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918B1 -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918B1
KR101742918B1 KR1020160132127A KR20160132127A KR101742918B1 KR 101742918 B1 KR101742918 B1 KR 101742918B1 KR 1020160132127 A KR1020160132127 A KR 1020160132127A KR 20160132127 A KR20160132127 A KR 20160132127A KR 101742918 B1 KR101742918 B1 KR 101742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ixture
composition
diatomaceous earth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묵
송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성이엔지
송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성이엔지, 송희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132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2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alkali metal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2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alkali metal silicates
    • C09D1/04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alkali metal silicates with 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09D7/002
    • C09D7/007
    • C09D7/1216
    • C09D7/1283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1Organic pigments; Organic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3Thicken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바인더 40 내지 60 중량% 및 도료 혼합물 4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및 제2 바인더 40 내지 60 중량% 및 코트 혼합물 4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코트 조성물;을 중량비 40:60 내지 60:40로 포함한 총 100 중량부에 대해 증점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용 마감재로서 유해물질을 흡착·분해, 탈취, 습도조절, 항균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하면서 원적외선 방출성을 가짐으로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COMPOSITE OF ENVIRONMENT-FRIENDLY DIATOMITE FINISHING MATERIAL,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SPARYING METHOD FOR FINISHING TREATMENT OF THE USING THE COMPOSITE}
본 발명은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용 마감재로서 유해물질을 흡착·분해, 탈취, 습도조절, 항균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하면서 원적외선 방출성을 가짐으로써 공기를 정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축되는 건물에서 냉난방 효율을 강화하기 위하여 실내의 공기 기밀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기밀성 높은 공간에서는, 자연 환기가 원활하지 않아 실내에 먼지가 쌓이게 되고, 습기가 배출되지 않아 각종 균, 곰팡이, 진드기 등이 증식하기 쉽다. 이러한 것들은 아토피성 피부염,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등과 같은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각종 건축 자재, 도료 또는 가구류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과 가구류의 제나시공에 사용되는 접착제로부터 포름알데이드, 포르말린, 크실렌, 톨루엔 등의 휘발성 유기 화학 물질(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이 다량 배출되는데, 환기가 용이하지 않아 실외로 배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휘발성 유기 화학 물질(VOC)은 눈이나 목 등에 통증을 주거나 알레르기를 일으킨다. 또한 공간의 기밀성과 환기 문제로 인해 습도조절 및 냄새제거가 잘 되지 않아 곰팡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곰팡이류는 비염, 천식 등의 환경성 질병을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등의 환경오염물질을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 원적외선 방출이나 음이온 배출성 등을 가져 쾌적한 생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기능성을 가진 마감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907046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내부용 마감재로서 유해물질을 흡착·분해, 탈취, 습도조절, 항균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하면서 원적외선 방출성을 가짐으로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바인더 40 내지 60 중량% 및 도료 혼합물 4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및 제2 바인더 40 내지 60 중량% 및 코트 혼합물 4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코트 조성물;을 중량비 40:60 내지 60:40로 포함한 총 100 중량부에 대해 증점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또는 제2 바인더는 각각 상기 제1 또는 제2 바인더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실리케이트 수용액 10 내지 40 중량%, 재유화형 분산수지 20 내지 50 중량%,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 및 물 25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도료 혼합물은 상기 도료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규조토 50 내지 80 중량%, 탄산칼슘 1 내지 25 중량%, 활석 5 내지 25 중량%, 이산화티타늄 1 내지 20 중량%, 천연 증점제 1 내지 15 중량%, 안료 분산제 1 내지 10 중량%, 유동화제 1 내지 10 중량% 및 소포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코트 혼합물은 상기 코트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규조토 50 내지 85 중량%, 활석 10 내지 40 중량%, 천연 증점제 1 내지 15 중량%, 셀룰로오스 섬유 1 내지 20 중량% 및 소포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용 마감재로서 유해물질을 흡착·분해, 탈취, 습도조절, 항균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하면서 원적외선 방출성을 가짐으로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은 제1 바인더 40 내지 60 중량% 및 도료 혼합물 4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및 제2 바인더 40 내지 60 중량% 및 코트 혼합물 4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코트 조성물;을 중량비 40:60 내지 60:40로 포함한 총 100 중량부에 대해 증점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또는 