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109B1 -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109B1
KR100986109B1 KR1020080033658A KR20080033658A KR100986109B1 KR 100986109 B1 KR100986109 B1 KR 100986109B1 KR 1020080033658 A KR1020080033658 A KR 1020080033658A KR 20080033658 A KR20080033658 A KR 20080033658A KR 100986109 B1 KR100986109 B1 KR 100986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gnitive ability
examinee
cognitive
evaluation
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874A (ko
Inventor
정재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텔리전트 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텔리전트 게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텔리전트 게임즈
Publication of KR20090010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3/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3/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인지 능력에 관한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는 피검사자의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오프라인 평가 방식으로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오프라인 평가 모듈 및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온라인 평가 방식으로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온라인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인지 능력 측정부; 상기 인지 능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진단하는 인지 능력 진단 평가부; 상기 인지 능력 진단 평가부에서 평가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증진 시키는 인지 능력 증진부; 및 상기 피검사자와 인터넷 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피검사자의 사용자 정보. 상기 인지 능력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인지 능력 측정 데이터, 상기 인지 능력 진단 평가부에서 평가된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 평가 데이터 및 상기 인지 능력 증진 모듈로에서 수행된 인지 능력 증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행동 패턴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효율적으로 콘텐츠를 구성하고, 신속하게 보완, 수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고,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얻어진 인지 능력 측정치를 다양한 인구학적 변인에 의해 통계학적으로 분류되어 사용자의 인지 능력에 대한 피드백은 물론, 다른 분야의 학문에도 중요한 데이터 베이스로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학제 간 연구의 중요한 발판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오래 사용되어온 검사를 재표준화 하거나 항목별 문항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표준화하는데 용이하여 모바일이나 휴대용 기기로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cognitive function based on web service and Recording medium using by the same}
본 발명은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친화적인 차별화된 콘텐츠에 의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흥미를 가지고 보다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인지 능력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체계를 수립하여 능력 향상을 이룰 수 있는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기의 발달과 인터넷 문화의 발달로 사람들의 사회적 적응 기회가 감소되어 인간의 개인주의화와 고립화가 심화되고 있다. 실질적으로 언어 기능에 문제를 가지는 사람은 정상적인 사회생활에 필요한 생활 능력을 배우기 어려우며,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사람은 추후 사회적 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선천적 후천적으로 언어기능 장애, 주의력 장애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저출산과 핵가족화 현상에 의해 한두 명의 자녀를 갖게 된 현재의 부모들은 아동의 발달 장애나 발달 지연에 큰 관심이 있다. 운동 발달, 언 어 발달, 전체적 발달에 대한 발달 장애나 지연 문제는 조기에 발견해서 조치를 취해야만 치료 및 예방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발달 장애나 발달 지연 문제는 어느 한 시점의 발달 정도보다는 일정 기간의 발달 과정이 중요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찰과 반복 검사가 시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인지 능력 장애나 지연 현상을 사전에 진단하고 조기에 조치를 취하거나 인지 능력의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인간의 컴퓨터 활용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을 다루는 정도 혹은 인터넷에서 정보를 신속하게 찾아내는 정도가 하나의 '능력'으로 평가받는 것처럼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기본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있어 기존에 요구되지 않았던 능력이 요구되어 지기도 하고, 반대로 과거에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능력이 불필요해 지기도 한다. 더불어 오늘날 각광받는 인재는 과거에 추앙받던 학업 인지능력만 뛰어난 인재가 아닌 자신의 분야에서 눈에 띄는 업적을 이룬 다각적인 개성을 가진 전문가이다.
이처럼 과거의 삶의 방식에서 요구된 인간의 능력이 오늘날 요구되는 능력과는 확연히 다르고, 인간의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 또한 달라진 상황에서, 오늘날의 인지 측정 도구는 현대 사회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인지 능력을 정확하게 판단해야 함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언어와 수리능력, 공간지각력 등을 한계적으로 측정하였던 기존의 인지 능력 검사, 심리검사, 지능검사 등은 급변하고 있는 환경을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인지(Cognition)'란 대상을 인식, 주의, 기억, 학습하고, 언어를 사용하며, 생각하고 느끼고 문제를 해결하며 여러 가지 숙련된 행위를 하는 능동적 지식의 과정을 일컫는다. 다시 말해, 인지 기능이 실제 인간의 삶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실로 과언이 아니다.
인간의 다른 모든 특징들과 마찬가지로 인지 능력의 정도는 개개인마다 차이를 보이며, 각자가 발달시킨 영역 또한 다르다. 그러한 차이의 존재로 인해, 개별적 증진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이며, 그 이전에 인지 능력 향상의 가능성을 묻는다면 대답은 긍정적이다. 인지 현상이란 기본적으로 뇌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결과이다. 뇌를 사용하면 할수록 그 효율성과 기능이 증가하는 것을 이미 알려진 바 있는 사실인 만큼 뇌의 거의 전 영역을 차지하는 인지 기능의 경우에 있어서도 학습을 통한 향상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은 누구라도 부정할 수 없다. 예를 들어, 가장 대표적인 인지 기능 중 하나인 기억에 대해 살펴보면, 10개의 숫자를 10초 후에 기억하지 못한 사람이라도 같은 훈련을 계속하여 반복한다면 결국에는 똑같은 기억 과제를 낮은 오답률과 함께 해결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인간은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인지 능력을 끊임없이 사용하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기 훈련을 통하여 그 인지 능력을 발달시켜 나가고 있으며, 그것은 자연스런 성장과 발전의 한 부분이 된다. 그러나, 그 수많은 인지 기능들 중 가장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요소들을 골라내어 집중적으로 부가적인 자가 훈련을 하게 할 수 있다면, 예정된 인지 능력 발달 외에 보다 높은 효과를 얻을 것임은 자명하다. 이를 위해 이미 지능 개발용 콘텐츠, 인지 치료용 도구 및 특별 프로그램등이 있다.
