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411B1 - 태블릿pc를 이용한 임상미술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태블릿pc를 이용한 임상미술 치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4411B1 KR101534411B1 KR1020130146227A KR20130146227A KR101534411B1 KR 101534411 B1 KR101534411 B1 KR 101534411B1 KR 1020130146227 A KR1020130146227 A KR 1020130146227A KR 20130146227 A KR20130146227 A KR 20130146227A KR 101534411 B1 KR101534411 B1 KR 1015344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task
- training
- training module
- table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246 art therapy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0000006993 memory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08000010877 cognitive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08000020764 Sensation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3935 att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06010008129 cerebral palsy Diseases 0.000 description 9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08000028698 Cognitive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6010040026 Sensory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920 cognitiv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735 defic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9028 brain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69 central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3723 learning disabil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1597 CGF1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1118 Hypoto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358 Learning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6626 Mental retard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6285 Movemen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9816 Muscle tight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799 Para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31 brain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74 brain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30 cognitive 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9 langu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87 long-term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111 motor develop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8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32 selective att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403 short-term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39 social cogn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580 syndrom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co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블릿PC를 이용한 임상미술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태블릿PC(10)는 프로그램 저장장치(11)와; 상기 프로그램 저장장치(11)에 설치된 상기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20)을 구동하는 CPU(12)와; 상기 CPU(12)와 연결되어 정보를 입출력하는 터치스크린(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20)에는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22)과,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23) 및 협응훈련 모듈(24)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감각장애나 인지장애를 가지는 환자의 근육의 긴장 완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감각장애나 인지장애를 가지는 환자의 근육의 긴장 완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태블릿PC를 이용한 임상미술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뇌졸중 환자나 뇌성마비 아동과 같이 인지장애 및 감각장애를 가지는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의 중증 정도에 따라 적절한 훈련이 이루어짐으로써 효과적인 훈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훈련결과를 평가 및 기록함으로써 체계적인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태블릿PC를 이용한 임상미술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뇌성마비는 비진행성 중추신경계의 결함으로 운동과 감각장애를 초래하며, 근육의 마비, 약증, 협응운동 장애 등으로 운동 발달이 적절한 시기에 일어나지 못하는 증후군으로서 정신지체, 시각장애, 언어장애, 청각장애, 지각장애, 지능저하 등을 수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의 집중, 기억, 언어, 시·공간 관계, 일시적·연속적 규칙, 운동신경 기능, 고등인지 기능, 사회 인지 등 전반적으로 인지기능에 있어서 결함을 나타난다. 특히 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의 집중의 결함으로 인하여 주의가 산만하고 충동적이며 인내심이 부족한 경우도 있다.
뇌졸중 환자나 뇌성마비 아동과 같은 환자는 주의집중의 3가지 구성요소인 주의집중 지속시간, 주의집중의 범위와 초점, 선택적 주의집중에 심한 어려움을 가지며 주어진 투입 정보를 나중에 재생하기 위해 조직, 구성하는 효과적인 기술이 부족하다. 이러한 감각 및 인지능력의 장애가 환자의 정신 및 지적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뇌졸중 환자나 뇌성마비 아동과 같은 환자의 정보처리 특성은 수반되는 감각 장애·인지 장애·정신 지체 등으로 인하여 정보처리 초기 단계인 감각 기억에서부터 결함이 나타나 정보의 정확한 입력이 일반인보다 떨어진다는 점이다. 즉, 뇌졸중 환자나 뇌성마비 아동과 같은 환자는 정보가 입력되는 초기 감각단계에서부터 결함을 초래하여 주의집중의 문제, 단기 기억의 문제 및 장기 기억의 문제가 발생되어 정보처리 각 단계마다 결함을 초래하여 낮은 지적수행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뇌졸중 환자나 뇌성마비 아동의 주의집중 결여는 인지기능과 학습장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면서 이들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인지장애 또는 감각장애를 가지는 환자의 주의집중을 반복적으로 훈련함으로써 인지기능과 학습장애를 치료하려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최근 전자기술 및 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컴퓨터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무선통신 등을 이용한 원격진료, 병의 치료 또는 인지장애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하나의 예로서 특허 제1267118호에 개시된 '글러브 센서를 이용한 모션인식 가상현실 재활훈련 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재활훈련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컴퓨터 본체; 컴퓨터 본체의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카메라; 카메라의 상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모션을 캡처하여 프로그램상의 가상공간에서 주어지는 다양한 콘텐츠인 운동조절, 상황인식, 실행기능, 인지훈련을 디스플레이하는 프로그램 디스플레이부 카메라로 촬영될 수 있는 위치에 서있는 사용자의 손에 끼워져 촉각과 고유수용성 감각을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모션을 인식하는 글러브센서로 이루어져, 가상공간에서 주어지는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환자의 움직임이나 반응에 따라 모니터에 나타난 이미지도 똑같이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재활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뇌졸중 환자나 뇌성마비 아동 등과 같은 감각장애나 인지장애를 가지는 환자의 경우 비진행성 중추신경계의 결함으로 인해 운동과 감각장애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환자에게 글러브센서 등을 착용시킨 다음, 환자의 모션을 캡쳐하여 재활 훈련하기는 쉽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주의집중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다.
