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590B1 -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방진망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방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590B1
KR102313590B1 KR1020190110343A KR20190110343A KR102313590B1 KR 102313590 B1 KR102313590 B1 KR 102313590B1 KR 1020190110343 A KR1020190110343 A KR 1020190110343A KR 20190110343 A KR20190110343 A KR 20190110343A KR 102313590 B1 KR102313590 B1 KR 102313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net
fine dust
fabric
dustproof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963A (ko
Inventor
윤지예
김도경
채태웅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클리어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클리어창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클리어창
Priority to KR1020190110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59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963A/ko
Priority to PCT/KR2020/011941 priority patent/WO202104556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9/00Open-work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창호용 방충 및 방진 용도로 가공된 그물망 형태의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방진망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황사와 같은 외부 오염물질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 발생하는 석면, 라돈, 세균, 포름알데히드, 취사, 전자기기 사용 등으로 발생하는 각종 실내공기 오염물질을 통과시킬 수 있는, 유해물질 차단 및 통기성이 우수한 방진망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방진망{Dustproof net for fine dust filtering}
본 발명은 일반 창호용 방충 및 방진 용도로 가공된 그물망 형태의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방진망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같은 주거 건물의 창에는 모기, 파리 같은 해충을 차단하고 통기가 가능한 그물망 형태의 방충망이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런 방충망의 소재는 나일론, 폴리에스터 같은 합성 섬유는 물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가는 금속망, 최근에는 글라스파이버를 이용한 제품 까지 다양한 소재의 제품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존의 방충기능을 가진 방충망을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유해한 (초)미세먼지의 발생빈도가 잦아지고 이에 따른 미세먼지로 인한 호흡기 계통 질병 발생의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기존의 방충망만으로는 안심하고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하는 것이 꺼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즉, 실내에서 발생하는 석면, 라돈, 세균, 포름알데히드, 취사, 전자기기 사용 등으로 발생하는 각종 실내 공기오염 물질 문제로 주거생활시 환기가 필수이나, 미세먼지 등 외부 유해물질로 인해 환기가 꺼려지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방충망의 기능인 해충차단은 물론이고 유해한 미세먼지까지를 차단해 줄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의 방충/방진망의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주로 주거용 건물의 창틀에 부착하여 유해한 해충을 차단해주는 기능을 하는 기존의 방충망 기능에 더하여, 최근 새롭게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및 황사와 같은 1급 발암물질의 유입까지 차단이 될 수 있도록 나노 파이버를 방사하여 나노사이즈의 방진망을 형성시키고 이를 방충망의 표면에 단단히 고착시킴으로써, 방충의 기능은 물론이고 미세먼지의 차단기능 까지 가지는 방진망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방충/방진기능에 더하여 통기성이 있고 액체상태의 수분, 즉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우수한 기능의 창문용 필터망(filtering mesh)으로 사용가능한 방진망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전성 고분자 수지가 피복된 폴리에스터실로 형성된 그물형태의 방충망 원단(1)의 한쪽 면에 바인더 수지로서 핫멜트 수지를 부분 도포하고, 그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여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도록 공극 크기가 0.1~100 um 인 나노섬유웹을 형성시킨 다음(2), 핫멜트 수지가 부분 도포된 추가의 보호용 원단(3)을 2의 나노섬유웹 위에 겹쳐서 열 접착롤러를 통과시킴으로써, 방사된 나노섬유웹이 핫멜트 수지에 의해 단단히 고착될 수 있도록 제조한,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진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방진망은 창틀이나 문틀 등에 부착되어 있는 종래의 방충망을 대체하여 창틀에 끼우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는 기존의 방충망 위에 덧붙여서 미세먼지 차단의 기능을 갖게 할 수도 있는 등 현재 기관지나 호흡기 계통의 질환을 유발시키는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는 미세먼지의 실내 유입을 최대한 차단시켜줄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제공한다. 아울러 빗물이 유입되지 않으면서도 통기가 가능하므로 사시사철 창문을 개방하여 자연 통풍이 가능하고 필요시에는 물을 뿌려서 쉽게 청소가 가능한 고기능성의 미세먼지 차단용 방진망이 제공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황사와 같은 외부 오염물질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통기성도 우수한 방진망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폴리에스터실로 형성된 그물 형태의 방충망 원단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나노섬유웹의 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망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나노섬유웹을 제조하기 위한 전계방사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망의 SEM 이미지이다.
