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812B1 -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812B1
KR102128812B1 KR1020180101352A KR20180101352A KR102128812B1 KR 102128812 B1 KR102128812 B1 KR 102128812B1 KR 1020180101352 A KR1020180101352 A KR 1020180101352A KR 20180101352 A KR20180101352 A KR 20180101352A KR 102128812 B1 KR102128812 B1 KR 102128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robot
social
information
social inte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282A (ko
Inventor
조미영
김재홍
이재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90069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73Tes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 지능 평가 방법은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로봇의 반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부터 상기 반응 정보에 대해 평가된 상기 로봇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기설정된 평가 지침을 기준으로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람의 사회 지능 수준과 비교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 FOR EVALUATING SOCIAL INTELLIGENCE OF ROBOT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로봇의 사회 지능을 평가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로봇의 반응을 보고 여러 평가자들이 평가한 결과를 토대로 사람의 수준에 비교하여 로봇의 사회 지능 수준을 판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센서 기술, 하드웨어 기술 및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인해 로봇의 지능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로봇의 지능수준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짐에 따라 인공지능을 비롯해 로봇의 지능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었다.
MIT가 구축한 ConceptNet이라고 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해, 일리노이 대학에서는 웩슬러 유아용 지능검사를 이용했다. 웩슬러 유아용 지능검사는 언어, 동작, 처리속도, 일반능력 등 다양한 평가영역이 있지만, 일리노이 대학에서는 vocabulary, information, word reasoning, comprehension, similarities로 구성된 언어 영역만으로 ConceptNet 시스템의 지능을 평가했다. 평가결과 ConceptNet 시스템은 4세 유아 수준의 지능을 보이며, 단어, 공통점 찾기, 정보부분에서는 우수하지만 추론이나 이해 영역에서는 많이 부족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서울대 이범희 교수는 로봇 및 시스템을 대상으로 인지, 판단, 동작 3요소의 기능을 도출하고, 용도별 측정을 추가하여 동물의 지능과 비교함으로써 지능지수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각 세부 기술별 가중치와 기술레벨이 존재하며, 이를 이용해 지능지수를 산출했다. 마지막으로, RoboCup, RoCKIn과 같은 로봇 챌린지를 통해 시나리오 및 태스크를 기반으로 로봇의 지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한 시도도 있었다.
현재까지 인공지능 평가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튜링 테스트이다. 튜링 테스트란, '컴퓨터로부터의 반응을 인간과 구별할 수 없다면 컴퓨터는 생각할 수 있는 '것이라는 전제하에 평가자의 30%이상이 컴퓨터를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테스트를 통과했다고 보는 것이다. 몇 년 전 '유진 구스트만'이라는 슈퍼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유진'이라는 프로그램이 튜링 테스트를 통과해 큰 화제를 불러 일으킨 적이 있다. 하지만,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13세 소년이라는 캐릭터 자체가 이미 제약이었으며, 질문에 엉뚱한 답을 하는 등 튜링 테스트의 문제를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튜링 테스트의 문제점 및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의 튜링 테스트를 보완한 다양한 평가 기법들이 나오고 있다.
일반적인 튜링 테스트는 대화를 기반으로 평가하는데,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질문에 엉뚱한 대답을 하는 등 대화의 흐름을 깨는 시점에서 평가자는 사람답지 않다고 느낀다. 인간에 대한 사회지능 평가에도 대화 능력이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이의 평가항목으로 대화주제 유지율(허현숙, 이윤경, "언어학습부진아동의 대화차례 주고받기 및 주제운용 특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이 사용되기도 한다. 대화 주제 유지율이란, 개시된 주제와 관련해 대화 차례를 이어가는 도중에 전체 주제 안에서 앞 대화차례 주제와 관련된 내용으로 대화차례를 이어가는가를 보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최근에 열린 Dialog system Technology Challenge 6(http://workshop.colips.org/dstc6/)에서 Dialog breakdown detection이라는 평가 항목으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의 대화 능력을 평가하고자 했다.