한편, 감각장애나 인지장애를 가지는 환자인 경우에도 단순한 그림이나 물체에 대해서는 쉽게 반응하고, 따라서 이러한 환자에게 단순한 형태의 그림을 제시한 다음, 환자가 이에 적절히 반응하는 훈련을 반복함으로써 주의력 집중 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인지능력도 아울러 향상(통상, 이를 '임상미술 치료'라고 한다.)시킬 수 있는데,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임상미술 치료는 미술치료사가 직접 치료 대상 환자에게 그림을 보여주고, 환자는 이에 응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따라서 미술치료사에 따라 학습내용과 훈련방법이 달라 일관된 훈련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또한 훈련 내용, 훈련 과정 및 훈련 결과 등이 기록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질적이며 체계적인 치료가 행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좀 더 체계적이면서도 효과적인 임상미술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는 치료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인지 또는 감각 재활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아울러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지장애 및/또는 감각장애를 가지는 환자에게 단순한 형태의 그림을 제시하여 이에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근육의 긴장과 완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훈련 경과 내용을 기록하고, 훈련에 따른 결과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계적인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임상미술 치료과정과 치료효과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태블릿 PC를 이용한 임상미술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테블릿PC를 이용한 임상미술 치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블릿PC는 프로그램 저장장치와; 상기 프로그램 저장장치에 설치된 상기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CPU와; 상기 CPU와 연결되어 정보를 입출력하는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에는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과,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 및 협응훈련 모듈이 포함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에는 입출력 모듈과 평가 모듈이 각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입출력 모듈에는 과제진행에 맞추어 과제 수행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음성출력부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에는 불규칙하게 배열된 여러 가지 모형의 도형으로부터 동일한 도형을 선택하는 과제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그림을 선택하는 과제가 포함되고, 상기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에는 일부분이 생략된 미완성 그림을 제시하고, 생략된 그림에 적합한 그림을 선택함으로써 그림을 완성시키는 과제가 포함되며, 상기 협응훈련 모듈에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연결선을 긋는 과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평가 모듈은 상기 훈련모듈에 각각 포함된 과제와 동일한 과제를 제시하여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평가 모듈에서의 상기 협응훈련 모듈에서 제시하는 과제의 수행결과에 대한 평가는 입력된 연결선을 최소자승법에 의해 직선으로 커브 피팅한 다음, 상기 커브 피팅된 직선의 수평선에 대한 각도를 계산하여 일정 각도 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뇌졸중 환자나 뇌성마비 아동과 같은 감각장애 및/또는 인지장애를 가지는 환자(치료대상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의 중증 정도에 따라 적절한 훈련이 이루어짐으로써 효과적인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훈련결과가 정량적으로 평가 및 기록되기 때문에 훈련성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토대로 체계적인 훈련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환자에게 단순한 형태의 그림을 제시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하여 훈련에 적극 임하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근육의 긴장과 완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지재활 장치의 구성예를 보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PC의 구성예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에 포함된 과제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에 포함된 과제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협응훈련 모듈에 포함된 과제의 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PC의 구성예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에 포함된 과제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에 포함된 과제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협응훈련 모듈에 포함된 과제의 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치료대상 환자의 주의집중 능력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근육의 긴장완화를 도모함으로써 효과적인 재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임상미술 치료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치료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PC(10)와 태블릿PC(10)에 설치되는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20)으로 이루어진다.
