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577B1 -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벽지 - Google Patents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577B1
KR101267577B1 KR1020110006904A KR20110006904A KR101267577B1 KR 101267577 B1 KR101267577 B1 KR 101267577B1 KR 1020110006904 A KR1020110006904 A KR 1020110006904A KR 20110006904 A KR20110006904 A KR 20110006904A KR 101267577 B1 KR101267577 B1 KR 101267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uilding
pulverized
calcium carbonate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526A (ko
Inventor
박봉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남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남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남케미칼
Priority to KR1020110006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577B1/ko
Publication of KR2012008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38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pigments
    • D21H19/385Oxides, hydroxides or carbonat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38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pigments
    • D21H19/40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pigments siliceous, e.g. clay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44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other ingredients, e.g. the binder or dispersing agent
    • D21H19/5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r oligomers thereof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9/58Polymers or oligomers of diolefins, aromatic vinyl monomers or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려각 분쇄물 50~96 중량%, 및 산화알루미늄, 산화칼륨, 산화마그네슘 및 탄산칼슘의 분쇄물을 각각 1~20 중량%를 포함하는 미네랄 분쇄물로 이루어진 분쇄 혼합물 0.1~20 중량%; 수성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20~30 중량%; 이온교환수 20~30 중량%; 탄산칼슘 25~40 중량%; 이산화티탄 2~4 중량%; 산화철 0.1~1 중량%; 및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0.1~4 중량%를 포함하는 도료가 코팅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건축용 벽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벽지{WALL PAPER FOR SOUNDPROOFING OF INTER LAYER NOISE COMPRISING MULTIWALL CARBON NANOTUBE}
본 발명은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벽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멘트 등에서 발생하는 독성을 차단함과 동시에 아파트, 빌라, 다가구 주택, 오피스텔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상하층 혹은 수평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차단하고 건물 벽의 단열 성능을 개선시키고 시공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벽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일한 발명자에 의한 특허출원 제10-2010-37244호(2010.10.28일자 특허결정서 발행)의 도료조성물을 그대로 이용한 이용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등의 벽은 콘크리트로 시공되어 층간소음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아파트, 빌라, 다가구 주택, 오피스텔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윗집 혹은 옆집에서 발생한 고체 전달음은 건축물의 바닥은 물론 벽체를 타고 옆집 혹은 아래층으로 그대로 전달되어진다. 예를 들어, 물건의 낙하 등의 충격이 바닥에 가해지거나 의자를 옮기는 소리 등은 고체 전달음을 발생시키고 이 고체 전달음은 바닥슬래브와 벽체를 통해 인접한 다른 방 및 아래층에 전달된다.
이러한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내지 벽체가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 차단시켜주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상하층 내지 수평층에 살고 있는 거주민들 간의 분쟁이 발생하는 등 층간소음으로 인한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어 최근에는 공동주택 상하층 간의 층간소음을 줄여주는 저감재의 사용이 의무화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대하여 벽체로부터 전달되는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해 종래 각종 방음재 등을 벽면에 설치하여 소음을 감쇄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지만, 그 소재가 고가이고 유효적절하게 충격음을 차폐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벽지들은 층간소음의 차폐를 위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멘트로부터 유출되어지는 독성의 차단기능도 미약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시공이 간단한 벽지에 층간소음방지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시멘트 등에서 발생하는 독성을 차단함과 동시에 아파트, 빌라, 다가구 주택, 오피스텔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상하층 내지 수평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차단하고 건물 벽체의 단열 성능을 개선시키고 시공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벽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모려각 분쇄물 50~96 중량%, 및 산화알루미늄, 산화칼륨, 산화마그네슘 및 탄산칼슘의 분쇄물을 각각 1~20 중량%를 포함하는 미네랄 분쇄물로 이루어진 분쇄 혼합물 0.1~20 중량%; 수성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20~30 중량%; 이온교환수 20~30 중량%; 탄산칼슘 25~40 중량%; 이산화티탄 2~4 중량%; 산화철 0.1~1 중량%; 및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0.1~4 중량%를 포함하는 도료가 코팅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건축용 벽지.
