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8662A -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 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 용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8662A
KR20050018662A KR10-2004-7016942A KR20047016942A KR20050018662A KR 20050018662 A KR20050018662 A KR 20050018662A KR 20047016942 A KR20047016942 A KR 20047016942A KR 20050018662 A KR20050018662 A KR 20050018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flower
health
chajeon
composition
asth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마쓰우라 야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우라 야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쓰우라 야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4-7016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8662A/ko
Publication of KR20050018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66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6Carthamus (distaff thistle)

Abstract

본 발명은,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애엽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 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 용 조성물, 건강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 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 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POLLENOSIS, ALLERGIC NEPHRITIS, ATOPIC DERMATITITS, ASTHMA OR URTICARIA}
본 발명은, 남과씨(南瓜子) 및 홍화(紅花)의 2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분증(花粉症),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 담마진(蕁麻疹)의 예방 또는 치료 용 조성물, 건강식품,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삼(杉)나무 화분, 돈초(豚草) 황량(黃粱) 및 백화(白樺) 등의 식물의 화분을 알레르겐으로 하여 발증(發症)하는 화분증의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화분증은, 화분의 침입에 의해서 마스트 세포나 호(好)염기구(球)로부터 히스타민이나 류코트리엔 등의 화학 전달물질이나 여러가지 효소가 유리(遊離)하여, 특히 코나 눈에 그 증상이 나타나며, 알레르기성 결막염이나 알레르기성 비염(콧물, 코막힘, 재채기)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또, 화분(花粉)뿐 아니라 하우스 더스트나 진드기 등을 알레르겐으로 하여 발증하는 알레르기성 비염(THE MERCK MANUAL 16th ed., pp. 326-327), 아토피성 피부염(THE MERCK MANUAL 16th ed., pp. 2409-2410), 천식(THE MERCK MANUAL 16th ed., p. 652), 담마진(THE MERCK MANUAL 16th ed., pp. 322-323) 등도 증가 경향에 있다.
치료 대책으로서는, 항(抗)알레르기 약에 의한 예방적 치료, 진정작용 등의 부작용이 적은 신생대의 항히스타민제를 비롯하여, 각종 화학 전달물질 길항제(拮抗劑), 화학 전달물질 유리 억제제의 내복약, 약효가 빠른 스테로이드제나 즉효성으로 작용이 강한 항히스타민 점비약(点鼻藥)에 의한 대증 요법, 감감작(減感作) 요법 등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예방적 치료로서 만족한 효과를 가지는 한방생약 또는 항알레르기 약은 아직 출현하지 않고 있고, 또, 대증 요법에 이용되는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제제도 그의 부작용이 가끔 문제가 되고 있다. 치료에서는, 환자의 만족도가 현저히 낮다는 현상도 보고되고 있다. 한편으로, 감감작 요법도 다시 생각되고 있으나, 역으로 그의 한계도 분명해지고 있다.
한편, 남과씨, 홍화, 차전(車前) 및 인동(忍冬)에 대하여는, 예를 들어 남과씨, 홍화(紅花), 인동의 1종 이상(특히 3종의 생약)을 사료에 첨가함에 의해, 기생충, 세균 및 비루스 병의 특히 자연 감염을 막고, 생체 방어력의 강화와 동시에 육질, 난질(卵質)을 개선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게다가, 남과씨, 차전, 인동, 홍화의 4종의 생약을 배합한 사료에 대하여 채란계의 건강상태, 생존률, 난질의 향상, 항류코시토존 병 효과, 메추라기의 항뉴캐슬 병 효과, 장내(腸內)콕시듐, 포도구균수 억제 효과 등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호박 등의 과과(瓜科)식물로부터 인터페론 유기제(誘起劑)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홍화로부터 추출한 인터페론 유기제의 항비루스 활성 및 항종양(抗腫瘍) 활성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또, 금은화(金銀花), 또는 차전(車前)씨 등으로부터 인터페론 유기제가 추출되어, 사람 및 동물의 비루스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참조). 남과씨와 홍화의 2종의 생약을 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마크로파지 활성화제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5 참조). 남과씨, 홍화, 차전 및 인동의 4종의 생약을 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호중구(好中球) 활성화제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6 참조).
그렇지만,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생약의 조합에 대하여 인터페론 유기작용, 마크로파지 활성화 작용, 호중구 활성화 작용, 또는 IgE 항체 산생(産生) 억제작용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특히 사람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에 관하여는 아무런 개시도 시사도 없다.
[특허문헌 1]
미국특허 5,882,672 호 명세서
[특허문헌 2]
미국특허 4,421,746 호 명세서
[특허문헌 3]
미국특허 4,456,597 호 명세서
[특허문헌 4]
미국특허 4,469,685 호 명세서
[특허문헌 5]
특개평 11-116498 호 공보 및
[특허문헌 6]
특개 2000-281584 호 공보
도 1은 제조예 1의 처방 A의 열수(熱水)추출 엑스트랙트를 경구 또는 복강내 접종한 때의 마우스에 있어서의 삼목화분에 대한 혈중 총 IgE 항체량을 보인다.
도 2는 제조예 1의 처방 A의 열수 추출 엑스트랙트에 의한 화분증 환자의 개선도의 평가를 보인다.
도 3은 제조예 1의 처방 B의 열수 추출 엑스트랙트에 의한 화분증 환자의 개선도의 평가를 보인다.
도 4는 제조예 1의 처방 A의 열수 추출 엑스트랙트에 의해 예년 발증하고 있는 증상으로 시험기간에 발증하지 않은 증상에 대하여서의 개선률을 보인다.
