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949B1 -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949B1
KR101955949B1 KR1020170124114A KR20170124114A KR101955949B1 KR 101955949 B1 KR101955949 B1 KR 101955949B1 KR 1020170124114 A KR1020170124114 A KR 1020170124114A KR 20170124114 A KR20170124114 A KR 20170124114A KR 101955949 B1 KR101955949 B1 KR 101955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us
cognitive
internet
subject
t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희
한석원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24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2Monitoring progression or stage of a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방법에 있어서, (a)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척도를 사용하여 중독스케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b)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중독스케일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행동측정 데이터로부터 인지과제 수행수준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 (e)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의 상관관계를 그래프로 구현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의 그래프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독정도 진단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A METHOD FOR DIAGNOSIS OF INTERNET/SMARTPHONE ADDICTION DISORDE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본 발명은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지 신경 과학연구에서 활발히 사용되는 행동 실험 방법 중 하나인 지각적 부하 과제(Perceptual load task) 패러다임을 개선 및 채용하여 이 과제 수행수준과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동시에 중독자들의 인지 기능 저하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자들의 행동적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이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넷 검색, 혹은 게임에 집중한 상태에서 이러한 활동들보다 더 핵심적이고 실생활에 필요한 과제들로 주의를 이동시키는 능력에 장애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중독자들은 시시각각 때와 장소에 상관없이 스마트폰을 이용한 활동으로 주의가 이끌려 정작 중요한 과제 수행에 방해를 받기도 한다. 이를 토대로, 본 스마트폰 중독자들은 주의 이동 능력과 방해 자극 억제 능력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중독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인지 과제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이들이 특히 어려움을 겪는 과제들을 발견하고, 기저의 인지적인 처리의 본질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확증적인 증거는 발견되지 못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 연구들에서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를 질문지 방식을 이용한 자기 보고 설문법으로 측정한 후 인지 기능 역시 설문으로 측정한 후 이 측정치 간의 상관 관계를 주로 살펴 왔다. 이러한 방식은 인지 기능의 측정치가 객관적이지 않고 편향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진단장치 및 방법(특허문헌 1참조)이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도형과 색채를 조합하여 피진단자의 심리를 진단하고, 도형과 색채를 조합한 그림과 설문을 통하여 심층적으로 피진단자의 심리를 진단할 수 있는 색채도형 심리 진단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피진단자에게 복수의 도형들과 색채들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피진단자가 선택한 도형들과 색채를 조합하여 상기 피진단자의 심리를 1차적으로 진단하는 단계; (c) 상기 피진단자에게 복수의 도형들과 색채들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영역과 복수의 도형들과 색채들을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피진단자가 상기 영역 내에 그린 도형들과 색채를 기반으로 상기 피진단자의 심리를 2차적으로 진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1차적으로 진단한 결과와 상기 2차적으로 진단한 결과를 조합하여 상기 피진단자에게 심리 진단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은 증상을 실험적 방법을 통해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심리 진단 도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국제공개특허 WO2015-080328(2015.06.04)
Hadlington, L. J. (2015). Cognitive failures in daily life: Exploring the link with Internet addiction and problematic mobile phone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51, 75-81.
본 발명의 목적은 최근에 개발되고 신뢰도가 입증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통하여 자기 보고식으로 중독 증상을 측정한 후, 인지 심리학 실험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대상자들의 인지 기능 수준을 편향없이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이 두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근에 개발되고 신뢰도가 입증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통하여 자기 보고식으로 중독 증상을 측정한 후, 인지 심리학 실험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대상자들의 인지 기능 수준을 편향없이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이 두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넷/스마트폰 중독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라 예상되는 인지 처리인 주의 이동과 방해 자극 억제, 두 가지를 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실험 패러다임을 사용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방법은 (a)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척도를 사용하여 중독스케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b)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중독스케일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행동측정 데이터로부터 인지과제 수행수준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 (e)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의 상관관계를 그래프로 구현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의 그래프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독정도 진단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b)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b-1) 저부하 조건을 수행하는 경우, 가운데 응시점에서 가까운 곳에 표적 자극인 H 또는 F 가 제시되는 단계; 및 (b-2) 저부하 조건을 수행하는 경우, 주변부에 억제해야 하는 방해 자극이 표적 자극보다 큰 글자로 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b)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b-3) 고부하 조건을 수행하는 경우, 주변시 부근에 비표적 자극이 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b)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d-1) 방해 자극과 표적 자극의 일치 조건의 경우, 방해 자극이 표적 자극과 같은 글자가 방해 자극으로 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b)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d-2) 방해 자극과 표적 자극의 불일치 조건의 경우, 방해 자극이 표적 자극과 다른 글자가 방해 자극으로 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f-1) 과제 자극이 제시되기 이전에 주의 단서 자극이 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에 대한 상기 대상의 반응 정보를 획득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획득된 반응 정보를 참조로 하여, 복수 개의 인지과제 수행수준 중 특정 인지과제 수행수준에 상기 대상이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인지능력 