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647B1 - C 형 간염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C 형 간염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647B1
KR100983647B1 KR1020057016403A KR20057016403A KR100983647B1 KR 100983647 B1 KR100983647 B1 KR 100983647B1 KR 1020057016403 A KR1020057016403 A KR 1020057016403A KR 20057016403 A KR20057016403 A KR 20057016403A KR 100983647 B1 KR100983647 B1 KR 100983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patitis
patients
composition
virus
chronic hepat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490A (ko
Inventor
사토시 요시다
슈이치 가네코
Original Assignee
오리지널 이메이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지널 이메이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리지널 이메이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7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6Carthamus (distaff this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Vir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박씨(pumpkin seed), 홍화(Safflower), 질경이(Plantago asiatica L.) 및 인동(Loicera japonica PHUMB)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C형만성간염환자의 자각증상, 예로서 전신권태감(general malaise) 및 복부 팽만감(abdominal swelling)등이 소실될 뿐만 아니라, 의사의 진단에 의한 타각증상(objective symptoms), 예로서 간종대(liver enlargement)및 수장홍반(plamar erythema)등도 경감 또는 소실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 1개월후 ~ 3개월후에 점진적으로 C형간염바이러스 RNA량의 유의성 있는 감소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최소, C형만성간염치료용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특히, C형만성간염환자중에서 C형만성간염바이러스 RNA량의 값이 높은 환자의 치료에 유용하다.
C형 만성간염 환자, C형 만성간염 바이러스 RNA량, C형 간염 치료용 조성물, 간종대, 자각증상, 타각증상

Description

C 형 간염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hepatitis C}
본 발명은 C형 간염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C형 만성간염바이러스 RNA량 감소용 조성물, C형만성간염의 증상개선 또는 경감용 조성물, C형만성간염에 있어서 간경변진전 억제용 조성물 및 이들의 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C형 간염의 원인은 C형 간염바이러스(HCV RNA 바이러스)에 있으며, 예로서 혈액등의 체액을 통하여 감염한다.
C형 간염바이러스(HCV)는 그 유전자형(genetic type)에서 수개의 섭타입(subtypes)으로 분류된다.
HCV주를 크게 타입 1 ~ 타입 6으로 분류하며, 또 섭타입으로서 a , b 및 c 등을 병기하여 1a, 1b, 2a, 2b, 3a, 3b 등으로 명명하는 분류법이 사용되고 있다.(예로서, 카토엔편저: C형간염 바이러스,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시,토쿄,2000,168쪽).
HCV에 감염되면 60% 의 사람은 1 ~ 2개월의 잠복기를 경과하여 급성간염을 발생하나, C 형간염으로 감염된 감염자는 경미한 간장해와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으며, 급성간염의 시기가 명백하지 않다.
C 형급성간염은 높은비율(60~70%)에서 만성간염으로 진행한다.
C형 만성간염에서 AST[asparate aminotransferase(GOT: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라고도 함)] 와 ALT[alamine aminotransferase (GPT :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라고도함)]는 이상치(abnormal values)를 나타내어, 2 ~ 3년 후에 이들의 수치가 일단 정상치 영역에 근접하게 되거나, 또는 정상치 영역으로 되돌아 간다.
이 상태가 수년에서 10년까지 계속되므로, 환자가 HCV 감염에서 10년 이상 경과후에 C형 만성간염을 가진 환자로 의사가 진단하는 경우가 있다.
20 ~ 30년의 기간에 걸처 간세포의 만성적 괴사와 염증 반응을 반복한 후에 간염에서 간경변으로, 또 10년더 경과후에 간세포암으로 진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로서, 쿠마가이 나오키: C형간염, 「 마이니치 라이프 」 2002년 9월호 제 23쪽 참조, 요미우리신문사, 2002년 발행).
C형 만성간염환자 중에서, 자각증상은 활동기간에서만 인식할 수 있다.
증상으로는 전신권태감(general malaise), 권태감(malaise)(피로감), 식욕부진(poor appetite), 오심(nausea) 및 구토(vomiting)등이 있다.
또, 계속 진행한 간경변 환자로 되면 자각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의 비율은 약 80%로 상승한다. 이들의 환자는 복부팽만감과 피부소양감(가려움증)등의 증상이 추가로 나타낸다.
또, 이들의 환자는 복통, 토혈(hematemesis) 및 하혈(melena)등의 증상도 나타낸다.
주요한 타각증상으로는 간종대(hepetic enlargement)가 가장 일반적이며, 빈도(incidence)는 60%로 추정되고, 그 외의 타각증상에는 간좌엽(left hepatic lobe)종대(enlargement), 비종(splenomegaly), 부종(swelling), 복수(ascites), 수장홍반(erythema palmare), 황달(jaundice) 등이 있다(예로서, 카토엔, C형간염바이러스,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시, 토쿄, 2000, 189쪽 참조).
C형간염의 일반적 치료방침은 간의 기능을 정상화 하고 간염을 진정화 시켜(calm) 질환의 진행을 억제하는데 있다.
바이러스가 체내에 있어서도 간염을 억제하면 질환의 진행을 억제시킨다는 생각을 기초로 하여, 간염의 증상을 개선하고, 감소하기 위하여 우르소데옥시코르산(ursodeoxycholic acid)(함유성분 웅담), 소시호탕(小柴胡湯)(시호, 황금, 반하, (건조)생강, 인삼, 대추, 감초 등 7종의 생약을 다려 조제한 한방 처방), 또는 감초함유성분의 글리시르리지네이트(glycyrrhizinate)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강력네오미노파겐(neominophagen)-C (SNMC) : 상품명] 를 투여하는 치료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그 질환의 진행을 저지하기 위하여 체내에서 HCV를 배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인터페론(imterferon)(IFN)치료법」의 개발이 강력하게 추진되었다.
항바이러스제로 사용되는 IFN에는 α 와 β 가 있으며, nIFNα(천연형인페론α), recombinant INFα(유전자 재조합형 인터페론α), nIFNβ(천연형인터페론β)와 consensus INFα[콘센서스 인터페론α:인터페론알파콘-1(유전자재조합)]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IFN 의 사용에 의해 바이러스를 완전하게 제거시켜 효과가 현저한 예와 일반적으로 간기능이 개선된 유효한 예도 보고되었으며, 또 IFN 의 사용에 의해 간암의 발암율이 저하되는 진전억제 효과도 확인되었다.
HCV에 대한 항바이러스 작용을 나타내는 IFN 이외의 물질로는 락토페린(lactoferrin)을 들 수 있다.
락토페린은 1개의 폴리펩티드 사슬에 가락토오스 또는 만노오스 등으로 이루어진 당사슬(sugar chain)이 결합한 분자량 약 80,000의 당 단백질(glycoprotein)로서, 철결합성의 트랜스 패밀리(iron-binding transfamily)에 속한다. 락토페린의 작용 메카니즘은 세포밖에 있는 바이러스를 중화하여 감염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호박씨(Cucurbita moschata), 질경이(plantago asiatica) 또는 인동(Lonicera japonica)의 1종 이상을 사료에 첨가함으로써, 기생충, 세균 및 바이러스병의 특히 자연감염을 방지하여, 생체 방어력의 강화와 함께 육질 또는 계란품질을 개선하는 기술구성이 개시되었다.