인간에게 부족한 인지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이전에 선행되어야 할 것은 자신의 인지 기능이 어느 정도인가를 측정하는 것이다. 인지 기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자신의 능력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자신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
현재 많은 숫자의 인지 능력 측정 척도가 있다. 소위 한국판 웩슬러 지능 검사는 동작성 언어성 소검사를 중심으로 지능을 측정하며, 아동을 대상으로 한 K-ABC는 인지 처리 척도와 습득도 하위검사를 통하여 지능과 습득도를 측정함으로써 지능의 처리과정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KWIS는 보다 전반적인 개인의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이 역시 언어성과 동작성으로 분리되어 전반적인 지식문제, 빠진 곳 찾기, 산수 문제 등의 다양한 소검사들로 구성되어 있다. 국내 기억 검사인 Ray-Kim 검사는 좀 더 기억 쪽에 비중을 두었으며, 언어기억, 시각 기억 검사로 구성되어, 기억 유지도, 인출 효용성 등을 다양하게 알아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모든 인지 능력 측정 도구들은 모두 그 나름대로 인지 능력을 정의 내리고 그 영역을 나누어 측정함으로써, 각각이 측정하고자 하는 인지 기능에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검사 도구들은 대체로 지능이나 기억에 치중한 인지 기능을 측정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것이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인지 기능의 정의임을 감안하더라도 여러 다른 소검사들에 분포된 문제 해결, 시각 재인, 주의, 창의성, 추리 등의 다양한 인지 기능 하위 항목들을 광범위하게 골고루 다루는 넓은 의미에서의 인지 기능 측정 도구가 필하다. 또한, 현재로써는 다수의 인지 측정 척도들이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되는 것이 사실이기에, 정상적인 인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 주 타겟 계층, 여기서는 취학 아동 및 청년층으로부터 정상적이나 개인 특수적인 데이터를 뽑아낼 수 있는 측정 도구 역시 절실히 요구된다.
더불어 종래의 인지 측정 도구들은 모두 오프라인 상에서 면담을 통하여 행하여지므로 측정 대상자가 극도로 제한되고, 재측정을 통하여 향상 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검사자의 주관성이나 전문성 문제가 개입되고, 검사자의 인력 문제 역시 고려된다. 이는 보다 많은 검사와 데이터 베이스의 구축 및 그 결과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하는 측정 도구의 특성상 다소 치명적인 것이 아닐 수 없으며, 좀 더 다른 방식의 인지 기능 측정 도구의 필요성을 절실히 드러내는 부분이기도 하다.
아울러, 온라인으로 행해지는 검사들은 평가 항목에 대한 문항이 고정되어 1회성 진단에 이르기 쉽고, 기존의 종이로 된 진단 도구를 그대로 온라인에 적용한 형태에 그친다. 이것은 종이로 된 진단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이는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없다.
이러한 인지 능력 진단 및 증신 서비스 사이트로 KISE 발달척도 및 교육 프로그램,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발달척도 검사시스템, KPTI 온라인 심리 검사 센터 등이 있으나, 일반인의 접근이 어렵고, 그 결과도 전문가의 도움 없이는 해석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인지 능력 검사 및 증진 방법에는 종이로 된 평가 용지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하고, 전문가가 결과를 분석하고, 문제가 발견되는 경우 전문가가 상담을 진행하는 오프라인 방식과 평가 용지 대신 웹 페이지로 평가 항목을 제시하고 상담자가 직접 검사를 수행하는 온라인 방식이 있으나, 오프라인 방식은 평가 전문 기관의 수가 너무 적고, 직접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검사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시공간상의 제약이 따르고, 검사 과정이 매우 단조롭고 따분한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져, 지속적인 관찰과 학습 증진 효과를 이룰 수 없고, 온라인 검사 방식은 상담자가 자체적으로 검사 및 평가를 수행하는 형태의 서비스로 한정되어 있고, 전문가와의 연계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오프라인의 검사와 별 차이가 없으며, 검사 결과에 따른 증진 기능이 검사 서비스와 연계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경우 오프라인으로 직접 찾아가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시공간상의 제약이 적은 웹 기반의 온라인 방식이면서, 사용자들에게 접근이 간편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검사 결과에 대한 전문가 수준의 평가를 제공하며 검사 결과와 인지 증진이 지속적으로 관찰될 수 있는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 능력 개발 시스템을 적용한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 능력 개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세 번째 과제는 상기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 능력 개발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지 능력에 관한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는 피검사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오프라인 평가 방식으로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오프라인 평가 모듈 및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온라인 평가 방식으로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온라인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인지 능력 측정부; 상기 인지 능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인지 능력 진단 평가부; 상기 인지 능력 진단 평가부에서 평가된 상 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증진 시키는 인지 능력 증진 모듈; 및 상기 피검사자와 인터넷 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피검사자의 사용자 정보. 