(2) 제 1항에 있어서,
도료의 평균 입자경이 0.2~1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건축용 벽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는 수성계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건축용 벽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는
1) 수성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이온교환수,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산화철을 혼합교반기에 투입하고, 여기에 1500℃ 내지 1600 ℃에서 가공한 모려각 분쇄물, 및 1100 ℃ 내지 1120 ℃에서 가공한 산화알루미늄, 산화칼륨, 산화마그네슘 및 탄산칼슘의 분쇄물을 포함하는 미네랄 분쇄물로 이루어진 분쇄 혼합물을 혼합하는 제1 단계; 및
2) 상기 제1 단계의 혼합물에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투입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건축용 벽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는 1500℃ 내지 1600 ℃에서 가공한 모려각 분쇄물 50~96 중량%, 및 1100 ℃ 내지 1120 ℃에서 가공한 산화알루미늄, 산화칼륨, 산화마그네슘 및 탄산칼슘의 분쇄물을 각각 1~20 중량%를 포함하는 미네랄 분쇄물로 이루어진 분쇄 혼합물 0.1~20 중량%; 수성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20~30 중량%; 이온교환수 20~30 중량%; 탄산칼슘 25~40 중량%; 이산화티탄 2~4 중량%; 산화철 0.1~1 중량%; 및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0.1~4 중량%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건축용 벽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는 수성계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건축용 벽지.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혼합물이
1) 증류수를 이용한 세척과정,
2) 볼밀을 이용한 습식분쇄과정,
3) 전기건조로를 이용한 건조과정,
4) 지-밀(Z-Mill) 또는 나노-밀(Nano-Mill)을 이용한 건식분쇄 과정에 의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건축용 벽지.
본 발명에 의하면, 시멘트 등에서 발생하는 독성을 차단함과 동시에 아파트, 빌라, 다가구 주택, 오피스텔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상하층 내지 수평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차단하고 건물 벽체의 단열 성능을 개선시키고 시공의 편리함을 도모한다.
본 발명은 모려각 분쇄물 50~96 중량%, 및 산화알루미늄, 산화칼륨, 산화마그네슘 및 탄산칼슘의 분쇄물을 각각 1~20 중량%를 포함하는 미네랄 분쇄물로 이루어진 분쇄 혼합물 0.1~20 중량%; 수성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20~30 중량%; 이온교환수 20~30 중량%; 탄산칼슘 25~40 중량%; 이산화티탄 2~4 중량%; 산화철 0.1~1 중량%; 및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0.1~4 중량%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도료가 코팅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벽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분쇄 혼합물은 모려각 분쇄물에 미네랄로 산화 알루미륨(Al2O3), 산화칼륨(K20), 산화마그네슘(MgO), 및 탄산칼슘(CaCO3)을 함유하는 혼합물로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분쇄물은 분쇄 혼합물 100 중량%에 대하여 모려각을 주성분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50 내지 96 중량% 함유하면서 여기에 미네랄로 산화 알루미륨(Al2O3), 산화칼륨(K20), 산화마그네슘(MgO), 및 탄산칼슘(CaCO3)을 각각 1 내지 20 중량% 범위로 함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분쇄 혼합물은 1) 증류수를 이용한 세척과정, 2) 볼밀을 이용한 습식분쇄과정, 3) 전기건조로를 이용한 건조과정, 및 4) 지-밀(Z-Mill) 또는 나노-밀(Nano-Mill)을 이용한 건식분쇄 과정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쇄 혼합물은 굴 조개의 껍데기를 1500℃ 내지 1600 ℃ 정도에서 가공한 모려각과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칼륨(K20), 산화마그네슘(MgO), 탄산칼슘(CaCO3) 등의 미네랄을 1100 ℃ 내지 1120 ℃ 정도에서 가공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볼 밀을 이용하여 얻은 습식 분쇄물은 지-밀(Z-Mill)과 나노-밀(Nano-Mill)을 이용한 나노 파우더(평균 입자경: 1 ㎛ 이하)로 가공되고, 이를 본 발명의 원료로서 이용한다.
