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014B1 -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014B1
KR100984014B1 KR1020090132971A KR20090132971A KR100984014B1 KR 100984014 B1 KR100984014 B1 KR 100984014B1 KR 1020090132971 A KR1020090132971 A KR 1020090132971A KR 20090132971 A KR20090132971 A KR 20090132971A KR 100984014 B1 KR100984014 B1 KR 100984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thelial
packaging material
unit
tension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이규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코
Priority to KR1020090132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039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esilient 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220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2205/0005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31D2205/0011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including particular additional operations
    • B31D2205/0047Feeding, guiding or shaping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220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2205/0005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31D2205/0011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including particular additional operations
    • B31D2205/0058Cutting; Individualising the final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용 포장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외피와 한 쌍의 내피의 부분적 상호융착을 통해 다수의 융착부를 형성하여 공기셀, 공기유도로 및 공기주입로 등과 같이 복잡한 구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전체 제조과정을 효율적으로 자동화하는 동시에, 제조장치로 투입되는 외피나 내피의 정렬상태를 단순한 구성을 통해 정확하게 정렬함으로써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는, 상부외피를 공급하는 상부외피공급부와, 하부외피를 공급하는 하부외피공급부와, 상부외피와 하부외피 사이로 상부내피와 하부내피를 중첩시켜 공급하는 내피공급부와, 상부외피, 상부내피 및 하부내피를 부분적으로 융착시켜 공기유도로를 형성하는 제1 융착장치부와, 제1 융착장치부를 통과하여 부분적으로 융착된 상부외피, 상부내피 및 하부내피를 하부외피와 부분적으로 융착시켜 공기주입로 및 공기셀을 형성하는 제2 융착장치부와, 제2 융착장치부를 통과한 상부외피, 하부외피, 상부내피 및 하부내피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부와, 완성된 완충용 포장재를 권취하는 리와인더(rewinder)부와,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내피공급부의 후단에는 상부내피와 하부내피가 제1 융착장치부로 투입되기 직전에 상부내피와 하부내피의 중심부를 소정의 폭으로 절개하는 내피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132971
완충재, 포장재, 공기셀, 인장 변형, 내피 커터(cutter), 정렬.

Description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ock-absorbing packs equipped with internal-film cutter}
본 발명은 완충용 포장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외피와 한 쌍의 내피의 부분적 상호융착을 통해 다수의 융착부를 형성하여 공기셀, 공기유도로 및 공기주입로 등과 같이 복잡한 구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전체 제조과정을 효율적으로 자동화하는 동시에, 제조장치로 투입되는 외피나 내피의 정렬상태를 단순한 구성을 통해 정확하게 정렬함으로써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의 적재·운송 과정 등에서 적재된 다른 물품에 의한 하중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제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제품과 포장상자 사이에 완충용 포장재를 삽입하여 제품을 보호하는데, 이러한 완충용 포장재로서 발포 폴리스티렌을 특정 형상으로 성형한 제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발포 폴리스티렌 재질의 완충용 포장재는 재활용도가 낮아 환경오염 을 유발하며, 제조과정에서는 금형을 사용해야 하므로 생산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큰 부피로 인하여 보관과 운송에 있어 공간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공기가 충진된 다수의 공기셀 형태의 완충용 포장재로 점차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공기셀 형태의 완충용 포장재는, 두 겹의 필름을 겹치고 그 일부를 접착하는 단순한 방식으로 공기셀이 형성된 것에서부터, 공기셀을 형성하는 외피들 사이에 내피로 형성된 구조물을 삽입함으로써 공기 주입시 공기주입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공기셀 외부로의 공기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발전된 형태까지 다양하게 분포한다.
