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956B1 -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및 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및 수신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0956B1 KR100980956B1 KR1020077023443A KR20077023443A KR100980956B1 KR 100980956 B1 KR100980956 B1 KR 100980956B1 KR 1020077023443 A KR1020077023443 A KR 1020077023443A KR 20077023443 A KR20077023443 A KR 20077023443A KR 100980956 B1 KR100980956 B1 KR 1009809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display
- output
- simple image
- receiving
- wi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747 swallow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39 end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86 mem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5 peristal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doscop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수신 장치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를 외부 모니터로 전송할 때에 외부 모니터와 수신 장치 사이에서 전기적인 접속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 간이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한다. 입력 단자(10)에 대해서만 전기적으로 접속된 발광부(21) 및 발광부(21)로부터 출력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22)로 이루어지는 포토커플러(23)와, 수신한 무선 신호의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부(24)와, 포토커플러(23)측 또는 복조부(24)의 쌍방으로부터의 전기 신호 중 어느 한쪽을 출력하는 절환부(25)와, 절환부(25)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부(9) 및 출력 단자(11)에 대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생성부(26)를 구비한다.
수신 시스템, 피검체, 캡슐형 내시경, 수신 장치, 간이 화상 표시 장치, 외부 모니터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검체에 휴대된 상태에서 소정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 표시 및 상기 화상 데이터의 외부 장치에 대한 출력이 가능한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및 간이 화상 표시 장치를 구비한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내시경의 분야에서는, 삼키는 형태의 캡슐형 내시경이 제안되어 있다. 이 캡슐형 내시경에는, 촬상 기능과 무선 통신 기능이 설치되어 있다. 캡슐형 내시경은, 관찰(검사)을 위해서 피검체의 입으로부터 삼켜진 후, 자연 배출될 때까지의 동안, 체강 내, 예를 들면 위, 소장 등의 장기의 내부를 그 연동 운동에 따라서 이동하고, 이동에 수반하여, 예를 들면 0.5초 간격으로 피검체 내 화상의 촬상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체강 내를 이동하는 동안, 캡슐형 내시경에 의해 체내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무선 통신에 의해 외부로 송신되고, 수신 장치에 설치된 메모리에 축적된다. 무선 통신 기능과 메모리 기능을 갖춘 수신 장치를 휴대함으로써, 피검체는, 캡슐형 내시경을 삼킨 후, 배출될 때까지의 동안에 걸쳐, 자유롭게 행동 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 참조).
이러한 캡슐형 내시경 시스템에서는, 캡슐형 내시경에 의한 일련의 촬상 동작이 완료된 후에 수신 장치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를 워크스테이션 등에 전송함으로써 화상의 열람이 사후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의사 등으로부터는 염려스러운 개소 등에 관하여 촬상 화상을 리얼타임으로 열람하는 것에 대한 요망도 높아, 캡슐형 내시경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리얼타임으로 화상 표시를 행하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를 부속한 시스템도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간이 화상 표시 장치는, 가장 간단한 구성으로서는 수신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구성을 가짐과 함께, 소형의 표시 화면 및 소정의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간이 화상 표시 장치는, 수신 장치에서 수신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입력받는 것이 가능하여, 입력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시한 후에 소형의 표시 화면 상에 캡슐형 내시경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종래의 간이 화상 표시 장치 중에는, 수신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외부 모니터에 대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 단자를 구비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 출력 단자를 구비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통상은 간이 화상 표시 장치에 구비되는 소형 화면 상에서 화상 데이터를 열람하는 한편, 병변부의 존재가 의심되는 화상이 표시되었을 때에, 보다 자세한 진단을 행하기 위해 별도 TV 수상기 등의 대형 모니터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허 문헌1] 일본 특개 2003-19111호 공보
<발명의 내용>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외부 모니터에 대한 출력 단자를 구비한 종래의 간이 화상 표시 장치는, 대형 모니터와 수신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되기 때문에, 대형 모니터 내를 흐르는 전류가 수신 장치에 도달하여, 수신 장치를 휴대한 피검체에 대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캡슐형 내시경 시스템에서는, 수신 장치는, 피검체(환자)가 항상 휴대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외부 모니터 내부에서 대전류가 생긴 경우에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를 경유하여 수신 장치에 대전류가 흐를 우려가 있다. 특히, 대형의 표시 화면에서 화상 표시를 행하는 외부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가정용 전원으로부터 구동 전력이 공급되는 구성을 갖기 때문에, 간이형 화상 표시 장치를 경유하여 외부 모니터로부터 수신 장치에 대하여 전류가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 간이형 화상 표시 장치에 필요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피검체에 휴대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수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의 표시가 가능함과 함께, 화상 데이터를 외부 모니터에 대하여 출력 가능한 간이 화상 표시 장치에서, 외부 모니터와 수신 장치 사이에서 전기적인 접속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및 간이 화상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간이 화상 표시 장치는, 피검체에 휴대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수신 장치의 수신 처리에 의해 생성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 표시 및 상기 화상 데이터의 외부 장치에 대한 출력이 가능한 간이 화상 표시 장치로서, 사용 시에 상기 수신 장치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를, 출력 대상에 대하여 도전 배선을 통하지 않고 비선출력하는 비선출력 수단과, 상기 비선출력 수단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비선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입력받는 비선입력 수단과, 상기 비선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비선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하여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간이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수신 장치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를, 도전 배선을 통하지 않은 비선출력 수단 및 비선입력 수단을 경유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수신 장치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를 외부 장치에 출력할 때에 수신 장치와 외부 장치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 장치로부터의 누설 전류가 수신 장치에 유입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간이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서, 상기 비선출력 수단은,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비선입력 수단은, 상기 비선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광 신호를 수광하고, 수광한 광 신호에 광전 변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전기 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간이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서, 상기 비선출력 수단 및 상기 비선입력 수단은, 포토커플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간이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서, 상기 비선출력 