도 6은 이산화티타늄이 포함된 나노섬유웹의 SEM 이미지이다.
이하, 본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방진망은, 대전성 고분자 수지가 피복된 폴리에스터실로 형성된 그물형태의 방충망 원단(1); 공극 크기가 0.1~100 um 인 나노섬유웹(2); 및 보호용 원단(3)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전성 고분자 수지는 필라멘트사가 대전성을 구비하여 미세먼지 및/또는 황사를 정전기적으로 포집하도록 적용된다. 다만, 섬유 자체가 대전성을 구비하면서 일정 강도를 갖는 경우에는 대전성 고분자 수지가 피복되지 않은 양태도 본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전성 고분자 코팅액 및/또는 파우더를 이용하여 폴리에스터사를 코팅함으로써 대전성 고분자 수지가 피복된 폴리에스터실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전성 고분자 코팅액은 대전성 고분자 5 ~ 20 중량부, 바인더 5 ~ 30중량부, 물 또는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40 ~ 80 중량부, 슬립 및 레벨링 첨가제 1 ~ 2중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대전성 고분자로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3,4-에틸렌티오펜) 또는 이들의 유도체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독일 H.C. stock사의 Baytron PH를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로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레이트,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우레탄 공중합 바인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전성 고분자 파우더의 경우, 대전성 고분자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파우더를 제조하여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Resin에 2 ~ 30 중량부를 내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대전성 고분자 파우더의 경우,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318153호, 제 374719호 등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나노섬유는 산업 전반에 걸쳐 고성능을 발현하는 소재로서, 부직포를 이용한 필터, 전자기기들의 소형화, 고기능화, 생체조직 용도 등 나노소재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기계, 화학산업 등 전통산업에서도 고기능화를 위한 나노소재의 적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기능성 나노섬유는 앞으로 수요증가에 따른 높은 시장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나노섬유는 주로 전계방사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이 전계방사법은 1795년 Bose가 모세관 끝에 매달려있는 물방울에 고전압을 부여하면 표면장력에 의해 물방울 표면에서 미세 필라멘트가 방출되는 정전 스프레이 현상을 발견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점도를 가진 고분자 용액이나 용융체에 정전기력이 주어질 경우 섬유가 형성되는 현상이다. 전계방사로 생산된 섬유의 직경은 단면적당 10개 이하의 고분자 사슬로 이루어진 굵기가 작은 섬유에서부터 통상적인 방직섬유 굵기까지 광범위한 섬유를 생산할 수 있으며, 앞으로도 나노과학이나 재료과학, 생명과학 분야에서 그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나노재료는 적어도 100 nm 이하의 치수를 갖는 것으로서, 직물용 섬유의 경우 직경이 100 nm이고 종횡비가 100 : 1 이상인 1차원의 유연성 고체상 나노재료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극세사란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100분의 1보다 가늘게 수축, 가공한 섬유로서 microfiber라는 용어로 사용되어왔다. 최근 들어 나노소재 관련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기존 극세사보다 더욱 얇고 가는 섬유 소재가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굵기가 1micrometer 이하인 섬유를 극세사의 새로운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나노섬유라고 한다.
나노섬유 제조기술은 섬유직경이 나노크기인 섬유를 직접 제조하는 것으로 복합방사, 부직포방사 및 직접방사 등으로 제조된다. 섬유의 크기를 나노크기로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기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의류용뿐만 아니라 필터, 에너지 저장소재 및 의료용까지 그 용도를 확대하고 있다. 나노섬유란 엄밀한 의미에서 보면, 1 nm부터 100 nm의 직경을 가진 섬유를 말하나 섬유산업에서는 이러한 섬유의 용도가 극히 제한적이어서, 극세사로 칭하는 마이크로섬유(micro fiber)와의 차별화를 위하여 섬유의 직경이 1 ㎛이하인 섬유를 지칭하고 있다. 최근에 언급되고 있는 나노섬유는 일반적으로 전계방사(electrospinning)나 이를 개선한 방법으로 제조된 섬유를 말하고 있으며, 제조방법에 따라 크게 나노방사 분야와 나노구조섬유 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는 섬유일수록 생산성이 낮다.