허현숙, 이윤경, "언어학습부진아동의 대화차례 주고받기 및 주제운용 특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튜링 테스트 기법을 적용하여 로봇이 사람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사회 지능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회 지능 수준이 높은 로봇을 개발하거나 서비스 범위에 따라 적절한 지능을 보유한 로봇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LED, 스크린, 스피커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되는 로봇의 반응을 통해 로봇의 사회 지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회 지능 평가 방법은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로봇의 반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부터 상기 반응 정보에 대해 평가된 상기 로봇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기설정된 평가 지침을 기준으로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람의 사회 지능 수준과 비교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기설정된 평가 지침은 상기 사람과 상기 로봇 간의 대화를 기반으로 대화의 시작, 대화의 끝, 대화에 대한 반응 및 대화 주제 전화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에 대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반응 정보는 상기 사람이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 시나리오에 포함된 복수개의 시나리오들을 기반으로 상기 로봇으로부터 유도해낸 정보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자와 상기 사람이 동일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반응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는 기설정된 평가 항목을 기반으로 상기 로봇의 반응 정보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자가 평가한 값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분석 결과는 복수의 평가 단말기들로부터 각각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에 대한 통계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평가 지침은 지능 평가 항목 및 세부 평가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로봇은 외부 환경 및 상기 사람에 의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반응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반응 정보는 음성, LED 색 및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게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 지능 평가 장치는,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로봇의 반응 정보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부터 상기 반응 정보에 대해 평가된 상기 로봇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획득하고, 기설정된 평가 지침을 기준으로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람의 사회 지능 수준과 비교하여 출력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반응 정보 및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 때, 기설정된 평가 지침은 상기 사람과 상기 로봇 간의 대화를 기반으로 대화의 시작, 대화의 끝, 대화에 대한 반응 및 대화 주제 전화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에 대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반응 정보는 상기 사람이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 시나리오에 포함된 복수개의 시나리오들을 기반으로 상기 로봇으로부터 유도해낸 정보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자와 상기 사람이 동일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반응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는 기설정된 평가 항목을 기반으로 상기 로봇의 반응 정보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자가 평가한 값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분석 결과는 복수의 평가 단말기들로부터 각각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에 대한 통계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평가 지침은 지능 평가 항목 및 세부 평가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로봇은 외부 환경 및 상기 사람에 의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반응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반응 정보는 음성, LED 색 및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게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튜링 테스트 기법을 적용하여 로봇이 사람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사회 지능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회 지능 수준이 높은 로봇을 개발하거나 서비스 범위에 따라 적절한 지능을 보유한 로봇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 스크린, 스피커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되는 로봇의 반응을 통해 로봇의 사회 지능을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지능 수준을 인간의 지능 수준과 비교하여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시스템은 사회 지능 평가 장치(110), 평가자 단말기(120-1~120-N), 로봇(130) 및 평가자(140)를 포함한다.
사회 지능 평가 장치(110)는 로봇의 사회 지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에 상응하는 것으로, 로봇이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얼마나 사람처럼 반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 지능 평가 장치(110)는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로봇(130)의 반응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이란, 사람과 로봇의 대화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문자, 동작 등으로 주고받는 대화를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 때, 로봇(130)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사람은 평가자(140)에 해당할 수도 있고, 평가자(140)와는 상이한 사람에 해당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로봇(130)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사람이 평가자(140)에 해당하는 것을 가정하도록 한다.
이 때, 반응 정보는 평가자(140)가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 시나리오에 포함된 복수개의 시나리오들을 기반으로 로봇(130)으로부터 유도해낸 정보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로봇(130)은 외부 환경 및 사람에 의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반응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반응 정보는 음성, LED 색 및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회 지능 평가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자 단말기(120-1~120-N)로부터 반응 정보에 대해 평가된 로봇(130)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획득한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평가자 단말기(120-1~120-N)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자(140)와 사람이 동일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반응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평가자 단말기(120-1~120-N)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로봇(130)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사람이 평가자(140)에 해당하는 경우, 평가자(140)는 이미 로봇(130)의 반응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110)에 의해 별도로 반응 정보를 전달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로봇(130)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사람이 평가자(140)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평가자(140)는 로봇(130)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반응 정보를 알기 위해서 사회 지능 평가 장치(110)로부터 반응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사회 지능 평가 장치(110)는 기설정된 평가 지침을 기준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람의 사회 지능 수준과 비교하여 출력한다.
이 때, 기설정된 평가 지침은 평가자(140)과 로봇(130) 간의 대화를 기반으로 대화의 시작, 대화의 끝, 대화에 대한 반응 및 대화 주제 전환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에 대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평가 지침은 지능 평가 항목 및 세부 평가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분석 결과는 복수의 평가자 단말기(120-1~120-N)로부터 각각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에 대한 통계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방법은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로봇의 반응 정보를 수신한다(S210).
