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369B1 -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 - Google Patents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369B1
KR100981369B1 KR1020080124041A KR20080124041A KR100981369B1 KR 100981369 B1 KR100981369 B1 KR 100981369B1 KR 1020080124041 A KR1020080124041 A KR 1020080124041A KR 20080124041 A KR20080124041 A KR 20080124041A KR 100981369 B1 KR100981369 B1 KR 100981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ook
latch assembly
cable
cab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5623A (ko
Inventor
한성희
Original Assignee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4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369B1/ko
Publication of KR2010006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부품, 특히 래치 어셈블리의 클로즈 레버 바디의 레버와, 레버에 연결핀을 매개로 연결되는 케이블 로드의 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와이어의 이탈 및 유동 방지 그리고 래틀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록킹 또는 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힘을 전달하는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는 원형홀 형상의 체결부, 체결부의 외곽부에 형성되어 테두리를 이루는 훅부 그리고 훅부에 형성된 핀 삽입부로 이루어진 고리 부재; 및 체결부에 삽입된 원통 형상의 실린더부, 실린더부와 일체 형성되어 고리 부재의 훅부가 삽입된 훅 삽입부와, 케이블과 일체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로 이루어진 연결핀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연결핀의 실린더부는 고리 부재의 핀 삽입부를 통하여 체결부 내로 삽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훅 삽입부에는 고리 부재의 훅부가 삽입 가능한 일정한 길이 및 폭을 가지는 슬롯 홀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슬롯 홀은 고리 부재의 훅부의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갖는다.
래치 어셈블리, 클로즈 레버 바디, 레버, 케이블 로드, 연결핀, 와이어

Description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Connecting part of lever and cable rod for latch assembly}
본 발명은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부품의 레버 바디의 레버에 연결핀을 통해 연결되는 케이블 로드 내부의 와이어의 이탈 및 유동방지를 위한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도어는 승객이 출입하기 위한 개폐기능과 함께 승객 및 차량 내부를 외부의 비 또는 바람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어에는 도어의 개폐를 위해 손잡이와 연결 설치된 래치 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래치 모듈은 다수의 레버 및 암들에 의해 구성되어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특히, RV 차량이나 승합차량과 같이 후방의 넓은 개방면적이 요구되는 차량에는 테일 게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테일 게이트의 하부에는 테일 게이트 래치가 설치되어 상기 테일 게이트의 개폐 작동을 도모하게 된다.
첨부한 도 4는 상기 테일 게이트의 개폐 구동을 위한 구동부의 작동 시, 이와 연동하는 종래의 래치 어셈블리용 케이블 로드 및 레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종래의 케이블 로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의 래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구동부의 작동력을 제2구동부에 전달하는 케이블 로드(200)는 그 내부의 와이어(220)를 통해 클로즈 레버 바디의 레버(100)에 연결핀(210)을 매개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레버(100)는 일측이 개구된 동시에 타측이 폐쇄된 'ㄷ'자 형상으로 2번 벤딩 처리된 고리 부재(110)가 형성되며, 케이블 로드(200)의 연결핀(210)에 성형 결합된 일정한 두께의 와이어(220)가 핀삽입부(111)를 갖는 고리 부재(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로드(200)가 반복적으로 작동될 경우, 상기 고리 부재(110)의 벤딩에 의한 공간의 간격이 와이어(220)의 간격보다 넓어 그 간극차로 인하여 흔들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래틀(rattle)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상기 고리 부재(110)의 벤딩 가공 시, 그 간격을 3mm 이하로 줄여 제작할 수 없기 때문인데, 상기 벤딩 간격을 3mm이하로 줄이는 가공 방법이 쉽지 않아 이와 같은 문제점은 해소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케이블 로드의 반복적인 작동 시 흔들림이 억제되는 동시에,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여 원활한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와이어의 연결핀 및 이와 고정되는 레버의 형상을 개선한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록킹 또는 해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힘을 전달하는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는 원형홀 형상의 체결부, 체결부의 외곽부에 형성되어 테두리를 이루는 훅부 그리고 훅부에 형성된 핀 삽입부로 이루어진 고리 부재; 및 체결부에 삽입된 원통 형상의 실린더부, 실린더부와 일체 형성되어 고리 부재의 훅부가 삽입된 훅 삽입부와, 케이블과 일체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로 이루어진 연결핀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연결핀의 실린더부는 고리 부재의 핀 삽입부를 통하여 체결부 내로 삽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훅 삽입부는 고리 부재의 훅부가 삽입 가능한 일정한 길이 및 폭을 가지는 슬롯 홀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슬롯 홀의 폭은 고리 부재의 훅부의 두께와 동일하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에 의하면, 상기 레버의 금형 제작성을 용이하게 하며, 케이블 로드의 와이어가 고리 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래틀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용 케이블 로드와 레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로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이 래치 어셈블리의 클로즈 레버 바디의 레버(10)에 형성된 고리 부재(11)에 연결핀(21)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은 액츄에이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연동하면서, 래치 어셈블리의 록킹 또는 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힘을 전달하는 케이블 로드(20)가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케이블 로드(20)의 케이블(25) 내부에 스틸(steel) 재질의 와이어가 탄력적으로 연결되어 작동 위치나 구동 상태가 전환되더라도 원활하게 연동하게 된다.
상기 연결핀(21)이 삽입되는 레버(10)는 종래의 벤딩 가공을 배제하고 펼쳐져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바, 고리 부재(11)는 원형홀 형상의 체결부(12)와, 상기 연결핀(21)이 삽입되는 핀 삽입부(13)와, 상기 핀 삽입부(13)를 통해 삽입된 연결핀(21)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훅(hook)부(1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레버(10)와 연결되어 그 레버(10) 사이의 힘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케이블 로드(20)의 연결핀(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0)의 고리 부재(11)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홀 형상의 체결부(12)에 일치하게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부(22)와, 상기 실린더부(22)와 일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12)의 테두리를 이루는 훅부(14)에 삽입되는 훅(hook) 삽입부(23)와, 케이블(25)과 일체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2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실린더부(22)는 종래의 체결부(12)에 삽입되는 연결핀(21)과 동일한 구조이며, 여기에 추가 구성되는 훅 삽입부(23)는 상기 실린더부(22)에 일체 형성되며, 상기 고리 부재(11)의 훅부(14)가 삽입 가능한 일정한 길이 및 폭을 가지는 슬롯 홀(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훅 삽입부(23)에 형성된 슬롯 홀(23a)의 폭은 상기 레버(10)의 훅부(14)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훅부(14)가 훅 삽입부(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케이블 로드(20)가 유동되더라도 그 사이에 유격이 없기 때문에 래틀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훅부(14)의 두께는 1.6 ~ 2mm로 규격화되어 있어 상기 슬롯 홀(23a)의 폭을 상기한 규격에 맞춰 쉽게 설계할 수 있으며, 그 규격에 따라 슬롯 홀(23a)의 폭에 대한 변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벤딩 가공에 의한 레버 제작의 난맥상을 해결하게 되므로 레버(10)의 용이한 제작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제작 공정을 절감할 수 있게 되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블 로드(20)의 케이블(25) 내부 와이어의 단부에 형성된 실린더부(22)에 레버(10)에 형성된 고리 부재(11)의 훅부(14)가 삽입되어 유동 가능토록 이루어진 훅 삽입부(23)를 일체 형성하고, 상기 훅 삽입부(23)의 슬롯 홀(23a)의 폭이 고리 부재(11)의 훅부(14)의 두께와 거의 일치하도록 하여 그 간극차로 인해 발생하였던 종래의 와이어의 이탈 및 래틀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용 케이블 로드 및 레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로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래치 어셈블리용 케이블 로드 및 레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케이블 로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버 11 : 고리 부재
12 : 체결부 13 : 핀 삽입부
14 : 훅부 20 : 케이블 로드
21 : 연결핀 22 : 실린더부
23 : 훅 삽입부 24 : 케이블 연결부
25 : 케이블