도 5는 제조예 1의 처방 B의 열수 추출 엑스트랙트에 의해 예년 발증하고 있는 증상으로 시험기간에 발증하지 않은 증상에 대하여서의 개선률을 보인다.
도 6은 제조예 1의 처방 B의 열수 추출 엑스트랙트의 섭취개시가 화분증 발증 전에 있어서의 증상 개선도를 보인다.
도 7은 제조예 1의 처방 B의 열수 추출 엑스트랙트의 섭취개시가 화분증 발증 후에 있어서의 증상 개선도를 보인다.
도 8은 제조예 1의 처방 B의 열수 추출 엑스트랙트를 섭취한 환자의 남성의 개선도를 보인다.
도 9는 제조예 1의 처방 B의 열수 추출 엑스트랙트를 섭취한 환자의 여성의 개선도를 보인다.
본 발명자는 식물성 생약, 특히 남과씨, 홍화, 차전 및 인동 등의 생약의 말할 것도 없는 구체적인 용도를 발견할 것을 목적으로 하여, 검토를 계속하여 왔다. 그 결과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 담마진에 이환(罹患)한 환자에 대하여, 본 발명의 생약의 조합, 적어도 남과씨 및 홍화의 조합이 질환의 증상의 현저한 개선, 또는 증상의 발현(發現)을 예방함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본 발명의 생약의 조합이 매우 안전함과, 6년이나의 장기복용에 의하여서도 어떤 부작용도 발견할 수 없음을 확증하고, 치료약으로서 뿐 아니라 예방약 또는 건강식품이나 기능성 식품으로 장기간에 걸쳐 상용함에 적당함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생약의 조합은,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薏苡仁), 건강(乾姜), 울금(鬱金), 아술(莪술), 및 애엽(艾葉)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생약의 배합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및 애엽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 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 용 조성물,
2.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또는 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 용의 상기 1항 기재의 조성물,
3. 남과씨, 홍화, 차전, 및 인동의 4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기 1항 내지 2항의 어느 것에 기재한 예방 또는 치료 용 조성물,
4.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및 애엽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을 해마다 화분증을 발증하는 포유류에게 시즌 전부터 투여하기 위한 화분증 예방용 조성물,
5. 남과씨, 홍화, 차전, 및 인동의 4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기 4항에 기재한 예방용 조성물,
6. 상기 4 내지 5항의 어느 것에 기재한 포유류가 사람인 화분증 예방용 조성물,
7.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및 애엽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 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의 조제방법,
8.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및 애엽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을 해마다 화분증을 발증하는 환자에게 시즌 전부터 투여하기 위한 화분증 예방용 조성물의 조제방법,
9.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및 애엽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 담마진을 예방 또는 증상개선ㆍ경감하기 위한 건강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
10. 남과씨, 홍화, 차전 및 인동의 4종의 생약인, 상기 9항에 기재한 건강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
11.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또는 담마진을 예방 또는 증상개선ㆍ경감하기 위한 상기 9 내지 10항의 어느 것에 기재한 조성물,
12.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및 애엽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분증의 발진을 예방하기 위한 건강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
13. 남과씨, 홍화, 차전 및 인동의 4종의 생약인, 상기 12항에 기재한 건강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
14.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및 애엽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 담마진을 예방 또는 증상개선ㆍ경감하기 위한 동물용 건강식품 또는 동물용 기능성 식품,
15. 남과씨가 20∼60 중량% 및 홍화가 10∼40 중량%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및 애엽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이 5∼50 중량%의 배합비율인, 상기 1 내지 14항의 어느 것에 기재한 조성물, 건강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 또는
16. 남과씨가 30∼50 중량%, 홍화가 10∼30 중량%, 차전이 5∼30 중량%, 및 인동이 5∼30 중량%의 배합비율인, 상기 15항에 기재한 조성물, 건강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
17.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및 애엽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의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 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8. 남과씨, 홍화, 차전, 및 인동의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 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9.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또는 딤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 용의 상기 17 내지 18항에 기재한 예방 또는 치료 방법,
20.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및 애엽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 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사용,
21.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또는 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 용의, 상기 20항에 기재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사용,
22. 남과씨, 홍화, 차전 및 인동의 4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기 20 내지 21항의 어느 것에 기재한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사용.
또, 기존의 화분증, 일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 담마진뿐아니라 그 이외의 질환의 치료약과의 병용에 의해서 치료에의 악영향은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보조적으로 현행의 치료약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생각된다.
우선,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생약에 대하여 설명한다.
남과씨는 과과(瓜科)의 식물 남과(일본이름:니혼가보챠 cucurbita moschatas Duch.)의 종자인 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그의 유연(類緣)식물의 종자도 포함한다. 남과씨는 본래의 것 대로 사용하여도 좋으나, 건조품인 편이 의약, 건강식품으로서 보존상 바람직하며, 또, 씨의 껍데기만을 이용하여도 좋다. 성분으로서 쿠쿠로비틴, 단백질, 비타민 A, B1, B2 및 C를 포함하며, 또 카로틴 등도 포함되어 있다.
홍화(Carthamus tinctorius L.)는 국과(菊科)의 식물의 관상화(管狀花)를 건조한 것이다. 성분으로서는 카르사민(Carthamin), 사플러 예로(safflor yellow), 리그난, 스테롤을 함유한다. 부인병, 냉증, 및 갱년기장해 등의 혈행장해의 치료에 이용한다.
