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42Y1 -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 Google Patents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42Y1
KR200200942Y1 KR2020000014833U KR20000014833U KR200200942Y1 KR 200200942 Y1 KR200200942 Y1 KR 200200942Y1 KR 2020000014833 U KR2020000014833 U KR 2020000014833U KR 20000014833 U KR20000014833 U KR 20000014833U KR 200200942 Y1 KR200200942 Y1 KR 200200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x structure
forming
rods
form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00014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2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rooms as a whole by which walls and floors are cast simultaneously, whole storeys, or whole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고안은 박스구조물을 1개층마다 단속적으로 성형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건축물에서 박스구조물의 층간 내부거푸집으로 사용한 후 계속 상층부로 이동시켜 가며 전용하도록 한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에 관한 것으로, 본고안의 목적은 시스템폼의 설치 및 탈형에 따른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주는데 있으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고안은 4방면의 성형판을 일연체로서 형성하고 있는 박스폼부와, 그 박스폼부를 신축가능하게 지지시켜 주는 신축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신축조절수단은 박스폼부의 내측 중앙에 배치된 스크류봉의 상,하중반부에 각기 승강되도록 상,하부 너트봉을 나사결합하고, 상,하부 너트봉들에 각기 4개를 1개조로 하여 열십자(十)형태로 배치되는 연결간들의 일측단부들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연결간들의 타측단부들을 박스폼부의 4방면으로 연장시켜 박스폼부 4방면의 중심부 상,하부에 각기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서,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 성형을 위한 설치 및 탈형작업이 능률적으로 수행되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으로 보장하여 주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A System Form for Making a Box-Structure}
본고안은 건축물공사에 수반되는 박스구조물을 성형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특히 박스구조물을 1개층마다 단속적으로 성형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건축물에서 박스구조물의 층간 내부거푸집으로 사용한 후 계속적으로 상층부로 이동시켜 가며 전용하도록 된 시스템폼의 내부에 작업자의 활동공간이 넓게 확보되도록 한 신축조절수단을 구비시켜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 성형을 위한 설치 및 탈형작업을 능 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디딤판으로 이용하도록 한 베이스부를 구비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으로 보장하여 주기 위한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사무용 건물 등의 대형 건축물공사에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박스구조물은 엘리베이터 승강통로·공동구 등이 있다. 이러한 박스구조물은 해당 축조구역의 지하층으로부터 최상층까지 각 층간슬래브를 연속적으로 관통하여서 시공되는 것이 통례이다.
이와 같은 박스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하여 축조구역 내,외부에 설치되는 내,외부 거푸집은 조립 및 설치작업의 여건이 크게 다른 차이가 있게 마련이다.
즉, 외부거푸집을 설치할 때에는 기시공된 박스구조물과 일체로 수평하게 연결되어서 안전이 확보된 층간슬래브상에서 작업자가 외부거푸집을 조립 설치하기 때문에, 외부거푸집을 조립 설치하는데 따른 작업주변의 여건이나 안전상 별다른 문제가 없다.
그러나, 내부거푸집의 경우에는 기시공되어 상하로 트여진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에 맞추어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내부거푸집을 지지시키거나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못하여, 작업자가 내부거푸집을 조립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이고, 작업자 또는 공사자재들의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다.
