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6700A -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6700A
KR20030086700A KR1020020024821A KR20020024821A KR20030086700A KR 20030086700 A KR20030086700 A KR 20030086700A KR 1020020024821 A KR1020020024821 A KR 1020020024821A KR 20020024821 A KR20020024821 A KR 20020024821A KR 20030086700 A KR20030086700 A KR 20030086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steering column
bolt
bracke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우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6700A/ko
Publication of KR20030086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70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1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power actuated adjustment, e.g. with position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을 틸팅(tilting)시키기 위한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볼트를 조이고 풀어주는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틸팅각도 조정시 항상 요구되는 적당한 토크가 볼트에 작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차체에 고정되며 한 쌍의 가이드슬롯을 구비하는 틸팅브라켓; 상기 틸팅브라켓의 상기 한 쌍의 가이드슬롯 사이에 위치하고, 스티어링 컬럼과 일체로 결합되어스티어링 컬럼의 상기 가이드슬롯에 따른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디스턴스브라켓; 상기 틸팅브라켓과 상기 디스턴스브라켓을 관통하며, 선단부와 머리부측에 수나사가 형성된 볼트; 각각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되어 상기 볼트에 결합되며, 볼트를 조일때, 상기 틸팅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디스턴스브라켓이 조정된 틸팅각도에서 유지되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부재; 및 상기 볼트에 결합되어 볼트를 조이고 풀기 위한 모터와, 모터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한 구동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누구가 간단한 스위치조작만으로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TILTING DEVICE OF STEERING COLUMN}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을 틸팅(tilting)시키기 위한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컬럼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틸팅브라켓과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재킷에 고정된 디스턴스(distance)브라켓 사이에 볼트의 조임력에 의한 면압과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원하는 틸팅각도로 조정된 스티어링 컬럼을 고정하는 구조로 구비되는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장치가 필수적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이 조향장치는 차량의 실내에 위치하여 방향전환시 운전자가 조작력을 가하게 되는 스티어링휠과, 스티어링휠과 연결되는 스티어링 샤프트를 포함하며 실내의 운전석측에 일부분 노출되는 상부재킷과 운전석 전방의 대쉬보드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재킷으로 구분되는 스티어링 컬럼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와 인터미디트 샤프트로 연결되는 조향기어와, 이 조향기어에 연결된 조향링키지 및조향링키지에 결합되는 조향너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근래 들어, 스티어링 휠의 위치가 운전자의 신체조건이나 운전자세에 적합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스티어링 컬럼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틸팅장치가 스티어링 컬럼에 장착되어 제공되고 있다. 틸팅장치는 다양한 종류가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 볼트의 조임력으로 틸팅각도가 적당한 위치로 조절된 상태의 스티어링 컬럼을 고정하는 틸팅장치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틸팅장치를 구비한 스티어링 컬럼을 도시한 부분 절개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틸팅장치를 구비한 스티어링 컬럼을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틸팅장치는 틸팅브라켓(21)과,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재킷(11)에 용접되어 틸팅브라켓(21)의 내부에 위치하는 디스턴스브라켓(31)과, 틸팅브라켓(21)의 양측에 위치하는 가압부재(45)와, 스티어링 컬럼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9)과, 틸팅브라켓(21)의 가이드슬롯(25)과 디스턴스브라켓(31)의 조립공(35)을 통해 끼워지는 볼트(43)와, 볼트(43)를 회전시켜 가압력을 조절하는 틸팅레버(41)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틸팅브라켓(21)은 스티어링 컬럼을 고정하기 위하여 대쉬보드 하부의 차체에 고정되는 상부 브라켓에 결합되는 상판부와, 상판부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하부로 연장되며 상하로 길게 관통되게 형성되는 가이드슬롯(25)을 구비하는 좌·우압착판, 및 좌·우압착판의 각 하단부 후방에서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절곡되어 상부로 소정폭 만큼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19)의 하단부를 구속하는 좌·우고정돌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내부에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재킷(11)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디스턴스브라켓(31)은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재킷(11) 아래측 외주면에 수평으로 용접되어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하며, 그 양측단에 상기 틸팅브라켓(21)의 좌·우압착판와 각각 면접촉하게 되며 볼트(43)가 관통하는 조립공(35)이 각각 형성된 버팀판(33)을 구비하며, 각 조립공(35)이 상기 틸팅브라켓(21)의 좌·우압착판에 형성된 가이드슬롯(25)과 연통되도록 위치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19)은 일측이 상기 틸팅브라켓(21)의 좌·우고정돌부(24)에 구속되고 타측이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재킷(11)에 부착된 지지돌부(17)에 고정되어 스티어링 컬럼을 탄성지지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재(45)는 각각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을 구비하며, 상기 좌·우압착판의 양측 외부에 접촉하도록 위치하며, 볼트의 회전시 자체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43)는 상기 틸팅브라켓(21)의 일측 가압부재(45)의 체결공, 일측 측판부의 가이드슬롯(25). 디스턴스브라켓(31)의 두 조립공(35), 나머지 일측 측판부의 가이드슬롯(25), 나머지 일측 가압부재의 체결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체결되며, 선단부와 머리부측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압부재(45)에 각각 형성된 체결구의 암나사와 나사결합하게 된다.
