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305Y1 - 콘크리트 구조물 양생 거푸집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양생 거푸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305Y1
KR200372305Y1 KR20-2004-0027976U KR20040027976U KR200372305Y1 KR 200372305 Y1 KR200372305 Y1 KR 200372305Y1 KR 20040027976 U KR20040027976 U KR 20040027976U KR 200372305 Y1 KR200372305 Y1 KR 200372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body
concrete
concrete structure
molding
outer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9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학
Original Assignee
이상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학 filed Critical 이상학
Priority to KR20-2004-0027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3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3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가변가능하게 구성하고 온도조절기가 구비되며 자체의 콘트리트 양생용 히터 파이프를 구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 공정을 단축시키고 에너지 절약을 가능하도록 한 콘트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는 내측으로 턱부분을 가진 다수개의 지지 부재들이 둘러싸여 이루어진 하부 몰드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몰드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그의 외측면이 접하면서 수직하게 상방으로 직립하여 위치되는 내부 몰딩용 몸체와, 상기 하부몰드 플레이트의 외측면테두리를 따라 그의 내측면 테두리가 접하여 위치하는 외부 몰딩용 몸체로 인해 상기 하부 몰드 플레이트의 폭만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각각 내측 및 외측으로 분리가능한 내부 및 외부 몰딩용 몸체들의 이중구조로 된 몰딩용 몸체들과; 상기 몰딩용 몸체들로 인하여 형성된 내부공간에 상하 접속면부분에 서로 반대형상의 접합부를 형성하기 위한 링 부재; 및 상기 링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몰딩용 몸체들의 상부의 내부 공간을 덮는 폭을 가진 링형상의 상부 몰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양생 거푸집 장치 {CONCRETE STRUCTURE CURING FORMWORK APPARATUS}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관한 것으로, 특히 수로용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할 때 거푸집을 구성하는 몰딩을 이중구조로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세워서 제작하며, 외부 몰드를 단열 및 보온재로 피복하여 열효율을 증대시켜 양생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며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면이 고르게 형성되도록 하며 아울러 크기를 확장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관한 것이다.
하수도관에 주로 쓰이는 박스형 하수관이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에 의해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는 수로용 콘트리트 구조물의 크기가 정해진 형태만 성형(CASTING)할 수 있는 거푸집 장치를 제작하므로 다른 크기의 구조물을 제작하려면 또 다른 형태의 거푸집 장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전면이 고르게 콘크리트가 양생되지 못하여 외관상 조악한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그 부분이 외력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콘트리트 타설후 천막을 덮거나 몰드를 양생실로 이동시켜 증기를 투입시켜 양생하므로 열손실 및 지하수낭비와 폐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가변가능하게 구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에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된 콘트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 및 그에 의해 생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양생 거푸집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외부 몰딩용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에서 상부 부분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에 투입되는 철근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두개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의 몰딩몸체의 상하부분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두개의 완성된 콘크리트 성형물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30 : 내부 및 외부 몰딩용 몸체
