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793Y1 - 박스 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의 간격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박스 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의 간격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793Y1
KR200265793Y1 KR2020010018995U KR20010018995U KR200265793Y1 KR 200265793 Y1 KR200265793 Y1 KR 200265793Y1 KR 2020010018995 U KR2020010018995 U KR 2020010018995U KR 20010018995 U KR20010018995 U KR 20010018995U KR 200265793 Y1 KR200265793 Y1 KR 200265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tructure
forming
box
foam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인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인공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인공영
Priority to KR2020010018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793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공사에 사용되는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에 관한 것으로, 시스템 폼 본체(1)의 내측 중앙부에 스크류봉(2)을 수직으로 배치하되 그 스크류봉(2)의 상, 하 중반부에 각기 승, 하강되도록 상, 하부 너트봉(3)을 나사 결합하며, 그 상, 하부 너트봉(3)들에 각각 버팀목(4)들의 일측단부들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시스템 폼 본체(1)를 이루고 있는 4방의 각 성형판(5)의 중앙부 상, 하 양측에 3개의 고정편(6)을 설치하며, 각각의 고정편(6)에는 상, 하부 연결 지지대 보강판(11)을 안착시키고 일체형 연결지지대(7)를 체결 축으로 고정하여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하고, 일체형 연결지지대(7)에는 상기의 버팀목(4)에 체결하며, 시스템 폼 본체(1) 하단 내부로 베이스 보드(8)를 입설하여 기 성형된 박스구조물 내부의 해당 작업위치에 성형되어 있는 포켓 홈부에 베이스 보드(8)의 포켓편을 삽입하여 체결되어짐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안전한 작업을 위한 본체의 내부에 공간부를 최대로 넓게 확보함으로서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능률을 최대로 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박스 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의 간격 조절장치{THE GAP ADJUSTABLE EQUIPMENT OF SYSTEM FORM WHICH IS USING BOX STRUCTURE FORMING}
본 고안은 건축물 공사에 사용되는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에 관한 것으로, 박스 구조물을 층마다 단속적으로 성형하는 건축물에서 박스구조물의 층간내부거푸집으로 사용한 후 계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층부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거푸집의 내부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활동공간을 최대로 확보하고 거푸집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한편 거푸집의 작동이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축물에서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공동구 등이 있는 바, 상기와 같은 박스구조물은 해당 건축지역의 지하층부터 최상층까지 각 층간 슬래브를 연속적으로 관통하여서 시공된다.
상기와 같은 박스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하여 건축지역 내, 외부에 거푸집을 조립하여 시공하게 되는 바, 이때 거푸집 조립 및 분리 등의 설치하작업시 사람이 들어가 작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박스구조물에 설치된 거푸집의 내부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활동공간의 확보가 주된 관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박스구조물을 제외한 내부 거푸집을 설치할 때에는 기 시공된 박스구조물과 일체로 수평 하게 연결되어져 안전이 확보된 층간 슬래브 상에서 작업자가 내부 거푸집을 조립 설치하기 때문에 안전상 별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박스구조물용 거푸집의 경우에는 기 시공되어 상하로 트여진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에 맞추어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내부거푸집을 지지시키거나 작업자가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지 못하여 작업자가 내부거푸집을 조립하는 데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부주의 할 경우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층간 슬래브의 내부에 매립되는 철근을 박스구조물이 설치될 개구부 주변으로 돌출 시켜놓고, 그 돌출 철근 위에 작업발판을 설치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한 다음 작업자가 작업발판 위에서 낱장의 거푸집 판을 돌출 철근 위에 고정하면서 연결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안전을 확보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박스구조물의 성형을 위한 내부거푸집을 설치함에 있어서, 안전사고의 위험을 완전하게 