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971B1 - 스티어링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971B1
KR100984971B1 KR1020040084235A KR20040084235A KR100984971B1 KR 100984971 B1 KR100984971 B1 KR 100984971B1 KR 1020040084235 A KR1020040084235 A KR 1020040084235A KR 20040084235 A KR20040084235 A KR 20040084235A KR 100984971 B1 KR100984971 B1 KR 100984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fastening bar
lever
tilting device
press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5874A (ko
Inventor
김길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40084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971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스티어링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차량 운전석에 마련된 조향휠의 틸팅시 운전자가 틸트레버의 잠금 및 풀림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스티어링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스티어링 틸팅장치에 있어서, 봉형상으로서 마운팅브라켓을 거쳐 디스텐스부재를 관통하며, 틸트레버 어셈블리가 조립되는 일단부에는 평면부를 갖는 체결바와; 상기 체결바의 평면부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조립되되, 그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축으로 부터 서로 다른 중심거리를 갖도록 가압면과 비가압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 지며, 일측에는 아암이 구비된 캠과; 일측에 장공과 축공이 이격 형성되어 각각 아암 및 체결바에 끼워져 체결바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장공에 결합되는 아암에 그 회전방향으로 모멘트를
가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틸팅장치{Tilting assembly of Steering system}
도 1은 종래의 조향장치에 마련되는 틸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를 구비한 조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잠금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a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 설명*
5...틸팅 브라켓 7...체결바
8...캠 9...틸트레버
50...지지부 60...디스텐스부재
70...평면부 80...가압면
82...비 가압면 84...아암
90...장공 92...축공
H...힌지축
본 발명은 스티어링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차량 운전석에 마련된 조향휠의 틸팅시 운전자가 틸트레버의 잠금 및 풀림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스티어링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선회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조향장치는, 운전석에 마련되는 스티어링 휠과,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토크를 전달받아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칼럼 샤프트와, 상기 칼럼 샤프트가 내설토록 되는 칼럼 튜브로 이루어 지며, 상기 칼럼 튜브에는 한쌍의 마운팅 브라켓이 구비되어 칼럼 샤프트가 내설된 상태의 칼럼 튜브를 차체에 고정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칼럼 튜브의 마운팅 브라켓 일측에는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소정의 각도범위내에서 조향장치를 상,하방향으로 회동 조작할 수 있도록 틸팅(Tilting)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상기와 같이 조향장치에 마련되는 틸팅장치를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축이 내설되는 중공관 형태의 컬럼 튜브(10)가 디스텐스부재(15)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이 디스텐스부재(15)는 스티어링 칼럼을 차제에 고정토록 하는 마운팅브라켓(20)의 지지부(22) 내측에 위치하여 조절볼트(25)를 통해 상기 마운팅브라켓(2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20) 지지부 외측에는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각을 조절하기 위해 레버(34)를 포함한 틸트레버어셈블리(Tilt lever ass'y)가 마련된다.
즉, 디스텐스부재(15), 마운팅 브라켓(20), 틸트레버어셈블리는 그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볼트(25)를 통해 상호 작동 가능토록 조립되며, 상기 구성품들을 관통한 조절볼트(25)의 단부 나사산에는 틸트레버(34) 외측에서 잠금너트(40)가 체결되어 각 구성품을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틸팅을 위해 레버(34)를 작동시키면, 상기 조절볼트(25)와 잠금너트(40)간에 죔력이 변화되어 마운팅브라켓(20)의 지지부(22) 사이에 끼워진 디스텐스부재(15)가 가압 또는 해체되어 구속력을 가감(加減)시켜 틸팅이 이루어 지게 된다.