또, 호박씨, 질경이, 인동, 홍화의 4종 생약을 배합한 사료에 대하여 알낳는닭(layer)의 건강상태, 생존율, 계란의 품질향상, 항류코키토존병효과(anti-leucocytogoonosis effect), 메추라기의 항뉴캐슬병효과(anti-New Castle disease effect), 장내 콕시듐(Coccidium)과 포도구균(Staphylococci)의 균수억제효과가 개시되어 있다(예로서, 특허문헌 USP 5,882,672 참조).
호박(pumpkin)등 박과 식물에서 인터페론 유기제(inducer)를제조하는 방법은 특허문헌 USP 4,421,746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다.
서양호박(수단약용식물: Sudan medicinal plant)의 메타놀 추출물은 HCV 프로테아제 저해효과를 나타내고, 그 저해 활성은 47.4±0.0% 인 것이 보고되었으나(Phytochemistry Research(2000)14,510-516 참조),
이 문헌에서는 in vivo 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저하 시킨다는 것에 대하여 개시한 바도, 암시한 바 없다.
또, 질경이(Plantago major L.)가 C형 간염 인지의 여부는 불확실하나, 간염 바이러스의 치료에 사용된다는 보고예도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도 시사한바 없다(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1990)Vol.XVIII, Nos.1-2, P.P. 35~43 참조).
홍화에서 추출한 인터페론유기제(inducers)의 항바이러스 활성과 항종양활성(anti-tumor activity)이 개시되어 있다(예로서, 특허문헌 USP 4,456,597 참조).
또, 금은화(flowers of Lonicera) 또는 차전자(seed of Plantago asiatica)등에서 인터페론유기제가 추출되고, 추출된 인터페론 유기제가 사람과 동물의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과 치료에 유용하다는 것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예로서 특허문헌 USP 4,456,597 참조).
또, 호박씨와 홍화의 2종 생약을 배합하여 이루어진 마크로파지 활성화제(macrophage activator)가 개시되어 있다(예로서, 일본국특개평-11-116498공개공보 참조).
또, 호박씨, 홍화, 질경이 및 인동의 4종 생약을 배합하여 이루어진 호중구 활성화제(neutrophil activator)가 개시되어 있다(예로서, 일본국특개2000-281584 공개공보 참조).
그러나, 이들의 문헌에서는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된 각 생약에 대하여 인터페론유기(inducing)작용, 마크로파지활성화 작용, 호중구 활성화 작용, 또는 IgE 항체생산억제 작용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 생약의 항 C형 간염바이러스 활성에 대하여 그 어떤 개시도 시사도 없었다.
C형 만성간염중, 특히 타입 1b에서 C형 간염환자의 혈액중 바이러스량이 높은 경우(일반적으로 100KIU/ml 을 나타냄), "난치성 C형 만성간염(refractory chronic hepatitis C )이라고 하며, 이들의 증상예에 대한 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로서, 쿠마가이 나오키 : C형간염;마이니치 라이프(MainichiLife) 9월호;요미우리신문사, 토쿄,2002).
또, C형간염 치료제로서 최근 시중에서 상품화되고 있는 가장 근치율(complete recovery rate)이 높은 인터페론 알파콘(interferon alphacon)-1을 사용할 경우에도, 그 바이러스의 양이 850KIU/ml 이하로 되지 않으면 근치(complete recovery)는 기대할 수 없다.
또, 바이러스의 양이 낮으면 낮을수록 인터페론 요법의 치료효과가 좋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일본국 후생성, 「비 A 비 B 형 간염 연구반」1999년 보고, 별책 의학의 진보 「간 장해의 발증, 진전메카니즘 연구」; 1999년 2월 5일 간행, 이시야쿠출판주식회사 발행, 칸탄수이43,(2), PP281-288, 2001).
따라서, 인터페론요법의 도입 전에는 가급적 바이러스양이 낮은 상태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C형 간염치료법과 같이 사용할 수 있고, 또 이들의 치료법과 같이 사용함으로써, 종래에는 치료가 어려웠던 C형 만성간염의 치료에 유용한 생약을 이용한 것에 있어서,
호박씨, 홍화, 질경이 및 인동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C형 만성간염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C형 만성간염의 증상진행억제 또는 증상개선용 조성물 및 이들의 조성물의 조제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식물성 생약에 대하여 면밀하게 검토한 결과, C형 만성간염환자, 특히 혈액중 C형 만성간염바이러스 RNA 량이 높은 값을 나타내는 환자에 호박씨, 홍화, 질경이 및 인동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투여한 결과, 기대이상으로 환자의 자각증상, 대표적으로는 전신 권태감 또는 복부팽만감을 개선하며, 의사의 진단에 의한 타각증상, 대표적으로는 간종대 또는 수장홍반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 1개월후, 3개월후 점진적으로 C형 간염 바이러스 RNA량이 감소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호박씨, 홍화, 질경이 및 인동으로 이루어진 C형 만성간염 바이러스 RNA량 감소용 조성물, 호박씨, 홍화, 질경이 및 인동으로 이루어진 C형 만성간염의 증상개선 또는 경감용 조성물 및 호박씨, 홍화 및 인동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C형 만성간염에서의 간경변 진전억제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상기 C형 만성간염바이러스 RNA량감소용 조성물, C형 만성간염증상 개선 또는 경감용 조성물 및 C형 만성간염에서의 간경변 진전 억제용 조성물의 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서, 본발명은 종래의 치료약, 바람직하게는 nIFNα,recombinant IFNα,consensus IFNα,peginterferon(FEG-IFN),IFNβ, IFN/rebavirin 등과 병용함으로써, 바이러스량이 500KIU/ml 이상 높은 값을 나타내는 환자에 있어서 인터페론에 의한 C형 만성간염의 근치를 가능하게 하는 좌약적(佐藥的)인 효력을 나타낸 조성물, 즉 C형 만성간염치료애쥬번트(adjuvant)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에 2에서 각 검사시 HCV-RNA량(KIU/ml)의 평균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다시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약에 대하여 설명한다.
호박씨는 박과 식물 호박(일본어명칭: 호박: Cucurbita moschata Duch)의 종자이나, 본 발명에서는 호박씨와 동일한 성질의 작용효과를 나타낸 종자이면 그 관련식물의 종자를 포함한 것으로 한다.
호박씨는 원상태(raw state)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건조호박씨(dry seeds)가 의약 또는 건강식품으로서 사용할 때 보존상 바람직하다.
또, 종피(seed hull)만을 사용할 수 있다.
호박(Cucurbita moschata)은 성분으로서 쿠쿠르비틴(cucurbitin), 단백질, 비타민A, B1, B2 및 C와, 카로텐(carotene)등을 포함한다.
홍화(Carthamus tinctoriusL.)는 국화과 식물의 관상화를 건조한 것이다.