전계방사는 전하 차이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으로는 가공할 수 없는 극세 고분자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다. 고분자, 세라믹, 복합재료, 금속 등의 용액이나 용융물을 나노미터에서 서브미크로미터 직경을 가진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하고 쉬운 방법이다. 전계방사 장치는 수직으로 위치한 모세관 끝, 즉 방적돌기에서 고분자 용액은 중력과 표면장력 사이에 평형을 이루어 반구형 방울을 형성하며 매달려 있게 된다. 이때 전기장을 부여하면 표면장력과 반대되는 힘이 발생하여, 반구형 방울은 원추형 모양으로 늘어나게 되며, 전기장이 어느 세기 이상이 되면 표면장력을 극복하면서 하전된 고분자 용액의 젯이 테일러 콘에서 계속해서 방출된다. 전계방사 시 원추각은 약 30도이다. 보다 더 높은 전압이 걸리게 되면 변형된 방울로부터 분사가 형성된다. 이 분사물은 반대 전극 방향으로 이동하고 굵기가 얇아진다. 반대 전극으로 향하는 동안 용매가 증발되고, 높은 속도로 반대 전극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이 마이크로미터에서 나노미터에 이르는 고체 섬유가 석출된다. 전계방사 장치는 아주 간단하지만, 전계의 영향 하에서의 섬유방사 메커니즘은 아주 복잡하다. 전계방사의 핵심은 매달린 방울 표면에 전하를 고정화시킴으로써 연속적인 제트(jet)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전계방사 과정은 5가지 주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 매달린 방울의 전하 부가,
2) 콘-제트(cone-jet)의 형성,
3) 안정화 제트의 세선화,
4) 제트 안정성의 성장을 통한 나노미터 크기로 직경 감소, 그리고
5) 여러 가지 형태로의 섬유 포집이다.
불안정한 액체 필라멘트의 연신을 통해 나노미터 크기 직경의 섬유를 형성하여 고화시킨 후 포집기 상에 섬유가 쌓이게 된다. 액체 제트는 방사 및 연신 과정에서 섬유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적절한 점탄성을 유지해야 한다. 나노섬유의 종류로는 고분자 나노섬유, 탄소 나노섬유, 및 기타 나노섬유 등이 있다.
고분자는 가장 먼저 개발된 나노섬유 소재로, 현재 가장 일반적인 나노섬유 제조법인 전계방사법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다. 1980년대 초에 Donaldson사가 세계 최초로 500 nm 이하의 전계방사 나노섬유를 제조하여 공기필터 시장에 적용하였다. 원료로는 다양한 고분자가 개발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상용 고분자를 나노섬유로서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방충망 위에 나노방사장치로 나일론수지를 나노파이버(Nano Fiber) 형태로 방사도포 하여 나노섬유웹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단위면적(1㎡)당 나노파이버의 방사량은 1~10 g 정도가 적당하며 최적으로는 1~3 g 정도가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보호용 원단은 모노 필라멘트사로 편직 또는 제직된 메쉬 구조를 가지며, 상기 메쉬 구조를 구성하는 단위 메쉬가 4각 이상의 다각형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 보호용 원단은 나노섬유웹층 상에 적층되어 나노섬유웹층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층구조 필터의 마모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보호용 원단은 대전성을 구비하도록 처리되어 미세먼지 및/또는 황사의 포집에 일조할 수 있다.
보호용 원단은 모노 필라멘트사로 편직 또는 제직된다. 보호용 원단이 합사(braid)를 사용하여 편직 또는 제직되는 경우, 다층구조 필터가 사용되는 동안에 합사가 풀리면서 필링(peeling)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모노 필라멘트사는 합사에 비해 표면적이 적어서 방충망 원단/나노섬유웹층과의 접착성이 합사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모노 필라멘트사의 단면을 삼각형 단면, C형 단면, Y형 단면과 같은 이형 단면 형태로 제작하여 모노 필라멘트사의 접착성을 보완할 수 있다.