이 때, 사회 지능 평가란, 평가자가 카메라나 마이크 등의 다양한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이나 음성 등의 특징값을 이용하여 로봇의 반응을 본 뒤, 로봇이 스스로의 고유 지능으로 반응하는지 또는 사람에 의한 원격조종에 의해 반응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튜링 테스트(Turing Test)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자의 30% 이상이 로봇의 반응에 대해 사람이 원격조종하는 것 같다고 판단하는 경우, 로봇이 튜링 테스트를 통과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로봇의 지능은 자율 주행, 조작, 상호작용 등 다양한 분야의 지능이 결합된 융합 지능에 상응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사회 지능을 대상으로 LED, 터치 스크린,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되는 로봇의 반응을 보고, 로봇의 반응이 로봇의 자율 지능에 의한 것인지 또는 사람에 의한 원격조종에 의한 것인지를 평가할 수 있다.
이 때, 로봇은 사회 지능 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람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의사를 표현하거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로봇은 외부 환경 및 사람에 의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반응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은 카메라, 마이크 및 기타 입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에서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고, 영상이나 음성의 특징값을 이용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대상의 음성이나 태도 등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로봇은 스피커, LED 광원 및 스크린을 기반으로 음성, LED 색 및 스크린 속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반응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의사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로봇은 사람과 달리 LED 광원으로 특정한 색을 발생시킴으로써 감정을 표현할 수 있고, 또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아바타의 표정, 동작, 말투 등을 통해 감정이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로봇은, 로봇에 적용되는 서비스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 응용 범위 및 기능을 갖는 입력 센서 또는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반응 정보는 로봇이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 예를 들어 대화를 수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것으로, 로봇을 통해 표현된 의사 정보 또는 감정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 정보는 사람이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 시나리오에 포함된 복수개의 시나리오들을 기반으로 로봇으로부터 유도해낸 정보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ESI 평가 시나리오 및 평가항목을 참조하여 로봇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ESI 평가 시나리오는 크게 '사회적 상호작용 시작하고 마치기', '사회적 상호작용 만들어내기', '사회적 상호작용 신체적으로 지지하기', '사회적 상호작용 내용 형성하기', '사회적 상호작용 흐름 유지하기', '사회적 상호작용 말로 지지하기', '사회적 상호작용 조절하기'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로봇의 사회 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회적 상호작용 만들어내기', '사회적 상호작용 내용 형성하기', '사회적 상호작용 흐름 유지하기'로 로봇으로부터 반응 정보를 유도해 낼 수 있다. 그러나, 향후 로봇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간과 동일한 평가항목으로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가 가능하게 될 것이므로, 평가항목은 상기의 예시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 때, '사회적 상호작용 만들어 내기'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로봇(310)이 사람(320)과 대화를 시작하거나 대화 중 사람(320)에게 의사가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적절한 제스처를 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평가 항목일 수 있다. 이 때, '사회적 상호작용 만들어 내기'의 세부 평가 항목으로는 '대화 시작하기', '몸짓으로 말하기', '유창하게 말하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세부 평가 항목의 종류는 로봇(310)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 내용 형성하기'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로봇(410)이 사람(420)과의 대화 중 적절하게 내용을 잘 형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평가 항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420)이 로봇(410)에게 질문을 했을 때 로봇(410)이 적절한 대답을 하는지 또는 적절한 감정을 표현하는지 등을 평가할 수 있다. 이 때, '사회적 상호작용 내용 형성하기'의 세부 평가 항목으로는 '질문하기', '대답하기', '공개하기', '감정 표현하기', '반박하기' 및 '감사하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세부 평가 항목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 흐름 유지하기'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로봇(510)이 사람(520)과 대화 중 응답 시간이나 반응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평가 항목일 수 있다. 이 때, '사회적 상호작용 흐름 유지하기'의 세부 평가 항목으로는 '대화 내용 전환', '응답 시간', '지속 시간' 및 '대화 턴 바꾸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세부 평가 항목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 시나리오는 상기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사회 지능 평가를 위한 평가 지침에 적합하게 다양한 시나리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방법은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부터 반응 정보에 대해 평가된 로봇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획득한다(S220).