상기 인지 능력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인지 능력 측정 데이터, 상기 인지 능력 진단 평가부에서 평가된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 평가 데이터 및 상기 인지 능력 증진 모듈로에서 수행된 인지 능력 증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지 능력에 관한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는 피검사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오프라인 평가 방식으로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오프라인 평가 및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온라인 평가 방식으로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인지 능력 진단 단계,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증진 시키는 인지 능력 증진 단계, 및 상기 피검사자와 인터넷 망으로 연결되는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사용자 정보, 상기 인지 능력 측정 데이터,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 평가 데이터 및 상기 인지 능력 증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세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 능력 개발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행동 패턴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효율적으로 콘텐츠를 구성하고, 신속하게 보완, 수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고,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얻어진 인지 능력 측정치를 다양한 인구학적 변인에 의해 통계학적으로 분류되어 사용자의 인지 능력에 대한 피드백은 물론, 다른 분야의 학문에도 중요한 데이터 베이스로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학제 간 연구의 중요한 발판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오래 사용되어온 검사를 재표준화 하거나 항목별 문항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표준화하는데 용이하여 모바일이나 휴대용 기기로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 능력 개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인지 능력 개발 시스템은 서버(110), 인지 능력 측정부(120), 인지능력 진단 평가부(130) 및 인지 능력 증진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110)는 피검사자 정보 관리부(111) 및 데이터베이스부(1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인지 능력 측정부(120)는 오프라인 평가 모듈(121) 및 온라인 평가 모듈(122)로 구성될 수 있고, 인지 능력 진단 평가부(130)는 평가치 측정 모듈(131), 패턴 분류 모듈(132) 및 표준화 모듈(1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살펴보면, 피검사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110)에 접속하면, 데이터베이스부(112)는 이전에 저장된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에 관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피검사자 정보 관리부(111)를 통하여 확인하고,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에 관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인지 능력 측정부(120)에서 피검사자의 인지 측정을 수행하고,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에 관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피검사자의 정보를 상기 피검사자 정보 관리부(111)에 등록한다.
인지 능력 측정부(120)는 피검사자에게 오프라인 평가 모듈(121) 또는 온라인 평가 모듈(122)을 통하여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측정한다.
여기서, 오프라인 평가 모듈(121)은 사용자의 인지 능력 측정을 단순히
Figure 112008025964705-pat00001
,
Figure 112008025964705-pat00002
로 판단하는 평가 방식을 적용하며, 온라인 평가 모듈(122)은 사용자의 인지 능력 측정을
Figure 112008025964705-pat00003
,
Figure 112008025964705-pat00004
와 상기 측정에 관한 항목별 반응 시간을 동시에 체크하는 평가 방식을 적용한다.
상기 인지 능력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이를 기반으로 인지 능력 진단 평가부(130)에 진단 평가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상기 서버(110)의 데이터베이스부(112)에 저장되어 측정 데이터를 재활용할 수 있다.
인지 능력 진단 평가부(130)는 상기 인지 능력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가치 측정 모듈(131)을 통하여 오프라인 평가 모듈(121) 또는 온라인 평가 모듈(122)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정답에 관한 정보, 오답률, 반응시간을 기준으로 인지능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패턴 분류 모듈(132)은 사용자의 인지 능력 패턴을 분류하여 정보를 추출, 요약하고, 패턴 분류된 인지 능력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12)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표준화 모듈(133)에서 인지능력 패턴을 정규화할 수 있다.
인지 능력 증진부(140)는 패턴 분류 모듈에 의해 패턴화된 인지 능력에 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피검사자의 부족한 인지 능력에 관한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표준화 모듈에 의해 정규화된 인지 능력 패턴을 분석하여,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한 피검사자를 외부 전문가와 연계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10)의 데이터베이스부(112)는 인지 능력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에 관한 측정 데이터, 인지 능력 진단 평가부(130)에서 진단된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에 관한 진단 데이터, 인지 능력 증진부(140)에서 증진된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에 관한 증진 데이터를 피검사자 정보 관리부(111)에 저장된 피검사자의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측정부(120)는 기억, 유추, 주의, 언어능력 및 기분장애를 평가 측정 요소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5개의 평가 측정 요소는 온라인 평가 방식과 오프라인 평가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현자 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추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기억은 그림, 도형, 숫자, 위치, 단어, 문장, 예시문, 사람얼굴, 음악 외국어 및 행동으로 이루어진 평가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평가군을 대상으로 한다.
상기 평가군을 대상으로 하여 재인, 회상, 순서기억, 매칭, 동작 기억, 코지 브록, 음악 기억, 외국어 기억, 세만틱 프라이밍, 작업 기억, 시대 사건 기억 또는 과거 회상 등의 다양한 평가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재인은 대표적인 기억 과제 중 하나로, 어떠한 자극을 이전에 보거나 들은 적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제이다. 이는 자극 제시 후 얼마만큼의 시간이 경과하였는가에 따라서 단순재인과 지연재인으로 구분된다.
