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0125A -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0125A
KR20090030125A KR1020070095467A KR20070095467A KR20090030125A KR 20090030125 A KR20090030125 A KR 20090030125A KR 1020070095467 A KR1020070095467 A KR 1020070095467A KR 20070095467 A KR20070095467 A KR 20070095467A KR 20090030125 A KR20090030125 A KR 20090030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rcase
construction
formwork
wall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3057B1 (ko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5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057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 E04G13/06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for stairs or step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 장치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계단과 계단실의 시공 작업이 간편함과 아울러 공기를 단축하며 계단과 계단실 벽면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 방법은,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과 외벽용 거푸집을 세우고 그 사이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계단실을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계단실 시공 단계를 통해 계단실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계단실 내벽용과 외벽용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와; 상기 탈형된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을 다음 시공 층으로 인양 및 외벽용 거푸집을 계단실의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계단실 시공 단계를 거쳐 시공된 계단실 내부에 수평의 통로부와 경사형 계단부로 이루어진 계단을 콘크리트 타설하여 계단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계단실을 선 시공 후 시공된 계단실을 따라 계단을 시공한다.
계단, 계단실, 콘크리트, 스틸 폼, 거푸집

Description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TAIRS AND STAIRS ROOM}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 장치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시 계단과 계단실의 시공 작업이 간편함과 아울러 공기를 단축하며 계단과 계단실 벽면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 장치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방법은, 계단과 계단실을 동시 타설하는 것으로, 사방 벽체형 계단실을 시공하기 위한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계단실과 계단을 동시에 한 번의 공정으로 타설할 수 있도록 계단용 거푸집이 연결되는 부분이 개방된 형태)을 세우고, 상기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의 개방부에 계단용 거푸집을 연결하여 계단실과 계단을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한 하나의 공간을 완성한 후, 이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계단실과 계단을 동시에 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방법에 의하면, 계단실과 계단을 동시 타설하여 계단실과 계단 모두가 양생완료 되기 이전까지 그 윗층을 시공하지 못하고 대기하여야 하므로 전체적인 콘크리트 건축물의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콘크리트 페이스트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계단실 내벽면에 타이로드의 구멍 등이 형성됨에 따라 마무리(미장)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과 계단실을 시공할 때 계단실과 계단을 분리 시공하여 즉, 계단실을 먼저 시공한 후 계단을 후속으로 시공함으로써 계단의 양생과 상관없이 위 층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장치는, 상하부가 개방된 폐루프 형태의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과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져 그들 내부에 콘 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계단실을 시공토록 하는 계단실 외벽용 거푸집으로 이루어진 계단실 시공용 거푸집과; 다수의 서포트를 통해 계단실 내부에 설치되는 하부판, 상기 계단실 내벽면에 설치되는 경사형 내부 측판, 상기 하부판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외부 측판, 상기 하부판과 내외부 측판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다수의 계단철판, 상기 하부판과 내외부 측판 및 계단철판의 상부를 덮는 마감판으로 이루어진 계단 시공용 거푸집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방법은, 계단실을 먼저 콘크리트 타설하여 시공하고, 상기 공정을 통해 시공된 계단실 내부에 계단을 시공하여, 계단실과 계단을 연속적으로 분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방법에 의하면, 계단실을 먼저 콘크리트 타설하여 시공하고, 이 계단실의 양생완료 후 그 상층의 계단실을 시공하며, 이어서, 1개 층 이상 후속으로 계단실 내에 계단을 콘크리트 타설하여 계단의 양생 이전에 계속해서 계단실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계단 및 계단실 시공장치는, 계단실 시공용 거푸집(10)과 계단 시공용 거푸집(20)으로 구분된다.
계단실 시공용 거푸집(10)은, 상하부가 개방된 폐루프 형태의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11),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11)과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져 그들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계단실을 시공토록 하는 계단실 외벽용 거푸집(12)으로 이루어진다.
