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900B1 -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900B1
KR100985900B1 KR1020080080645A KR20080080645A KR100985900B1 KR 100985900 B1 KR100985900 B1 KR 100985900B1 KR 1020080080645 A KR1020080080645 A KR 1020080080645A KR 20080080645 A KR20080080645 A KR 20080080645A KR 100985900 B1 KR100985900 B1 KR 100985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s
base plate
concrete
concrete culve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2134A (ko
Inventor
박성남
신상운
김광중
한유리
심기중
조철용
조원용
신행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번영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번영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번영중공업
Priority to KR102008008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900B1/ko
Publication of KR20100022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2Moulds for making units for prefabricated buildings, i.e. units each comprising an important section of at least two limiting planes of a room or space, e.g. cells; Moulds for making prefabricated stai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2Moulds with adjustable parts specially for modifying at will the dimensions or form of the moulded art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후 및 좌우에 각각 위치하는 전후 및 좌우 측판과;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측판의 내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을 상기 베이스판 상으로 각각 45°로 편향 이동시켜, 상부가 개방된 다양한 크기의 거푸집을 형성하는 측판이동부재와;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의 내측에 상기 베이스판 상측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결된 상태로 고정되는 단면형상이 사각인 코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과 상기 코어부의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다양한 크기의 콘크리트 암거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후 및 좌우 측판을 베이스판 상으로 각각 45°편향 이동시키는 측판이동부재로 인해 보다 다양한 크기의 콘크리트 암거를 제조한 후 간편하게 제조된 콘크리트 암거를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처럼 크기가 다른 거푸집을 일일이 조립하여 상기 콘크리트 암거를 제조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베이스판, 전후 및 좌우 측판, 돌출부, 측판이동부재, 코어부

Description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CONCRETE UNDERDRAIN MAKING EQUIPMENT}
본 발명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후 및 좌우에 각각 위치하는 전후 및 좌우 측판과;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측판의 내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을 상기 베이스판 상으로 각각 45°로 편향 이동시켜, 상부가 개방된 다양한 크기의 거푸집을 형성하는 측판이동부재와;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의 내측에 상기 베이스판 상측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결된 상태로 고정되는 단면형상이 사각인 코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과 상기 코어부의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다양한 크기의 콘크리트 암거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 암거는 시공속도가 빠르며 시공후 즉시 되메우기를 할 수 있어 공사 중에 발생되는 시민 불편사항, 교통흐름 방해, 불가피한 시간낭비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으로 복잡한 도신 공사에 효과적이며, 철저한 품질관리에 의해 공장에서 생산되므로 품질이 균일하고,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구조체의 수밀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암거를 제작하기 위해서 스틸이나 목재로 된 거푸집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크기가 다른 상기 콘크리트 암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크기가 다른 거푸집을 각각 일일이 조립하여 상기 콘크리트 암거를 제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콘크리트 암거의 생산성 또한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전후 및 좌우 측판을 베이스판 상으로 각각 45°편향 이동시키는 측판이동부재로 인해 보다 다양한 크기의 콘크리트 암거를 제조한 후 간편하게 제조된 콘크리트 암거를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처럼 크기가 다른 거푸집을 일일이 조립하여 상기 콘크리트 암거를 제조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후 및 좌우에 각각 위치하는 전후 및 좌우 측판과;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측판의 내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을 상기 베이스판 상으로 각각 45°로 편향 이동시켜, 상부가 개방된 다양한 크기의 거푸집을 형성하는 측판이동부재와;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의 내측에 상기 베이스판 상측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결된 상태로 고정되는 단면형상이 사각인 코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과 상기 코어부의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다양한 크기의 콘크리트 암거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측판이동부재는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을 상기 베이스판 상으로 각각 45°로 편향이동시키는 편향이동부재와; 상기 편향이동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코어부를 지지하여 상기 베이스판 상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을 상기 베이스판상측으로 인출시키고 상기 베이스판 내부로 인입시키는 고정핀 승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어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측판의 내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에는 진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에는 히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후 및 좌우 측판을 베이스판 상으로 각각 45°편향 이동시키는 측판이동부재로 인해 보다 다양한 크기의 콘크리트 암거를 제조한 후 간편하게 제조된 콘크리트 암거를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처럼 크기가 다른 거푸집을 일일이 조립하여 상기 콘크리트 암거를 제조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을 