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589B1 -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589B1
KR100750589B1 KR1020060076542A KR20060076542A KR100750589B1 KR 100750589 B1 KR100750589 B1 KR 100750589B1 KR 1020060076542 A KR1020060076542 A KR 1020060076542A KR 20060076542 A KR20060076542 A KR 20060076542A KR 100750589 B1 KR100750589 B1 KR 100750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precast member
precast
support frame
steam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국현
Original Assignee
동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현 filed Critical 동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overing the whole worksite, e.g. building, tren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에 의한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작업공간(110)이 형성되고, 그 작업공간(110)에 리프트 장치(120)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작업용 구조물(100); 리프트 장치(120)에 의해 상하방향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프레임(200); 지지프레임(200)에 의해 지지 및 보관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양생 작업시 그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주위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양생막(300)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을 제시함으로써,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 작업을 위한 설치 및 작업 후 해체, 보관 등을 간편하게 하여 증기 양생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프리캐스트, 양생, 고온, 증기

Description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STRUCTURE FOR STEAM CURING OF PRECAST MEMBER}
도 1,2는 종래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보관상태의 사시도.
도 3 내지 10은 본 발명에 의한 증기 양생용 구조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제1실시예의 보관상태의 정면도.
도 4는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의 정면도.
도 5는 제2실시예의 보관상태의 사시도.
도 6은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7은 제3실시예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8은 지지프레임의 평면도.
도 9는 제4실시예의 보관상태의 정면도.
도 10은 제4실시예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리캐스트 부재 100 : 프리캐스트 작업용 구조물
110 : 작업공간 120 : 리프트 장치
130 : 긴장재 정착용 지지벽 200 : 지지프레임
210 : 지지프레임 관통부 300 : 양생막
301 : 본체부 302 : 덮개부
310 : 몸통부재 320 : 전방덮개부재
330 : 후방덮개부재 340 : 조각부재 결합수단
350 : 지지벽 결합수단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증기 양생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증기 양생이란, 증기를 분사하여 콘크리트를 습윤상태로 가열하여 경화를 촉진하는 양생 방법을 말하며, 프리캐스트 부재의 물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경우, 또는 한중 콘크리트의 시공을 위한 경우 등에 사용된다.
콘크리트의 양생 온도를 높이면 강도증진의 속도가 빨라지는데, 증기 양생을 실시하는 경우 콘크리트의 타설 후 곧바로 제품을 취급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강도를 조기에 얻을 수 있으므로, 거푸집 탈형 속도의 증진, 프리스트레싱용 제작대로부터의 철거 속도의 증진, 양생과 보관을 위한 공간의 효율적 활용 가능 등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증기 양생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프리캐스트 부재의 주변에 외부와의 공간적 분리를 위한 양생막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증기를 분사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양생에 소요되는 시간 동안, 분사된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프리캐스트 부재의 주변에 보존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2는 종래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은 도 2의 형태로 접힘 구조에 의한 보관이 가능하도록, 접힘 구동이 가능하게 형성된 프레임(1)과, 그 프레임(1)에 장착된 양생막(2)과, 프레임(1)의 접힘 구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프레임(1)의 하단에 설치된 바퀴(3) 등의 구조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부재의 제작을 위한 철근 조립, 프리스트레싱, 콘크리트 타설 등의 작업시에는 도 2와 같은 형태로 접혀져 보관되다가, 콘크리트 증기 양생 작업시 도 1과 같이 프리캐스트 부재의 주변에 펼쳐져 분사된 증기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물은 프리캐스트 부재보다 그 높이 및 폭이 월등히 큰 구조이므로 운반이 어렵다는 점, 보관을 위하여 지면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다는 점, 효율적인 양생을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타설 직후 수분 증발 전 양생막이 설치되어야 하는데 운반 및 설치가 어려우므로 적절한 타이밍을 놓치기가 쉽다는 점 등에서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리캐 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 작업을 위한 설치 및 작업 후 해체, 보관 등을 간편하게 하여 증기 양생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을 제시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에 의한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작업공간(110)이 형성되고, 그 작업공간(110)에 리프트 장치(120)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작업용 구조물(100); 상기 리프트 장치(120)에 의해 상하방향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프레임(200);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의해 지지 및 보관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양생 작업시 그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주위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양생막(300)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양생막(300)은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상부를 덮는 본체부(301)와;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측부를 덮는 덮개부(30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302)가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상부에 접힘구조로서 보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본체부(301)의 폭 및 길이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생막(300)은 복수의 조각부재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조각부재는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상부 및 양측부를 덮도록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몸통부재(310);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상부, 양측부 및 전면부를 덮도록 형성된 전방덮개부재(320);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상부, 양측부 및 후면부를 덮도록 형성된 후방덮개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조각부재 사이의 결합부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조각부재 결합수단(34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에는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상부돌출구조가 관통하도록 지지프레임 관통부(21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캐스트 