즉, 운전석에 마련된 틸트레버(34)를 조작하게 되면, 이와 연계된 틸트레버어셈블리에 의해 잠금너트(40)가 풀리면서 디스텐스부재(15)와 이를 가압하는 지지부(22)간에 밀착력 저하되어 상기 디스텐스부재(15)가 조절볼트(25)와 함께 지지부(22)에 형성되는 가이드공(미도시)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틸트레버 잠금구조는, 전술한 바와같이 단순 조절볼트와 잠금너트의 죔방식으로서 틸팅시 조향휠의 잠금 및 풀림이 이루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레버 조작시 레버에 가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조임력이 계속하여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운전자가 확실한 레버의 잠금위치 및 잠김여부를 감지하기 어려웠다. 때문에, 운전자는 레버에 무리한 하중을 가하게 되고 결국에는 조절볼트와 잠금너트의 나사산에 마모가 발생하여 틸트레버의 잠금 및 풀 림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지 못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레버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마운팅브라켓과 디스텐스부재간의 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단차진 가압면을 갖는 캠을 레버와 마운팅 브라켓 사이에 마련하여, 틸팅을 위해 틸트레버를 회전시켰을 때 운전자가 틸트레버의 잠금 및 풀림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틸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호 대응되는 한쌍의 지지부를 갖되 이 지지부에는 스티어링휠 각도조절을 위한 가이드공 구비되는 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 지지부 사이에 밀착 설치되며 그 상측에는 스티어링칼럼이 용접되어 고정되는 디스텐스부재를 포함하는 스티어링칼럼 틸팅장치에 있어서, 봉형상으로서 상기 지지부를 거쳐 디스텐스부재 내부로 끼워지며, 틸트레버 어셈블리가 조립되는 일단부에는 평면부를 갖는 체결바와; 상기 체결바의 평면부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조립되되, 그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축으로 부터 서로 다른 중심거리를 갖도록 가압면과 비가압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 지며, 일측에는 회전토크를 전달받는 아암을 구비한 캠과; 일측에 장공과 축공이 격 형성되어 각각 아암 및 체결바에 끼워져 체결바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장공에 결합되는 아암에 그 회전방향으로 모멘트를 가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틸팅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를 구비한 조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잠금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차체에 볼팅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5)에는 가이드공(52)을 구비한 한쌍의 지지부(50)가 일체로 형성되며, 마운팅 브라켓(5)의 지지부(50) 사이에는 그 상측에 스티어링칼럼이 용접되어 고정되는 디스텐스부재(60)가 끼워진다. 이 디스텐스부재(60)는 상기 가이드공(52)을 관통하는 체결바(7)를 통해 마운팅 브라켓(5) 내측에 고정되어 틸팅시 가이드공(72)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체결바(7)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티어링칼럼(1)의 틸팅각을 변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5)의 지지부(50) 외측의 체결바(7) 말단부에는 디스텐스부재(60)의 틸팅각 변화를 단속토록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틸트레버 어셈블 리가 구비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레버 어셈블리는, 상기 체결바(7) 일측에는 면가공한 평면부(70)가 구비되어 이에 틸팅각 변화를 구속하는 캠(8)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캠(8) 외측에는 이 캠에 모멘트(Moment)를 가하여 이를 회전토록 하는 레버(9)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여기서, 상기 캠(8)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바(7)의 평면부(70)에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되, 그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축(H)으로 부터 서로 다른 중심거리를 갖는 가압면(80)과 비가압면(82)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 지고, 일측에는 레버(9)로 부터 모멘트를 전달받기 위한 아암(8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압면(80)의 힌지축(H)으로 부터의 중심거리(d1)를 비가압면(82)의 힌지축(H)으로 부터 중심거리(d2) 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가압면(80)이 지지부(50)의 면과 밀착됐을 경우에는 디스텐스부재(60)가 지지부(50)내측에 고정되어 각도 변위가 일어나지 않게 하고, 캠(8)이 회전하여 비가압면(82)이 지지부(50) 면과 밀착될 경우에는 축 방향 가압력이 감소되어 디스텐스부재(60)가 체결바(7)와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레버(9)는 그 일측에 장공(90)과 축공(92)이 이격 형성되어 각각 아암(84) 및 체결바(7)에 단부 끼워져 조립되되, 상기 장공(90)내측에는 아암(84)과의 마찰감소를 위해 플라스틱 부시(100)를 삽입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레버(9)는 축공(92)에 끼워지는 체결바(7)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하면서 상기 장공(90)에 결합되는 아암(84)에 그 회전방향으로 모멘트를 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내지 도 4b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에서와 같이 캠(8)의 가압면(80)이 지지부(50)와 밀착되어 있는 상황에서 레버(9)를 아래쪽(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9)는 축공에 끼워지는 체결바(7)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면서 일측 장공(90)에 끼워진 아암(84)에 그 회전방향으로 모멘트를 가하게 되고, 캠(80)은 아암(90)에 전달된 상기 모멘트에 의해 힌지축(H)을 중심으로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4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비가압면(82)이 지지부(50)면과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비가압면(82)의 중심거리(d2)는 가압면(80)의 중심거리(d1)보다 짧게 형성되므로써, 상기와 같이 캠(8)의 회전에 의해 비가압면(82)이 지지부(50)와 접할경우에는 캠(8)의 축방향 밀착력이 감소되어 지지부(50)와 디스텐스부재(60)간에 갭이 발생하여 틸팅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캠(8)은 레버(9)로 부터 전달되는 모멘트에 의해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각 면의 중심거리의 차(d2-d1)로서 