보호용 원단을 구성하는 모노 필라멘트사는 정전기가 대전되기 쉬운 합성섬유, 예컨대,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에스터 및 폴리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모노필라멘트사는 1 내지 100㎛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으며 10 내지 30메쉬의 눈 크기를 가지도록 직조 혹은 편직될 수 있으나, 두께 및 눈 크기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용 원단을 구성하는 단위 메쉬는 사각 이상의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 방진망에서 나노섬유웹층은 대전성 메쉬 기재와 보호용 사이에 위치하지만, 나노섬유웹층이 매우 얇은 나노섬유로 형성되어 있고 그 평량 또한 비교적 적기 때문에 보호용 원단은 나노섬유웹층뿐만 아니라 대전성 메쉬 기재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 있으며, 방진망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호용 원단이 방충망 및 나노섬유웹층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호용 원단이 나노섬유웹층 및 방충망 원단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보호용 원단를 구성하는 단위 메쉬 형태를 사각 이상의 다각형이 되도록 모노 필라멘트사를 편직 또는 제직할 경우, 대전성 메쉬 기재의 메쉬 1칸 당 보호용 원단와의 접점이 4개 이상인 구조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접착 강도가 높아진다. 그 결과, 방진망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해진다.
보호용 원단은 또한 대전성을 갖도록 처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호용 원단에 사용되는 모노 필라멘트사를 미리 정전 물질로 처리하거나 혹은 모노 필라멘트사로 편직 또는 제직된 보호용 원단에 정전 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 정전 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칼리자레인(Calixarenes)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나노섬유웹에는 광촉매 미세입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쾌적한 실내 공기 환경의 조성을 위해 광촉매의 광활성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이산화티타늄 광촉매는 상온에서 광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환경친화형의 재료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산화티타늄 광촉매는 산소, 수분과 반응하여 복합산소이온을 발생시키고, 이 복합산소이온들이 작용하여 실내의 건축자재나 가구에서 발생하는 VOCs, 포름알데히드 등을 분해, 제거시킨다. 또한 항균, 항곰팡이,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어 깨끗한 생활환경을 만들어준다. 광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이산화티타늄을 나노단위로 초미립자화시키는 방법과 백금, 은, 니켈 등의 금속을 이산화티타늄에 첨가시키는 방법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진망은 대전성 고분자 수지가 피복된 폴리에스터실로 형성된 그물형태의 방충망 원단(1)의 한쪽 면에 나노섬유를 방사하여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도록 공극 크기가 0.1~100 um 인 나노섬유웹(2)을 형성시킨 다음, 핫멜트 수지가 부분 도포된 추가의 보호용 원단(3)을 나노섬유웹(2) 위에 겹쳐서 열 접착롤러를 통과시킴으로써, 방사된 나노섬유웹(2)이 핫멜트 수지에 의해 폴리에스터 원단에 단단히 고착될 수 있도록 제조할 수 있다.
방사도포된 나노크기의 나노섬유웹이 방충망 원단의 표면에 고착 될 수 있도록, 방사된 나노섬유웹 위에 보호용 원단(3)을 겹친 다음 이 전체를 열접착이 가능한 열접착 롤러를 통과시키면, 열 접착롤러의 열에 의해 상하 원단에 도포된 핫멜트 수지가 열에 의해 녹아서 방충망 원단, 나노섬유웹층 및 보호용 원단을 융착 시키게 되므로 견고한 방진망을 형성하게 된다. 즉 두 장의 폴리에스터 원단 사이에 나노 방사된 방진층이 견고하게 부착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완전한 방진망이 완성되게 된다. 완성된 방진망은 와인더에 의해 권취되어 롤 형태로 포장되어서 필요한 길이와 폭으로 가공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는 방진망을 구성하는 재료의 일례를 제시한 것으로서, 방진망을 구성하는 방충망 원단으로는 금속재질을 제외한 다양한 종류, 즉 폴리에스터를 비롯하여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천연 면사, 인조견사 등 망 형태를 구성할 수 있는 어떠한 재료도 사용이 가능하며, 나노방사되는 물질도 나일론을 비롯하여 Polyvinylidene Fluoride(PVdF), Polyvinyl Alcohol(PVA), Polyethylene Oxide(PEO), Polyurethane(PU/TPU), Polyaniline(PA), Polysulfone(PSU/PES), Polyacrylonitrile(PAN), Polybenzimidazole(PBI), Polyimides(PI), Polystirene(PS), Polyvinyl Chloride(PVC), PGA, PLA, PCL, Silk, Collagen, Cellusose Acetate 등, 나노섬유형태로 방사가 가능한 재료는 전부 사용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상의 방진망을 만드는 재료는 본 실시 예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대전성 방충망 원단의 제조
폴리에스터사에 폴리염화비닐을 피복시켜 0.4mm 직경을 갖는 필라멘트사를 제조하여, 인치당 WP 50, WF 50의 비율 및 약 30g/㎡의 평량으로 메쉬를 제조하였다. 메쉬의 두께는 130±5㎛, 간극은 420±10㎛, 개구율은 65±1.6%로 하였다.