태블릿PC(10)는 마이크로소프트사 또는 애플사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기반으로 하여 구동되고, 그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20)이 설치되는 저장장치(11)와, 저장장치(11)에 설치된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20)을 구동하는 CPU(12) 및 CPU(12)에 의해 구동되는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20)이 화면으로 출력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응답을 받는 터치스크린(1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태블릿PC(10)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상용 제품 중 어느 하나로 실시되는데, 이때 터치스크린(13)의 크기는 운동과 감각장애가 있는 환자를 치료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고려하여 가로 150mm와 세로 200mm 이상의 비교적 큰 화면을 가지는 제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저장장치(11)에는 후술하는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20)이 저장되며, 또한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20)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환자의 이름, 중증 정도, 날짜 등의 기초자료가 미리 저장되고, 아울러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20) 수행과정에서 생성된 훈련 결과 등이 저장된다.
태블릿PC(10)의 저장장치(11)에 저장 및 설치되는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20)은 치료대상 환자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20)은 모듈화된 형식으로 프로그램되며, 이때 환자의 변별력 향상과, 주의력 집중 및 근육 강화훈련 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 모듈(21),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22),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23), 협응훈련 모듈(24) 및 평가 모듈(25)로 이루어지며, 입출력 모듈(21)을 제외한 각각의 훈련 모듈(22, 23, 24)은 환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과제를 그림 형태로 제시함으로써 환자가 흥미를 느끼고 훈련에 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모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1) 입출력 모듈(21)
입출력 모듈(21)은 치료대상 환자가 입력한 정보, 과제 및 훈련 결과 등을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기 위한 모듈로서, 이러한 입출력 모듈(21)에 의해 후술하는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22),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23) 및 협응훈련 모듈(24) 등에 포함된 각각의 과제와 치료대상 환자의 인력정보 등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이를 위해 태블릿PC(10)의 저장장치(11)에는 치료대상 환자의 인적 사항과 중증 정도 등이 입력된 인적정보 파일이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미리 저장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각각의 모듈을 구성하는 훈련과제들은 태블릿PC(10)의 저장장치(11)에 미리 저장되어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20)을 구성하는 입출력 모듈(21)에 의해 호출된다.
한편, 치료대상 환자가 후술하는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22),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23) 및 협응훈련 모듈(24)에 포함된 각각의 과제를 수행할 때 환자에게 과제진행에 맞추어 과제 수행방법 등을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입출력 모듈(21)에는 별도의 음성출력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다.
(2)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22)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22)은 치료대상 환자의 변별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는 훈련과제를 제시하는 모듈로서, 이 모듈에서는 치료대상 환자에게 제시된 그림에 나타난 형상에 있어서의 차이를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변별력 향상을 도모하는데, 이를 위해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22)에서 제시되는 과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규칙하게 배열된 여러 가지 모형의 도형으로부터 동일한 도형을 선택하는 과제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의 두더지를 선택하는 과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22)에서 제시되는 과제는 다른 훈련모듈에서 제시하는 과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으며, 이에 따라 변별력 향상 훈련 모듈(22)은 상대적으로 중증 정도가 심한 환자에 대해 주로 이루어진다.