배제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전체적인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됨과 동시에 콘크리트의 표면상태가 매끄럽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돌출된 철근 위에서 작업발판을 설치하여야 하고 한 측의 박스구조물을 시공한 후 다시 작업발판을 해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발판을 가설하고 해체하는데 따른 작업인원과 시간의 손실을 초래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공사기간이 오래 걸림으로서 불필요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발판을 가설하거나 해체할 경우에는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됨으로 상기와 같은 작업 중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었으며, 작업자가 비좁은 공간에서 거푸집 판을 하나하나 연결 조립설치하고, 박스구조물을 성형한 후에는 다시 거푸집을 해체하여야 하는 작업을 하게 됨으로서 작업시간의 공백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박스구조물을 성형한 후에는 슬래브에서 돌출된 철근을 절단하는 마무리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의 시간 및 인건비가 추가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표면에서 철근이 절단부가 노출하게 되고, 거푸집 사이에 폼 조인트의 자국이 남아있게 되며,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 박스구조물의 매끄러운 성형 면을 얻을 수가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 성형을 위한 설치 및 해체작업을 능률적으로 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여 주기 위하여 안전발판이 구비되고 조립된 상태에서 완전히 해체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상층부로 이송시켜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박스 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의 하나로 국내 특허 공개공보 제 2000-14666호를 보면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은 일연체로서 연이어진 박스 성형부를 가지며 그 박스 성형부의 내측 둘레에 수직버팀대들을 하부로 연장시켜서 박스구조물의 세퍼레이터(Separator)에 결착시키도록한 성형틀과 상기 성형틀의 내측 중앙에 조절봉을 배치하고 그 조절봉의 상하로부터 상기 박스성형부 상하부에 방사상을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지지대들을 가져서 상기 박스 성형부를 신축 가능하게 지지시켜 주는 신축조절수단과 상기 성형틀 내측의 하부 주변에 복층으로 배설되어 작업자의 디딤 공간을 확보하여 주는 작업발판들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성형틀의 박스 성형부가 수축된 상태에서 양중기로 들어올려 해당작업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작업자가 성형틀의 하부주면에 설치된 작업발판 위에 올라가 수직버팀대를 기성형 된 박스구조물이 세퍼레이터(Separator)에 결착시켜 지지시키고, 신축 조절 수단의 조절봉을 조작하여 박스 성형부의 코너부가 직각을 이룰 때까지 신장시켜 시공되어야 할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을 맞춘 다음 박스 성형부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외부 거푸집을 조립 설치한 후에 미경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과정을 통하여 박스구조물을 시공하였다.
또한 해당 구조물의 양생이 완료된 후 상층부 박스구조물의 시공준비가 완료되면 외부 거푸집을 탈영하고 신축 조절 수단을 조절하여 박스 성형부를 수축시켜 탈형한 후에 성형틀의 수직버팀대를 기 성형된 박스구조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계속적으로 상층부로 이동시켜가며 시공하여 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은 박스구조물의 시공시에 작업발판을 별도로 가설하거나 해체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거푸집 판을 하나하나 조립할 필요가 없어 4방면을 한번에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서 기존의 방법과는 시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발판 및 내부거푸집을 지지시키기 위한 층간 슬래브의 매립 철근을 돌출 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박스구조물의 매끄러운 시공면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성형틀의 내측 공간부상에 다수의 연결지지대가 방사선으로 배치되어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성형틀의 내부로 들어가 제반작업을 수행하기에는 턱없이 비좁아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활동 폭이 제한됨으로서 작업자가 시스템 폼의 내부에서 작업도중 내부 시설물에 충돌하면서 부상을 입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고안은 박스구조물을 성형 전 정위치에 설치하기 위하여 시스템 폼을 기중기로 든 상태에서 기 시공된 박스구조물의 세퍼레이터(Separator)에 수직버팀대를 결착시켜 지지시켜야 하고, 성형 후 수직버팀대를 분리시키기 위한 인력에 의존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투입되는 인원이 많아 그 효율을 반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성형틀의 가장자리에만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가운데에는 비워두었기 때문에 가운데의 빈 공간부로 작업자나 건축자재가 떨어지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었고, 박스 성형부의 수직도를 맞추기 