상기 분쇄 혼합물은 본 발명 도료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20 중량% 첨가되며, 만일 0.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충분한 흡음 및 차음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도료의 물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 Nanotube)는 분산성을 고려하여 개질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나 수퍼 번들형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시판되고 있는 제품명 CM-100(한화나노텍(주), 한국)을 들 수 있으며, 이 제품은 직경 10~15nm(HR-TEM방식 측정), 길이 ~200um(SEM방식 측정), 성분함량 95wt.%(KSD2711측정), 곡면적 225m2/g(BET방식 측정), 표면적 ~0.05g/cc(테핑 방법측정)인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탄소나노튜브는 바람직하게는 0.1~4 중량% 첨가되며, 0.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차음이나 흡음 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고, 4 중량%를 넘게 되면 도료의 물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미세하게 분쇄한 분쇄 혼합물(모려각 및 미네랄 함유)과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뛰어난 흡음 및 차음작용으로 층간소음을 대폭 감소시키며, 벽지에 도포할 경우 분쇄 혼합물에 의해 시멘트와 합성수지 등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 및 독성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도료조성물은 수성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를 포함한다. 수성계 EVA 수지는 특유의 탄성력이 있으며, 그로 인한 피도체의 접착력이 뛰어나며, 원목, 철재, 콘크리트, 알루미늄, 세라믹, 유리, 합성수지 등의 피도체에 부착용 도료로 코팅시에 우수한 접착력을 제공한다. 또한, 무독성으로 내오존성과 내후성을 개선하고, 연신율 변화를 적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수성계 EVA의 도료조성물내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0~30 중량%이며, 20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접착력이 떨어져 원하는 도막의 형성이 어렵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도료의 물성을 오히려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이온교환수는 삼차원 고분자 기체에 이온 교환기를 결합시킨 이온교환수지를 통과시켜 얻은 물을 사용하며, 이온교환수를 함유한 도료는 각종 염류에 의한 피도체의 열화가 없고, 동시에 도료에 첨가되는 입자들의 분산을 최적화하여 표면이 균일한 도막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이온교환수의 도료조성물 내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0~30 중량%이며, 20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도료의 물성 및 분산성에서 문제가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마찬가지로 도료의 물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은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및 산화철을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25~40 중량%, 이산화티탄(Titanium Oxide) 2~4 중량%, 산화철(Iron Oxide) 1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불연특성, 부착성 증대 및 자외선 차단효과 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수성계 도료에 첨가될 수 있는 각종 수성계 안료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가되는 상기 각 첨가물들은 피도체의 구분 없이 1차적으로 도막에 침투하고, 2차적으로 피막을 형성하여 강력한 접착력을 제공하고, 동시에 차음이나 흡음효과가 뛰어나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벽지로서 매우 유용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벽지는 실크, 합지, 포인트, 형광, 한지, 원목, 콜크, 천연섬유, 초경(갈포), 지사벽지 등 다양한 소재 및 형태로 제조되는 벽지의 생산 공정에서 벽지의 일면에 붓, 롤라, 아이리스, 스프레이건 등을 사용하여, 도포의 두께가 0.1 내지 2.0 밀리미터(mm)가 되도록 도포를 하고 상온에서 건조를 하는 과정을 통해 피막을 형성하여 제조되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료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수성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이온교환수,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산화철을 혼합교반기에 투입하고, 여기에 1500℃ 내지 1600 ℃에서 가공한 모려각 분쇄물, 및 1100 ℃ 내지 1120 ℃에서 가공한 산화알루미늄, 산화칼륨, 산화마그네슘 및 탄산칼슘의 분쇄물을 포함하는 미네랄 분쇄물로 이루어진 분쇄 혼합물을 혼합하는 제1 단계; 및
(2) 상기 제1 단계의 혼합물에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투입하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단계에서, 수성계 EVA 수지 22~24 중량%에 이온교환수 20~22중량%를 혼합하고, 여기에 액상바인더를 투입하여 서서히 분당 150~250 rpm으로 교반하면서 탄산칼슘 29~31 중량%, 이산화티탄 2~4 중량%, 산화철 1 중량% 이하로 이루어지는 분쇄혼합물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교반한다.