작업용 구조물(100)의 내부에는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10)에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하기 위한 긴장재 정착용 지지벽(130)이 양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양생막(300)의 단부는 상기 긴장재 정착용 지지벽(13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장재 정착용 지지벽(130)은 횡방향 프리스트레싱의 도입를 위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양생막(300)의 측단부가 상기 긴장재 정착용 지지벽(13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장재 정착용 지지벽(130)과 상기 양생막(300)의 접촉부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지지벽 결합수단(35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증기 양생용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에 의한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작업공간(110)이 형성되고, 그 작업공간(110)에 리프트 장치(120)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작업용 구조물(100); 리프트 장치(120)에 의해 상하방향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프레임(200); 지지프레임(200)에 의해 지지 및 보관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양생 작업시 그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주위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양생막(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작업공간(110)이 내부에 형성된 프리캐스트 작업용 구조물(100)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서, 그 작업용 구조물(100)의 내부에 리프트 장치(120)가 설치되고, 그 리프트 장치(120)에 의해 상하방향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프레임(200) 및 그 지지프레임(200)에 의해 지지되는 양생막(300)이 구비된 구성을 취한다.
따라서, 철근 조립, 프리스트레싱, 콘크리트 타설 등의 작업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장치(120)에 의해 지지프레임(200) 및 양생막(300)을 들어올려 작업용 구조물(100)의 천정부에 보관되도록 하고, 증기 양생 작업시에는 리프트 장치(120)에 의해 지지프레임(200) 및 양생막(300)을 하강하여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주변을 덮도록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양생용 구조물의 설치 및 작업 후 해체, 보관 작업 등이 대단히 간편해지는바 궁극적으로 증기 양생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증기 양생용 구조물의 각 구성요소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양생막(300)은 기본적으로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양생 작업시 그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주위를 폐쇄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나,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상부를 덮는 본체 부(301)와;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측부를 덮는 덮개부(30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덮개부(302)가 지지프레임(200)의 상부에 접힘구조로서 보관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200)이 본체부(301)의 폭 및 길이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양생막(300)의 보관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302)가 지지프레임(200)의 상부에 접힘구조로서 보관되도록 하고, 양생막(300)의 사용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302)를 펼쳐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측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사용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양생막(300)은 하나의 일체형 구조로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그 제조, 설치 및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서는 도 7,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조각부재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의 조각부재는 프리캐스트 부재(10)의 형상, 프리캐스트 작업용 구조물(100)의 시공여건 등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복수의 조각부재가 형성된 하나의 실시예로서,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상부 및 양측부를 덮도록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몸통부재(310);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상부, 양측부 및 전면부를 덮도록 형성된 전방덮개부재(320);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상부, 양측부 및 후면부를 덮도록 형성된 후방덮개부재(330)를;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복수의 조각부재에 의해 양생막(300)이 형성되는 경우, 증기 양생 작업시 분사된 증기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복수의 조각부재 사이의 결합부에 상호 결합을 위한 조각부재 결합수단(34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각부재 결합수단(340)은 복수의 조각부재 상호 사이, 또는 복수의 조각부재와 지지프레임(200) 상호 사이의 재봉구조 등에 의해 견고한 구조로서 형성할 수도 있고, 조립 및 해체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벨크로 테이프 등의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지지프레임(200)은 기본적으로 리프트 장치(120)에 의해 상하방향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양생막(300)을 지지 및 보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다.
다만, 경우에 따라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상부에는 홀딩업 프레임(holding-up frame : 프리스트레싱용 긴장재에 절곡구조를 부여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장치) 등과 같은 부수적 구조가 돌출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상부돌출구조가 관통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0)에는 지지프레임 관통부(210)가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200) 및 양생막(300)이 가급적 프리캐스트 부재(10)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구성을 취할수록 가열공간을 절약하여 효율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제조시에는 장차 작용될 하중에 대한 저항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프리 텐던 방식에 의한 프리스트레싱 작업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프리스트레싱 작업은 프리캐스트 부재(10)의 구조적 역할에 맞추어 행하여지는데, 경우에 따라 부재(10)의 일방향에 대하여만 실시될 수도 있고, 종방향 및 횡방향의 양방향에 대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프리 텐던 방식에 의한 프리스트레싱 작업은 거푸집 조립 후 긴장재를 긴장시켜 소정 위치에 고정하고, 그 긴장재가 긴장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을 실시한 다음, 양생 완료 후 긴장재의 정착을 해제하여 프리캐스트 부재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절차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의 프리스트레싱 작업에는 거푸집 외에 긴장재를 긴장하여 정착시키기 위한 지지벽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거푸집의 외측에 벽체 형태로 설치되는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벽은 프리캐스트 부재가 형성될 거푸집의 외측에 소정 이격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그 내외측을 공간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지지벽의 내부 영역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구조를 취하게 되므로, 양생용 구조물을 구성하는 일부로서 활용할 수 있다.