위한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기 성형된 박스구조물의 세퍼레이터(Separator)와 성형틀의 수직버팀대를 결착하는 방법을 통해 해당작업 위치에 설치하기 때문에 박스구조물의 수직도가 정확히 유지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2000-14833호, 등록 제 200942호)이 안출되었는 바, 상기의 고안은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을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을 감안한 크기와 형상으로 된 4방면의 성형판을 일연체로 연이어 형성하고, 그 성형판의 내부 둘레에 수직버팀목 및 수평띠장을 배설하고 있는 박스 폼부와 상기 박스 폼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성형판을 신축 가능하게 지지시켜주는 신축 조절 수단이 구비되어서 박스구조물을 1개 층마다 단속적으로 성형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건축물에서 박스구조물의 층간 내부 거푸집으로 사용한 후 계속적으로 상층부로 이동시켜 가며 전용하도록 된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에 있어서,
상기 신축 조절수단은 상기 박스 폼부의 내측 중앙부에 스크류봉을 수직으로 배치하고 그 스크류봉의 상, 하 중반부에 각기 승강 되도록 상, 하부 너트봉을 나사 결합하며, 그 상, 하부 너트 봉들에 각기 4개를 1개조로 하여 열십자(+)형태로 배치되는 연결간들의 일측단부들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그 연결간들의 타측단부들을 상기 박스 폼부의 4방면으로 연장시켜 박스 폼부 4방면의 중심부 상, 하에 각기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고안은 시스템 폼의 내측 중간부 상, 하에만 연결간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공관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는 있었으나 시스템 폼을 이루고 있는 각 패널의 양측에 강도에 대한 취약부가 발생하게 됨으로서 하중이 가해질 경우 시스템 폼의 수명은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고안은 종래의 성형틀의 가장자리에만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가운데에는 비워두었기 때문에 가운데의 빈 공간부로 작업자나 건축자재가 떨어지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하며, 또한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시스템 폼 하단부에 베이스보드를 구비하고 있는 장치가 고안되었으나 이는 고정 결합 구조가 아닌 시스템 폼 하부에 베이스보드를 걸쳐지도록 위치시킴으로써 크레인에 의해 베이스보드를 끌어올림에 의해 시스템 폼 본체가 이동되어지는 구조로써, 이동시의 전체적인 하중의 분배가 베이스보드에 집중될 뿐만아니라 상기 베이스보드를 지지하는 하단부의 베이스용 포켓부가 상대적으로 증대되어 작업완료후 흡집과 철근 노출우려가 있어 외관상으로 성형면이 매끄럽지 못할 뿐만아니라 설계상의 안전도를 격감시키는 결함이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시스템 폼을 이루고 있는 한 면의 중앙부가절첩되는 방식으로 그 내측면에 연결간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힘들며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스템 폼을 이루고 있는 각면의 중앙부 상, 하에 고정판을 설치하되 각각의 고정판에는 상하로 작동되는 일체로 된 연결지지대를 체결하고 연결지지대의 가운데 부분에는 버팀목의 일측을 체결하면 버팀목의 타측은 나사봉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여서 된 것으로서 나사봉이 회전하면 버텀목이 중앙부를 향하여 모이게 됨으로 일체로 된 연결지지대를 당기게 되고 일체로 된 연결지지대는 3개의 고정편으로 체결되는 각각의 패널의 양측과 중심부를 당기게 됨으로서 일정한 하중을 발생하여 패널의 내측으로 만곡지게 휘어 간격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면 일부를 파절한 부분 절개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요부를 확대 도시한 측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고정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스템 폼 본체 2. 스크류봉 3. 너트봉
4. 버팀목 5. 성형판 6. 고정편
7. 연결지지대 8. 베이스 보드
9. 폼고정 및 레벨키 10.폼고정 및 레벨포켓
11.보강판 12.포켓편 13.스카폴드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을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을 감안한 크기와 형상으로 된 4방면의 성형판을 일연체로 연이어 형성하고, 그 성형판의 내부 둘레에 수직버팀목 및 수평띠장을 배설하고 있는 박스 폼부와 상기 박스 폼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성형판을 신축 가능하게 지지시켜주는 신축조절수단이 구비되어서 박스구조물을 1개 층마다 단속적으로 성형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건축물에서 박스구조물의 층간 내부 거푸집으로 사용한 후 계속적으로 상층부로 이동 시키면서 전용하도록 된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에 있어서,
시스템 폼 본체(1)의 내측 중앙부에 스크류봉(2)을 수직으로 배치하되 그 스크류봉(2)의 상, 하 중반부에 각기 승, 하강 되도록 상, 하부 너트봉(3)을 나사 결합하며, 그 상, 하부 너트봉(3)들에 각각 버팀목(4)들의 일측단부들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시스템 폼 본체(1)를 이루고 있는 4방의 각 성형판(5)의 중앙부 상, 하 양측에 3개의 고정편(6)을 설치하며, 각각의 고정편(6)에는 상, 하부 연결 지지대 보강판(11)을 안착시키고 고정편(6)을 설치하며, 각각의 고정편(6)에는 일체로 된 연결지지대(7)를 체결 축으로 고정하여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하고, 일체로 된 연결지지대(7)에는 상기의 버팀목(4)에 체결하여서 된 것이다.