제2 바인더는 각각 상기 제1 또는 제2 바인더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실리케이트 수용액 10 내지 40 중량%, 재유화형 분산수지 20 내지 50 중량%,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 및 물 25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도료 혼합물은 상기 도료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규조토 50 내지 80 중량%, 탄산칼슘 1 내지 25 중량%, 활석 5 내지 25 중량%, 이산화티타늄 1 내지 20 중량%, 천연 증점제 1 내지 15 중량%, 안료 분산제 1 내지 10 중량%, 유동화제 1 내지 10 중량% 및 소포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코트 혼합물은 상기 코트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규조토 50 내지 85 중량%, 활석 10 내지 40 중량%, 천연 증점제 1 내지 15 중량%, 셀룰로오스 섬유 1 내지 20 중량% 및 소포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범위 내에서 내부용 마감재로서 유해물질을 흡착·분해, 탈취, 습도조절, 항균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하면서 원적외선 방출성을 가짐으로써 공기를 정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바인더와 제2 바인더는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도료 조성물 및 상기 코트 조성물은 일례로 중량비 40:60 내지 60:40, 또는 45:55 내지 55:45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표면상태 및 표면경도가 우수하고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리케이트 수용액
상기 실리케이트 수용액 일례로 상기 제1 또는 제2 바인더 각각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 또는 20 내지 30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마감재의 표면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실리케이트 수용액은 일례로 리튬실리케이트 수용액, 소듐실리케이트 수용액 및 포타슘실리케이트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리튬실리케이트일 수 있고, 이 경우에 표면강도 및 물성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리듐실리케이트 수용액은 일례로 Li2O와 SiO2의 몰비가 1: 4.5∼5.0이고, 리듐실리케이트 고형분 함량이 10 내지 40 중량%, 15 내지 30 중량%, 또는 20 내지 25 중량%으로 용해된 수용액일 수 있고, 이 경우에 표면강도 및 물성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재유화형 분산수지
상기 재유화형 분산수지는 일례로 상기 제1 또는 제2 바인더 각각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20 내지 50 중량%, 25 내지 45 중량%, 또는 30 내지 40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부착력 및 혼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재유화형 분산수지는 일례로 아크릴계,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폴리비닐아세테이트-비닐카복시레이트(VaVeoVa) 및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이고, 이 경우에 부착력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아크릴계 재유화형 분산수지는 일례로 검화도가 85 내지 99.5몰% 및 평균 중합도가 200 내지 1000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유화제로 하여 아크릴계 모노머와 관능성 모노머를 유화중합하고 건조하여 수득한 평균 입경 0.1 내지 4.0㎛, 또는 0.2 내지 2.0㎛인 아크릴계 합성수지 에멜젼 분말 수지일 수 있고, 이 경우에 페인트의 접착력 및 도료 혼합물과의 혼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아크릴계 재유화형 분산수지는 일례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100 중량부에 아크릴계 재유화형 수지 50 내지 80 중량부, 55 내지 75 중량부, 또는 60 내지 70 중량부 분산된 수지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부착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에서 평균중합도는 ASTM D1 243-79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평균입경은 평균입경은 일례로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일례로 상기 제1 또는 제2 바인더 각각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 또는 2 내지 4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물성을 유지하면서 분산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일례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고, 이 경우에 물성을 유지하면서 분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은 일례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아미드 및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경우에 물성을 유지하면서 분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폴리올은 일례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경우에 물성을 유지하면서 분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물은 일례로 상기 제1 또는 제2 바인더 각각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25 내지 60 중량%, 30 내지 50 중량%, 또는 35 내지 45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바인더를 반응시킬 때 교반이 용이하고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규조토
상기 도료 혼합물 내 상기 규조토는 일례로 상기 도료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50 내지 80 중량%, 55 내지 75 중량%, 또는 60 내지 70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탈습, 조습 및 혼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도료 혼합물 내의 규조토는 일례로 150 내지 300 메쉬(mesh), 또는 200 내지 250 메쉬로 분리하여 분리된 무게가 95 중량% 이상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탈습, 조습 및 혼합성이 우수하면서 외관이 매끄럽고 표면경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코트 혼합물 내 상기 규조토는 일례로 상기 코트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50 내지 85 중량%, 55 내지 80 중량%, 또는 60 내지 75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이 범위 내에서 탈습, 조습 및 혼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코트 혼합물 내의 규조토는 일례로 150 내지 300 메쉬(mesh), 또는 200 내지 250 메쉬로 분리하여 분리된 무게가 95 중량% 이상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분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규조토는 일례로 단세포 프랑크로 규조류의 화석으로 숯보다 5천에서 6천배의 초 다공성, 초 미세구조를 가진 가벼운 광물로 왕성한 흡·함습성을 가지며, 탈취성능이 탁월한 광물질일 수 있다.
