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103B1 -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103B1
KR100981103B1 KR1020100054968A KR20100054968A KR100981103B1 KR 100981103 B1 KR100981103 B1 KR 100981103B1 KR 1020100054968 A KR1020100054968 A KR 1020100054968A KR 20100054968 A KR20100054968 A KR 20100054968A KR 100981103 B1 KR100981103 B1 KR 100981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housing
scrubber
collision
ventur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태
Original Assignee
(주)동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세기술 filed Critical (주)동세기술
Priority to KR1020100054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0Venturi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수 슬러지 건조 후에 발생된 배기가스가 유입되고 외부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장치가 설치된 입구덕트와, 상기 입구덕트의 하단에 설치되고 일정각도로 회동하여 내부를 개폐하는 베인장치가 구비된 벤츄리부와, 상기 벤츄리부의 하단에 설치된 출구덕트로 이루어진 벤츄리 스크러버와; 일단이 상기 벤츄리 스프러버의 출구덕트에 연결되는 연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의 타단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단에 배기가스 배출관이 구비되며 일측에 출입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 내부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배기가스에 외부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분사하는 상향분사 노즐장치와, 상기 상향분사 노즐장치의 상측에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충돌하는 충돌유닛과, 상기 충돌유닛의 상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공급된 세정수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사하는 하향분사 노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충돌식 스크러버;로 구성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악취, 분진 및 각종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Flue Gas Treatment Apparatus of Sewage Sludge Drying Treatment Process}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기가스에 포함된 점착성 물질, 악취, 분진 및 각종 오염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란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오수, 폐수 등을 정화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점도가 매우 높은 유기물 및 다량의 수분과 함께 여러 가지 오염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슬러지에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슬러지 건조기에서 건조하다 보면 많은 양의 배기가스가 방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기가스는 단순히 증기(Vapor)만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오염물질과 점착성 물질, 분진 및 악취 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대기 중으로 그대로 방출하면 대기를 오염시키기 때문에 배기가스를 적절하게 처리하여야 하는데, 종래에 나온 배기가스 처리장치로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여러 가지 오염물질과 점착성 물질, 분진 및 악취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고 배기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설비가 막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벤츄리 스크러버와 충돌식 스크러버를 직렬 연결하여 배기가스에 포함된 점착성 물질, 악취, 분진 및 각종 오염물질을 설비의 막힘이 없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벤츄리 스크러버에 배기가스가 유통하는 통로를 좁혀 차압을 발생시키는 베인장치를 설치하여 배기가스와 세정수가 완전 혼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기가스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충돌식 스크러버에 배기가스와 충돌하는 충돌유닛을 설치하여 배기가스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킴으로써 배기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하수 슬러지 건조 후에 발생된 배기가스가 유입되고 외부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장치가 설치된 입구덕트와, 상기 입구덕트의 하단에 설치되고 일정각도로 회동하여 내부를 개폐하는 베인장치가 구비된 벤츄리부와, 상기 벤츄리부의 하단에 설치된 출구덕트로 이루어진 벤츄리 스크러버와; 일단이 상기 벤츄리 스프러버의 출구덕트에 연결되는 연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의 타단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단에 배기가스 배출관이 구비되며 일측에 출입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 내부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배기가스에 외부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분사하는 상향분사 노즐장치와, 상기 상향분사 노즐장치의 상측에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충돌하는 충돌유닛과, 상기 충돌유닛의 상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사하는 하향분사 노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충돌식 스크러버;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충돌유닛은 상기 거치리브의 상면에 안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제작되어 배기가스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키는 충돌판과; 상기 프레임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출입홀을 밀폐하고 손잡이가 구비된 밀폐판;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충돌식 스크러버의 하우징 상단에 구비된 배기가스 배출관의 외측면에는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배관이 면접(面接)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벤츄리 스크러버의 입구덕트에 설치된 분사노즐장치와 충돌식 스크러버의 하우징에 설치된 상향분사 노즐장치 및 하향분사 노즐장치에 의하여 분사되는 세정수에 배기가스의 악취와 분진 및 그 밖의 여러 가지 오염물질들이 용해되어 정화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벤츄리 스크러버의 벤츄리부에 설치된 베인장치가 벤츄리부의 내부를 좁혀 차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세정수와 배기가스가 완전 혼합되어 세정수에 배기가스의 점착성 물질과 악취와 분진 및 오염물질들이 더 잘 세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충돌식 스크러버의 충돌유닛에 의하여 배기가스의 체류시간이 연장되므로, 배기가스와 세정수가 더욱 잘 혼합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점착성 물질, 악취와 분진 등 오염물질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의 배기가스 배출관의 외측면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배관이 면접되게 설치되므로, 습도가 높은 배기가스가 응결되지 않아서 이물질이 배기가스 배출관의 내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배기가스 배출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베인장치를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베인장치를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벤츄리 스크러버(100)와, 상기 벤츄리 스크러버(100)의 하측부에 연결되는 연결덕트(200)와, 상기 연결덕트(200)에 하측부가 연결되는 충돌식 스크러버(300)로 구성된다.
