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950B1 -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950B1
KR100982950B1 KR20100022779A KR20100022779A KR100982950B1 KR 100982950 B1 KR100982950 B1 KR 100982950B1 KR 20100022779 A KR20100022779 A KR 20100022779A KR 20100022779 A KR20100022779 A KR 20100022779A KR 100982950 B1 KR100982950 B1 KR 100982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extrusion
shaft
heating cylinde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2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길돈
장우상
Original Assignee
주길돈
주식회사 오성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길돈, 주식회사 오성개발 filed Critical 주길돈
Priority to KR2010002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8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industrial residues and wast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20Agglomeration, binding or encapsulation of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22Extrusion presses; Dies therefor
    • B30B11/221Extrusion presses; Dies therefor extrusion 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2Hop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6Specific details of the apparatus for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의 상부에 스크류축이 삽입된 히팅실린더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히팅실린더의 일측으로 노출된 스크류축이 구동부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히팅실린더의 일측 상부에 호퍼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히팅실린더의 타측에 압출부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된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팅실린더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
Figure 112010016209991-pat00008
"형태를 갖는 축삽입홀에 상기 스크류축이 삽입되어지며, 양측에 각각 실린더플랜지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히팅실린더의 외주연부에 밴드히터가 감싸여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압출부는 압출플랜지에 의하여 실린더플랜지에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는 압출다이스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압출다이스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
Figure 112010016209991-pat00009
"형태를 갖는 분기부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분기부의 내주연부 가장자리에 분기압출홀이 타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분기압출홀과 외주연부 사이에 다수개의 걸림턱홀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볼트로 압출플랜지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걸림턱홀의 내부에 히터가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SOLID STYLE FULE MANUFACTURING EQUIPMENT OF WASTE}
본 발명은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설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을 비롯하여 생활폐기물에서 발생되는 가연성재료를 가열, 압축, 성형, 절단 및 경화되어지도록 하여 양질의 고체화된 고형 연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이나 재건축현장에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은 다량의 폐골재를 비롯하여 폐종이, 폐섬유, 폐플라스틱, 폐스티로폼, 폐합성수지, 폐가죽, 폐고무, 폐비닐, 폐목재 및 폐타이어(이하, "폐가연성재료"라 칭함)가 혼합된 상태로 있고, 생활폐기물속에는 폐골재가 혼합된 비율이 낮은 반면, 폐가연성재료의 혼합비율이 높게 된다.
폐기물은 이를 단순 매립으로 처리할 경우, 토양 오염을 가중시키면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게 됨에 따라 통상 폐골재로부터 폐가연성재료를 선별하여 골재는 재사용되어지도록 하며 나머지 폐가연성재료는 소각처리하고 있다.
폐기물을 소각처리하는 과정에서 폐기물속에 포함된 골재와 폐가연성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건식 또는 습식분리장치를 비롯하여 이송장치, 건조장치 및 소각장치가 필요하게 됨으로써, 이를 설치하는데 따른 공간 확보, 자재, 인력, 운전 및 유지보수에 따른 많은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폐기물을 소각처리하는 방법 이외에 이를 연료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되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연료화 방법은 폐가연성재료에 적당량의 슬러지가 혼합된 상태에서 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축성형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크기가 작은 연료가 다량으로 제조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프레스의 1회 압축성형에 따라 비교적 크기가 큰 연료만이 압축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스를 이용하여 연료가 제조되어지는 과정은 오픈된 프레스의 내부로 폐가연성재료와 슬러지가 투입되어지고, 프레스가 닫혀 폐가연성재료와 슬러지가 가압되어진 후 닫혀진 프레스가 오픈되어 압축성형된 연료가 배출되어지는 과정이 반복되어지게 됨에 따라 연료가 일정 주기로 제조되어지게 됨에 따라 생산성이 낮아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을 비롯하여 생활폐기물에서 발생되는 가연성재료를 가열, 압축, 성형, 절단 및 경화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고체화된 고형 연료가 대량으로 제조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F)의 상부에 스크류축(20)이 삽입된 히팅실린더(1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히팅실린더(10)의 일측으로 노출된 스크류축(20)이 구동부(30)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히팅실린더(10)의 일측 상부에 호퍼(4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히팅실린더(10)의 타측에 압출부(50)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된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A)에 있어서, 상기 히팅실린더(1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