즉, 도 9,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작업용 구조물(100)의 내부에 프리캐스트 부재(10)에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하기 위한 긴장재 정착용 지지벽(130)이 양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양생막(300)의 사방 단부가 모두 바닥면에 접촉하는 구성을 취하지 않고, 도 9와 같이 양생막(300)의 단부가 긴장재 정착용 지지벽(13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구성을 취함으로써, 양생막(300)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러한 구조를 취하지 않고, 양생막(300)이 위 지지벽(130)을 모두 덮 으면서 양생막(300)의 사방 단부가 모두 바닥면에 접촉하는 구성을 취한다면, 이에 의해 늘어난 공간만큼 공급해야 할 증기의 양이 많아질 것인데, 이는 불필요한 공간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서 낭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도 10에 도시된 예는 프리캐스트 부재(10)에 대하여 횡방향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하기 위하여 긴장재 정착용 지지벽(130)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경우로서, 이러한 경우에는 양생막(300)의 측단부가 긴장재 정착용 지지벽(13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증기 양생을 위하여 분사된 증기가 긴장재 정착용 지지벽(130)과 양생막(300)의 접촉부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상호 결합을 위한 별도의 지지벽 결합수단(350)이 구비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긴장재 정착용 지지벽(130)과 양생막(300)은 상호 지속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양생 작업시에만 결합되었다가 양생용 구조물의 보관시에는 그 결합이 해제될 것이 필요하므로, 여기서의 지지벽 결합수단(350)은 설치 및 해체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벨크로 테이프 등의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 작업을 위한 설치 및 작업 후 해체, 보관 등을 간편하게 하여 증기 양생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을 제시한다.

Claims (9)

  1.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에 의한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작업공간(110)이 형성되고, 그 작업공간(110)에 리프트 장치(120)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작업용 구조물(100);
    상기 리프트 장치(120)에 의해 상하방향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프레임(200);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의해 지지 및 보관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양생 작업시 그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주위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양생막(300)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작업용 구조물(100)의 내부에는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10)에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하기 위한 긴장재 정착용 지지벽(130)이 양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양생막(300)의 단부는 상기 긴장재 정착용 지지벽(13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긴장재 정착용 지지벽(130)과 상기 양생막(300)의 접촉부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지지벽 결합수단(3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막(300)은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상부를 덮는 본체부(301)와;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측부를 덮는 덮개부(30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302)가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상부에 접힘구조로서 보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본체부(301)의 폭 및 길이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막(300)은
    복수의 조각부재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각부재는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상부 및 양측부를 덮도록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몸통부재(310);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상부, 양측부 및 전면부를 덮도록 형성된 전방덮개부재(320);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상부, 양측부 및 후면부를 덮도록 형성된 후방덮개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각부재 사이의 결합부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조각부재 결합수단(3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0)에는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10)의 상부돌출구조가 관통하도록 지지프레임 관통부(2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 정착용 지지벽(130)은 횡방향 프리스트레싱의 도입를 위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양생막(300)의 측단부가 상기 긴장재 정착용 지지벽(13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
  9. 삭제
KR1020060076542A 2006-08-14 2006-08-14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 KR100750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542A KR100750589B1 (ko) 2006-08-14 2006-08-14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542A KR100750589B1 (ko) 2006-08-14 2006-08-14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0589B1 true KR100750589B1 (ko) 2007-08-21

Family