상기 베이스판 상으로 각각 45°로 편향 이동시키는 편향이동부재로 인해 보다 더욱 편리하고 간편하게 다양한 크기의 거푸집을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재로 인해 다양한 크기로 제조된 콘크리트 암거로부터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핀 승강부가 코어부를 지지하는 고정핀을 상기 베이스판 상측으로 인출 및 상기 베이스판 내부로 인입시키기 때문에 상기 콘크리트 암거의 하부 두께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코어부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코어부를 상기 콘크리트 암거로부터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돌출부가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측판의 내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제조될 상기 콘크리트 암거의 크기에 따라 상기 돌출부의 위치를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측판의 내 면 중심부에 보다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에 진동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과 상기 코어부의 사이의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 몰탈이 보다 고르게 분포될 수 있음은 물론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 몰탈이 양생되어 제조된 상기 콘크리트 암거로부터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에 히터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과 상기 코어부의 사이의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 몰탈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양생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콘크리트 암거의 생산성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판(10),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 돌출부(50), 측판이동부재(70) 및 코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베이스판(10)은 가로 및 세로방향의 이송레일(103)이 형성되는 받침틀(101)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0)의 전후 및 좌우에는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판(1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후 및 좌우에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이 위치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은 상부가 개방된 다양한 크기의 거푸집(9)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0)의 전후 및 좌우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베이스판(10)의 전후 및 좌우에 각각 위치하여 다양한 크기의 거푸집(9)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돌출부(50)는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콘크리트 암거상에 연결파이프(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측판의 내면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측판의 내면에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상기 콘크리트 암거상에 연결파이프(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측판이동부재(70)는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을 상기 베이스판(10) 상으로 각각 45°로 편향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을 상기 베이스판(10) 상으로 각각 45°로 편향이동시키는 편향이동부재(710)와, 상기 편향이동부재(7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재(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편향이동부재(710) 및 전후이동부재(7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편향이동부재(710)가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을 상기 베이스판(10)상으로 각각 45°로 편향이동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향이동부재(7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크게, 평행사변형 형상의 프레임(711)과; 상기 프레임(711)과 상기 프레임(711)의 내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 1고정판(713a) 수평방향으로 각각 관통함과 동시에 일단부가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상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이동하여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을 상기 베이스판(10)상으로 각각 45°로 편향이동시키는 4개 이상의 이송대(713)와; 상기 제 1고정판(713a)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711)의 내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제 2고정판(715a)상에 구비된 상태에서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4개 이상의 상기 이송대(713)를 전후이동시키는 구동모터(7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15)의 구동축과 4개 이상의 상기 이송대(713)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공지된 랙 피니언방식으로 상호 치합될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715)의 구동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시 4개 이상의 상기 이송대(713)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후이동하여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을 상기 베이스판(10)상으로 각각 45°로 편향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이동부재(730)는 예를 들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편향이동부재(710)의 상기 프레임(711)이 상부면에 안착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틀(101)의 이송레일(103)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이동판(731)과; 상기 받침틀(101)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는 별도의 판부(733a)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전후이동판(731)을 전후이동시켜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7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을 상기 베이스판(10) 상으로 각각 45°로 편향이동시키는 상기 편향이동부재(710)로 인해 보다 더욱 편리하고 간편하게 다양한 크기의 거푸집(9)을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재(730)로 인해 다양한 크기로 제조된 콘크리트 암거로부터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의 내면에는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이 상기 콘크리트 암거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로 하기 위해 실리콘, 스테어린 산염 등으로 이루어지는 공지된 이형제(mold release)가 도포되는 것이 더욱 좋다.