상기 규조토는 바람직하게는 융제 소성품(flux calcined) 규조토일 수 있고, 상기 융제 소성품(flux calcined)은 일례로 고품질 자연건조된 규조토에 탄산나트륨(Na2CO3) 융제(flux)를 추가 하여 800 내지 1,200℃의 회전로로 소성하여 불순 유기물이나 탄소 등의 막힘 물질을 연소시켜 제조하며 백색도가 95% 이상일 수 있다.
본 기재에서 백색도는 KS L 5204에 의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탄산칼슘
상기 탄산칼슘은 일례로 상기 도료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25 중량%, 5 내지 20 중량%, 또는 7 내지 15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마감재의 은폐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탄산칼슘은 일례로 평균입경이 1 내지 3㎛, 또는 1.5 내지 2.5㎛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바인더와의 분산성 및 마감재의 은폐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활석
상기 도료 혼합물 내 상기 활석은 일례로 상기 도료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5 내지 25 중량%, 10 내지 20 중량%, 또는 15 내지 20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붓칠 또는 룰러 등의 작업을 부드럽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코트 혼합물 내 상기 활석은 일례로 상기 코트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 15 내지 35 중량%, 또는 20 내지 30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붓칠 또는 룰러 등의 작업을 부드럽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활석은 일례로 감람석 등 규산마그네슘 광물이 변성작용 받아 생산된 2차 변성 광물로 미세한 판상의 결정이 치밀하게 뭉친 괴상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활석은 일례로 평균 입경이 3 내지 10㎛, 또는 5 내지 7㎛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분산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산화티타늄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일례로 상기 도료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 또는 2 내지 10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마감재의 은폐력 및 착색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일례로 백색안료로 가능할 수 있고, 이 경우에 발색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천연 증점제
상기 도료 혼합물 내 상기 천연 증점제는 일례로 상기 도료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 또는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점도 및 흐름성을 향상시켜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코트 혼합물 내 상기 천연 증점제는 일례로 상기 코트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 또는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점도 및 흐름성을 향상시켜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천연 증점제는 일례로 카올린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점도 및 흐름성 및 항균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카올린(Kaolin)은 고릉토, 또는 백도토(白陶土: china clay)라고도 불리며, 그 주성분은 카올리나이트(Al2O3·2SiO2·2H2O)와 할로이사이트(Al2O3·SiO2·4H2O)로 바위 속에 있는 장석, 정장석, 소다 장석 및 회장석 같은 장석류가 탄산 또는 물에 의해 화학적으로 분해되는 풍화에 의해 생성된다.
상기 카올린은 본 발명에 적용시 특히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가 뛰어나고, 암모니아수의 탈취율이 높으며, 열전도율과 원적외선 복사율 및 강도가 뛰어나며, 광택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 카올린은 일례로 판상형 카올린으로서 2㎛ 이하 크기의 입자가 카올린 전체 중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일 수 있고, 이 경우에 탈취율 및 항균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안료 분산제
상기 안료 분산제는 일례로 상기 도료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또는 1 내지 5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안료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안료 슬러리의 점도를 낮추며 이색을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분산제는 일례로 폴리카르복실산계의 분산제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폴리카르복실산 소다염, 폴리카르복실산 암모늄염, 폴리카르복실산 아민염, 폴리카르복실산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안료 분산이 우수하고 안료 슬러리의 점도를 낮추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안료 분산제에 일례로 가교된 폴리카르복실산계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된 폴리카르복실산계 공중합체는 상기 도료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 또는 0.5 내지 1.5 중량%로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분산성이 더욱 우수하고 물성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가교된 폴리카르복실산계 공중합체는 일례로 공중합체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50 내지 97.5 중량%, (메타)아크릴산계 단량체 1 내지 48.5 중량% 및 5 내지 20개의 알킬렌옥사이드기를 함유하고, 2개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비닐기를 가지는 가교제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분산성 및 물성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유동화제
상기 유동화제는 일례로 상기 도료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또는 1 내지 5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페인트의 유동성이 우수하여 작업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동화제는 일례로 멜라민계, 나프탈렌계 및 리그닌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1인 멜라민계 유동화제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유동성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소포제
상기 도료 혼합물 내 상기 소포제는 일례로 상기 도료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또는 1 내지 5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기포 발생을 억제하고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코트 혼합물 내 상기 소포제는 일례로 상기 코트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또는 1 내지 5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기포 발생을 억제하고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소포제는 일례로 폴리에테르계, 실리카실리콘계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계 분말 소포제로 1% 수용액에서 pH가 10 이상, 또는 10 내지 12인 것이 기포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상기 도료 혼합물은 일례로 상기 도료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안료 0.1 내지 10 중량%, 또는 1 내지 7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안료의 발색성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안료는 일례로 무기안료일 수 있고, 상기 무기안료는 통상적으로 페인트에 적용 가능한 무기 안료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카본블랙, 산화물, 크롬산염, 황화물, 산화물, 페르시안화물, 규산염, 또는 인삼염일 수 있다.