이렇듯 공기셀 형태의 완충용 포장재의 구조가 점차적으로 복잡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반면에, 이러한 복잡한 구조의 공기셀 형태의 완충용 포장재를 생산하는 장치는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종래기술에 의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는 공기셀, 공기유도로 및 공기주입로 등과 같이 복잡한 구조를 갖는 완충용 포장재를 효율적으로 자동화하여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외피와 내피에 각각 작용하는 인장력의 차이가 발생하여 외피와 내피 간의 정렬이 부정확하게 이루어져, 생산된 완충용 포장재의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 쌍의 외피와 한 쌍의 내피의 부분적 상호융착을 통해 다수의 융착부를 형성하여 공기셀, 공기유도로 및 공기주입로 등과 같이 복잡한 구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전체 제조과정을 효율적으로 자동화하는 동시에, 제조장치로 투입되는 외피나 내피의 정렬상태를 단순한 구성을 통해 정확하게 정렬함으로써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상부외피를 공급하는 상부외피공급부와, 하부외피를 공급하는 하부외피공급부와, 상부외피와 하부외피 사이로 상부내피와 하부내피를 중첩시켜 공급하는 내피공급부와, 상부외피, 상부내피 및 하부내피를 부분적으로 융착시켜 공기유도로를 형성하는 제1 융착장치부와, 제1 융착장치부를 통과하여 부분적으로 융착된 상부외피, 상부내피 및 하부내피를 상기 하부외피와 부분적으로 융착시켜 공기주입로 및 공기셀을 형성하는 제2 융착장치부와, 제2 융착장치부를 통과한 상부외피, 하부외피, 상부내피 및 하부내피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부와, 완성된 완충용 포장재를 권취하는 리와인더(rewinder)부와,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내피공급부의 후단에는 상부내피와 하부내피가 제1 융착장치부로 투입되기 직 전에 상부내피와 하부내피의 중심부를 소정의 폭으로 절개하는 내피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는, 내피커터를 구비하여 외피와 내피가 제1 융착장치로 투입되기 직전에 내피의 중심부를 절개부를 따라 소정의 폭으로 절단하여, 외피와 내피를 정확하게 정렬시킴으로써 완제품의 불량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셀, 공기유도로, 공기주입로 등과 같이 복잡한 구조의 완충용 포장재를 제조하는 데 있어, 외피와 내피의 공급, 융착부의 생성, 냉각, 실링부 형성, 절취선과 폐기용 홈 형성 및 완성된 완충용 포장재의 권취와 같은 완충용 포장재의 전 제조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자동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공하고자 하는 공기셀 형태의 완충용 포장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공기셀 형태의 완충용 포장재의 분리 사시도로서, 이들을 서로 연관지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완충용 포장재(100)는 다수의 공기셀(1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들 공기셀(110)이 외부의 충격에 대한 완충작용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용 포장재(100)의 내부구조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완충용 포장재(100)는 하부외피(260)와 상부외피(250)의 중심부를 소정의 폭으로 가로지르며 공기주입로(215)가 형성되고, 공기주입로(215)의 상부 및 하부에서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다수개의 공기유도로(213)를 형성하는 하부내피(230) 및 상부내피(220)가 절개부(240)를 따라 각각 절개되어 삽입되고, 내부에 공기유도로(213)를 각각 하나씩 구비하는 다수의 공기셀(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주입로(215)를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내피(230) 상부에는 공기주입로(215)와 공기유도로(213)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이형대(2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공기유도로(213)를 형성하기 위해 상부외피(250), 상부내피(220) 및 하부내피(230)를 융착시켜 형성한 내부융착부(212)와, 각각의 공기셀(110)을 형성하기 위해 각 공기셀(110) 주위를 융착시켜 형성한 외부융착부(214) 및 일정개수의 공기셀(110)을 단위로 하여 공기주입로(215)를 차단하기 위해 형성된 공기주입로 실링부(216)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 장재 제조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완충용 