도 3과 같이, 예컨대, 계단실 시공용 거푸집(10)의 내벽용 거푸집(11)은, 스틸 폼으로서 하나의 박스 구조물일 수 있고, 다르게는 각각 일측이 개방되도록 절곡된 제1,2폼(111,112)으로 분할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즉,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11)이 제1,2폼(111,112)으로 분할 형성되어 하나씩 운반할 수 있으므로 운반과 설치 등의 작업이 용이하다.
이때, 제1,2폼(111,112)이 벌어지지 않도록 제1,2폼(111,112)의 마주하는 단부에는 서로 면접촉되는 경사부(111a,112a)가 형성된다. 즉, 제1,2폼(111,112)이 분리 형성되어 중량이 가벼워지므로 운반이 용이하고, 제1,2폼(111,112)의 단부가 경사부(111a,112a)를 통해 서로 엇갈리게 연결되어 운반시 벌어지지 않게 된다. 부가적으로, 제1,2폼(111,112)의 모서리부에는 제1,2폼(111,112)의 형태를 조절(자유단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유지 및 자유단부를 오므려 운반이 용이하도록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113,114)이 설치될 수 있다.
계단실 시공용 거푸집(1)의 외벽용 거푸집(12)은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합판 등이 사용된다.
도 2에서처럼, 계단 시공용 거푸집(20)은 다수의 서포트를 통해 계단실 내부에 설치되는 하부판(21), 계단실 내벽면에 설치되는 경사형 내부 측판(22), 하부 판(21)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외부 측판(23), 하부판(21)과 내외부 측판(22,23)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다수의 계단철판(24), 하부판(21)과 내외부 측판(22,23) 및 계단철판(24)의 상부를 덮는 마감판(2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 통상 계단은 경사형 계단부와 수평의 통로부로 구성되는 바, 상기 통로부의 시공을 위한 다수의 판형 거푸집이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S10) 계단실 시공.
상하부가 개방된 폐루프 형태의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소위 스틸 폼일 수 있음)(11)과 계단실 외벽용 거푸집(12)을 세우고 그 사이에 철근(미도시)을 배근한 후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1개 층(또는 2개 층)의 옹벽형 계단실(R-1,R-2)을 시공한다(도 4a(S10), 도 4b(S20) 참고). 즉, 계단과 상관없이 계단실(R-1,R-2)을 먼저 콘크리트 시공하는 것이다. 계단실(R-1,R-2)의 양생이 완료되면 계단실 내벽용 및 외벽용 거푸집을 탈형하고,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은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계단실의 방향을 따라 그대로 그 위층 시공 구역으로 운반하고 외벽용 거푸집을 운반하여 설치한다.
(S30) 계단 시공. 상기 계단실 시공 공정에 의해 시공된 계단실(R-1,R-2) 내부에 저층에서부터 차례로 계단(40)을 시공한다. 이때, 계단(40)은 계단실(R-1,R-2)이 이미 양생된 이후이기 때문에 계단실 시공 공정과 시간적/공간적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도 4c(S30) 참고).
본 발명에서는 계단실과 계단이 분리 타설되어 후속공정으로 타설되는 계 단(40)의 통로부(41)가 계단실과 견고하게 연결되어야 하는바, 계단실 시공 공정시 후술하는 계단(40)의 통로부(41)와의 연결을 위하여 계단실에 매설된 철근(W)이 통로부(41) 내에 삽입되도록 하며, 이때, 철근(W)이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11)을 관통할 수 없으므로 계단(40)의 통로부(41)와 연결되는 계단실 내부에 철근(W)을 삽입하여 필요시(계단 시공시) 계단실에서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펜(HALFAN)(30)이 사용된다. 할펜(30)은 계단실(R-1,R-2) 내부에 매설되며 전방(계단실 내부측)이 개구되어 계단실 내부의 철근(W)의 단부가 수용되는 박스형 본체(31) 및 이 본체(31)의 전방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32)로 구성된다. 즉, 계단실과 슬라브의 시공시 철근(W)의 단부를 할펜 본체(31) 내부에 수용토록 한 후 덮개(32)로 덮은 후, 스틸 폼(10)을 설치하면 스틸 폼(10)과 할펜(30)이 간섭되지 않으므로 옹벽형 계단실을 콘크리트 시공할 수 있으며, 시공 완료 후 스틸 폼(10)을 제거하여 계단을 시공할 때 할펜 덮개(32)를 본체(31)로부터 제거하여 휘어진 상태의 철근(W)을 펴 계단의 시공시 사용한다.
