30)를 기판에 여러 겹의 섬유층으로 적층시켜 항균필터(40)를 생산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은나노(31) 물질을 와이어 타입으로 사용하게 되면, 항균필터(40)의 포집 효율이 유지 또는 상승하게 되고, 차압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섬유 제작방법의 순서도를 보여주고 있다.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40)의 제작 과정을 보면, 항균 물질과 용융점이 서로 다른 폴리머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와, 혼합물을 전기 방사부에 투입하는 단계(S2)와, 전기 방사부가 섬유를 방사하는 단계(S3) 및 용융점이 낮은 폴리머가 증발하도록 섬유를 열처리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에서 폴리머 용액으로는 PMMA(polymethyl methacrylate)(33)와, PAN(peroxyacetyl nitrate)(32)를 사용하며, 항균물질은 은나노(31)를 사용한다. 다만,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을 반드시 이용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서로 용융점이 다른 폴리머 용액을 사용하여 섬유를 제작할 수 있다면, 어떤 종류의 폴리머 물질을 사용하더라도 족할 것이며, 항균 성질이 있는 항균 물질을 사용하면 족할 것이다.
열처리하는 단계(S4)에서, 상대적으로 PAN(32)보다 용융점이 낮은 PMMA(33)가 증발하면서 섬유에 다공(34)이 형성되며, 다공(34)으로 인해 항균 물질인 은나노(31)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에는 항균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 섬유(30)를 먼저 제조한 다음, 제조한 섬유(30)를 별도의 항균 처리를 하는 등 두 번 이상의 공정이 이루어진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항균필터(40)는 전기 방사부(10)에서 방사된 섬유(30)를 열처리하여, 항균 섬유(30)로 제조하고, 항균 섬유를 이용해 필터를 제작한다. 따라서 기존의 방법과 달리 한 번의 공정으로 항균필터(40)를 제조할 수 있으며, 기존의 항균필터(40) 제조방법보다 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 비용의 절약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전기 방사부 12 : 토출구
14 : 스탠드 20 : 고압 발전기
22 : 펌프 30 : 섬유
31 : 은나노 32 : PAN
33 : PMMA 34 : 다공
36 : 혼합물 40 : 항균필터

Claims (8)

  1. 항균물질과 용융점이 서로 다른 폴리머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전기 방사부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전기 방사부가 섬유를 방사하여 필터 여재를 제작하는 단계;
    용융점이 낮은 상기 폴리머가 증발하도록 상기 필터 여재를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에서, 용융점이 낮은 상기 폴리머가 증발하면서 상기 섬유에 다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공으로 인해 상기 항균물질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용액은 PMMA(polymethyl methacrylate)와 PAN(peroxyacetyl nitrate)을 사용하며, 상기 항균물질로 은나노를 사용하는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용액과 상기 항균물질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용매로 디메칠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를 더 포함하는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 용융점이 낮은 상기 PMMA가 증발할 수 있도록 PMMA의 용융점인 160도와 PAN의 용융점이 300도 사이의 온도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0도에서 250도로 온도를 상승시켜 2시간 동안 유지하고, 공기를 공급하여 안정화(Stabilization)까지 진행하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여재에 구비된 상기 항균물질을 와이어 타입으로 사용하면 상기 필터 여재의 필터의 포집효율이 유지 또는 상승하고, 차압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방사부는 단일 노즐을 사용하여 섬유를 방사하는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으로 제작되는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KR1020180092186A 2018-08-08 2018-08-08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항균필터 KR20200017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186A KR20200017051A (ko) 2018-08-08 2018-08-08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항균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186A KR20200017051A (ko) 2018-08-08 2018-08-08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항균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051A true KR20200017051A (ko) 2020-02-18

Family

ID=6963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186A KR20200017051A (ko) 2018-08-08 2018-08-08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항균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70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679A (ko) * 2020-03-16 2021-09-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필터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필터
KR102596613B1 (ko) 2022-11-04 2023-11-02 (주)아이엠비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터 여재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143B1 (ko) 2016-05-24 2017-08-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정렬된 활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143B1 (ko) 2016-05-24 2017-08-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정렬된 활성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679A (ko) * 2020-03-16 2021-09-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필터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필터
KR102596613B1 (ko) 2022-11-04 2023-11-02 (주)아이엠비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터 여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05748B (zh) 一种β-FeOOH/聚丙烯腈的复合纳米纤维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0843191B1 (ko)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필터여재 및 그 제조방법
US7517832B2 (en) Fibrous active carbon and nonwoven fabric including the same
CN104436865B (zh) 一种高效低阻复合纤维pm2.5过滤膜及静电纺丝制备方法
US20080217807A1 (en) Composite fiber filter comprising nan0-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4456600B2 (ja) 樟脳を用いた多孔性炭素ナノ繊維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炭素ナノ繊維
KR101147726B1 (ko) 나노섬유 웹의 제조방법
CN109235044B (zh) 一种负载zif-8的聚偏氟乙烯纳米纤维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947415A (zh) 静电纺丝和静电喷雾方法相结合制备纳米纤维基复合分离膜
KR20200017051A (ko) 전기 방사를 이용한 항균필터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항균필터
CN102794039A (zh) 混合型催化剂过滤器及其制造方法和空调机
CN110354648B (zh) 一种压电抗菌纳米薄膜空气过滤膜及其制备方法
CN108201735B (zh) 过滤装置及其制备方法
KR20170102137A (ko) Zif-7을 이용한 직물 구조의 기체 흡착 멤브레인 제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744492B2 (en) Air purifier
Ge et al. Electrospun polyurethane/loess powder hybrids and their absorp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CN111501203B (zh) 一种催化纳米纤维膜的制备方法
KR20100019173A (ko) 나노섬유 웹의 제조방법
KR20200017052A (ko) 다공성 가스 흡착필터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가스 흡착필터
US2009028607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or a porous membrane and the porous membrance manufactured thereby
CN106693557A (zh) Pm2.5过滤膜、制备方法以及pm2.5过滤纱窗
KR100744832B1 (ko) 중기공을 함유한 다공성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WO2014089458A1 (e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n electric field for creating uniform nanofiber patterns on nonconductive materials to enhance filtration and for embedment of fibers into materials for other applications
CN114561719A (zh) 一种纤维交织结构的氧化铈/氧化硅复合纤维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Wang et al. A novel-charged fibrous media characterized by higher efficiency and lower pressure dr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