위와 같은 박스구조물의 성형을 위한 내부거푸집 설치에 따른 문제점을 극복 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층간슬래브의 내부에 매립되는 철근을 박스구조물이 설치될 개구부 주변으로 돌출시켜 놓고, 그 돌출 철근위에 작업발판을 가설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한 다음, 작업자가 작업발판 위에서 낱장의 거푸집패널을 돌출 철근위에 지지시키면서 연결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토록 하여 안전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박스구조물의 성형을 위한 내부거푸집을 설치함에 있어서, 안전사고를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며, 콘크리트 표면상태가 매끄럽지 못한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즉, 첫째 내부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돌출철근 위에서 작업발판을 가설해야 하고 1개층의 박스구조물을 시공한 후에는 작업발판을 해체해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발판을 가설하고 해체하는데 따른 작업인원과 작업시간이 추가적으로 투입되는 만큼 공사비용이 증가되고 공사기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작업발판의 가설 및 해체작업은 안전이 완전히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 작업중에 작업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작업자가 비좁은 작업공간에서 낱장의 거푸집 패널을 하나하나 연결시켜서 조립설치하고, 박스구조물을 성형한 후에 또다시 거푸집을 해체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함으로써, 작업시간과 공력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박스구조물을 성형한 후에 슬래브에서 돌출된 철근을 절단해 내서 마무리해야 하기 때문에, 이 작업의 비용 및 시간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표면으로 철근의 절단부가 노출되게 되고, 거푸집패널 사이에 폼조인트 자국이 남으며,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게 되므로 박스구조물의 매끄러운 성형면을 얻을 수 없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 성형을 위한 설치 및 탈형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토록 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여 주기 위해, 안전발판이 구비되고, 조립된 상태에서 완전히 해체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상층부로 이동시켜 가며 전용할 수 있도록 한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이 개발되어 적극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중의 하나로,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 2000-14666호와 같은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이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은 도1a 및 도1b의 도시와 같이, 일연체로서 연이어진 박스성형부(1)를 가지며, 그 박스성형부(1)의 내측 둘레에 배설된 수직버팀대(2)들을 하부로 연장시켜서 기성형된 박스구조물(B)의 세퍼레이터(s)에 결착시키도록 한 성형틀과(3); 상기 성형틀(3)의 내측 중앙에 조절봉(4)을 배치하고, 그 조절봉(4)의 상하부로부터 상기 박스성형부(1) 상하부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지지대(5)들을 가져서 상기 박스성형부(1)를 신축가능하게 지지시켜 주는 신축조절수단과; 상기 성형틀(3) 내측의 하부주변에 복층으로 배설되어 작업자의 디딤공간을 확보하여 주는 작업발판(6)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 의한 시스템폼은 성형틀(3)의 박스성형부(1)가 수축된 상태에서 양중기로 들어올려 해당 작업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작업자가 성형틀(3)의 하부주변에 설치된 작업발판(6) 위에 올라가 수직버팀대(2)를 기성형 된 박스구조물(B)의 세퍼레이터(s)에 결착시켜 지지시키고, 신축조절수단의 조절봉(4)을 조작하여 박스성형부(1)의 코너부가 직각을 이룰때 까지 신장시켜 시공되어야 할 박스구조물(B)의 내부 시공면에 맞춘 다음, 박스성형부(1)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외부거푸집(f)을 조립 설치한 한 후에, 미경화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과정을 통하여 박스구조물(B)을 시공하게 된다.
또한, 해당층 박스구조물(B)의 양생이 완료된 후 상층부 박스구조물의 시공준비가 완료되면, 외부거푸집(f)을 탈형하고 신축조절수단을 조작하여 박스성형부 (1)를 수축시켜 탈형한 후에, 성형틀(3)의 수직버팀테(2)를 기성형된 박스구조물 (B)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킨 다음,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서 계속적으로 상층부로 이동시켜 가며 전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에 의하면, 박스구조물 시공시에 작업발판을 별도로 가설하거나 해체할 필요가 없고, 낱장의 거푸집 패널을 하나하나 조립할 필요가 없이 4방면을 한꺼번에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낱장의 거푸집을 하나 하나 설치하던 종래기술에 비해 시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작업발판의 가설 및 해체작업이 생략되어 이를 설치하기 위한 공력 및 시간이 감축될 뿐만 아니라, 이 작업도중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배제하여 주는 효과를 갖게 된다.