상기 벤츄리 스크러버(100)는 입구덕트(110)와, 상기 입구덕트(110)의 하단에 설치되는 벤츄리부(120)와, 상기 벤츄리부(120)의 하던에 설치되는 출구덕트(130)로 구성된다.
상기 입구덕트(110)는 하수 슬러지 건조 후에 발생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부분으로서, 외부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장치(111)가 설치된다.
상기 입구덕트(110)에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각종 분진과 점착성물질, 대기오염물질 및 악취 등이 혼합되어 있는 복합가스로서, 이것을 무해한 가스로 정화하기 위해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장치(111)를 입구덕트(110)에 설치한다.
상기 분사노즐장치(111)는 외부의 수원(水源)과 연결되는 급수파이프(111a)와, 상기 급수파이프(111a)에 연결되고 급수파이프(111a)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의 세정수를 입구덕트(110)의 하측을 향하여 분사하는 분사노즐(111b)로 구성된다.
상기 벤츄리부(120)는 상기 입구덕트(1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상부몸체(121)와, 상기 상부몸체(121)의 하단에 설치되는 중앙몸체(122)와, 상기 중앙몸체(122)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몸체(123)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몸체(121)는 하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진다.
상기 중앙몸체(122)는 상기 상부몸체(121)의 가장 하단부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중앙몸체(122)에는 일정각도로 회동하여 중앙몸체(122)의 내부를 개폐하는 베인장치(124)가 설치된다.
상기 베인장치(124)는 중앙몸체(122)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124a)와, 상기 컨트롤박스(124a)에 양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샤프트(124b)와, 상기 샤프트(124b)의 외측면을 감싸서 샤프트(124b)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관(124c)과, 상기 회전관(124c)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중앙몸체(122)의 내부 공간, 즉 배기가스가 유동되는 유동로를 개폐 또는 유동로 면적을 조절하는 날개부(124d)와, 상기 컨트롤박스(124a)에 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날개부(124d)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볼트(124e)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인장치(124)는 꼭 상기 조절볼트(124e)로 날개부(124d)의 회동각도를 조절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전관(124c)에 컨트롤박스(124a)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를 연결하여 손잡이를 돌리면 회전관(124c)이 회전되고, 그 결과로 회전관(124c)에 연결되는 날개부(124d)가 일정각도 회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베인장치(124)는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유동로 면적을 좁게 하여 상기 입구덕트(110)를 통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와 상기 분사노즐장치(111)로부터 분사된 세정수가 잘 혼합되도록 한다. 이렇게 배기가스와 세정수가 혼합되면 배기가스에 포함된 악취나 각종 오염물질 및 분진은 세정수에 녹아들게 된다.
상기 하부몸체(123)는 하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커진다.