지지부(50)와의 밀착력이 증감되므로, 틸팅시 잠김과 풀림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캠의 가압면(80)과 비가압면(82)은 서로 만나는 꼭지점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틸트레버(9) 조작시 꼭지점을 기준으로 레버의 잠김 또는 풀림 상태를 확실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틸팅장치에 의하면, 회전중심으로 부터 서로다른 중심거리를 갖는 캠에 의해 레버의 잠김 및 풀림상태가 제어되므로서, 운전자는 레버조작에 따른 체결상태를 확실히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레버에 무리한 힘을 계속적으로 가하지 않게 되어 무리한 인력에 따른 장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상호 한쌍의 지지부(50)를 갖되 이 지지부(50)에는 스티어링휠 각도조절을 위한 가이드공(52) 구비되는 마운팅 브라켓(5)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5) 지지부(50) 사이에 끼워져 그 상측에 스티어링칼럼(1)을 지지하는 디스텐스부재(60)를 포함하는 스티어링칼럼의 틸팅장치에 있어서,
    봉형상으로서 상기 디스텐스부재(60)를 거쳐 지지부(50)를 관통하며, 틸트레버 어셈블리가 조립되는 일단부에는 평면부(70)를 갖는 체결바(7)와;
    상기 체결바(7)의 평면부(70)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조립되되, 그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축으로 부터 서로 다른 중심거리(d1)(d2)를 갖는 가압면(80)과 비가압면(82)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 지며, 외주부 일측에는 아암(84)이 구비된 캠(8)과;
    일측에 장공(90)과 축공(92)이 이격 형성되어 각각 아암(84) 및 체결바(7)에 끼워져 체결바(7)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장공(90)에 결합되는 아암(84)에 그 회전방향으로 모멘트를 가하는 레버(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틸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8) 외주에 형성되는 가압면(80)의 힌지축으로 부터의 중심거리(d1)가 비가압면의 힌지축으로 부터 중심거리(d2) 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틸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장공(90) 내측에는 플라스틱 부시(100)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틸팅장치.
KR1020040084235A 2004-10-21 2004-10-21 스티어링 틸팅장치 KR100984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235A KR100984971B1 (ko) 2004-10-21 2004-10-21 스티어링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235A KR100984971B1 (ko) 2004-10-21 2004-10-21 스티어링 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874A KR20060035874A (ko) 2006-04-27
KR100984971B1 true KR100984971B1 (ko) 2010-10-04

Family

ID=3714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235A KR100984971B1 (ko) 2004-10-21 2004-10-21 스티어링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9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486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전동형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KR100221190B1 (ko) 1997-04-08 1999-09-15 정몽규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 틸트업 방지장치
JP2003002211A (ja) 2001-06-27 2003-01-08 Koyo Seiko Co Ltd 衝撃吸収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30086700A (ko) * 2002-05-06 2003-11-1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486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전동형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KR100221190B1 (ko) 1997-04-08 1999-09-15 정몽규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 틸트업 방지장치
JP2003002211A (ja) 2001-06-27 2003-01-08 Koyo Seiko Co Ltd 衝撃吸収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30086700A (ko) * 2002-05-06 2003-11-1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874A (ko)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627B1 (ko) 스티어링 칼럼 장치
EP0497860B1 (en) Adjustable steering wheel
JP3988200B2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6474189B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foot pedal and a steering column to a vehicle
US5531317A (en) Tilt-type steering column device
US6131481A (en) Steering column
JP3645157B2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676062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5014681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EP1332942B1 (en) Surface treatment for a locking mechanism
KR100984971B1 (ko) 스티어링 틸팅장치
JP4470302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4581214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US6349967B1 (en) Locking mechanism for tilt steering column
KR101013530B1 (ko)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
JP3791197B2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223549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099183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2046622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US10907728B2 (en) Shift device
KR101205609B1 (ko) 조향장치의 틸팅장치
KR100738436B1 (ko) 차량용 틸팅장치의 스윙 토크 개선구조
KR100655712B1 (ko)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
JP4978120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4179023B2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