상기 틸팅레버(41)는 볼트(43)의 머리부(57)를 둘러싸는 소켓이 일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타단부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볼트(43)를 회전시켜 조임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틸팅장치는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을 위해서 먼저 틸팅레버(41)로 볼트(43)를 풀고난 후,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원하는 틸팅각도로 맞추고, 다시 틸팅레버(41)로 볼트(43)를 조여서 가압력을 제공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운전자의 신체조건이나 운전자세에 따라 각도를 상하 틸팅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볼트에 의해 조임력이 가해지면 상호 접촉하게 되는 상기 틸팅브라켓(21)의 좌·우압착판과 상기 디스턴스브라켓(31)의 두 버팀판(33) 사이에 강한 마찰력이 작용하여 스티어링 컬럼이 조정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고정한다.
이와 같은, 틸팅장치는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각도 변경이 요구될 경우, 운전자가 수동으로 틸팅레버(41)를 작동하여 볼트에 조임력을 가하거나 해제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틸팅레버(41)를 사용하여 볼트(43)를 조이는 과정에서 상기 틸팅레버(41)로 가하게 되는 토크가 부족할 경우, 볼트(43)의 조임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상기 스티어링 컬럼이 조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없으며, 반대로 틸팅레버(41)에 과도한 토크를 가한 경우에는 차후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각도를 재조정하기 위하여 틸팅레버(41)를 사용하여 볼트(43)의 조임력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토크가 요구되어 여성이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틸팅각도의 변경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틸팅레버(41)는 조작에 적당한 토크를 얻기 위해서 소정의 길이 이상으로 길게 형성되어야 하며, 이는 장착시 운전석의 대쉬보드 하부에 노출되므로 공간적 부담이 되어,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운전석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등 공간설계에 상당한 제약적 요소가 되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를 조이고 풀어주는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각도 조정시 항상 요구되는 적당한 토크가 볼트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틸팅브라켓의 좌·우압착판과 디스턴스브라켓의 두 버팀판 사이에 항상 적당한 면압 및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각도 조정 중 볼트에 가해지는 토크의 조절이 적당하지 못하여 스티어링 컬럼의 고정상태 유지가 불안정해지거나 틸팅각도를 재조정할 경우 과도한 토크가 요구되어 틸팅각도 조정이 어려워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볼트에 토크를 가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공간적으로 설치가 자유로운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틸팅장치를 구비한 스티어링 컬럼을 도시한 부분 절개 측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틸팅장치를 구비한 스티어링 컬럼을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를 구비한 스티어링 컬럼을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턴스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에 포함되는 구동부를 상세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5: 볼트57: 볼트머리부
60: 틸팅브라켓61: 상판부
63, 63': 좌·우측판부65,65': 좌·우고정돌부
70: 디스턴스브라켓71: 지지부
73: 버팀판75: 조립공
80, 80': 가압부재81: 회전방지가이드
90: 스프링91: 모터브라켓
95: 모터97: 소켓
99: 출력축100: 상부재킷
101: 지지돌부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볼트의 조임력에 의한 마찰력으로 조정된 틸팅각도에서 스티어링 컬럼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되며,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을 안내하는 대항하는 한 쌍의 가이드슬롯을 구비하는 틸팅브라켓;
상기 틸팅브라켓의 상기 한 쌍의 가이드슬롯 사이에 위치하고, 스티어링 컬럼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슬롯과 연통될 조립공을 구비하여 스티어링 컬럼의 상기 가이드슬롯에 따른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디스턴스브라켓;