수단은,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비선입력 수단은,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전기 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간이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서, 상기 비선출력 수단 및 상기 비선입력 수단은,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전송 유닛 내에 형성되고,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전송 유닛이 상기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에만 상기 비선입력 수단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간이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서,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전송 유닛 표면 상으로서, 장착했을 때에 상기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와 접촉하는 면 상에 배치된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비선입력 수단은, 상기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 표면 상으로서, 상기 전송 유닛을 장착했을 때에 상기 제1 단자와 당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간이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의 발명에서, 상기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에 대한 케이싱의 장착의 유무를 검출하는 장착 검출 수단과, 상기 장착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비선입력 수단과 상기 출력 단자 사이의 전기적 도통을 제어하는 도통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수신 시스템은, 피검체에 휴대되고, 그 피검체 내부에 도입된 피검체 내 도입 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처리를 행하는 수신 장치와, 그 수신 장치의 수신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 표시 및 상기 화상 데이터의 외부 장치에 대한 출력이 가능한 간이 화상 표시 장치를 구비한 수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신 장치는, 소정의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하여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부와, 적어도 상기 복조부에 의한 복조 처리가 실시된 전기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간이 화상 표시 장치는, 사용 시에 상기 출력 단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를 경유하여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를, 출력 대상에 대하여 도전 배선을 통하지 않고 비선출력하는 비선출력 수단과, 상기 비선출력 수단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비선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입력받는 비선입력 수단과, 상기 비선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비선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하여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및 수신 시스템은, 수신 장치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를, 도전 배선을 통하지 않은 비선출력 수단 및 비선입력 수단을 경유하여 전송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수신 장치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를 외부 장치에 출력할 때에 수신 장치와 외부 장치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 장치로부터의 누설 전류가 수신 장치에 유입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수신 시스템의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블록도.
도 3은 실시 형태 1의 변형예에 따른 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블록도.
도 4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블록도.
도 5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블록도.
도 6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블록 도.
도 7은 수신 시스템에 구비되는 도통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부호의 설명>
1 : 수신 시스템
2 : 피검체
3 : 캡슐형 내시경
4 : 수신 장치
5 : 간이 화상 표시 장치
6 : 외부 모니터
7a∼7h : 수신 안테나
9 : 표시부
10 : 입력 단자
11 : 출력 단자
12 : 입력부
13 : 수신 안테나
14 : 안테나 선택부
15 : 복조부
16 : 데이터 생성부
17 : 기록부
18 : 출력 단자
19 : 전력 공급부
21 : 발광부
22 : 수광부
23 : 포토커플러
24 : 복조부
25 : 절환부
26 : 데이터 생성부
27 : 구동 제어부
28 : 전력 공급부
29 : 수신 장치
30 : 간이 화상 표시 장치
31 : 간이 화상 표시 장치
32 : 무선 송신부
33 : 무선 수신부
34 : 송신 유닛
35 :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
38 : 간이 화상 표시 장치
39 :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
40 : 전송 유닛
41∼44 : 단자
45 : 간이 화상 표시 장치
46 :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
47 : 전송 유닛
48 : 접속 검출부
49 : 절환부
50 : 도통 제어부
51 : 스위칭 소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이하에서는, 간단히「실시 형태」라고 칭함)인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및 간이 화상 표시 장치를 구비한 수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 각 부분의 두께와 폭의 관계, 각각의 부분의 두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서로 다른 것에 유의해야 한다.
(실시 형태 1)
우선,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우선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신 시스템의 사용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 후, 수신 시스템의 구성, 작용 등에 대하여 설명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신 시스템의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신 시스템(1)은, 피검 체(2)에 도입된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처리에 이용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신 시스템(1)은, 피검체(2)에 휴대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수신 안테나(7a∼7h)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의 수신 처리를 행하는 수신 장치(4)와, 수신 장치(4)에 접속되고, 수신 장치(4)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캡슐형 내시경(3)에 의해 촬상된 화상의 표시 및 외부 모니터(6)에 대한 데이터 출력을 행하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5)를 구비한다.
캡슐형 내시경(3)은, 피검체 내 도입 장치의 일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피검체(2)의 구강을 통하여 피검체(2) 내부에 도입되어, 예를 들면 내장한 촬상 기구에 의해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피검체(2)의 외부에 대하여 무선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외부 모니터(6)는, 외부 장치의 일례로서 기능하는 것으로서, 캡슐형 내시경(3)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상세히 관찰할 때에 이용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신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5)도 화상 표시 기능을 갖지만, 간이 화상 표시 장치(5)가 가반성 등을 고려하여 소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모니터(6)는, 병변부의 의심 등이 생겨서, 보다 상세한 관찰이 필요해진 경우에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외부 모니터(6)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소정의 표시 면적을 갖는 화면을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입력 가능한 일반적인 모니터 장치이면 충분하며,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가정용 전원으로 구동하는 TV 수상기를 외부 모니터(6)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수신 장치(4)는,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 안테나(7a∼7h)를 통하여 수신하고, 소정의 수신 처리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4)는 피검체(2)에 휴대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수신 장치(4)를 이러한 양태로 사용함으로써, 피검체(2)는 캡슐형 내시경(3)을 체내에 도입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행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의 예에서는 수신 장치(4)와 간이 화상 표시 장치(5)가 소정의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지만, 양자는 항상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된다고 하는 것은 아니며, 피검체 내 화상의 리얼타임 관찰을 행하지 않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피검체(2)는 수신 장치(4)만을 휴대하게 되어, 자유로운 행동이 가능하다.