이 때, 평가 단말기는 평가자가 로봇의 반응 정보를 보고 그에 상응하게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단말기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자가 여러 명일 경우에는 여러 개의 평가 단말기들을 통해 로봇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회 지능 평가 장치는 유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평가 단말기는 로봇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를 위해 평가자에게 지급되는 별도의 단말기이거나 또는 평가자의 개인 단말기에 로봇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으로 Social interaction breakdown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평가자는 로봇의 반응 정보에 대해 B(breakdown), PB(Possible breakdown), NB(Not a breakdown)으로 나누어 평가할 수 있다. 이 후, 복수의 평가자들의 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사회적 상호작용 NB PB B
사람 (음성) 잘잤니?
로봇 (음성) 네, 안녕히 주무셨어요?
...
사람 (제스처) 이리오라는 손짓
(음성) 이리와
로봇 (움직임 없음)
(음성) 필요한 것이 있으시면 말씀해주세요.
...
사람 (제스처) 손을 내미는 행위
(음성) 반가워
로봇 (움직임 없음)
이 때, [표 1]에 도시된 것처럼, 로봇은 음성 한가지만으로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음성과 제스처를 동시에 이용하는 멀티모달(Multi-Modal)의 형태로도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로봇에 대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시, 로봇이 출력하는 음성과 제스처의 표현이 서로 상이한지 또는 표현 방식이 부자연스러운지 등을 판단하여 Social interaction breakdown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로봇은 음성, LED 광원의 색 또는 스크린 속 아바타의 표정 등을 이용하여 의사나 감정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 시 이들을 얼마나 적절하게 조합하여 반응하는지 여부를 통해 로봇에 대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이 평가될 수도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자와 사람이 동일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반응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사람과 평가자가 동일한 경우, 평가자가 로봇과 직접 대화한 이후에 평가 단말기를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로봇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사람과 평가자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평가자가 로봇의 반응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로봇으로부터 획득한 반응 정보를 평가 단말기로 전달해줄 수 있다.
이 때,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는 기설정된 평가 항목을 기반으로 로봇의 반응 정보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평가자가 평가한 값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는 로봇의 반응이 자율 지능에 의한 것인지 또는 사람의 원격조종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튜링 테스트 평가 정보에 해당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방법은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기설정된 평가 지침을 기준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람의 사회 지능 수준과 비교하여 출력한다(S230).
예를 들어, 분석 결과를 사람의 나이 대 별로 분류된 사람의 사회 지능 수준과 비교함으로써 로봇의 사회 지능 수준이 몇 살 정도의 수준인지 출력해줄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평가 지침은 로봇의 반응이 얼마나 인간처럼 자연스러운지를 평가하기 위한 것에 상응하는 것으로, 지능 평가 및 세부 평가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평가 지침을 통해 로봇과 사람 간의 대화 중에 발생한 로봇의 반응이 사람에 의한 원격조종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지능 평가 항목별 및 세부 평가 항목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기반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 때, 분석 결과는 복수의 평가 단말기로부터 각각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에 대한 통계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방법은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로봇으로부터 반응 정보를 수신하거나, 평가 단말기로 반응 정보를 송신하고, 평가 단말기로부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를 위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별도의 저장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방법을 통해 로봇이 사람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사회 지능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사회 지능 수준이 높은 로봇을 개발하거나 서비스 범위에 따라 적절한 지능을 보유한 로봇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과정은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로봇으로부터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반응 정보를 수신한다(S610).
이 때, 반응 정보는 로봇이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 예를 들어 대화를 수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것으로, 로봇을 통해 표현된 의사 정보 또는 감정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 정보는 사람이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 시나리오에 포함된 복수개의 시나리오들을 기반으로 로봇으로부터 유도해낸 정보에 상응할 수 있다.
이 후,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평가 단말기로 로봇의 반응 정보를 전송하여(S620), 평가자에 의해 평가 단말기로 입력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획득한다(S630).
이 때, 평가 단말기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평가자와 로봇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사람이 동일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로봇의 반응 정보를 평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로봇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한 사람과 평가 단말기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평가자가 상이할 경우에는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평가 단말기로 로봇의 반응 정보를 전송해줄 수 있다. 그러나, 로봇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한 사람과 평가 단말기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평가자가 동일하다면,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평가 단말기로 로봇의 반응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 후, 기설정된 평가 지침으로 로봇에 대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분석한다(S640).