포장재(100)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외피(250)를 공급하는 상부외피공급부(310a)와, 하부외피(260)를 공급하는 하부외피공급부(310b)와, 상부외피(250)와 하부외피(260) 사이로 상부내피(220)와 하부내피(230)를 중첩시켜 공급하는 내피공급부(320)와, 상부외피(250), 상부내피(220) 및 하부내피(230)를 부분적으로 융착시켜 공기유도로(213)를 형성하는 제1 융착장치부(340a)와, 제1 융착장치부(340a)를 통과하여 부분적으로 융착된 상부외피(250), 상부내피(220) 및 하부내피(230)를 하부외피(260)와 부분적으로 융착시켜 공기주입로(215) 및 공기셀(110)을 형성하는 제2 융착장치부(340b)와, 제2 융착장치부(340b)를 통과한 상부외피(250), 하부외피(260), 상부내피(220) 및 하부내피(230)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부(350)와, 완성된 완충용 포장재(100)를 권취하는 리와인더(rewinder)부(380)와,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내피공급부(320)의 후단에는 상부내피(220)와 하부내피(230)가 상기 제1 융착장치부(340a)로 투입되기 직전에 상부내피(220)와 하부내피(230)의 중심부를 소정의 폭으로 절개하는 내피커터(330)가 구비되며, 냉각장치부(350) 후단에는 외피(250, 260)와 내피(220, 230)가 융착결합되어 형성된 공기주입로(215)의 일단을 일정개수의 공기셀(110)을 단위로 밀봉하는 실링장치(370a)와, 절취선을 형성하는 절취선 가공장치(370b) 및 폐기용 홈을 형성하는 폐기용 홈 가공장치(370c)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피커터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외피공급부, 내피공급부 및 내피커터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공급부(310)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상부외피공급부(310a)와 하부외피공급부(310b)가 각각 상하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각 상부외피(250)를 제1 융착장치부(340a)로, 하부외피(260)를 제2 융착장치부(340b)로 이송한다. 외피공급부(310)는 외피(250, 260)를 회전시켜 풀림 이송하는 외피 언와인더(311) 및 외피 언와인더(311)로부터 공급되는 외피(250, 260)의 장력을 조절하는 외피댄서(dancer)부(312)로 구성된다. 외피댄서부(312)는 다시, 외피(250, 260)의 공급속도의 변화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장력을 완화하는 외피 이동롤러(313)와,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공급되는 외피(250, 260)의 장력에 따라 길이가 변화하는 외피 장력완화 샤프트(314)와, 외피 장력완화 샤프트(314)의 길이 변화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외피 완충프레임(315) 및 외피(250, 260)가 이송되는 경로를 유도하는 다수의 외피 이송롤러(3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외피 언와인더(311)는 서보모터로 구동되어 롤 형태의 외피(250, 260)를 회전시켜 풀어서 외피댄서부(312)로 이송한다.
이때, 외피댄서부(312)로 이송되는 외피(250, 260)는 공급되는 속도에 있어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외피 이동롤러(313)의 좌우에 작용하는 장력에 따라 장력이 작은 쪽으로 외피 이동롤러(313)가 이동함으로써 이송되는 외피(250, 260)의 장력을 경감시킨다.
외피 이동롤러(313)를 거친 외피(250, 260)는 다시 외피 장력완화 샤프트(314)와 외피 완충프레임(315)에 의하여 장력이 조절되어 이송되는데, 외피(250, 260)에 작용하는 장력이 크면 외피 장력완화 샤프트(314)는 장력에 의해 그 길이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끝단이 회전축으로 고정된 외피 완충프레임(31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외피(250, 260)의 이송길이를 감소시켜 장력을 완화시킨다. 이와 반대로 외피(250, 260)에 작용하는 장력이 작은 경우에는 외피 장력완화 샤프트(314)의 탄성에 의하여 그 길이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외피 완충프레임(315)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외피(250, 260)의 이송길이를 증가시켜 장력을 증가시킨다.
다수의 외피 이송롤러(316)는 외피공급부(310)의 요소요소에 배치되어 외피(250, 260)의 이동경로를 유도하는데, 특히 외피 완충프레임(315)에 설치된 외피 이송롤러(316)는 외피 완충프레임(315)의 회전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하면서 외피(250, 260)의 이송경로를 유도하게 된다.