간이 화상 표시 장치(5)는, 수신 장치(4)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의 표시 및 외부 모니터(6)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간이 화상 표시 장치(5)는, 도 1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표시용의 표시부(9)와, 수신 장치(4)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입력 단자(10)와, 외부 모니터(6)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출력 단자(11)와, 구동 상태의 제어 등을 행하기 위한 입력부(12)를 구비한다. 또한, 간이 화상 표시 장치(5)로서는, 수신 장치(4)를 경유하지 않고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직접적으로 수신하는 것도 가능한 구성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고, 본 실시 형태 1에서의 간이 화상 표시 장치(5)도 이러한 수신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수신 안테나(13)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수신 장치(4) 및 간이 화상 표시 장치(5)의 구성의 상세히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신 장치(4) 및 간이 화상 표시 장치(5)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4)는, 수신 안테나(7a∼7h)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안테나 선택부(14)와, 안테나 선택부(14)에 의해 선택된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하여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부(15)와, 복조 처리가 실시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캡슐형 내시경(3)에 의해 취득된 화상에 대응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16)와, 데이터 생성부(16)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 하기 위한 기록부(17)를 구비한다. 또한, 수신 장치(4)는, 복조부(15)에서 복조 처리가 실시된 전기 신호를 간이 화상 표시 장치(5)에 출력하기 위한 출력 단자(18)와,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19)를 구비한다.
안테나 선택부(14)는, 수신 안테나(7a∼7h) 중,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에 적합한 것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안테나 선택부(14)에 의한 구체적인 선택 메카니즘은, 예를 들면, 수신 안테나(7a∼7h)의 각각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의 강도를 비교하여, 무선 신호의 강도가 가장 높은 수신 안테나를 선택한다.
기록부(17)는, 데이터 생성부(16)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워크스테이션 등에서의 사후적인 열람에 이용하기 위하여 기록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록부(17)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소정의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을 내장하는 것으로 하여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기록부(17)는, 컴팩트 플래시(등록상표) 메모리 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출력 단자(18)는, 복조부(15)에서 복조 처리가 실시된 전기 신호를 간이 화상 표시 장치(5)에 대하여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단자(18)는, 소정의 케이블 등을 통하여 간이 화상 표시 장치(5)에 구비되는 입력 단자(10)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케이블 등을 통하여 전기 신호를 간이 화상 표시 장치(5)에 대하여 출력한다. 또한, 출력 단자(18)가 전원 및 어스 전위의 공급도 받는 구성을 갖고, 양자를 접속하는 케이블 등은, 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출력 단자(18)는, 복조부(15)로부터의 전기 신호뿐만 아니라 전원 및 어스 전위에 관해서도 간이 화상 표시 장치(5)측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간이 화상 표시 장치(5)의 구성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간이 화상 표시 장치(5)는, 입력 단자(10)에 대해서만 전기적으로 접속된 발광부(비선출력 수단(21)) 및 발광부(21)로부터 출력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비선입력 수단(22))로 이루어지는 포토커플러(23)와, 수신 안테나(13)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의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부(24)와, 포토커플러(23)측 또는 복조부(24)의 쌍방으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입력받고, 어느 한쪽을 출력하는 절환부(25)와, 절환부(25)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부(9) 및 출력 단자(11)에 대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생성부(26)를 구비한다. 또한, 간이 화상 표시 장치(5)는, 입력부(12)를 통한 입력 내용에 기초하여 소정의 제어를 행하는 구동 제어부(27)와, 발광부(21)를 제외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28)를 구비한다.
입력 단자(10)는, 수신한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장치(4) 내에서 얻어진 전기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단자(10)는 수신 장치(4)에 구비되는 출력 단자(18)와 동축 케이블 등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 입력 단자(10)에는, 복조부(15)에 의한 복조 처리가 실시된 전기 신호 및 전원, 어스 전위가 공급되게 된다.
포토커플러(23)의 구성 요소인 발광부(21)는, 비선출력 수단의 일례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입력된 전기 신호에 따른 광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때문에, 발광부(21)는, 출력 대상에 대하여 도전 배선을 통하지 않은 비선출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도전 배선을 통하여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아니고, 전기 신호에 대응한 광 신호를 출력 함으로써 비선출력을 실현한다.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발광부(21)는,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 반도체 레이저 소자 등의 발광 소자 및 필요한 구동 회로를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발광부(21)는, 입력 단자(10) 이외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절연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으며, 입력 단자(10)를 통하여 수신 장치(4)측으로부터 공급된 전기 신호 및 전원, 어스 전위에 기초하여 구동 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포토커플러(23)의 다른 구성 요소인 수광부(22)는, 비선입력 수단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수광부(22)는, 발광부(2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서 배치됨과 함께, 발광부(21)에서 출력된 광 신호를 수광하고, 수광한 광 신호를 광전 변환 처리함으로써 전기 신호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다. 수광부(22)의 구체적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광전 변환 기능을 갖는 포토 다이오드, 포토 트랜지스터 등에 의해 형성된다.