이는 이전에 제시된 자극의 선다형 예인 그림, 도형 또는 사람얼굴 등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기억의 여부를 답하게 하는 객관식 평가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실제로 골라내기로 도형의 그림을 제시하고,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실제 도형을 보고 같은 모양을 고르게 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두 번째로, 회상은 과거에 보거나 들은 적이 있는 자극을 선다형 보기 없이 직접 기억해 내는 과제이다.
이는 쓰기, 말하기 또는 그리기 등으로 회상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리기는 그림을 제시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그림을 회상하여 직접 그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기억으로 과거에 제시된 자극의 위치를 회상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큐를 제시하고, 회상 과제 중에서 기억을 돕는 단서를 제시하는데, 이 는 이전에 제시된 자극 목록 가운데 '동물'의 범주에 속하는 것을 회상시키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의 패러그래프(paragraph)를 제시하고, 세부 사항을 회상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는, 목록 외우기로 카테고리별로 기억, 회상해내는 과제로, 예를 덜어 장보기 게임으로 요일별로 쇼핑목록을 기억과제로 주고, 피검사자가 스스로 회상해서 쇼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순서기억으로 주어진 과제의 순서를 회상하게 하는 과제이다.
이는 숫자 따라하기로, 일정 숫자열을 제시하고 순서대로 혹은 거꾸로 회상하게 하여 이에 대한 숫자를 나열하는 행동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는 그림 자극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그림 자극의 순서를 실제로 나열하게 할 수 있다.
네 번째로, 매칭(matching)으로 시각 자극과 이름 혹은 직업을 함께 제시한 이후, 회상시 시각 자극만 제시하고 이름, 직업과 매칭 하게 할 수 있다.
다섯 번째로, 동작 기억으로 동작을 제시하고, 제시된 동작을 실제 행동을 행하게 하여 회상을 수행할 수 있다.
여섯 번째로, 코지 블록(Coursy block)으로 각 블록을 일련의 순서대로 각각의 자리에 배치한 후, 그 순서와 위치를 기억하게 하여 추후에 다시 배치된 각 블록을 일련의 순서대로 배치하게 할 수 있다.
일곱 번째로, 음악 기억으로 제시된 음악의 박자와 음정을 기억하게 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시된 음악의 박자와 음정으로 실제로 따라하게 하 는 행동과제를 부여할 수 있다.
여덟 번째로, 외국어 기억으로 이는 bilingual 대상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아홉 번째로, 세만틱 프라이밍으로 연관된 단어 쌍을 연이어 제시하고 반응시간(Reaction Time:RT)을 측정하는 행동과제를 부여할 수 있다. 이는 과제의 특성상 온라인 평가 방식으로 수행된다.
열 번째로, 작업 기억으로 활동 기억으로도 불리우며, 일상적으로 많이 수행하여 자동화된 기억 매커니즘을 일컫는데, 예를 들어, 요리 자전거타기, 절차기억 등으로 행동의 순서나 절차를 구술하고 이 작업을 실제로 회상하는 과제를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전문화된 사람의 경우 전문지식과 관려된 행동 스크립트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컴퓨터 포맷이나, 컴퓨터 조립등을 컴퓨터 지식이 있는 사람에게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실행증 관련 행동 스크립트를 제시하여 단순한 행동 절차를 묘사하는 식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성냥에 불붙이는 일련의 행동을 실제로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열한 번째로, 시대 또는 사건 기억으로 사적인 경험에서 나아가 역사적, 시대적인 사건을 회상하여 설명하게 하도록 과제를 부여할 수 있다.
열두 번째로, 과거 회상으로 사적인 경험 혹은 에피소드 기억을 회상하여 구술하게 하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 다음, 유추는 상위 인지 기능으로 그림, 도형, 언어, 사진 또는 정서 등 에 대하여 관계추론, 문맥파악, 수수께끼, 예시문 제시, 사진 찾기, 틀린 부분 찾아 수정 하기, 기본 지식 능력, 미로 찾기, 산수 문제, 퍼즐 맞추기, 스크립트 짜기, 브레인 실행력(Execution), 문장 및 단어 조합하기, 사람 수 세기 또는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식으로 유추를 수행할 수 있다.
첫 번째, 관계추론은 관련된 한 쌍의 단어를 제시하고, 그와 같은 관계를 단어 쌍에서 유추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송아지=개:X 라는 과제가 제시되었을 경우, X에 해당되는 단어가 강아지임을 유추하게 하는 방식으로 유추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두 번째, 문맥파악으로 여러 개의 그림이나 사진들을 보고 사건이 일어난 순서대로 배열하는 행동을 피검사자가 자의적으로 배치하게 하여 유추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세 번째, 수수께끼를 제시하고, 이 수수께끼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를 유추하는 과제를 제시하여 유추에 대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네 번째, 예시문(Paragraph)을 제시하여 제시된 예시문의 문맥을 파악하고, 문맥흐름에 맞는 예시문을 순서대로 배열하게 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여러 개의 인물 사진을 제시하고, 제시된 인물 사진 중에서 웃는 얼굴, 화난 얼굴 또는 찡그린 얼굴을 고르는 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여섯 번째, 틀린 부분 찾아 수행하기로, 하나 이상이 잘못되어 있는 그림이나 사진 자극을 제시한 후, 제시된 그림이나 사진 자극 중에서 잘못된 부분이 어느 부분인지 답하고 이를 수정하게 하도록 과제를 부여할 수 있다.