이때 액상바인더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아세테이트계 (예를 들어, PVA-205/쿠라레이사 제품)가 적합하며, 이들의 사용량은 전체 도료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20 중량부 사용되면 된다.
여기에 분쇄 혼합물 0.1~14 중량%를 투입한 후, 교반기를 통하여 상기 혼합물을 저속인 150~200 rpm으로 교반한다. 이때 얻어진 혼합물은 첨가된 분쇄 혼합물에 의하여 페인트 냄새가 없고, 인체에 무해한 수용성 친환경 도료로 제조되어진다.
상기 본 발명에서 분쇄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1) 증류수를 이용한 세척과정, 2) 볼밀을 이용한 습식분쇄과정, 3) 전기건조로를 이용한 건조과정, 4) 지-밀(Z-Mill) 또는 나노-밀을 이용한 건식분쇄 과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분쇄혼합물을 얻기 위한 각 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쇄 혼합물 중 모려각(굴, 조개껍데기 가공)은 여러 번의 세척공정을 거친 후, 볼밀에 증류수를 투입하고, 볼밀 내부에는 세라믹 소재의 구경 5~20mm의 알루미나 볼을 채운다. 볼밀은 저속인 150~250 rpm으로 1차 분쇄하고(분쇄시간 72~80 시간), 중간에 입자를 확인한 후에 적절한 입자경(10~20㎛)일 경우에, 분쇄된 형상물을 꺼내어, 알루미나 세가(sega)에 일정한 분량을 넣고, 전기 터널로에 넣어 건조한다.(전기로조건: 5 ℃/min 상승, 300~450 ℃에서 45분경과 후에 다시 3~4 ℃/min 상승시켜 1500℃~1600 ℃에서 60분~80분 경과 후에 자연 냉각한다). 이 후에, 일본의 세신기업에서 제조한 지-밀(Z-Mill) 또는 나노-밀(Nano-mill)을 이용하여 나노 파우더(1~5㎛ 이하)로 분쇄한다.
또한, 미네랄 성분으로 산화알루미늄, 산화칼륨, 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을 볼밀에 혼합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볼밀 내부에 지루코니아 볼(구경 3~15mm)과 증류수를 채운다(출발물질 원료: 5~10㎛ 이하). 이후 분쇄 혼합물을 꺼내어 전기건조로에서 건조한다. 이때 전기로에 들어가는 분쇄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지루코니아 재질로 만들어진 세가에 넣고, 3~4 ℃/min 상승시키고, 350~400 ℃에서 40~50분간 유지하며, 다시 3~4 ℃/min 상승시켜 1100℃~1120 ℃에서 60분~80분 경과 후에 자연냉각시킨다.