상기 틸팅브라켓의 가이드슬롯과 상기 디스턴스브라켓의 조립공을 관통하며, 선단부와 머리부측에 수나사가 형성된 볼트;
각각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되어 상기 틸팅브라켓의 상기 한 쌍의 가이드슬롯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볼트에 결합되며, 볼트를 조일때, 상기 틸팅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디스턴스브라켓을 조정된 틸팅각도가 유지되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부재; 및
상기 볼트에 결합되어 볼트를 조이고 풀기 위한 모터와, 모터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를 구비한 스티어링 컬럼을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턴스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에 포함되는 구동부를 상세도시한 단면도이다.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팅장치는 스티어링 컬럼을 고정하기 위해 차체에 고정되는 상부브라켓(50)에 용접되며 한 쌍의 가이드슬롯(종래도면 참조)이 형성되는 틸팅브라켓(60)과,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재킷(100)에 용접되어 틸팅브라켓(6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디스턴스브라켓(70)과, 틸팅브라켓(60)의 양측면에 위치하며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을 구비하는 가압부재(80)(80')와, 틸팅브라켓(60)과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재킷(100)에 구속되어 스티어링 컬럼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90)과, 틸팅브라켓(60)과 디스턴스브라켓(70) 및 가압부재(80)(80')를 가로지르도록 끼워지는 볼트(55)와, 볼트(55)를 회전시켜 가압력을 조절하는 모터(95) 및 모터(95)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미도시)로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티어링 컬럼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대쉬보드 하부의 차체에 상부브라켓(50)이 고정되고, 이 상부브라켓(50)에 틸팅장치의 뼈대에 해당하며 틸팅범위를 한정하는 틸팅브라켓(60)이 장착된다.
상기 틸팅브라켓(60)은 상부브라켓(50)에 용접되는 상판부(61)와, 이 상판부(61)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상하로 길게 관통되게 형성되는 가이드슬롯(종래도면 참조)을 구비하는 좌·우압착판(63)(63'), 및 이 좌·우압착판(63)(63')의 각 하단부 후방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절곡되어 스티어링 컬럼을 향해 상부로 연장되는 좌·우고정돌부(65)(65')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틸팅브라켓(60)으로 둘러싸인 내부의 공간에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재킷(100)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스티어링 컬럼의 하부재킷부분이차체에 고정되는 하부브라켓에 피봇축으로 선회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어, 틸팅각도가 상기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조절하는 것이므로, 상기 가이드슬롯(종래도면 참조)은 상기 피봇축과 가이드슬롯 간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주에 해당하는 곡률을 구비하는 가운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및 이하의 설명에서 전방은 스티어링 컬럼을 차체에 장착했을때 운전석방향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이라 하기로 한다.
상기 디스턴스브라켓(70)은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하는 중앙의 지지부(71)와 , 지지부(71)의 양측단에 위치하여 상기 틸팅브라켓(60)의 좌·우압착판(63)(63')과 각각 면접촉하게 되며 볼트가 관통하는 조립공(75)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버팀판(73)으로 구성되며, 각 조립공(75)이 상기 틸팅브라켓(60)의 좌·우압착판(63)(63')에 형성된 가이드슬롯(종래도면 참조)과 연통되도록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재킷(100) 아래측 외주면에 수평으로 용접되어 역시 틸팅브라켓(6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71)는 평형한 두개의 판으로 구성되며, 이 두 판의 각측단부를 연결하는 것이 상기 버팀판(73)이 된다. 즉, 상기 지지부(11)를 형성하는 두 판의 각 상단 중앙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곡률은 지지부(71)가 용접되어 지지하게 되는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재킷 외주면 곡률에 해당한다.