100 :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내측으로 턱부분을 가진 다수개의 지지 부재들이 둘러싸여 이루어진 하부 몰드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몰드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그의 외측면이 접하면서 수직하게 상방으로 직립하여 위치되는 내부 몰딩용 몸체와, 상기 하부몰드 플레이트의 외측면테두리를 따라 그의 내측면 테두리가 접하여 위치하는 외부 몰딩용 몸체로 인해 상기 하부 몰드 플레이트의 폭만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각각 내측 및 외측으로 분리가능한 내부 및 외부 몰딩용 몸체들의 이중구조로 된 몰딩용 몸체들과; 상기 몰딩용 몸체들로 인하여 형성된 내부공간에 상하 접속면부분에 서로 접합부를 형성하기 위한 링 부재; 및 상기 링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몰딩용 몸체들의 상부의 내부 공간을 덮는 폭을 가진 링형상의 상부 몰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몰딩용 몸체는 소정 길이의 솔레노이드의 몸체부를 중심으로 양측 실린더부들이 상기 내측 몰딩용 몸체의 모서리 근처에서 만나는 양측 내측 몰딩용 몸체 표면에 고정된 분리수단을 가지며, 구동신호 인가시 양측 내부 몰딩용 몸체를 동시에 잡아당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몰딩용 몸체는 제 1 외부 몰딩용 몸체 및 제 2 외부 몰딩용 몸체로 구성되되, 상기 제 2 외부 몰딩용 몸체는 상기 제 1 외부 몰딩용 몸체의 중간부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 외부 몰딩용 몸체는 평면에서 보면 직각형태의 한 쌍의 몸체로 이루어져 그 몸체가 만나는 일측은 힌지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고정수단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외부 몰딩용 몸체는 일측면에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 단부에 고정된 고정고리로 이루어진 결합 수단 각각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다수개가 그 일측면을 따라 상방에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어, 다른 제 1 외부 몰딩용 몸체의 일측면에 각각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다수개가 그 일측면을 따라 상방에서부터 하방으로 형성된 제 1 외부 몰딩용 몸체의 후크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몰딩용 몸체들의 소정위치에 각각 하나 이상씩 설치되어 진동을 주면서 콘크리트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 진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상기 외부 몰딩용 몸체들의 소정위치 소정 개수가 설치되며 온도조절기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개폐기가 설치된 히트파이프를 통해 열풍기에 의해 발생된 열풍을 내부공간을 통해 순환시키도록 상기 열풍기를 제어하는 온도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몰딩용 몸체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적당한 온도를 센싱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몰딩장치들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투입되고 그 상부에 상기 테두리 성형을 위한 테두리부를 얹어 놓은 상태에서 2차로 투입된 콘크리트를 상부에서 눌러줄 수 있도록 된 상부 진동 장치를 포함하며, 그 크기는 외측 및 내측몰딩용 몸체로 인해 형성된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부 몰드를 장착하고; 상기 하부몰드에 내측몰드를 장착하고; 상기 철근 배근을 장착하고; 외부 몰드를 장착시키고; 상기 내측 및 외부 몰드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를 투입하며 진동다짐하고; 상기 내부공간내에 어느정도 높이까지 콘크리트 투입이 완료된 후 그 콘크리트상에 테두리를 성형하기 위한 삽입 링을 설치하고; 2차로 삽입링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채우고 상부몰드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의 상부를 눌러서 콘크리트 성형물의 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몰딩용 몸체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온도를 측정해가며 양생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생단계후, 상기 상부 몰드 제거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먼저 내측벽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 몰딩용 몸체내측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를 구동시켜 내부 몰드를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격시키고; 이후 외부 몰딩용 몸체들의 결합을 해제시켜 외측 몰딩용 몸체, 즉 외측벽을 분리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외부몰드 벽에 부착된 파이프를 통하여 증기를 순환시켜 콘크리트 양생에 필요한 온도를 제공하고 증기 트랩을 통과한 고온의 물은 보일러 사용수로 재사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외부 몰딩용 몸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상부 부분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트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는 평면에서 볼 때 소정형상 도 1에서는 소정형상의 하부 몰드 플레이트(400)와, 상기 하부 몰드 플레이트(400)에 수직하게 상방으로 직립하여 형성되어 소정형상, 도 1에서는 사각형 형태를 이루며,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내부 공간(S)을 형성하는 내부 및 외부 몰딩용(molding) 몸체(20,30)들로 구성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는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100)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과정에서의 콘크리트 양생물 혹은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가능하며, 이는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며, 하부몰드 플레이트(400)만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완성할 수도 있다. 즉, 다수개의 지지 부재들(410,420)로 이루어진 상기 하부 몰드 플레이트(400)에 있어서, 지지부재들(410,420)에 내측으로 형성된 턱부분(412,422)에 후술하는 내부몰딩용 몸체(20)들이 접하면서 고정된다.
