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359B1 - 악취가스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악취가스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359B1
KR102001359B1 KR1020190016762A KR20190016762A KR102001359B1 KR 102001359 B1 KR102001359 B1 KR 102001359B1 KR 1020190016762 A KR1020190016762 A KR 1020190016762A KR 20190016762 A KR20190016762 A KR 20190016762A KR 102001359 B1 KR102001359 B1 KR 102001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gas
chemical liquid
discharge port
malod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의환
Original Assignee
홍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의환 filed Critical 홍의환
Priority to KR1020190016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35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는, 하수로부터 발생된 악취가스를 저감시키는 악취가스 저감 장치에 있어서, 저면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조를 구비한 본체부, 상기 저면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악취가스를 중화시키는 약액이 수용된 약액수용부, 상기 약액수용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악취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악취가스배출부 및 상기 약액수용부와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를 연결하되,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약액수용부에 수용된 약액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악취가스와 동시에 배출되도록 하는 약액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는, 상기 약액수용부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배출편 각각의 배출구는, 상기 약액수용부를 중심으로 형성된 가상의 원의 제1 접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약액이 포함된 악취가스가 수조 내에서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악취가스 저감 장치{Treatment apparatus for offensive gas}
본 발명은 악취가스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수로부터 발생된 악취가스를 저감시키는 악취가스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처리장, 분뇨처리장, 오폐수처리장, 산업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가스에는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악취가스는 인체 흡입시 두통이나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다각적인 방면에서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많은 악취가스 처리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악취가스 탈취 기술로는, 활성탄 흡착법과 약액 세정법, 오존 산화법 및 연소탈취 등과 같은 물리화학적 처리방법, 토양미생물 처리법, 활성 슬러지 처리방법, 바이오필터 등의 생물학적 처리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악취가스를 탈취하고자 하는 처리환경에 따라 선택되어 각각 단독 또는 2개이상 병행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한 악취가스 세정법 중, 습식 스크러버는 일반적으로 약액과 악취가스를 접촉시켜 탈취 처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습식 스크러버는 악취 저감의 목적으로 이용하기보다는 배기가스로부터 오염 물질 또는 분진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대기오염 방지시설로써 주로 사용되었으며, 건조설비나 소각로 후단에 설치되어 사이클론 스크러버, 벤츄리 스크러버 및 습식 세정탑의 여러 가지 형태로 현장에 적용되었다.
특히,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공정에서 음식물 투입공정과 후부숙공정의 경우 실내 공간에 악취는 대단히 고농도이며, 이러한 공정 중에 발생하는 음식물로부터 오는 가벼운 협잡물 및 미세분진은 공간적으로 흡기하여 옥외에 설치된 악취저감설비로 배기하였다. 그러나 다량의 오염물질을 충분하게 처리하지 못하여 유입관과 악취저감설비의 성능 저하를 초래함으로써 악취가스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하수 슬러지의 건조공정에서는 건조 슬러지의 배출과정에서 유발된 미세분진이 단위 공기 체적당 더욱 많은 양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분진은 유기물 성분과 다량의 수분을 자체적으로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공정 후단에서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설비에 막힘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폐수 처리장의 경우 공간 탈취의 목적으로 악취가스의 처리를 위하여 미생물 탈취기, 약액 세정탑 또는 축열식 탈취기 등을 사용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습윤한 미세분진 특히 유기물 성질을 가진 슬러지 및 퇴비의 입자들은 공간 탈취를 위한 흡입 배관과 악취저감설비의 오염을 유발시켜 설비의 수명을 극히 단축시킴과 더불어 빈번한 고장을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악취가스 저감 시설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0217호의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및 상기 탈취장치를 이용한 탈취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악취가스 저감 시설은, 악취가스가 단순히 덕트를 거쳐 탈취부에 유입된 후 약액 공급관 및 원형으로 형성된 유입관의 분사노즐을 거쳐 분사되는 약액과 접촉하여 탈취가 이루어지는 관계로, 악취가스와 약액의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이 적게 되며, 이에 따라 악취가스의 탈취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로부터 발생된 악취를 저감시켜 주위 환경을 개선하고, 악취로 인한 인적 피해를 줄이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는, 하수로부터 발생된 악취가스를 저감시키는 악취가스 저감 장치에 있어서, 저면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조를 