셀룰로오스 섬유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상기 코트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 또는 5 내지 15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이 범위 내에서 크랙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일례로 다년생 식물에서 뽑아낸 천연섬유로, 바람직하게는 섬유길이가 70∼120㎛, 80∼100㎛, 또는 85∼95㎛이고, 이 범위 내에서 유동성 및 혼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증점제
상기 증점제는 일례로 도료 조성물 및 코트 조성물의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또는 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점도 상승 효과가 우수하면서 물성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증점제는 일례로 메셀로스(Mecellose)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친환경적이면서 점도 상승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메셀로스는 친환경적 소재로 목재, 면화에서 얻어진 셀룰로오스(Cellulose)를 원료이며 셀룰로오스(Cellulose)는 분자간 수소 결합으로 인해 30~65%의 결정성을 갖는 불용성의 천연 고분자로, 물에 녹지 않는 셀룰로오스는 에테르화 반응(Etherification)을 통하여 셀룰로오스 에테르(Cellulose ether)라는 물에 녹는 수용성 고분자, 메셀로스(Mecellose), 헤셀로스(Hecellose)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는 일례로 점도가 10,000 내지 30,000cps, 또는 15,000 내지 25,000cps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작업성이 용이하고 표면경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점도는 브룩 필드(Brook Field) 점도계(DV Type, S1, 100rpm, 25)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제1 또는 제2 바인더를 준비하는 단계; 도료 혼합물을 프리믹스 형태로 준비하는 단계; 코트 혼합물을 프리믹스 형태로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한 제1 바인더 40 내지 60 중량%를 바스켓 밀(basket mill)에 넣고 여기에 상기 프리믹스 형태의 도료 혼합물 40 내지 60 중량%를 분할 또는 연속 투입하면서 교반 및 분쇄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준비한 제2 바인더 40 내지 60 중량% 및 상기 프리믹스 형태의 코트 혼합물 40 내지 60 중량%를 혼합하여 코트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도료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 및 코트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해 증점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친환경 마감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또는 제2 바인더는 각각 상기 제1 또는 제2 바인더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실리케이트 수용액 10 내지 40 중량%, 재유화형 분산수지 20 내지 50 중량%,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 및 물 25 내지 60 중량%이며, 상기 도료 혼합물은 상기 도료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규조토 50 내지 80 중량%, 탄산칼슘 1 내지 25 중량%, 활석 5 내지 25 중량%, 이산화티타늄 1 내지 20 중량%, 천연 증점제 1 내지 15 중량%, 안료 분산제 1 내지 10 중량%, 유동화제 1 내지 10 중량% 및 소포제 1 내지 10 중량%이고, 상기 코트 혼합물은 상기 코트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규조토 50 내지 85 중량%, 활석 10 내지 40 중량%, 천연 증점제 1 내지 15 중량%, 셀룰로오스 섬유 1 내지 20 중량% 및 소포제 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프리믹스 타입이란 분말의 원료를 균일하게 섞은 혼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도료 혼합물 및 상기 코트 혼합물은 일례로 리본 믹서기에서 프리믹스 형태로 제조할 수 있고, 이 경우에 분산성 및 혼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교반 및 분쇄한 도료 조성물 내 규조토는 일례로 평균입경이 0.5 내지 2㎛, 1.0 내지 2㎛, 또는 1.3 내지 1.7 ㎛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이 범위 내에서 탈습, 조습 및 혼합성이 우수하면서 외관이 매끄럽고 표면경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코트 혼합물 내의 규조토는 일례로 150 내지 300 메쉬(mesh), 또는 200 내지 250 메쉬로 분리하여 분리된 무게가 95 중량% 이상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분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바인더를 준비하는 단계는 일례로 반응기 온도 40 내지 70 ℃, 또는 50 내지 60 ℃; 교반속도 70 내지 200ppm, 또는 100 내지 150 rpm; 5 내지 10시간 또는 6 내지 8 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분산성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교반 및 분쇄는 일례로 프리믹스 형태의 도료 혼합물을 바스켓 밀에 40 내지 60분 동안 분할 또는 연속 투입하면서 교반속도를 150 내지 250 rpm에서 1400 내지 1600 rpm로 상승시키면서 진행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도료 혼합물과 바인더의 혼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코트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일례로 액상 리본 믹서기에서 교반속도 50 내지 70rpm에서 30 내지 40분 동안 혼합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코트 혼합물과 바인더의 혼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제조단계에서 도료 조성물과 코트 조성물의 혼련은 일례로 리본 믹서기에서 교반속도 50 내지 70rpm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실시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도료 조성물과 코트 조성물의 혼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뿜칠 시공방법은 일례로 기재 표면의 불순물, 레이턴스 또는 열화된 부위를 핸드워터 젯 또는 고압수 세척기로 제거하는 단계; 제거된 부위에 상기의 마감재 조성물을 뿜칠 장비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단계; 및 시공된 결과물을 표면 마무리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외관이 미려하고 내부용 마감재로서 유해물질을 흡착·분해, 탈취, 습도조절, 항균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하면서 원적외선 방출성을 가짐으로써 공기를 정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기재는 일례로 건축물 내부의 바닥 또는 벽면일 수 있고, 상기 바닥 또는 벽면은 일례로 강판,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유해물질을 흡착·분해, 탈취, 습도조절, 항균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하면서 원적외선 방출성을 가짐으로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뿜칠 장비로 시공하는 단계는 일례로 도막 두께 1 내지 6mm, 또는 1 내지 3 mm로 시공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유해물질의 흡착·분해, 탈취, 습도조절, 항균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양생하는 단계는 일례로 1.5 내지 3.5시간, 또는 2시간 내지 2.5시간 동안 초결이 진행되고, 이후 최대 24시간, 또는 20 내지 24시간 이내 종결된다.