분석부; 및 상기 특정 인지과제 수행수준에 대응되어 설문상에서 기저장된 인지능력 진단정보와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인지능력 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은, 상기 대상의 시각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되, 서로 다른 표적 자극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적 자극의 객체들 중에서 미리 결정된 표적 자극의 객체들만을 상기 대상이 선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고, 상기 대상의 주의전환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되, 미리 결정된 시나리오에 대해 상기 대상이 수행하여야 하는 과제를 제시하고, 상기 대상의 충동조절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기존의 자기 보고식 질문지법에서 벗어나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증상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의 증상 발현과 연관된 근원적인 인지처리를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임상치료프로그램 개발의 효율성을 높여 정신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개별, 혹은 집단 상담 중심의 치료 방법에서 벗어나 개개인이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중독 치료를 위한 인지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의 토대를 다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심리 기능성 게임이나 앱 개발로도 이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의 스마트폰 중독 측정 척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의 인지과제 절차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는 기억 유도적 주의 그룹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b는 자극-유도적 주의 그룹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의 중독 점수 히스토그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a)는 도 2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의 주의 자극 단서가 없는 경우의 인지과제 수행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b)는 주의 자극 단서가 있는 경우의 인지과제 수행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도 3a의 일실시예의 기억 유도적 주의 그룹의 인지과제 수행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도 3b의 일실시예의 자극-유도적 주의 그룹의 인지과제 수행 데이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의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점수와 인지 과제에서의 방해 자극 간섭의 상관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2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지과제 수행수준 장치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의 세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인지능력 분석정보의 상세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의 스마트폰 중독 측정 척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의 인지과제 절차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는 기억 유도적 주의 그룹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b는 자극-유도적 주의 그룹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의 중독 점수 히스토그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a)는 도 2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의 주의 자극 단서가 없는 경우의 인지과제 수행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b)는 주의 자극 단서가 있는 경우의 인지과제 수행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도 3a의 일실시예의 기억 유도적 주의 그룹의 인지과제 수행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도 3b의 일실시예의 자극-유도적 주의 그룹의 인지과제 수행 데이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의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점수와 인지 과제에서의 방해 자극 간섭의 상관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2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지과제 수행수준 장치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의 세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인지능력 분석정보의 상세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방법은 (a)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척도를 사용하여 중독스케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b)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중독스케일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행동측정 데이터로부터 인지과제 수행수준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 (e)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의 상관관계를 그래프로 구현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의 그래프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독정도 진단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먼저 국내 중독학계에서 최고의 권위를 가지는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김교헌 교수팀이 2016년에 개발한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사용하여 100여 명의 대상자들의 중독정도를 측정하였다(김교헌, 변서영, 임숙희, 2016, 사회과학연구, 27(1), 131-154).
이후, 이 중독 척도의 점수와 연관을 가지는 인지 과제를 찾아내어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이 심할수록, 저하되는 인지 기능을 밝혀내고 이를 통해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을 객관적으로 진단하는 동시에 중독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인지 훈련 프로그램의 기본틀을 확립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인지 과제는 인간이 방해 자극을 억제하고 주과제에 집중할 수 있는 인지 제어 처리를 필요로 하는 지각적 부하(perceptual load) 과제와 주의를 이동 시키는 처리를 필요로 하는 주의 단서 과제를 결합한 과제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방법의 스마트폰 중독 측정 척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폰 중독 측정 척도의 문항 중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대상자 각각의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증상을 질문지법으로 측정한다(S1100). 이 중독 척도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시되는데, 참가자들은 컴퓨터 키보드 혹은 마우스로 답변하면 데이터는 모두 실시간으로 저장되어 즉각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기존 임상 현장에서 요구되었던 별도의 데이터 코딩 절차없이 효율적으로 개개인의 스마트폰 중독 성향을 측정할 수 있다.
참가자는 키보드 버튼이나 마우스로 스마트폰 중독 측정 척도의 문항에 대하여 반응한다. 본 발명에서는 18문항으로 구성되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사용하여 개개인의 중독정도를 측정한다. 각 문항의 점수는 0~3점 사이이며 총점의 범위는 0점에서 54점으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중독 경향이 높다고 해석된다. 개별 질문은 컴퓨터 스크린을 통해 제시되며 대상자들은 키보드 버튼이나 마우스를 움직여 설문에 답한다. 답하는 즉시 데이터는 파일에 기록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방법의 인지과제 절차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지과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대상자들에게 인지 과제를 수행하게 한다. 인지 과제의 정확률과 반응 시간을 기록한 후, 대상자들이 방해 자극을 억제하며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과제를 수행하는지를 수량적으로 계산한 후, 이 행동 측정치와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점수 간의 상관을 알아본다. 이를 통해, 주의 이동 및 방해 자극 억제 처리 능력과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증상과의 관계를 확립하여 자기 질문지법보다 객관적으로 중독 증상을 진단한다(S1200).