구비한 본체부, 상기 저면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악취가스를 중화시키는 약액이 수용된 약액수용부, 상기 약액수용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악취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악취가스배출부 및 상기 약액수용부와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를 연결하되,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약액수용부에 수용된 약액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악취가스와 동시에 배출되도록 하는 약액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는, 상기 약액수용부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배출편 각각의 배출구는, 상기 약액수용부를 중심으로 형성된 가상의 원의 제1 접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약액이 포함된 악취가스가 수조 내에서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의 상기 복수의 배출편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출편은, 상기 본체부의 하부측에 형성된 공기유입부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부의 저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의 종단면적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제공된 악취가스의 이동 경로 전환이 원활하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의 상기 복수의 배출편은, 상기 약액수용부로부터 제1 이격거리에 배치되는 제1 배출라인 및 상기 약액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이격거리 보다 큰 제2 이격거리에 배치되는 제2 배출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배출라인은, 상기 약액수용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벽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출라인은, 상기 제1 배출라인과 상기 본체부의 내측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의 상기 약액분사부는,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출구로 돌출된 채, 상기 제1 접선 방향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분사노즐부 및 상기 약액수용부와 상기 분사노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약액수용부로부터 배출된 약액의 상기 분사노즐부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는 상기 약액분사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채,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악취가스의 배출 경로를 결정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약액분사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임펠러팬으로 구성되어, 상기 악취가스가 와류를 형성한 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의 상기 분사노즐부는, 상기 배출구를 규정하는 상기 절곡부의 끝단을 연결한 가상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의 전단에 체류한 채, 상기 악취가스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의 상기 악취가스의 상기 배출구로의 분사 속도는, 상기 분사노즐부를 통해 분사되는 상기 약액의 분사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의 상기 날개부의 상기 배출구를 향한 일측 끝단의 높이는, 상기 약액분사부의 외측면과 상기 절곡부의 내측면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며, 상기 날개부의 상기 절곡부를 향한 타측 끝단의 높이는, 상기 약액분사부의 외측면과 상기 절곡부의 내측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악취가스와 약액과의 접촉 시간을 늘려, 악취가스의 효율적인 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약액과 악취가스가 동시에 분사되는 중에 와류를 형성하여, 약액과 악취가스의 접촉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의 본체부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의 악취가스배출부 및 약액분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의 악취가스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의 악취가스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1)는, 하수로부터 발생된 악취가스를 저감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악취가스 저감 장치(1)는, 본체부(10), 약액수용부(20), 악취가스배출부(30) 및 약액분사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저면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조(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조(11)는, 상기 본체부(10)의 외부에 위치한 물탱크부와 연결된 채, 제1 연결관을 통해 물탱크부 내의 물이 상기 수조(11)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11)는, 상기 본체부(10)의 외부에 위치한 오염수탱크부와 연결된 채, 제2 연결관을 통해 상기 수조(11) 내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약액수용부(20)는, 상기 저면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악취가스를 중화시키는 약액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악취가스는 상기 약액과의 혼합에 의해 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수 등에서 발생된 악취성분을 약액에 흡수시켜, 화학적 중화 또는 산화 분해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악취성분이 알칼리성일 경우, 황산, 염산의 수용액을 약액으로 이용하며, 악취성분이 산성인 경우, 가성소다 등의 알칼리 용액을 이용하여, 중화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물이나 중화제로는 제거하기 힘든 악취물질이라도 산화제로 제거 가능한 경우가 많으므로, 약액 안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 염소와 악취성분과의 산화 반응을 통해 무취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산화제로는 취급 및 경제성이 뛰어난 차아염소산소다가 있다.