Figure 112010049414355-pat00001
"형태를 갖는 축삽입홀(101)에 상기 스크류축(20)이 삽입되어지며, 양측에 각각 실린더플랜지(102)(102')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히팅실린더(10)의 외주연부에 밴드히터(11)가 감싸여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압출부(50)는 압출플랜지(51)에 의하여 실린더플랜지(102)에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는 압출다이스(52)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압출다이스(52)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
Figure 112010049414355-pat00002
"형태를 갖는 분기부(521)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분기부(521)의 내주연부 가장자리에 분기압출홀(522)이 타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분기압출홀(522)과 외주연부 사이에 다수개의 걸림턱홀(523)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볼트(B)로 압출플랜지(51)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걸림턱홀(523)의 내부에 히터(53)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압출다이스(52)에 형성된 분기압출홀(522)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단면적이 좁아지는 단턱관의 형태를 갖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분기압출홀(522)이 끝나는 압출다이스(52)의 전면에 절단부(6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절단부(60)는 압출다이스(52)의 중앙에 형성된 암나사(61)에 고정축(62)의 일측이 나사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축(62)의 타측에 커팅블레이드(63)를 갖는 보스(6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보스(64)에 종동스프라켓휘일(65)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보스(64)가 관통되게 노출된 고정축(62)에 스프링(66)이 삽입되어지며, 상기 스프링(66)은 고정너트(67)에 의하여 결합된 트러스트베어링(68)에 의하여 지지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종동스프라켓휘일(65)은 구동모터(69)의 구동스프라켓휘일(691)에 체인(692)으로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축(20)은 오른나선블레이드(201)가 감겨진 오른나사타입과, 왼나선블레이드(202)가 감겨진 왼나사타입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오른나선블레이드(201)와 왼나선블레이드(202)가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히팅실린더(10)의 일측으로 노출된 스크류축(20)은 단부에 제1숫스플라인(203)(204)이 형성되어 각각 커플링축(21)에 형성된 암스프라인(211)의 일측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커플링축(21)의 암스플라인(211) 타측에 맞물림기어(221)를 갖는 구동축(22)의 제2숫수플라인(222)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커팅블레이드(63)는 2열의 장공(632)이 형성된 블레이드몸체(631)의 양측에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커팅면(633)이 형성되어 보스(64)의 외주연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편(641)에 맞대어지게 볼트(B)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0)는 프레임(F)의 일측 하부에 결합된 구동모터(31)의 구동휘일(311)에 벨트(32)의 일측이 걸려지며, 상기 벨트(32)의 타측이 감속기어부(33)의 종동풀리(34)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감속기어부(33)의 출력측에 상기 구동축(22)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구동축(22)의 맞물림기어(221)가 서로 맞물려 연동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과 생활폐기물에서 발생되는 가연성재료를 가열, 압축, 성형, 절단 및 경화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고체화된 고형 연료가 대량으로 제조되어 가격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량의 가연성재료가 매립으로 처리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가연성재료가 연료로 사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에너지원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연료화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연료화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연료화 장치의 요부를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연료화 장치의 요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연료화 장치의 요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연료화 장치의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연료화 장치(A)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폐기물과 생활폐기물에서 발생되는 가연성재료를 가열, 압축, 성형, 절단 및 경화시켜 고체화된 고형 연료가 제조되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프레임(F)의 상부에 스크류축(2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히팅실린더(1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히팅실린더(10)의 일측으로 노출된 스크류축(20)이 구동부(30)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히팅실린더(10)의 일측 상부에 호퍼(4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히팅실린더(10)의 타측에 압출부(50)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F)은 상부의 히팅실린더(10)와 구동부(30) 및 압출부(50) 등이 충분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I형강과 찬넬을 이용하여 박스 테두리의 형태로 용접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F)의 상부 일측에는 구동부(30)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프레임(F)의 상부 타측에는 지지판(P)이 결합되어 히팅실린더(10) 및 압출부(50)가 안정된 상태로 받쳐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히팅실린더(10)는 이물질과 수분이 제거된 순수한 가연성재료가 호퍼(40)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어 이송되는 가운데 가열 및 융해되어진 후 압출부(50)를 통해 압출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히팅실린더(10)는 외부가 둥근형태를 가지며 내부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