내피공급부(320)는 상부내피(220)와 하부내피(230)를 중첩시켜 상부외피(250)와 하부외피(260) 사이로 공급하여 제1 융착장치부(340a)로 이송한다. 내피공급부(320)는 롤 형태의 내피(220, 230)를 회전시켜 풀림 이송하는 내피 언와인더(321), 내피방향 전환부(322) 및 공급되는 내피의 장력을 조절하는 내피댄서(dancer)부(323)로 구성된다. 내피댄서부(323)는 다시,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공급되는 내피(220, 230)의 장력에 따라 길이가 변화하는 내피 장력완화 샤프트(324)와, 내피 장력완화 샤프트(324)의 길이 변화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내피 완충프레임(325) 및 내피(220, 230)가 이송되는 경로를 유도하는 다수의 내피 이송롤러(3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피 언와인더(321)는 상부외피공급부(310a)와 하부외피공급부(310b)의 중간 높이에 위치하되 이들의 측방향에 위치하며, 서보모터로 구동되어 상부내피(220)와 사전에 이형대(210)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내피(230)가 이중으로 겹쳐진 롤을 회전시켜 풀어나가면서 내피(220, 230)를 내피댄서부(323)로 이송한다. 여기서 내피(220, 230)는 롤에서 풀린 후에 내피방향 전환부(322)에서 직각으로 그 이송방향이 전환되어 외피(250, 260)의 공급방향에 맞추어 내피댄서부(323)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피 언와인더(321)를 외피공급부(310)의 측방향에 배치하면, 대형의 롤 형태로 구성된 외피 및 내피공급부(310, 320) 상호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설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내피 언와인더(321)를 내피방향 전환부(322) 없이 외피 언와인더(311) 사이에 위치시켜 외피(250, 260)의 공급방향과 동일하게 내피(220, 230)를 공급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내피댄서부(323)로 이송되는 내피(220, 230)는 내피 장력완화 샤프트(324)와 내피 완충프레임(325)에 의하여 장력이 조절되어 이송되는데, 내피(220, 230)에 작용하는 장력이 크면 내피 장력완화 샤프트(324)는 장력에 의해 그 길이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하는 내피 완충프레임(32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내피(220, 230)의 이송길이를 감소시켜 장력을 완화시킨다. 이와 반대로 내피(220, 230)에 작용하는 장력이 작은 경우에는 내피 장력완화 샤프트(324)의 탄성에 의하여 그 길이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내피 완충프레임(325)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내피(220, 230)의 이송길이를 증가시켜 장력을 증가시킨다.
다수의 내피 이송롤러(326)는 내피공급부(320)의 요소요소에 배치되어 내피(220, 230)의 이동경로를 유도하는데, 특히 내피 완충프레임(325)에 설치된 내피 이송롤러(326)는 내피 완충프레임(325)의 회전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하면서 내피(220, 230)의 이송경로를 유도하게 된다.
상부외피공급부(310a)에서 이송되는 상부외피(250)와 내피공급부(320)에서 공급되는 상부내피(220) 및 하부내피(230)는 제1 융착장치부(340a)로 공급되어 융착되며, 하부외피공급부(310b)에서 이송되는 하부외피(260)는 제2 융착장치부(340b)로 공급되어 상부외피(250) 및 내피(220, 230)와 융착된다.
내피커터(330)는 내피공급부(320) 후단에 구비되어 이송 중인 상부내피(220)와 하부내피(230)의 중심부를 절개부(240)를 따라 소정의 폭으로 절단한다. 이와 같이 내피커터(330)에 의한 내피(220, 230)의 절단이 내피(220, 230)가 제1 융착장치(340a)로 투입되기 직전에 수행되는 이유는, 내피(220, 230)의 절개가 미리 수행되는 경우 절단된 각각의 내피(220, 230)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해 인장되는 정도에 있어 발생하는 차이에 의해, 각각의 내피(220, 230)에 형성된 이형대(211)의 패턴이 각각의 공기셀(110)과 공기유도로(213)가 형성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을 확률을 최소화하여, 완충용 포장재(100)의 내부구조가 보다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불량을 줄이기 위한 목적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피커터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제1 융착장치부 및 제2 융착장치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융착장치부(340a)는 상부외피(250), 상부내피(220) 및 하부내피(230)를 합지하는 제1 고무롤러(341)와, 외피(250, 260) 또는 내피(220, 230)에 인쇄된 표식을 인식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제1 마크센서(342)와, 상부외피(250), 상부내피(220) 및 하부내피(230)를 융착하는 제1 융착금형(344) 및 제1 융착금형(344)을 압착하는 데 필요한 압착력을 전달받는 제1 압착바(343)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고무롤러(341)는 서보모터로 구동되어 상부외피공급부(310a)에서 이송된 상부외피(250)와 내피공급부(320)에서 이송된 상부내피(220) 및 하부내피(230)를 두 개의 롤러 사이에서 서로 밀착시켜 합지한다.
