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942B1 -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942B1
KR100594942B1 KR1020060013378A KR20060013378A KR100594942B1 KR 100594942 B1 KR100594942 B1 KR 100594942B1 KR 1020060013378 A KR1020060013378 A KR 1020060013378A KR 20060013378 A KR20060013378 A KR 20060013378A KR 100594942 B1 KR100594942 B1 KR 100594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illar
center
rod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순
Original Assignee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13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B25B5/142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for windows and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기둥을 보강하여 강도와 인성을 증가시켜 내진성이 뛰어나게 하고 기타 다른 외부 충격에 의해 기둥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에 관한 것이며, 콘크리트 건축물에 사용하는 기둥에 있어서, 기둥(1) 둘레 길이로 형성된 플렉시블한 몸체 전면에 이동슬릿(13)이 형성되고, 이동슬릿(13)과 연통되는 가이드홈(1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가이드홈(12)의 후방에 보강바삽입홈(11)이 형성되고, 후단에 다수개의 볼트홀(17)이 형성되며, 기둥(1)의 상하 2곳을 둘러싸 고정되는 보강레일(10); 보강레일(10)의 보강바삽입홈(11)에 삽입되는 플렉시블한 사각바 형상의 보강바(15); 가이드홈(12)에 삽입되도록 가이드부(21)가 후면에 형성되고, 가이드부(21)의 전면 중앙으로 고정부(22)가 형성되며, 고정부(22)에 고정홀(23)이 형성된 이동편(20); 중앙에 강철로 만든 중심봉(31)이 형성되고, 중심봉(31) 상단과 하단에 나사부(32)가 형성되며, 중심봉(31)의 외주에 탄성부재(33)가 둘러싸 형성되고, 나사부(32)가 이동편(20)의 고정홀(23)에 삽입되어 너트(34)로 고정되는 보강봉(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강레일, 이동편, 보강봉