그리고, 악취성분의 성질이나 입구, 출구의 농도조건 등을 고려하여, 사용하는 약제를 결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흡착법 등과 병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악취가스는 상기 약액과의 접촉 강도 및 접촉 시간에 따라 정화 효율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악취가스배출부(30)는, 상기 약액수용부(2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악취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35)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악취가스배출부(30)는, 상기 약액수용부(20)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편(30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배출편(30a) 각각의 배출구(35)는, 상기 약액수용부(20)를 중심으로 형성된 가상의 원의 제1 접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출구(35)를 통해 배출된 상기 약액이 포함된 악취가스가 수조(11) 내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약액분사부(40)는, 상기 약액수용부(20)와 상기 악취가스배출부(30)를 연결하되, 상기 배출구(35)와 연통되어, 상기 약액수용부(20)에 수용된 약액이 상기 배출구(35)를 통해 상기 악취가스와 동시에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악취가스 저감 장치(1)는, 상기 악취가스와 상기 약액의 상기 수조(11) 내에서의 체류 시간을 확보하여, 상호간의 접촉 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상기 악취가스의 상기 약액에 의한 정화 작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로 각각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의 본체부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의 악취가스배출부 및 약액분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1)의 상기 복수의 배출편(30a)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출편(30a)은,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측에 형성된 공기유입부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부(10)의 저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돌출된 돌출부(31), 상기 돌출부(31)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33) 및 상기 절곡부(33)의 끝단에 형성된 배출구(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33)는, 상기 돌출부(31)로부터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31)의 종단면적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제공된 악취가스의 이동 경로 전환이 원활하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31)는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절곡부(33)는,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돌출부(31)를 통해 이동되는 악취가스는 상기 절곡부(33)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중에, 흐름이 방해될 수 있는데, 상기 절곡부(33)는, 이러한 악취가스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31)를 통해 이동되는 악취가스는 상기 절곡부(33)에 굴곡된 형상을 따라 이동되면서, 점진적으로 방향전환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33)는,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배출구(35)가 향하는 방향이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배출구(35)를 통해 배출되는 악취가스가 수중에서 체류할 시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만약, 상기 배출구(35)가 상향 되어있다면, 물보다 밀도가 작은 악취가스가 부력에 의해 더욱 빠르게 상승하여, 상기 약액과의 접촉 시간 확보에 어려울 수 있으며, 또 상기 배출구(35)가 하향 되어있다면, 수중에서의 체류 시간 확보에는 유리하나, 후술할 악취가스에 의한 와류 형성에는 그만큼 취약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절곡부(33)는,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약액과의 접촉 시간 연장을 위한 수중 체류 시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와류 형성에 의해 약액과 악취가스의 혼합 비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복수의 배출편(30a) 각각의 배출구(35)는, 상기 약액수용부(20)를 중심으로 형성된 가상의 원의 제1 접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출구(35)를 통해 배출된 상기 약액이 포함된 악취가스가 수조(11) 내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조(11)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조(11)부에 원통형 밑면의 크기보다 작은 가상의 원의 제1 접선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배출편(30a) 각각의 배출구(35)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35)로 분사된 약액이 포함된 악취가스는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35)로부터 분사된 약액이 포함된 악취가스에 의해 형성된 와류는, 상기 악취가스가 부력에 의해 바로 상승하지 않고, 와류를 따라 상승하도록 하여, 상기 약액과 상기 악취가스의 접촉 체류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약액분사부(40)는, 상기 절곡부(33)를 관통하여, 상기 배출구(35)로 돌출된 채, 상기 제1 접선 방향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분사노즐부(41) 및 상기 약액수용부(20)와 상기 분사노즐부(41)를 연결하는 연결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3)는, 길이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약액수용부(20)로부터 배출된 약액의 상기 분사노즐부(41)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43)는, 상기 분사노즐부(41)로의 약액 분사를 위해, 상기 약액수용부(20)와 상기 분사노즐을 연결하며, 이를 위해 상기 약액수용부(20)와 상기 악취가스배출부(30) 사이를 경유할 수 밖에 없다. 이 때, 상기 연결부(43)는, 와류가 형성된 수조(11) 내의 물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43)를 굴곡지게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1)는, 상기 약액분사부(40)의 외주면에 형성된 채, 상기 배출구(35)로 배출되는 상기 악취가스의 배출경로를 결정하는 날개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50)는, 상기 약액분사부(4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임펠러팬(5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임펠러팬(51)은, 상기 악취가스가 와류를 형성한 채, 상기 배출구(35)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구(35)는, 중심 영역은 상기 분사노즐부(41)가 배치되고, 상기 분사노즐부(4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배출 공간은 상기 복수의 임펠러팬(51)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 공간으로 배출되는 악취가스를 포함한 공기는 상기 복수의 임펠러팬(51)이 형성하는 나선형 공간을 따라 이동되면서, 와류를 형성한 채, 배출되게 된다.