복조부(24)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5)에 구비되는 수신 안테나(13)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하여 복조 처리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서의 간이 화상 표시 장치(5)는, 수신 장치(4)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받아서 화상 표시 등을 행할 뿐만 아니라, 간이 화상 표시 장치(5) 단체로도 캡슐형 내시경(3)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화상 표시 가능한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기능에 대응하여, 간이 화상 표시 장치(5)는, 수신 안테나(13) 및 복조부(24)를 내부에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복조부(24)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수신 장치(4)에 구비되는 복조부(15)와 마찬가지의 것으로 하여도 된다.
절환부(25)는, 수광부(22) 및 복조부(24)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양자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 중, 데이터 생성부(26)에 대하여 출력하는 전기 신호를 절환하기 위한 것이다. 출력하는 전기 신호의 절환은, 입력부(12)를 통하여 입력받은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는 구동 제어부(27)의 제어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생성부(26)는, 절환부(25)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 생성부(26)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표시부(9) 및 출력 단자(11)에 대하여 출력된다. 또한, 데이터 생성부(26)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외부 모니터(6)에서 화상 표시가 행해지기 때문에, 데이터 생성부(26)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의 형식은 일반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9)는, 캡슐형 내시경(3)에 의해 취득된 피검체 내부에 관한 화상을 간이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부(9)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구성된 소형 화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는 표시부(9)를 열람함으로써, 피검체 내부 화상의 개요를 리얼타임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출력 단자(11)는, 외부 모니터(6)와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데이터 생성부(26)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외부 모니터(6)에 대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출력 단자(11)와 외부 모니터(6) 사이는, 도 1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케이블 등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수신 시스템의 동작 중,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 장치(4)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 장치(4)에 의해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데이터를 외부 모니터(6)에 대하여 출력하고, 외부 모니터(6)의 화면 상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수신 장치(4)에 구비되는 안테나 선택부(14)에 의해 선택된 수신 안테나(7)를 통하여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이 행해진다. 수신된 무선 신호는, 복조부(15)에 의해 복조 처리가 실시되고, 복조 처리 후의 전기 신호 및 수신 장치(4) 내부에서 생성된 어스 전위는, 출력 단자(18) 및 출력 단자(18)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 등을 경유하여, 간이 화상 표시 장치(5)에 구비되는 입력 단자(10)에 대하여 출력된다.
그리고, 발광부(21)는, 입력 단자(10)를 통하여 공급된 전원 전압에 의해 구동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입력 단자를 통하여 공급된 어스 전위와 전기 신호 사이의 전위차에 따른 휘도의 광을 발광함으로써,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한 후에 출력한다. 출력된 광 신호는, 발광부(2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된 수광부(22)에 의해 수광되고, 수광부(22)는, 수광한 광 신호에 대하여 광전 변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전기 신호로 재생한 후에 절환부(25)에 출력한다.
그 후, 수광부(22)에 의해 재생된 전기 신호는 절환부(25)를 경유하여 데이터 생성부(26)에 입력된다. 데이터 생성부(26)는, 입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일반적인 형식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 단자(11)를 통하여 외부 모니터(6)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외부 모니터(6)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캡슐형 내시경(3)에 의해 취득된 피검체(2) 내부의 화상이 대형의 화면 상에 리얼타임 표시되어, 의사 등에 의한 상세한 관찰이 행해지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신 시스템의 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신 시스템에 구비되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5)는, 수신 장치(4)와 외부 모니터(6)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신 장치(4)에 의해 수신한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모니터(6)가 화상 표시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간이 화상 표시 장치(5)에서는, 비선출력 수단(발광부(21))이 출력 대상인 비선입력 수단(수광부(22))에 대하여 도전 배선을 통하지 않고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양자의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 관계가 단절되어 있어서, 비선출력 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한 수신 장치(4)와, 비선입력 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한 외부 모니터(6)와의 사이는,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외부 모니터(6) 내의 회로 구조 중에 단락 등이 발생하여 대전류가 발생한 경우라도, 이러한 대전류가 수신 장치(4)에 유입하는 일은 없어, 수신 장치(4)를 휴대한 피검체(2)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비선출력 수단으로서 발광부(21)를 채용하고, 비선입력 수단으로서 수광부(22)을 채용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확실한 신호 전송을 저소비 전력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즉, 광 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기술 그 자체에 관해서는 광 통신의 분야 등에서 이미 확립되어 있고, 확립된 이들의 기술을 유용함으로써 신뢰성이 높은 신호 전송을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광부(21)를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전력은 극히 작은 값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갖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발광부(21) 및 수광부(22)의 쌍방이 간이 화상 표시 장치(5)에 내장된 구성을 갖고 있어, 양자를 서로 근접한 위치에 배치한 경우에는, 발광부(21)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를 작은 값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여, 광통신의 경우 등과 비교하여 소비 전력을 더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변형예)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수신 시스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본 변형예에 따른 수신 시스템은, 수신 장치로부터 출력하는 전기 신호로서, 실시 형태 1과 같이 복조 처리가 이루어진 단계의 전기 신호로 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 생성부(16)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을 갖는다.
도 3은, 본 변형예에 따른 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수신 시스템에서는, 수신 장치(29) 내부에서, 복조부(15)와 출력 단자(18) 사이가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은 아니고, 사이에 데이터 생성부(16)를 배치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한 결과, 출력 단자(18)를 통하여 간이 화상 표시 장치(30)에 대하여 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복조부(15)에 의해 복조 처리가 실시된 단계의 것은 아니고, 데이터 생성부(16)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서 생성된 전기 신호로 된다.