본 고안의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에 등재되지않은 미부호 14는 추락방지턱, 15는 핸드레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박스 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1)의 간격 조절장치에 있어서, 연결지지대(7)의 작동에 의해 1차적인 하중을 받게되는 보강판(11)은 성형판(5)의 중앙부 양측으로 설치되어진 3개의 고정편(6)에 균일한 인장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중을 분산시키고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연결지지대(7)의 고정편(6) 방면 대략 사등분할점 위치에 이등변삼각형상의 중심점을 위치시킴으로써, 보다 넓은 작업공간과 고강도 철판에 의한 하중의 균일화를 이루도록 설치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스템 폼 본체(1)를 최저층에서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베이스 보드(8)를 기 성형된 박스구조물 내부의 해당 작업위치에 성형되어 있는 포켓 홈부에 베이스 보드(8)의 포켓편을 삽입하여 지지시킨 다음 성형판이 오므려진 상태에서 본체(1)를 기중기로 들어올려 베이스 보드(8)의 플레이트 상부에 올려놓아 고정시킨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박스 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1)의 간격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베이스 보드(8)는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어져 있으며, 이는 상승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고취시키면서 추락사고 방지를 위하여 안전 스카폴드(Scaffold)(13)와 신축 조절용 안전 브라켓인 보켓편(12)으로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신축조절수단을 조절하여 본체(1)의 성형판(5)을 늘려 시공되어야 할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에 맞추어 설치한다.
즉 본체(1)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핸드레버(15)의 작동에 의해 스크류봉(2)을 회전시키면 스크류봉(2)의 상, 하부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봉(3)들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버팀목(4)이 너트봉에 의하여 상 하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서 성형판(5)의 고정편(6)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지지대(7)를 밀게 됨으로서 성형판(5)이 벌려지면서 시공되어야 할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에 맞추어 놓이게되는 것이다. .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인블록을 이용하여 본체의 수직도를 맞춘 다음 성형판(5)의 외측에 세퍼레이터(Separator)를 통해 일정간격을 두고 외부거푸집을 조립 설치한 다음 그 공간부에 경화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박스구조물을 시공하면 된다.
또한, 상기의 성형판(5)에는 단계별 작업공정의 완료에 의해 상부이동에 따른 박스구조물의 정확한 작업위치의 선정과 안착에 의한 밀폐력을 강화하고 추락에대한 보조적 안전기구의 기능으로 체결되어져 있는 폼고정 및 레벨포켓(10)과 상기의 폼고정 및 레벨포켓(10)이 안착되어지는 폼고정 및 레벨키(9)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의 폼고정 및 레벨키 좌우측 상단부에 추락방지턱(14)을 설치하여 시스템 폼 본체(1)의 추락에 대한 이중의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박스구조물을 시공한 후에 경화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오부 거푸집과 연결된 세퍼레이터(Separator)를 해체하고, 본체(1)의 내부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핸드레버(15)에 의해 스크류봉(2)을 역회전시키면 스크류봉(2)에 체결되어 있는 상, 하 너트봉이 내측으로 모이게 되고, 이로 인하여 너트봉(3)에 체결되어 있는 버팀목(4)이 너트봉(3)에 의하여 중앙부로 모이게 됨으로서 버팀목(4)에 연결된 일체로 된 연결지지대(6)가 당겨지게 됨으로서 성형판(5)의 중앙부가 일체로 된 연결지지대(6)의 양측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판이 일체형 연결지지대(6)에 의하여 뒤로 후퇴하게 됨으로서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이탈 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시스템 폼을 이루고 있는 각면의 중앙부 상, 하에 고정판을 설치하되 각각의 고정판에는 상하로 작동되는 일체형 연결지지대를 체결하고 연결지지대의 끝부분에는 버팀목의 일측을 체결하면 버팀목의 타측은 나사봉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여서 된 것으로서 나사봉이 회전하면 버텀목이 중앙부를 향하여 모이게 됨으로 일체형 연결지지대를 당기게 되고 일체형 연결지지대는 각각의 패널의 양측을 당기게 됨으로서 패널의 내측으로 만곡지게 휘어 간격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다수의 회전편을 구비하여 하중을 편중현상을 제거하였으며, 폼 고정 및 레벨 키와 포켓을 사용하여 별도의 조절 작업을 요구하지 않을 뿐만아니라 한번의 이동으로도 정확한 레벨작업을 가능케 함으로써,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본체의 내부에 공간부를 최대로 넓게 확보함으로서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시스템 폼 본체 하단에 내부로 입설, 체결되어지는 베이스보드를 구비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능률을 최대로 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을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을 감안한 크기와 형상으로 된 4방면의 성형판을 일연체로 연이어 형성하고, 그 성형판의 내부 둘레에 수직버팀목 및 수평띠장을 배설하고 있는 박스 폼부와 상기 박스 폼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성형판을 신축 가능하게 지지시켜주는 신축조절수단이 구비되어서 박스구조물을 1개 층마다 단속적으로 성형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건축물에서 박스구조물의 층간 내부거푸집으로 사용한 후 계속적으로 상층부로 이동시켜가며 전용하도록 된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에 있어서;