Figure 112010016209991-pat00003
"형태를 갖는 축삽입홀(101)이 형성되어 각각 스크류축(2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히팅실린더(10)의 양측에는 각각 실린더플랜지(102)(10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의 실린더플랜지(102)에는 커플링축(21)을 커버하는 커플링보호구(23)가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되어지고, 타측의 실린더플랜지(102)에는 압출부(50)를 구성하는 압출플랜지(51)가 볼트(B)로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히팅실린더(10)의 외주연부에는 축삽입홀(101)을 통해 이송되어지는 가연성재료가 용융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미도시한 전원이 인가되어지는 다수개의 밴드히터(11)가 감싸여지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축(20)은 호퍼(40)를 통해 축삽입홀(101)로 투입된 가연성재료가 압출부(50)를 향하여 이송되어지는 가운데 밴드히터(11)의 열에 의하여 용융되어지며, 용융되어진 액상형태의 가연성재료가 압출부(50)를 통해 압출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스크류축(20)은 오른나선블레이드(201)가 감겨진 오른나사타입과, 왼나선블레이드(202)가 감겨진 왼나사타입으로 형성되어 상기 오른나선블레이드(201)와 왼나선블레이드(202)가 일정한 길이 만큼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어 가연성재료가 축삽입홀(101)의 내부에서 중앙으로 모임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압축 이송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히팅실린더(10)의 일측으로 노출된 각각의 스크류축(20)은 단부에 제1숫스플라인(203)(204)이 형성되어 커플링축(21)에 형성된 암스플라인(211)의 일측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커플링축(21)의 암스플라인(211) 타측에 맞물림기어(221)를 갖는 구동축(22)의 제2숫수플라인(222)이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30)는 구동모터(3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스크류축(20)이 일정속도로 회전되어지게 하여 히팅실린더(10)의 내부로 투입된 가연성재료가 이송, 용융 및 압축 되게 하는 것으로 프레임(F)의 일측 하부에 구동휘일(311)을 갖는 구동모터(31)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구동휘일(311)에 벨트(32)의 일측이 걸려지며, 상기 벨트(32)의 타측이 감속기어부(33)의 종동풀리(34)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감속기어부(33)의 출력측에 맞물림기어(221)가 서로 맞물려지게 결합된 구동축(22)이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감속기어부(33)의 출력측에 결합된 구동축(22)의 타측단은 제2숫스플라인(22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커플링축(21)의 암스플라인(211)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감속기어부(33)의 출력측에 결합된 부분과 제2숫스플라인(222)이 형성된 가운데 부분에 각각 맞물림기어(221)가 구비되어 서로 맞물려져 있음으로써, 스크류축(20)이 동시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호퍼(40)는 미도시한 투입컨베이어 또는 스크류컨베이어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순수한 가연성재료가 히팅실린더(10)의 축삽입홀(101)로 용이하게 투입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출부(50)는 히팅실린더(10)의 축삽입홀(101) 내부를 따라 이송되어지는 가운데 용융되어진 액상형태의 가연성재료가 여러방향으로 압출되어짐과 동시에 일정길이로 절단되어지게 하는 기능이 제공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상기 압출부(50)는 압출플랜지(51)에 의하여 실린더플랜지(102)에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되어지는 압출다이스(53)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압출다이스(53)는 원통형태를 갖는 내부에 일측은 개방되어지며 타측방향이 폐쇄된 "
Figure 112010016209991-pat00004
"형태를 갖는 분기부(52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분기부(521)의 내주연부 가장자리 내측에 다수개의 분기압출홀(522)이 타측을 향하여 관통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분기압출홀(522)과 외주연부 사이에 다수개의 걸림턱홀(523)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볼트(B)에 의하여 압출플랜지(51)에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출다이스(52)에 형성된 분기압출홀(522)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단면적이 좁아지는 단턱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압출저항을 줄임과 동시에 압출되어지는 과정에서 단턱관의 내면에 의하여 압착되어 내부가 비어있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볼트(B)에 의하여 압출플랜지(51)에 결합된 걸림턱홀(523)의 내부에는 미도시한 전원이 인가되어지는 히터(53)가 삽입되어 분기압출홀(522)을 통해 압출되어지는 용융된 가연성재료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원활하게 압출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용융되어지는 액상형태의 가연성재료가 외부를 감싼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 압출다이스(52)에는 상기 분기압출홀(522)이 끝나는 압출다이스(52)의 전면에 절단부(60)가 결합되어지며, 이러한 절단부(60)는 분기압출홀(522)을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되어지는 가연성재료가 용이하게 일정길이로 절단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절단부(60)는 압출다이스(52)에 형성된 암나사(61)에 고정축(62)의 일측이 나사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축(62)의 타측에 커팅블레이드(63)가 결합된 보스(6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있다.