이 때, 기설정된 평가 지침은 로봇의 반응이 얼마나 인간처럼 자연스러운지를 평가하기 위한 것에 상응하는 것으로, 지능 평가 및 세부 평가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평가 지침은 사람과 로봇 간의 대화를 기반으로 대화의 시작, 대화의 끝, 대화에 대한 반응 및 대화 주제 전환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에 대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이 후,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로봇의 사회 지능 수준을 인간의 사회 지능 수준과 비교하여 평가한다(S650).
예를 들어, 분석 결과를 사람의 나이 대 별로 분류된 사람의 사회 지능 수준과 비교함으로써 로봇의 사회 지능 수준이 몇 살 정도의 수준인지 출력해줄 수 있다.
이 후, 로봇의 사회 지능 수준을 평가한 결과를 출력한다(S660).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장치는 통신부(710), 프로세서(720) 및 메모리(730)를 포함한다.
통신부(710)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710)는 로봇으로부터 반응 정보를 수신하거나, 평가 단말기로 반응 정보를 송신하고, 평가 단말기로부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720)는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로봇의 반응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사회 지능 평가란, 평가자가 카메라나 마이크 등의 다양한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이나 음성 등의 특징값을 이용하여 로봇의 반응을 본 뒤, 로봇이 스스로의 고유 지능으로 반응하는지 또는 사람에 의한 원격조종에 의해 반응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튜링 테스트(Turing Test)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자의 30% 이상이 로봇의 반응에 대해 사람이 원격조종하는 것 같다고 판단하는 경우, 로봇이 튜링 테스트를 통과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로봇의 지능은 자율 주행, 조작, 상호작용 등 다양한 분야의 지능이 결합된 융합 지능에 상응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사회 지능을 대상으로 LED, 터치 스크린,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되는 로봇의 반응을 보고, 로봇의 반응이 로봇의 자율 지능에 의한 것인지 또는 사람에 의한 원격조종에 의한 것인지를 평가할 수 있다.
이 때, 로봇은 사회 지능 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람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의사를 표현하거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로봇은 외부 환경 및 사람에 의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반응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은 카메라, 마이크 및 기타 입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에서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고, 영상이나 음성의 특징값을 이용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대상의 음성이나 태도 등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로봇은 스피커, LED 광원 및 스크린을 기반으로 음성, LED 색 및 스크린 속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반응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의사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로봇은 사람과 달리 LED 광원으로 특정한 색을 발생시킴으로써 감정을 표현할 수 있고, 또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아바타의 표정, 동작, 말투 등을 통해 감정이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로봇은, 로봇에 적용되는 서비스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 응용 범위 및 기능을 갖는 입력 센서 또는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반응 정보는 로봇이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 예를 들어 대화를 수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것으로, 로봇을 통해 표현된 의사 정보 또는 감정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 정보는 사람이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 시나리오에 포함된 복수개의 시나리오들을 기반으로 로봇으로부터 유도해낸 정보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ESI 평가 시나리오 및 평가항목을 참조하여 로봇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ESI 평가 시나리오는 크게 '사회적 상호작용 시작하고 마치기', '사회적 상호작용 만들어내기', '사회적 상호작용 신체적으로 지지하기', '사회적 상호작용 내용 형성하기', '사회적 상호작용 흐름 유지하기', '사회적 상호작용 말로 지지하기', '사회적 상호작용 조절하기'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로봇의 사회 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회적 상호작용 만들어내기', '사회적 상호작용 내용 형성하기', '사회적 상호작용 흐름 유지하기'로 로봇으로부터 반응 정보를 유도해 낼 수 있다. 그러나, 향후 로봇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간과 동일한 평가항목으로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가 가능하게 될 것이므로, 평가항목은 상기의 예시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 때, '사회적 상호작용 만들어 내기'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로봇(310)이 사람(320)과 대화를 시작하거나 대화 중 사람(320)에게 의사가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적절한 제스처를 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평가 항목일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 내용 형성하기'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로봇(410)이 사람(420)과의 대화 중 적절하게 내용을 잘 형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평가 항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420)이 로봇(410)에게 질문을 했을 때 로봇(410)이 적절한 대답을 하는지 또는 적절한 감정을 표현하는지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 흐름 유지하기'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로봇(510)이 사람(520)과 대화 중 응답 시간이나 반응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평가 항목일 수 있다.
이 때,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 시나리오는 상기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사회 지능 평가를 위한 평가 지침에 적합하게 다양한 시나리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20)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부터 반응 정보에 대해 평가된 로봇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획득한다.