전술한 설문을 완료한 후 개별 대상자는 인지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제 역시 컴퓨터 스크린을 통해 제시되며 대상자들은 키보드 버튼을 누름으로써 과제에 반응하고 반응 시간과 정확도는 실시간으로 파일에 저장된다. 이 과제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실험이 시작되면 화면 정중앙에 응시점(5)이 제시된다(S1210). 응시점(5)이 제시되는 시간은 250ms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 대상자들은 컴퓨터 스크린 중앙에 제시된 응시점(시각도 0.2도)을 응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응시점에서 가까운 곳에 H 또는 F의 글자가 제시된다(S1220). 이때 주변부에 H 또는 F의 큰 글자가 제시된다(S1230). 이 큰 글자는 억제해야 하는 방해 자극(20)이다. 이후 여러 개의 글자가 나타난다. 대상자가 할 일은 응시점(5) 주변의 작은 글자중에 H 또는 F가 있는지 판별하는 것이다. 이 작은 글자가 반응해야 할 표적 자극(10)이고 이 표적 자극(10) 외에 주변시에도 마찬가지로 H 또는 F가 제시되는데 이 자극에 대해서는 반응을 하지 않고 억제해야 한다. 이 자극을 방해 자극(20)이라고 한다. 방해 자극(20)은 주변시 근처의 표적 자극(10)보다 크게 제시된다. 표적 자극(10)과 방해 자극(20)이 제시되는 시간은 180ms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기억 유도적 주의 그룹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b는 자극-유도적 주의 그룹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먼저, 도 3b 를 참조하면, 과제의 부하에는 저부하 조건과 고부하 조건의 두 가지 조건이 있다. 저부하 조건에서는 응시점(5) 주변에 표적 자극(10)과 주변시에 방해 자극(20) 두 자극만 제시된다. 고부하 조건에서는 표적 자극(10)과 방해 자극(20) 외에 주변시 부근에 비표적 자극(40)이 제시되어 과제의 부하가 높아진다(S1240).
다음으로, 또 다른 조작은 표적 자극(10)과 방해 자극(20)의 일치여부이다. 일치 조건의 경우, 표적 자극(10)과 같은 글자가 방해 자극(20)으로 제시되며(S1250), 불일치 조건의 경우 표적 자극(10)과 다른 글자가 방해 자극(20)으로 제시된다(S1260).
다시 말하면, 저부하 조건에서 표적 자극(10)과 방해 자극(20)이 일치하거나 불일치할 수 있고 고부하 조건에서도 표적 자극(10)과 방해 자극(20)이 일치하거나 불일치할 수 있다. 즉, 실험 과제에는 네 가지 조건, 저부하-일치, 저부하-불일치, 고부하-일치, 고부하-불일치 조건이 만들어진다. 만일 방해 자극이 억제되어 전혀 처리가 되지 않는다면, 표적 자극(10)과 방해 자극(20)의 일치여부와 상관없이 반응시간이 동일할 것이다.
그러나 표적 자극(10)과 방해 자극(20)이 일치할 경우에 불일치할 경우보다 반응 시간이 빨라진다면, 이는 방해 자극(20)이 완전히 억제되지 못하고 처리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볼 때, 일치 조건과 불일치 조건의 반응 시간 차이를 방해 자극(20)에 의한 간섭 효과라고 가정할 수 있으며, 이 차이가 클수록, 방해 자극(20) 억제가 잘 되지 못함을 시사한다.
방해 자극(20)에 의한 간섭 효과를 고부하 조건과 저부하 조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고부하 조건에서는 과제 자체가 어려워 주의를 고도로 집중해야하기 때문에 방해 자극(20)에 의한 간섭이 잘 나타나지 않는 반면, 저부하 조건에서는 방해 자극(20)에 의한 간섭이 잘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조작에 새롭게 추가할 조작은 과제 자극이 제시되기 이전에 주의 단서 자극(30)인 하얀 점이 짧은 시간 제시된다는 점이다(S1215). 이러한 자극은 지각적으로 두드러지기 때문에 사람의 주의를 끈다고 알려져 있다. 방해 자극(20)이 나타날 위치에 주의 단서 자극(30)을 제시하여 주의를 끌도록 하여 방해 자극(20)에 의한 간섭 효과를 증대하였다. 이를 통해 강력한 간섭 효과를 내는 방해 자극(20)을 효과적으로 억제해야 과제 수행이 가능하도록 실험을 설계하였다. 주의 단서 자극(30)이 제시되는 시간은 40ms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합하면, 실험 절차에는 단서가 제시되는 조건과 제시되지 않는 조건이 있으며 각 단서 조건마다 하고 제시과제부하는 저부하, 고부하로 나누어지며 각 부하 조건 마다 표적 자극(10)과 방해 자극(20) 간의 일치와 불일치 조건이 포함되어 네 가지 조건, 저부하-일치, 저부하-불일치, 고부하-일치, 고부하-불일치, 조건을 제시하는 네 가지 구성이 있게 되고, 여기에다가 주의 단서 자극(30)을 제시하지 않거나 제시하는 구성의 두 가지 조건이 각각 연계되어 총 여덟가지 경우의 조건이 제시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a를 참조하면, 도 3a에 개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실험이 시작되면 도 3b와 같이 화면 정중앙에 기억샘플(1)이 제시된다(S1205). 기억샘플(1)은 채색 도형이며, 실험 대상자들은 컴퓨터 스크린 중앙에 제시된 기억샘플(1)(시각도 0.2도)의 색과 모양을 기억하게 된다. 기억샘플(1)이 제시되는 시간은 250ms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응시점(5)이 화면 정중앙에 제시된다(S1210). 응시점(5)이 제시되는 시간은 500ms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S1220 단계 내지 S1260 단계는 동일하게 실행된다. 기억샘플(1)에서 가까운 곳에 H 또는 F 의 글자가 제시된다(S1220). 이때 주변부에 H 또는 F 의 큰 글자가 제시된다(S1230). 이 큰 글자는 억제해야 하는 방해 자극(20)이다. 이후 여러 개의 글자가 나타난다. 대상자가 할 일은 응시점(5) 주변의 작은 글자중에 H 또는 F 가 있는지 판별하는 것이다. 이 작은 글자가 반응해야 할 표적 자극(10)이고 이 표적 자극(10) 외에 주변시에도 마찬가지로 H 또는 F 가 제시되는데 이 자극에 대해서는 반응을 하지 않고 억제해야 한다. 이 자극을 방해 자극(20)이라고 한다. 방해 자극(20)은 주변시 근처의 표적 자극(10)보다 크게 제시된다. 표적 자극(10)과 방해 자극(20)이 제시되는 시간은 200ms인 것이 바람직하다.