상기 보스(64)에는 종동스프라켓휘일(65)이 일체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체인(692)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분기압출홀(522)을 통해 압출되어지는 가연성재료가 연속적으로 절단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스(64)가 관통되게 노출된 고정축(62)에는 스프링(66)이 삽입되어지며, 상기 스프링(66)은 고정너트(67)에 의하여 결합된 트러스트베어링(68)에 의하여 지지되게 결합되어짐으로써, 후술하는 커팅블레이드(63)가 배출다이스(55)의 전면에 밀착되어 절단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동스프라켓휘일(65)은 구동모터(69)의 구동스프라켓휘일(691)에 체인(692)으로 연결되어 정확한 구동력에 의하여 배출되어지는 가연성재료가 절단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팅블레이드(63)는 2열의 장공(632)이 형성된 블레이드몸체(631)의 양측에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커팅면(633)이 형성되어 보스(64)의 외주연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편(641)에 맞대어지게 볼트(B)로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몸체(631)의 양측에 경사진 커팅면(633)이 형성되어짐으로써, 일측의 커팅면(633)이 마모 또는 파손되었을 경우, 볼트(B)를 풀어 블레이드몸체(631)의 방향을 바꾸어 양측방향 모두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고형 연료화 장치에 의하여 가연성재료가 고체화된 고형 연료로 배출되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모터(31)의 구동에 따라 구동휘일(311)이 회전됨과 동시에 벨트(32)에 의하여 종동풀리(34)가 회전됨으로써, 종동풀리(34)의 회전력은 감속기어부(33)에서 감속되어진 후 구동축(22)으로 전달되어지는 가운데 구동축(22)이 서로 맞물림기어(221)에 의하여 맞물려져 일측의 구동축(2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가운데 타측의 구동축(22)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지게 된다.
다음, 구동축(22)에 형성된 제2숫스플라인(222)이 커플링축(21)의 일측에 형성된 암스플라인(211)에 결합되어지며, 커플링축(21)의 타측으로 형성된 암스플라인(211)에 스크류축(20)에 형성된 제1숫스플라인(203)(204)이 각각 결합되어져 있음으로써, 구동축(22)의 회전에 의하여 스크류축(20)이 연동되어지게 된다.
다음, 스크류축(20)이 연동되어지는 가운데 이물질이 제거된 가연성재료가 호퍼(40)를 통해 히팅실린더(10)의 축삽입홀(101)로 투입되어지게 되며, 투입되어진 가연성재료는 회전하는 스크류축(20)의 오른나선블레이드(201)와 왼나선블레이드(202)에 의하여 압출부(50)가 결합된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이송되어지게 된다. 이때 히팅실린더(10)의 외주연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밴드히터(11)에 의하여 발생된 열에 의하여 가연성재료가 용융되어지게 된다.
다음, 용융되어진 가연성재료는 압출플랜지(51)를 경유하여 압출부(50)를 구성하는 압출다이스(52)의 분기부(521)로 배출되어지며, 배출되어진 가연성재료는 분기부(521)의
Figure 112010016209991-pat00005
형태에 따라 가장자리측으로 이송되어지면서 더 압축되어진 후 분기부(52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개의 분기압출홀(522)을 통해 외부로 압출되어지게 된다.
이때, 압출다이스(52)의 걸림턱홀(523)에 삽입된 히터(53)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가열되어짐으로써, 압출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분기압출홀(522)이 일측에서 타측 즉,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향하여 단면적이 적어지는 단턱형태를 갖도록 하여 밀도가 높아진 형태를 갖게 된다.