상기 출구덕트(130)는 상기 벤츄리부(120)의 하단, 즉 상기 하부몸체(123)의 하단에 설치된다. 이 출구덕트(130)에는 입구덕트(110)를 통하여 유입된 배기가스와, 배기가스의 내부에 포함된 악취와 분진 및 오염물질이 용해된 세정수가 유입된다.
상기 연결덕트(200)는 일단이 상기 벤츄리 스크러버(100)의 출구덕트(130)에 연결되어 배기가스와, 악취 및 오염물질 등이 용해된 세정수를 상기 충돌식 스크러버(300)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충돌식 스크러버(300)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에 설치되는 상향분사 노즐장치(320)와, 상기 상향분사 노즐장치(320)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충돌유닛(330)과, 상기 충돌유닛(330)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향분사 노즐장치(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연결덕트(200)의 타단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단에 배기가스 배출관(311)이 구비됨과 아울러 하단에 액체배출관(312)이 구비된다.
이러한 하우징(310)은 일측에 출입홀(313)이 형성되고, 내부에 거치리브(314)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출입홀(313)을 통하여 상기 충돌유닛(330)이 하우징(310) 내외부로 슬라이딩 출입됨과 아울러 상기 거치리브(314)의 상면에 충돌유닛(330)이 안착된다.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311)은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서 정화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 배기가스 배출관(311)을 통하여 하우징(310)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상기 상향분사 노즐장치(320)와 하향분사 노즐장치(340)에서 분출되는 세정수에 의하여 습도가 100%가 된다. 따라서, 배기가스 배출관(311) 주위의 온도가 조금만 떨어지더라도 배기가스가 응결하여 배기가스 배출관(311)의 내벽에 부착된다. 이렇게 배기가스가 응결하여 배기가스 배출관(311)의 내벽에 부착되면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들이 부착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배기가스가 원활히 배출되지 않아서 배기가스의 건조 및 배기가스 처리효율을 떨어뜨린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311)의 외측면에 스팀배관(311a)이 면접(面接)되도록 설치한다. 이 스팀배관(311a)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고온의 스팀이 흐르게 되므로, 이 열에 의하여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311)의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배기가스 배출관(311)의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배관(311a)만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발열이 되는 일반적인 전열선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311)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송풍기와 연결되는데, 상기 송풍기의 흡입력에 의하여 배기가스가 벤츄리 스크러버(100)와 연결덕트(200) 및 충돌식 스크러버(300) 쪽으로 이송된다.
상기 액체배출관(312)은 상기 벤츄리 스크러버(100)와 연결덕트(200)를 통하여 유입된 액체, 즉 상기 벤츄리 스크러버(100)의 입구덕트(110)에 설치된 분사노즐장치(111)로부터 분사된 세정수와 배기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 분진 및 악취 등이 혼합된 액체가 하우징(3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이다.
상기 상향분사 노즐장치(320)는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되어 상측으로 유동하는 배기가스에 외부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향분사 노즐장치(320)는 외부의 수원(水源)과 연결되는 급수파이프(321)와, 상기 급수파이프(321)에 연결되고 급수파이프(321)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의 세정수를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분사하는 분사노즐(322)로 구성된다.
상기 충돌유닛(330)은 상기 하우징(310)의 출입홀(313)을 통하여 슬라이딩 출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향분사 노즐장치(320)의 상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충돌유닛(330)은 배기가스가 하우징(310)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을 길게 함과 아울러 세정수와 배기가스가 혼합될 수 있는 시간을 연장함으로써,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점착성 물질, 악취와 각종 오염물질 및 분진이 세정수에 고효율로 세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돌유닛(330)은 프레임(331)과, 상기 프레임(331)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충돌판(332)과, 상기 프레임(331)의 끝단에 설치되는 밀폐판(333)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331)은 4각의 틀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하우징(310)의 출입홀(313)을 통하여 하우징(310) 내부로 들어갔을 때 상기 거치리브(314)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충돌판(332)은 그 형태가 지그재그 형태로 제작되어 배기가스의 체류시간이 연장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충돌판(332)은 하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좌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다가 어느 지점부터는 상측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며, 이러한 패턴을 복수회 반복하여 지그재그 형태를 갖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충돌판(332)은 상기한 것처럼 복수개가 일정간격을 이루며 설치되는데, 그 각각의 충돌판(332) 사이가 하우징(310) 내부에서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통로가 된다.