과제의 부하에는 저부하 조건과 고부하 조건의 두 가지 조건이 있다. 저부하 조건에서는 응시점(5) 주변에 표적 자극(10)과 주변시에 방해 자극(20) 두 자극만 제시된다. 고부하 조건에서는 표적 자극(10)과 방해 자극(20) 외에 주변시 부근에 비표적 자극(40)이 제시되어 과제의 부하가 높아진다(S1240).
다음으로, 또 다른 조작은 표적 자극(10)과 방해 자극(20)의 일치여부이다. 일치 조건의 경우, 표적 자극(10)과 같은 글자가 방해 자극(20)으로 제시되며(S1250), 불일치 조건의 경우 표적 자극과 다른 글자가 방해 자극으로 제시된다(S1260).
이후 기억테스트 프로브(1’)가 제시된다(S1270). 실험 대상자들은 S1200 단계에서 기억한 기억샘플(1)과 기억테스트 프로브(1’)의 채색 도형이 같은지 다른지를 같음(Same) 또는 다름(Different)로 답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의 중독 점수 히스토그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S1300단계는 S1100 단계에서 생성된 중독스케일 데이터를 계산하여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점수를 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중독 점수는 정상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은 23.7, 표준 편차는 9.36이었다.
도 5(a)는 도 2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의 주의 자극 단서가 없는 경우의 인지과제 수행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b)는 주의 자극 단서가 있는 경우의 인지과제 수행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도 3a의 일실시예의 기억 유도적 주의 그룹의 인지과제 수행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도 3b의 일실시예의 자극-유도적 주의 그룹의 인지과제 수행 데이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S1400단계는 S1200 단계에서 생성된 행동측정 데이터로부터 인지과제 수행수준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인지 과제의 경우에, 주의 단서가 없는 조건에서는 저부하 조건에서만 표적과 방해 자극의 일치 여부에 따른 반응 시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저부하 조건에서만 방해 자극에 의한 간섭이 나타났고 고부하 조건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비슷한 결과가 주의 단서가 제시된 조건에서도 나타났다. 중요한 점은 주의 단서가 나타났을 경우에, 저부하 조건에서의 방해 자극에 의한 간섭이 유의미하게 크게 나타났다.
도 7은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의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점수와 인지 과제에서의 방해 자극 간섭의 상관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S1500단계는 S1300 단계와 S1400 단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이고, S1600단계는 S1500단계의 상관관계를 그래프로 구현하는 단계이고, S1700단계는 S1600단계의 그래프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독정도 진단기준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중요한 점은 단서가 제시되었을 때의 간섭효과와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점수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발견되었고(S1500), 이러한 상관관계를 그래프로 구현하면(S1600) 단서가 제시되었을 때의 저부하 조건에서의 간섭 효과를 통해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를 예측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중독 증상의 기저에 깔린 인지적 처리는 방해 자극 억제 능력과 연관된다는 결과를 토대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에 따른 중독정도 진단기준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S1700).