차전(Plantago asiatica L.)은 차전과(車前科)의 식물로 성숙한 종자(차전씨) 또는 전초(全草)(차전)가 이용된다. 성분으로서는 다당류, Plantenolic acid, 호박산, 아데닌, Aucubin, 및 Plantaginin이나 비타민 A, 및 B1 등을 포함한다. 생약으로서는 사람에게 있어서는 소염, 이뇨, 및 지사(止瀉) 약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인동(Lonicera japonica THUNB)은 인동과(忍冬科)의 꽃 또는 꽃봉오리(금은화), 잎, 줄기 또는 전초(全草)(인동)가 이용된다. 성분으로서는 납양(蠟樣)물질, 이노시톨, 타닌, 사포닌, 및 로니세린 등을 포함한다. 생약으로서는 해열, 해독, 이뇨, 및 소염 약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콩과(콩科)의 식물의 근(根) 및 근경(根莖)을 건조한 것이다. 주성분은 글리시르리친(glycyrrhizin)이다. 생약으로서는 완화(緩和), 완해(緩解), 진해(鎭咳), 진통, 및 거담(去痰) 약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의이인(薏苡仁: Coix lacrhyma-jobi L. var. ma-yuen Stapf.)은 벼과(벼科)의 곡물이 이용된다. 성분으로서는 지방유를 포함하며, 유중에 주로 코익세놀리드 coixenolide, 코익솔 coixol, 아미노산, 비타민 B1 및 당질(糖質)을 함유한다. 생약으로서는 암세포 억제, 해열, 진통, 진정, 및 혈당강하 약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건강(乾姜: Zingiber officinale rose.)은 생강과(生薑科)의 식물의 건조한 근경(根莖)이 이용된다. 건강의 본래의 것 대로의 단계에서는 생약명 생강으로서 사용되지만, 이 것을 이용하여도 같은 효과가 있으나, 건조품인 건강(乾薑)의 편이 의약, 건강식품으로서 보존상 바람직하다. 성분으로서는 정유(精油), 긴게롤 gingerol을 함유한다. 생약으로서는 혈액순환의 개선, 혈압상승, 혈관운동 중추의 흥분, 및 교감신경의 흥분 등에 이용된다.
울금(鬱金: Curcuma longa L.)(별명 姜黃)은 생강과의 식물의 근경이 이용된다. 성분으로서는 쿠르쿠민 curcumin, 및 정유(精油)(주성분은 터메론 turmerone) 등을 함유한다. 생약으로서는 이담(利膽), 강압, 항균, 및 진통 약으로 이용된다.
아술(莪술: Curcuma zedoaria (Berg.))은 생강과의 식물로 근경이 이용된다. 성분으로서는 쿠르쿠민 curcumin, 및 정유(주성분은 세키테르펜류)등을 함유한다.
생약으로서는 항종류(抗腫瘤), 항균, 및 건위(健胃) 약으로서 이용된다.
애엽(艾葉: Artemisa argyi Lvei. et Vant.)은 국과(菊科)의 식물의 건조한 잎이 이용된다. 성분으로서는 정유(주성분은 cineol, thujone 및 세키테르펜류), 비타민 A, B, C 및 D를 함유한다. 생약으로서는 항균, 출혈과 응혈 시간의 단축, 진해, 거담, 소염 및 식욕증진 등에 이용된다.
환자란 포유류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사람, 또는 원숭이, 개 및 고양이 등의 컴패니언 동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생약을 원말(原末)로서 사용하는 때에는, 그의 싱싱하고 새로운 것, 그늘에 말 린 것 또는 건조한 것을 이용하며 세단(細斷) 또는 분말로서 이용한다. 또 이들의 생약을 물 또는 유기용매 추츨 엑스트랙트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즉, 원말, 용매제제(製劑). 분제(粉劑), 성형제, 또는 침출제 등으로서 이용한다. 유기용매로서는 에탄올, 또는 아세톤 등이 이용되며, 이들은 물 또는 2종 이상의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추출은 생약에 대해 수배 양의 용매를 가해 상온 내지 가온하에 추출 또는 침출(浸出)을 행한다. 각 생약단독으로 추출한 엑스트랙트를 배합하여도 좋고, 또는 미리 복수의 생약의 원말을 배합한 것을 추출하여 엑스트랙트를 얻어도 좋다.
상기 생약의 원말이나 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 에스트랙트는, 그대로 또는 자체공지의 방법으로 각종의 형태로 하여 건강식품, 기능성 식품 또는 의약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약 또는 기능성 식품은 통상의 제제화 방법에 의해 경구용의 정제(錠劑), 산제(散劑), 세립제(細粒劑), 캡슐제, 환(丸)제, 또는 시럽제로서 제공된다. 제제화(製劑化)를 위해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윤활제, 완충제, 교미(矯味)제, 또는 안정제 등을 필요에 따라서 첨가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불활성 희석제, 예를 들어 유당(乳糖), 마니톨, 포도당, 히드록시프로필 셀류로스, 미(微)결정 셀류로스, 전분,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과 혼합된다. 조성물은 상법(常法)에 따라서, 불활성인 희석제 이외의 첨가제, 예를 들어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전분 또는 탤크와 같은 윤활제나 섬유소글리콜산칼슘과 같은 붕괴제, 락토스와 같은 안정제, 글루타민산 또는 아스파라긴산과 같은 용해보조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정제 또는 환제는 필요에 의해 자당(蔗糖), 젤라틴, 한천(寒天), 펙틴, 히드록시프로필 셀류로스, 또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류로스프탈레이트 등의 당의 또는 위용성(胃溶性) 또는 장용성(腸溶性) 물질의 필름으로 피막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생약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정도로 카페인,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2, 비타민 C, 비오틴, 카르니틴, 판토텐산, 니코틴산 또는 그의 유도체 등의 수용성 비타민, 비타민 A, 비타민 E 또는 그의 유도체 등의 지용성(脂溶性) 비타민, 타우린 또는 아르기닌 등의 아미노산 등을 배합할 수가 있다. 또, 동양의 허브(herbs)(감초, 은행나무, 민들레, 국화, 당근, 또는 계피 등), 또는 서양 허브(Serenoa repens, Hypericum perforatum, echinacea, aniseed, chamomile, 로즈메리, 민트(薄荷), 유칼립투스, 라벤더, 장미, 하이비스커스 또는 알로에 등)를 보조적으로 새로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유효성이 보고되어 있는 자소(紫蘇)(FOOD Style 21,2(4), 50-54, 1998)를 보조적으로 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체조성물은,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탁(乳濁)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또는 엘릭서(elixir)제 등을 함유하며,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불활성의 희석제, 예를 들어 정제수(精製水) 또는 에탄올을 함유한다. 이 조성물은 불활성의 희석제 이외에 습윤제, 현탁제와 같은 보조제, 감미제, 풍미제, 방향제 또는 방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 건강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는 음료, 또는 젤리, 비스켓, 쿠키 또는 캔디 등 과자의 형태로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애엽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나, 바람직하기는 남과씨는 20∼60 중량%, 홍화는 10∼40 중량%, 기타의 생약에 대하여는 각각 5∼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는 남과씨는 20∼50 중량%, 홍화는 10∼40 중량%, 기타의 생약에 대하여는 각각 5∼50 중량%이다. 더욱 바람직한 배합은 남과씨가 20∼60 중량%, 홍화가 10∼40 중량%, 차전이 5∼50 중량%, 및 인동이 5∼50 중량%이다(남과씨, 홍화, 차전, 및 인동은 함께 100 중량%로 한다).