Description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FIXING FRAME FOR PROTECTING PILLAR OF BUILDING}
도 1은 종래의 기둥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를 도시한 일부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를 도시한 수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기둥 2 : 벽
10 : 보강레일 11 : 보강바삽입홈
12 : 가이드홈 13 : 이동슬릿
14 : 매설너트 15 : 보강바
16 : 볼트 17 : 볼트홀
20 : 이동편 21 : 가이드부
22 : 고정부 23 : 고정홀
30 : 보강봉 31 : 중심봉
32 : 나사부 33 : 탄성부재
34 : 너트
본 발명은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기둥을 보강하여 강도와 인성을 증가시켜 내진성이 뛰어나게 하고 기타 다른 외부 충격에 의해 기둥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둥을 재료와 구조기법상으로 볼 때, 목조 ·철골조 등의 가구식(架構式) 구조와 철근콘크리트조의 일체식(一體式) 구조에서는 기둥은 대부분 수직하중을 받지만, 아치(arch)나 볼트(vault)를 사용하는 석조 ·벽돌조 등의 조적식(組積式)구조에서는 기둥 외에 벽체도 수직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또 기념주(紀念柱)나 문기둥과 같이 상부의 하중을 지탱하지 않는 것도 넓은 의미에서 기둥이라고 한다.
현대에서는 대부분의 기둥이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기둥은 상부바닥의 하중을 하부바닥에 전달하는 중요한 구조부재로서 바닥과 함께 전체 건물의 뼈대를 구성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둥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건축물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고, 특히 지하 주차장 등에는 기둥(1)과 벽(2)이 시공된다.
철근콘크리트 기둥은 바닥판 상부에 다수개의 철근을 종방향으로 배치하여 골격을 이룬 다음 그 외부에 거푸집을 설치 하여 거푸집 내부로 시멘트에 모래와 자갈을 부어 섞고 물을 가해 굳힌 후 거푸집을 제거시킴으로써 마련된다.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철근은 인장력에 유리하고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강하기 때문에 적절한 설계와 시공작업이 뒤따른다면 철근콘크리트 기둥은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구조적 설계강도의 부족이나, 기둥단면에 비하여 과다한 하중을 받게 될 경우,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등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력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흔히 이의 보강을 위한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내력보강은 콘크리트의 단면적 증설로 인한 기둥의 압축력 증가와, 철근의 첨부에 의한 기둥의 인장력 보강을 통해 이루어진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내력을 보강하는 구조로는 철판보강구조와 철근보강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철판보강구조와 철금보강구조는 설치하기 힘이 들고, 기둥 자체의 단면적을 넓혀 보강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중이 증가하여 건축물 자체에 하중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둥의 외측 둘레에 보강봉을 회전가능하게 다수개 설치하여 기둥에서 받을 외부 충격을 보강봉이 흡수하도록 하고, 기둥 둘레에 균등한 간격으로 보강봉을 설치하여 기 둥이 받는 수직하중을 보강봉이 나누어 받을 수 있게 한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건축물에 사용하는 기둥에 있어서, 기둥 둘레 길이로 형성된 플렉시블한 몸체 전면에 이동슬릿이 형성되고, 이동슬릿과 연통되는 가이드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가이드홈의 후방에 보강바삽입홈이 형성되고, 후단에 다수개의 볼트홀이 형성되며, 기둥의 상하 2곳을 둘러싸 고정되는 보강레일; 보강레일의 보강바삽입홈에 삽입되는 플렉시블한 사각바 형상의 보강바;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가이드부가 후면에 형성되고, 가이드부의 전면 중앙으로 고정부가 형성되며, 고정부에 고정홀이 형성된 이동편; 중앙에 강철로 만든 중심봉이 형성되고, 중심봉 상단과 하단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중심봉의 외주에 탄성부재가 둘러싸 형성되고, 나사부가 이동편의 고정홀에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되는 보강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기둥에 매설너트를 박아 고정하고, 매설너트에 보강레일의 볼트홀을 통하여 볼트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 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기둥(1)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보강봉(30)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기둥에 주어지는 외부의 충격을 보강봉(30)이 회전하면서 흡수하게 하고, 보강봉(30)이 기둥(1) 둘레를 둘러싸며 고정되어 기둥(1)이 받는 수직하중을 분산시켜 받을 수 있게 하여 기둥을 보강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기둥(1)의 둘레에 보강레일(10)을 고정하고, 보강레일(10)은 기둥(1) 둘레 길이로 형성된 플렉시블한 몸체 전면에 이동슬릿(13)이 형성되고, 이동슬릿(13)과 연통되는 가이드홈(1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보강레일(10)은 원기둥의 둘레에 맞게 휘어져 고정되고, 기둥의 상부와 하부 2군데에 고정된다.
가이드홈(12)의 후방에 보강바삽입홈(11)이 형성되고, 후단에 다수개의 볼트홀(17)이 형성된다. 보강바삽입홈(11)은 가이드홈(12)과 연통되는데, 이는 볼트홀(17)에 볼트(16)를 삽입하기 위한 슬릿홀이 형성된다.
보강레일(10)의 보강바삽입홈(11)에 삽입되도록 보강바(15)를 플렉시블한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하고, 보강바(15)의 몸체에 볼트홀을 형성하여 보강레일(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16)로 기둥에 보강레일(10)과 같이 고정된다.
보강레일(10)의 가이드홈(12)에 이동편(20)을 이동 가능하게 삽입한다. 이동편(20)은 가이드홈(12)에 삽입되도록 가이드부(21)가 후면에 형성되고, 가이드부(21)의 전면 중앙으로 고정부(22)가 형성된다. 고정부(22)의 중앙에 고정홀(23)이 형성되어 후술할 보강봉(3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보강레일(10)과 보강바(15)를 고정하는 방법은 기둥(1)에 매설너트(14)를 박아 고정하고, 매설너트(14)에 보강레일(10)의 볼트홀(17)을 통하여 볼트(16)로 고정한다.
보강봉(30)은 중앙에 강철로 만든 중심봉(31)이 형성되고, 중심봉(31) 상단과 하단에 나사부(32)가 형성되며, 중심봉(31)의 외주에 탄성부재(33)가 둘러싸 형성된다.
탄성부재(33)는 고무나 기타 다른 우레탄과 같은 부재를 사용하여 외부의 충격을 탄성부재 자체에서 흡수시킬 뿐만 아니라 보강봉(30)이 회전되면서 그 충격을 옆으로 비키게 하여 흘러보낸다.
이와 같이 기둥에 작용하는 외부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수직압력도 분산시켜 지지할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둥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보강봉 자체의 탄성부재에 의해 흡수될 뿐만 아니라 보강봉이 회전하면서 충격력을 흘려 기둥을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둥이 받는 수직하중을 기둥에 고정된 다수개의 보강봉이 분산하여 지지하여 기둥이 안전하게 지지된다.

