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251B1 -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251B1
KR100980251B1 KR1020090112752A KR20090112752A KR100980251B1 KR 100980251 B1 KR100980251 B1 KR 100980251B1 KR 1020090112752 A KR1020090112752 A KR 1020090112752A KR 20090112752 A KR20090112752 A KR 20090112752A KR 100980251 B1 KR100980251 B1 KR 100980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nput window
reflector
right angl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희
박태홍
Original Assignee
조승희
박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희, 박태홍 filed Critical 조승희
Priority to KR1020090112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251B1/ko
Priority to PCT/KR2010/008199 priority patent/WO2011062440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0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Viewfin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직각파인더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에 설치되는 직각파인더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일측면에서 상기 카메라에 나타나는 피사체가 입사되는 입력창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창의 대향면에서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사된 피사체를 반사시키는 제1반사경을 형성하며, 상기 입력창과 상기 입력창의 대향면 사이에서 상기 제1반사경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를 반사시키는 제2반사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반사경의 대향면에서 상기 제2반사경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가 출사되는 수직출력창이 형성되는 중공의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카메라의 일측방(카메라의 상측방 또는 하측방 또는 카메라의 양측방)에서 뷰파인더 또는 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를 반전되지 않도록 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가 제공된다. 또한, 카메라의 화면으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여 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가 제공된다.
카메라, 뷰파인더, 디스플레이, 화면, 직각, 수직

Description

카메라용 직각파인더{right angle finder for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카메라의 후면에 설치되는 뷰파인더에 나타나는 피사체 또는 카메라의 후면에 설치되는 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가 반전되지 않도록 하여 카메라의 일측에서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에 관한 것이다.
통상 카메라는 후면 상부에 설치된 뷰파인더를 통해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한 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의 후면에는 화면이 설치되어 있어 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한 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촬영된 피사체는 화면에 즉시 표시되어 피사체의 촬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카메라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항상 카메라의 후방에서 뷰파인더 또는 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를 확인해야 한다.
하지만, 촬영조건에 따라 카메라의 일측방(카메라의 상측방 또는 하측방 또는 카메라의 양측방)에서 사용자가 뷰파인더 또는 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 뷰파인더 또는 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카메라의 후방에서 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를 확인하는 경우, 외부광(태양광일 수 있음)이 화면에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에 비치게 되므로 특히 대낮이나 밝은 빛이 산란되는 장소에서는 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를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의 일측방(카메라의 상측방 또는 하측방 또는 카메라의 양측방)에서 뷰파인더 또는 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를 반전되지 않도록 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카메라의 화면으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여 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에 설치되는 직각파인더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는 삼각대결합공이 함몰 형성되고,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일측면에서 상기 카메라에 나타나는 피사체가 입사되는 입력창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창의 대향면에서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사된 피사체를 반사시키는 제1반사경을 형성하며, 상기 입력창과 상기 입력창의 대향면 사이에서 상기 제1반사경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를 반사시키는 제2반사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반사경의 대향면에서 상기 제2반사경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가 출사되는 수직출력창이 형성되는 중공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서 연장되되, 판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삼각대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카메라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일측면에서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부;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의 내벽에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걸림부와 결합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삼각대결합공과 결합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핸들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핸들에는 상기 삼각대결합공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삼각대연결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삼각대결합공의 일측에서 보조결합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보조결합공에 결합되는 보조결합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에 설치되는 직각파인더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일측면에서 상기 카메라에 나타나는 피사체가 입사되는 입력창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창의 대향면에서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사된 피사체를 반사시키는 제1반사경을 형성하며, 상기 입력창과 상기 입력창의 대향면 사이에서 상기 제1반사경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를 반사시키는 제2반사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반사경의 대향면에서 상기 제2반사경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가 출사되는 수직출력창이 형성되는 중공의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반사경은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반사경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에 설치되는 직각파인더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일측면에서 상기 카메라에 나타나는 피사체가 입사되는 입력창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창의 대향면에서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사된 피사체를 반사시키는 제1반사경을 형성하며, 상기 입력창과 상기 입력창의 대향면 사이에서 상기 제1반사경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를 반사시키는 제2반사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반사경의 대향면에서 상기 제2반사경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가 출사되는 수직출력창이 형성되는 중공의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상기 수직출력창을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는 일측에 형성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덮개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화면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상기 입력창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반사경과 상기 제2반사경은 각각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의 일측방(카메라의 상측방 또는 하측방 또는 카메라의 양측방)에서 뷰파인더 또는 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를 반전되지 않도록 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가 제공된다.
또한, 카메라의 화면으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여 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가 제공된다.
또한, 카메라의 일측방(카메라의 상측방 또는 하측방 또는 카메라의 양측방)은 물론 카메라의 후방에서도 뷰파인더 또는 화면에 나타나는 피사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가 제공된다.
또한, 카메라의 사용장소에 따라 직각파인더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가 제공된다.
또한, 직각파인더가 안정되게 카메라에 고정되도록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가 제공된다.
또한, 직각파인더를 설치하더라도 카메라를 지지하는 삼각대의 설치를 용이 하게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가 제공된다.
또한, 카메라와 직각파인더 사이의 빛샘 차단을 향상시키고, 직각파인더 결합에 따른 카메라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가 제공된다.