간이 화상 표시 장치(30)에 관해서도, 출력되는 전기 신호의 차이에 따라서 서로 다른 구성이 채용된다. 구체적으로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30)의 구성 요소인 데이터 생성부(26)는, 절환부(25)와 출력 단자(11) 사이에 배치되지 않고 복조부(24)와 절환부(25) 사이에 배치되고, 절환부(25)는, 데이터 생성부(26)를 경유하지 않고 표시부(9) 및 출력 단자(11)와 직접적으로 접속된다. 이는, 수신 장치(29)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화상 데이터로 되는 것에 대응하여, 수광부(22)에서 재생된 전기 신호도 화상 데이터의 형식으로 된다. 이 때문에, 간이 화상 표시 장치(30) 내에 구비되는 수신 안테나(13)측으로부터 절환부(25)에 대하여 입력되는 전기 신호에 관해서도 화상 데이터의 형식으로 하기 위해서, 본 변형 예에서는, 복조부(24)와 절환부(25) 사이에 데이터 생성부(26)를 배치한 구성을 채용한다. 그리고, 절환부(25)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화상 데이터의 형식의 것으로 되기 때문에, 절환부(25)와 표시부(9), 출력 단자(11) 사이에 데이터 생성부(26)를 배치할 필요는 없고, 절환부(25)와 표시부(9), 출력 단자(11)는 직접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신 장치로부터 간이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하여 출력되는 전기 신호의 종류로서는,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에 대응한 것이면 어떠한 형식의 것으로 하여도 되고, 어떠한 처리 단계에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어떤 형식의 전기 신호이었다고 하여도,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내에 비선출력 수단과 비선입력 수단의 쌍이 형성됨으로써,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이점을 향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실시 형태 2에 따른 수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수신 시스템에서는, 비선출력 수단과 비선입력 수단 사이에서의 정보전달을, 무선 통신에 의해 행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수신 시스템에서는, 수신 장치(4)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한편, 간이 화상 표시 장치(31)는, 발광부(21) 및 수광부(22) 대신에 무선 송신부(32) 및 무선 수신부(33)를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31) 는, 외관 상의 구성으로서, 입력 단자(10) 및 무선 송신부(32)를 내장한 송신 유닛(34)과, 송신 유닛(34)과 별개의 부재로써 형성되고, 입력 단자(10) 및 무선 송신부(32) 이외의 구성 요소를 내장한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5)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송신 유닛(34)은, 사용 시에 수신 장치(4)에 대하여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무선 송신부(32)는, 비선출력 수단의 일례로서 기능하고, 무선 수신부(33)는, 비선입력 수단의 일례로서 기능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송신부(32) 및 무선 수신부(33)는, 무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수신 장치(4)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의 전송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무선 송신부(32)는, 입력된 전기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송신 회로 및 생성된 무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안테나를 구비함으로써, 수신 장치(4)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무선 수신부(33)는, 소정의 수신 안테나 및 복조 회로를 구비한 구성을 갖고, 무선 송신부(32)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처리를 행함으로써, 복조 처리를 실시한 전기 신호를 절환부(25)에 대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무선 송신부(32)와 무선 수신부(33) 사이의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는, 혼신을 피하기 위해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와 서로 다른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비선출력 수단과 비선입력 수단 사이의 신호 전송 양태를 무선 통신에 의해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구성을 채용한 경 우에도 비선출력 수단인 무선 송신부(32)과, 비선입력 수단인 무선 수신부(33) 사이는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되고, 무선 송신부(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수신 장치(4)에 대하여, 무선 수신부(3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외부 모니터(6)로부터 누설 전류 등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송신 유닛(34)을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5)로부터 분리하고, 수신 장치(4)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신 장치(4)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한 경우에는, 수신 장치(4)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등이 필요없게 되어, 취급이 편해지는 등의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송신 유닛(34)을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5)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사용한 경우에도, 무선 송신부(32)는, 비교적 넓은 범위에 걸쳐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무선 수신부(33)에 의한 수신이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수신 시스템에서는, 수신 장치(4)(및 송신 유닛(34))와,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5)가 케이블 등으로 접속되는 일 없이 물리적으로 별개의 부재의 것으로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취급이 용이해지는 등의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수신 시스템에서는, 송신 유닛(34)은, 미리 수신 장치(4)에 내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 수신 장치(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리얼타임으로 화상 열람을 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 장치(4)는, 송신 유닛(34)을 제거한 상태에서 수신 처리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수신 장치(4)를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4)는 피검체(2)에 항상 휴대된 상태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수신 장치(4)를 경량화함으로써, 피검체(2)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신 시스템에 구비되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는, 비선출력 수단 및 비선입력 수단을 구비한 전송 유닛을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성을 갖는 한편, 전송 유닛을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에 장착한 경우에만 외부 모니터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38)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블록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수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신 장치의 구성은 실시 형태 1, 2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3에서의 간이 화상 표시 장치(38)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와 전송 유닛(40)에 의해 형성되고 전송 유닛(40)은,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이하,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 및 전송 유닛(4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송 유닛(40)은, 내부에 입력 단자(10), 출력 단자(11) 및 포토커플러(23)를 구비함과 함께,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41, 42)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단자(41)는, 포토커플러(23)를 구성하는 수광부(22)와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함께, 전송 유닛(40)을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에 장착했을 때에,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에 구비되는 단자(43)(후술)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단자(42)는, 제1 단자의 일례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출력 단자(11)와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함께 전송 유닛(40)의 외표면 위에 형성되어, 전송 유닛(40)을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에 장착했을 때에,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에 구비되는 단자(44)(후술)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형성된다.