홍화는 성분으로 카르타민(Carthamin), 사플로엘로우(Safflor yellow), 리그난(lignan) 및 스테롤(Sterol)을 함유한다.
질경이(Plantago asiatica L.)는 질경이과 식물로, 성숙한 종자(차전자:psyllium) 또 전식물체(entire plant)(자전:plantago)가 사용된다.
성분으로서, 다당류, 플란테놀산(plantenol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아데닌(adenine), 아우쿠빈(aucubin), 플란타기닌(plantaginin) 및 비타민 A 와 B1 등을 포함한다.
인동(Lonicera japonica THUNB.)은 인동과의 꽃, 봉오리(bud)(금은화), 엽,줄기 또는 전식물체(entire plant)(인동: 忍冬)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성분으로는 왁스와 같은 물질, 이노시톨(inositol), 탄닌(tannin), 사포닌(saponin) 및 로니세린(Lonicerin) 등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생약의 원분말(crude powder) 또는,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생약엑스(extract)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원분말, 용매제제, 분제, 성형제, 침출제(infusion)등으로 사용된다.
유기용매로는 메타놀, 아세톤 등이 사용되고, 이들은 물 또는 2종 이상의 유 기용매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은 생약에 대하여 수배량의 용매를 가하여 상온 내지 가온하에서 추출 또는 침출한다.
각 생약 단독으로 추출한 엑스를 배합할 수 있고, 또는 미리 복수의 생약 원분말을 배합한 것을 추출하여 엑스를 얻을 수도 있다.
또, 생약을 원분말로 하여 사용할 때는 음건(drying in the shade) 또는 건조한 재료 식물체를 세단(chopping) 또는 분말로 하여 사용한다.
상기 생약의 원분말, 또는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생약의 엑스(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엑스)는 그 상태대로 또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각종 형태로 조제하여 의약용 조성물, 건강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supplement)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로서, 의약용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supplemen)은 통상의 제제화 방법에 의해 경구용 정제, 산제(powder), 세립제(granules), 캡슐제(capsules), 환제(pills), 시럽제(synup)로서 제공된다.
제제화(preparation)를 위하여, 부형제(fillers), 결합제, 붕괴제(disintegrating agents), 윤활제(lubricants), 완충제, 교미제(sweeteners), 안정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도 있다.
또, 최소 1종의 불활성 희석제, 예로서 유당(락토오스), 만니톨, 글루코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미세결정셀룰로오스, 전분,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마그네슘메타실리케이트 알루미네이트와 혼합한다.
상기 불활성희석제 이외에, 그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첨가제, 예로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타치(starch), 탈크(tale) 등의 윤활제 또는 칼슘셀룰로오스 글리콜레이트 등의 붕괴제, 락토오스 등의 안정화제,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 등의 용해보조제(solubilizer adjuvants)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 또는 환제는 필요에 따라 수크로오스(설탕), 젤라틴, 한천, 펙틴,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등의 당코팅(coating with a sugar) 또는 위용성 물질(substance soluble in the stomach) 또는 장용성 물질의 필름코팅을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서 생약의 활성에 약영향을 주지 아니한 범위내에서 다른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첨가제에는 수용성 비타민(카페인,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B12, 비타민 C, 비오틴, 카르니틴, 판토텐산, 니코틴산 및 그 유도체 등), 지용성 비타민(fat-soluble vitamins)(비타민A, 비타민E 와 그 유도체 등), 아미노산(타우린 및 아르기닌 등), 동양허브(oriental herbs) (자소, 감초, 은행잎, 민들레, 국화, 인삼, 계피 등), 또는 서양허브(Western herbs)「세레노아 레펜스(Serenoa repens), 서양고추나물(Hypericum perforatum), 에키나시아(Echinacea), 애니시드(aniseed), 앤뉴얼카모밀(annual chamomile)(카밀레:Kamille), 로오즈마리(rosemary), 민트(mint), 유칼립터스(eucalyptus), 라벤더(lavender), 로오즈(rose)(장미), 하이비스카스(hibiscus), 알로에(aloe) 등」 를 배합할 수 있다.
또, 사용방법 등과의 관계에 의해 다른 유효성분으로서 락토오스 등의 올리 고당등 또는 시판되고 있는 유산균(쌍미균:bifidus) 등을 배합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체조성물은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탁제(emulsions), 용액제(solutions), 현탁제(suspensions), 시럽제(syrups), 엘릭시르제(elixirs) 등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쓰여지는 불활성 희석제, 예로서 정제수, 에타놀을 함유한다.
그 조성물은 불활성 희석제 이외에 습윤제, 현탁제와 같은 보조제, 감미제, 풍미제(flavorants), 방향제(aromatics), 방부제(antiseptics)를 함유할 수 있다.
또, 건강식품으로는 음료, 또는 젤리, 비스켓, 쿠키, 캔디등 과자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호박씨(Cucurbita moschata)와 홍화(Carthamus tinctorius), 질경이(Plantago asiatica), 인동(Lonicera japonica) 또는 자소(紫蘇)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함유하나, 특히 호박씨 20~60Wt%, 홍화 10~40Wt%, 기타 다른 생약에 대하여 각각 5~70Wt% 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투여방법은 투여대상의 연령, 성별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경우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되나, 일반적으로, 성인 60kg 의 체중에 대하여 1일당 생약 총량으로서 0.5 ~ 5g, 바람직하게는 1 ~ 3g 을 경구투여한다.
건강식품, 서플멘트(supplements)등의 경우에도 상기지침(경구투여량)에 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C형 만성간염치료아쥬벤트(adjuvant)조성물은 위에서 설명한 C형간염의 일반적 치료지침중에서 사용되는 인터페론(interferon)과 우루소데옥시콜산 등의 약물과 병용함으로써 상승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과 상기 다른 일반적 C형 간염치료약과의 병용에서 각각 투여 순서는 특히 제한이 없고, 또 동시에 병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복용 수개월후에 상기 다른 일반적 C형간염 치료약에 의한 치료를 개시할 수 있고, 역으로 상기 다른 일반적 C형간염 치료약에 의한 치료를 수개월 후에 실시한 다음, 유지요법적인 면에서(supporting treatment),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복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사람의 C형 간염바이러스성 질환의 증상개선, 경감용만이 아니고, 개 또는 고양이 등의 동반 동물(Companion animals)의 간염바이러스에 대한 치료약, 증상개선, 경감용 건강식품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 실시예와 시험예에 따라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등에 의해 어느것이나 한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C형 만성간염환자의 C형 간염바이러스 RNA량 측정시험
통원(通院)중 시험을 개시할 때 RNA량이 높은 값을 가진 C형만성간염환자 26명(남성 13명, 여성 13명)으로 28~80(평균 59.0)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하나의 상품인 인터펀치(InterPunch)(등록상표, (주)산웰제품)를 1일 2포(packages)(1.5g/포)를 3개월간 투여하였다.
투여전과, 1개월과 3개월후 병원에 왔을 때(투여후), 자각증상, 타각증상, 일반생화학소견과 HCV-RNA량도 측정하였다.