그 다음, 제1 융착금형(344)은 이와 같이 합지된 상부외피(250)와 내피(220, 230)를 일정 패턴으로 부분적으로 융착하여 내부융착부(212)를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부외피(250)와 상부내피(220)가 서로 융착되는 동시에 상부내피(220)와 하부내피(230) 사이에는 공기유도로(213)가 형성된다. 단, 이형대(211)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융착되지 않아 공기주입로(215)와 공기유도로(213) 간에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다.
이러한 융착과정은 제1 융착금형의(344)의 고온과 제1 압착바(343)의 압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제1 압착바(343)는 후술할 압착구동부(360)의 수평링크(363) 가 좌우로 왕복운동함에 따라 이와 연결된 다수의 수직링크(365)들이 회전함으로써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압착바(343)가 상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 융착금형(344)에 의한 압착이 일어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융착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제1 마크센서(342)는 외피(250, 260) 또는 내피(220, 230)에 인쇄되어 있는 식별용 표식을 인식하여 제어부(미도시)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미도시)는 외피(250, 260) 또는 내피(220, 230)의 이송상태를 판단하여 제1 고무롤러(341) 또는 후술할 제2 고무롤러(346)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고무롤러(341)의 서보모터 또는 제2 고무롤러(346)의 서보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제1 융착장치부(340a) 및 제2 융착장치부(340b)에서의 외피(250, 260) 또는 내피(220, 230)의 이동에 대한 완급을 조절한다.
제2 융착장치부(340b)는 제1 융착장치부(340a)에서 합지된 상부외피(250), 상부내피(220) 및 하부내피(230)를 하부외피(260)와 합지하는 제2 고무롤러(346)와, 이들 외피(250, 260)와 내피를 (220, 230) 융착하는 제2 융착금형(348) 및 제2 융착금형(348)을 압착하는 데 필요한 압착력을 전달받는 제2 압착바(347)로 구성되어 있다.
제2 고무롤러(346)는 서보모터로 구동되어 제1 융착장치부(340a)에서 그 일부가 융착된 상부외피(250) 및 내피(220, 230)와 하부외피공급부(310b)에서 이송된 하부외피(260)를 두 개의 롤러 사이에서 밀착시켜 합지한다.
그 다음으로, 제2 융착금형(344)은 상기와 같이 합지된 상부외피(250)와 내 피(220, 230)를 하부외피(260)와 융착하되, 각 공기셀(110)의 주위를 융착함으로써 외부융착부(214)와 공기주입로(215)가 형성되어 다수개의 공기셀(110)이 생성된다.
상기의 융착과정은 제2 융착금형(344)의 고온과 제2 압착바(347)의 압착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제2 압착바(347)에 의한 압착방식은 전술한 제1 압착바(343)의 압착방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피커터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냉각장치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냉각장치부(350)는 제2 융착장치부(340b)에서 융착된 외피(250, 260)와 내피(220, 230)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냉각수 채널(미도시)이 형성된 냉각금형(351)으로 이루어진다.
외피(250, 260)와 내피(220, 230)는 전술한 제1 융착장치부(340a)와 제2 융착장치부(340b)를 거치면서 융착과정에 수반되는 고온에 의해 그 온도가 높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냉각하지 않으면 열에 의한 제품의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냉각금형(351)은 그 내부에 냉각수 채널(미도시)을 구비하여 냉각수 채널(미도시)로 냉각수를 흐르게 함으로써 그 온도가 낮게 유지된 상태에서, 제2 압착바(347)가 상승하여 고온의 외피(250, 260)와 내피(220, 230)를 압착함으로써 냉각이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피커터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압착구동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구동부(360)는 회전운동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61)와, 크랭크, 로커 및 캠축의 조합으로 구동모터(361)에 의한 회전운동을 수평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크랭크부(362)와, 크랭크부(362)의 수평왕복운동을 전달하는 수평링크(343)와, 수평링크(343)의 수평왕복운동을 수직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제1 압착바(343)와 제2 압착바(347)로 전달하는 다수의 수직링크(364)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모터(361)가 회전하면, 이와 연결된 크랭크부(362)의 크랭크, 로커는 캠축의 편심회전과 연동되어 구동모터(361)에 의한 회전운동을 수평 왕복운동으로 전환한다.
이어서, 수평링크(363)는 크랭크부(362)의 수평왕복운동을 압착구동부(360)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압착구동부(360)에서 제1 압착바(343)의 하부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수평왕복운동을 전달한다.