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는, 표시부(9), 입력부(12), 수신 안테나(13), 복조부(24), 절환부(25), 데이터 생성부(26), 구동 제어부(27) 및 전력 공급부(28)를 구비하는 한편, 새롭게 단자(43, 44)를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단자(43)는, 전송 유닛(40)이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에 대하여 장착되었을 때에 전송 유닛(40)에 구비되는 단자(4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단자(44)는, 제2 단자의 일례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간이 표시 장치 본체(39)의 외표면 상으로서, 전송 유닛(40)이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에 대하여 장착되었을 때에 전송 유닛(40)에 구비되는 단자(4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단자(44)는, 출력 단자(11)와 서로 다른 형상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외부 모니터(6)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케이블 등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곤란해지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신 시스템의 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3에서의 간이 화상 표시 장치(38)는, 출력 단자(11)를 전송 유닛(40) 내에 배치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를 외부 모니터(6)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간이 화상 표시 장치(38)는, 전송 유닛(40)을 장착한 경우에만 외부 모니터(6)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신 시스템에서는, 비선출력 수단(발광부(21)) 및 비선입력 수단(수광부(22))을 경유하지 않고 수신 장치(4)와 외부 모니터(6)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사용자의 지식이 부족한 경우 등에는, 전송 유닛(40)을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로부터 제거한 상태 그대로 수신 장치(4)와 접속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와 외부 모니터(6)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수신 장치(4)와 외부 모니터(6)가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되어, 외부 모니터(6)에서 생긴 누설 전류 등이 수신 장치(4)에 유입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출력 단자(11)에 관해서도 전송 유닛(40)에 구비한 구성을 채용하고,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전송 유닛(40)을 제거한 상태에서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38)와 외부 모니터(6)를 접속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 3에 따른 수신 시스템을 사용 할 때에, 사용자의 지식이 부족한 등의 경우에도, 수신 장치(4)와 외부 모니터(6)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이러한 안전 대책을 실시한 후에 전송 유닛(40)을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에 대하여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전송 유닛(40)을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수신 장치(4)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에 구비되는 수신 안테나(13)에 의해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표시부(9)에서 화상을 열람할 때는, 불필요해지는 전송 유닛(40)을 분리한, 경량이면서 저소비 전력의 간이 화상 표시 장치(38)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실시 형태4)
다음으로, 실시 형태 4에 따른 수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4에 따른 수신 시스템에서는,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로 전송 유닛이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한 구성을 가짐과 함께, 전송 유닛의 장착의 유무를 전기적으로 판정하여, 전송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 모니터에 대한 전기적 접속을 해제하는 도전 제어부를 새롭게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 4에 따른 수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블록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 4에 따른 수신 시스템은, 실시 형태 1, 3과 마찬가지의 구성인 수신 장치(4)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로 수신 장치(4)에 관한 도시를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4에서의 간이 화상 표시 장치(45)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46)와,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46)에 대하여 착 탈 가능하게 형성된 전송 유닛(47)에 의해 형성된다. 전송 유닛(47)은, 입력 단자(10), 포토커플러(23) 및 단자(41)를 구비하는 점에서 실시 형태 3에서의 전송 유닛(40)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지만, 출력 단자(11) 및 단자(42)를 구비하지 않는 점에서 실시 형태 3과 서로 다른 구성을 갖는다.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46)는, 실시 형태 3에서의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39)와 마찬가지로, 표시부(9), 입력부(12), 수신 안테나(13), 복조부(24), 데이터 생성부(26), 전력 공급부(28) 및 단자(43)를 구비하는 한편, 출력 단자(11)를 구비함과 함께 새롭게 단자(41, 43) 사이의 전기적 접속의 유무를 검출하는 접속 검출부(48)와, 절환부(25)의 기능 외에, 절환 양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절환부(49)와, 접속 검출부(48) 및 절환부(49)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생성부(26)와 출력 단자(11) 사이에 배치된 스위칭 소자(51)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도통 제어부(50)를 구비한다.
접속 검출부(48)는, 단자(41, 43) 사이의 전기적 접속의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도통 제어부(50)에 대하여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절환부(49)는, 실시 형태 1∼3에서의 절환부(25)의 기능 외에, 절환 양태에 관한 정보를 도통 제어부(50)에 대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절환부(49)는, 출력하는 전기 신호로서 수신 장치(4)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와 복조부(24)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 중 어디로 절환했는지에 관한 정보를 도통 제어부(50)에 대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통 제어부(50)는, 데이터 생성부(26)와 출력 단자(11) 사이에 배치된 스위 칭 소자(51)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생성부(26) 등의 구성 요소에 대한 출력 단자(11)의 전기적 도통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도통 제어부(50)는, 접속 검출부(48) 및 절환부(49)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스위칭 소자(51)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음으로, 도통 제어부(5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통 제어를 행할 때에서의 도통 제어부(5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도통 제어부(50)는, 절환부(49)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의 생성에 사용되는 전기 신호가 수신 장치(4)로부터 입력된 것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스텝 S101). 수신 장치(4)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복조부(24)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스텝 S101, 아니오)에는, 후술하는 스텝 S103으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101에서 수신 장치(4)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가 화상 데이터의 생성에 이용된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101, 예)에는, 도통 제어부(50)는, 접속 검출부(48)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유닛(47)이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46)에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스텝 S102). 전송 유닛(47)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102, 예)에는, 스위칭 소자(51)가 온하도록 제어를 행한다(스텝 S103). 이에 대하여, 전송 유닛(47)이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02, 아니오)에는, 스위칭 소자(51)가 오프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104).
