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895B1 -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895B1
KR100982895B1 KR1020100050844A KR20100050844A KR100982895B1 KR 100982895 B1 KR100982895 B1 KR 100982895B1 KR 1020100050844 A KR1020100050844 A KR 1020100050844A KR 20100050844 A KR20100050844 A KR 20100050844A KR 100982895 B1 KR100982895 B1 KR 100982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belt
sealing device
cam
dow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7077A (ko
Inventor
박근배
안숙
Original Assignee
(주)하이텍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텍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하이텍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100050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8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89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 등에서 컨베이어 벨트로 석탄 등을 이송할 때, 호퍼 슈트를 통해 석탄을 반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낙탄과 분진을 막아주는 스커트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링크 구조의 힌지를 이용하여 스커트 벨트를 위아래로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새로운 형태의 스커트 벨트 실링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의 상하 운동시 스커트 벨트가 자중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승 및 하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낙탄이나 분진의 완벽한 밀폐가 가능할 뿐 아니라, 스커트 벨트가 마모될 때까지 연속 사용할 수 있는 한편, 작업자에 의한 원터치 조작이 가능한 캠방식의 클램핑 및 언클램핑 수단을 이용하여 러버 재질의 스커트 벨트를 잡아주는 새로운 형태의 스커트 벨트 고정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스커트 벨트 교체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Skirt sealing device for hopper chute}
본 발명은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력발전소 등에서 컨베이어 벨트로 석탄 등을 이송할 때, 호퍼 슈트를 통해 석탄을 반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낙탄과 분진을 막아주는 스커트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 발전소 또는 제철소 등에서 석탄 또는 광석 등 원료의 하역 작업은 적치 작업 계획에 따라 선박을 통하여 운반된 각종 원료를 종류, 적치 야드, 반입 라인 조건 등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하역 라인별로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의하여 반입라인으로 원료를 이송시킨다.
예를 들면, 석탄 등 원료는 호퍼에 적재한 후, 호퍼 슈트를 통해 컨베이어 벨트로 반입하여 이송시킨다.
상기 호퍼 슈트는 일정의 낙하물을 받아들여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집적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면, 상기 호퍼 슈트는 화력 발전소 등에서 석탄 등의 원료를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석탄을 집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렇게 컨베이어 벨트로 석탄을 이송할 때, 호퍼 슈트를 통해 석탄을 반입되는 과정에서 낙탄과 분진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호퍼 슈트의 하단부에 러버 재질의 실링재로 되어 있는 스커트 실링장치를 설치하여 낙탄과 분진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보통 스커트 실링장치는 낙탄과 분진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벨트와의 마모에 의해 본래의 밀폐기능을 잃게 되며, 이때에는 새로운 스커트 실링장치로 교체하여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커트 실링장치는 호퍼 슈트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 부분이 마모된 상태에서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하 운동시 충분한 실링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링판 마모시 교체를 위하여 고정 플레이트를 해체하는 경우, 고정 걸쇠 탈거 및 고정판 해체 등 장시간의 정비시간이 소요되는 등 정비 효율 저하와 과다한 정비 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링크 구조의 힌지를 이용하여 스커트 벨트를 위아래로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새로운 형태의 스커트 벨트 실링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의 상하 운동시 스커트 벨트가 자중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승 및 하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낙탄이나 분진의 완벽한 밀폐가 가능할 뿐 아니라, 스커트 벨트가 마모될 때까지 연속 사용이 가능한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에 의한 원터치 조작이 가능한 캠방식의 클램핑 및 언클램핑 수단을 이용하여 러버 재질의 스커트 벨트를 잡아주는 새로운 형태의 스커트 벨트 고정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스커트 벨트 