상기 악취가스를 포함한 공기는, 와류를 형성하여 직진성이 확보됨과 동시에 상기 분사노즐부(41)를 통해 분사된 약액과의 혼합 체류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확보된 직진성은, 상기 수조(11) 내에 형성된 물의 와류 형성에 기여하며, 상기 약액과의 혼합 체류 시간은 동일 거리 이동 중에, 상기 악취가스를 유발하는 입자와 상기 약액과의 혼합율 및 접촉 시간 확보에 기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약액과 악취가스는 임펠러팬(51)에 의한 와류에 의한 1차적으로 혼합되고, 상기 배출구(35)로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수조(11) 내에 형성된 와류에 의해 2차적으로 혼합됨과 동시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부(41)는, 상기 배출구(35)를 규정하는 상기 절곡부(33)의 끝단을 연결한 가상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35)의 전단에 체류한 채, 상기 악취가스와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상기 분사노즐부(41)가 상기 배출구(35)의 전단에 체류하지 않는다면, 상기 임펠러팬(51)에 의해 배출되는 악취가스의 분사력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부(41)로 분사되는 약액의 배출 경로가 차단되어, 약액 분사가 원활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분사노즐부(41)를 통한 약액 분사가 원활히 구현되도록 상기 분사노즐부(41)가 상기 배출구(35)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50)의 상기 배출구(35)를 향한 일측 끝단의 높이는, 상기 약액분사부(40)의 외측면과 상기 절곡부(33)의 내측면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날개부(50)의 상기 절곡부(33)를 향한 타측 끝단의 높이는, 상기 약액분사부(40)의 외측면과 상기 절곡부(33)의 내측면의 이격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50)는, 상기 절곡부(33)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배출구(35)를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절곡부(33)를 통해 이동된 상기 악취가스가 상기 복수의 임펠러팬(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중에 상기 임펠러팬(51)에 의한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복수의 임펠러팬(51)의 높이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다면, 상기 절곡부(33)를 향해 이동된 악취가스가 상기 복수의 임펠러팬(51)과 부딪혀 흐름에 방해를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소음 유발 및 악취가스 정화 효율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악취가스의 상기 배출구(35)로의 분사 속도는, 상기 분사노즐부(41)를 통해 분사되는 상기 약액의 분사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이는, 상기 배출구(35)로부터 돌출된 상기 분사노즐부(41)에서 배출되는 약액이 상기 수조(11) 내에서 확산되기 전에, 상기 배출구(35)로부터 배출된 악취가스와 혼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의 악취가스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1)는, 제2 배출라인(L2)을 제외하고,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악취가스 저감 장치(1)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제2 배출라인(L2)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1)의 복수의 배출편(30a)은, 상기 약액수용부(20)로부터 제1 이격거리에 배치되는 제1 배출라인(L1) 및 상기 약액수용부(20)로부터 상기 제1 이격거리 보다 큰 제2 이격거리에 배치되는 제2 배출라인(L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라인(L1)은, 상기 약액수용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측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출라인(L2)은, 상기 제1 배출라인(L1)과 상기 본체부(10)의 내측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출라인(L2)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출편(30a)에서 배출되는 악취가스 및 약액은 상기 제1 배출라인(L1)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출편(30a)에서 배출되는 악취가스 및 약액과 함께 와류를 형성하여, 상기 수조(11) 내에서 상기 악취가스 및 상기 약액의 혼합 시간 및 접촉 체류 시간 확보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제2 배출라인(L2)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출편(30a)은 상기 제1 배출라인(L1)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출편(30a)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각각의 배출편(30a)에서 분사되는 분사력이 더해지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의 악취가스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1)는, 제2 배출라인(L2)을 제외하고,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악취가스 저감 장치(1)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제3 배출라인(L3)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장치(1)의 복수의 배출편(30a)은, 상기 약액수용부(20)로부터 제1 이격거리에 배치되는 제1 배출라인(L1) 및 상기 약액수용부(20)로부터 상기 제1 이격거리 