스텝 S101, S102에 나타내는 판정 처리를 행함으로써, 외부 모니터(6)로부터 수신 장치(4)에 대한 전류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외부 모니터(6)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간이 화상 표시 장치(45)에서 화상 데이터의 생성에 사용하는 전기 신호가 복조부(24)로부터 출력된 것인 경우에는, 절환부(49)는 복조부(24)와 데이터 생성부(26)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한편, 데이터 생성부(26)와 단자(43)를 절연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스텝 S101, 아니오)에는, 수신 장치(4)에 대하여 포토커플러(23)를 통한 접속의 유무에 상관없이, 외부 모니터(6)와 수신 장치(4)가 전기적으로 접속할 일은 없어, 스위칭 소자(51)를 오프로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도통 제어부(50)는, 스텝 S101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전송 유닛(47)의 장착의 유무에 상관없이, 스위칭 소자(51)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외부 모니터(6)에 대하여 출력시키고 있다.
이에 대하여, 스텝 S101에서 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전송 유닛(47)이 장착 되어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중요해져 온다. 즉, 전송 유닛(47)이 비장착인 경우에는, 전송 유닛(47)을 통하지 않고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46)와 수신 장치(4)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46)를 경유하여 수신 장치(4)와 외부 모니터(6)가 전기적으로 접속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텝 S101에서 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도통 제어부(50)는 스텝 S102에서 전송 유닛(47)의 장착의 유무를 판정하여, 전송 유닛(47)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02, 아니오), 일률적으로 스위칭 소자(51)를 오프로 하도록 제어를 행한다(스텝 S104).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51)는 출력 단자(11)와 데이터 생성부(26)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칭 소자(51)를 오프함으로써 출력 단자(11)가 데이터 생성부(26) 등의 구성 요소와 절연되게 되어, 전송 유닛(47)이 비장착인 경우에도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46)를 통하여 외부 모니터(6)와 수신 장치(4)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및 수신 시스템은, 표시하는 화상 데이터를 대형의 외부 모니터에도 출력 가능한 간이 화상 표시 장치에 유용하며, 특히, 캡슐형 내시경용의 수신 장치에 접속하여 화상 열람용으로 사용되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다.
Claims (8)
- 피검체에 휴대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수신 장치의 수신 처리에 의해 생성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 표시 및 상기 화상 데이터의 외부 장치에 대한 출력이 가능한 간이 화상 표시 장치로서,사용 시에 상기 수신 장치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를, 출력 대상에 대하여 도전 배선을 통하지 않고 비선출력하는 비선출력 수단과,상기 비선출력 수단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비선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입력받는 비선입력 수단과,상기 비선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상기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비선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하여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상기 비선출력 수단 및 상기 비선입력 수단은,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전송 유닛 내에 형성되고,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전송 유닛이 상기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에만 상기 비선입력 수단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비선출력 수단은,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상기 비선입력 수단은, 상기 비선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광 신호를 수광하고, 수광한 광 신호에 광전 변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전기 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비선출력 수단 및 상기 비선입력 수단은, 포토커플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비선출력 수단은,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상기 비선입력 수단은,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전기 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전송 유닛 표면 상으로서, 장착했을 때에 상기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와 접촉하는 면 상에 배치된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상기 비선입력 수단은, 상기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 표면 상으로서, 상기 전송 유닛을 장착했을 때에 상기 제1 단자와 당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에 대한 케이싱의 장착의 유무를 검출하는 장착 검출 수단과,상기 장착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한 상기 출력 단자의 전기적 도통을 제어하는 도통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화상 표시 장치.
- 피검체에 휴대되고, 그 피검체 내부에 도입된 피검체 내 도입 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처리를 행하는 수신 장치와, 그 수신 장치의 수신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 표시 및 상기 화상 데이터의 외부 장치에 대한 출력이 가능한 간이 화상 표시 장치를 구비한 수신 시스템으로서,상기 수신 장치는,소정의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하여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부와, 적어도 상기 복조부에 의한 복조 처리가 실시된 전기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상기 간이 화상 표시 장치는,사용 시에 상기 출력 단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를 경유하여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를, 출력 대상에 대하여 도전 배선을 통하지 않고 비선출력하는 비선출력 수단과, 상기 비선출력 수단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비선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입력받는 비선입력 수단과, 상기 비선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비선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하여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비선출력 수단 및 상기 비선입력 수단은,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전송 유닛 내에 형성되고,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전송 유닛이 상기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에만 상기 비선입력 수단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117522A JP4970737B2 (ja) | 2005-04-14 | 2005-04-14 | 簡易画像表示装置および受信システム |
JPJP-P-2005-00117522 | 2005-04-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6635A KR20070116635A (ko) | 2007-12-10 |
KR100980956B1 true KR100980956B1 (ko) | 2010-09-07 |
Family