도 5는 코어부(90)를 지지하는 고정핀(105)과 상기 고정핀(105)을 상기 베이스판(10) 상측으로 인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판(10) 내부로 인입시키는 고정핀 승강부(107)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코어부(90)는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의 내측에 상기 베이스판(10) 상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써,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사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과 상기 코어부(90)의 사이의 공간(100)에 콘크리트 몰탈(3)을 타설하여 다양한 크기의 콘크리트 암거(5)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부(90)는 예를 들어, 크레인 등에 의해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의 내측에 상기 베이스판(10)의 상측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10)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부(90)를 지지하여 상기 베이스판(10) 상측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핀(10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105)을 상기 베이스판(10) 상측으로 인출시키고 상기 베이스판(10) 내부로 인입시키는 고정핀 승강부(107)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핀(105)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판(10) 하부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상기 고정핀 승강부(107)의 상단에 형성된 판부(109)상에 연결설치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고정핀 승강부(107)가 상기 코어부(90)를 지지하는 상기 고정핀(105)을 상기 베이스판(10) 상측으로 인출 및 상기 베이스판(10) 내부로 인입시키기 때문에 상기 콘크리트 암거(5)의 하부 두께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고정핀 승강부(107)는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코어부(90)를 지지하는 상기 고정핀(105)을 상기 베이스판(10) 상측으로 인출 및 상기 베이스판(10)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어부(9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의 내측에 상기 베이스판(10) 상측으로부터 일정 거 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6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코어부(9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코어부(9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코어부(90)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작업자가 상기 코어부(90)를 상기 콘크리트 암거(5)로부터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7은 돌출부(50)가 좌우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확대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50)는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측판의 내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50)는 상기 전후 또는 좌우 측판상(30, 31, 33, 35)에 구비되는 좌우이동부재(130)에 의해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측판의 내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130)는 예를 들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전후 또는 좌우 측판(30, 31, 33, 35)상에 수평방향으로 양단부가 베어링고정되고, 외주연에 상기 돌출부(50)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전후 또는 좌우 측판(30, 31, 33, 35)상에 일정길이 연장형성된 슬릿(301)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좌우이동판(501)과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131)와; 상기 리드스크류(131)와 축결합되어 상기 전후 또는 좌우 측판(30, 31, 33, 35)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리드스크류(13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별도의 구동모터(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13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기 좌우이동판(501)은 상기 전후 또는 좌우 측판(30, 31, 33, 35)상에 일정길이 연장형성된 슬릿(301)을 따라 좌우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돌출부(50) 또한 상기 좌우이동판(501)을 따라 좌우이동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50)가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측판의 내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제조될 상기 콘크리트 암거(5)의 크기에 따라 상기 돌출부(50)의 위치를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측판의 내면 중심부에 보다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에는 진동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을 진동시키게 된다.
상기 진동부재로써 전기식 바이브레이터, 유압식 바이브레이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을 진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에 상기 진동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과 상기 코어부(90)의 사이의 공간(100)에 타설된 콘크리트 몰탈(3)이 보다 고르게 분포될 수 있음은 물론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 몰탈(3)이 양생되어 제조된 상기 콘크리트 암거(5)로부터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에는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더더욱 좋다.
상기 히터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과 상기 코어부(90)의 사이의 공간(100)에 타설된 콘크리트 몰탈(3)이 보다 빠른 시간내에 양생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에 상기 히터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과 상기 코어부(90)의 사이의 공간(100)에 타설된 콘크리트 몰탈(3)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양생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콘크리트 암거(5)의 생산성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8은 본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암거(5)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상기 히터에 의해 보다 빠른 시간내에 양생된 상기 콘크리트 암거(5) 상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파이프(미도시)가 연결되는 파이프연결구(7)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30, 31, 33, 35)을 상기 베이스판(10)상으로 각각 45°편향 이동시키는 상기 측판이동부재(70)로 인해 보다 다양한 크기의 콘크리트 암거(5)를 제조한 후 간편하게 제조된 콘크리트 암거(5)를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처럼 크기가 다른 거푸집(9)을 일일이 조립하여 상기 콘크리트 암거(5)를 제조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편향이동부재 및 전후이동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편향이동부재가 전후 및 좌우 측판을 상기 베이스판상으로 각각 45°로 편향이동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코어부를 지지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을 상기 베이스판 상측으로 인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판 내부로 인입시키는 고정핀 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코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돌출부가 좌우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확대평면도이고,
도 8은 본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암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콘크리트 몰탈, 5; 콘크리트 암거,
7; 파이프연결구, 9; 거푸집,
10; 베이스판, 101; 받침틀,
103; 이송레일, 105; 고정핀,
107; 고정핀 승강부, 109, 733a; 판부,
30, 31, 33, 35; 전후 및 좌우측판, 301; 슬릿,
50; 돌출부, 501; 좌우이동판,
70; 측판이동부재, 710; 편향이동부재,
711; 프레임, 713; 이송대,
713a; 제 1고정판, 133, 715; 구동모터,
715a; 제 2고정판, 730; 전후이동부재,
731; 전후이동판, 733; 실린더,
90; 코어부, 100; 공간,
130; 좌우이동부재, 131; 리드스크류.