(2) 시험결과
자각증상으로서, 전신권태감을 나타낸 6명 환자중 4명 환자와 복부팽만감을 나타낸 1명 환자의 증상이 투여 1개월 후에 없어졌다.
타각증상으로서 간종대를 나타낸 13명 환자중 2명 환자와 또 수장홍반을 나타낸 6명 환자중 1명 환자의 증상이 투여 1개월 후에 없어졌다.
또, 자각증상과 타각증상이 시험개시전 보다 악화된 환자는 없었다.
일반임상검사(혈액학적 검사(백혈구수, 적혈구수, 헤모그로빈량, 헤마토크릿(hematocrit)값, 혈소판수, 백혈구상), 혈액생화학적 검사(총단백질, 알부민, A/G, 총빌리루빈(bilirubin), AST, ALT, ZTT, LDH,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γ-GTP, 총콜레스테롤, TG, 요소질소, 크레아티닌(creatinine), Na, K, Cl)에서는 악화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예로서, 일본 간장학회 수감:만성간염진단매뉴얼, 이가쿠인, 토쿄, 2001, ISBN : 426011977X).
투여전 RNA량을 500~849 KIU/ml 및 850 KIU/ml 이상에서 층별(그룹별)로 검토할 때, 850KIU/ml 이상의 환자(13명)의 평균치 1447.7KIU/ml 가 투여 1개월 후와 3개월 후에 각각 993.6KIU/ml 및 961.8KIU/ml 로 유의성 있게 감소(p=0.032 및 p=0.015)되었음을 확인하였다.
500~849KIU/ml 의 환자(13명)의 평균치 649.4KIU/ml 는 투여 3개월 후에 527.5KIU/ml 로 감소하여 감소경향(p=0.108)이 확인되었다.
(3) 결과에 대한 고찰
전신권태감(general malaise symptom)이 없어지는 것은 생활활력의 회복에 연결되며, 복부팽만감도 항상 복부의 위화감을 느껴지는 것이 없어지는 것으로, 생리적 또는 정신적인 압박감이 소실되어 C형 만성간염환자에 대한 삶의 질(quality of life)(아래에서는 QOL 로 함) 의 향상에 기여한다.
C형 만성간염환자에서 간종대(hepatic enlargement)는 의사가 C형만성간염의 타각증상을 판단할 때 가장 많이 관찰할 수 있는 것으로 주목되는 항목이며(C형만성간염의 임상과 경과, Medicina, 30(3), 99. 474-477, 1993 참조),
상기 2명 환자의 증상예에서 확인된 간종대의 소실은 C형만성간염 치료에서 대단히 의미가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HCV-RNA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상기 증상예에서는 특히 부작용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최소 C형만성간염환자의 인터페론 요법 도입전에 복용하는 것으로, 인터페론의 치료효과를 높이는데 유용하며, 또 C형만성간염치료를 할때 아쥬번트(adjuvant)조성물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
(1) 피험자
실시예 1에서 실시한 26명을 포함하여 C형만성간염환자(통원환자)50명[남성 26명, 여성 24명, 연령 28~80세, 59.0±10.6세(평균± S.D)]을 총등록증상예로 하여 오픈라벨시험(open label examination)을 실시하였다.
조입기준(allocation standard)은 담당의사가 선정하여, 본인의 승락을 얻은 환자로 하였다.
HCV의 세로타입(Serotype)은 그룹(group) 1이 40명, 그룹 2가 9명, 판정불능이 1명 이었다.
IFN 치료이력(history of IFN treatment)을 가진 환자는 24명이었다.
본 시험에서는 복용상황불량 4명, 데이터 누락으로 인한 측정제외 4명, 복용전 6개월내 IFN투여 3명, 자기판단에 의한 복용중지 2명, 복용중IFN 투여개시 1명, 투여전에 간종양의 합병을 인식하여 시험대상으로서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자 1명으로, 모두 합하여 15명을 시험에서 제외하였다.
35명 [남성 17명, 여성 18명, 연령 28~80세, 60.5± 10.4세, (평균± SD)] 을 유효성 해석 대상으로 하였다.
유효성 해석 대상에서 세로타입은 그룹 1이 27명, 그룹 2가 7명, 판정불능이 1명이었으며, 시험개시전 IFN 치료이력이 있는 환자는 15명이었다.
복용기간 중에 간장용 병용약을 사용한 환자는 22명이었다.
시험개시전에 13명에 대하여 우루소데옥시콜산을 사용하였으나, 복용기간중에 5명에 대하여 우루소데옥시콜산을 새로 투여하였다.
2명에 대해서는 글리실리진제제와 우르소데옥시콜산을 병용하여 투여하였으며, 1명에 대해서는 상품 Kantec정(등록상표:Kantec)과 상품 Proheparum정(등록상표:Proheparum) 을 병용하여 투여하였다.
또 1명에 대해서는 상품 Taurine 산제(Powder)와 우르소데옥시콜산을 병용하여 투여하였다.
나머지 3명 각각에 대해서는 상품 Aminoleban, 소시호탕(小柴胡湯)(minor Bupleurum) 및 프로헤파룸(Proheparum)정의 단독용량을 각각 투여하였다.
(2)피험물질(test substances)
피험물질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상품 InterPunch(주식회사 Sanwell 제품, 일본토쿄)를 사용하였다.
그 상품 인터펀치를 각 피험자에 대하여 1일량 2포(package) 1.5g(4종류의 식물의 건조분말 합계 1g 분의 엑스를 함유함)을 복용하도록 처방하였다.
(3) 검사항목
자각증상(subjective symptons)으로 오심(nausea), 구토, 복통, 복부팽만감, 토혈, 하혈, 피부소양감 및 전신권태감의 6개 항목과, 타각증상(objective symptons)으로 간종대, 부종, 복수, 수장홍반 및 황달의 5개 항목을 평가하였다.
자각증상과 타각증상은 환자가 병원에 왔을때 담당의사가 상담 또는 촉진(palpation)등에 의해 확인하여 의사의 임상차트에 기록하였다.
혈액검사 항목은 백혈구수, 적혈구수, 혈색소량, 헤마토크릿값(hematocrit value), 혈소판수 및 백혈구 백분비로 하였다.
생화학검사 항목은 AST, ALT, ALP, γ-GTP, ZTT, LDH, UN, 크레아티닌(creatinine), Na, K, Cl, 총빌리루빈(total bilirubin), 총단백질, 알부민, 총콜레스테롤 및 TG로 하였다.
요(urine) 검사항목은 알부민, 당 및 잠혈(occult blood)로 하였다.
또, HCV-RNA 량은 암플리코법(Amplicor method)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통상의 측정상한은 850 KIU/ml 이나, 이 상한 이상의 값에서는 회석법을 사용하여 다시 측정하였다.
이상의 검사항목을 복용전, 복용 1개월후와 복용 3개월후에 측정하였다.
(4) 통계학적 분석
혈액검사, 생화학검사, HCT-RNA 정량 및 HCV 항체가의 추이에 대하여 Student's t-test 를 사용하였다.
병용약의 영향(치료)에 대해서는 X2 검정을 사용하여 판정하였다.