Claims (3)

  1. 래치 어셈블리의 록킹 또는 해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힘을 전달하는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에 있어서,
    원형홀 형상의 체결부(12), 체결부(12)의 외곽부에 형성되어 체결부(12)의 테두리를 이루는 훅부(14) 그리고 훅부(14)에 형성된 핀 삽입부(13)로 이루어진 고리 부재(11); 및
    상기 체결부(12)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부(22), 상기 실린더부(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리 부재(11)의 훅부(14)가 삽입되는 훅 삽입부(23)와, 케이블(25)과 일체 연결된 케이블 연결부(24)로 이루어진 연결핀(21);을 포함하여,
    연결핀(21)의 실린더부(22)가 고리 부재(11)의 핀 삽입부(13)를 통하여 체결부(12) 내로 삽입되는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 삽입부(23)는 상기 고리 부재(11)의 훅부(14)가 삽입 가능한 일정한 길이 및 폭을 갖는 슬롯 홀(2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홀(23a)은 그 폭이 상기 고리 부재(11)의 훅부(14)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
KR1020080124041A 2008-12-08 2008-12-08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 KR100981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041A KR100981369B1 (ko) 2008-12-08 2008-12-08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041A KR100981369B1 (ko) 2008-12-08 2008-12-08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623A KR20100065623A (ko) 2010-06-17
KR100981369B1 true KR100981369B1 (ko) 2010-09-10

Family

ID=4236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041A KR100981369B1 (ko) 2008-12-08 2008-12-08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780B1 (ko) * 2010-10-21 2013-03-14 주식회사 리한도어 리모트 컨트롤러 어셈블리용 케이블 고정부재
CN102654008A (zh) * 2010-10-29 2012-09-05 宁波信泰机械有限公司 汽车滑门传动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446B1 (ko) 2005-12-07 2007-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래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446B1 (ko) 2005-12-07 2007-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래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623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8311B2 (ja) 車両のドア及びその製造方法
US9605449B2 (en) Motor vehicle lock
US20110308172A1 (en) Door module for a vehicle door, and mounting method
KR102178772B1 (ko) 자동차 로킹 장치
KR102017931B1 (ko) 차량 도어 록
JP4406458B2 (ja) 車両用開閉体のヒンジ構造
CN105822152A (zh) 门锁装置的连接结构
KR101479916B1 (ko) 도어 장치 및 도어 장치를 위한 조립 방법
KR20190141182A (ko) 차량용 록
KR100981369B1 (ko) 래치 어셈블리용 레버와 케이블 로드의 연결부
CN205778034U (zh) 用于车门锁闩的联接系统和车门锁闩
JP6739220B2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JP3527398B2 (ja) オープナー装置
US20170009498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EP3653430A1 (en) Seat lock device
JP6913098B2 (ja) 車両ドアのラッチ用ケーブル
JP5523138B2 (ja) 車輌用フードロック装置
EP1803877B1 (en) Door handle structure requiring a smaller space for arranging a mechanism for releasing a door latch
KR100444662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핀결합 연계형 래치 구조
JP5541209B2 (ja) 開閉部材のヒンジ構造
JP2005073406A (ja) 自動車用樹脂成形品
JP2007331453A (ja) ラジエータコアサポート
US20150068359A1 (en) Steering Lock Device
JP2008081973A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KR100573497B1 (ko) 비상 손잡이 일체형 트렁크 리드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