일곱 번째, 일반인이 알고 있는 일반 상식 문제를 제시하여 이를 맞추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 대통령은 누구인가'라는 과제를 제시하고, 제시된 과제에 대한 응답을 하도록 과제를 부여할 수 있다.
여덟 번째로, 미로찾기 과제를 제시하여, 제시된 미로를 해결하게 하는 과제를 부여할 수 있다.
아홉 번째로, 산수 문제로, 기본적인 산수 문제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열 번째로, 퍼즐 맞추기로, 조립되지 않은 퍼즐을 제시하고 제시된 퍼즐을 맞추게 하는 과제를 부여할 수 있다.
열한 번째로, 스크립트 구성하기로, 일정 과제를 부여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과정을 스크립트화 하게 하는 과제를 부여한다. 이는 여러 세부 과제의 달성을 필요로 하는 하나의 커다란 과제를 제시한 후, 그것을 체계적으로 수행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보는 과제이다. 예를 들면, 일주일 후 기말 고사가 있는 경우 과목별로 학습 계획 세우기로 스크립트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열두 번째로, 브레인 실행(brain execution)으로, 뇌 훈련에 관한 이미지 트레이닝 과제를 부여하고, 이를 실제로 실행하는 것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열세 번째로, 문장 및 단어 조합하기로, 문장 제시 후 각 글자를 재조합하여 새로운 단어들을 만들거나, 새로운 문장을 창출해내는 것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열네 번째로, 사람 수 세기로, 일련의 스토리를 제시하고, 특정 상황에 이른 사람의 숫자를 세는 것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명이 집안에 들 어간다. 3명이 나온다. 한 명이 들어간다. 총 몇 명이 집안에 있는가?'라는 스토리를 제시하고, 집안에 있는 사람 수를 세는 것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열다섯 번째로,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특정 상황을 제시하고, 시간 개념을 평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약속 시간이 2시 45분이고, 도착시간이 4시 10분인 경우, 늦은 시간을 맞추는 것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그 다음, 주의는 도형, 그림, 후각, 음향, 외국어를 포함하는 언어 및 카드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주의능력을 판단하는 과정이다.
상기 주의는 매칭, 두 그림을 주고 달라진 부분을 찾는 다른 그림 찾기, 하나의 그림 중에서 빠진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을 찾는 틀린 그림 찾기, 신호등, 속도, 연료 잔여량, 위치 등을 동시에 고려하는 운전 게임, 위치조작, 숫자나 문자, 단어 등의 목록 자극을 순서대로 혹은 거꾸로 따라 읽게 하는 따라 읽기, 위스콘신 카드 과제, 선 긋기 또는 선 나누기 위치 추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다음, 타인 정서 지각은 문장 이해력, 문장 읽기 속도, 얼굴 정서 반응 등을 이용하여 타인의 정서에 대한 정서 언어 이해력, 얼굴 정서 이해력을 평가하는 과제로 수행된다.
그 다음, 자기 정서 지각은 상황과 자신에 대한 정서의 일치 효과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정서 이해력을 평가하는 과제로 수행된다.
그 다음, 정서 표현 능력은 행동, 말하기, 얼굴 표정 짓기 등을 측정하여, 피검사자의 정서 표현 능력을 평가하는 과제로 수행된다.
행동은 정서 단어나, 정서 그림을 제시하고, 접근성과 회피성에 따라서 당기 고 미는 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고, 말하기(naming)는 정서 단어를 제시하고, 말하는 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얼굴 표정 짓기는 정서 단어나 정서 그림을 제시하고, 얼굴 표정을 짓는 것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그 다음, 정서 통제는 정서 스트룹(stroop) 태스크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정서적 내용을 억압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과제로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언어 능력은 형태소, 단어, 문장, 지문 또는 문법 등을 이용한 피검사자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는 과제로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기분 장애는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등으로 구분하여 기본적인 우울증을 척도 할 수 있으며, 이는 BDI 나 Hamilton D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지 능력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지 능력 진단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인지 능력 진단 평가는 기존의 오프라인에서 사용하는 평가 방식으로 정답에 관한 정보, 오류율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수가 통계적 안정성을 가지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심리 상태, 언어능력, 기억능력, 주의력 검사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인지능력 패턴을 분류하여 정보를 추출, 요약하며 적절한 증진기술과 연결하는 패턴 분류 방식을 적용한다.
한편, 인지 능력 진단 평가에 적용되는 진단 평가표는 진단 척도를 분류하여 체계적인 평가와 세부 항목들을 평가하고, 데이터의 표준화에 기초한 개인별 표준 점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MRI, PET, ERP, EEG, MEG, 연산 모델등을 이용한 뇌 지도화와 같은 뇌 영상 기법(nero-imaging)을 사용한 정밀한 진단 평가를 제공한다.
그리고, 통계기반 표준화 방식은 여러 사용자의 인지능력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통계기반 정규분포로 만든 후, 뇌 나이, 언어 수준, 연령, 성별, 연령대 대비 상위 퍼센트 등 다양한 형태의 기준치를 산정하고 평가에 이용하는 표준화 방식과 표준화된 자료를 이용하여 연령, 성별 등의 다양한 형태의 기준치를 산정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패턴 분류를 정규화하는 샘플링 방식이 있다.