(5) 결과의 고찰
(i) 자각증상과 타각증상
이 실험에서, 복용전에 자각증상으로서 전신 권태감을 6명이 자각하였으나, 복용 1개월후에는 4명(66.7%), 3개월후에는 4명이 개선을 확인하였다.
복부팽만감은 2명이 자각하였으나 복용 1개월후에 1명(50%), 3개월후에 2명(100%)이 개선을 확인하였다. 오심, 구토는 2명이 자각하였으나, 복용 3개월후에 1명(50%)이 개선을 확인하였다.
타각증상에 대해서는, 시험개시 전 시점에서 간종대가 의사에 의한 촉진으로 16명에 대하여 확인되었으나, 복용 1개월 후에 1명(6.3%), 3개월 후에 2명 (12.5%)에 대하여 개선이 확인되었다.
기타 증상에 대해서는 개선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복용 전에 갖고 있던 자각증상과 타각증상이 복용 후에 악화한 환자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들의 결과는 아래의 표 1에 종합하여 나타낸다.
(ii) 혈액학적 검사, 생화학적 검사, 요검사
혈액학적 검사 항목에서는 변동이 확인되지 않았다.
백혈구 백분비에서도 복용에 대한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혈액학적 검사결과는 아래의 표2에 나타낸다.
생화학적 검사에서는 ZTT가 복용 전에 17.5± 7.6 IU/L 이었으나, 복용 3개월 후에 18.4± 7.8 IU/L 로 유의성 있는 증가가 확인되었다(P<0.05).
Na 는 복용 전에 141.5± 2.2 mEq/L 이었으나, 복용 1개월 후에는 142.7± 20 mEq/L 로 유의성 있는 증가가 확인되었다(p<0.01). 복용 3개월 후에는 복용전과 차이가 없었다(141.1± 2.2 mEq/L).
기타 간기능과 신(Kidneys)기능 등의 생화학검사 항목에서는 변동이 없었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낸다.
요검사 항목에서는 특히 변동이 없었다.
(iii) HCV-RNA 정량 및 HCV 항체가(antibody assays)
HCV-RNA 정량은 35명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복용 전, 복용 1개월 후와 3개월 후에 측정하였는바, 측정시 기간에 대하여 비교한 경우 평균± SD 는 각각 734.4± 716.1 KIU/ml, 605.1± 471.1 KIU/ml, 578.7± 437.9 KIU/ml 이며, 복용에 의해 시간경과에 따르는 감소가 확인되었으나, 그 감소의 비율(%)에서는 통계학적 유의성 차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바이러스량을 100KIU/ml 미만, 100~499KIU/ml, 500~849KIU/ml 와 850KIU/ml 이상의 4개에 대하여 층별 해석을 할 때,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850KIU/ml 이상의 그룹(군)(n=12)에서 복용후 1개월과 3개월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가 확인되었다(각각 p=0.044 와 p=0.024).
또, 500~849 KIU/ml 그룹의 환자(n=9)에서도, 복용 3개월후에 유의성 있는 감소가 확인되었다(p=0.021).
또, 복용전 바이러스량이 1.4KIU/ml 이었던 1명 환자에서는 복용 1개월후에 바이러스는 검출감도(detection sensitivity) 이하로 되었다.
HCV 항체가는 25명의 평균치로 통계적 해석을 하였으나, 복용전, 복용 1개월후와 3개월후에서는 각각 66.44± 7.78 HCV-Ab Index, 67.17± 7.00HCV-Ab Index 와 66.83±8.23 HCV-AbIndex 로 변동이 확인되지 않았다.
또, HCV-RNA량의 감소와 AST, ALT 의 변동과의 사이에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 우르소데옥시콜산을 함유한 약제의 병용 유무와 HCV-RNA량의 증감에 대해서도 유의성 차는 확인되지 않았다. 자각증상 또는 타각증상의 개선예와 바이러스량과의 사이에서도 일정한 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iv) 유해사상(adverse effect)
71세 여성에 대하여, 복용 1개월후에 경도의 설사를 확인하였으나, 복용을 중단하지 않아 설사는 소실되었다.
60세 남성에 대하여 복용 3개월후에 복부팽만감이 확인되었으나, 경도이었다. 기타는 유해사상(adverse effects)이 확인되지 않았다.
(v) 결과고찰
본 시험에서 특히 언급할 수 있는 변화는 바이러스량을 100 KIU/ml 미만, 100 ~ 499 KIU/ml, 500~849 KIU/ml 와 850 KIU/ml 이상의 4개 그룹에 대하여 층별해석을 할 때, 850KIU/ml 이상의 환자에서는 복용후 1개월과 3개월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가 확인되었으며(p<0.05), 500~849 KIU/ml 의 환자에서도 복용 3개월후에 유의성 있는 감소가 확인되었다(p< 0.005).
또, 본 시험에서는 500KIU/ml 이하의 바이러스량이 낮은 환자그룹에 있어서 유의성 있는 저하(감소)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와같은 환자그룹에서 자연치유하는 확률이 극히 희소한 C형만성간염에 있어서(C형만성간염의 임상과 경과, Medicina, 30(3), PP. 474-477, 1993 참조), 1명의 환자라도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복용함으로써 바이러스가 검출감도 이하로 되었다는 것은 기대이상이며, 비예측적이다.
이것은 바이러스량이 낮은 환자에 있어서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시험의 검토에서는 HCV-RNA 량이 감소한 환자에 있어서도 AST, ALT 의 저 하가 명백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바이러스량의 감소와 간기능 지표와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간질환의 예후(prognoisis)는 AST, ALT 의 저하가 중요하다는 보고가 있으나, 바이러스의 감소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은 현시점에서 명백하지 않다.
그러나, IFN의 현저한 효율이 바이러스량에 의존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인터페론을 함유한 다른 약제와 병용하여 치료함으로써 C형만성간염의 치료에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자각증상에 있어서, 그 증상의 경우수가 대단히 적은 경우, 복용 3개월후에 전신 권태감은 6명중 4명의 환자에서 개선이 확인되었고, 복부팽만감은 2명중 2명환자에서, 오심, 구토는 2명중 1명 환자에서 개선되었다.
또, 타각증상의 경우, 촉진에 의해 확인된 간종대는 16명이 확인되었으나, 복용3개월후에 2명이 확인되었다.
복용전에 가진 자각증상과 타각증상이 복용후에 악화한 환자는 확인되지 않았다.
전신권태감이 회복된 환자가 확인된 것은 QOL의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시험에서 유해사상(adverse effects)은 2명으로 관찰되어, 1명은 복용 1개월후에 경도의 설사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복용을 계속하여 설사증상은 회복하여 일시적인 반응으로 하였다.
이 시험에서 사용한 건강식품에서는 쌍미균(bifidus)도 배합되어 있어, 이것 에 의한 영향도 고려된다.