가장 바람직한 배합은 남과씨가 30∼50 중량%, 홍화가 10∼30 중량%, 차전이 5∼30 중량%, 및 인동이 5∼3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생약의 조합은 투여대상의 연령, 성별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경우에 응하여 적의 결정되나, 통상, 성인 60kg 체중 1일 당 생약총량으로서 0.5∼2 g, 바람직하기는 1g을 경구 섭취함에 의해, 어떤 부작용도 없이 소망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을 해마다 화분증을 발증하는 포유류에 시즌 전부터 투여하는 시기는, 환자나 삼목, 노송, 황량(黃粱)의 벼과(科), 돈초(豚草), 쑥(艾)의 국과(菊科), 및 백화(白樺) 등 각 식물의 화분 비산시기에 따라 다르게 된다. 예를 들어 삼목화분의 경우 2월에서 4월까지 증상을 출현시킨다고 하므로, 투여시기는 12월 내지 2월상순의 기간 내, 바람직하기는 1월 내지 2월상순이 좋다.
또, 본 발명의 생약의 조합은, 사람의 예방ㆍ치료약, 건강식품으로서 뿐아니라, 개, 고양이 등의 컴패니언 동물의 치료약, 증상개선ㆍ경감용 건강식품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제조예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이하의 처방 A 또는 처방 B의 배합성분의 생약의 원말(原末)을 배합하여, 10 배량의 물로 95±5℃에서 30분간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후 농축하며, 환원맥아당 (麥芽糖), 유당(乳糖) 및 전분 등의 부형제ㆍ향료 등을 첨가하여, 조립(造粒)공정에서 세립(細粒)으로 하였다.
처방 A: 성분(배합비): 남과씨(50%), 홍화(20%), 차전(15%), 및 인동(15%)
처방 B: 성분(배합비): 남과씨(40%), 홍화(20%), 의이인(20%), 및 자소(20%)
제조예 2
남과씨 5.0g, 홍화 3.0g, 차전 1.0g, 인동 3.0g과 유당 67g 및 전분 16g을 수형(竪形) 혼합기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먼저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류로스 2g, 카프린산트리글리세라이드 5g을 85% 에탄올 40g에 용해한 것 연합(練合)용매로 하여 연합한 후 배스킷형 제립기(스크린 경 1mm)로 조립(造粒) 후, 14 메시 체(篩)를 통과시켜 건조후 원주상(圓柱狀) 과립으로 한다. 상기 성분과 마니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류로스, 마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아스파테임 및 향료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과립제 12포를 얻었다(특개2000-231584 참조).
이하, 제조예 2와 마찬가지로 각종 배합비(중량%)의 조성물을 제조할 수가 있다.
처방예 남과씨 홍화 차전 인동
1 60 20 10 10
2 50 20 15 15
3 50 10 25 15
4 45 20 30 5
5 42 25 8 25
6 40 30 20 10
7 25 10 40 25
8 25 15 38 22
9 25 25 25 25
10 25 25 5 45
11 20 40 20 20
12 20 10 60 10
13 25 15 38 22
14 25 25 25 25
15 25 25 5 45
16 20 40 20 20
17 20 10 60 10
제조예 3
남과씨, 홍화. 차전, 및 인동의 생약 원말를 배합하여, 10 배량의 물로 95±5℃에서 30분간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후 농축하며, 환원맥아당, 유당, 전분 등의 부형제ㆍ향료 등을 첨가하여, 조립(造粒)공정에서 세립(細粒)으로 하였다[인터펀치(등록상표; (주)선웰 제)]. 하표에 조성을 보인다.
인터펀치 2포(1.5g×2)당 영양성분 표시
열량 11.5 Kcal단백질 : 0.042 g지질 : 0.003 g당질 : 2.823 g식물섬유 : 0.03 g나트륨 : 0.444 mg락튤로스 : 400 mg
호박 종자 : 원말환산차전 종자 : 1000 mg홍화 : 혼합 엑스트랙트인동화 :Bifidobacterium sp.: 40 mg
실시예 1 삼목화분 감작(感作) 마우스에 있어서의 혈중 총 IgE항체 산생 억제작용
대표적인 시험법(알레르기, 42(1), 74-80(1993))에 준해, 적의 개변하여 행하였다.