아울러, 박스구조물이 설치될 개구부 주변으로 작업발판 및 내부거푸집을 지지시키기 위한 층간슬래브의 매립철근을 돌출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박스구조물의 매끄러운 시공면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 의한 시스템폼은 첫째, 성형틀(3)의 내측 공간부상에 다수의 연결지지대(5)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성형틀(3)의 내부로 들어가 제반작업을 수행하기에는 턱없이 비좁아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활동폭이 제한되는 작업자가 시스템폼의 내부시설물에 충돌하여서 부상당하는 사고가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성형전 정위치에 설치하기 위해 양중기로 든 상태에서 기시공된 박스구조물(B)의 세퍼레이터(s)에 수직버팀대(2)를 결착시켜 지지시켜야 하고, 성형후 수직버팀대(2)를 분리시키기 위한 인력에 의존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투입되는 인원이 많아 그 효율을 반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성형틀(3)의 가장자리에만 작업발판(6)을 설치하고 가운데는 비워 두었기 때문에, 이 가운데의 빈공간부로 작업자 또는 공사자재가 추락하게 되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완전히 불식시키지 못하였다.
넷째, 박스성형부(1)의 수직도를 맞추기 위한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고, 기성형된 박스구조물(B)의 세퍼레이터(s)와 성형틀(3)의 수직버팀대(2)를 결착하는 방법을 통해 해당작업 위치에 설치하기 때문에, 박스구조물(B)의 수직도가 정확히 유지되지 않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고안은 박스구조물을 1개층마다 단속적으로 성형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건축물에서 박스구조물의 층간 내부거푸집으로 사용한 후 계속적으로 상층부로 이동시켜 가며 전용하도록 된 상기한 선행기술의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따라서, 본고안의 목적은 시스템폼의 내부시설물을 대폭적으로 감소시켜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주고, 박스폼부의 신축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줌으로써, 시공능률이 향상되고,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은 4방면을 일연체로서 연이어 형성하고 있는 박스폼부와, 그 박스폼부의 성형판을 신축가능하게 지지시켜 주는 신축조절수단이 구비되는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에 있어서; 상기 신축조절수단의 구성을 열십자(十)형태로 설치하여 크게 단순화시킨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고안은 상기 박스폼부의 하부에 박스구조물의 개구부 전체를 커버하는 베이스부를 구비시켜 박스폼부를 지지하면서 작업자의 디딤판으로 이용토록 하고, 베이스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평조절수단을 구비시켜서 베이스부의 상부에 얹혀져서 지지되는 상기 박스폼부의 수직도를 맞출 수 있게 한 기술구성을 제공한다.
도1a는 종래의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을 예시한 사시도
도1b는 도1a에 의한 종래 시스템폼의 시공상태 종단면도
도2는 본고안에 의한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의 사시도
도3은 본고안에 의한 시스템폼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4a는 본고안에 의한 시스템폼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4b는 본고안에 의한 시스템폼의 탈형상태 평단면도
도5는 본고안에서 신축조절수단의 연결부분을 발췌한 단면도
도6a는 본고안에서 베이스부의 포켓핀이 박스구조물의 포켓홈부에 들어가 걸쳐진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6b는 본고안에서 베이스부의 포켓핀이 박스구조물의 포켓홈부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7은 본고안에서 박스폼부의 수직도를 맞추기 위해 베이스부의 포켓핀이 수평 조절볼트에 의해 들려지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박스폼부 11:성형판 12:수직버팀대
13:수평띠장 14:U형고리 15:받침다리
16:출입구 20:신축조절수단 21:스크류봉
22a,22b:상,하부 너트봉 23:연장띠 23a:구멍
24:수직봉 25a,25b:너클조인트 27:연결간
28:핸드레버 29:회전안내관 30:베이스부