1명의 60세 남성은 복용 3개월후에 복부팽만감이 확인되었으나, 경도이었다. 기타 환자에서는 유해사상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유효성 분석을 제외한 환자를 포함한 50명도 이 발명의 조성물의 복용에 의해 그 어떤 극심한 유해사상이 나타내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C형간염에 널리 사용되는 IFN에서는 인플렌자와 같은 발열(fever), 관절통, 근육통의 증상 이외에, 탈모, 우울증상, 눈이상(eye disorders), 식욕저하, 체중감소 등의 부작용이 관찰되나, 이 시험에서 본 발명 조성물을 복용함으로써 극심한 유해사상이 없는 C형간염치료제로서 크게 기대된다.
혈액·생화학검사에서는 ZTT가 3개월후에 유의성 있는 증가를 하였다. ZTT값은 면역글로부린(immunoglobulin)(IgG)을 반영하여, 만성간질환의 경과관찰에서 간엽계(mesenchyme)의 반응지표로 나타내나, 간세포의 장해를 직접 나타내지 않는다.
다른한편으로, 간장해의 지표인 AST, ALT는 증가하지 아니하여 HCV 항체도 변동이 없으며, 알부민등 단백질 분획도 변화가 명백하지 않았다.
이들의 관찰을 기초으로하여 종합적으로 판단을 하면, ZTT의 증가에 대해서는 환자의 자기면역현상 또는 간경변(cirrhosis)등 어떤 현저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 Na는 복용1개월 후에 유의성 있는 증가가 확인되었으나(p< 0.01), 기준치 내에서의 변화이며, 또 3개월후에는 복용전의 값으로 회복하여 유의성 있는 부작용이라고는 생각되지 않았다.
이들의 효과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C형만성간염환자가 복용할 경우 바이러스량이 높은 환자라도, 빠르면 복용 1개월후에 바이러스량의 감소가 확인되었으며, 또, 전신 권태감등의 자각증상, 또는 간종대 등의 타각증상도 일부 증상의 경우에 개선을 확인하였다.
혈액·생화학적 검사 항목의 악화는 없었으며, 복용에 의한 심각한 유해사상도 없었고, C형만성간염의 치료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병용하여 치료함으로써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1
자각증상 및 타각증상
증 상 시험개시할때
개시후의 개선수
(개선율)
1개월후 3개월후
자각증상 오심/구토
복부팽만감
피부소양감
전신권태감
2
2
1
6
0
1(50.0%)
0
4(66.7%)
1(50.0%)
2(100%)
0
4(66.7%)
임상증상 간종대
부종
복수
수장홍판
16
2
1
7
1(6.3%)
0
0
0
2(12.5%)
0
0
0
표 2
혈액검사의 결과
투여전 1개월후 3개월후
적혈구수
(×104/㎣)
3.9 ±1.2 3.9 ±1.2 3.9 ±1.2
혈색소량
(g/dL)
433 ±53 431 ±52 432 ±50
헤마토크릿값
(%)
13.6 ±1.7 13.4 ±1.6 13.4 ±1.6
백혈구수
(/㎣)
40.0 ±4.6 39.6 ±4.3 39.9 ±4.3
혈소판수
(×104/㎣)
12.6 ±5.1 12.5 ±5.2 12.4 ±5.1
주: 데이터는 평균치 ±SD(34케이스).전항목에서 통계학적 유의차는 없었다.
표 3
생화학검사 결과
피험자수 복용전 1개월후 3개월후
GOT(IU/L) 35 59.7 ±29.2 61.1 ±30.2 57.4 ±28.5
GPT(IU/L) 35 70.6 ±39.6 68.9 ±37.9 66.4 ±35.4
ALP(IU/L) 35 335.1 ±162.0 341.4 ±168.9 342.9 ±170.7
r-GTP(IU/L) 35 53.9 ±53.8 52.7 ±48.8 50.6 ±35.8
ZTT(IU/L) 34 17.5 ±7.6 17.6 ±7.3 18.4 ±7.8*
LDH(IU/L) 35 199.4 ±41.4 198.2 ±35.4 193.8 ±31.6
총빌리루빈(mg/dL) 35 0.8 ±0.3 0.8 ±0.3 0.8 ±0.4
총단백질(g/dL) 35 7.4 ±0.5 7.4 ±0.4 7.3 ±0.5
알부민(g/dL) 34 4.3 ±0.5 4.26 ±0.45 4.3 ±0.4
UN(mg/dL) 34 15.9 ±4.6 16.7 ±4.4 15.9 ±4.1
크레아티닌(mg/dL) 34 0.7 ±0.2 0.7 ±0.2 0.7 ±0.2
Na(mEq/L) 34 141.5 ±2.2 142.7 ±20** 141.1 ±2.2
K(mEq/L) 34 4.1 ±0.4 4.2 ±0.4 4.2 ±0.4
Cl(mEq/L) 34 105.2 ±2.4 105.9 ±2.3 104.6 ±2.2
총콜레스테롤(mg/dL) 33 174.5 ±38.5 172.9 ±34.0 170.0 ±33.8
TG(mg/dL) 33 104.9 ±50.3 96.1 ±42.2 107.6 ±62.3
주:*p< 0.05 ; **p<0.01 (복용전과의 비교) 평균치±SD.
ZTT는 복용전과 복용 3개월 후의 데이터에서 통계학적인 유의성 있는 차를 가진 증가가 있었다.
소듐(Na)은 복용전과 복용 1개월 후의 데이터에서 통계학적인 유의성 있는 차를 가진 증가가 있었다.
실시예 3
호박씨(cucurbita moschata)5.0g, 홍화(Carthamus tinctorius)3.0g, 질경이(Plantago asiatica)1.0g, 인동(Lonicera japonica)3.0g, 락토오스(유당)67g, 전분 16g을 수직형 혼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먼저 히드록시 프로필셀룰로오스 2g, 카프린산 트리글리세라이드 5g을 85% 에타놀 40g에 용해시켜 제조한 혼련용매(Kneading solvent)로 혼련(Kneading)시킨 후, 바스킷(basket)형조립기(스크린직경 1mm)에서 조립하였다. 그 다음 14메시시브(mesh sieve)를 통과시켜 건조한 후 원주형상 과립을 얻었다.
상기 성분과 만니트(mannite), 히드록시 프로필셀룰로오스, 마그네슘 메타실리케이트-알루미네이트, 아스파르탐(aspartame)및 향료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과립제 12포(Packages)를 얻었다(일본국특개 2000-231584 참조).
아래에서,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하여 각종 배합비(Wt%)의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표 4
조성물의 조제예
처방예 호박씨 홍화 질경이 인동
1 80 5 10 5
2 75 5 13 7
3 70 10 10 10
4 65 10 10 15
5 60 20 10 10
6 50 20 15 15
7 50 10 25 15
8 45 20 30 5
9 42 25 8 25
10 40 30 20 10
11 30 5 30 35
12 25 10 40 25
13 25 15 38 2
14 25 25 25 25
15 25 25 5 45
16 20 40 20 20
17 20 10 60 10
18 10 10 70 10
19 10 10 40 40
20 10 10 10 70
21 5 80 5 10
실시예4
이 발명의 조성물의 하나인 상품 InterPunch(등록상표;Sanwell Co., Ltd. 제품) 조제예
호박씨(Cucurbita moschata), 홍화(Carthamus tinctorius), 질경이(Plantago asiatica) 및 인동(Lonicera japonica) 의 생약원료분말을 배합하여, 10배량의 물로 온도 95 ±5℃ 에서 30분간 추출하여, 추출액을 여과후 농축하고, 환원맥아당(maltose), 락토오스, 전분등 부형제와 향료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조립공정에서 조립시켜 세립(fine granules)을 얻었다.