12∼15 주령의 BALB/cCrSIc 마우스(암컷)을 사용하여, 제조예 1의 처방 A의 열수추출 엑스트랙트를 경구투여 또는 복강내 접종한 때의, 삼목화분(Cedar Pollen Extract-Cj(LSL Co., LTD))에 대한 혈중 총 IgE 항체 산생 억제작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경구투여 군 용 엑스트랙트는 처방 A의 원(原)생약에 10 배량의 물을 가하여, 95±5℃에서 30분간 추출후, 900 x g에서 연속 원심분리하고, 그의 상청(上淸: supernatant liquids)을 또한 10,000 x g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모은 것을 추출 엑스트랙트로 하였다. 복강내 전종 군 용의 엑스트랙트는 처방 A의 원생약에 10 배량의 물을 가하여, 95±5℃에서 30분간 추출후, 900 x g에서 연속 원심분리하고, 그의 상청을 또한 10,000 x g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모았다. 이들의 상청을 투석하여 분자량 14000 이상의 분획(fraction)를 모아, 0.45MY 필터(Fuji Film, MicroFilter, Lot 16555 970436)로 여과 멸균한 것을 추출 엑스트랙트로 하였다, 은 것을 추출 엑스트랙트로 하였다. 시험 군은 이하와 같다:
1 군: 무대처 대조(음성 대조 군)
2 군: 화분만 복강내 투여 군
3 군: 화분 및 엑스트랙트(0.3ml) 복강내 투여 군(초회 면역후 13일째에 처방 A의 엑스트랙트를 단회 투여)
4 군: 화분 복강내 투여 및 엑스트랙트(0.6ml) 경구투여군(초히 면역후 7일째로부터 12일째까지 0.1ml/일을 경구투여하고, 13일째에 삼목화분 5mg 및 수산화알루미늄 4mg을 복강투여)
총 IgE 항체의 측정법은 마취하에서 전채혈을 행하여, 샘플의 혈청을 분리후, 항체가(價) 측정까지 -80℃에서 보존하였다. 총 IgE 항체의 측정은, 상법(常法)에 따른 샌드위치 ELISA 법으로 행하였다.
총 IgE 항체의 측정결과를 도 1에 보인다. 투여전, 1주째 및 2주째에서는 각 군간에 있어서의 유의(有意)한 차는 확인되지 않았다. 3주째에서는, 화분만 투여군(2 군)에서는 1474.2 ng/ml로 증가하여 있었으나, 처방 A 복강내 투여 군(3 군)(866.97 ng/ml) 및 처방 A 경구투여 군(4 군)(1036.24 ng/ml)에서는 화분만 투여 군(2 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가 억제되어 있었다(student's t-test에 있어서 P,0.05). 또, 처방 A 복강내 투여 군(3 군)과 처방 A 경구투여 군(4 군)의 비교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삼목화분 감작 마우스의 혈중 IgE 항체의 산생을 억제하고, 알레르기 반응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삼목화분증 환자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
본 발명의 건강식품의 삼목화분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해. 성인 남녀의 화분증 환자를 대상으로, 조제예 1의 처방 A 및 처방 B의 열수추출 엑스트랙트에 의한 임상시험을 행하였다. 처방 A는 화분증 환자 20 명(남녀 각 10명), 처방 B는 화분증 환자 72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험개시는 2월 상순으로 하고, 각자가 임의로 섭취를 개시하여 90일간 섭취하였다. 개시전과 종료시에 앙케트를 기입하게 하여 그의 비교로 판정하였다. 시험기간중은 매일 원생약 환산 1.0 g의 열수추출 엑스트랙트를 섭취하여, 매일 기록용지에 섭취의 기록을 남기었다. 투여기간중에 중단한 자 또는 섭취가 불규칙한 대상자는 효과판정에서 제외하였다.
시험후에 피험자로부터 예년의 증상과 비교한 개선도를 완치, 매우 개선, 어느 정도 개선, 조금 개선, 변화없음, 조금 악화, 어느 정도 악화, 매우 악화의 8단계로 회답을 구하였다. 그 결과 처방 A, 처방 B 공히 어느 정도 개선 이상이 반수 이상을 점하고, 조금 개선 이상은 80%를 넘었다.(도 2 및 도 3)
처방 A의 열수추출 엑스트랙트를 복용한 피험자의 예년의 증상과 금년의 증상을 비교한 결과 코막힘, 콧물, 재채기, 눈의 가려움, 누안(淚眼), 유루(流淚), 코의 가려움, 쉰 목소리, 수면장해, 증상의 개선, 두통, 입이나 인후위 가려움, 피부의 가려움, 불쾌함, 악의(惡意), 호흡곤난, 인후통, 근육통, 또는 입속의 꺼칠꺼칠함 순으로 증상의 개선이 보였다(도 4).
처방 B의 열수수출 익스트랙트를 복용한 피험자의 예년의 증상과 금년의 증상을 비교한 결과 담마진, 천식, 발진, 설사, 근육통, 변비, 눈의 충혈의 증상은 100%의 개선률이 있었고, 입이나 인후의 가려움, 기침, 습진, 수면장해, 불쾌함, 구토, 피부의 가려움, 코의 가려움, 두통, 코막힘, 누안, 재채기, 눈의 가려움, 눈의 건조, 또는 콧물의 순으로 증상의 개선이 보였다(도 5).