31:플레이트 32:포켓핀 33:양중걸이대
34:프레임 35a,35b:좌,우 빔 36a,36b:좌,우 힌지설치대
37:힌지축 38:스토퍼 39:조절볼트
40:포켓성형돌부 B:박스구조물 h:포켓홈부
f:외부거푸집 s:세퍼레이터
본고안의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은 도2 내지 도7의 도시와 같이, 박스구조물(B)의 내부 시공면을 감안한 크기와 형상으로 된 4방면의 성형판(11)을 일연체로서 연이어 형성하고, 그 성형판(11)의 내부 둘레에 수직버팀대(12) 및 수평띠장(13)을 배설하고 있는 박스폼부(10)와; 상기 박스폼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성형판(11)을 신축가능하게 지지시켜 주는 신축조절수단(20)이; 구비되어서, 박스구조물(B)을 1개층마다 단속적으로 성형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건축물에서 박스구조물(B)의 층간 내부거푸집으로 사용한 후 계속적으로 상층부로 이동시켜 가며 전용하도록 된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에 있어서;
상기 신축조절수단(20)은 상기 박스폼부(10)의 내측 중앙에 스크류봉(21)을 수직하게 배치하고, 그 스크류봉(21)의 상,하중반부에 각기 승강되도록 상,하부 너트봉(22a)(22b)을 나사결합하며, 그 상,하부 너트봉(22a)(22b)들에 각기 4개를 1개조로 하여 열십자(十)형태로 배치되는 연결간(27)들의 일측단부들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그 연결간(27)들의 타측단부들을 상기 박스폼부(10)의 4방면으로 연장시켜 박스폼부(10) 4방면의 중심부 상,하부에 각기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서 구성된 것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고안에 따른 시스템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각 구성부를 보 다 상세히 설명한다.
박스폼부(10)는 기시공된 박스구조물(B)의 내부 시공면에 밀착되어서 기시공된 박스구조물(B)의 상부에 연결되는 새로운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을 성형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부이다.
이러한 박스폼부(10)는 설계된 박스구조물(B)의 내부 시공면을 감안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4방면의 성형판(11)이 일연체로서 연이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판(11)의 내부 둘레에는 다수의 수직버팀대(12)가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세워져서 설치되고, 그 수직버팀대(12)와 교차되는 다수의 수평띠장(13)들이 일정간격마다 배설된다.
상기 수평띠장(13)들은 그 중간부가 좌,우로 분할되어 좌,우로 분할되는 것들끼리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착설된다.
이와 같이 수평띠장(13)들의 중간부를 분할하는 이유는 상기 박스폼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신축조절수단(20)을 작동시켜서 그 박스폼부(10)의 성형판(11)을 신축시키고자 할 때에, 성형판(11)의 중간부가 유연하게 구부러지도록 하여서, 박스폼부(10)의 성형판(11)을 설계된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에 맞추어 설치하거나 탈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고안의 중요한 기술구성이다.
박스폼부(10)에서 4귀퉁이 부근에 배치된 수직버팀대(12)들의 최상부에는 U형고리(14)가 결착된다. 이 U형고리(14)의 설치는 박스폼부(10)를 최초 구간의 작업위치로 이동시킬 때와, 최상부층까지의 박스구조물 시공을 완료한 후 지상으로 이동시킬 때, 양중기의 호이스트를 연결시켜서 인양하기 위함이다.
최하단부에 배치된 수평띠장(13)에는 4각앵글을 절단하여서 된 받침다리(15)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서, 박스폼부(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부(30)에 접지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박스폼부(10)의 어느 일측의 성형판(11)에는 일정한 크기로서 트여지는 출입구(16)가 형성되어서, 본고안의 시스템폼을 사용하는 도중에 작업자가 박스폼부(10) 내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신축조절수단(20)은 상기 박스폼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박스폼부(10)의 사방 성형판(11)을 신축시키거나, 지지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본고안의 가장 중요한 구조부이다.