도 8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2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지과제 수행수준 장치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방법은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척도를 사용하여 중독스케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100),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00), S1100 단계에서 생성된 중독스케일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S1300), S1200 단계에서 생성된 행동측정 데이터로부터 인지과제 수행수준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S1400), S1300 단계와 S1400 단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S1500), S1500 단계의 상관관계를 그래프로 구현하는 단계(S1600), 및 S1600 단계의 그래프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독정도 진단기준을 설정하는 단계(S1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00) 는 저부하 조건을 수행하는 경우, 가운데 응시점에서 가까운 곳에 표적 자극인 H 또는 F 가 제시되는 단계(S1200), 및 저부하 조건을 수행하는 경우, 주변부에 억제해야 하는 방해 자극이 표적 자극보다 큰 글자로 제시되는 단계(S1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00)는 고부하 조건을 수행하는 경우, 주변시 부근에 비표적 자극이 제시되는 단계(S1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00)는 방해 자극과 표적 자극의 일치 조건의 경우, 방해 자극이 표적 자극과 같은 글자가 방해 자극으로 제시되는 단계(S1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00)는 방해 자극과 표적 자극의 불일치 조건의 경우, 방해 자극이 표적 자극과 다른 글자가 방해 자극으로 제시되는 단계(S1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00)는 과제 자극이 제시되기 이전에 주의 단서 자극이 제시되는 단계(S1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 진단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 진단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10), 인지능력 분석부(120), 인지능력 비교부(130), 데이터베이스(140) 및 중독정도 진단부(15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 진단장치(100)의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수행하는 아동(이하, 대상)의 반응을 입력 신호로서 감지한다. 즉, 인터페이스부(110)는 대상의 인지능력을 분석하기 위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이 실행되도록 제공된 상태에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에 대한 대상의 반응 정보를 획득하며, 이때 반응 정보는 대상의 (정)반응시간, 정반응시간의 표준편차, 정반응수, 누락 오류수, 과잉 반응수 또는 보속 오류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반응시간은 대상에게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의 과제가 제시되었을 때 그것에 반응하여 대상이 어떤 응답이나 행동을 (옳게) 행할때까지 걸린 시간을 의미하고, 정반응시간의 표준편차는 정반응시간들의 표준편차를 의미하고, 정반응수는 대상이 주어진 과제에 옳게 반응한 횟수를 의미하고, 누락 오류수는 대상이 주어진 과제에 대해 반응하지 않은 횟수를 의미하고, 과잉 반응수는 대상이 주어진 과제가 아닌 다른 자극에 대해 반응한 횟수를 의미하고, 보속 오류수는 과제가 변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상이 새로 변경된 과제 대신 여전히 이전 과제에 따라 반응한 횟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인터페이스부(110)는 대상의 손모양을 감지 및 추적하는 제스쳐 감지 및 대상의 음성이나 소리를 감지하는 음성 감지를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인터페이스부(110)는 대상의 버튼입력 신호, 터치입력 신호, 또는 대상의 시선을 감지하는 다른 감지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10)는 대상의 손모양을 통해,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에 대한 대상의 반응을 인식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 진단장치(100)는 미리 구비된 인터페이스부(110)가 제스처를 감지하는 경우 대상의 손모양을 감지 및 추적함으로써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에 대한 대상의 반응을 인식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자신의 시야각에 포함된 대상의 손을 인식하고 그것의 모양 및 움직임을 추적하여, 대상의 반응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대상이 손바닥을 펴거나 주먹을 쥐면, 인터페이스부(110)는 그것을 감지하여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에 대한 대상의 반응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 진단장치(100)가 대상의 손에 대응되는 가상 커서를 설정한 경우, 인터페이스부(110)의 시야각 내에서 대상이 자신의 손을 움직이면 인터페이스부(110)는 이를 가상 커서를 움직이려는 대상의 의사표시나 반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가 대상의 손모양을 감지 또는 추적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는 이외에도 다양하게 있을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110)는 예를 들어, 인텔사의 지각 컴퓨팅(Intel Perceptual Computing), 립모션(leap motion) 또는 MYO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인지능력 분석부(12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획득되는 대상의 반응 정보를 참조로 하여,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의 실행결과를 처리하고, 그에 따라 대상이 복수 개의 부족한 인지능력의 타입 중 어떤 타입에 속하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인지능력 분석부(120)는 대상의 반응시간, 정반응수, 누락 오류수, 과잉 반응수 또는 보속 오류수 등의 반응 정보를 참조로 하여 대상의 인지능력이 어떤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락 오류수가 많은 경우, 이는 대상이 주어진 과제에 대해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누락 오류수가 미리 결정된 기준보다 많으면, 인지능력 분석부(120)는 대상이 주의력 영역에서 인지능력이 부족한 타입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과잉 반응수가 많은 경우, 이는 대상이 자신의 행동을 억제하거나 조절하는 데 능숙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과잉 반응수가 미리 결정된 기준보다 많으면, 인지능력 분석부(120)는 대상이 충동성 영역에서 인지능력(또는, 자제력)이 부족한 타입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보속 오류수가 많은 경우, 이는 대상이 새로 바뀐 과제를 바로 인식하거나 제때 주의를 전환하는 데 능숙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속 오류수가 미리 결정된 기준보다 많으면, 인지능력 분석부(120)는 대상이 주의전환 영역에서 인지능력이 부족한 타입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대상의 정반응시간이 길거나 정반응시간의 표준편차가 큰 경우, 이는 대상이 주어진 과제에 느리기 반응했거나 또는 빠르게 반응했다 느리게 반응하는 등 일관성 없게 반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응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보다 길거나 그것의 표준편차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크면, 인지능력 분석부(120)는 대상이 관련된 감각(예를 들어, 시각 또는 청각)에 대한 인지능력이 부족하거나 반응의 일관성 영역에서 인지능력이 부족한 타입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단 결과는, 이후에 대상에게 적절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을 비교하기 위해 참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인지능력 분석부(120)가 획득한 대상의 반응 정보(예를 들어, 반응시간, 정반응수, 누락 오류수 및 과잉 반응수)는 화면을 통해 대상 또는 주변의 다른 사용자(예를 들어, 대상의 보호자)에게 디스플레이 되거나, 인지능력 분석정보분석 정보 관리를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인지능력 비교부(130)는 인지능력 분석부(120)가 판단한 인지능력 진단정보(예를 들어, 대상이 앞서 설명한 여러 부족한 인지능력의 타입 중 어떤 타입에 속하는지)를 참조하여, 대상이 속한 타입의 적절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을 선택 또는 비교한다. 