상기 용어 "초결"은 손에 페인트가 묻어나지 정도로 마른 단계이고, 상기 용어 "종결"은 내수성이 부여된 단계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제1 또는 제2 바인더 제조 단계
35 중량% 농도의 리튬 실리케이트 수용액 25 중량%, 60 중량% 농도의 재유화형 분산수지 35 중량%, 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3 중량% 및 물 37 중량%를 반응기에서 60℃에서 120rpm으로 5시간 동안 혼합시켰다.
도료 혼합물 제조 단계
150 내지 300 메쉬(mesh)로 분리하여 분리된 무게가 95 중량% 이상 인 융제 소성품 규조토 60 중량%, 평균입경 2㎛인 탄산칼슘 10 중량%, 평균입경 6㎛인 활석 15 중량%, 이산화티타늄 5 중량%, 천연 증점제로 카올린 3 중량%, 안료 분산제로 폴리카르복신산계의 분산제 2 중량%, 유동화제로 pH 9 내지 11인 멜라민계 유동화제 2 중량% 및 소포제로 폴리에테르계 분말 3 중량%를 파우다 교반기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프리믹스(premix) 타입으로 준비하였다.
코트 혼합물 제조 단계
150 내지 300 메쉬(mesh)로 분리하여 분리된 무게가 95 중량% 이상 인 융제 소성품 규조토 60 중량%, 평균입경 6㎛인 활석 24 중량%, 천연 증점제로 카올린 3 중량%, 셀룰로오스 섬유 10 중량% 및 소포제 폴리에테르계 분말 3 중량%를 액상 리본 믹서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프리믹스(premix) 타입으로 준비하였다.
도료 조성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제1 바인더 45 중량%를 바스겟 밀에 투입하고 속도 200ppm에서 상기 프리믹스 형태로 제조된 도료 혼합물 55 중량%를 1시간 동안에 연속적으로 투입하면서 교반속도를 1500rpm까지 일정하게 상승시키면서 교반 및 분쇄하였다. 교반 및 분쇄한 규조토는 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평균입경이 1.5 내지 2㎛이었다.
코트 조성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제2 바인더 40 중량% 및 코트 혼합물 60 중량%를 리본 믹서기에 투입하고 교반속도 60rpm에서 30 내지 40분 동안 혼합하였다.
도료 조성물 및 코트 조성물 혼합 단계
상기 도료 조성물 50 중량% 및 코트 조성물 50 중량%를 리본 믹서기에 투입하여 교반속도 60rpm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면서 상기 도료 조성물 및 코트 조성물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해 증점제로 메셀로스 3 중량부를 투입하여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는 브룩 필드(Brook Field) 점도계(DV Type, S1, 100rpm, 25)로 측정한 절대점도(단위: cps)가 20,000cps였다.
실시예 2
제1 또는 제2 바인더 준비하는 단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준비하였다.