2. 나노섬유웹층의 형성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아세톤의 50:50 wt% 혼합용매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를 녹여 고분자 용액을 준비한 다음, 전기방사 방법을 통하여 상기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터 메쉬에 1.5g/㎡ 평량으로 방사하여 나노섬유 웹층을 형성시켰다. 이후, 이산화티타늄 10% 용액을 스프레이 하였다.
3. 보호용 원단의 제조
10㎛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모노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단위 메쉬가 육각 형상을 갖도록 메쉬 구조로 보호용 원단을 편직하였다.
[실시예 1] 방진망의 제조
상기 보호용 원단의 표면에 바인더 수지로서 폴리우레탄을 1g/㎡ 양으로 부분 도포하고, 이를 상기 나노섬유웹층이 형성된 대전성 방충망 원단에 적층한 후 열융착 롤러에 통과시켜 단단히 고정하여 방진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이산화티타늄 스프레이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방진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방충망 원단에 폴리염화비닐이 피복되지 않고, 이산화티타늄 스프레이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방진망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방진망의 물성은 아래와 같이 평가되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공기투과도(㎤/㎠/s) 428.0 408 405
분진포집효율(%) 92.8 89 88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진망은 이산화티타늄 광촉매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이나 대전성 수지로 피복되지 않은 비교예 2에 비해 공기투과도 및 분진포집효율이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방충망 원단 (1)
2: 나노섬유웹 (2)
3: 보호용 원단 (3)

Claims (3)

  1. 대전성 고분자 수지가 피복된 폴리에스터실로 형성된 그물형태의 방충망 원단;
    공극 크기가 0.1~100 um 인 나노섬유웹; 및
    보호용 원단
    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대전성 고분자 수지가 피복된 폴리에스터실은, 대전성 고분자 5 ~ 20 중량부, 바인더 5 ~ 30중량부, 물 또는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40 ~ 80 중량부, 슬립 및 레벨링 첨가제 1 ~ 2중량부를 포함하는 대전성 고분자 코팅액에 의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웹에 이산화티타늄 미세입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망.
  3. 삭제
KR1020190110343A 2019-09-05 2019-09-05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방진망 KR102313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343A KR102313590B1 (ko) 2019-09-05 2019-09-05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방진망
PCT/KR2020/011941 WO2021045561A1 (ko) 2019-09-05 2020-09-04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방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343A KR102313590B1 (ko) 2019-09-05 2019-09-05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방진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963A KR20190110963A (ko) 2019-10-01
KR102313590B1 true KR102313590B1 (ko) 2021-10-20

Family

ID=6820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343A KR102313590B1 (ko) 2019-09-05 2019-09-05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방진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3590B1 (ko)
WO (1) WO2021045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590B1 (ko) * 2019-09-05 2021-10-20 유한회사 클리어창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방진망
KR102333444B1 (ko) * 2019-10-08 2021-11-30 이재준 전방향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초미세먼지 방진나노필터가 구비된 방충창호
KR102105444B1 (ko) * 2019-11-01 2020-04-28 정근원 양문형도어가 구비된 애완동물 건조장치
KR102105442B1 (ko) * 2019-11-01 2020-04-28 정근원 서클형 공기순환구조를 가진 애완동물 건조장치
KR102210832B1 (ko) * 2019-12-24 2021-02-03 유한회사 클리어창 미세먼지 및 빗물유입 차단이 가능한 환기창
KR102362258B1 (ko) * 2020-09-03 2022-02-1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전기 기반의 미세먼지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1280B1 (ko) * 2020-10-05 2021-02-26 정상원 나노섬유를 이용한 방진망
KR102284560B1 (ko) * 2020-10-19 2021-08-04 삼아항업(주) Mms 차량의 고정밀도로지도 갱신 시스템