이와 연결된 다수의 수직링크(364)는 수평링크(363)에서 전달받은 수평왕복운동을 수직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제1 압착바(343)와 제2 압착바(347)로 전달함으로써, 제1 융착장치부(340a)와 제2 융착장치부(340b)에 압착력을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피커터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실링장치, 절취선 가공장치 및 폐기용 홈 가공장치에 대한 정면도 이다.
실링장치(370a)는 고온의 실링금형(371)을 구비하여 제2 융착장치부(340b)에서 외피(250, 260)와 내피(220, 230)가 융착되어 형성된 공기주입로(215)의 일단을 일정개수의 공기셀(110)을 단위로 융착하여 공기주입로 실링부(216)를 형성한다.
상기 융착과정은 실링금형(371)의 고온과 제2 압착바(347)의 압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제2 압착바(347)의 작동방식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절취선 가공장치(370b)는 내부에 펀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제2 융착장치부(340b)에서 형성된 일정개수의 공기셀(110)을 단위로 공기셀(110) 사이에 형성된 융착부를 펀치로 타격함으로써, 공기셀(110) 사이의 융착부를 가로지르는 점선형태의 절취선을 가공한다. 이러한 절취선은 사용자가 길게 연결된 완충용 포장재(100)에서 그 중 일부만을 필요로 할 때 손쉽게 절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이다.
폐기용 홈 가공장치(370c)는 내부에 폐기용 홈 커터(372)가 구비되어, 일정개수의 공기셀(110)을 단위로 제2 융착장치부(340b)에서 형성된 공기셀(110) 사이의 융착부에 소정길이의 폐기용 홈을 형성한다. 이러한 폐기용 홈은 사용자가 완충용 포장재(100)를 폐기할 경우에 이를 따라 쉽게 찢어지도록 하여 공기셀(110)의 공기를 용이하게 방출시킴으로써 폐기할 완충용 포장재(100)의 부피를 간편하게 줄이기 위한 목적이다.
이들과는 별도로, 제2 마크센서(376)는 외피(250, 260) 또는 내피(220, 230)에 인쇄되어 있는 식별용 표식을 인식하여 제어부(미도시)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미도시)는 외피(250, 260) 또는 내피(220, 230)의 이송상태를 판단하여 제3 고무롤러(377)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3 고무롤러(377)의 서보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후술할 리와인더부(380)에서의 외피(250, 260)와 내피(220, 230)의 이동속도에 대한 완급을 조절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피커터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리와인더부의 정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와인더부(380)는 완성된 완충용 포장재(100)를 롤 형태로 권취하는 리와인더(381) 및 권취되는 완충용 포장재(100)의 장력을 조절하는 리와인더 댄서부(382)로 구성된다. 리와인더 댄서부(382)는 다시, 완충용 포장재(100)의 공급속도의 변화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장력을 완화하는 포장재 이동롤러(383)와,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100)의 장력에 따라 길이가 변화하는 포장재 장력완화 샤프트(384)와, 포장재 장력완화 샤프트(384)의 길이 변화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포장재 완충프레임(385) 및 완충용 포장재(100)가 이송되는 경로를 유도하는 다수의 포장재 이송롤러(38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와인더부(380)의 작동방식은 전술한 외피공급부(310)의 작동순서의 역순과 동일하며, 작동원리는 서로 간에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며, 좀 더 상세하게는 외피(250, 260) 및 내피(220, 230)의 공급에 대한 완급조절, 마 크센서(342, 376)에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고무롤러(341, 346, 377)로 제어신호전송, 압착구동부(360)의 구동모터(361)의 회전속도 제어, 절취선 가공장치(370b)의 펀치의 작동제어, 폐기용 홈 가공장치(370c)의 폐기용 홈 커터(372)의 작동제어 등과 같은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공하고자 하는 완충용 포장재의 사시도.