상기 각 가압부재(80)(80')는 각각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을 구비하며, 상기 좌·우압착판(63)(63')의 양측 외부에 접촉하도록 위치하고, 그 중의 하나(80)는 인접하는 압착판(63')의 전단부에 가이드되어 틸팅각도 조정시 상하이동하게 되며 또한 자체의 회전이 구속되도록 하는 회전방지가이드(81)를 구비하고, 이 회전방지가이드(81)가 구비되는 가압부재(80)에 모터(95)를 포함하는 구동부가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볼트(55)는 일측의 가압부재(80)의 체결공, 일측 측판부(63')의 가이드슬롯, 디스턴스브라켓(70)의 두 조립공(75), 나머지 일측 측판부(63)의 가이드슬롯, 나머지 일측 가압부재(80')의 체결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체결되며, 선단부와 머리부측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압부재(80)(81)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의 암나사와 나사결합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방지가이드(81)가 형성된 가압부재(80)에 고정되는 모터브라켓(91)과, 이 모터브라켓(91)에 고정되는 모터(95)와, 작동제어를 위한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95)는 정역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볼트(55)의 머리부(57)에 토크를 가하여 틸팅각도 조정시 볼트에 조임력을 가하거나 조임력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이 되는 것으로, 볼트(55)의 머리부(57)에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볼트의 머리부(57)가 둘러싸이도록 끼워지는 소켓(97)이 자체의 출력축(99)에 장착되며, 모터브라켓(91)은 볼트(55)의 머리부(57)가 위치하는 측의 가압부재(80)에 설치되어 틸팅각도 조정시 가압부재(80)와 함께 상하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95)는 조임 및 해제에 따른 적당한 출력토크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 만큼 회전 후 자동 정지되도록 설계되어 조임 및 해제 작동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의 출력축(99)에 장착되는 소켓(97)은 내부에 삽입되는 볼트의 머리부(57) 두께보다 소정의 폭만큼 큰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볼트(55)의 회전으로 인해 볼트(55)의 머리부(57)가 모터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변위를 수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소켓(97)의 깊이는 볼트의 조임시 및 풀림시의 상기 틸팅브라켓(60)의 좌·우압착판(63)(63')사이의 발생할 수 있는 최대거리차를 볼트의 머리부(57) 두께에 더한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면 된다.
상기 스위치(미도시)는 상기 모터(95)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볼트를 조이는 방향으로의 회전과,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명령할 수 있는 스위치가 된다.
상기 스프링(90)은 하단부가 상기 틸팅브라켓(60)의 좌·우고정돌부 (65)(65')에 구속되고, 상단부가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상부재킷(100)에 부착되는 지지돌부(101)에 구속되어 스티어링 컬럼의 탄성지지를 수행하여 틸팅각도 조정을 위해 볼트(55)의 조임력을 해제한 경우에 스티어링 컬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각도 조정을 위해 먼저 볼트(55)의 조임력이 해제되도록 스위치를 작동하여 모터(95)를 구동시켜, 볼트(55)의 조임력이 해제됨에 따라상기 틸팅브라켓(60)의 좌·우압착판(63)(63')과 상기 디스턴스브라켓(70)의 두 버팀판(73) 사이에 작용되던 면압 및 마찰력을 해제시킨다. 이후, 스티어링 휠을 사용하여 운전자의 신체 조건이나 운전 자세에 따른 최적의 틸팅각도로 스티어링 컬럼을 상하로 틸팅시키고, 다시 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95)를 회전시켜 적당한 토크로 볼트(55)를 조임으로써 틸팅장치의 틸팅각도 조정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는 틸팅각도 조정시 볼트에 조임력을 가하거나 조임력을 해제하기 위한 토크제공수단으로 모터를 구비하여, 항상 적당한 토크로 볼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누구가 간단한 스위치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더불어 틸팅레버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틸팅장치가 제공됨으로써 운전석 설계시 공간적 부담이 경감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볼트의 조임력에 의한 마찰력으로 조정된 틸팅각도에서 스티어링 컬럼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되며,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을 안내하는 대항하는 한 쌍의 가이드슬롯을 구비하는 틸팅브라켓;
    상기 틸팅브라켓의 상기 한 쌍의 가이드슬롯 사이에 위치하고, 스티어링 컬럼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슬롯과 연통될 조립공을 구비하여 스티어링 컬럼의 상기 가이드슬롯에 따른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디스턴스브라켓;
    상기 틸팅브라켓의 가이드슬롯과 상기 디스턴스브라켓의 조립공을 관통하며, 선단부와 머리부측에 수나사가 형성된 볼트;
    각각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되어 상기 틸팅브라켓의 상기 한 쌍의 가이드슬롯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볼트에 결합되며, 볼트를 조일때, 상기 틸팅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디스턴스브라켓을 조정된 틸팅각도가 유지되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부재; 및