    시스템 폼 본체(1)의 내측 중앙부에 스크류봉(2)을 수직으로 배치하되 그 스크류봉(2)의 상, 하 중반부에 각기 승, 하강되도록 상, 하부 너트봉(3)을 나사 결합하고, 그 상, 하부 너트봉(3)들에 각각 버팀목(4)들의 일측단부들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시스템 폼 본체(1)를 이루고 있는 4방의 각 성형판(5)의 중앙부 상, 하 양측에 3개의 고정편(6)을 설치하고, 각각의 고정편(6)에는 일체형 연결지지대(7)를 체결 축으로 고정하여 상하로 유동 가능케 하며, 각각의 고정편(6)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대(7) 상부에는 보강판(11)을 안착시키고, 일체형 연결지지대(7)에는 상기의 버팀목(4)에 체결하며, 상기 성형판(5)에는 단계별 작업공정의 완료에 의해 상부이동에 따른 박스구조물의 정확한 작업위치의 선정과 안정성을 위한 폼고정 및 레벨포켓(10)과, 상기의 폼고정 및 레벨포켓(10)이 안착되어지는 폼고정 및 레벨키(9)를 설치하고, 상기 폼고정 및 레벨키 좌우측 상부에 추락시의 보조적 장치인 추락 방지턱을 구비하며 시스템 폼 본체(1) 하부에는 내부로 입설되어 스크류봉(2)에 의해 체결되는 베이스 보드(8)가 장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의 간격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베이스 보드(8)는 성형판(5)의 박스구조물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공간 확보와 추락방지의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하는 안전 스카폴드(Scaffold)와, 본체에 체결된 포켓편과, 상기 포켓편과 성형판에 부착된 포켓 홈부에 의해 시스템 폼 본체(1) 내부로 체결되어지며 중앙의 스크류봉과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의 간격 조절장치.
  3. 삭제
KR2020010018995U 2001-06-25 2001-06-25 박스 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의 간격 조절장치 KR200265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995U KR200265793Y1 (ko) 2001-06-25 2001-06-25 박스 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의 간격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995U KR200265793Y1 (ko) 2001-06-25 2001-06-25 박스 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의 간격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793Y1 true KR200265793Y1 (ko) 2002-02-21

Family

ID=7306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995U KR200265793Y1 (ko) 2001-06-25 2001-06-25 박스 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의 간격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79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900B1 (ko) 2008-08-19 2010-10-08 주식회사 번영중공업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KR101069022B1 (ko) * 2008-11-20 2011-09-29 (주)대우건설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박스폼
CN110325000A (zh) * 2019-06-10 2019-10-11 和信精密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用于机柜门的防震结构
CN115095139A (zh) * 2022-06-30 2022-09-23 山东众泰建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井整体提升模板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900B1 (ko) 2008-08-19 2010-10-08 주식회사 번영중공업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KR101069022B1 (ko) * 2008-11-20 2011-09-29 (주)대우건설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박스폼
CN110325000A (zh) * 2019-06-10 2019-10-11 和信精密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用于机柜门的防震结构
CN115095139A (zh) * 2022-06-30 2022-09-23 山东众泰建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井整体提升模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403B1 (ko)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
EP1944430B1 (en) Peripheral slab formwork system
JPH04505040A (ja) ビルディング建造システム
KR102059552B1 (ko)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KR200265793Y1 (ko) 박스 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의 간격 조절장치
KR101941942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방법
KR20230066338A (ko) 폼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101013450B1 (ko) 수직터널의 상부에 돔부가 일체로 연결된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433561B1 (ko) 벽체상승 슬래브하강 타설공법
KR102430362B1 (ko) 사일로 내부 콘 프리캐스트 시공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사일로 내부 콘의 프리캐스트 시공방법
JP3945668B2 (ja) コンクリート橋脚の構築方法
JPH05280012A (ja) 移動式型枠工法とその工法に用いる装置
KR100361047B1 (ko) 건축물 구축용 거푸집
KR100292219B1 (ko) 박스구조물성형용 시스템폼
KR20010107166A (ko)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KR100788000B1 (ko) 타워크레인 설치용 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785312B1 (ko) 철골 계단 시공 구조
KR200200942Y1 (ko)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KR200246015Y1 (ko) 건축용 박스구조물 성형 폼
KR20050076059A (ko) 교각 시공용 거푸집
KR102121363B1 (ko) 기능성 지지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건축구조물
KR100473612B1 (ko) 거푸집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골조 구축 방법
JPH0681463A (ja) 階段の構築方法
KR100464594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
JP4872301B2 (ja) Rc構造体の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