상기 내부 몰딩용 몸체(20)는 사각형 형상의 모서리 부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몰드들(25)과, 상기 몰드들(25)과 면하여 고정되면서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부 측면 몰드들(22,23,24)로 구성된다. 상기 몰드들(22,23,24,25)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가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시 서로 측면끼리 접촉되면서 별도의 고정수단(예를 들면 금속체인)을 통해 서로 면접촉되면서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되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상을 이루되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서리 부분의 몰드들(25)의 상면에는 커버 고정용 고정대(26)가 돌출형성되어 커버(800)와 커버구멍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일체로 결합된 내부 몰딩용 몸체들(20)로 인해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면부분이 커버된다. 상기 몰드들(22,23,24,25)이 서로 분리되어있는 이유는 몰드물의 크기를 변형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 몰드를 분리하거나 추가하여 몰드물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몰딩용 몸체들(30)은 상기 내부 몰딩용 몸체들(20)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면서(후에 이 부분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가 됨) 그 외측면을 감싸는 식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내부 몰딩용 몸체들(20)과는 대응되는 높이를 가진다.
상기 외부 몰딩용 몸체(30)는 제 1 외부 몰딩용 몸체(32) 및 제 2 외부 몰딩용 몸체(34)로 구성되며, 사각형의 형상이므로 4개의 변에 위치한 4개의 외측 몰딩용 몸체(30)들 각각이 모서리 부분이 접촉되면서 하나로 결합되어 사각형 형상의 외부 몰딩용 몸체가 완성된다. 즉, 상기 제 2 외부 몰딩용 몸체(34)는 일측면에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 단부에 고정된 고정고리로 이루어진 결합 수단 각각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다수개가 그 일측면을 따라 상방에서부터 하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외부 몰딩용 몸체(32)의 타측면에는 후크부(55)가 각각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다수개가 그 일측면을 따라 상방에서부터 하방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외부 몰딩용 몸체(34)의 일측면은 제 1 외부 몰딩용 몸체(32)의 타측면과 면접촉되며, 그 면접촉된 부분을 고정수단, 예를 들면 볼트로 고정시켜서 상기 외부 몰딩용 몸체(30)를 형성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외부 몰딩용 몸체(30)가 4개가 한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2 외부 몰딩용 몸체(34)는 완성품의 크기를 확장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서, 착탈 가능한 것이다. 도 1에서는 외부 몰딩용 몸체(30)의 제 2 외부 몰딩용 몸체(34)가 각각 사각형 4면에 하나씩 추가로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사각형의 모서리 부분 각각 에서는 제 2 외부 몰딩용 몸체(34)의 타측면의 모서리면과 다른 외부 몰딩용 몸체(30)의 제 1 외부 몰딩용 몸체(32)의 일측면의 모서리면과 면접촉면서 고정된다. 상기 4개의 외부 몰딩용 몸체(30)들은 각각 모서리 부분에서 위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지만, 실시예에서는, 일측면만 후크부(55) 고정방식을 취하고(마지막으로 고정되는 부분), 나머지 부분은 각각 고정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특히 일측은 힌지식으로 힌지부(301)와 힌지축(302)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작동시에는 후크부(55)를 해제시키면 힌지축(302)을 중심으로 결합되어있던 부분을 펼치듯이 열수 있다.
참조 부호 80은 진동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외부 몰딩용 몸체(30)들의 소정위치에 각각 하나 이상씩(실시예에서는 모두 8개) 설치되어 진동을 주면서 콘크리트 주입이 이루어지며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참조 부호 90은 온도조절기(도시안됨)의 작용에 의해 열매체를 통과시키는 히트 파이프 출입구(91,92)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외부 몰딩용 몸체(30)들의 소정위치에 소정 개수가 설치되어 열매체를 외부 몰딩용 몸체(30) 내부공간(도시안됨)을 향해 불어넣는다. 즉, 이 장치는 외부에 설치된 온도조절기를 통해 구동신호가 발생하면 그에 의해 구동되는 열풍기(예를 들면 보일러, 히터펌프, 도시안됨)에 의해 발생된 열이 상기 외부 몰딩용 몸체내에서 순환하여 온도를 증가시켜서 투입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히트파이프에는 상기 온도조절기에 의해 제어를 받는 전자개폐기(전자개폐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참조 부호 95는 센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외부 몰딩용 몸체(30)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적당한 온도를 센싱하여 제어부(도시안됨)로 신호를 전송한다.