도 2는 완충용 포장재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피커터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외피공급부, 내피공급부 및 내피커터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피커터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제1 융착장치부 및 제2 융착장치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피커터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냉각장치부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피커터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압착구동부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피커터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실링장치, 절취선 가공장치 및 폐기용 홈 가공장치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피커터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리와인더부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완충용 포장재 110 : 공기셀
220 : 상부내피 230 : 하부내피
250 : 상부외피 260 : 하부외피
310 : 외피공급부 320 : 내피공급부
322 : 내피방향 전환부 330 : 내피커터
340 : 융착장치부 350 : 냉각장치부
380 : 리와인더부

Claims (12)

  1. 상부외피를 공급하는 상부외피공급부와;
    하부외피를 공급하는 하부외피공급부와;
    상기 상부외피와 하부외피 사이로 상부내피와 하부내피를 중첩시켜 공급하는 내피공급부와;
    상기 상부외피, 상부내피 및 하부내피를 부분적으로 융착시켜 공기유도로를 형성하는 제1 융착장치부와;
    상기 제1 융착장치부를 통과하여 부분적으로 융착된 상기 상부외피, 상부내피 및 하부내피를 상기 하부외피와 부분적으로 융착시켜 공기주입로와 공기셀을 형성하는 제2 융착장치부와;
    상기 제2 융착장치부를 통과한 상기 상부외피, 하부외피, 상부내피 및 하부내피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부와;
    완성된 완충용 포장재를 권취하는 리와인더(rewinder)부와;
    상기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내피공급부의 후단에는 상기 상부내피와 하부내피가 상기 제1 융착장치부로 투입되기 직전에 상기 상부내피와 하부내피의 중심부를 소정의 폭으로 절개하는 내피커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부는,
    내부에 냉각수 채널이 형성된 냉각금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포장재의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외피와 내피가 융착결합되어 형성된 공기주입로의 일단을 일정개수의 공기셀을 단위로 융착하여 밀봉하는 실링장치;
    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융착장치부에서 형성된 일정개수의 공기셀을 단위로, 상기 공기셀 사이에 형성된 융착부를 가로지르는 점선형태의 절취선을 형성하는 절취선 가공장치;
    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 재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융착장치부에서 형성된 공기셀 사이의 융착부에 일정개수의 공기셀을 단위로 소정길이의 폐기용 홈을 형성하는 폐기용 홈 가공장치;
    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공급부는,
    롤 형태의 외피를 회전시켜 풀림 이송하는 외피 언와인더(unwinder); 및
    상기 외피 언와인더로부터 공급되는 외피의 장력을 조절하는 외피댄서(dancer)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댄서부는,
    상기 외피의 공급속도의 변화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외피 이동롤러와;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공급되는 외피의 장력에 따라 길이가 완화하는 외피 장력완화 샤프트와;
    상기 외피 장력완화 샤프트의 길이 변화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외피 완충프레임; 및
    상기 외피가 이송되는 경로를 유도하는 다수의 외피 이송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공급부는,
    롤 형태의 내피를 회전시켜 풀림 이송하는 내피 언와인더(unwinder); 및
    상기 내피 언와인더로부터 공급되는 내피의 장력을 조절하는 내피댄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 언와인더는 상기 상부외피공급부 및 상기 하부외피공급부의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내피 언와인더와 상기 내피댄서부 사이에는 공급되는 내피를 90°방향으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내피방향 전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댄서부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공급되는 내피의 장력에 따라 길이가 변화하는 내피 장력완화 샤프트와;
    상기 내피 장력완화 샤프트의 길이 변화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를 이동시키는 내피 완충프레임; 및
    상기 내피가 이송되는 경로를 유도하는 다수의 내피 이송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와인더부는,
    다수의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외피, 하부외피, 상부내피 및 하부외피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하는 리와인더 댄서부; 및
    완성된 완충용 포장재를 롤 형태로 되감는 리와인더(rewinder);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와인더 댄서부는,
    상기 완충용 포장재의 공급속도의 변화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장력을 완화하는 포장재 이동롤러와;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공급되는 완충용 포장재의 장력에 따라 길이가 변화하는 포장재 장력완화 샤프트와;