교체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는 호퍼 슈트의 하단 프레임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측 제1힌지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는 링크에 의해 제2힌지 샤프트를 통해 지지되면서 상하 운동이 가능한 업다운 플레이트와, 상기 업다운 플레이트의 하단부를 따라 설치되면서 컨베이어 벨트와 접촉되는 것으로서, 젖힘 조작에 의해 클램핑 및 언클램핑이 가능한 록킹 핸들에 의해 가압되면서 업다운 플레이트측에 밀착 고정되는 스커트 벨트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컨베이어 벨트의 상하 운동시 벨트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자중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면서 벨트측과 상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록킹 핸들의 구조에 대한 일 예로서, 록킹 핸들을 선단의 캠과 후단의 손잡이로 구성하고, 업다운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캠 브라켓상에 힌지구조로 설치하여, 후단 손잡이의 상하 젖힘 조작시 선단의 캠을 통해 스커트 벨트를 클램핑 및 언클램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록킹 핸들의 구조에 대한 다른 예로서, 록킹 핸들을 선단의 캠과 후단의 로드로 구성하고, 업다운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캠 브라켓상에 힌지구조로 설치하여, 후단 로드의 수평방향 좌우로 젖힘 조작시 선단의 캠을 통해 스커트 벨트를 클램핑 및 언클램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컨베이어 벨트의 상하 운동시 스커트 벨트 또한 자연스럽게 상승 및 하강하면서 컨베이어 벨트와의 긴밀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석탄 반입과정에서 발생하는 낙탄과 분진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고, 따라서 대기로 유출되는 분진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낙탄 등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스커트 벨트가 자중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와 접촉하는 방식이므로, 러버 재질의 스커트 벨트가 마모될 때까지 연속 사용이 가능하고, 결국 스커트 벨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어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젖힘 방식의 클램핑 및 언클램핑 록킹 핸들을 채용하여 스커트 벨트를 고정시키는 방식이므로, 교체시 작업자가 록킹 핸들을 젖히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교체작업을 손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등 스커트 벨트 교체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 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 선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커트 실링장치는 링크구조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의 상하 운동시 벨트의 움직임에 따라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벨트측과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결국 낙탄이나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석탄이 반입되는 호퍼 슈트(10)의 하단 프레임(11)에는 그 둘레를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는 띠 모양의 업다운 플레이트(15)가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되는 업다운 플레이트(15)는 다수의 링크(13)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형태가 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링크(13)의 한쪽은 제1힌지 샤프트(12)에 의해 프레임(11)측에 지지되고, 다른 한쪽은 제2힌지 샤프트(12)에 의해 업다운 플레이트(15)측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업다운 플레이트(15)는 링크(13)를 지지수단으로 하여 상하로 유동이 가능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벨트(16)와 접촉하면서 실질적으로 낙탄이나 분진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스커트 벨트(18)가 마련된다.
상기 스커트 벨트(18)는 러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일종의 실링판으로서, 이 역시 일정한 폭을 가지는 띠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업다운 플레이트(15)의 바깥면 둘레를 따라 나란하게 밀착되면서 후술하는 록킹 핸들(17)에 의한 클램핑 작용에 의해 업다운 플레이트(15)측에 일체식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위아래로 움직임이 가능한 업다운 플레이트(15)에 일체식으로 장착되어 있는 스커트 벨트(18) 역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형태가 될 수 있고, 결국 이러한 업다운 플레이트(15)와 스커트 벨트(18)는 자중에 의해 항상 아래로 내려와 있게 되므로, 스커트 벨트(18)의 하단은 컨베이어 벨트(16)의 윗면에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16)의 경우, 가동시 벨트가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도 스커트 벨트(18)가 벨트의 움직임에 맞게 자연스럽게 상승 및 하강할 수 있게 되므로, 낙탄이나 분진 차단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스커트 벨트(18)의 고정을 위한 수단으로서, 젖힘 동작에 의한 가압방식을 통해 스커트 벨트(18)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시켜주는 록킹 핸들(17)이 마련된다.