계단 시공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c에서와 같이, 먼저 계단(40)은 실내 공간과 통하는 수평의 통로부(41)와 상층(및 저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계단부(42)로 이루어지며, 통로부(41)와 계단부(42)는 동시 타설로 시공되며, 그 공정은 다음과 같다.
일측 단부가 상기 계단실의 벽면에 맞닿도록 다수의 서포트(1)의 지지를 통해 계단 하부판(21)을 설치하고(도 5a), 계단실의 벽면과 하부판(21)의 자유 단부에 각각 내부 측판(22)과 외부 측판(23)을 설치하며(도 5b), 하부판(21)과 내외부 측판(22,23)의 사이에 다수의 계단철판(24)을 수직으로 설치하고(도 5c), 계단철판(24)들 위쪽에 마감판(25)들을 설치하여(도 5d), 하부판(213)과 내외부 측판(22,23)과 계단철판(24) 및 마감판(25)들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계단(40)을 시공한다.
즉, 계단실과 계단이 층을 달리하면서 분리 타설되어 계단실과 계단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S40) 계단 탈형. 1개 층 계단의 양생이 완료되면 하부판(21), 외부 측판(23), 마감판(25) 등을 탈형하여 그 다음 시공 위치로 운반하고, 상술한 방법에 의거하여 그 다음 층의 계단을 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장치에 적용된 계단 시공용 거푸집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장치에 적용된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의 다른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방법 중 계단실 시공공정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방법 중 계단 시공공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계단실 시공용 거푸집, 11 :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
12 : 계단실 외벽용 거푸집, 20 : 계단 시공용 거푸집
30 : 할펜, 40 : 계단

Claims (8)

  1.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과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져 그들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계단실을 시공토록 하는 계단실 외벽용 거푸집으로 이루어진 계단실 시공용 거푸집과;
    다수의 서포트를 통해 계단실 내부에 설치되는 하부판, 상기 계단실 내벽면에 설치되는 경사형 내부 측판, 상기 하부판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외부 측판, 상기 하부판과 내외부 측판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다수의 계단철판, 상기 하부판과 내외부 측판 및 계단철판의 상부를 덮는 마감판으로 이루어진 계단 시공용 거푸집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실 시공용 거푸집의 내벽용 거푸집은,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 폐루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 시공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실 시공용 거푸집의 내벽용 거푸집은, 각각 일측이 개방되도록 절곡된 제1,2폼으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폼의 마주하는 단부에는 서로 면 접촉되는 경사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폼의 내측 모서리에는 상기 제1,2폼을 오므리기 위한 턴버클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 장치.