참조부호 500은 상부몰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부에서 내외부 몰딩몸체들사이에 채워진 콘크리트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 상부몰드(500)도 폭을 확장가능하도록 확장부재(511)가 위치하고 있다. 참조부호 520은 손잡이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한편 참조부호 60은 커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상부몰드(500)의 전체 넓이보다 넓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상부몰드(500)상에 안착되어 누를 수 있도록 안착가능한 크기를 가지며, 손잡이(61)와 중간부에 진동기(80)가 설치되어있다.
참조부호 900은 상기 몰드(34) 외측에 보강된 보강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와 같이 다수개의 보강재들이 외벽에 부착되어 있다. 이는 몰드(34)내의 공간에 열풍이 가해질 경우 내부 온도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는 초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몰딩용 몸체(30)의 제 2 외부 몰딩용 몸체(34)는 전체 몰딩 몸체의 크기를 확장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외부 몰딩용 몸체(30)은 평면에서 보면 직각형태로 이루어져 한 쌍의 몸체(30)가 서로 만나는 부분 일측은 힌지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고정 수단을 통해 고정/해제가 가능하다.
본 고안의 중요한 특징중 하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즉 내측벽 분리수단으로서, 소정 길이의 솔레노이드(70)의 몸체부(72)를 중심으로 양측 실린더부(72)들이 상기 내부 몰딩용 몸체(20)의 모서리 근처에서 만나는 양측 내측 몰딩용 몸체(20)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70)는 4측 모서리 마다 설치되어 있고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총 8개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솔레노이드(70)는 별도로 구동력을 인가받기 위하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외부에서 상기 솔레노이드(70)는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70)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솔레노이드(70)의 양단 실린더(72)들이 동시에 내측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내부 몰딩용 몸체(20)들이 분리된다.
참조부호 500은 상부 몰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몰딩장치에 콘크리트가 투입되고 그 상부에 상기 상부 테두리 모양성형을 위한 테두리부(600)를 얹어 놓은 상태에서 2차로 투입된 콘크리트를 상부에서 눌러줄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그 크기는 외측 및 내측몰딩용 몸체로 인해 형성된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진다. 참조부호 520은 손잡이를 나타낸다. 상기 테두리부(600)역시 확장가능하도록 중간부분에 분리가능한 부재로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304는 몰드 벽면에 형성된 구멍을 막는 원형 커버판을 나타낸 것으로서, 몰드 벽면에 고정된 반원형 홀더(303)에 우측에서 끼워 넣을 수 있는 구조이며, 후에 완성될 콘크리트 구조물에 철근 노출부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에 투입되는 철골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에 의해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성된 콘트리트 구조물(300)의 형태로 만들기 위해 먼저 철근으로 엮어 만든 철골 구조물(200)이 요구된다. 이러한 철골 구조물(200)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100)의 내부 공간에 먼저 위치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300)은 내측은 모서리(330)가 모따기 형식으로 형성된 구멍(340)이 형성되고 상기 도 4에서 테두리를 형성하기 위한 테두리부(600)에 의해 테두리(320)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테두리와는 다르게 하부에는 별도의 테두리부(620)가 설치되어 돌출부(350)가 형성되는데 이는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300)과 연속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도 8 및 도 9참조). 참조부호 321은 고무링이 안착되기 위한 홈을 나타낸다(도 8 및 도 9참조). 참조부호 311은 콘크리트 구조물(300)의 이동시 별도의 장비와 체결가능하도록 된 걸고리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완성된 2개의 콘크리트 구조물(300)은 서로 접합부가 만나서 맞춰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연속하여 다수개의 콘크리트 구조물(300)들을 서로 연결하여 설치가능하다. 