상기 록킹 핸들(17)은 업다운 플레이트(15)에 형성되어 있는 양쪽의 캠 브라켓(21) 사이에 위치되면서 그 몸체 부분이 수평으로 체결되는 힌지핀(27)에 의해 관통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때의 힌지핀(27)을 축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즉 젖힘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록킹 핸들(17)은 스커트 벨트(18)측과 접촉되는 부분인 선단부의 캡(19)과,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부분인 후단부의 손잡이(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후단의 손잡이(20)를 상하로 젖힘 조작하게 되면, 선단의 캠(19)이 그 위치에 따라 스커트 벨트(18)를 가압하거나 해제하게 되므로, 스커트 벨트(18)의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손잡이(20)를 아래로 젖히면 캠(19)이 스커트 벨트(18)를 업다운 플레이트(15)쪽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스커트 벨트(18)가 고정될 수 있고, 반대로 손잡이(20)를 위로 젖히면 스커트 벨트(18)를 누르고 있던 캠(19)이 해제되므로, 스커트 벨트(18)를 업다운 플레이트(15)측으로부터 분리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즉, 록킹 핸들(17)을 젖히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스커트 벨트(18)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스커트 벨트 교체와 관련한 정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커트 벨트(18)의 클램핑 상태, 즉 고정 상태를 좀더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는 수단으로서, 스커트 벨트(18)의 전체 길이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는 푸시 플레이트(23)를 제공한다.
상기 푸시 플레이트(23)는 스커트 벨트(18)의 바깥면 상단부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록킹 핸들(17)과의 사이에 개재되고, 업다운 플레이트(15)에 체결되어 있는 지지핀(25)에 그 슬롯(24)을 통해 걸려지는 걸고리 방식으로 착탈가능한 형태로 지지된다.
이에 따라, 록킹 핸들(17)을 클램핑 상태로 놓게 되면, 캠(19)이 푸시 플레이트(23)를 누르게 되고, 이와 함께 푸시 플레이트(23)가 스커트 벨트(18)의 상단부 길이방향 전체구간을 가압하게 되므로, 캠(19)의 가압력이 스커트 벨트(18)에 균일하게 전해지면서 스커트 벨트(18)의 고정 상태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 플레이트(23)의 경우, 걸고리 방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정비시 손쉽게 스커트 벨트(18)를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커트 실링장치의 윗쪽으로 분진 등이 빠져나가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해주는 와이퍼 실(26)을 제공한다.
상기 와이퍼 실(26)은 업다운 플레이트(15)에는 상단부를 따라 장착되며, 이때의 와이퍼 실(26)이 프레임(11)의 바깥면과 업다운 플레이트(15)의 상단부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게 됨으로서, 프레임과 플레이트 사이의 윗쪽 틈새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는 분진 등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탄의 반입을 위한 호퍼 슈트(10)와 석탄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벨트(16)가 위아래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호퍼 슈트(10)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스커트 실링장치의 업다운 플레이트(15) 및 스커트 벨트(18)가 설치된다.
이때의 스커트 벨트(18)는 아래로 젖혀져 있는 록킹 핸들(17)의 클램핑 작용에 의해 업다운 플레이트(15)측에 일체식으로 고정된 상태가 된다.
물론, 컨베이어 벨트(16)의 폭방향쪽으로 배치되는 스커트 벨트(18)는 그 하단부가 일자형태가 될 수 있고, 컨베이어 벨트(16)의 길이방향쪽으로 배치되는 스커트 벨트(18)는 벨트의 배치 형상에 맞는 길이를 갖는 연장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되는 스커트 벨트(18) 및 업다운 플레이트(15)는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아래로 처지게 되므로, 컨베이어 벨트(16)의 윗면과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석탄 등이 호퍼 슈트(10)를 통해 컨베이어 벨트(16)에 투입될 때, 스커트 실링장치의 스커트 벨트(18)가 석탄 등이 투입되는 벨트 영역의 주변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고, 결국 석탄 등이 측면 부위로 돌출되거나 주변으로 비산되어 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스커트 벨트(18)를 고정시켜주는 록킹 핸들(17)의 다른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 밖에 업다운 플레이트(15)의 설치구조나 작동방식 등은 위의 일 실시예에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록킹 핸들(17)은 스커트 벨트(18)측과 접하는 쪽의 선단에 형성되는 캠(19)과, 이 캠(19)을 회전시켜주는 후단의 로드(22)로 구성되며, 업다운 플레이트(15)에 형성되어 있는 캠 브라켓(21) 내에 위치되면서 수직으로 관통 체결되는 힌지핀(27)에 의해 그 캠 부위가 함께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캠(19)은 힌지핀(27)을 축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회전위치에 따라 스커트 벨트(18)를 눌러주거나(클램핑) 또는 스커트 벨트(18)로부터 떨어질 수 있게 된다(언클램핑).