ID=3861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542A KR100750589B1 (ko) 2006-08-14 2006-08-14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58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4294A (zh) * 2010-10-18 2012-05-16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钢筋混凝土与钢结构料仓组合框架结构施工方法
KR101245610B1 (ko) 2011-11-17 2013-03-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장타설 연결콘크리트의 증기양생 거푸집장치 및 증기양생방법
JP2018204328A (ja) * 2017-06-06 2018-12-27 大成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充填用の鋼管柱材、及び、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柱の構築方法
CN109339502A (zh) * 2018-11-29 2019-02-15 甘肃安建设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长输管线可滑动式的多功能焊接防护棚
CN110130664A (zh) * 2019-04-02 2019-08-16 上海大学 一种大体积混凝土养护方法
CN114953142A (zh) * 2022-06-16 2022-08-30 中铁十四局集团第一工程发展有限公司 一种环城高速用预制梁智能蒸养环形生产线
CN116901235A (zh) * 2023-07-13 2023-10-20 中交第三公路工程局有限公司 一种钢筋混凝土预制件生产设备及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6604U (ko) 1973-06-30 1975-03-27
JPH07207949A (ja) * 1994-01-21 1995-08-08 Hitachi Zosen Corp 構造物用仮設防風雨装置および構造物の建設設備
JP2001002362A (ja) * 1999-06-25 2001-01-0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スカレータ用トラスの養生装置
KR100525930B1 (ko) 2005-03-22 2005-11-03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콘크리트 타설 공사용 양생막 구조
KR100638510B1 (ko) 2004-12-21 2006-10-26 삼성콘크리트 주식회사 이동가능한 벨로우즈식 콘크리트 양생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6604U (ko) 1973-06-30 1975-03-27
JPH07207949A (ja) * 1994-01-21 1995-08-08 Hitachi Zosen Corp 構造物用仮設防風雨装置および構造物の建設設備
JP2001002362A (ja) * 1999-06-25 2001-01-0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スカレータ用トラスの養生装置
KR100638510B1 (ko) 2004-12-21 2006-10-26 삼성콘크리트 주식회사 이동가능한 벨로우즈식 콘크리트 양생실
KR100525930B1 (ko) 2005-03-22 2005-11-03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콘크리트 타설 공사용 양생막 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4294A (zh) * 2010-10-18 2012-05-16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钢筋混凝土与钢结构料仓组合框架结构施工方法
KR101245610B1 (ko) 2011-11-17 2013-03-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장타설 연결콘크리트의 증기양생 거푸집장치 및 증기양생방법
JP2018204328A (ja) * 2017-06-06 2018-12-27 大成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充填用の鋼管柱材、及び、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柱の構築方法
CN109339502A (zh) * 2018-11-29 2019-02-15 甘肃安建设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长输管线可滑动式的多功能焊接防护棚
CN110130664A (zh) * 2019-04-02 2019-08-16 上海大学 一种大体积混凝土养护方法
CN114953142A (zh) * 2022-06-16 2022-08-30 中铁十四局集团第一工程发展有限公司 一种环城高速用预制梁智能蒸养环形生产线
CN114953142B (zh) * 2022-06-16 2024-05-03 中铁十四局集团第一工程发展有限公司 一种环城高速用预制梁智能蒸养环形生产线
CN116901235A (zh) * 2023-07-13 2023-10-20 中交第三公路工程局有限公司 一种钢筋混凝土预制件生产设备及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589B1 (ko) 프리캐스트 부재의 증기 양생용 구조물
KR101648851B1 (ko)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GB2444637A (en) Permanent formwork having with hollow concrete walls, separated and reinforced by steel framework
KR102034138B1 (ko)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KR100949785B1 (ko) 피씨 보 제작용 몰드
FI63621C (fi) Saett vid inspaenning av betongpelare i betongsulor samt anordning foer genomfoerande av saettet
KR100814442B1 (ko) 무량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무량 슬래브 시공방법
KR100448221B1 (ko)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암거의 증기촉진양생 연속시공방법
JP2004353267A (ja) 永久アンカーが施工された壁構造の構築方法、この方法で構築された壁構造
KR200372305Y1 (ko) 콘크리트 구조물 양생 거푸집 장치
KR101025317B1 (ko) 지하 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04124641A (ja) トンネル坑門用外型枠とこれを用いたトンネル坑門の施工方法
JP6941537B2 (ja) 養生型枠構造およびトンネル覆工体の施工方法
JPH05287802A (ja) 遠心成形PCaコラム工法
JP2004108083A (ja) スラブ仮設開口用型枠具及びスラブ仮設開口の形成、閉塞方法
KR102488965B1 (ko) 데크플레이트 지지용 거푸집 구조체
CN104594554B (zh) 免拆边挡模、含该免拆边挡模的预制构件及其连接节点
KR101025320B1 (ko) 지하 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42897Y1 (ko)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JP2001200636A (ja) 階段構築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10035576A (ko) 단열재 고정구
KR200175056Y1 (ko) 터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JPH0872042A (ja) 中空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JPH05278022A (ja) 中空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成形方法
KR100235116B1 (ko) 경량 하프 p.c 보 및 그것을 이용한 수평구조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