    상기 볼트에 결합되어 볼트를 조이고 풀기 위한 모터와, 모터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브라켓은 차체측에 고정되는 상판부와, 상판부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상하로 길게 관통되게 형성되는 가이드슬롯을 구비하는 좌·우압착판, 및 좌·우압착판의 각 하단부 후방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절곡되어 스티어링 컬럼을 향해 상부로 연장되는 좌·우고정돌부를 포함하며, 그 내부에 스티어링 컬럼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디스턴스브라켓은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하는 중앙의 지지부와 , 지지부의 양측단에 위치하여 상기 좌·우압착판과 각각 면접촉하게 되며 볼트가 관통하는 조립공이 각각 형성된 버팀편으로 구성되며, 스티어링 컬럼의 아래측 외주면에 수평으로 용접되어 상기 틸팅브라켓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가압부재는 각각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좌·우압착판의 양측 외부에 접촉하도록 위치하며, 둘 중의 하나에 상기 모터가 고정되고, 상기 모터가 고정되는 가압부재는 인접한 압착판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도록 하는 회전방지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는 정역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볼트의 머리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소켓이 자체의 출력축에 장착되며;
    일측이 상기 틸팅브라켓의 좌·우고정돌부에 구속되고 타측이 상기 스티어링 컬럼에 부착되는 지지돌부에 고정되어 스티어링 컬럼을 탄성지지하게 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
KR1020020024821A 2002-05-06 2002-05-06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 KR20030086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821A KR20030086700A (ko) 2002-05-06 2002-05-06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821A KR20030086700A (ko) 2002-05-06 2002-05-06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700A true KR20030086700A (ko) 2003-11-12

Family

ID=3238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821A KR20030086700A (ko) 2002-05-06 2002-05-06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67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507B1 (ko) * 2005-07-28 2008-06-25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
KR100984971B1 (ko) * 2004-10-21 2010-10-04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틸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8659A (ja) * 1987-11-03 1989-06-12 Daimler Benz Ag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傾斜を変える調整装置
JPH06329029A (ja) * 1993-05-26 1994-11-29 Futaba Sangyo Kk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970040909A (ko) * 1995-12-30 1997-07-24 전성원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KR19990025172A (ko) * 1997-09-11 1999-04-06 오상수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와 텔리스코픽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8659A (ja) * 1987-11-03 1989-06-12 Daimler Benz Ag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傾斜を変える調整装置
JPH06329029A (ja) * 1993-05-26 1994-11-29 Futaba Sangyo Kk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970040909A (ko) * 1995-12-30 1997-07-24 전성원 스티어링 칼럼 틸팅장치
KR19990025172A (ko) * 1997-09-11 1999-04-06 오상수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와 텔리스코픽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971B1 (ko) * 2004-10-21 2010-10-04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틸팅장치
KR100841507B1 (ko) * 2005-07-28 2008-06-25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1317A (en) Tilt-type steering column device
US5605351A (en) Tilt type steering apparatus
US5788277A (en) Tilt type steering apparatus
US20090120229A1 (en) Steering column device
CA1228523A (en) Tilt steering column for vehicles
JP2005014681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3578881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チルト保持力調整機構
KR20030086700A (ko) 스티어링 컬럼 틸팅장치
JPH11278283A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2004268841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2302046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3791197B2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H0454060Y2 (ko)
KR100841507B1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
JPH0531015Y2 (ko)
KR200346174Y1 (ko) 전동 스쿠터의 핸들 고정구 어셈블리
CN216805307U (zh) 一种旋转式车载中控屏安装结构
KR0145212B1 (ko) 자동차 조향축의 틸트장치
KR0134275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중장비용 팔걸이
KR20090125990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조정 장치
JPH0441018Y2 (ko)
KR100351358B1 (ko) 자동차의 틸트 스티어링
GB2333581A (en) Tilt type steering column
JPS5943163Y2 (ja) テイ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H0858606A (ja) チルト機構付き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チルト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