상기 마주하여 접하는 부분마다에는 일측에 테두리형 홈(331,332,실시예에서는 하부에 두개가 형성됨)이 형성되어 수밀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에 따른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중공 형태인 수로 형상 철골 구조물(200)을 제작하고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100)(일명 캐스팅 프레임이라 함)를 (하부)몰드를 조립한다(철근배근 수로형상 철골구조물 제작공정, S2,S3).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철골 구조물(200) 투입전에 내부공간에 먼저 테두리부(620)를 장착해야 한다(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 이후에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100)를 몰드조립한다(S3). 이후, 상기 몰드조립된(하부몰드)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일명 캐스팅 프레임이라고 칭함, 100)내에 내측 몰드를 장착한다(S4). 이후철근 배근을 장착한다(S5). 즉 철근 배근을 캐스팅 프레임에 장착하고 고정시킨다. 이후 외부 몰드를 장착한다(S6). 이후 상방에서 콘크리트를 상기 캐스팅 프레임 내부 공간내로 적절히 투입한 후 임시성형 과정을 거친다(S8,S10). 이 과정은 1차 성형 과정이라고도 하며, 본 고안에서는 콘크리트의 공극이 많은 건식이 아닌 공극이 없는 상태의 습식을 사용하므로 조직은 치밀하지만 모양형성이 어렵기 때문에 먼저 이러한 임시성형 즉 1차 성형과정을 수행한다(S10). 이후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에 테두리부(620)(링형태이기 때문에 일명 성형 링(ring)이라고도 함)를 설치한 것처럼, 상기 1차 성형된 콘크리트상에 테두리를 성형하기 위한 테두리부(600)를 설치한다(일명 성형 링 삽입과정)(상부 테두리부를 설치하기위한 것임, 하부 돌출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임)(S12). 이후 콘크리트를 채우고(S13), 상부 몰드를 안착한다(S13,S14). 이후 외측몰딩용 몸체에 설치된 진동기(80)를 통해 몸체를 진동시켜서 내부공간내에 철골구조물과 적절히 골고루 콘트리트가 투입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을 생성하도록 진동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15). 이후 상기 상부몰드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의 상부를 눌러서 콘크리트 성형물의 상부를 형성한다(S16). 이후 전기제어를 통해 양생한다(S18). 양생과정에서 상기 외측몰딩용 몸체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온도를 측정해가며 양생을 할 수 있다. 이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먼저 내측벽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 몰딩용 몸체내측에 설치될 솔레노이드(70)를 구동시킨다(S20). 물론 그전에 상부몰드를 제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후 외부 몰딩용 몸체(30)들의 결합을 해제시켜 외측 몰딩용 몸체, 즉 외측벽을 분리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탈형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원하는 콘트리트 구조물(300)이 형성된다(S22,S24,S25).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300)은 직립형태로 제작되었지만, 사용시에는 눕혀서 사용하면 된다. 즉 종래에는 처음부터 눕힌 상태로 하여 제작함으로써 완성품의 상태로 고르지 못했던 점을 본 고안에서는 직립상태로 제작하므로 완성품의 면이 고르게 형성된 특징이 있다. 또한 완성품의 상부 및 하부에 테두리를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투입과정에서, 상방에서 투입되는 콘트리트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철근을 상기 상방에서 촘촘히 배열하여 콘크리트 구조물(300) 제작시 구조물(300)의 상방에 철근이 일정길이만큼 노출된 형태로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철근이 노출된 콘트리트 완성품(300)은 다수개의 콘트리트 구조물의 연결부분이 굴곡 혹인 일정 각도가 요구되는 경우 추가 양생과정에서 유효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의 몰딩몸체의 중간부분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및 내측몰딩용 몸체(34,23)내에 콘크리트 성형물(300)이 양생중이다. 상기 성형물(300)의 하부는 테두리부(620)(즉 링)에 의해 테두리(320)가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620)의 형태는 상부 테두리부(600)의 형태와는 마찬가지로 계단형태로 되어있는데 모양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성형물(300)에 테두리를 성형할 수 있는 형태이면 된다. 상기 성형물(300)의 하부 및 상부가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므로 연속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300)끼리 연결가능하다.