다음, 분기압출홀(522)을 통해 가연성재료가 압출되어짐과 동시에 구동모터(31)의 구동으로 인하여 구동스프라켓휘일(691)이 회전되어 체인(692)을 구동시키게 됨에 따라 체인(692)에 연결된 종동스프라켓휘일(65)이 연동되어지게 된다.
다음, 종동스프라켓(65)의 연동에 의하여 고정축(62)에 끼워진 보스(64)가 회전됨에 따라 고정편(641)에 볼트(B)로 결합된 커팅블레이드(63)가 회전되어지게 되고, 커팅블레이드(63)의 회전에 의하여 커팅면(633)이 배출다이스(55)에 형성된 배출홀(551)의 전면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회전됨으로써, 배출홀(551)을 통해 압출되어지는 가연성재료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고형연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10:히팅실린더 11:밴드히터
20:스크류축 30:구동부
40:호퍼 50:압출부
51:압출플랜지 52:압출다이스
53:히터 101:삽입홀
102,102':실린더플랜지 521:분기부
522:분기압출홀 523:걸림턱홀

Claims (5)

  1. 프레임(F)의 상부에 스크류축(20)이 삽입된 히팅실린더(1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히팅실린더(10)의 일측으로 노출된 스크류축(20)이 구동부(30)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히팅실린더(10)의 일측 상부에 호퍼(4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히팅실린더(10)의 타측에 압출부(50)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된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A)에 있어서,
    상기 히팅실린더(1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
    Figure 112010049414355-pat00006
    "형태를 갖는 축삽입홀(101)에 상기 스크류축(20)이 삽입되어지며, 양측에 각각 실린더플랜지(102)(102')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히팅실린더(10)의 외주연부에 밴드히터(11)가 감싸여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압출부(50)는 압출플랜지(51)에 의하여 실린더플랜지(102)에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는 압출다이스(52)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압출다이스(52)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
    Figure 112010049414355-pat00007
    "형태를 갖는 분기부(521)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분기부(521)의 내주연부 가장자리에 분기압출홀(522)이 타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분기압출홀(522)과 외주연부 사이에 다수개의 걸림턱홀(523)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볼트(B)로 압출플랜지(51)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걸림턱홀(523)의 내부에 히터(53)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압출다이스(52)에 형성된 분기압출홀(522)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단면적이 좁아지는 단턱관의 형태를 갖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분기압출홀(522)이 끝나는 압출다이스(52)의 전면에 절단부(6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절단부(60)는 압출다이스(52)의 중앙에 형성된 암나사(61)에 고정축(62)의 일측이 나사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축(62)의 타측에 커팅블레이드(63)를 갖는 보스(6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보스(64)에 종동스프라켓휘일(65)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보스(64)가 관통되게 노출된 고정축(62)에 스프링(66)이 삽입되어지며, 상기 스프링(66)은 고정너트(67)에 의하여 결합된 트러스트베어링(68)에 의하여 지지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종동스프라켓휘일(65)은 구동모터(69)의 구동스프라켓휘일(691)에 체인(692)으로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20)은 오른나선블레이드(201)가 감겨진 오른나사타입과, 왼나선블레이드(202)가 감겨진 왼나사타입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오른나선블레이드(201)와 왼나선블레이드(202)가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히팅실린더(10)의 일측으로 노출된 스크류축(20)은 단부에 제1숫스플라인(203)(204)이 형성되어 각각 커플링축(21)에 형성된 암스프라인(211)의 일측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커플링축(21)의 암스플라인(211) 타측에 맞물림기어(221)를 갖는 구동축(22)의 제2숫수플라인(222)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블레이드(63)는 2열의 장공(632)이 형성된 블레이드몸체(631)의 양측에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커팅면(633)이 형성되어 보스(64)의 외주연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편(641)에 맞대어지게 볼트(B)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는 프레임(F)의 일측 하부에 결합된 구동모터(31)의 구동휘일(311)에 벨트(32)의 일측이 걸려지며, 상기 벨트(32)의 타측이 감속기어부(33)의 종동풀리(34)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감속기어부(33)의 출력측에 상기 구동축(22)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구동축(22)의 맞물림기어(221)가 서로 맞물려 연동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
