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056Y1 - 터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터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056Y1
KR200175056Y1 KR2019990021936U KR19990021936U KR200175056Y1 KR 200175056 Y1 KR200175056 Y1 KR 200175056Y1 KR 2019990021936 U KR2019990021936 U KR 2019990021936U KR 19990021936 U KR19990021936 U KR 19990021936U KR 200175056 Y1 KR200175056 Y1 KR 200175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upport
concrete
tube support
rubb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식
Original Assignee
장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식 filed Critical 장영식
Priority to KR2019990021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0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0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2Removable shuttering; Bearing or support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5Transport or application of concrete specially adapted for the lining of tunnels or galleries ; Backfilling the space between main building element and the surrounding rock, e.g. with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62Forms for curved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터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층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스킨플레이트(16), 이 스킨플레이트(16)와의 사이에 다수의 중간받이대(14)를 두고 콘크리트층의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하부보강대(12)를 구비한 터널의 내벽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스킨플레이트(16)의 단부측에 상방으로 입설되어 수직 절곡된 원호형의 튜브지지플레이트(32)와; 호형의 복열로 연통 배치된 다수의 공기주머니(42)를 갖고 내측단이 상기 튜브지지플레이트(32)의 상측면에 밀착 연결되고 타측단은 공기주머니(42)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경우 타설 콘크리트층의 전면을 차단하는 고무튜브(40)와; 상기 고무튜브(40)를 팽창시켜 콘크리트 타설시 고무튜브(40)가 입설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에 지지안내공(52A)을 갖고 상기 튜브지지플레이트(32)의 외측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중간받이대(14) 및 하부보강대(12)의 측단부면에 지지고정된 다수개의 튜브지지대 가이드(52)와; 상기 각 튜브지지가이드(52)의 지지안내공(52a)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체결볼트(80)로 위치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고무튜브(40)와 와이어(60)로 연결된 튜브지지대(5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FORM FOR TUNNEL CONCRETE BUIL DING}
본 고안은 터널 내벽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타설시 전면으로 콘크리트가 흘러내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함께 거푸집의 설치 조립을 간편하게 하여 공수기간을 단축하고, 노동력을 줄여 인건비의 절감을 꾀할 수 있도록 한 터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통행에 이용하는 터널의 내벽에는 바깥측에서 안쪽으로 철근콘크리트층, 방수층 및 보강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철근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방수층 아래에 철근을 배근하고, 이에 콘크리트를 타설시키는데,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밑면과 전면을 막아주어 콘크리트층을 만들기 위해 거푸집을 사용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종래의 거푸집(10)이 도 5,6에 도시되어 있다.
즉, 터널의 길이방향에 걸쳐 일정간격으로 H단면을 갖는 하부보강대(12)가 아치형태로 터널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하부보강대(12)의 상면에는 일정간격으로 'ㄷ'자 단면을 갖는 중간받이대(14)가 다수개 배치되고, 중간받이대(14)의 상면에는 철근이 배근된 저면에 위치하는 스킨 플레이트(16)가 구비되어 있고, 철근콘크리트층(17)의 전면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하부보강대(12) 외측면에 다수의 나무보강판(18)이 배치되고, 이 나무보강판(18)은 하부보강대(12)에 설치된 볼트(20) 에 결합된 너트(22) 및 엔드플레이트(24)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 거푸집(10)을 조립할 경우에는 수십개의 나무보강판(18)을 일일이 볼트(20)에 삽입하고, 엔드플레이트(24)를 개재한 후 너트(22)를 체결시키는 작업을 하여야한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작업을 할 경우에는 통상 5,6인이 반나절이나 하루정도는 걸려야 설치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수 기간이 길어지고, 인건비의 상승을 초래하였다.