이때, 상기 캠(19)은 캠 브라켓(21)에 형성되어 있는 홀을 통해 스커트 벨트(18)측과 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22)는 스커트 벨트(18)와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캠 일측에 연결핀(28)으로 결합되고, 이에 따라 로드(22)가 수평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되면, 캠(19) 역시 회전되면서 언클램핑 또는 클램핑 자세를 취하게 된다.
특히, 상기 로드(22)는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캠(19)을 일체식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이에 따라 로드(22)의 젖힘 조작, 즉 전후진 움직임에 의해 복수 개의 캠(19)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클램핑 및 언클램핑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로드(22)를 도 5에서의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놓게 되면, 캠(19)이 스커트 벨트(18)를 가압하여 고정시켜주는 클램핑 상태가 될 수 있고, 반대로 도 5에서의 왼쪽 방향으로 밀어놓게 되면, 캠(19)의 회전에 의해 스커트 벨트(18)의 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커트 실링장치는 러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스커트 벨트를 상하로 움직이는 링크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자동으로 3개소 정도의 링크에 의해 자중으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낙탄 등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 다수 개의 록킹 핸들을 이용하여 스커트 벨트를 손쉽게 결합 고정할 수 있으므로, 스커트 벨트 교체시 정비시간과 수고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10 : 호퍼 슈트 11 : 프레임
12 : 제1힌지 샤프트 13 : 링크
14 : 제2힌지 샤프트 15 : 업다운 플레이트
16 : 컨베이어 벨트 17 : 록킹 핸들
18 : 스커트 벨트 19 : 캠
20 : 손잡이 21 : 캠 브라켓
22 : 로드 23 : 푸시 플레이트
24 : 슬롯 25 : 지지핀
26 : 와이퍼 실 27 : 힌지핀
28 : 연결핀

Claims (7)

  1. 호퍼 슈트(10)의 하단 프레임(11)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1)측 제1힌지 샤프트(12)에 의해 지지되는 링크(13)에 의해 제2힌지 샤프트(14)를 통해 지지되면서 상하 운동이 가능한 업다운 플레이트(15);
    상기 업다운 플레이트(15)의 하단부를 따라 설치되면서 컨베이어 벨트(16)와 접촉되는 것으로서, 젖힘 조작에 의해 클램핑 및 언클램핑이 가능한 록킹 핸들(17)에 의해 가압되면서 업다운 플레이트(15)측에 밀착 고정되는 스커트 벨트(18);
    를 포함하며, 컨베이어 벨트의 상하 운동시 벨트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자중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면서 벨트측과 상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핸들(17)은 선단의 캠(19)과 후단의 손잡이(20)로 구성되고, 업다운 플레이트(15)에 형성되어 있는 캠 브라켓(21)상에 힌지구조로 설치되어, 후단 손잡이(20)의 상하 젖힘 조작시 선단의 캠(19)을 통해 스커트 벨트(18)를 클램핑 및 언클램핑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핸들(17)은 선단의 캠(19)과 후단의 로드(22)로 구성되고, 업다운 플레이트(15)에 형성되어 있는 캠 브라켓(21)상에 힌지구조로 설치되어, 후단 로드(22)의 수평방향 좌우로 젖힘 조작시 선단의 캠(19)을 통해 스커트 벨트(18)를 클램핑 및 언클램핑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드(22)는 복수 개의 캠(19)을 일체식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로드(22)의 젖힘 조작에 의해 복수 개의 캠(19)이 동시에 클램핑 및 언클램핑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 플레이트(15)상에 체결되는 구조로 고정되고, 스커트 벨트(18)와 록킹 핸들(17) 사이에 개재되어 록킹 핸들(17)의 클램핑 상태에서 스커트 벨트(18)를 눌러주는 푸시 플레이트(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푸시 플레이트(23)는 상단의 슬롯(24)을 이용하여 업다운 플레이트(15)에 있는 지지핀(25)에 걸고리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 플레이트(15)에는 상단부를 따라 장착되는 와이퍼 실(26)이 구비되어, 프레임과 플레이트 사이의 윗쪽 틈새로 빠져나갈 수 있는 분진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