본고안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신축조절수단(20)은 상기 박스폼부(10)의 내측 중앙에 스크류봉(21)을 수직하게 배치하고, 그 스크류봉(21)의 상하부에 승강되도록 한 상,하부 너트봉(22a)(22b)을 결합하며, 상기 박스폼부(10)의 성형판(11)에 배설되어 있는 상기 수평띠장(13)들의 중간측 단부들에 상하로 엇갈리면서 수평연장되게 연장띠(23)들을 각각 착설하고, 그 연장띠(23)들에 수직선상으로 배치되는 구멍(23a)들을 형성하며, 그 구멍(23a)들에 수직봉(24)을 관통시켜 배치하고, 상기 상,하부 너트봉(22a) (22b)의 4방면과 상기 수직봉(24)들의 상,하부에 너클조인트 (25a)(25b)들을 마주보도록 착설하고, 상,하부 너트봉(22a)(22b)과 수직봉(24)들에서 마주보는 너클조인트(25a)(25b)들의 사이마다에 연결간(27)들을 힌지결합하여서 이루어진 기술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봉(21)의 중간부에는 일체로 결착되어 외방으로 연장되는 핸드레버(28)가 구비되어서, 스크류봉(21)을 회전시킬 때 작업자가 이 핸드레버 (28)를 이용하여 손쉽게 돌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스크류봉(21)은 그 중간부를 중심으로 상하부의 나사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며, 베이스부(30)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회전안내관(29)에 그 하단이 끼워져서 중심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신축조절수단(20)은 스크류봉(2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스크류봉(21)의 중간부측으로 상부너트봉(22a)이 하강하면서 하부너트봉(22b)은 상승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각기 4방면으로 설치되어 있는 상기 연결간(27)들의 경사각이 커지면서 상기 수직봉(24), 연장띠(23) 및 수평띠장 (13)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기 4방의 성형판(11)의 가운데를 잡아 당겨서 수축시켜 주게 된다.
이와 반대로, 스크류봉(21)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스크류봉(21)의 상부측으로 상부너트봉(22a)이 상승하면서 하부너트봉(22b)은 하강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간(27)들의 경사각이 수평상태로 돌아오면서, 상기 박스폼부(10)의 성형판(11)을 외측으로 떠밀어서 신장시켜 주게 된다.
베이스부(30)는 상기 박스폼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박스폼부(10)를 지지하여 주면서, 외부거푸집과 긴결하거나 탈형하는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 게 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부이다.
이러한 베이스부(30)는 상기 성형판(11)의 외면보다 약간 작으면서 거의 그 외면에 상응하는 평면크기로 된 플레이트(31)가 상기 박스폼부(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31)의 하부에 적어도 2방면에서 대향하면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포켓핀(32)들이 힌지결합되어 고정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31)의 소정위치들에 양중걸이대(33)를 설치하고 있는 기술구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플레이트(31)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박스폼부(10)의 하부를 완전히 가로막으며, 그 플레이트(31)의 하부에는 격자상으로 배치되는 프레임(34)들이 보강되어서 구조적 강성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포켓핀(32)들은 본고안의 시스템폼이 해당 작업위치에 설치될 때 박스구조물(B)의 측벽에 형성된 포켓홈부(h)에 그 돌출단(32a)이 들어가 시스템폼의 전체하중을 지지하여 주며, 해당층 박스구조물(B)의 시공이 완료되어 상부층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자동으로 회동하여 상기 포켓홈부(h)로부터 빠져나오도록 그 포켓핀 (32)들의 돌출단(32a)이 힌지점을 중심으로 하방으로는 회동 가능하고 상방으로는 회동 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포켓핀(32)의 설치는 상기 플레이트(31)의 양측반부들 하면에 일정간격을 두는 좌,우 빔(35a)(35b)들을 가로질러 설치하고, 그 좌,우 빔(35a)(35b)들의 양측단부들 하면에 각각의 좌,우 힌지설치대(36a)(36b)들을 고정시키며, 그 좌,우 힌지설치대(36a)(36b)들을 건너질러 힌지축(37)을 수평하게 결합하고, 상기 좌,우 힌지설치대(36a)(36b)의 사이에 상기 포켓핀(32)이 들어가 상기 플레이트 (31)의 외측으로 일정부분 돌출되면서 그 무게중심이 돌출단(32a)의 반대측으로 쏠리도록 상기 힌지축(37)에 수평하게 관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포켓핀(32)의 후부 하방에 포켓핀(32)의 후부를 지지하는 스토퍼(38)를 배치하여 상기 좌,우 힌지설치대(36a)(36b)에 착설하여서 된다.