(3)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23)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23)은 다양한 정보나 시각 및 연속된 자료를 보고 특정 정보를 기억하는 훈련을 반복함으로써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는 과제를 제시하는 모듈로서, 이러한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23)은 상기한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22)에서 제시하는 과제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주의력과 집중력이 향상되었거나 또는 중증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된다.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23)에서 제시되는 과제는 치료대상 환자의 기억력 증진훈련이 이루어지도록 먼저 터치스크린의 화면 상에 완성된 상태의 그림을 일정 시간 동안 나타내어 보여준 다음, 다음 화면에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상부에는 일부분이 생략된 미완성 그림을 제시하고, 그 하부에는 미완성 그림의 생략된 부분을 포함한 그림과 이와 유사한 형태의 그림을 제시하여 이 중에서 가장 적절한 그림을 선택하는 과제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시된 미완성 그림에서 누락된 부분에 해당하는 형상의 그림(도 5b에서는 사과)을 선택하여 완성시키는 과제 등으로 이루어진다.
(4) 협응훈련 모듈(24)
치료대상 환자의 대부분은 뇌 손상으로 인해 신체의 각부의 움직임이 상호간 협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또한 대근육과 소근육 운동 기능이 발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떤 이벤트에 대해 눈과 손이 협력하여 반응하는 것(협응반응)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협응훈련 모듈(24)은 시각과 양손의 협응을 유도하여 신체 움직임을 통해 대근육과 소근육 운동 기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하는 모듈로서, 이러한 협응훈련 모듈(24)에서 제시되는 과제는 도 6a와 도 6b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의 화면의 양쪽에 각각 제시되는 여러 그림들 중에서 같은 모양을 가지는 그림을 전자펜(도시하지 않음)으로 서로 연결하는 과제와, 제시된 그림과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표시된 순서에 따라 선을 연결하는 과제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훈련에 의해 협응 능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대근육과 소근육의 운동 기능이 향상되게 된다.
(5) 평가 모듈(25)
평가 모듈(25)은 치료대상 환자가 상기한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22),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23) 및 협응훈련 모듈(24)에서 각각 제시된 과제를 수행할 때 그 수행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모듈로서, 따라서 평가 모듈(25)은 상기의 훈련모듈(22, 23, 24)에 포함된 과제와 동일한 과제를 제시하고, 치료대상 환자가 이 제시된 과제에 대해 반응하여 자신이 맞다고 생각하는 답을 입력하면 그 정오를 판단하여 점수화한 다음, 이 점수와 함께 치료대상 환자의 이름과 날짜 및 훈련모듈의 종류 등을 저장장치 내에 저장한다.
상기한 3가지의 훈련모듈 중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22)과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23)에서 제시하는 과제의 수행결과에 대한 평가는 단순한 정오 판단이기 때문에 쉽게 행해질 수 있지만, 협응훈련 모듈(24)에서 제시하는 과제는 환자가 직접 선을 그어 서로 연결하는 등의 과제이기 때문에 과제 수행결과에 대해 평가하기가 간단하지 않으며, 더구나 뇌졸중 환자나 뇌성마비 아동의 경우 운동 신경과 근육의 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평가하기가 더욱 곤란하다.
이에 따라 협응훈련 모듈(24)에서 제시하는 과제의 수행결과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6a에서와 같이 서로 동일한 형태의 그림을 서로 연결하는 과제의 예를 들면, 한 화면의 좌우측에 각각 3개 내지 5개의 그림이 나타난 상태에서 정답인 좌우의 오토바이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선의 수평선에 대한 각도는 대략 시계방향으로 15°내외의 각도를 가지게 되고, 만약 치료대상 환자가 오답인 좌측의 오토바이와 우측의 선박을 연결하는 경우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0°내외의 각도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치료대상 환자가 2개의 그림을 연결하는 선을 긋는 경우 그 연결선이 직선을 이루지 못할 수 있고, 더구나 뇌졸중 환자나 뇌성마비 아동의 경우 직선을 이루기가 더욱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치료대상 환자가 터치스크린 상에 연결선을 그으면 이 연결선을 최소자승법에 의해 직선으로 커브 피팅(curve fitting)한 다음, 이 커브 피팅된 직선의 수평선에 대한 각도를 계산하여 일정 각도 범위 이내, 위의 오토바이의 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의 15°에서 시계방향 및 시계반대방향으로 7.5° 이내인 경우 정답으로 처리하고, 이를 벗어나는 경우 오답으로 처리함으로써 평가하며, 이러한 평가방법은 도 6b에 도시된 별 그리기 과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를 위해 평가 모듈에는 각각의 과제에서 정답으로 인정되는 연결선의 각도 범위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 상에 연결선에 그어진 연결선에 대한 정보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쉽게 얻을 수 있고, 이러한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최소자승법에 의해 직선으로 커브 피팅하고, 커브 피팅된 직선의 방향을 구하는 방법 등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본 발명은 태블릿PC(10)에 설치된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20)을 통해 치료대상 환자가 중증 정도에 따라 적절히 제시되는 과제를 차례로 또는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집중력과 근육 강화가 쳬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단순한 그림을 통해 훈련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흥미가 유발되어 더욱 과제의 수행에 집중하게 된다.