보다 큰 제2 이격거리에 배치되는 제3 배출라인(L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라인(L1)은, 상기 약액수용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측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배출라인(L3)은, 상기 제1 배출라인(L1)과 상기 본체부(10)의 내측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배출라인(L3)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출편(30a)에서 배출되는 악취가스 및 약액은 상기 제1 배출라인(L1)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출편(30a)에서 배출되는 악취가스 및 약액과 함께 와류를 형성하여, 상기 수조(11) 내에서 상기 악취가스 및 상기 약액의 혼합 시간 및 접촉 체류 시간 확보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제3 배출라인(L3)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출편(30a)은 상기 제1 배출라인(L1)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출편(30a)과 어긋나게 배치되어, 이웃한 배출편(30a)과의 사이에 복수의 소용돌이 와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악취가스와 상기 약액의 혼합 및 접촉 체류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악취가스 저감 장치
10: 본체부
20: 약액수용부
30: 악취가스배출부
40: 약액분사부
50: 날개부

Claims (8)

  1. 하수로부터 발생된 악취가스를 저감시키는 악취가스 저감 장치에 있어서,
    저면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조를 구비한 본체부;
    상기 저면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악취가스를 중화시키는 약액이 수용된 약액수용부;
    상기 약액수용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악취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악취가스배출부; 및
    상기 약액수용부와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를 연결하되,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약액수용부에 수용된 약액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악취가스와 동시에 배출되도록 하는 약액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는,
    상기 약액수용부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배출편 각각의 배출구는, 상기 약액수용부를 중심으로 형성된 가상의 원의 제1 접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상기 약액이 포함된 악취가스가 수조 내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복수의 배출편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출편은,
    상기 본체부의 하부측에 형성된 공기유입부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부의 저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의 종단면적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제공된 악취가스의 이동 경로 전환이 원활하게 구현되도록 하고,
    상기 약액분사부는,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출구로 돌출된 채, 상기 제1 접선 방향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분사노즐부 및 상기 약액수용부와 상기 분사노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약액수용부로부터 배출된 약액의 상기 분사노즐부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편은,
    상기 약액수용부로부터 제1 이격거리에 배치되는 제1 배출라인 및 상기 약액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이격거리 보다 큰 제2 이격거리에 배치되는 제2 배출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배출라인은,
    상기 약액수용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벽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출라인은,
    상기 제1 배출라인과 상기 본체부의 내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분사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채,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악취가스의 배출 경로를 결정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약액분사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임펠러팬으로 구성되어, 상기 악취가스가 와류를 형성한 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는,
    상기 배출구를 규정하는 상기 절곡부의 끝단을 연결한 가상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의 전단에 체류한 채, 상기 악취가스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가스의 상기 배출구로의 분사 속도는, 상기 분사노즐부를 통해 분사되는 상기 약액의 분사 속도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상기 배출구를 향한 일측 끝단의 높이는, 상기 약액분사부의 외측면과 상기 절곡부의 내측면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며,
    상기 날개부의 상기 절곡부를 향한 타측 끝단의 높이는, 상기 약액분사부의 외측면과 상기 절곡부의 내측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 장치.