상기 포켓핀(32)은 그 하면은 수평하고, 그 상면은 최외측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1개층의 박스구조물의 시공을 완료한 후, 본고안의 시스템폼을 상층부로 이동시킬 때 박스구조물(B)의 포켓홈부(h)로부터 순조롭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양중걸이대(33)는 해당층 박스구조물(B)의 시공이 완료되어 본고안의 시스템폼을 상부층으로 이동시킬 때 양중기의 호이스트를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부이다.
이 양중걸이대는 상기 좌,우 빔(35a)(35b)들 사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플레이트(31)의 측단부를 일정부분 절취하고, 그 절취된 부분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좌,우 빔(35a)(35b)들의 양측단부 사이에 봉형태의 양중걸이대(33)를 수평하게 건너질러 착설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부(30)에 베이스부(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평조절수단을 설치하여서 베이스부(30)의 상부에 얹혀져서 지지되는 상기 박스폼부(10)의 수직도를 맞추도록 하고 있다.
이 수평조절수단은 포켓핀(32)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플레이트(31)를 일정부분 절취하고, 상기 포켓핀(32)의 후부에 그 포켓핀(32)을 상하로 관통하면서 나사결합되며, 상기 스토퍼(38)에 그 하면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조절볼트(39)를 설치하여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수평조절수단은 상기 플레이트(31)의 상부에서 조절볼트(39)를 회동시켜 승,하강시키면서 상기 베이스부(30)의 수평을 조절하여서, 그 베이스부(30)의 플레이트(31)에 얹혀져서 지지되는 상기 박스폼부(10)의 수직도를 맞출 수 있게 된다.
포켓성형돌부(40)는 성형되는 박스구조물(B)의 내벽에 상기 포켓핀(32)의 돌출단(32a)이 걸쳐지는 포켓홈부(h)를 형성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부이다.
이러한 포켓성형돌부(40)는 상기 박스폼부(10)의 성형판(11) 외면에 나사접합되거나 용접되어서 형성되며, 상기 포켓핀(32)들로부터 시공되는 건축물의 층고와 같은 간격을 두고 직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박스폼부(10)의 성형판(11)에 외측으로 돌출시켜서 형성된다.
상기 포켓성형돌부(40)는 그 하면은 수평하고, 그 상면은 최외측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형상의 입체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져서, 상기 포켓핀(32)의 돌출단부가 빠져나갈 때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면서 순조롭게 빠져나가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고안에 의한 시스템폼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의 시스템폼은 최초로 최저층에 설치할 때에는 우선 베이스부(30)를 기성형된 박스구조물(B) 내부의 해당 작업위치에 성형되어 있는 포켓홈부(h)에 베이스부(30)의 포켓핀(32)을 삽입하여서 지지시킨다.
다음으로, 성형판(11)이 오무려진 상태의 박스폼부(10)를 양중기로 들어올려서 베이스부(30)의 플레이트(31) 상부에 올려놓아 지지시킨다.
그리고 나서, 신축조절수단(20)을 조작하여 박스폼부(10)의 4방 성형판(11)을 신장시켜서 시공되어야 할 박스구조물(B)의 내부 시공면에 맞추어서 설치한다.
이때, 베이스부(30)의 수평 조절볼트(39)를 조절하여 박스폼부(10)의 수직도를 맞춘다.
이후, 박스폼부(10)의 성형판(11) 외측에 세퍼레이터(s)를 통해 일정간격을 두고 외부거푸집(f)을 조립 설치한 다음, 미경화콘크리트를 타설하여서 박스구조물 (B)을 시공하게 된다.