도료 혼합물 제조 단계
150 내지 300 메쉬(mesh)로 분리하여 분리된 무게가 95 중량% 이상 인 융제 소성품 규조토 60 중량%, 평균입경 2㎛인 탄산칼슘 10 중량%, 평균입경 6㎛인 활석 15 중량%, 이산화티타늄 5 중량%, 천연 증점제로 카올린 3 중량%, 안료 분산제로 폴리카르복신산계의 분산제 1.5 중량%, 가교된 폴리카르복실산계 공중합체(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70 중량%, (메타)아크릴산계 단량체 25 중량% 및 5 내지 20개의 알킬렌옥사이드기를 함유하고, 2개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비닐기를 가지는 가교제 5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 0.5 중량%, 유동화제로 pH 9 내지 11인 멜라민계 유동화제 2 중량% 및 소포제로 폴리에테르계 분말 3 중량%를 파우다 교반기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프리믹스(premix) 타입으로 준비하였다.
코트 혼합물 제조 단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준비하였다.
도료 조성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제1 바인더 45 중량%를 바스겟 밀에 투입하고 속도 200ppm에서 상기 프리믹스 형태로 제조된 도료 혼합물 55 중량%를 1시간 동안에 연속적으로 투입하면서 교반속도를 1500rpm까지 일정하게 상승시키켠서 교반 및 분쇄하였다. 교반 및 분쇄한 규조토는 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평균입경이 1.5 내지 2㎛이었다.
코트 조성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제2 바인더 40 중량% 및 코트 혼합물 60 중량%를 리본 믹서기에 투입하고 교반속도 60rpm에서 30 내지 40분 동안 혼합하였다.
도료 조성물 및 코트 조성물 혼합 단계
상기 도료 조성물 50 중량% 및 코트 조성물 50 중량%를 리본 믹서기에 투입하여 교반속도 60rpm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면서 상기 도료 조성물 및 코트 조성물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해 증점제로 메셀로스 3 중량부를 투입하여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는 Brook Field 점도계(DV Type, S1, 100rpm, 25)로 측정한 절대점도(단위: cps)가 20,000cps였다.
[실험예]
[실험 1]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의 환경 유해성 검출을 한국공기청정협회에서 측정 후 발행한 친환경건축자재 시험성적서 내 표기된 시험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시험항목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시험방법
방출강도 방출강도
오염물질
방출량 시험
(mg/m2·h)
TVOC trace* trace* 소형 챔버법
(한국공기청정협회
단체 물질 인증규격)
5VOCs / 톨루엔 trace* / 0.000 trace* / 0.000
HCHO trace* trace*
CH3CHO trace* trace*
*trace: TVOC 0.02(mg/m2·h)미만, HCHO 0.005(mg/m2·h) 미만, CH3CHO 0.005(mg/m2·h) 미만, 5VOCs 0.002(mg/m2·h) 미만
*5VOCs: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스티렌의 합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인 실시예 1 및 2는 건축자재 오염물 방출량 측면에서도 TVOC, 5VOCs, HCHO가 모두 흔적량(trace)로서 친환경 제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2]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의 기능성을 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측정 후 발행한 시험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고
탈취(%) 암모니아 99.6 99.7
포름알데히드 85.0 87.0
항균(%) 대장균 99.9 99.9
녹노균 99.9 99.9
황색포도상구균 99.9 99.9
항곰팡이 0등급 0등급 21시간 배양
원적외선 방사율 0.92 0.94 5~20㎛
음이온 방출량 958 962 ION/cc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인 실시예 1 및 2는 탈취, 항균, 항곰팡이 우수하고 원적외선·음이온 방출량 및 흡수량이 우수하여 실내에 쾌적한 환경을 조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도료 조성물 및 코팅 조성물의 혼합비를 하기 표 3와 같이 달리하여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의 제조하여 작업성, 표면상태, 표면경도 및 탈취율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시험결과를 하기 표 3에 정리하였다.
- 작업성: 뿜칠 시공시 작업의 용이성을 우수, 양호 및 나쁨으로 평가하였다.
- 표면상태: 뿜칠 시공 및 양생 후 표면의 크랙이나 요철 발생 여부로 표면 상태를 우수, 양호 및 나쁨으로 평가하였다.
- 표면경도: 뿜칠 시공 및 양생 후 스카치 테이프로 단단히 붙인 후떼어냈을 때 마감재가 묻어나는 정도를 평가하여 우수, 양호 및 나쁨으로 평가하였다.
- 탈취율(%): 건설생활환경 시험연구원에서 측정하였다.