선택 또는 비교된 결과는 인지능력 진단정보의 실행을 위해 중독정도 진단부(150)로 제공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 진단장치(100)에 데이터 저장수단을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예를 들어, 대상의 인적사항, 고유 아이디,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 진단장치(100)의 사용 이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의 결과로서 인지능력 분석부(120)가 분석한 대상의 인지능력 반응정보(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에 대한 반응시간, 정반응수, 누락 오류수, 과잉 반응수) 및 인지능력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인지능력 분석정보, 및 특정 인지 영역에 상응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위해 미리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 또는 복수 개의 인지능력의 타입 중 특정타입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데이터베이스(140)는 대상의 인지능력 상태 추이나 개선 추이를 제공하기 위해, 대상의 인지능력 분석정보를 시간에 따라 누적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중독정도 진단부(150)는 시작시에 인지과제 수행수준 설문 조사를 실행한 결과와, 이후에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에 대한 대상의 반응에 따라 인지능력 비교부(130)가 선택 또는 비교하는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실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를 진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중독정도 진단부(150)는 미리 결정된 설정에 따라, 인지능력 비교부(130)의 비교에 즉각적으로 응답하여 곧바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에 따른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를 진단할 수도 있고, 또는 대상이나 다른 사용자의 승인을 기다려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을 실행하여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를 진단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 진단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 진단장치(100)는 대상의 인지능력을 분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단정보를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으로서 실행되도록 제공하고, 실행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에 대한 대상의 반응을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된 반응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에 대한 대상의 반응 정보(예를 들어, 반응시간, 정반응수, 누락 오류수 또는 과잉 반응수 등)를 획득하고, 인지능력 분석부(120)는 획득된 반응 정보를 참조로 하여 대상이 복수 개의 부족한 인지능력의 타입 중 어느 타입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 한편, 대상의 반응 정보 또는 인지능력 진단정보는 대상에 대한 분석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다. 그리고, 인지능력 비교부(130)는 앞서의 진단 결과를 참조하여, 대상이 속한 타입에 따른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을 선택 또는 비교한다. 선택 또는 비교 결과는 중독정도 진단부(150)로 제공되고, 중독정도 진단부(150)는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비교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을 읽어내어 중독정도를 진단한다.
계속해서, 비교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이 실행되면,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 진단장치(100)는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에 대한 대상의 반응을 감지하고, 앞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의 경우와 동일하게 대상의 반응으로부터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에 대한 대상의 반응 정보를 획득한 후, 그것을 참조로 하여 대상이 어떤 타입에 속하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대상의 인지능력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의 실행을 통해, 획득된 대상의 반응 정보 또는 인지능력 진단정보도 대상에 대한 분석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40)에 누적적으로 저장되고, 여전히 대상이 특정타입에 속한 것으로 진단되는 경우 그 타입에 적합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을 다시 비교 및 실행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대상에 대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때마다 획득되는 대상의 인지능력 반응정보 또는 인지능력 진단정보는 인지능력 분석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40)에 누적적으로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인지능력 분석정보는 미리 결정된 시간이나 상황에서 또는 대상이나 사용자가 원할 때, 외부로 출력 또는 디스플레이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들에 따른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는 인지영역별로 다양하게 조건화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해 대상의 인지능력을 종합적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상의 인지능력 타입을 파악하여 그에 적절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을 능동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대상의 인지능력을 효과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인지능력의 변화 추이 및 개선 추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대상의 인지능력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및 상태 파악이 가능해진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140)의 저장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140)는 사용자 정보(141) 및 인지능력 분석정보(142)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영역과 시각주의력 진단정보, 주의전환 진단정보 및 충동조절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인지능력진단정보(143)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141)는 대상의 인적사항, 고유 아이디 또는 대상이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 진단장치(100)를 이용하여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한 이력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사용자 정보(141)는 새로운 사용자 정보 입력에 의해 또는 대상의 추가적인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 진단장치(100) 사용에 의해 새롭게 갱신될 수 있다.
인지능력 분석정보(142)는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 또는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 타입을 통해 측정 또는 진단된 대상의 인지능력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인지능력 분석정보(142)는 인지능력 반응정보(142a) 및 인지능력 결과정보(142b)를 포함한다.