이때, 박스폼부(10)의 성형판(11)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포켓성형돌부(40)에 의해 박스구조물(B)의 내벽면에 포켓홈부(h)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해당층 박스구조물(B)을 시공한 후에 박스구조물(B)의 양생이 완료되면, 외부거푸집(f)과 연결된 세퍼레이터(s)를 해체하고, 신축조절수단(20)을 조작하여, 박스폼부(10)의 성형판(11)을 수축시켜서, 박스구조물(B)의 시공면으로부터 탈형시키게 된다.
이때, 본고안에 의하면 신축조절수단(20)이 성형판(11)의 중간부를 잡아당겨 구부리게 되므로,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간단히 탈형시킬 수 있게 된다.
탈형한 후에는 다음의 상층부 박스구조물(B)을 시공하기 위해 본고안의 시스템폼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 작업은 베이스부(30)의 양중걸이대(33)에 양중기의 호이스트를 걸고 베이스부(30)를 상부로 들어올려 그 베이스부(30)의 상부에 얹혀진 박스폼부(10)까지 한꺼번에 인양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부(30)가 상부로 들어올려지게 되면 포켓핀(32)의 돌출단(32a)이 박스구조물(B)의 포켓홈부(h)상부에 걸리면서 아래쪽으로 자동으로 회동하여서 박스구조물(B)의 포켓홈부(h)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포켓홈부(h)에서 빠져나온 포켓핀(32)은 상부에 형성된 박스구조물(B)의 포켓홈부(h)에 도달할 때까지 그 돌출단(32a)이 박스구조물(B)의 내벽면을 타고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며, 포켓홈부(h)에 도달하게 되면 포켓핀(32)의 돌출단(32a)이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하향 회동하여서 포켓홈부(h)에 들어가 안정적으로 걸쳐진다.
이로써 본고안에 의한 시스템폼을 상부층으로 이동시켜 설치하는 작업이 간단하게 완료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성형판(11)을 신장시키면서 박스폼부(10)의 수직도를 맞추고, 외부거푸집(f)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을 반복하여서, 박스구조물을 시공하게 되며, 본고안에 의한 시스템폼은 계속하여 상부층으로 이동시켜 가며 건축물의 박스구조물을 시공하는데 전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고안의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에 의하면,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로서 형성된 박스폼부로서 4방면이 일체로 연결된 성형면을 이루고, 박스폼부의 성형면을 자유롭게 신축 조절가능하도록 지지하여 주는 간단한 구조의 신축조절수단을 구비하며, 박스폼부의 하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면서 인양에 의해 자동으로 설치되며 수평조절이 가능한 베이스부를 구비하여서,
첫째, 넓은 작업공간이 확보되고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가 완벽하게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을 성형하기 위한 설치작업시 낱장의 거푸집패널을 일일이 연결시킴이 없이, 설치 및 탈형작업을 일련의 동작으로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서 박스구조물을 보다 능률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시스템폼을 상층부로 이동시켜 설치할 때 자동적으로 설치되므로, 설치하기가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넷째, 시공되는 박스구조물의 수직도를 정확히 맞출 수 있게 되고, 매끄러운 콘크리트 표면으로 성형되게 되므로, 보다 양호한 박스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고안은 박스구조물의 내부 시공면 성형을 위한 설치 및 탈형작업이 능률적으로 수행되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으로 보장하여 주며, 양호한 품질의 박스구조물을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박스구조물(B)의 내부 시공면을 감안한 크기와 형상으로 된 4방면의 성형판 (11)을 일연체로서 연이어 형성하고, 그 성형판(11)의 내부 둘레에 수직버팀대(12) 및 수평띠장(13)을 배설하고 있는 박스폼부(10)와; 상기 박스폼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성형판(11)을 신축가능하게 지지시켜 주는 신축조절수단(20)이; 구비되어서, 박스구조물(B)을 1개층마다 단속적으로 성형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건축물에서 박스구조물(B)의 층간 내부거푸집으로 사용한 후 계속적으로 상층부로 이동시켜 가며 전용하도록 된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에 있어서;