표 5
상품 InterPunch 2포당 영양성분의 분석예
열량 11.5Kcal
단백질 0.042g
지질 0.003g
당질 2.823g
식물섬유 0.03g
소듐 0.444mg
락툴로오스 400mg
호박씨
Figure 112010032851688-pct00002
홍화
질경이
인동
쌍미균 40mg
실시예 5
안전성
이 발명의 조성물의 처방 A
성분(건조분말의 배합비) : 호박씨(Cucurbita moschata) (50%), 홍화(Carthamus tinctorius) (20%), 질경이 (Plantago asiatica) (15%) 및 인동(Lonicera japonica) (15%)
이 처방을 건강한 성인남성 7명에 대하여 2주간에 걸쳐 1일 2회(1회당 원료생약 1.0g 을 조성한 용량) 투여(복용) 하였다.
투여(복용) 개시전, 개시후 1 및 2주후 채혈을 하여, 일반임상검사[혈액학적검사(백혈구수, 적혈구수, 헤모글로빈량, 헤마토크릿값, MCV, MCH, MCHC,혈소판수, 백혈구수), 혈액생화학적 검사(총단백질, 알부민, A/G, 총빌리루빈(bilirubin), MCV, MCH, MCHC, AST, ALT, 알칼리포스파타아제, γ-GTP,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요소질소, 요산 크레아티닌), 면역생화학적검사[비특이적 IgE, 비특이적 IgG, 트랜스페린(transferrin)], 의사에 의한 문진(questioning), 청타진(phonacoscopic tests) 및 이학적검사(physical test)(체온, 맥박, 혈압)를 실시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처방 A 투여(복용)의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삭제
또, 세포기능[단구(monocyte)(혈액중 마크로파지) 탐식능(phagocytic activity), 호중구(neutrophil) 탐식능, NK-세포활성과 사이토카인(cytokine) (IL2, 4, 6, 8, 10, 12, IFN-β 및 TNF-α)] 을 측정함으로써, 이 건강식품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2주간 투여(복용)에 의한 시험실시 기간중에, 자각증상, 타각증상 소견과 면역 생화학적 검사를 포함하는 임상검사치에 대해서, 시험식품의 섭취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유해사상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안전성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포기능과 사이토카인에 대해서는 현저한 변화가 확인되지 않으며, 건강한 성인 남성에 있어서 이 투여량 투여기간에서는 측정가능한 변화가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6
안전성
이 발명 조성물의 하나인 상품 InterPunch 를 건강한 성인남성에 대하여 8년간 섭취시켰다(섭취개시 할 때에는 31세).
최초 2년간은 처방예 A의 배합생약 원료분말을 1일당 평균 1g, 그 다음, 실시예 처방 A의 건강식품을 평균 1일당 원료분말로 환산하여 1g 을 섭취하였다.
그 결과, 섭취기간중 일반혈액성상, 건강상태등에 대하여 악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호박씨(Cucurbita moschata), 홍화(Carthamus tinctorius), 질경이(Plantago asiatica) 및 인동(Lonicera japonica)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C형간염환자의 자각증상, 예로서 전신권태감 및 복부팽만감을 제거할 수 있고, 의사의 진단에 의한 타각증상, 예로서 간종대 상태에서 정상적인 간상태로 개선시키고 수장홍반을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성물 투여 1개월후 내지 3개월후에 점진적으로 C형간염바이러스 RNA량이 감소되므로, C형만성간염치료용 조성물로서 유용하며, 구체적으로는 인터페론 치료 도입전에 이 발명 조성물을 복용함으로써 인터페론 치료의 효과가 높아진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C형만성간염환자의 간종대는 간염진행상황 진단의사가 사용하는 하나의 지표가 된다. 그 간종대에 있어서, 개선이 확인된다는 것은 C형만성간염치료에 있어서 대단히 큰 의미가 있는 것으로, C형간염에서 간경변으로의 진전억제 또는 간경변에서 간암으로의 진전억제용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또, 이 발명은 C형간염환자중, 특히 C형만성간염바이러스 RNA량의 높은 값을 가진 환자에 대하여 유용하다.
또, 이 발명 조성물은 C형간염바이러스 RNA량 감소용 조성물 또는 C형만성간염의 증상개선,경감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부작용의 우려가 적어 장기간 상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C형만성간염치료제, 특히 C형만성간염치료제와의 병용도 가능하다.

Claims (3)

  1. 호박씨(Cucurbita moschata), 홍화(Carthamus tinctorius), 질경이(Plantago asiatica) 및 인동(Lonicera japonica)으로 이루어진, C형 간염 바이러스 RNA 량 500KIU/ml 이상을 보유하는 만성 C형 간염환자의 C형 만성간염 바이러스 RNA량 감소용 의약품 조성물.
  2. 호박씨(Cucurbita moschata), 홍화(Carthamus tinctorius), 질경이(Plantago asiatica) 및 인동(Lonicera japonica)으로 이루어진, C형 간염 바이러스 RNA 량 500KIU/ml 이상을 보유하는 만성 C형 간염환자의 C형 만성간염의 증상개선 또는 경감용 의약품 조성물.
  3. 호박씨(Cucurbita moschata), 홍화(Carthamus tinctorius), 질경이(Pluntago asiatica) 및 인동(Lonicara japonica)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RNA 량 500KIU/ml 이상을 보유하는 만성 C형 간염환자의 C형 만성간염에서의 간경변 진전억제용 의약품 조성물.
KR1020057016403A 2003-03-05 2004-03-04 C 형 간염 치료용 조성물 KR100983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59056 2003-03-05
JPJP-P-2003-00059056 2003-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490A KR20050107490A (ko) 2005-11-11
KR100983647B1 true KR100983647B1 (ko) 2010-09-24

Family

ID=3295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403A KR100983647B1 (ko) 2003-03-05 2004-03-04 C 형 간염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381435B2 (ko)
EP (1) EP1609476A4 (ko)
JP (1) JPWO2004078191A1 (ko)
KR (1) KR100983647B1 (ko)
CN (1) CN100531753C (ko)
CA (1) CA2517136C (ko)
MX (1) MXPA05009252A (ko)
TW (1) TWI269656B (ko)
WO (1) WO2004078191A1 (ko)
ZA (1) ZA2005067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22691B (en) * 2003-04-11 2010-04-01 Follicle-stimulating hormone reducing agent
KR100699782B1 (ko) * 2005-07-13 2007-03-27 주식회사 에이치앤케이바이오사이언스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회복용 식품 조성물
CN101528209A (zh) * 2006-10-24 2009-09-09 Sk化学株式会社 有效治疗痴呆和轻度认知障碍(mci)并改善认知功能的齐墩果烷三萜皂苷化合物
EP2120922A2 (en) * 2007-02-13 2009-11-25 NY Financial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positions comprising lamiridosin, iridoids or derivatives thereof for treatment of hepatitis c or hepatitis b
WO2010040058A1 (en) 2008-10-02 2010-04-08 George Zabrecky Methods and formulations for treating chronic liver disease
UA110325C2 (en) * 2009-07-03 2015-12-25 Australian Biomedical Company Pty Ltd Medicinal carbohydrates for treating respiratory conditions
US20120213870A1 (en) * 2011-02-17 2012-08-23 Maher El-Aas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liver disease
CH707029B1 (de) 2011-10-21 2015-03-13 Abbvie Inc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HCV, umfassend mindestens zwei direkt wirkende antivirale Wirkstoffe, Ribavirin, aber nicht Interferon.