더욱이 방수막(19) 표면과 나무보강판(18)과의 접촉면이 밀착되지 못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등 작업환경이 좋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전면으로 콘크리트가 흘러내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함께 거푸집의 설치 조립을 간편하게 하여 공수기간을 단축하고, 노동력을 줄여 인건비의 절감을 꾀할 수 있도록한 터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콘크리트 층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스킨플레이트(16), 이 스킨플레이트(16)와의 사이에 다수의 중간받이대(14)를 두고 콘크리트층의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하부보강대(12)를 구비한 터널의 내벽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스킨플레이트(16)의 단부측에 상방으로 입설되어 수직 절곡된 원호형의 튜브지지플레이트(32)와;
호형의 복열로 연통 배치된 다수의 공기주머니(42)를 갖고 내측단이 상기 튜브지지플레이트(32)의 상측면에 밀착 연결되고 타측단은 공기주머니(42)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경우 타설 콘크리트 층의 전면을 차단하는 고무튜브(40)와;
상기 고무튜브(40)를 팽창시켜 콘크리트 타설시 고무튜브(40)가 입설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에 지지안내공(52A)을 갖고 상기 튜브지지플레이트(32)의 외측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중간받이대(14) 및 하부보강대(12)의 측단부면에 지지고정된 다수개의 튜브지지대 가이드(52)와;
상기 각 튜브지지가이드(52)의 지지안내공(52A)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체결볼트(80)로 위치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고무튜브(40)와 와이어 (60)로 연결된 튜브지지대(5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100)의 정면도이고,
도 2,3은 도 1의 X-X선 단면확대도로서 고무튜브의 작동 전,후의 사용상태도이고,
도4는 도 2의 Y-Y선 단면도이고,
도 5는 종래 거푸집의 정면 요부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에서 본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중간받이대 16 : 스킨플레이트
32 : 튜브지지플레이트 40 : 고무튜브
42 : 공기주머니 52 : 튜브지지대 가이드
52a : 지지안내공 54 : 튜브지지대
60 : 와이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100)의 정면도이고, 도 2,3은 도 1의 X-X선 단면확대도로서 고무튜브의 작동 전,후의 사용상태도이고, 도4는 도 2의 Y-Y선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층(17)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스킨플레이트(16), 이 스킨플레이트(16)와의 사이에 다수의 중간받이대(14)를 두고 콘크리트층의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하부보강대(12)를 구비한 터널의 내벽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스킨플레이트(16)의 단부측에는 상방으로 입설되어 수직 절곡된 원호형의 튜브지지플레이트(3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튜브지지플레이트(32)의 절곡된 상측면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고무튜브(4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고무튜브(40)는 호형으로 복열하에 서로 연통 배치된 다수의 공기주머니(42)를 갖고 내측단이 상기 튜브지지플레이트(32)의 상측면에 밀착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은 공기주머니(42)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경우 방수막의 저면측에 밀착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무튜브(40)를 팽창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고무튜브 (40)가 도 2에서 우측으로 넘어지지않고 입설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튜브지지플레이트(32)의 외측면에는 상부 외측면에 사각의 지지안내공(52a)을 갖는 튜브지지대 가이드(52)가 다수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튜브지지대 가이드(52)는 중간받이대(14) 및 하부보강대(12)의 측단부면에 지지고정 되어 있고, 상기 각 튜브지지대 가이드(52)의 지지안내공(52A)에는 튜브지지대(54)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체결볼트(80)로 튜브지지대 가이드(52)에 고정되게 되어 있다.
튜브지지대(54)를 튜브지지대 가이드(52)에 고정하기 위해, 튜브지지대(54)의 외측벽면에는 나사구멍(54a)이 형성되어 있고, 튜브지지대 가이드(52)의 지지안내공(52a)의 측벽에는 볼트공(5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볼트(80)를 튜브지지대 가이드(52)의 볼트공(52-1)에 삽입 하여 튜브지지대(54)의 나사구멍(54a,54a)에 체결시켜 튜브지지대(54)를 고정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무튜브(40)의 공기주머니(42)에 공기를 뺀 후 상기 체결볼트 (80)를 튜브지지대(54)로부터 해체할 경우 튜브지지대(54)가 내려가면 이에 연동하여 고무튜브(40)가 주저앉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무튜브(40)와 튜브지지대(54)는 와이어(60)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터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100)은 도시안된 대차에 의해 가설·이동된다.
콘크리트의 타설전 거푸집(100)이 가설된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고무튜브(40)는 하강된 튜브지지대(54)로 인해 와이어(60)가 하방으로 잡아당겨져 있고, 공기주머니(42)에는 공기가 빠져나가 수축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고무튜브(40)의 공기주머니(42)속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면 고무튜브(40)의 외주연이 방수막(6)에 밀착된다.(도2참조)
이때 방수막(19)의 표면이 울퉁불퉁하여도 고무튜브(40)의 탄성변형성질에 의해 방수막(6) 표면에 고무튜브(40)가 밀착된다.
한편, 고무튜브(40)로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이 완료되면, 튜브지지대(54)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올려놓은 후 체결볼트(80)로 튜브지지대(54)를 튜브지지가이드(52)측에 고정한다. 이렇게 되면 고무튜브(40)의 외측에 튜브지지대 (54)의 내측면이 맞닿아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공간으로 믹싱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망수막(19)과 스킨플레이트(16) 및 고무튜브(40)의 내측 공간에서 콘크리트가 채워지게 되고, 이때 콘크리트의 중력은 스킨플레이트(16), 중간받이대(14)를 매개로 하부보강대(12)에 작용하며, 콘크리트의 횡압력(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튜브지지플레이트(32) 및 고무튜브(40)의 내측면에 작용하고, 고무튜브(40)에 작용한 압력은 튜브지지대(54)를 통해 튜브지지대가이드(52)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버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방수막(19)의 표면에 일정 두께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고무튜브(40)에 주입된 공기를 빼고, 체결볼트(80)를 풀어 튜브지지대(54)를 내리면 도 3에서와 같이 튜브지지대(54)에 와이어(60)를 매개로 연결된 고무튜브(40)가 외측으로 젖혀져 방수막(19) 및 양생된 콘크리트층의 전면으로부터 탈락된다.