그리고, 인지 능력 증진부는 게임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인지능력 콘텐츠인 대화식 증진 콘텐츠, 평가 결과에 해당하는 인지능력 증진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관련 정보 제공, 결과가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전문가와 연계시키는 전문가 연계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인지 능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인지 능력 관리는 대화로그를 관리하는 기술, 주기적으로 대화 로그를 마이닝하여 피검사자의 인지능력 상태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대화 로그 관리 기술, 아동들의 검사 기록을 관리하며, 주기적으로 검사해야 하는 인지능력에 대하여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하는 검사기록 관리 기술, 피검사자의 평가 기록을 관리하며, 지속적으로 평가 기록을 관리하여 인지능력의 증진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평가 기록 관리 기술, 피검사자의 증진 기록을 관리하며, 피검사자가 이용하는 증진 콘텐츠와 증진 상태를 관리할 수 있고, 피검사자의 증진 상태에 따라 다양한 증진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증진 기록 관리를 시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은 상기 인지 능력 진단 평가부에서 평가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성격 검사, 인지 검사, 정서 검사 또는 과몰입 예방에 관한 게임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제 생성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게임 컨텐츠를 상기 인지 능력 증진부 또는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컨텐츠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컨텐츠 생성부에 의해 피검사자가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게임의 형태로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작된 컨텐츠는 상기 인지 능력 증진부에서 수행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또는 서버로 상기 제작된 컨텐츠를 전송함으로써 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 생성부에서 게임의 형태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하여 웹 서비스를 통하여 필요한 컨텐츠 모듈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하고 쉽게 피검사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형태로 게임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의 인지 능력 측정부에서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항목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살펴보면,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크게는 감각 및 지각, 기억, 문제 해결 및 추론의 검사 항목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감각 및 지각은 소분류로 색채 지각, 물체 지각, 깊이 지각, 움직임 지각, 언어 지각 등의 항목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기억(memory)은 장기 기억(long term memory) 또는 단기 기억(short term memory)의 중분류로 나눌 수 있고, 장기 기억은 순차 기억 또는 의미기억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단기 기억은 메모리 스팬(memoty span), STM 탐색, 또는 chunks로 나눌 수 있으며, 피검사자는 이에 대한 세부적인 검사에 의한 결과치와 참고 내용들을 제시받을 수 있다.
문제 해결은 단순한 검사 항목 보다는 특정 과제에 대한 배열, 구조에 대한 귀납적 해결, 변형등의 항목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추론은 논리적 추리, 유추적 추리, 과학적 추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사 항목에 대하여 결과치는 100을 기준으로 단순화된 그래프의 형태로 그 결과치가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전문가의 전반적인 진단 결과 및 구체적 해석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의 인지 능력 진단 평가부에 의해 진단 및 평가 결과의 일 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피검사자가 수행한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 능력 측정 결과에 대하여 가드너의 다중 지능 이론에 근거한 오각형 그래프로 개인별 지능에 대한 진단 및 평가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바대로, 추정된 다중 지능 항목인 언어, 음악, 논리, 공간, 신체 운동의 항목 별로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 수치가 나타나므로, 개개의 항목별 위치 뿐만 아니라, 항목별로 상대적인 인지 능력 정도를 파악할 수 있 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에 기반한 시간에 따른 인지 능력의 변화에 대한 진단 및 평가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피검사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신의 인지 능력의 향상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상기 도 1의 인지 능력 증진부(140)에서 인지 능력 증진의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방법은 상기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의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과감히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인지 능력에 관한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는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오프라인 평가 또는 온라인 평가에 의해 인지 능력을 측정한다.(S510)
상기 인지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피검사자에게 제시된 과제의 기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억 콘텐츠, 미리 제시된 과제와 관련된 새로운 응답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유추 콘텐츠, 제시된 복수의 자료의 구별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주의 콘텐츠, 언어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언어능력 콘텐츠, 우울증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분장애 척도 검사 콘텐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에 의해 인지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억 콘텐츠는 재인, 회상, 순서기억, 매칭, 코지 블록, 음악 기억, 외국어 기억, 세만틱 프라이밍, 작업 기억 및 사건 기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 다음, 상기 측정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진단한다(S520).