US8466159B2 (en) 2011-10-21 2013-06-18 Abbvie Inc. Methods for treating HCV
AU2013201532B2 (en) 2011-10-21 2014-10-02 Abbvie Ireland Unlimited Company Methods for treating HCV
US8492386B2 (en) 2011-10-21 2013-07-23 Abbvie Inc. Methods for treating HCV
CN102641479B (zh) * 2012-05-15 2013-08-21 张治愈 一种治疗丙型肝炎的药物组合物
JP6712056B2 (ja) * 2015-01-23 2020-06-17 株式会社ニューロゲン 肝細胞増殖因子産出誘導剤
CN104800416A (zh) * 2015-04-22 2015-07-29 王玉玲 一种治疗胆囊炎的中药剂
US11192914B2 (en) 2016-04-28 2021-12-07 Emory University Alkyne containing nucleotide and nucleoside therapeutic compositions and uses related thereto
CN110772555B (zh) * 2019-12-02 2021-10-12 贵州中医药大学 黄褐毛忍冬不同溶剂提取物在制药中的应用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1746A (en) * 1979-12-03 1983-12-20 The Kitasato Institute Process for producing interferon inducers
US4456597A (en) * 1980-08-06 1984-06-26 The Kitasato Institute Interferon inducer,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4469685A (en) * 1979-12-03 1984-09-04 The Kitasato Institute Process for producing interferon inducers
US6172046B1 (en) * 1997-09-21 2001-01-09 Schering Corporation Combination therapy for eradicating detectable HCV-RNA in patients having chronic Hepatitis C inf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697A (en) * 1891-02-03 Gripping device
JPS5692820A (en) * 1979-12-27 1981-07-27 Kitasato Inst:The Preparation of interferon inducer
JPS5697232A (en) * 1979-12-31 1981-08-05 Kitasato Inst:The Interferon inducer and its preparation
KR100218052B1 (ko) * 1992-07-15 1999-09-01 이병언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는 약학적 제제
CN1077384A (zh) * 1993-01-20 1993-10-20 吴传福 柳蒲肝防片的制造方法
ZA954785B (en) * 1994-06-16 1996-02-08 Yamanouchi Pharma Co Ltd Crude drug-containing feed
US5648089A (en) * 1995-07-03 1997-07-15 Shawkat; Tarek Extract solution and herbal mixture for treatment of hepatitis
US5837257A (en) * 1996-07-09 1998-11-17 Sage R&D Use of plant extracts for treatment of HIV, HCV and HBV infections
JPH10279491A (ja) * 1997-04-01 1998-10-20 Kao Corp インターロイキン4産生抑制剤
JP4204085B2 (ja) * 1997-10-08 2009-01-07 オリジナル・イメージ株式会社 マクロファージ活性化剤
DE19814725A1 (de) * 1998-04-02 1999-10-07 Michael O Ruepp Verwendung von Echinacea-pallida und Echinacea angustifolia-Extrakten; Löwenzahn-/Taraxacum)-Extrakten; Spitzwegerich-(Plantago)-Extrakten
CN1252292A (zh) * 1998-10-27 2000-05-10 王树高 一种治疗肝病的药物
JP4298043B2 (ja) * 1999-03-18 2009-07-15 オリジナル・イメージ株式会社 養魚用飼料
JP2000281584A (ja) 1999-03-26 2000-10-10 Yamanouchi Pharmaceut Co Ltd 好中球活性化剤
CN1083721C (zh) * 1999-03-29 2002-05-01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友谊医院 逆转肝纤维化、肝硬化的中药复方及其制备方法
CN1085948C (zh) * 1999-04-23 2002-06-05 全兵杰 一种治疗病毒性肝炎药物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1746A (en) * 1979-12-03 1983-12-20 The Kitasato Institute Process for producing interferon inducers
US4469685A (en) * 1979-12-03 1984-09-04 The Kitasato Institute Process for producing interferon inducers
US4456597A (en) * 1980-08-06 1984-06-26 The Kitasato Institute Interferon inducer,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6172046B1 (en) * 1997-09-21 2001-01-09 Schering Corporation Combination therapy for eradicating detectable HCV-RNA in patients having chronic Hepatitis C inf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81435B2 (en) 2008-06-03
ZA200506723B (en) 2007-01-31
JPWO2004078191A1 (ja) 2006-06-08
MXPA05009252A (es) 2006-03-17
CA2517136C (en) 2013-12-24
KR20050107490A (ko) 2005-11-11
EP1609476A1 (en) 2005-12-28
US20070020348A1 (en) 2007-01-25
TWI269656B (en) 2007-01-01
EP1609476A8 (en) 2006-04-12
EP1609476A4 (en) 2009-07-01
TW200425905A (en) 2004-12-01
WO2004078191A1 (ja) 2004-09-16
CN100531753C (zh) 2009-08-26
CN1767845A (zh) 2006-05-03
CA2517136A1 (en)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200506723B (en) Composition for treating hepatitis C
JP4741801B2 (ja) 花粉症、アレルギー性鼻炎、アトピー性皮膚炎、喘息又は蕁麻疹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JP7069490B2 (ja) ユウリコマ・ロンギフォリア抽出物並びに免疫系の増強及び/又は刺激におけるその使用
CN109674958B (zh) 一种具有降尿酸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045982A (ko) 도라지 사포닌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도라지 추출물 또는 막분리 도라지 사포닌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TWI678211B (zh) 管花肉蓯蓉萃取物及異類葉升麻苷於保護肌肉之用途
CN114712478B (zh) 一种治疗肠道疾病的中药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100979882B1 (ko) 금은화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JPH0761953B2 (ja) 免疫力増強・体質改善剤の製造法
US7691421B2 (en) Follicle-stimulating hormone reduction agent
CN101716253B (zh) 一种活血化淤、益气养阴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980008056A (ko) 항스트레스 조성물
KR20180117065A (ko)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805492C1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постпрандиальной гликемии
RU2805492C9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постпрандиальной гликемии
KR20050018662A (ko)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 용 조성물
JPS62195332A (ja) 制癌補助剤
Satpudke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Pharmacy and Science
CN105709203A (zh) 一种中药制剂在制备治疗呕吐的药物中的用途
JPWO2004091643A1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増加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