  6.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과 외벽용 거푸집을 세우고 그 사이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계단실을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계단실 시공 단계를 통해 계단실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계단실 내벽용과 외벽용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와;
    상기 탈형된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을 다음 시공 층으로 인양 및 외벽용 거푸집을 계단실의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계단실 시공 단계를 거쳐 시공된 계단실 내부에 수평의 통로부와 경사형 계단부로 이루어진 계단을 콘크리트 타설하여 계단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계단실을 선 시공 후 시공된 계단실을 따라 계단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실 시공 단계에서는, 상기 계단실 내부에 배근된 철근이 상기 계단의 내부에 매설되도록 하되, 상기 철근이 상기 계단실 내벽용 거푸집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계단실 내부에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할펜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 시공 단계는,
    일측 단부가 상기 계단실의 벽면에 맞닿도록 다수의 서포트의 지지를 통해 계단 하부판을 설치하고, 상기 계단실의 벽면과 상기 하부판의 자유 단부에 각각 내부 측판과 외부 측판을 설치하며, 상기 하부판과 내외부 측판의 사이에 다수의 계단철판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계단철판들 위쪽에 마감판들을 설치하여, 상기 하부판과 내외부 측판과 계단철판 및 마감판들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계단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방법.
KR1020070095467A 2007-09-19 2007-09-19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방법 KR100933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467A KR100933057B1 (ko) 2007-09-19 2007-09-19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467A KR100933057B1 (ko) 2007-09-19 2007-09-19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125A true KR20090030125A (ko) 2009-03-24
KR100933057B1 KR100933057B1 (ko) 2009-12-21

Family

ID=4069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467A KR100933057B1 (ko) 2007-09-19 2007-09-19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0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7555A (zh) * 2020-09-24 2020-12-25 赵金明 一种带装饰面层的装配式楼梯加工方法
CN113997405A (zh) * 2021-10-11 2022-02-01 江苏海洋大学 一种预应力装配式空心楼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562A (ko) 2022-01-04 2023-07-11 서보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실 시공 방법 및 계단실 시공용 작업 데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599Y1 (ko) * 2000-08-07 2001-01-15 서용덕 조립식 계단거푸집
KR200237588Y1 (ko) * 2001-04-04 2001-10-10 삼목정공주식회사 건축물의 엘리베이터 통로 시공용 거푸집장치
KR100459613B1 (ko) * 2002-08-10 2004-12-03 대림산업 주식회사 후조립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계단을 설치하기 위한코어벽체의 연속화 시공 방법
KR200349959Y1 (ko) 2004-02-11 2004-05-12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콘크리트 건물의 계단용 거푸집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7555A (zh) * 2020-09-24 2020-12-25 赵金明 一种带装饰面层的装配式楼梯加工方法
CN113997405A (zh) * 2021-10-11 2022-02-01 江苏海洋大学 一种预应力装配式空心楼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057B1 (ko) 2009-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2133B2 (en) Precast concrete composite wall
JP4273766B2 (ja) コンクリート建築物構築用型枠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建築物の構築方法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US11077583B2 (en) Precast concrete wall and method
KR20080006425U (ko) 콘크리트 패널 성형장치
KR100933057B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계단 및 계단실 시공방법
KR101370163B1 (ko) 콘크리트주택 시공방법
KR101140884B1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70009061A (ko) 피씨 폼을 사용한 동시 시공형 조립식 계단 시공방법
KR20100057293A (ko) 슬라이드 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의 연속 타설방법
CN104120815A (zh) 现浇混凝土吸音楼板、吸音箱体及其制作方法
KR200442878Y1 (ko) 재활용이 가능한 거푸집
RU2398677C2 (ru) Линия изготовления укрупненных стеновых элементов и стеновое теплосберегающее ограждение зданий, полученное на данной линии
KR102278060B1 (ko) 설비배관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CN108843016B (zh) 剪力墙模板内撑条与拉结筋组合式构件及方法
KR102120426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KR10120405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현장 제조 방법
CN212001877U (zh) 一种预制件生产用免拆模模块及包含该模块的预制件
US9630340B2 (en) System of forming walls with exterior applied finish panels
RU2660689C1 (ru) Форм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плит
KR20230067870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계단실 시공 방법
KR101757224B1 (ko) 측구 제작용 강재 거푸집
KR200452622Y1 (ko) 건축물의 층간 구획용 거푸집
KR200223187Y1 (ko) 키커브라켓트
RU2658849C1 (ru) Переставная опалуб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