더욱이 훈련과정 별로 정량화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평가 결과가 누적됨으로써 그 추이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훈련성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효과적인 훈련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10: 태블릿PC 11: 저장장치
12: CPU 13: 터치스크린
20: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
21: 입출력 모듈 22: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
23: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 24: 협응훈련 모듈
25: 평가 모듈
12: CPU 13: 터치스크린
20: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
21: 입출력 모듈 22: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
23: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 24: 협응훈련 모듈
25: 평가 모듈
Claims (6)
- 태블릿PC를 이용한 임상미술 치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블릿PC(10)는 프로그램 저장장치(11)와; 상기 프로그램 저장장치(11)에 설치된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20)을 구동하는 CPU(12)와; 상기 CPU(12)와 연결되어 정보를 입출력하는 터치스크린(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20)에는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22)과,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23) 및 협응훈련 모듈(24)이 포함되고,
상기 변별력 향상훈련 모듈(22)에는 불규칙하게 배열된 여러 가지 모형의 도형으로부터 동일한 도형을 선택하는 과제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그림을 선택하는 과제가 포함되고, 상기 기억력 향상훈련 모듈(23)에는 일부분이 생략된 미완성 그림을 제시하고, 생략된 그림에 적합한 그림을 선택함으로써 그림을 완성시키는 과제가 포함되며, 상기 협응훈련 모듈(24)에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연결선을 긋는 과제가 포함되며, 평가 모듈(25)은 상기 훈련모듈(22, 23, 24)에 각각 포함된 과제와 동일한 과제를 제시하여 평가하고,
평가 모듈(25)에서의 상기 협응훈련 모듈(24)에서 제시하는 과제의 수행결과에 대한 평가는 입력된 연결선을 최소자승법에 의해 직선으로 커브 피팅한 다음, 상기 커브 피팅된 직선의 수평선에 대한 각도를 계산하여 일정 각도 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PC를 이용한 임상미술 치료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20)에는 입출력 모듈(21)과 평가 모듈(25)이 각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PC를 이용한 임상미술 치료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모듈(21)에는 과제진행에 맞추어 과제 수행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음성출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PC를 이용한 임상미술 치료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6227A KR101534411B1 (ko) | 2013-11-28 | 2013-11-28 | 태블릿pc를 이용한 임상미술 치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6227A KR101534411B1 (ko) | 2013-11-28 | 2013-11-28 | 태블릿pc를 이용한 임상미술 치료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1899A KR20150061899A (ko) | 2015-06-05 |
KR101534411B1 true KR101534411B1 (ko) | 2015-07-24 |
Family
ID=5349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6227A KR101534411B1 (ko) | 2013-11-28 | 2013-11-28 | 태블릿pc를 이용한 임상미술 치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441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0338A (ko) | 2018-08-17 | 2020-02-26 |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 협력성 검사를 위한 이미지 분석 장치 및 분석 방법, 그리고 심리 검사를 위한 이미지 분석 장치 및 분석 방법 |
WO2020111343A1 (ko) * | 2018-11-30 | 2020-06-04 | 주식회사 아리아케어코리아 | 고스톱 게임을 이용한 뇌질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5274B1 (ko) * | 2007-01-16 | 2008-02-20 |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게임을 이용한 인지 장애 치료 방법 및 그 기록 매체,게임을 이용한 인지 장애 치료 장치 |
KR20090010874A (ko) * | 2007-07-24 | 2009-01-30 | 정재범 |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
KR101180086B1 (ko) * | 2008-10-30 | 2012-09-10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술치료 컴퓨터 시스템 및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
KR101320624B1 (ko) * | 2012-01-27 | 2013-10-23 | 주식회사 넷블루 | 통합형 인지 재활 시스템 및 통합형 인지 재활 서비스 제공 방법 |
-
2013
- 2013-11-28 KR KR1020130146227A patent/KR10153441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5274B1 (ko) * | 2007-01-16 | 2008-02-20 |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게임을 이용한 인지 장애 치료 방법 및 그 기록 매체,게임을 이용한 인지 장애 치료 장치 |