인지능력 반응정보(142a)는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에 대한 대상의 반응을 분석하여 측정된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에 대한 대상의 반응시간, 정반응수, 누락 오류수 또는 과잉 반응수 등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상의 반응에 관한 다양한 변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지능력 결과정보(142b)는 인지능력 반응정보(142a)에 기초하여 대상의 중독정도를 진단한 결과로서, 예를 들어 대상이 복수 개의 인지능력의 타입 중 어떤 타입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특정타입에 대한 중독정도를 진단한 정보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지능력 결과정보(142b)는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 비교를 위해 인지능력 비교부(130)로 제공된다.
인지과제 수행수준 진단정보(143) 영역은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단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여기서는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데이터베이스(140)는 복수 개의 인지 능력의 타입 중 특정타입에 속한 대상의 인지능력을 분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은 인지과제 수행수준 진단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구동되는 진단정보일 수 있다. 가령, 특정 인지영역에 대응되는 어떤 인지과제 수행수준 진단정보는 동시에 그 인지영역에 대응되는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으로도 혼용될 수 있다.
시각주의력 진단정보는 대상의 시각반응에 기초하여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진단정보이고, 청각주의력 진단정보는 대상의 청각반응에 기초하여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진단정보이고, 주의전환 진단정보는 대상의 주의전환 반응에 기초하여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진단정보이고, 충동조절 진단정보는 대상의 충동조절 반응에 기초하여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인지과제 수행수준 진단정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인지능력 분석정보(142)의 상세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인지능력 분석정보(142)는 인지능력 반응정보(142a) 및 인지능력 결과정보(142b)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지능력 반응정보(142a)는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에 대한 대상의 반응을 분석하여 측정된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에 대한 대상의 반응시간, 정반응수, 누락 오류수 또는 과잉 반응수 등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상의 반응에 관한 다양한 변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지능력 결과정보(142b)는 인지능력 반응정보(142a)에 기초하여 대상의 인지능력을 판단한 결과로서, 예를 들어 대상이 복수 개의 인지능력의 타입 중 어떤 타입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특정타입에 대한 중독정도를 진단한 정보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지능력 결과정보(142b)는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타입 비교를 위해 인지능력 비교부(130)로 제공된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를 객관적으로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의 부분적 원인이 인간의 주의 이동 및 방해 자극 억제라는 집행 기능의 저하에 있다는 증거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인지적 기능 항진을 위한 치료 프로그램 개발로 이어질 수 있으며 기존의 상담 치료 외에도 인지 기능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중독 증상을 치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기능성 앱 개발로도 이어질 수 있다.
1 : 기억샘플
1' : 기억테스트 프로브
5 : 응시점
10 : 표적 자극
20 : 방해 자극
30 : 주의 단서 자극
40 : 비표적 자극
100 :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 진단장치
110 : 인터페이스부
120 : 인지능력 분석부
130 : 인지능력 비교부
140 : 데이터 베이스
141 : 사용자 정보
142 : 인지능력 분석정보
142a : 인지능력 반응정보
142b : 인지능력 결과정보
143 : 인지능력 진단정보
150 : 중독정도 진단부

Claims (12)

  1.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방법에 있어서,
    (a)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척도를 사용하여 중독스케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인지능력 분석부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중독스케일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
    (d) 상기 인지능력 분석부에 의해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행동측정 데이터로부터 인지과제 수행수준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
    (e) 인지능력 비교부에 의해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
    (f) 상기 인지능력 비교부에 의해 상기 (e) 단계의 상관관계를 그래프로 구현하는 단계; 및
    (g) 중독정도 진단부에 의해 상기 (f) 단계의 그래프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독정도 진단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b)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b-1) 저부하 조건을 수행하는 경우, 가운데 응시점에서 가까운 곳에 표적 자극인 H 또는 F 가 제시되는 단계; 및
    (b-2) 고부하 조건을 수행하는 경우, 주변부에 억제해야 하는 방해 자극이 표적 자극보다 큰 글자로 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b)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b-3) 고부하 조건을 수행하는 경우, 주변시 부근에 비표적 자극이 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b)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b-4) 방해 자극과 표적 자극의 일치 조건의 경우, 방해 자극이 표적 자극과 같은 글자가 방해 자극으로 제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b)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b-5) 방해 자극과 표적 자극의 불일치 조건의 경우, 방해 자극이 표적 자극과 다른 글자가 방해 자극으로 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b) 인지과제를 수행하고 행동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b-6) 과제 자극이 제시되기 이전에 주의 단서 자극이 제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 단서 자극은 하얀 점이 40ms 동안 제시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방법.