이렇게 되면 대차를 이용하여 거푸집(100)을 이동시켜 다음 구간으로 연속하여 전술한 작업을 반복 수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나무보강판을 일일이 덧붙이는 작업이 불필요해져 시공 기간, 시공비용 및 노동력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 콘크리트 타설시 고무튜브(40)가 방수막(19)의 표면에 밀착되어 있어 콘크리트의 누출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환경이 개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거푸집의 콘크리트 전면 차단구조가 고무튜브로의 공기 주입작업, 각 튜브지지대의 체결볼트 조립작업으로 간단·신속히 완료되므로 가설 조립 및 해체시간이 짧아 시공의 단축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1)

  1. 콘크리트층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스킨플레이트(16), 이 스킨플레이트(16)와의 사이에 다수의 중간받이대(14)를 두고 콘크리트층의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하부보강대(12)를 구비한 터널의 내벽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스킨플레이트(16)의 단부측에 상방으로 입설되어 수직 절곡된 원호형의 튜브지지플레이트(32)와;
    호형의 복열로 연통 배치된 다수의 공기주머니(42)를 갖고 내측단이 상기 튜브지지플레이트(32)의 상측면에 밀착 연결되고 타측단은 공기주머니(42)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경우 타설 콘크리트층의 전면을 차단하는 고무튜브(40)와;
    상기 고무튜브(40)를 팽창시켜 콘크리트 타설시 고무튜브(40)가 입설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에 지지안내공(52a)을 갖고 상기 튜브지지플레이트(32)의 외측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중간받이대(14) 및 하부보강대(12)의 측단부면에 지지고정된 다수개의 튜브지지대 가이드(52)와;
    상기 각 튜브지지가이드(52)의 지지안내공(52A)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체결볼트(80)로 위치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고무튜브(40)와 와이어 (60)로 연결된 튜브지지대(5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2019990021936U 1999-10-12 1999-10-12 터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200175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936U KR200175056Y1 (ko) 1999-10-12 1999-10-12 터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936U KR200175056Y1 (ko) 1999-10-12 1999-10-12 터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056Y1 true KR200175056Y1 (ko) 2000-03-15

Family

ID=19591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936U KR200175056Y1 (ko) 1999-10-12 1999-10-12 터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0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835B1 (ko) * 2007-06-26 2009-03-20 (주)성풍건설 수평터널의 시공방법 및 공기튜브로 이루어진 수평터널시공용 막음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835B1 (ko) * 2007-06-26 2009-03-20 (주)성풍건설 수평터널의 시공방법 및 공기튜브로 이루어진 수평터널시공용 막음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2355B2 (ja) 水中構造物の補強方法、水中構造物
CN109057321B (zh) 整体钢平台模架超大承载力附墙系统及施工方法
CN109025294B (zh) 一种后浇带充气式弧角矩形软管侧模支设施工方法
KR200175056Y1 (ko) 터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JP5277106B2 (ja) 覆工構造及び覆工方法
KR100619525B1 (ko) 파형 중공관을 이용한 중공 교각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0312817B1 (ko) 소형 수직구조물의 복공벽성형용 시스템폼 및 그를 이용한 소형수직구조물의 복공벽 시공방법
US7144200B2 (en) Innovative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KR100718264B1 (ko) 공기압을 이용한 거푸집
KR200170139Y1 (ko)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용 이동식 거푸집의 마구리차단장치
CN212582664U (zh) 一种管桩裂缝补强结构
KR100594942B1 (ko)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
KR100297929B1 (ko) 수직터널의복공벽성형용슬립폼
US4437640A (en) Bracing unit for concrete formwork
KR100402030B1 (ko) 층고저감을위한철골콘크리트조의거푸집장착구조
KR100453521B1 (ko) 2아치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0283523B1 (ko) 터널라이닝용 자립거푸집유니트패널
CN101736913B (zh) 保留外墙托换方法
KR100588943B1 (ko) 버팀보 지지용 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팀보 지지구조
KR200354531Y1 (ko) 강관써포트용 받침판
JP2685414B2 (ja) 中空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KR19990044841A (ko) 수직터널의 복공벽성형을 위한 슬립폼용요오크장치>
KR102066809B1 (ko) 벽체 마감 및 거푸집이 불필요한 옹벽의 시공 방법
JP2003147784A (ja) 鋼製型枠支保工
JP2001214697A (ja) トンネル構造体の構築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