KR1020100050844A 2010-05-31 2010-05-31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 KR100982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844A KR100982895B1 (ko) 2010-05-31 2010-05-31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844A KR100982895B1 (ko) 2010-05-31 2010-05-31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077A KR20100067077A (ko) 2010-06-18
KR100982895B1 true KR100982895B1 (ko) 2010-09-17

Family

ID=42365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844A KR100982895B1 (ko) 2010-05-31 2010-05-31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8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6684B (zh) * 2010-12-30 2015-12-16 中钢集团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石灰输送系统
KR101354929B1 (ko) * 2011-09-02 2014-01-27 주식회사 포스코 트리퍼의 낙광 방지장치
KR101981453B1 (ko) 2017-03-30 2019-05-24 주식회사 포스코 스커트 장치 및 배출 장치
CN114701828A (zh) * 2022-03-21 2022-07-05 华能武汉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皮带机导料槽用尾部闸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3A (ja) * 1993-05-31 1995-01-06 Showa Gomme Kizai Kk コンベヤベルト用スカート
JPH0710248A (ja) * 1993-06-25 1995-01-13 Nippon Tsusho Kk コンベヤベルトのスカート支持装置
KR200344582Y1 (ko) 2003-12-05 2004-03-12 주식회사 리바트 파티션 연결장치
KR20100059593A (ko) * 2008-11-26 2010-06-0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용 스커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3A (ja) * 1993-05-31 1995-01-06 Showa Gomme Kizai Kk コンベヤベルト用スカート
JPH0710248A (ja) * 1993-06-25 1995-01-13 Nippon Tsusho Kk コンベヤベルトのスカート支持装置
KR200344582Y1 (ko) 2003-12-05 2004-03-12 주식회사 리바트 파티션 연결장치
KR20100059593A (ko) * 2008-11-26 2010-06-0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용 스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077A (ko) 201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895B1 (ko) 호퍼 슈트의 스커트 실링장치
CN102635639A (zh) 一种深沟球轴承装配生产线
CN108393555B (zh) 带颈钢管法兰自动焊接设备
CN105691005B (zh) 一种自动打码设备
KR20130002436A (ko)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롤러스탠드
CN205169570U (zh) 一种斗式提升机装置
CN204310421U (zh) 一种矿用带式输送机
KR101500326B1 (ko) 가공용 자동이송장치
KR101799654B1 (ko) 혼합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KR20190020447A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CN109290927B (zh) 一种线条抛光装置
CN204149038U (zh) 抛丸机用进料装置
CN202628853U (zh) 一种深沟球轴承装配生产线
KR20160036428A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1965325B1 (ko) 절단공정 소재의 손상 방지용 완충장치
CN105059910B (zh) 一种定距移载机构的推动机构
KR20160036429A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CN204368892U (zh) 轴承套圈输送装置
JP5955269B2 (ja) 破砕機の位置調整可能な供給装置
KR100854304B1 (ko) 롤러의 교체가 용이한 캐리어 롤러 스탠드
US4133372A (en) Apparatus for blasting castings
KR101584147B1 (ko) 고로 탕도의 커버 실링 장치
US3049216A (en) Hopper fed conveyor
KR102022833B1 (ko) 캘리퍼하우징 주조시스템
CN219340707U (zh) 一种中频电炉的自动上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