상기와 같이 건조를 마친 분쇄 혼합물은 지-밀 또는 나노-밀을 이용하여 나노 파우더(D50:0.2~1.0㎛ 이하)로 가공하고 선별하여 상기 제1 단계의 원료로서 제공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나노파우더는 입도의 균일성, 응집성을 얻으며, 이를 함유하는 도료를 이용할 경우에, 피도체의 구분 없이 1차로 도막에 침투하고, 2차로 피막을 형성하며, 강력한 접착력 등 소비자가 원하는 도료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단계로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0.1~4 중량%를 혼합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최종 도료조성물내 함유되는 도료 입자의 평균입자경은 0.2~1 ㎛ 인 것이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를 최적화함에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하기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료의 제조
수성계 EVA 수지 24 중량%, 이온교환수 22 중량%, 탄산칼슘 31 중량%, 이산화티탄 4 중량%, 산화철 1 중량%를 교반기에 넣고, 평균입경이 0.2 내지 1.0㎛인 분쇄 혼합물(분쇄 혼합물 100중량%에 대하여 모려각 분쇄물 80중량% 및 미네랄로 산화알루미늄 5중량%, 산화칼륨 5중량%, 산화마그네슘 5중량%, 탄산칼슘 5중량% 함유) 14 중량%를 혼합하고, 액상 바인더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VA-205, 쿠라레이사 제품)을 전체 도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로 투입하면서 250 rpm으로 120분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다중벽 나노튜브(Multi-wall Nanotube, CM-100) 4 중량%를 첨가하면서 200~250rpm으로 50분간 교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도료의 제조
수성계 EVA 수지 20 중량%, 이온교환수 20 중량%, 탄산칼슘 31 중량%, 이산화티탄 4 중량%, 산화철 1 중량%를 교반기에 넣고, 평균입경이 0.2 내지 1.0㎛인 분쇄 혼합물(분쇄 혼합물 100중량%에 대하여 모려각 분쇄물 80중량% 및 미네랄로 산화알루미늄 5중량%, 산화칼륨 5중량%, 산화마그네슘 5중량%, 탄산칼슘 5중량% 함유) 20 중량%를 혼합하고, 액상 바인더로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205, 쿠라레이사 제품)을 전체 도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로 투입하면서 250 rpm으로 50분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다중벽 나노튜브(Multi-wall Nanotube, CM-100) 4 중량%를 첨가하면서 200~250 rpm으로 50분간 교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하여 얻어진 도료를 이용하여 실시한 제반 특성의 측정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 항목 단 위 시료구분 결과치 시 험 방 법
VOCs % 0.031 ISO 11890-2:2006(GC/FID)
톨루엔 mg/kg 검출안됨 US EPA 5021 : 1996
포름알데히드 mg/kg 검출안됨 US EPA 8315 A : 1996(HPLC)
상기 실험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은 휘발성 화합물이나 독성물질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도료조성물을 아파트 내부 벽지에 적용하여 층간소음 저감정도를 충격음 저감특성은 경량충격음 발생장치인 태핑머신을 이용하여 KS F 2810의 방법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비교예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료가 아닌 일반도료 (A사 제품)를 적용한 것으로 하였다.
구분 125Hz 500Hz 2000Hz
실시예 1 30 30 26
실시예 2 31 31 28
비교예 1 65 68 68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은 단순히 벽지에 도포하는 간단한 시공방법에 의해서 아파트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모려각 분쇄물 50~96 중량%, 및 산화알루미늄, 산화칼륨, 산화마그네슘 및 탄산칼슘의 분쇄물을 각각 1~20 중량%를 포함하는 미네랄 분쇄물로 이루어진 분쇄 혼합물 0.1~20 중량%; 수성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20~30 중량%; 이온교환수 20~30 중량%; 탄산칼슘 25~40 중량%; 이산화티탄 2~4 중량%; 산화철 0.1~1 중량%; 및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0.1~4 중량%를 포함하는 도료가 코팅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건축용 벽지.
  2. 제 1항에 있어서,
    도료의 평균 입자경이 0.2~1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건축용 벽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는 수성계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건축용 벽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는
    (1) 수성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이온교환수,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산화철을 혼합교반기에 투입하고, 여기에 1500℃ 내지 1600 ℃에서 가공한 모려각 분쇄물, 및 1100 ℃ 내지 1120 ℃에서 가공한 산화알루미늄, 산화칼륨, 산화마그네슘 및 탄산칼슘의 분쇄물을 포함하는 미네랄 분쇄물로 이루어진 분쇄 혼합물을 혼합하는 제1 단계; 및
    (2) 상기 제1 단계의 혼합물에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투입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건축용 벽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는 1500℃ 내지 1600 ℃에서 가공한 모려각 분쇄물 50~96 중량%, 및 1100 ℃ 내지 1120 ℃에서 가공한 산화알루미늄, 산화칼륨, 산화마그네슘 및 탄산칼슘의 분쇄물을 각각 1~20 중량%를 포함하는 미네랄 분쇄물로 이루어진 분쇄 혼합물 0.1~20 중량%; 수성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20~30 중량%; 이온교환수 20~30 중량%; 탄산칼슘 25~40 중량%; 이산화티탄 2~4 중량%; 산화철 0.1~1 중량%; 및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0.1~4 중량%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건축용 벽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는 수성계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건축용 벽지.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혼합물이
    1) 증류수를 이용한 세척과정,
    2) 볼밀을 이용한 습식분쇄과정,
    3) 전기건조로를 이용한 건조과정,
    4) 지-밀(Z-Mill) 또는 나노-밀(Nano-Mill)을 이용한 건식분쇄 과정에 의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건축용 벽지.