처방 B의 열수추출 엑스트랙트를 복용한 피험자의 섭취개시 시기와 증상개선에 관한 평가도의 상관의 해석에서는, 증상발증전(2월 초순)부터 섭취하는 편이, 증상후부터 섭취하는 것보다 어느 정도 개선 이상으로 개선되는 비율이 많았다(도 6 및 도 7).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 배합물은 예방적 치료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처방 B의 열수추출 엑스트랙트를 복용한 피험자의 개선도에 있어서 성별의 차이에 의한 영향은 보이지 않았다(도 8 및 도 9).
의사의 치료, 약물사용 또는 타의 건강식폼을 병용한 경우와, 본 건강식품 단독으로 통한 경우와 비교하여도 거의 같은 개선도가 있어, 다른 것과 병용항여도 악영향은 없다고 생각되었다. 체형의 다름에 의한 개선도에의 영향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화분증 환자의 증상의 개선에 유효하며, 특히 시즌 전부터 예방적으로 복용함에 의해 증상의 발증을 억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화분증 환자에 대한 예방 효과
66세 여성 화분증 환자에게 3월 초순부터 2개월간, 제조예 1의 처방 A의 건강식품(원말 환산 1 g/일)을 섭취시키어 증상의 개선을 관찰하였다. 예년 콧물과 눈의 가려움으로 고통스러워, 의약품인 ambroxol hydrochloride 및 프로게스테론을 병용하고 있었으나, 섭취중에는 화분증의 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4 코 알레르기 환자에 대한 치료 효과
본 발명의 건강식품의 코 알레르기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통년성(通年性) 코 알레르기 환자를 대상으로, 제조예 1의 처방 B의 건강식품(실약)과 외관, 맛을 동일하게 한 플라세보(위약)를 이용한 single-blind 비교시험을 행하였다. 방법은 통년성 하우스더스트(HD) 코 알레르기 환자 53명(18세 이상, 병용약 불가의 조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은 코 알레르기 진단 가이드라인(코 알레르기 진료 가이드라인-통년성 비염과 화분증- 개정판(1999)-코 알레르기 진단 가이드라인 작성위원화 작성)에 기초하여, 재채기, 콧물, 코막힘의 유증자(有症者)로 콧물호산구(鼻汁好酸球) 검사, HD 피내반응, 혈중 HD RAST 치, HD 비내(鼻內)유발 검사 중 둘 이상 양성자를 통년성 HD 코 알레르기 환자로 하였다. 투여기간중에 화분증의 영향이 염려되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중증 도 분류로는, 경증(輕症) 25명, 중등도(中等度) 28명, 중증(重症) 8명이었다. 1주간의 대조관찰기간을 둔 후, 실약 또는 위약을 4주간 1일 2회(1회당 원생약 환산 1.0g) 투여하여, 증상의 추이를 환자의 알레르기 일기에 의해 판정하였다. 약제 투여 전후에는 말초혈액 검사, 간ㆍ담도계, 신기능 검사, 요 검사를 행하여 부작용의 유무에 대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12월에 투여를 행한 환자 18명에 대하여는 투여전후에 말초혈을 채취하여, 적혈구를 제거 후, 24 플레이트 내에서 진드기 항원(10 ng/ml)으로 자격(刺激)을 행하고, 7일 후의 배양 상청중의 IL-5, IFNγ의 측정을 ELISA에 의해 행하여, 비자격의 배양 상청중의 IL-5, IFNγ와의 비교에 의해, HD 자격 IL-5, IFNγ 산생량을 구하였다.
그 결과. 건강식품 투여 후, 탈락은 1 예도 보이지 않아, 실약 30명 위약 25명으로 검토가 가능하였다. 실약 군, 위약 군에서 중증 도 분류에는 차가 확인되지 않았다. 알레르기 일기로부터의 판정에서는 개선 이상의 비율은, 재채기 발작: 실약 군 20.0%, 위약 군 30.4%, 콧물, 코훌쩍임 회수: 실약 군 16.6%, 위야 군 39.1%, 코막힘: 실약 군 20.0%, 위약 군 30.4%, 알상생활에 있어서의 지장도: 실약 군 6.60%, 위약 군 13.0%로 어느 것이나 실약 군이 우수하였다. 위장(胃腸)증상 등 유의한 부작용이 발현은 실약 군, 위약 군 어느 것도 확인되지 않았다. 또, 일반 혈액검사에 의한 이상치의 출현도 없었다.
말초혈액을 이용한 사이토카인(cytokine) 산생의 검토는 IFN-γ에 대하여는 실약 군 11명, 위약 군 7명, IL-5에 대하여는 실약 군 6명, 위약 군 6명으로 행하였다. HD 자격에 의한 IFN-γ의 산생은 실약 군에서는 약제 투여 후에 투여 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5), 위약 군에서는 유의한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HD 자격에 의한 IL-5의 산생은 실약 군에서는 약제 투여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위약 군에서는 매우 가벼운 정도의 감소가 확인되었으나 유의는 아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강식품이 Th1 사이토카인 충진(充進)작용, 및 Th2 사이토카인 억제효과를 가짐이 강하게 시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건강식품이 코 알레르기 환자의 증상의 개선에 유효하며, 또한, 안전한 것이 확인되었다. I형 과민증 반응의 원인인 Th1/Th2 사이토카인의 이상한 밸런스를 조정하고, 개선하는 일이 그의 주된 작용이라 생각된다.
실시예 5 통년성 코 알레르기 환자에 대한 치료 효과
4세 남성 통년성의 코 알레르기 환자에게 제조예 1의 처방 A의 건강식품(원말 환산 1g/일)을 섭취시키어 증상의 개선을 관찰하였다. 당초 코막힘이 심하였었으나, 섭취 후 콧물이 거참없어 코상태가 좋아졌다. 1주간 후에 섭취를 중지한 바, 또 코가 막히기 시작하였다.