KR1020190016762A 2019-02-13 2019-02-13 악취가스 저감 장치 Active KR102001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62A KR102001359B1 (ko) 2019-02-13 2019-02-13 악취가스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62A KR102001359B1 (ko) 2019-02-13 2019-02-13 악취가스 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359B1 true KR102001359B1 (ko) 2019-07-17

Family

ID=6751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762A Active KR102001359B1 (ko) 2019-02-13 2019-02-13 악취가스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3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993A (ko) 2019-07-18 2021-01-27 황완수 악취저감장치
KR102266333B1 (ko) * 2021-04-29 2021-06-18 주식회사 호원 가스 미세화 기능을 갖는 탈취 장치
KR102288787B1 (ko) * 2021-01-26 2021-08-11 동산기계(주) 세정탑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415A (ja) * 1991-09-10 1993-09-24 Werner Stahl 霧化装置
KR100972921B1 (ko) * 2009-12-02 2010-07-28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회전 격판식 선회류 세정 및 탈취장치
KR101037214B1 (ko) * 2010-06-21 2011-05-26 (주)엔탑스 음향공진형 미생물 탈취장치
KR101056686B1 (ko) * 2010-10-26 2011-08-12 주식회사 엘엔에이치환경기술공사 캐비테이션 기포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1193619B1 (ko) * 2011-11-03 2012-10-23 코오롱엔솔루션 주식회사 이온수의 미적분사와 토네이도기류를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1648118B1 (ko) * 2015-03-31 2016-08-18 주식회사 한경 이-텍 약액주입 토네이도 방식 오염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415A (ja) * 1991-09-10 1993-09-24 Werner Stahl 霧化装置
KR100972921B1 (ko) * 2009-12-02 2010-07-28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회전 격판식 선회류 세정 및 탈취장치
KR101037214B1 (ko) * 2010-06-21 2011-05-26 (주)엔탑스 음향공진형 미생물 탈취장치
KR101056686B1 (ko) * 2010-10-26 2011-08-12 주식회사 엘엔에이치환경기술공사 캐비테이션 기포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1193619B1 (ko) * 2011-11-03 2012-10-23 코오롱엔솔루션 주식회사 이온수의 미적분사와 토네이도기류를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 및 악취 제거 장치
KR101648118B1 (ko) * 2015-03-31 2016-08-18 주식회사 한경 이-텍 약액주입 토네이도 방식 오염공기정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993A (ko) 2019-07-18 2021-01-27 황완수 악취저감장치
KR102288787B1 (ko) * 2021-01-26 2021-08-11 동산기계(주) 세정탑
KR102266333B1 (ko) * 2021-04-29 2021-06-18 주식회사 호원 가스 미세화 기능을 갖는 탈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537B1 (ko)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KR102143836B1 (ko) 아토마이징 장치
KR101655356B1 (ko) 질소산화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설비
KR101591849B1 (ko) 세정식 탈취장치
KR102001359B1 (ko) 악취가스 저감 장치
KR101999165B1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탈취장치
KR101918005B1 (ko) 다단 탈취 필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2단 세정 탈취 장치
KR102076856B1 (ko) 극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극미세기포를 이용한 화학적 탈취제 세정장치
KR102077324B1 (ko) 악성 악취가스 탈취시스템
KR101708598B1 (ko) 공기 접촉식 약액 탈취장치
KR101997185B1 (ko) 촉매산화수 발생장치를 이용한 약액 세정 탈취장치
KR102188763B1 (ko) 약액과 오존수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1874952B1 (ko) 선회식 유로 접촉을 이용한 다단 세정 탈취장치
KR102242287B1 (ko) 복합악취 제거설비
US8518323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oxidizing a vapor-phase substrate with low dose zone
KR100540217B1 (ko)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및 상기 탈취장치를 이용한 탈취방법
KR101896065B1 (ko) 악취처리장치
KR101789146B1 (ko) 약액 세정식 다단 탈취장치
KR200307111Y1 (ko) 분뇨처리장용 분뇨기체의 탈취장치
KR101765189B1 (ko) 악취가스 탈취장치
KR100844178B1 (ko) 임핀젯 효과를 극대화한 스크러버 탈취기
KR102410625B1 (ko) 유해가스 저감 시스템
KR101006615B1 (ko) 악취제거장치 및 스크러버
KR200312656Y1 (ko)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KR20070121497A (ko) 탈취탑 및 믹싱 시스템을 이용한 오염기체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