Claims (7)

  1.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후 및 좌우에 각각 위치하는 전후 및 좌우 측판과;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측판의 내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을 상기 베이스판 상으로 각각 45°로 편향 이동시켜, 상부가 개방된 다양한 크기의 거푸집을 형성하는 측판이동부재와;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의 내측에 상기 베이스판 상측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결된 상태로 고정되는 단면형상이 사각인 코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과 상기 코어부의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다양한 크기의 콘크리트 암거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이동부재는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을 상기 베이스판 상으로 각각 45°로 편향이동시키는 편향이동부재와; 상기 편향이동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코어부를 지지하여 상기 베이스판 상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을 상기 베이스판상측으로 인출시키고 상기 베이스판 내부로 인입시키는 고정핀 승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측판의 내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에는 진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및 좌우 측판에는 히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KR1020080080645A 2008-08-19 2008-08-19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KR100985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645A KR100985900B1 (ko) 2008-08-19 2008-08-19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645A KR100985900B1 (ko) 2008-08-19 2008-08-19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134A KR20100022134A (ko) 2010-03-02
KR100985900B1 true KR100985900B1 (ko) 2010-10-08

Family

ID=42174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645A KR100985900B1 (ko) 2008-08-19 2008-08-19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9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6132A (ja) 1997-12-26 2000-01-11 Schokbeton Japan Co Ltd Pc製品成形用型枠およびその成形用型枠を用いたpc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pc製品
KR20000013517A (ko) * 1998-08-10 2000-03-06 손욱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0265793Y1 (ko) 2001-06-25 2002-02-21 주식회사 삼인공영 박스 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의 간격 조절장치
KR20020065793A (ko) * 2001-02-07 2002-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에스오아이 트랜지스터의 플로팅 바디효과를 제거하기위한 에스오아이 반도체 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2305A (ko) * 2003-08-23 2003-09-13 류상민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72305Y1 (ko) 2004-10-02 2005-01-10 이상학 콘크리트 구조물 양생 거푸집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6132A (ja) 1997-12-26 2000-01-11 Schokbeton Japan Co Ltd Pc製品成形用型枠およびその成形用型枠を用いたpc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pc製品
KR20000013517A (ko) * 1998-08-10 2000-03-06 손욱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020065793A (ko) * 2001-02-07 2002-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에스오아이 트랜지스터의 플로팅 바디효과를 제거하기위한 에스오아이 반도체 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
KR200265793Y1 (ko) 2001-06-25 2002-02-21 주식회사 삼인공영 박스 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의 간격 조절장치
KR20030072305A (ko) * 2003-08-23 2003-09-13 류상민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72305Y1 (ko) 2004-10-02 2005-01-10 이상학 콘크리트 구조물 양생 거푸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134A (ko) 201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536B1 (ko) 건축물 슬라브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KR101558904B1 (ko) 단열콘크리트 구조 및 시공방법
EP30563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sting concrete products
KR20040019818A (ko)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암거의 증기촉진양생 연속시공방법
KR100985900B1 (ko)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CN211817946U (zh) 一种现浇清水混凝土墙体的模板结构
KR100949785B1 (ko) 피씨 보 제작용 몰드
KR100448221B1 (ko)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암거의 증기촉진양생 연속시공방법
KR101129275B1 (ko) 하프 pc 슬래브의 제조방법
KR20110002260U (ko) 서포터의 사용성이 개선된 보 거푸집용 지지어셈블리
CN214110810U (zh) 一种叠合板预制用模具
CN101280592A (zh) 一种现浇肋叠合楼板
KR200494539Y1 (ko) 타설막이
CN218965747U (zh) 空腔墙成型装置及空腔墙生产线
KR102219607B1 (ko) 전단보강 슬래브 구조체를 자동생산하기 위한 자동제조장치
CN112523243A (zh) 沉箱模板
JP4862802B2 (ja) 曲面パネル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215920821U (zh) 一种预制构件钢筋定位可调节模具
JP2007261124A (ja) コンクリート成型品用の型枠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型枠装置
CN210100271U (zh) 一种方桩模具及包含该模具的模具组
CN219748399U (zh) 一种建筑预制构件用浇筑模具
CN220561806U (zh) 一种浇筑模具
KR102312289B1 (ko) 몰드 적층 양생을 이용한 중공 슬래브 성형 방법
CN220129066U (zh) 一种叠合板浇筑模板封堵装置
CN220080776U (zh) 一种墙垛结构门垛浇筑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