KR20090010874A (ko) * | 2007-07-24 | 2009-01-30 | 정재범 |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
KR101180086B1 (ko) * | 2008-10-30 | 2012-09-10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술치료 컴퓨터 시스템 및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
KR101320624B1 (ko) * | 2012-01-27 | 2013-10-23 | 주식회사 넷블루 | 통합형 인지 재활 시스템 및 통합형 인지 재활 서비스 제공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0338A (ko) | 2018-08-17 | 2020-02-26 |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 협력성 검사를 위한 이미지 분석 장치 및 분석 방법, 그리고 심리 검사를 위한 이미지 분석 장치 및 분석 방법 |
WO2020111343A1 (ko) * | 2018-11-30 | 2020-06-04 | 주식회사 아리아케어코리아 | 고스톱 게임을 이용한 뇌질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1899A (ko) | 2015-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ho et al. | Effects of virtual reality immersive training with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acute stage stroke: A preliminar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
Iruthayarajah et al. | The use of virtual reality for balance among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
Adlakha et al. | Effectiveness of gamification for the rehabilitation of neurodegenerative disorders | |
Veras et al. | Scoping review of outcome measures used in telerehabilitation and virtual reality for post-stroke rehabilitation | |
Turolla et al. | Haptic‐Based Neurorehabilitation in Poststroke Patients: A Feasibility Prospective Multicentre Trial for Robotics Hand Rehabilitation | |
Amorim et al. | Serious games for stroke telerehabilitation of upper limb-a review for future research | |
Paredes et al. | Evaluating in-car movements in the design of mindful commute interventions: exploratory study | |
Liu et al. | Leap-motion based online interactive system for hand rehabilitation | |
Meusel | Exploring mental effort and nausea via electrodermal activity within scenario-based tasks | |
Stammler et al. | Negami: an augmented reality app for the treatment of spatial neglect after stroke | |
Reyes et al. | Multidisciplinary production of interactive environments to support occupational therapies | |
KR101534411B1 (ko) | 태블릿pc를 이용한 임상미술 치료장치 | |
Komariah et al. | Effectivity of Virtual Reality to Improve Balance, Motor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Upper Limb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
Chau et al. | Systemic literature review of the use of virtual reality for rehabilitation in Parkinson disease | |
Fraiwan et al. | Therapy central: On the development of computer games for physiotherapy | |
Sitdhisanguan et al. | Evaluation the efficacy of computer-based training using tangible user interface for low-function children with autism | |
Zhao et al. | Tangible games for stroke rehabilitation with digital box and blocks test | |
Valdivia et al.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wo posture-tracking user interfaces for occupational health care | |
D'Antonio et al. | Robotic assessment of wrist proprioception during kinaesthetic perturbations: a neuroergonomic approach | |
Erdoğan et al. | The use of augmented reality in the teaching and training of basic exercises involved in the non-surgical treatment of neck pain | |
Capato et al. | Assisted technology in Parkinson's disease gait: what's up? | |
Hung et al. | Game technology to increase range of motion for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a feasibility study | |
Naqvi et al. | The Dual Importance of Virtual Reality Usability in Rehabilitation: A Focus on Therapists and Patients | |
Augstein et al. | Training of cognitive performance in complex tasks with a tabletop-based rehabilitation system | |
Brooks et al. | An Overview of Recent Advances in Technologies of Inclusive Well-Be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