이는, 상기 측정된 인지 능력의 결과를 평가한 평가치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패턴 분류하고, 상기 패턴 분류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능력을 정규화된 분포로 표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인지 능력 진단 단계(S520)는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성격 검사, 인지 검사, 정서 검사 또는 과몰입 예방에 관한 게임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게임 컨텐츠를 상기 피검사자자 및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성격 검사, 인지 검사, 정서 검사 또는 과몰입 예방에 관한 게임 컨텐츠를 생성하는데, 피검사자가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게임의 형태로 컨텐츠를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직접 수행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또는 서버로 상기 제작된 컨텐츠를 전송함으로써 서버에서 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게임의 형태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하여 웹 서비스를 통하여 필요한 컨텐츠 모듈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하고 쉽게 피검사자들 이 접근할 수 있는 형태로 게임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증진 시키고(S530), 마지막으로, 상기 피검사자와 인터넷 망으로 연결되는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사용자 정보, 상기 인지 능력 측정 데이터,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 진단 데이터 및 상기 인지 능력 증진 데이터를 저장한다.(S540)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테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 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의 인지 능력 측정부에서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항목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의 인지 능력 진단 평가부에 의해 진단 및 평가 결과의 일 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에 기반한 시간에 따른 인지 능력의 변화에 대한 진단 및 평가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13)

  1.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 측정을 위한 복수의 평가 측정 요소에 대한 평가 항목을 상기 피검사자의 단말에 제시하고, 상기 피검사자의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평가 항목별 체크 결과 및 평가 항목별 반응 시간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인지 능력 측정부,
    상기 인지 능력 측정부를 통해 수신한 체크 결과에 따른 오답률 및 상기 평가 항목별 반응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의 진단 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진단 평가의 결과에 따라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의 패턴을 분류하는 인지 능력 진단 평가부,
    상기 진단 평가의 결과 및 분류된 패턴에 따라 인지 능력의 증진을 위한 게임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게임 컨텐츠를 상기 피검사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인지 능력 증진부 및
    상기 평가 항목별 체크 결과, 상기 평가 항목별 반응 시간, 상기 진단 평가 결과, 상기 분류된 패턴 및 상기 제공되는 게임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상기 피검사자의 개인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인지 능력 측정부는 제시된 과제의 기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억 콘텐츠, 미리 제시된 과제와 관련된 새로운 응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유추 콘텐츠, 제시된 복수의 자료의 구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주의 콘텐츠, 언어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언어능력 콘텐츠 및 우울증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분장애 척도 검사 콘텐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인지 능력을 평가하고,
    상기 인지 능력 평가부는 상기 인지 능력 측정부를 통해 수신한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오답률을 산출하고, 상기 오답률 및 상기 평가 항목별 반응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 진단 결과를 평가하는 평가치 측정 모듈,
    상기 평가치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평가치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패턴 분류하는 패턴 분류 모듈 및
    상기 패턴 분류 모듈에 의해 패턴 분류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능력을 정규화된 분포로 표준화하는 표준화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콘텐츠는 재인, 회상, 순서기억, 매칭, 코지 블록, 음악 기억, 외국어 기억, 세만틱 프라이밍, 작업 기억 및 사건 기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평가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능력 증진부는
    상기 패턴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패턴 데이터 및 상기 표준화 모듈에 의해 표준화된 정규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패턴 데이터 및 표준화된 정규값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자 단말로부터 피검사자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피검사자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피검사자 정보 관리부는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피검사자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능력 증진부는
    성격 검사에 관한 게임 컨텐츠, 인지 검사에 관한 게임 컨텐츠, 정서 검사에 관한 게임 컨텐츠 및 과몰입 예방에 관한 게임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게임 컨텐츠를 상기 피검사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8.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방법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 측정을 위한 복수의 평가 측정 요소에 대한 평가 항목을 상기 피검사자의 단말에 제시하는 단계,
    상기 피검사자의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평가 항목별 체크 결과 및 상기 평가 항목별 반응 시간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체크 결과에 따른 오답률 및 상기 평가 항목별 반응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의 진단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진단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의 패턴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진단 평가 결과 및 분류된 패턴에 따라 인지 능력의 증진을 위한 게임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게임 컨텐츠를 상기 피검사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 평가 결과, 상기 분류된 패턴 및 상기 제공되는 게임 컨텐츠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피검사자의 개인 정보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평가 항목을 상기 피검사자의 단말에 제시하는 단계는
    제시된 과제의 기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억 콘텐츠, 미리 제시된 과제와 관련된 새로운 응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유추 콘텐츠, 제시된 복수의 자료의 구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주의 콘텐츠, 언어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언어능력 콘텐츠 및 우울증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분장애 척도 검사 콘텐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상기 피검사자의 단말에 제시하고,
    상기 인지 능력의 패턴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오답률 및 상기 평가 항목별 반응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평가 결과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패턴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 분류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능력을 정규화된 분포로 표준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콘텐츠는 재인, 회상, 순서기억, 매칭, 코지 블록, 음악 기억, 외국어 기억, 세만틱 프라이밍, 작업 기억 및 사건 기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평가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방법.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성격 검사에 관한 게임 컨텐츠, 인지 검사에 관한 게임 컨텐츠, 정서 검사에 관한 게임 컨텐츠 및 과몰입 예방에 관한 게임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의 게임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방법.