구분 도료
조성물
(중량%)
코트
조성물
(중량%)
작업성 표면상태 표면경도 탈취율(%)
암모니아 포름
알데히드
참조예1 0 100 나쁨 나쁨 나쁨 99,9% 90.0%
실시예1-1 40 60 양호 양호 양호 99.9% 87.0%
실시예1-2 60 400 양호 우수 우수 98.0% 82.0%
실시예1-3 50 50 우수 우수 우수 99.6% 85.0%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는 도료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 및 코트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작업성, 표면상태 및 표면경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암모니아와 포름알데히드의 탈취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26)

  1. 제1 바인더 40 내지 60 중량% 및 도료 혼합물 4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및
    제2 바인더 40 내지 60 중량% 및 코트 혼합물 4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코트 조성물;을 중량비 40:60 내지 60:40로 포함한 총 100 중량부에 대해 증점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또는 제2 바인더는 각각 상기 제1 또는 제2 바인더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실리케이트 수용액 10 내지 40 중량%, 재유화형 분산수지 20 내지 50 중량%,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 및 물 25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도료 혼합물은 상기 도료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규조토 50 내지 80 중량%, 탄산칼슘 1 내지 25 중량%, 활석 5 내지 25 중량%, 이산화티타늄 1 내지 20 중량%, 천연 증점제 1 내지 15 중량%, 안료 분산제 1 내지 10 중량%, 유동화제 1 내지 10 중량% 및 소포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코트 혼합물은 상기 코트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규조토 50 내지 85 중량%, 활석 10 내지 40 중량%, 천연 증점제 1 내지 15 중량%, 셀룰로오스 섬유 1 내지 20 중량% 및 소포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케이트 수용액은 리튬실리케이트 수용액, 소듐실리케이트 수용액 및 포타슘실리케이트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케이트 수용액은 Li2O와 SiO2의 몰비가 1:4.5~5.0이고 고형분 함량이 10 내지 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유화형 분산수지는 아크릴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폴리비닐아세테이트-비닐카복시레이트(VaVeoVa) 및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혼합물 내의 규조토는 150 내지 300 메쉬(mesh)로 분리하여 분리된 무게가 95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트 혼합물 내의 규조토는 150 내지 300 메쉬(mesh)로 분리하여 분리된 무게가 95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칼슘은 평균입경 1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석은 평균입경 3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증점제는 카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분산제는 폴리카르복실산계의 분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화제는 멜라민계, 나프탈렌계 및 리그닌계 유동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는 폴리에테르계 소포제, 실리카실리콘계 소포제 또는 이들의 혼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14. 삭제
  15. 제1 또는 제2 바인더를 준비하는 단계;
    도료 혼합물을 프리믹스 형태로 준비하는 단계;
    코트 혼합물을 프리믹스 형태로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한 제1 바인더 40 내지 60 중량%를 바스켓 밀(basket mill)에 넣고 여기에 상기 프리믹스 형태의 도료 혼합물 40 내지 60 중량%를 분할 또는 연속 투입하면서 교반 및 분쇄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준비한 제2 바인더 40 내지 60 중량% 및 상기 프리믹스 형태의 코트 혼합물 40 내지 60 중량%를 혼합하여 코트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도료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 및 코트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해 증점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친환경 마감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또는 제2 바인더는 각각 상기 제1 또는 제2 바인더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실리케이트 수용액 10 내지 40 중량%, 재유화형 분산수지 20 내지 50 중량%,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 및 물 25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도료 혼합물은 상기 도료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규조토 50 내지 80 중량%, 탄산칼슘 1 내지 25 중량%, 활석 5 내지 25 중량%, 이산화티타늄 1 내지 20 중량%, 천연 증점제 1 내지 15 중량%, 안료 분산제 1 내지 10 중량%, 유동화제 1 내지 10 중량% 및 소포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코트 혼합물은 상기 코트 혼합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규조토 50 내지 85 중량%, 활석 10 내지 40 중량%, 천연 증점제 1 내지 15 중량%, 셀룰로오스 섬유 1 내지 20 중량% 및 소포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혼합물 및 상기 코트 혼합물은 리본 믹서기에서 프리믹스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및 분쇄한 도료 조성물 내 규조토는 평균입경이 0.5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코트 혼합물 내의 규조토는 150 내지 300 메쉬(mesh)로 분리하여 분리된 무게가 95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바인더를 준비하는 단계는 반응기 온도 40 내지 70 ℃ 및 교반속도 70 내지 200ppm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교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조성물 제조단계에서 교반 및 분쇄는 프리믹스 형태의 도료 혼합물을 바스켓 밀에 40 내지 60분 동안 분할 또는 연속 투입하면서 교반속도를 150 내지 250 rpm에서 1400 내지 1600 rpm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코트 조성물 제조단계는 액상 리본 믹서기에서 교반속도 50 내지 70rpm에서 30 내지 40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제조단계에서 도료 조성물과 코트 조성물의 혼련은 리본 믹서기에서 교반속도 50 내지 70rpm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23.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는 점도가 10,000 내지 30,0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25. 기재 표면의 불순물, 레이턴스 또는 열화된 부위를 핸드워터 젯 또는 고압수 세척기로 제거하는 단계;
    제거된 부위에 제1항에 기재된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을 뿜칠 장비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단계; 및
    시공된 결과물을 표면마무리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용 뿜칠 시공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조성물을 뿜칠 장비로 두께 1 내지 6 mm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용 뿜칠 시공방법.