ID=3711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23443A KR100980956B1 (ko) | 2005-04-14 | 2006-02-08 |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및 수신 시스템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144192B2 (ko) |
EP (1) | EP1870012B1 (ko) |
JP (1) | JP4970737B2 (ko) |
KR (1) | KR100980956B1 (ko) |
CN (1) | CN101155544B (ko) |
WO (1) | WO200611211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62820B (zh) * | 2016-10-14 | 2021-12-21 | 奥林巴斯株式会社 | 接收天线、接收天线单元以及接收系统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74034A (ja) | 2003-09-01 | 2005-03-24 | Olympus Corp | カプセル型内視鏡 |
JP2005080713A (ja) | 2003-09-04 | 2005-03-31 | Olympus Corp | カプセル型内視鏡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53772A (en) * | 1987-02-26 | 1989-08-01 | Olympus Optical Co., Ltd. | Electronic endoscope apparatus having isolated patient and secondary circuitry |
JPH0815479B2 (ja) * | 1987-06-24 | 1996-02-21 |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 内視鏡用映像信号処理回路 |
US6856832B1 (en) * | 1997-12-25 | 2005-02-15 | Nihon Kohden Corporation | Biological signal detection apparatus Holter electrocardiograph and communication system of biological signals |
IL126727A (en) * | 1998-10-22 | 2006-12-31 | Given Imaging Ltd | A method of bringing a device to the goal |
US6602185B1 (en) * | 1999-02-18 | 2003-08-05 | Olympus Optical Co., Ltd. | Remote surgery support system |
JP4648551B2 (ja) * | 2001-02-15 | 2011-03-09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携帯電話機 |
IL143260A (en) * | 2001-05-20 | 2006-09-05 | Given Imaging Ltd | Array and method for locating an intra-body signal source |
JP4234605B2 (ja) * | 2002-02-12 | 2009-03-04 | ギブン イメージング リミテッド | 画像ストリーム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JP2003235795A (ja) * | 2002-02-18 | 2003-08-26 | Olympus Optical Co Ltd | 電子内視鏡装置 |
JP2003325439A (ja) * | 2002-05-15 | 2003-11-18 | Olympus Optical Co Ltd | カプセル型医療装置 |
JP2004041709A (ja) * | 2002-05-16 | 2004-02-12 | Olympus Corp | カプセル医療装置 |
JP4187508B2 (ja) * | 2002-11-12 | 2008-11-26 | フジノン株式会社 | 電子内視鏡装置 |
JP2004167163A (ja) * | 2002-11-22 | 2004-06-17 | Olympus Corp | カプセル型医療システム |
US20040113498A1 (en) * | 2002-12-12 | 2004-06-17 | Thomas Kroenke | Electrical isolation interface for medical instrumentation |
JP3810381B2 (ja) * | 2003-04-25 | 2006-08-16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
WO2004100776A1 (ja) * | 2003-05-14 | 2004-11-25 | Olympus Corporation | カプセル型医療装置 |
JP2004350963A (ja) * | 2003-05-29 | 2004-12-16 | Olympus Corp | カプセル型医療装置 |
JP4526245B2 (ja) * | 2003-07-04 | 2010-08-18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映像信号処理装置 |
US7153259B2 (en) * | 2003-09-01 | 2006-12-26 | Olympus Corporation | Capsule type endoscope |
JP4128504B2 (ja) * | 2003-09-05 | 2008-07-30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カプセル型内視鏡 |
WO2005031650A1 (en) * | 2003-10-02 | 2005-04-07 | Given Imaging Ltd. |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ation of data streams |
-
2005
- 2005-04-14 JP JP2005117522A patent/JP4970737B2/ja active Active
-
2006
- 2006-02-08 US US11/631,274 patent/US8144192B2/en active Active
- 2006-02-08 WO PCT/JP2006/302194 patent/WO2006112112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6-02-08 CN CN2006800119353A patent/CN10115554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2-08 KR KR1020077023443A patent/KR10098095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2-08 EP EP06713337.1A patent/EP1870012B1/en not_active Not-in-forc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74034A (ja) | 2003-09-01 | 2005-03-24 | Olympus Corp | カプセル型内視鏡 |
JP2005080713A (ja) | 2003-09-04 | 2005-03-31 | Olympus Corp | カプセル型内視鏡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155544A (zh) | 2008-04-02 |
EP1870012A4 (en) | 2009-11-18 |
US8144192B2 (en) | 2012-03-27 |
KR20070116635A (ko) | 2007-12-10 |
WO2006112112A1 (ja) | 2006-10-26 |
EP1870012A1 (en) | 2007-12-26 |
US20080004494A1 (en) | 2008-01-03 |
EP1870012B1 (en) | 2015-08-26 |
CN101155544B (zh) | 2010-09-22 |
JP4970737B2 (ja) | 2012-07-11 |
JP2006288976A (ja) | 2006-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75559B2 (en) | Receiving apparatus | |
US711852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non-image information via an image sensor in an in vivo imaging system | |
JP4402655B2 (ja) | カプセル型医療装置 | |
JP5086618B2 (ja) | カプセル型内視鏡 | |
US8632457B2 (en) | Receiving apparatus and in-vivo information acquiring system using the same | |
US7962098B2 (en) | Antenna unit and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US20100137708A1 (en) | Intra-subject position detection system and intra-subject position detection method | |
US20080021270A1 (en) | Body Insertable Apparatus And Body Insertable Apparatus System | |
JP4485440B2 (ja) | 受信装置、モニタ装置、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被検体内情報取得システム | |
WO2007061008A1 (ja) | 生体内画像表示装置、受信装置、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画像表示システム並びに画像表示方法 | |
KR100980956B1 (ko) |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및 수신 시스템 | |
JP4751696B2 (ja) | 受信装置 | |
JP4335086B2 (ja) | 被検体内導入装置 | |
JP2006075244A (ja) | 受信装置 | |
JP5480219B2 (ja) | 受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被検体内情報取得システム | |
JP2005334540A (ja) | 受信装置、電力供給装置および受信システム | |
JP2006075538A (ja) | アンテナ検査装置およびアンテナユニ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