  13. 제 8 항, 제 10 항 및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읽기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0033658A 2007-07-24 2008-04-11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KR100986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4227 2007-07-24
KR1020070074227 2007-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874A KR20090010874A (ko) 2009-01-30
KR100986109B1 true KR100986109B1 (ko) 2010-10-07

Family

ID=40489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658A KR100986109B1 (ko) 2007-07-24 2008-04-11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1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4426B2 (en) 2013-09-27 2018-04-03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emotion recognition capability using multisensory inform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emotion recognition using multisensory information
KR101878359B1 (ko) * 2012-12-13 2018-07-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기술을 이용한 다중지능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180084332A (ko) 2017-01-16 2018-07-25 어빌리티기술융합협동조합 경도인지장애 평가 및 훈련 시스템
KR20210115880A (ko) * 2020-03-16 2021-09-27 주식회사 이드웨어 인지 능력 훈련 프로세스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415B1 (ko) * 2009-09-30 2012-04-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학습자 인지능력 기반의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1113908B1 (ko) * 2009-09-30 2012-02-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국어 학습자용 인지능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222210B1 (ko) * 2011-03-15 2013-01-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능력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277302B1 (ko) * 2011-06-23 2013-06-20 주식회사 엔텔리전트 게임즈 정신 운동 능력 개발 게임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1382132B1 (ko) * 2011-11-11 2014-04-07 와이즈멘토 유한회사 학습 패턴 평가 시스템
KR101589069B1 (ko) * 2013-07-17 2016-01-27 문경업 인지치료를 위한 웹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웹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34411B1 (ko) * 2013-11-28 2015-07-24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태블릿pc를 이용한 임상미술 치료장치
KR101895602B1 (ko) * 2016-12-13 2018-09-07 주식회사 라스테크 경도인지장애자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955949B1 (ko) * 2017-09-26 2019-03-08 한국화학연구원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2128812B1 (ko) * 2017-12-11 2020-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79342B1 (ko) * 2017-12-20 2020-02-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력 기반의 외국어능력 검사장치 및 그 방법
KR102094857B1 (ko) * 2018-05-31 2020-03-31 구자현 공교육 학습 취약자의 지적 상태 진단 시스템
KR102225353B1 (ko) * 2019-05-29 2021-03-0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앵글 개수 검출을 통해 인지 능력 검사 결과를 자동으로 산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9674A (ko) 2019-07-17 2021-01-27 주식회사 뉴로공간 원격 인지 훈련 시스템 및 원격 인지 훈련 방법
KR102154859B1 (ko) * 2019-11-18 2020-09-10 주식회사 위디아이 치매 예방을 위한 인지 강화 학습 시스템
KR102301143B1 (ko) * 2019-11-21 2021-10-14 주식회사 에임메드 맞춤형 인지 기능 검사 및 재활 훈련 평가 방법
KR102299031B1 (ko) * 2020-10-26 2021-09-07 김강무 인지 편향 및 의사결정 합리성 진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21654B1 (ko) * 2022-04-06 2022-07-15 이지앤웰니스 주식회사 로봇과 앱이 연동된 심리치료 시스템
CN116327132A (zh) * 2023-05-26 2023-06-27 首都医科大学宣武医院 一种基于情景记忆的认知评估方法及认知干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080B1 (ko) * 1999-12-30 2002-06-20 이영란 뇌기능 장애 검사/평가/훈련 시스템
KR20020058145A (ko) * 2000-12-29 2002-07-12 신성웅 학습 장애 및 주의력 결핍 장애를 진료하기 위한 원격진료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080B1 (ko) * 1999-12-30 2002-06-20 이영란 뇌기능 장애 검사/평가/훈련 시스템
KR20020058145A (ko) * 2000-12-29 2002-07-12 신성웅 학습 장애 및 주의력 결핍 장애를 진료하기 위한 원격진료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359B1 (ko) * 2012-12-13 2018-07-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기술을 이용한 다중지능 검사 장치 및 방법
US9934426B2 (en) 2013-09-27 2018-04-03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emotion recognition capability using multisensory inform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emotion recognition using multisensory information
KR20180084332A (ko) 2017-01-16 2018-07-25 어빌리티기술융합협동조합 경도인지장애 평가 및 훈련 시스템
KR20210115880A (ko) * 2020-03-16 2021-09-27 주식회사 이드웨어 인지 능력 훈련 프로세스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2388816B1 (ko) 2020-03-16 2022-04-21 주식회사 이드웨어 인지 능력 훈련 프로세스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874A (ko) 200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109B1 (ko)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Morgan et al. Single-case research methods for the behavioral and health sciences
Vulliamy et al. Teacher research and special education needs
Wright et al. A conditional approach to dispositional constructs: the local predictability of social behavior.
Schulte-Mecklenbeck et al. A handbook of process tracing methods for decision research: A critical review and user’s guide
Aronson et al. EXPERIMENTATION IN SOCIAL
Girden et al. Evaluating research articles from start to finish
Sarafino Applied behavior analysis: Principles and procedures in behavior modification
Gomm et al. Using evidence in health and social care
McLeod et al. Diagnostic and behavioral assess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clinical guide
Dutsinma et al. VARK learning style classification using decision tree with physiological signals
KR20220056072A (ko) 가상현실 및 인공지능 기반의 집중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진단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Hegtvedt et al. Social psychology: Individuals, interaction, and inequality
Abat-Roy Service animals and pet therapy in schools: synthesiz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Mastorodimos et al. Studying affective tutoring systems for mathematical concepts
Lebovitz Filial therapy: Outcome and process
Zielinski Stage of ego development as a correlate of ability in discrimination and communication of empathic understanding
Bruce et al. Letting the CAT out of the bag: A review of the comprehensive aphasia test. Commentary on Howard, Swinburn, and Porter,“putting the CAT out: What the comprehensive aphasia test has to offer”
Eron et al. Application of role and learning theories to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ggression in children
JP7450304B2 (ja) 子ども支援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Gunter Examining experience in depressed and nondepressed individuals
Malim et al. Research Methods
Andrews Returning to school to take on the mantle of nursing: Learning the skills of involvement in clinical education
Kenrick “My Mum was a cop…”: A mixed methods exploration of deceptive performance using the General Expertise Framework.
Heilman Empathy: the construct and its measur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