이 때, 평가 단말기는 평가자가 로봇의 반응 정보를 보고 그에 상응하게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단말기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자가 여러 명일 경우에는 여러 개의 평가 단말기들을 통해 로봇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회 지능 평가 장치는 유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평가 단말기는 로봇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를 위해 평가자에게 지급되는 별도의 단말기이거나 또는 평가자의 개인 단말기에 로봇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으로 Social interaction breakdown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표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평가자는 로봇의 반응 정보에 대해 B(breakdown), PB(Possible breakdown), NB(Not a breakdown)으로 나누어 평가할 수 있다. 이 후, 복수의 평가자들의 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표 1]에 도시된 것처럼, 로봇은 음성 한가지만으로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음성과 제스처를 동시에 이용하는 멀티모달(Multi-Modal)의 형태로도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로봇에 대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시, 로봇이 출력하는 음성과 제스처의 표현이 서로 상이한지 또는 표현 방식이 부자연스러운지 등을 판단하여 Social interaction breakdown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로봇은 음성, LED 광원의 색 또는 스크린 속 아바타의 표정 등을 이용하여 의사나 감정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 시 이들을 얼마나 적절하게 조합하여 반응하는지 여부를 통해 로봇에 대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이 평가될 수도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자와 사람이 동일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반응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사람과 평가자가 동일한 경우, 평가자가 로봇과 직접 대화한 이후에 평가 단말기를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로봇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사람과 평가자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평가자가 로봇의 반응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로봇으로부터 획득한 반응 정보를 평가 단말기로 전달해줄 수 있다.
이 때,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는 기설정된 평가 항목을 기반으로 로봇의 반응 정보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평가자가 평가한 값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는 로봇의 반응이 자율 지능에 의한 것인지 또는 사람의 원격조종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튜링 테스트 평가 정보에 해당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720)는 기설정된 평가 지침을 기준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람의 사회 지능 수준과 비교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분석 결과를 사람의 나이 대 별로 분류된 사람의 사회 지능 수준과 비교함으로써 로봇의 사회 지능 수준이 몇 살 정도의 수준인지 출력해줄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평가 지침은 로봇의 반응이 얼마나 인간처럼 자연스러운지를 평가하기 위한 것에 상응하는 것으로, 지능 평가 및 세부 평가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평가 지침은 사람과 로봇 간의 대화를 기반으로 대화의 시작, 대화의 끝, 대화에 대한 반응 및 대화 주제 전환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에 대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평가 지침을 통해 로봇과 사람 간의 대화 중에 발생한 로봇의 반응이 사람에 의한 원격조종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지능 평가 항목별 및 세부 평가 항목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기반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 때, 분석 결과는 복수의 평가 단말기로부터 각각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에 대한 통계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메모리(730)는 로봇의 반응 정보 및 평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7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를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730)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장치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로봇이 사람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사회 지능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사회 지능 수준이 높은 로봇을 개발하거나 서비스 범위에 따라 적절한 지능을 보유한 로봇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800)은 버스(8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10), 메모리(830), 사용자 입력 장치(840), 사용자 출력 장치(850) 및 스토리지(8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800)은 네트워크(8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830)나 스토리지(860)에 저장된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830) 및 스토리지(8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831)이나 RAM(8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구현된 방법이나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기록된 비일시적인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수행될 때,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한 가지 측면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지능 수준을 인간의 지능 수준과 비교하여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장치는 인간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항목과 동일한 항목으로 로봇의 사회적 상호 작용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장치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간의 인지 기능과 로봇의 지능 수준을 비교하고, 인간의 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로봇을 평가할 수 있다. 이 때,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봇의 지능 수준을 그에 대응하는 인간의 나이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0: 사회 지능 평가 장치 120-1~120-N: 평가자 단말기
130, 310, 410, 510: 로봇 140, 320, 420, 520: 사람
710: 통신부 720: 프로세서
730: 메모리

Claims (18)

  1.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로봇의 반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부터 상기 반응 정보에 대해 평가된 상기 로봇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회 지능 평가 장치가, 기설정된 평가 지침을 기준으로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람의 사회 지능 수준과 비교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는
    상기 로봇의 반응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평가 항목 별로 입력된 값을 종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지능 평가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평가 지침은
    상기 사람과 상기 로봇 간의 대화를 기반으로 대화의 시작, 대화의 끝, 대화에 대한 반응 및 대화 주제 전화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에 대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지능 평가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 정보는
    상기 사람이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 시나리오에 포함된 복수개의 시나리오들을 기반으로 상기 로봇으로부터 유도해낸 정보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지능 평가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자와 상기 사람이 동일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반응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지능 평가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는
    기설정된 평가 항목을 기반으로 상기 로봇의 반응 정보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자가 평가한 값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지능 평가 방법.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평가 지침은
    지능 평가 항목 및 세부 평가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지능 평가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봇은
    외부 환경 및 상기 사람에 의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반응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지능 평가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 정보는
    음성, LED 색 및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게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지능 평가 방법.