상기 밀폐판(333)은 상기 프레임(331)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331)이 하우징(310)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310)의 출입홀(313)을 폐쇄한다. 이러한 밀폐판(333)에는 손잡이(333a)를 구비시켜 상기 충돌유닛(330)을 손쉽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하향분사 노즐장치(340)는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 좀 더 자세하게는 상기 충돌유닛(33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충돌유닛(330)을 통과하는 또는 통과하고 있는 배기가스에 외부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향분사 노즐장치(340)는 외부의 수원(水源)과 연결되는 급수파이프(341)와, 상기 급수파이프(341)에 연결되고 급수파이프(341)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의 세정수를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분사하는 분사노즐(34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작동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슬러지 건조기를 거쳐 건조된 배기가스가 입구덕트(110)를 통하여 벤츄리 스크러버(10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입구덕트(110)에 설치된 분사노즐장치(111)에서 외부의 세정수를 분사하면 배기가스에 포함된 점착성 물질, 악취, 분진 및 각종 오염물질들이 세정되어 하측으로 낙하된다.
한편, 벤츄리부(120)의 중앙몸체(122)에 설치된 베인장치(124)의 날개부(124d)를 일정각도 회동시켜 중앙몸체(122) 내부의 배기가스 이동로를 좁혀주면 배기가스와 세정수는 좀 더 잘 혼합된다.
충돌식 스크러버(300)의 하우징(310)에 구비된 배기가스 배출관(311)에 연결되는 송풍기(미도시)의 흡입력에 의하여 벤츄리 스크러버(100)의 출구덕트(130) 쪽으로 이송된 배기가스와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악취 등이 용해된 세정수는 연결덕트(200)를 거쳐 상기 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배기가스는 상기 하우징(310)의 상측으로 유동하여 충돌유닛(330)의 충돌판(332)에 충돌하게 되고, 악취 등이 용해된 세정수는 하우징(310) 하단의 액체배출관(312)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그리고, 상향분사 노즐장치(320)와 하향분사 노즐장치(340)에서 분사된 세정수는 하우징(310) 내부의 상측으로 유동하는 배기가스와 충돌한다. 이렇게 세정수와 배기가스가 충돌하면서 배기가스에 남아 있는 악취와 분진 및 오염물질들은 다시 세정된다.
이렇게 악취와 분진 및 오염물질이 용해된 세정수는 하우징(310) 하단의 액체배출관(31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상당부분 깨끗해진 정화된 배기가스는 높은 습도를 가진 채 상기 하우징(310) 상단의 배기가스 배출관(311)을 통하여 하우징(310) 외부로 배출된다.