실시예 6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치료 효과
27세 여성의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게 제조예 1의 처방 A의 건강식품(원말 환산 1g/일)을 섭취시키어 그의 피부증상의 개선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환자는 그때까지 의약품에 의한 치료와 식품ㆍ기타의 건강식품을 섭취하고 있었으나, 명확한 증상개선은 보이지 않았다. 섭취 약 1개월 후에 관찰한 바 피부의 발적(發赤), 참출액, 가려움 등이 경감되고, 가려움도 급격히 없어졌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건강식품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의 개선에 유효함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7 소아 천식에 대한 치료 효과
7세 남성 소아 천식환자에게 제조예 1의 처방 A의 건강식품(원말 환산 1.5g/일)을 섭취시키어 증상의 개선을 관찰하였다. 당초 의약품에 의한 치료도 하고 있었으나, 먼지에 노출됨에 의해 곧 천식증상이 보였다. 섭취후는 기침이 줄고, 코막힘이 매우 개선되었다.
실시예 8 담마진에 대한 치료 효과
23세 여성으로 반년전 임신중절하고부터 매일 밤, 복부ㆍ수족을 중신으로 한 피부의 연한 곳에 지도 모양의 담마진이 나고 있었으나, 제조예 1의 처방 A의 건강식품(원말 환산 1.0g×3회/일)을 섭취시키어 6개월간 증상의 개선을 관찰한 바, 섭취기간의 사이 조금씩 증상의 개선이 보였다.
실시예 9 안전성의 확인시험
제조예 1의 처방 A 및 B의 사람에 대한 안전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건강상태의 성인 남성 7명에게 2주간에 걸쳐 1일 2회(1회 당 원생약 환산 1.0g) 섭식(攝食)시키었다. 섭식개시전, 개시후 1 및 2주째에 채혈을 행하여, 일반 임상검사(혈액학적 검사(백혈구 수, 적혈구 수, 헤모글로빈 양, 헤마톨로크릿 치, MCV, MHC, MCHC, 혈소판 수, 백혈구 상), 혈액 생화학적 검사(총단배, 알부민, A/G, 총 빌리루빈, MCV, MHC, MCHC, GOT, GTP, 알칼리포스파타제, γ-GTP,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요소 질소, 요산, 크레아티닌) 및 면역 생화학 검사(비특이적 IgE, 비특이적 IgG, 트랜스페린))와 아울러 의사에 의한 문진ㆍ청타진, 이학적 검사(체온, 맥박, 혈압)를 실시하여, 본 건강식품 섭식의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2주간의 섭식에 의한 시험실시 기간중, 자각증상, 타각소견 및 면역 생화학 검사를 포함한 임상검사치에 대하여, 시험식품 섭취에 기인한다고 생각되는 유해사상(有害事象)은 확인되지 않아, 제조예 1의 건강식품은 처방 A, 처방 B 함께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0 건강식품으로서의 안전성
본 발명의 건강식품을 건강상태의 남성에게 6년간 섭취시키었다. 섭취개시 시는 36세. 최초의 2년간은 처방 A의 배합생약 원말을 1일 당 평균 1g, 그 후는 처방 A의 건강식품을 평균 1일 당 원말 환산 1g을 섭취하였다. 그 결과 섭취기간중 일반 혈액 성상(性狀), 건강상태 등에 악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11 임신시에 사용한 때의 안전성
제조예 1의 처방 B를 임신중의 29세 여성이 섭취하고 있었으나, 임신중, 분만 또는 분만후의 예후(豫後)까지 건강상태에 악영향은 보이지 않았다. 또, 출산한 남자에게도 이상없었고, 그 후도 건강하게 성장하고 있다.
실시예 12 동물의 피부염에 대한 치료 효과성
수의병원에 통원하는 IgF 항체 양성의 피부염의 개 22마리(연령: 생후 반년∼14세, 성별: 수컷 5마리, 암컷 17마리, 품종: 퍼그 5마리, 시바이누 3마리, 말티즈 3마리, 잡종 3마리, 시즈 2마리, 캐발리아 킹 찰레스 스파니엘 1마리, 보스턴 테리어 1마리, 일본견 1마리, 미니어쳐 닥스헌드 1마리, 프렌치 불독 1마리, 라브라더 리트리버 11마리,)에게 제조예 1의 처방 A를 정제(원말로 1.0g을 4정에 포함) 또는 과립(원말 1.0g을 1.0g의 과립에 포함)으로 가공한 것을 1개월간 섭취시켜, 피부염에의 완화효과를 검토하였다. 1일 당 섭취량은 체중 5kg 이하, 5∼10kg 또는 10∼20kg의 경우에 각각 정제이면 2, 4 또는 8정, 과립이면 0.5g, 1.0g 또는 2.0g을 표준량으로 하였다. 평가항목은 1. 홍반(紅斑), 2. 건조ㆍ낙설(落屑) 등, 3. 구진(丘疹), 4. 소양(搔痒)으로, 각각 1∼5의 5 단계로 평가하였다. 그런 평가로 개 전체적 병태의 판정을, 1. 증상의 소실, 2. 현저한 개선, 3. 개선, 4, 약간 개선, 5. 변화 없음, 6. 악화의 여섯으로 수의사가 판정하였다. 의약품을 병용하지 않고 본 발명의 건강식품 단독섭취로 경과관찰한 것은 12마리로, 병태의 판정은 현저한 개선 2마리, 개선 2마리, 약간 개선 6마리, 변화 없음 2마리로, 악화예는 전혀 없었다. 또, 스테로이드제(劑) 등의 의약품을 본 발명의 건강식품과 병용하여 치료한 개는 10마리로, 병태의 판정은 현저한 개선 2마리, 개선 2마리, 약간 개선 3마리, 변화 없음 4마리로, 악화예는 전혀 없었다. 평가항목 넷의 증상 전체에 관하여서의 개선예가 보였다. 병용약을 사용한 예 중에는 의약품의 사용량이 반감하는 등의 효과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해 개의 알레르기성 피부염에 대하여도 양호한 완화작용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약함유 조성물의 종래에 없는 사람 또는 컴포니언 동물의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 담마진의 안전하며 우수한 치료제가 제공된다. 특히, 화분증에 있어서는 시즌 전부터의 복용에 의해 증상의 발증을 억제할 수 있는 예방약으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부작용의 우려가 없어, 의약품으로서 뿐 아니라 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으로서 장기간 상용(常用)할 수가 있다.