  8.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에 대한 대상의 반응 정보를 획득하는 인터페이스부(110),
    상기 획득된 반응 정보를 참조로 하여, 복수 개의 인지과제 수행수준 중 특정 인지과제 수행수준 타입에 상기 대상이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인지능력 분석부(120); 및
    상기 특정 인지과제 수행수준 타입과 설문상에서 기저장된 인지능력타입과의 상관관계를 비교분석하고 진단정보를 비교하는 인지능력 비교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인지과제 수행수준 측정은, 상기 대상의 시각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되, 서로 다른 표적 자극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적 자극의 객체들 중에서 미리 결정된 표적 자극의 객체들만을 상기 대상이 선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고,
    상기 대상의 주의전환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되, 미리 결정된 시나리오에 대해 상기 대상이 수행하여야 하는 과제를 제시하고,
    상기 대상의 충동조절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며,
    상기 대상의 시각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되, 미리 제공된 주의 단서 자극에 따른 표적 자극에 대해 상기 대상이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반응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의 시각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되, 표적 자극과 방해자극이 일치하는 조건이나 표적자극과 방해자극이 불일치하는 조건으로 나누어 제공된 자극에 대해 상기 대상이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반응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의 시각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되, 표적 자극과 방해 자극 외에 주변시 부근에 비표적 자극이 제시되는 고부하 조건 대해 상기 대상이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반응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의 인지능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
  12. 청구항 1의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20170124114A 2017-09-26 2017-09-26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1955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14A KR101955949B1 (ko) 2017-09-26 2017-09-26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14A KR101955949B1 (ko) 2017-09-26 2017-09-26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949B1 true KR101955949B1 (ko) 2019-03-08

Family

ID=65800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114A KR101955949B1 (ko) 2017-09-26 2017-09-26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9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2930A (zh) * 2021-06-30 2021-09-07 浙江连信科技有限公司 用于确定戒毒人员心瘾等级的信息处理方法及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874A (ko) * 2007-07-24 2009-01-30 정재범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KR101498593B1 (ko) * 2013-08-26 2015-03-04 허진만 게임 또는 인터넷 중독 평가 장치 및 방법
WO2015080328A1 (ko) 2013-11-27 2015-06-04 손경순 색채도형 심리 진단장치 및 방법
KR20150143212A (ko) * 2014-06-13 2015-12-23 (주) 미디어인터랙티브 인지능력 훈련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20160105286A (ko) * 2015-02-27 2016-09-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터넷 과몰입 진단 장치 및 방법
JP2016179193A (ja) * 2010-11-11 2016-10-13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注意転導および/または妨害の存在下での認知の増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874A (ko) * 2007-07-24 2009-01-30 정재범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JP2016179193A (ja) * 2010-11-11 2016-10-13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注意転導および/または妨害の存在下での認知の増強
KR101498593B1 (ko) * 2013-08-26 2015-03-04 허진만 게임 또는 인터넷 중독 평가 장치 및 방법
WO2015080328A1 (ko) 2013-11-27 2015-06-04 손경순 색채도형 심리 진단장치 및 방법
KR20150143212A (ko) * 2014-06-13 2015-12-23 (주) 미디어인터랙티브 인지능력 훈련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20160105286A (ko) * 2015-02-27 2016-09-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터넷 과몰입 진단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dlington, L. J. (2015). Cognitive failures in daily life: Exploring the link with Internet addiction and problematic mobile phone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51, 75-8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2930A (zh) * 2021-06-30 2021-09-07 浙江连信科技有限公司 用于确定戒毒人员心瘾等级的信息处理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78935A (zh) 采用面部追踪和情感检测及其相关的方法应用在一种交互式自适应学习及神经认知障碍诊断系统
US20170278417A1 (en) Evaluating test taking
KR101667281B1 (ko) 인지능력 훈련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1829606B1 (ko) 인터넷 과몰입 진단 장치 및 방법
Sharma et al. Sensing technologies and child–computer interaction: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ethical considerations
Munoz et al. Development of a software that supports multimodal learning analytics: A case study on oral presentations
US2018036578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on of faked identity using unexpected questions and computer input dynamics
US10191830B1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processing and analyzing data regarding self-awareness and executive function
KR20220056072A (ko) 가상현실 및 인공지능 기반의 집중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진단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US10065118B1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processing and analyzing data regarding self-awareness and executive function
Medjden et al. Adaptive user interface design and analysis using emotion recognition through facial expressions and body posture from an RGB-D sensor
KR20240066974A (ko) 인물의 특성에 따라 맞춤형 상담을 수행하는 방법
Maqbool et al. Potential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ssues in usability evaluation within digital healt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Dubey et al. Using mobile health technology to assess childhood autism in low-resource community settings in India: An innovation to address the detection gap
Lins et al. Computer mouse tracking reveals motor signatures in a cognitive task of spatial language grounding
KR101955949B1 (ko)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정도의 진단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
CN113658697A (zh) 一种基于视频注视差异的心理测评系统
KR20130095473A (ko) 기능성 게임을 위한 플랫폼 장치
Bruder et al. Evaluation of diagnostic rules for real-time assessment of mental workload within a dynamic adaptation framework
JP2019208758A (ja) 認知機能測定システム、認知機能測定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iapis et al. UDSP+ stress detection based on user-reported emotional ratings and wearable skin conductance sensor
JP746996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hettaoui et al. Predicting Students Performance Using Eye-Gaze Features in an Embodied Learning Environment
US9703407B1 (en) Motion restriction and measurement for self-administered cognitive tests
Gao et al. Detecting Teacher Expertise in an Immersive VR Classroom: Leveraging Fused Sensor Data with Explainable Machine Learning Mod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