100: 벤츄리 스크러버 110: 입구덕트
111: 분사노즐장치 111a: 급수파이프
111b: 분사노즐 120: 벤츄리부
121: 상부몸체 122: 중앙몸체
123: 하부몸체 124: 베인장치
124a: 컨트롤박스 124b: 샤프트
124c: 회전관 124d: 날개부
124e: 조절볼트 130: 출구덕트
200: 연결덕트 300: 충돌식 스크러버
310: 하우징 311: 배기가스 배출관
311a: 스팀배관 312: 액체배출관
313: 출입홀 314: 거치리브
320: 상향분사 노즐장치 321: 급수파이프
322: 분사노즐 330: 충돌유닛
331: 프레임 332: 충돌판
333: 밀폐판 333a: 손잡이
340: 하향분사 노즐장치 341: 급수파이프
342: 분사노즐

Claims (8)

  1. 하수 슬러지 건조 후에 발생된 배기가스가 유입되고 외부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장치(111)가 설치된 입구덕트(110)와, 상기 입구덕트(110)의 하단에 설치된 벤츄리부(120)와, 상기 벤츄리부(120)의 하단에 설치된 출구덕트(130)로 이루어진 벤츄리 스크러버(100)와;
    일단이 상기 벤츄리 스크러버(100)의 출구덕트(130)에 연결되는 연결덕트(200)와;
    상기 연결덕트(200)의 타단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배관(311a)이 면접(面接)되는 배기가스 배출관(311)이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벤츄리 스크러버(100)로부터 유입된 액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에 액체배출관(312)이 구비된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310) 내부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배기가스에 외부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분사하는 상향분사 노즐장치(320)와, 상기 상향분사 노즐장치(320)의 상측에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충돌하는 충돌유닛(330)과, 상기 충돌유닛(3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사하는 하향분사 노즐장치(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충돌식 스크러버(300);로 구성되되,
    상기 벤츄리 스크러버(100)의 벤츄리부(120)는 상기 입구덕트(110)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는 상부몸체(121)와, 상기 상부몸체(121)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부몸체(121)의 하단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일정각도로 회동하여 내부를 개폐하는 베인장치(124)가 설치된 중앙몸체(122)와, 상기 중앙몸체(122)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커지는 하부몸체(123)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인장치(124)는 상기 중앙몸체(122)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124a)와, 상기 컨트롤박스(124a)에 양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샤프트(124b)와, 상기 샤프트(124b)의 외측면을 감싸서 샤프트(124b)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관(124c)과, 상기 회전관(124c)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중앙몸체(122)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날개부(124d)와, 상기 컨트롤박스(124a)에 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날개부(124d)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볼트(124e)로 구성되며,
    상기 충돌식 스크러버(300)의 하우징(310)은 일측에 출입홀(313)이 형성되고, 내부에 거치리브(314)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충돌유닛(330)이 상기 출입홀(313)을 통하여 하우징(310) 내외부로 슬라이딩 출입됨과 아울러 상기 거치리브(314)의 상면에 안착되되,
    상기 충돌유닛(330)은 상기 거치리브(314)의 상면에 안착되는 프레임(331)과;
    상기 프레임(331)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어 그 사이로 배기가스가 통과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제작되어 배기가스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키는 충돌판(332)과;
    상기 프레임(331)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310)의 출입홀(313)을 폐쇄하고, 손잡이(333a)가 구비된 밀폐판(33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00054968A 2010-06-10 2010-06-10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0981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968A KR100981103B1 (ko) 2010-06-10 2010-06-10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968A KR100981103B1 (ko) 2010-06-10 2010-06-10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103B1 true KR100981103B1 (ko) 2010-09-08

Family