Claims (16)

  1.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薏苡仁), 건강(乾姜), 울금(鬱金), 아술(莪술), 및 애엽(艾葉)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분증(花粉症),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 담마진(蕁麻疹)의 예방 또는 치료 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또는 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 용의 조성물.
  3. 제 1 항 내지 제 2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남과씨, 홍화, 차전, 및 인동의 4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 용 조성물.
  4.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및 애엽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을 해마다 화분증을 발증하는 포유류에게 시즌 전부터 투여하기 위한 화분증 예방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남과씨, 홍화, 차전, 및 인동의 4종의 생약인 예방용 조성물.
  6. 제 4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포유류가 사람인 화분증의 예방용 조성물.
  7.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및 애엽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 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의 조제방법.
  8.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및 애엽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을 해마다 화분증을 발증하는 환자에게 시즌 전부터 투여하기 위한 화분증 예방용 조성물의 조제방법.
  9.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및 애엽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 담마진을 예방 또는 증상개선ㆍ경감하기 위한 건강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남과씨, 홍화, 차전 및 인동의 4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
  11. 제 9 항 내지 제 10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또는 담마진을 예방 또는 증상개선ㆍ경감하기 위한 조성물.
  12.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및 애엽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분증의 발진을 예방하기 위한 건강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남과씨, 홍화, 차전 및 인동의 4종의 생약을 유요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
  14. 남과씨 및 홍화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및 애엽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 담마진을 예방 또는 증상개선ㆍ경감하기 위한 동물용 건강식품 또는 동물용 기능성 식품.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남과씨가 20∼60 중량% 및 홍화가 10∼40 중량%의 2종의 생약과 차전, 인동, 감초, 의이인, 건강, 울금, 아술, 및 애엽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생약이 5∼50 중량%의 배합비율인 조성물, 건강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
  16. 제 15 항에 있어서,
    남과씨가 30∼50 중량%, 홍화가 10∼30 중량%, 차전이 5∼30 중량%, 및 인동이 5∼30 중량%의 배합비율인 조성물, 건강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
KR10-2004-7016942A 2002-04-22 2003-04-21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 용 조성물 KR20050018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6942A KR20050018662A (ko) 2002-04-22 2003-04-21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 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26,779 2002-04-22
KR10-2004-7016942A KR20050018662A (ko) 2002-04-22 2003-04-21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 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662A true KR20050018662A (ko) 2005-02-23

Family

ID=4178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942A KR20050018662A (ko) 2002-04-22 2003-04-21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 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86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502B1 (ko) * 2007-04-12 2007-07-24 이용운 아토피 치료 한방 조성물
KR101485261B1 (ko) * 2013-11-07 2015-01-21 육은자 율무를 포함하는 변비개선 및 피로회복용 환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502B1 (ko) * 2007-04-12 2007-07-24 이용운 아토피 치료 한방 조성물
KR101485261B1 (ko) * 2013-11-07 2015-01-21 육은자 율무를 포함하는 변비개선 및 피로회복용 환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1801B2 (ja) 花粉症、アレルギー性鼻炎、アトピー性皮膚炎、喘息又は蕁麻疹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ZA200506723B (en) Composition for treating hepatitis C
EP1993521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pocynin , ginkgo and ginger and uses thereo
Jodh et al. Pharmacological review on Madhuca longifolia
JP2006514041A (ja) 混合生薬材を用いた肥満抑制用組成物
KR102358713B1 (ko)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를 위한 오가피, 교맥 및 목과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20670B1 (ko) 황백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ⅳ형 알레르기 및 염증치료용 조성물
KR20050018662A (ko) 화분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또는담마진의 예방 또는 치료 용 조성물
KR102192586B1 (ko) 아위버섯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0720671B1 (ko) 진교, 진피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ⅳ형 알레르기 및염증 치료용 조성물
JP2007131592A (ja) プロポリスを含有する花粉症及び/又はハウスダストアレルギー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組成物
AU2019100737A4 (en) Anti-Helicobacter Pylori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sition and applications
Hadi et al. Beneficial effects of gourds in health and diseases
JP4594864B2 (ja) 卵胞刺激ホルモン減少剤
KR20210121602A (ko)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를 위한 계지, 백출, 당귀 및 건강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umar et al. Role of Katankateryadi Kwatha in Insulin Secretion and Restoration of Biochemical Changes in Streptozotocin-Nicotinamide Induced Diabetes Mellitus Type 2 in Rats
CN112205494A (zh) 一种生地清热茶及其制备方法
JPWO2004091643A1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増加剤
RO122339B1 (ro) Supliment nutritiv cu îndulcitor vegetal bogat în bioflavonoide şi vitamina c
RO122016B1 (ro) Supliment nutritiv natural, pentru reglarea secreţiilor gastrice şi îmbunătăţirea digestie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925

Effective date: 2011022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0100891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925

Effective date: 2011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