    상기 신축조절수단(20)은 상기 박스폼부(10)의 내측 중앙에 스크류봉(21)을 수직하게 배치하고, 그 스크류봉(21)의 상,하중반부에 각기 승강되도록 상,하부 너트봉(22a)(22b)을 나사결합하며, 그 상,하부 너트봉(22a)(22b)들에 각기 4개를 1개조로 하여 열십자(十)형태로 배치되는 연결간(27)들의 일측단부들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그 연결간(27)들의 타측단부들을 상기 박스폼부(10)의 4방면으로 연장시켜 박스폼부(10) 4방면의 중심부 상,하부에 각기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폼부(10)의 성형판(11)에 배설된 수평띠장(13)들의 중간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분할되어서, 상기 박스폼부(10)의 신축조절수단(2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성형판(11) 4방면 중심의 수직선상부가 구부러지거나 펴져 그 박스폼부(10)의 신축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조절수단(20)은 상기 수평띠장(13)에서 분할된 중간측 단부들에 상하로 엇갈리면서 수평연장되게 연장띠(23)들을 각각 착설하고, 그 연장띠(23)들에 수직선상으로 배치되는 구멍(23a)들을 형성하며, 그 구멍(23a)들에 수직봉(24)을 관통시켜 배치하고, 상기 박스폼부(10)의 내측중앙에 배치된 상기 스크류봉(21)의 상하부에 나사결합된 상,하부 너트봉(22a)(22b)의 4방면과 상기 수직봉(24)들의 상,하부에 각각의 너클조인트(25a)(25b)들을 마주보도록 착설하며, 상기 상,하부 너트봉(22a)(22b)과 수직봉(24)들에서 마주보는 너클조인트(25a)(25b)들의 사이마다에 상기 연결간(27)들을 힌지결합하는 한편, 상기 스크류봉(21)의 중간부에 그 스크류봉(21)을 작업자가 돌릴 수 있도록 한 핸드레버(28)를 일체로 결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KR2020000014833U 2000-05-25 2000-05-25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KR200200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833U KR200200942Y1 (ko) 2000-05-25 2000-05-25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833U KR200200942Y1 (ko) 2000-05-25 2000-05-25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2Y1 true KR200200942Y1 (ko) 2000-10-16

Family

ID=1965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833U KR200200942Y1 (ko) 2000-05-25 2000-05-25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42102A (en) Method of making a cast concrete house having integral walls and roof using mobile interior forms
JP3942043B2 (ja) 高い垂直壁の連続コンクリート打設のための登攀式型枠装置及び方法
JPH04505040A (ja) ビルディング建造システム
CN107795120B (zh) 多曲面自由伸缩建筑模架系统设备
CN209482679U (zh) 适用于斜墙施工的筒架支撑式整体钢平台
CN109457931A (zh) 适用于斜墙施工的筒架支撑式整体钢平台及其施工方法
CN111015910A (zh) 预制楼梯模具
KR102059552B1 (ko)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KR101013450B1 (ko) 수직터널의 상부에 돔부가 일체로 연결된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47347B1 (ko) 슬라브시공용 슬라브패널 전동서포터
CN211729635U (zh) 预制楼梯模具
KR20020089689A (ko) 복합부재 판넬과 유압 잭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법
KR101140884B1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200942Y1 (ko)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KR20010107166A (ko)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KR102069702B1 (ko) 건물 벽체 공사용 클라이밍 장치
KR101911415B1 (ko) 건축구조물의 돌출부 시공을 위한 갱폼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의 돌출부 시공방법
KR200265793Y1 (ko) 박스 구조물 성형용 시스템 폼의 간격 조절장치
KR100292219B1 (ko) 박스구조물성형용 시스템폼
WO2017054724A1 (zh) 凹字型楼层成型装置的吊装设备
KR100361047B1 (ko) 건축물 구축용 거푸집
CN209755588U (zh) 预制房单元模具
CN213797166U (zh) 组装合成建筑单元简易模具
KR200246015Y1 (ko) 건축용 박스구조물 성형 폼
KR102636240B1 (ko) 테이블폼 시스템 및 그 해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