ID=4300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968A KR100981103B1 (ko) 2010-06-10 2010-06-10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10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815B1 (ko) * 2015-11-09 2017-08-03 유니셈(주) 폐가스 처리장치용 전처리장치
CN108043145A (zh) * 2017-12-21 2018-05-18 双盾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复杂难处理烟气的湍冲喷射耦合一体式烟气净化工艺
KR101897600B1 (ko) * 2018-03-20 2018-09-12 주식회사 해성이엔지 축분 발효기용 악취 및 분진 제거 장치
CN108525492A (zh) * 2017-03-05 2018-09-14 高雪真 气体净化装置
CN111439880A (zh) * 2020-04-07 2020-07-24 嘉兴新嘉爱斯热电有限公司 一种零排放的废水处理装置
KR102211685B1 (ko) * 2019-09-02 2021-02-04 주식회사 엘스 미세 오염 입자 배출 저감 가능한 연소형 난로 및 그에 사용되는 미세 오염 입자 제거 모듈
KR102260106B1 (ko) * 2020-12-04 2021-06-03 주식회사 정원이앤씨 습식 스크러버
KR20220109371A (ko) * 2021-01-18 2022-08-04 엠에이티플러스 주식회사 압력자동제어 벤츄리를 구비한 스크러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265B1 (ko) 2004-05-11 2005-09-15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일체형 산형공-형성 고정판을 구비한 가스 불순물 제거 장치
KR20070057486A (ko) * 2005-12-02 2007-06-07 박지영 습식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265B1 (ko) 2004-05-11 2005-09-15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일체형 산형공-형성 고정판을 구비한 가스 불순물 제거 장치
KR20070057486A (ko) * 2005-12-02 2007-06-07 박지영 습식 공기청정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815B1 (ko) * 2015-11-09 2017-08-03 유니셈(주) 폐가스 처리장치용 전처리장치
CN108525492A (zh) * 2017-03-05 2018-09-14 高雪真 气体净化装置
CN108043145A (zh) * 2017-12-21 2018-05-18 双盾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复杂难处理烟气的湍冲喷射耦合一体式烟气净化工艺
CN108043145B (zh) * 2017-12-21 2021-01-26 双盾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复杂难处理烟气的湍冲喷射耦合一体式烟气净化工艺
KR101897600B1 (ko) * 2018-03-20 2018-09-12 주식회사 해성이엔지 축분 발효기용 악취 및 분진 제거 장치
KR102211685B1 (ko) * 2019-09-02 2021-02-04 주식회사 엘스 미세 오염 입자 배출 저감 가능한 연소형 난로 및 그에 사용되는 미세 오염 입자 제거 모듈
CN111439880A (zh) * 2020-04-07 2020-07-24 嘉兴新嘉爱斯热电有限公司 一种零排放的废水处理装置
CN111439880B (zh) * 2020-04-07 2022-04-12 嘉兴新嘉爱斯热电有限公司 一种零排放的废水处理装置
KR102260106B1 (ko) * 2020-12-04 2021-06-03 주식회사 정원이앤씨 습식 스크러버
KR20220109371A (ko) * 2021-01-18 2022-08-04 엠에이티플러스 주식회사 압력자동제어 벤츄리를 구비한 스크러버 시스템
KR102531017B1 (ko) 2021-01-18 2023-05-11 엠에이티플러스 주식회사 압력자동제어 벤츄리를 구비한 스크러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103B1 (ko) 하수슬러지 건조처리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0980302B1 (ko) 하수슬러지 건조처리시스템
KR101938861B1 (ko) 악취 및 분진 저감장치
KR101874338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RU2456391C2 (ru) Сопл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устройство введения добавки 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текстиля
KR101955270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KR102025024B1 (ko) 단일탑 3단 세정식 탈취장치
KR100786977B1 (ko) 물세척 공기정화기
JP4072815B2 (ja) ファンスクラバー
KR102032801B1 (ko) 3단 습식 세정 장치
KR100652528B1 (ko) 차량 도장 부스의 오염공기 여과 장치
KR102308434B1 (ko) 고효율 세정식 탈취장치
KR100717430B1 (ko) 고효율 멀티세정식 집진장치
KR101883659B1 (ko) 악취가스 균일분배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2061003B1 (ko) 미세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20180005439A (ko) 3단 습식 세정 장치
KR101893358B1 (ko) 악취가스 유입저항 감소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2409348B1 (ko) 공기청정 기능 및 바이러스 사멸 기능을 포함하는 워터 분사방식의 공기정화장치
KR102429315B1 (ko) 스크러버 악취저감장치
CN101545653B (zh) 自洁式过滤器组件及循环系统
KR20080055961A (ko) 항원 폭로실 및 그 세정·건조방법
KR102001359B1 (ko) 악취가스 저감 장치
KR102236966B1 (ko) 악취제거장치
KR100844178B1 (ko) 임핀젯 효과를 극대화한 스크러버 탈취기
KR100742131B1 (ko) 세정 집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