참조부호 621,622는 콘크리트 구조물(300)과 접하는 부분에 고무링(630)이 끼워지도록 하기위한 턱부분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623은 상부 돌출부이고, 이에 대응하여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홈(321)이 형성된다.
상기 고무링(630)은 수밀작용을 하는 것이다.
도 9는 두개의 완성된 콘크리트 성형물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콘크리트 성형물(300)은 서로 테두리부(320)와 돌출부(350)가 서로 만나 결합되며 그 결합부표면은 고무링(370)이 끼워져 수밀작용을 하도록 되어있다. 한편 서로 만나는 부위는 고무링(370)이 끼워지기 위한 홈들(321,351)이 대응하여 형성되어있다.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이 세워져 있으므로 종래 콘크리트 거푸집 장치에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해 단단하게 재료가 층층이 쌓이게 되는 효과가 있고, 양생시간이 단축되며 양생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절기 작업시 거푸집을 예열시켜 콘크리트의 동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도제어기를 설치하며 양생에 적당한 온도관리가 쉬운 효과가 있다. 또는 내측 몰딩용 몸체를 해제시키기가 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직립식으로 제작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 일측으로 철근이 노출된 형태를 제작하기가 쉬운 효과가 있어서 이로 인해 굴곡부 혹은 현장 기존 구조물과 사용되는 철근 노출부등의 제작이 손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몰딩용 몸체가 확장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규격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기를 부착하므로 에어배기가 쉬운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9)

  1. 내측으로 턱부분을 가진 다수개의 지지 부재들이 둘러싸여 이루어진 하부 몰드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몰드 플레이트의 턱부분에 그의 외측면이 걸쳐지면서 수직하게 상방으로 직립하여 위치되는 내부 몰딩용 몸체와, 상기 하부몰드 플레이트의 외측면테두리를 따라 그의 내측면 테두리가 접하여 위치하는 외부 몰딩용 몸체로 인해 상기 하부 몰드 플레이트의 폭만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각각 내측 및 외측으로 분리가능한 내부 및 외부 몰딩용 몸체들의 이중구조로 된 몰딩용 몸체들과;
    상기 몰딩용 몸체들로 인하여 형성된 내부공간에 상하 테두리부분에 반대형상의 돌출부 및 리세스된 테두리부를 형성하기 위한 링 부재; 및
    상기 링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몰딩용 몸체들의 상부의 내부 공간을 덮는 폭을 가진 링형상의 상부 몰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몰딩용 몸체는
    소정 길이의 솔레노이드의 몸체부를 중심으로 양측 실린더부들이 상기 내측 몰딩용 몸체의 모서리 근처에서 만나는 양측 내측 몰딩용 몸체 표면에 고정된 분리수단을 가지며, 구동신호 인가시 양측 내부 몰딩용 몸체를 동시에 잡아당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몰딩용 몸체는 제 1 외부 몰딩용 몸체 및 제 2 외부 몰딩용 몸체로 구성되되, 상기 제 2 외부 몰딩용 몸체는 상기 제 1 외부 몰딩용 몸체의 중간부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 외부 몰딩용 몸체는 평면에서 보면 직각형태의 한 쌍의 몸체로 이루어져 그 몸체가 만나는 일측은 힌지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고정수단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부 몰딩용 몸체는 일측면에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 단부에 고정된 고정고리로 이루어진 결합 수단 각각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다수개가 그 일측면을 따라 상방에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어, 다른 제 1 외부 몰딩용 몸체의 일측면에 각각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다수개가 그 일측면을 따라 상방에서부터 하방으로 형성된 제 1 외부 몰딩용 몸체의 후크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몰딩용 몸체들의 소정위치에 각각 하나 이상씩 설치되어 진동을 주면서 콘크리트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 진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상기 외부 몰딩용 몸체들의 소정위치 소정 개수가 설치되며 온도조절기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개폐기가 설치된 히트파이프를 통해 열풍기에 의해 발생된 열풍을 내부공간을 통해 순환시키도록 상기 열풍기를 제어하는 온도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몰딩용 몸체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적당한 온도를 센싱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장치들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투입되고 그 상부에 테두리 성형을 위한 테두리부를 얹어 놓은 상태에서 2차로 투입된 콘크리트를 상부에서 눌러줄 수 있도록 된 상부 진동 장치를 포함하며, 그 크기는 외측 및 내측몰딩용 몸체로 인해 형성된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몰딩용 몸체들의 외측면에는 단열 보온효과를 가진 하나이상의 단열 보온수단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거푸집 장치.