KR20100022779A 2010-03-15 2010-03-15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 KR100982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2779A KR100982950B1 (ko) 2010-03-15 2010-03-15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2779A KR100982950B1 (ko) 2010-03-15 2010-03-15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950B1 true KR100982950B1 (ko) 2010-09-17

Family

ID=4301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22779A KR100982950B1 (ko) 2010-03-15 2010-03-15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9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249B1 (ko) * 2018-05-08 2019-02-22 주식회사 지티앤티 펠릿 성형 장치
WO2022018084A1 (fr) * 2020-07-21 2022-01-27 Clextral Filière pour l'extrusion d'une matière riche en protéines et en eau, ainsi que machine d'extrusion comportant une telle filière
CN116512656A (zh) * 2023-07-05 2023-08-01 江苏锦明再生资源有限公司 一种固体废料回收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131A (ko) * 2002-01-26 2003-07-31 한반도환경산업 주식회사 가연성폐기물 건조 및 열분해 성형장치
KR20030069606A (ko) * 2002-02-22 2003-08-27 주식회사 동방이엔지 쓰레기고형연료 압출기
JP2009280632A (ja) 2008-05-19 2009-12-03 Kinki:Kk 固形燃料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131A (ko) * 2002-01-26 2003-07-31 한반도환경산업 주식회사 가연성폐기물 건조 및 열분해 성형장치
KR20030069606A (ko) * 2002-02-22 2003-08-27 주식회사 동방이엔지 쓰레기고형연료 압출기
JP2009280632A (ja) 2008-05-19 2009-12-03 Kinki:Kk 固形燃料成形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249B1 (ko) * 2018-05-08 2019-02-22 주식회사 지티앤티 펠릿 성형 장치
WO2022018084A1 (fr) * 2020-07-21 2022-01-27 Clextral Filière pour l'extrusion d'une matière riche en protéines et en eau, ainsi que machine d'extrusion comportant une telle filière
FR3112669A1 (fr) * 2020-07-21 2022-01-28 Clextral Filière pour l’extrusion d’une matière riche en protéines et en eau, ainsi que machine d’extrusion comportant une telle filière
CN116512656A (zh) * 2023-07-05 2023-08-01 江苏锦明再生资源有限公司 一种固体废料回收装置
CN116512656B (zh) * 2023-07-05 2023-09-05 江苏锦明再生资源有限公司 一种固体废料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8030C (en) Solidif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solidification processing apparatus
FR2575943A1 (fr) Procede de compactage et de solidification de dechets solides, appareil pour mettre en oeuvre ce procede et installation d'elimination de ces dechets
JPS6310253Y2 (ko)
KR100982950B1 (ko)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
KR100913928B1 (ko) 고형연료 성형기
KR100995317B1 (ko) 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
FR2563462A1 (fr) Produit composite constitue d'un melange de particules cellulosiques et d'un liant thermoplastiqu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KR101001987B1 (ko) 폐기물 고형연료 성형관 및 이를 포함한 폐기물 고형연료 성형장치
KR100926718B1 (ko) 폐기물 성형기
KR20120054382A (ko) 고형연료 성형기
KR101044098B1 (ko) 고체연료 성형기
CN217288560U (zh) 一种橡胶助剂的粉碎装置
KR101228036B1 (ko) 폐비닐을 이용한 재생연료 제조장치
KR100545124B1 (ko)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성형장치
KR100442051B1 (ko) 쓰레기 고형연료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N210753057U (zh) 一种螺旋破碎机
KR101407496B1 (ko) 폐기물 고형 연료 제조 장치
JPH0390313A (ja) 破砕圧縮装置
KR20110000219A (ko) 열분해 용융장치로의 폐비닐 이송장치
KR200310158Y1 (ko)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성형장치
KR20210072311A (ko) 유압방식의 고형연료 압출 성형기
KR102041288B1 (ko) 발포합성수지와 분진을 이용한 연료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395531B1 (ko) 폐기물 압착 성형장치
CN211941985U (zh) 一种便于泡棉废料再利用的挤出机
KR100466032B1 (ko) 폐기물 처리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