KR1020110006904A 2011-01-24 2011-01-24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벽지 KR101267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904A KR101267577B1 (ko) 2011-01-24 2011-01-24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904A KR101267577B1 (ko) 2011-01-24 2011-01-24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벽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526A KR20120085526A (ko) 2012-08-01
KR101267577B1 true KR101267577B1 (ko) 2013-06-21

Family

ID=4687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904A KR101267577B1 (ko) 2011-01-24 2011-01-24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5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618B1 (ko) 2005-11-30 2007-11-28 스카이코팅 주식회사 난반사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과 이 조성물을 사용한물품
KR20090118606A (ko) * 2008-05-14 2009-11-18 이창헌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함유 도전성 코팅재 조성물
KR20100001060A (ko) * 2008-06-26 2010-01-06 주식회사 거북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벽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618B1 (ko) 2005-11-30 2007-11-28 스카이코팅 주식회사 난반사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과 이 조성물을 사용한물품
KR20090118606A (ko) * 2008-05-14 2009-11-18 이창헌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함유 도전성 코팅재 조성물
KR20100001060A (ko) * 2008-06-26 2010-01-06 주식회사 거북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벽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526A (ko)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8501B2 (en) Composite material of inorganic nonmetallic mineral loaded with titania layer, preparation process and use thereof
KR101925220B1 (ko) Mma 수지를 포함하는 방수, 방식, 중성화 방지용 친환경 바닥재 조성물 및 그 시공 방법
EP0963358A1 (de) Mehrschichtige verbundmaterialien, die mindestens eine aerogelhaltige schicht und mindestens eine weitere schicht aufweis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KR102158443B1 (ko) 흡방습 기능을 갖는 친환경 무기질 도료 조성물,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EP2948503A2 (de) Neuartiges anorganisches, halogenfreies flammschutzmittel auf basis von chemisch modifiziertem rekarbonisiertem rotschlamm
KR20180031544A (ko) 라돈가스 흡착용 난연 활성탄 슬러리 및 그 성형제품
CN109354964A (zh) 一种复合型建筑保温涂料及其制备方法
KR101267576B1 (ko)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KR101742918B1 (ko)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
KR101283575B1 (ko)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방음재
KR100521694B1 (ko) 발포 폴리스티렌 폐재를 이용한 단열,흡음,충격음방지재및 그 제조방법.
KR101054068B1 (ko) 다공성 알루미나를 함유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도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4067B1 (ko)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도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67577B1 (ko)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벽지
TWI538967B (zh) Nano - Anion Functional Water - in - Water Interior Wall Coating and Its Preparation
KR100946841B1 (ko) 기능성 무기 도료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가구 판재의제조방법
KR101267575B1 (ko)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단열재
KR100994787B1 (ko) 활성탄소섬유를 함유하는 규조토계 벽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규조토계 벽마감재
KR101641998B1 (ko) 친환경 기능성 건축마감재 조성물이 구비된 경량 콘크리트패널, 및 상기 경량 콘크리트패널이 이중으로 배치된 마감패널
KR101282375B1 (ko)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니들펀칭 부직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2907854A1 (en) Filler composition for use as repair material
CN106317492A (zh) 一种抗静电塑木地板
KR101282377B1 (ko) 다공성 알루미나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니들펀칭 부직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23534A (ko) 세라믹을 함유한 친환경 바닥재
CN101508550A (zh) 凹凸棒内墙水泥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