KR1020160132127A 2016-10-12 2016-10-12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 KR101742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127A KR101742918B1 (ko) 2016-10-12 2016-10-12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127A KR101742918B1 (ko) 2016-10-12 2016-10-12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918B1 true KR101742918B1 (ko) 2017-06-15

Family

ID=5921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127A KR101742918B1 (ko) 2016-10-12 2016-10-12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9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4700A (zh) * 2019-01-28 2019-05-03 青岛泥之韵环保壁材有限公司 一种粉末型的环保硅藻泥
KR102011373B1 (ko) * 2018-12-19 2019-08-16 이강솔루션(주) 친환경 불연 조습성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
KR102433898B1 (ko) * 2021-08-23 2022-08-19 이명수 규조토 함유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61695A (ko)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엔씨페인트 친환경 수성 칼라 본타일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598699B1 (ko) * 2023-03-14 2023-11-07 (주)세스세라믹 친환경의 기능성 및 불연성 도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의 기능성 및 불연성 페인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786B1 (ko) 2008-11-26 2009-03-04 조래진 기능성 바이오 세라믹 건축마감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바이오 세라믹 건축마감재
KR101073693B1 (ko) 2011-03-11 2011-10-14 주식회사 에코빌드 디엔씨 친환경 바닥마감재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101342568B1 (ko) 2012-11-21 2013-12-17 이성진 무기질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786B1 (ko) 2008-11-26 2009-03-04 조래진 기능성 바이오 세라믹 건축마감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바이오 세라믹 건축마감재
KR101073693B1 (ko) 2011-03-11 2011-10-14 주식회사 에코빌드 디엔씨 친환경 바닥마감재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101342568B1 (ko) 2012-11-21 2013-12-17 이성진 무기질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373B1 (ko) * 2018-12-19 2019-08-16 이강솔루션(주) 친환경 불연 조습성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
CN109704700A (zh) * 2019-01-28 2019-05-03 青岛泥之韵环保壁材有限公司 一种粉末型的环保硅藻泥
KR102433898B1 (ko) * 2021-08-23 2022-08-19 이명수 규조토 함유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61695A (ko)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엔씨페인트 친환경 수성 칼라 본타일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598699B1 (ko) * 2023-03-14 2023-11-07 (주)세스세라믹 친환경의 기능성 및 불연성 도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의 기능성 및 불연성 페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917B1 (ko) 친환경 규조토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친환경 규조토 기능성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742918B1 (ko) 친환경 규조토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
KR100942723B1 (ko) 무기계 폴리머 스톤몰탈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5838158B (zh) 耐污渍防霉硅藻泥涂料及其制备方法
CN104496329A (zh) 一种室内用无机干粉隔热硅藻泥及其制备方法
US11161785B2 (en) Photocataly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for obtaining water paints
KR101538161B1 (ko) 친환경 도료 조성물
CN105503039A (zh) 一种双组分膏状填缝剂
KR100803170B1 (ko) 친환경성 석회 도료 조성물
CN108192392A (zh) 一种健康功能型内墙硅藻泥涂料及其制备方法
KR101810089B1 (ko) 규조토를 이용한 벽마감재 조성물
CN109320136A (zh) 一种聚氨酯水磨石
KR101869972B1 (ko) 천연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951371A (zh) 具有空气净化功能的表面涂料
KR101732852B1 (ko) 친환경 규조토 보드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친환경 규조토 보드 및 그 제조방법
CN109266056A (zh) 一种改性硅藻泥涂料及其制备方法
KR20200022559A (ko) 친환경 칼라골재를 이용한 일체형 불연성 건축 내외장재의 제조방법
KR101640985B1 (ko) 친환경 온돌마루 접착제 조성물, 친환경 온돌마루 접착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93544B1 (ko) 난연성 필러블 pvb 수지 코팅제 제조방법
KR100941609B1 (ko) 친환경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제조방법
KR100428589B1 (ko) 환경친화적 기능성 페인트의 제조 방법과 그에이용되는 식물성 수지의 제조방법
KR102598699B1 (ko) 친환경의 기능성 및 불연성 도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의 기능성 및 불연성 페인트
KR101224041B1 (ko) 고기능성 천연 합성 벽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693322B1 (ko) 친환경 페인트의 제조방법
KR102291578B1 (ko) 친환경 흡착방식 유해물질 저감용 세라믹 도료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