  10.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로봇의 반응 정보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부터 상기 반응 정보에 대해 평가된 상기 로봇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획득하고, 기설정된 평가 지침을 기준으로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람의 사회 지능 수준과 비교하여 출력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반응 정보 및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는
    상기 로봇의 반응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평가 항목 별로 입력된 값을 종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지능 평가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평가 지침은
    상기 사람과 상기 로봇 간의 대화를 기반으로 대화의 시작, 대화의 끝, 대화에 대한 반응 및 대화 주제 전화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에 대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지능 평가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반응 정보는
    상기 사람이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 시나리오에 포함된 복수개의 시나리오들을 기반으로 상기 로봇으로부터 유도해낸 정보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지능 평가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자와 상기 사람이 동일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반응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지능 평가 장치.
  14. 삭제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는
    복수의 평가 단말기들로부터 각각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평가 정보에 대한 통계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지능 평가 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평가 지침은
    지능 평가 항목 및 세부 평가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지능 평가 장치.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로봇은
    외부 환경 및 상기 사람에 의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반응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지능 평가 장치.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반응 정보는
    음성, LED 색 및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게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지능 평가 장치.
KR1020180101352A 2017-12-11 2018-08-28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28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9483 2017-12-11
KR1020170169483 2017-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282A KR20190069282A (ko) 2019-06-19
KR102128812B1 true KR102128812B1 (ko) 2020-07-02

Family

ID=67104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352A KR102128812B1 (ko) 2017-12-11 2018-08-28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8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4458A (ja) 2012-01-31 2013-08-15 Fujitsu Ltd 対話装置、対話プログラムおよび対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09B1 (ko) * 2007-07-24 2010-10-07 주식회사 엔텔리전트 게임즈 웹 서비스 기반의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KR100920748B1 (ko) * 2007-08-20 2009-10-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갈등해소 방법
FR2963132A1 (fr) * 2010-07-23 2012-01-27 Aldebaran Robotics Robot humanoide dote d'une interface de dialogue naturel, methode d'utilisation et de programmation de ladite interf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4458A (ja) 2012-01-31 2013-08-15 Fujitsu Ltd 対話装置、対話プログラムおよび対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282A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1997B2 (en) Dialog system, dialog method, dialog apparatus and program
US10482886B2 (en) Interactive robot and human-robot interaction method
CN110609620B (zh) 基于虚拟形象的人机交互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6719739B2 (ja) 対話方法、対話システム、対話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858924B2 (en) Voice processing apparatus and voice processing method
KR100906136B1 (ko) 정보 처리용 로봇
US11548147B2 (en) Method and device for robot interactions
WO2016080553A1 (ja) 学習型ロボット、学習型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学習型ロボット用プログラム
KR102490916B1 (ko) 전자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6503786B (zh) 用于智能机器人的多模态交互方法和装置
US11074491B2 (en) Emotionally intelligent companion device
WO2018163646A1 (ja) 対話方法、対話システム、対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Tan et al. iSocioBot: a multimodal interactive social robot
KR20200143764A (ko) 감성 교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206646A1 (zh) 使机器装置产生动作的方法及系统
US20200257954A1 (en) Techniques for generating digital personas
US10777198B2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speech properties and motion properties of interactive robot and method thereof
KR102128812B1 (ko) 로봇의 사회 지능 평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117712A (ko) 사용자와 교감이 가능한 인공지능 스마트 스피커
JP6647636B2 (ja) 対話方法、対話システム、対話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346158B1 (ko) 감성지능 교육 ai 스피커 시스템
CN112820265B (zh) 一种语音合成模型训练方法和相关装置
Mead et al. Toward robot adaptation of human speech and gesture parameters in a unified framework of proxemics and multimodal communication
KR20130139137A (ko) 센서입력에 반응하는 대화인형 및 그 운용 방법
JP712302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