KR102291959B1 (ko) * 2020-10-20 2021-08-24 젠스코리아 주식회사 자율주행 정밀도로 지도 제작을 위한 표지 시설물 검출시스템
KR102291962B1 (ko) * 2020-10-20 2021-08-24 젠스코리아 주식회사 자율주행 정밀도로지도 제작을 위한 mms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2291957B1 (ko) * 2020-10-20 2021-08-24 젠스코리아 주식회사 정밀도로지도 제작을 위한 mms 데이터 수정 시스템
KR102286327B1 (ko) * 2020-10-20 2021-08-09 (주)지오투정보기술 자율주행 정밀도로 지도 제작을 위한 도화 시스템
KR102300184B1 (ko) * 2020-11-26 2021-09-09 신현테크 주식회사 방충망용 망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38786B1 (ko) 2021-09-14 2023-05-31 김도경 3층 구조 방진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4736B1 (ko) 2021-11-23 2023-08-08 김도경 3층 구조 방진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4746B1 (ko) 2021-11-23 2023-08-07 김도경 3층 구조 방진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2940B1 (ko) 2021-11-26 2024-03-29 주식회사 클리어창 3층 구조 방진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8737B1 (ko) * 2023-01-06 2024-03-18 (주) 텍스토머 방충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311B1 (ko) 2007-07-03 2008-08-20 김인열 차광 및 방충용 코팅 조성물, 피막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5324B1 (ja) * 2009-05-29 2010-03-03 株式会社ポリネス 防塵防虫用ネット
KR101936571B1 (ko) * 2016-05-27 2019-01-09 (주)우리엠엔에스 나노섬유 필터를 이용한 방진망
KR20180096863A (ko) * 2017-02-21 2018-08-30 (주)에프티이앤이 미세먼지 차단용 조립식 방진망
KR102028556B1 (ko) * 2017-08-21 2019-10-04 (주)카이로스 초미세먼지 차단용 나노방진망 및 그 제조방법
KR102313590B1 (ko) * 2019-09-05 2021-10-20 유한회사 클리어창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방진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311B1 (ko) 2007-07-03 2008-08-20 김인열 차광 및 방충용 코팅 조성물, 피막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5561A1 (ko) 2021-03-11
KR20190110963A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3590B1 (ko)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방진망
US10150070B2 (en) Interlaced Filtration Barrier
CN106541683A (zh) 一种用于空气中颗粒物过滤的多层次结构纳米纤维复合膜的制备方法
US9186608B2 (en) Process for forming a high efficiency nanofiber filter
JP4657782B2 (ja) 高捕集効率と低圧力損失とを兼ね備えたフィルター
KR101747322B1 (ko) 자연 환기형 멤브레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창호
JP7077575B2 (ja) 混繊不織布、積層体、フィルター用濾材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6099997B2 (ja) ナノファイバーを積層した建材用の薄膜防臭遮蔽部材、及び、その製造装置
KR102028556B1 (ko) 초미세먼지 차단용 나노방진망 및 그 제조방법
WO2020195853A1 (ja) 複合構造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複合構造体を含む濾材
JP2014145140A (ja) 抗菌性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より得られる抗菌性不織布
CN110404339A (zh) 一种高效低阻pm2.5抗菌防霉过滤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210832B1 (ko) 미세먼지 및 빗물유입 차단이 가능한 환기창
KR20210109080A (ko)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탄소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방진망
WO2018174176A1 (ja) 帯電濾材及び帯電濾材の製造方法
KR20170068423A (ko) 자연 환기형 멤브레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창호
KR102010953B1 (ko) 공기투과도가 우수한 초미세먼지 방진 나노섬유 복합메쉬
JP2008114177A (ja) 吸気用フィルター不織布
Karabulut Melt-Blown Fibres vs Electrospun Nanofibres as Filtration Media
WO2020179390A1 (ja) 建材用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93973B1 (ko) 롤러블 창문 필터
KR20200030798A (ko) 멀티 전기 방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방사 방법
WO2017010084A1 (ja) 不織布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00178A (ko) 미세먼지 차단용 내구성이 향상된 나노 방진망 제조방법
JP2010053471A (ja) 光触媒含有極細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