    상기 포장재 장력완화 샤프트의 길이 변화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포장재 완충프레임; 및
    상기 완충용 포장재가 이송되는 경로를 유도하는 다수의 외피 이송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KR1020090132971A 2009-12-29 2009-12-29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KR100984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971A KR100984014B1 (ko) 2009-12-29 2009-12-29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971A KR100984014B1 (ko) 2009-12-29 2009-12-29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4014B1 true KR100984014B1 (ko) 2010-09-28

Family

ID=43010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971A KR100984014B1 (ko) 2009-12-29 2009-12-29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0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1198A (zh) * 2010-09-29 2011-04-06 瑞安市瑞丰包装机械有限公司 牙医x光胶片包装袋成型机
CN105329546A (zh) * 2015-11-10 2016-02-17 浙江天鸿传动机械有限公司 立体气柱袋及生产设备
KR102148966B1 (ko) * 2019-02-20 2020-08-28 와이디 네트웍스 주식회사 공기 완충 포장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50786A (ko) * 2021-10-08 2023-04-17 농업회사법인 광천우리맛김 주식회사 조미김 포장방법
KR20230050802A (ko) * 2021-10-08 2023-04-17 농업회사법인 광천우리맛김 주식회사 조미김 포장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887Y1 (ko) 2004-11-17 2005-04-07 이현당 원통형 원료공급부가 구비된 직물지 가공장치
KR100573912B1 (ko) 2004-05-03 2006-04-28 류호영 포장지 가공장치 및 이에 의한 포장지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912B1 (ko) 2004-05-03 2006-04-28 류호영 포장지 가공장치 및 이에 의한 포장지 가공방법
KR200380887Y1 (ko) 2004-11-17 2005-04-07 이현당 원통형 원료공급부가 구비된 직물지 가공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1198A (zh) * 2010-09-29 2011-04-06 瑞安市瑞丰包装机械有限公司 牙医x光胶片包装袋成型机
CN102001198B (zh) * 2010-09-29 2012-04-18 瑞安市瑞丰包装机械有限公司 牙医x光胶片包装袋成型机
CN105329546A (zh) * 2015-11-10 2016-02-17 浙江天鸿传动机械有限公司 立体气柱袋及生产设备
KR102148966B1 (ko) * 2019-02-20 2020-08-28 와이디 네트웍스 주식회사 공기 완충 포장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50786A (ko) * 2021-10-08 2023-04-17 농업회사법인 광천우리맛김 주식회사 조미김 포장방법
KR20230050802A (ko) * 2021-10-08 2023-04-17 농업회사법인 광천우리맛김 주식회사 조미김 포장장치
KR102627628B1 (ko) * 2021-10-08 2024-01-23 농업회사법인 광천우리맛김 주식회사 조미김 포장장치
KR102627615B1 (ko) * 2021-10-08 2024-01-23 농업회사법인 광천우리맛김 주식회사 조미김 포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014B1 (ko) 내피커터를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제조장치
TW201029835A (en) Procedure and appartus for the production of containerlike laminate packages
EP2230067B2 (e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rolls of pre-cut bags with die-cut handles
JPH05262335A (ja) パッケージフィルムに閉鎖手段を整列装着する方法及び装置
CN104364955A (zh) 用隔膜夹持极板的装置
KR101212017B1 (ko) 롤투롤에 의한 2차 전지소재 생산 장치 및 그 방법
CN102015273A (zh) 形成多层轮胎零件的方法和设备
KR101453699B1 (ko) 웨브 기재를 프로세싱하는 유닛 보호 방법, 공급 스테이션, 및 패키징 유닛 제조 기계
JP3408203B2 (ja) 自動開口製袋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20060100080A1 (en) Bag-making machine
US6640684B2 (en) Device for cutting blister packs in a blister packing machine
JP2001199601A (ja) 食品包装機械の包装ウェブ材料を処理するための多段ユニット
US11225343B2 (en) Packaging method and line for improved finished product
KR101673254B1 (ko)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EP2497716B1 (en) Vertical flow wrapper with film feed means
ES2887073T3 (es) Máquina de envasado para generar envases recerrables
US202003944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strip of material with an integrated electronic component
JPH0623877A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送り装置
US20070091171A1 (en) Shuttle Pouch Machine
JP3283030B2 (ja) 製袋機におけるサイドシール方法及び装置
JP2011084326A (ja) 多列ロールタイプ自動包装機の包装フィルム同期装置
ITMO20060349A1 (it) Apparato e metodo di centratura stampa
CN110610223A (zh) 一种轮胎用电子标签生产装置及其方法
KR101147068B1 (ko) 각진 우유용기용 라벨필름,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0118514A (ja) 縦型製袋充填機における縦シ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