Claims (2)

  1. 콘크리트 건축물에 사용하는 기둥에 있어서,
    기둥(1) 둘레 길이로 형성된 플렉시블한 몸체 전면에 이동슬릿(13)이 형성되고, 이동슬릿(13)과 연통되는 가이드홈(1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가이드홈(12)의 후방에 보강바삽입홈(11)이 형성되고, 후단에 다수개의 볼트홀(17)이 형성되며, 기둥(1)의 상하 2곳을 둘러싸 고정되는 보강레일(10);
    보강레일(10)의 보강바삽입홈(11)에 삽입되는 플렉시블한 사각바 형상의 보강바(15);
    가이드홈(12)에 삽입되도록 가이드부(21)가 후면에 형성되고, 가이드부(21)의 전면 중앙으로 고정부(22)가 형성되며, 고정부(22)에 고정홀(23)이 형성된 이동편(20);
    중앙에 강철로 만든 중심봉(31)이 형성되고, 중심봉(31) 상단과 하단에 나사부(32)가 형성되며, 중심봉(31)의 외주에 탄성부재(33)가 둘러싸 형성되고, 나사부(32)가 이동편(20)의 고정홀(23)에 삽입되어 너트(34)로 고정되는 보강봉(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기둥(1)에 매설너트(14)를 박아 고정하고, 매설너트(14)에 보강레일(10)의 볼트홀(17)을 통하여 볼트(16)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
KR1020060013378A 2006-02-13 2006-02-13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 KR100594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378A KR100594942B1 (ko) 2006-02-13 2006-02-13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378A KR100594942B1 (ko) 2006-02-13 2006-02-13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4942B1 true KR100594942B1 (ko) 2006-06-30

Family

ID=3718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378A KR100594942B1 (ko) 2006-02-13 2006-02-13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9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730B1 (ko) 2006-07-04 2006-09-28 (주)다보건축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 지하주차장 기둥보호 시설
KR100629423B1 (ko) 2006-07-19 2006-09-28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기둥에 설치되는 차량의 접촉방지커버
KR101694656B1 (ko) * 2016-07-11 2017-01-10 김진옥 완충 롤러를 구비한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730B1 (ko) 2006-07-04 2006-09-28 (주)다보건축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 지하주차장 기둥보호 시설
KR100629423B1 (ko) 2006-07-19 2006-09-28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기둥에 설치되는 차량의 접촉방지커버
KR101694656B1 (ko) * 2016-07-11 2017-01-10 김진옥 완충 롤러를 구비한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 장치
WO2018012757A1 (ko) * 2016-07-11 2018-01-18 김진옥 완충 롤러를 구비한 구조물의 모서리 보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072Y1 (ko) 조립 시설물용 기둥
CN105715068A (zh) 既有砖混结构隔震支座托换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389285B1 (ko) 단부 격벽 일체형 교대 흉벽 pc블록을 이용한 거더교의 교대 단부 일체화 방법
KR100646661B1 (ko) 슬림플로어를 위한 변형단면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슬림플로어 구조
KR100594942B1 (ko) 건축물 기둥 보호 구조
KR101167183B1 (ko) 파형강판 구조물
KR100776964B1 (ko) 압축강관을 이용한 지하 연속벽 흙막이 구조체 및 굴토방법
KR100756517B1 (ko) 중공합성교각
KR101814415B1 (ko) 틸트업 외벽 결합 내진보강 구조
KR20190036248A (ko) 현장타설 내벽결합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방법
KR101007012B1 (ko) 터널 천단부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천단부보강공법
KR20100113942A (ko) 장지간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KR100755164B1 (ko) 일체식 소켓을 이용한 강관 파일 두부 보강장치
KR101958768B1 (ko) 보강봉을 가지는 버팀보를 이용한 토류판 시공 구조물
KR101799237B1 (ko) 기둥 고정 기초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둥 고정 기초석
JP2018135678A (ja) 支柱設置構造及び防護柵
KR101037594B1 (ko) 날개형 블록
KR101030114B1 (ko) 구조물 지지 구조
KR101215764B1 (ko) 지하 구조물 외벽의 매입슬래브 구조
KR100848081B1 (ko)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KR100531250B1 (ko) 건축단지의 조성을 위한 기초공사용 토류판구조
KR100732622B1 (ko) 보강리브를 갖는 터널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아치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06225U (ko) 단면 손실 방지형 강도 보강용 결합구조체
KR100820596B1 (ko) 트렌치폼 구조
CN116378677B (zh) 一种全跨充填型溶洞段的隧道修建方法及隧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