KR20-2004-0027976U 2004-10-02 2004-10-02 콘크리트 구조물 양생 거푸집 장치 KR200372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976U KR200372305Y1 (ko) 2004-10-02 2004-10-02 콘크리트 구조물 양생 거푸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976U KR200372305Y1 (ko) 2004-10-02 2004-10-02 콘크리트 구조물 양생 거푸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305Y1 true KR200372305Y1 (ko) 2005-01-10

Family

ID=4944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976U KR200372305Y1 (ko) 2004-10-02 2004-10-02 콘크리트 구조물 양생 거푸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30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900B1 (ko) 2008-08-19 2010-10-08 주식회사 번영중공업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KR101333780B1 (ko) 2012-04-24 2013-11-29 (주)대우건설 모듈러 코핑부용 조립식 거푸집
KR101481037B1 (ko) * 2013-07-16 2015-01-14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지중 조건 모사를 통한 유정 시멘트 양생 장치 및 양생 방법
KR101852497B1 (ko) 2017-08-31 2018-04-27 유한회사 유수산업 폭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pc 암거용 배근 구조물
CN114397198A (zh) * 2022-01-14 2022-04-26 南通理工学院 一种新型预制裂缝z型混凝土抗剪强度测试试件的测试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900B1 (ko) 2008-08-19 2010-10-08 주식회사 번영중공업 콘크리트 암거 제조장치
KR101333780B1 (ko) 2012-04-24 2013-11-29 (주)대우건설 모듈러 코핑부용 조립식 거푸집
KR101481037B1 (ko) * 2013-07-16 2015-01-14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지중 조건 모사를 통한 유정 시멘트 양생 장치 및 양생 방법
KR101852497B1 (ko) 2017-08-31 2018-04-27 유한회사 유수산업 폭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pc 암거용 배근 구조물
CN114397198A (zh) * 2022-01-14 2022-04-26 南通理工学院 一种新型预制裂缝z型混凝土抗剪强度测试试件的测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325B1 (ko) 주름관을 이용한 습식 중공 pc부재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산방법
KR200372305Y1 (ko) 콘크리트 구조물 양생 거푸집 장치
KR100463032B1 (ko)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암거의 증기촉진양생 연속시공방법
KR100750589B1 (ko)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
KR100402436B1 (ko) 복합부재 판넬과 유압 잭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법
KR102118881B1 (ko) 화장실 시공용 형틀체 및 이를 이용한 화장실 바닥층 시공방법
KR20020005537A (ko)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암거의 증기촉진양생 연속시공방법
JPH09295313A (ja) 沈埋函の製作方法
JPH0825338A (ja) 中空pc梁の製造方法
KR100586404B1 (ko) 욕실 방수판용 금형장치
KR20090030125A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JP7275496B2 (ja) 構造体の構築方法
KR200267831Y1 (ko)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
KR101282092B1 (ko) 블록 및 그의 성형장치
KR101827678B1 (ko) 배수 구조물 시공방법
CN212001877U (zh) 一种预制件生产用免拆模模块及包含该模块的预制件
JP4610757B2 (ja) 布基礎工法
JPH1034641A (ja) 壁構築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RU2007148867A (ru) Плита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монолитная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WO2015032298A1 (zh) 一次性墙体浇注模具及其制作和使用方法
JP2579277B2 (ja) 型 枠
RU32030U1 (ru) Форм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учного виброинструмента
KR19990057150A (ko) 맨홀 제조용 거푸집
CN110747878A (zh) 一种胎模板系统的施工方法
JPH034933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