또한, 반사되는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직각파인더의 크기를 조절하며, 소형화할 수 있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가 제공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의 저면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C)의 후면에는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는 뷰파인더(V)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화면(D)이 형성된다. 또한, 카메라(C)의 저면에는 삼각대(미도시)와 결합하기 위한 삼각대결합공(A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삼각대(미도시)에 고정되는 카메 라(C)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C)의 저면에는 삼각대결합공(A1) 일측으로 보조결합공(A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C)의 뷰파인더(V) 또는 화면(D)에는 직각파인더(H)를 설치한다. 직각파인더(H)는 후술하는 직각파인더(H)의 입력창(14)이 카메라(C)의 뷰파인더(V) 또는 화면(D)에 밀착되거나 뷰파인더(V) 또는 화면(D)의 가장자리를 감싸게 되는 형태로 카메라(C)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직각파인더(H)는 삼각대결합공(A1)을 통해 카메라(C)에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카메라(C)의 일측방(카메라(C)의 상측방 또는 하측방 또는 카메라(C)의 양측방)에서 뷰파인더(V) 또는 화면(D)에 나타나는 피사체를 반전되지 않은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직각파인더(H)는 몸체부(1)를 포함하고 여기에 지지부(2)와 고정나사(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는 내부공간(13)을 형성하는 중공의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에는 입력창(14)과 제1반사경(11)과 제2반사경(12)과 수직출력창(15)이 형성된다.
입력창(14)은 카메라(C)의 뷰파인더(V) 또는 화면(D)에 나타나는 피사체가 입사되는 부분으로써, 몸체부(1)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입력창(14)은 몸체부(1)의 전면을 개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반사경(11)은 입력창(14)을 통해 입사된 피사체를 반사시키는 거울로써, 입력창(14)의 대향면에 형성된다. 제1반사경(11)은 몸체부(1)의 후면에 설치되거나 몸체부(1)의 후면이 될 수 있다. 이때, 제1반사경(11)에서 반사되는 피사체가 몸체부(1)의 바닥면을 향할 수 있도록 제1반사경(11)의 전면이 몸체부(1)의 바닥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2반사경(12)은 제1반사경(11)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를 다시 반사시키는 거울로써, 입력창(14)과 입력창(14)의 대향면 사이에 형성된다. 제2반사경(12)은 몸체부(1)의 바닥면에 설치되거나 몸체부(1)의 바닥면이 될 수 있다. 이때, 제2반사경(12)에서 반사되는 피사체가 몸체부(1)의 상면을 향할 수 있도록 제2반사경(12)의 전면이 몸체부(1)의 상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제1반사경(11)은 오목한 거울이고, 제2반사경(12)은 볼록한 거울로 형성되어, 반사되는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1반사경(11)이 볼록한 거울이고, 제2반사경(12)이 오목한 거울일 수 있다. 또한, 제1반사경(11)과 제2반사경(12)이 모두 오목하거나 모두 볼록한 거울일 수 있다.
수직출력창(15)은 제1반사경(11)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가 출사되는 부분으로써, 제2반사경(12)의 대향면에 형성된다. 수직출력창(15)은 몸체부(1)의 상면을 개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수직출력창(15)에는 덮개(18)를 형성할 수 있다. 덮개(18)는 몸체부(1)의 측벽(10)에 지지되어 회동축(18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덮개(18)는 수직출력창(15)을 개폐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덮개(18)의 개폐방식은 여닫이식, 미닫이식 등 공지된 여러 형태로 개폐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덮개(18)가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스토퍼가 형성 될 수 있다. 덮개에 형성된 스토퍼는 몸체부(1)의 상면이 개폐할 때, 회동하는 덮개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여기서 스토퍼의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여러 형태의 스토퍼를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덮개에 형성된 스토퍼는 후술하는 스토퍼(19)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제1반사경(11)은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17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1반사경(11)은 몸체부(1)의 측벽(10)에 지지되는 힌지축(17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반사경홀더(17)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제1반사경(11)은 힌지축(17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반사경홀더(17)에 설치되어 반사경홀더(17)가 회동하면서 몸체부(1)의 후면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힌지축(171)을 중심으로 제1반사경(11)이 회동하면서 몸체부(1)의 후면이 개방되면, 개방된 후면은 수평출력창(16)이 되어 카메라(C)의 뷰파인더(V) 또는 화면(D)에 나타나는 피사체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반사경(11)의 상측에 힌지축(171)을 형성하는 경우, 몸체부(1)의 후면이 개방되면, 제1반사경(11)이 회동하여 몸체부(1)의 수직출력창(15)을 폐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반사경(11)이 힌지축(171)을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제1반사경(11)은 힌지축(17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몸체부(1)의 후면을 개폐하고, 회전된 제1반사경(11)은 여닫이식 또는 미닫이식으로 이동되어 수직출력창(15)을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반사경홀더(17) 또는 반사경홀더(17)에 고정된 제1반사경(11)이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스토퍼(19)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9)는 몸체부(1)의 후면이 개방되면 회동된 반사경홀더(17) 또는 제1반사경(11)을 회동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여기서 스토퍼(19)의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여러 형태의 스토퍼를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수평출력창(16)이 개방되어 회동된 상태에 있 는 제1반사경(11) 또는 반사경홀더(17)에서 고정을 해제하면 부드럽게 제1반사경(11) 또는 반사경홀더(17)가 회동하여 수평출력창(16)을 폐쇄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는 힌지축(171)에 형성된 탄성체(미도시)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반사경(11) 또는 반사경홀더(17)가 회동하여 수평출력창(16)을 폐쇄할 수 있다.
상술한 입력창(14)과 수직출력창(15)과 수평출력창(16)은 몸체부(1)의 내부공간(13)과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부일 수 있고, 이러한 개구부를 폐쇄하는 투명한 재질의 부재일 수 있다.
지지부(2)는 몸체부(1)의 바닥면에서 몸체부(1)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써, 후술하는 고정나사(3)에 의해 카메라(C)에 결합되고, 상술한 몸체부(1)와 카메라(C)를 연결 고정시키기 위한 매개물이 된다. 이때, 지지부(2)에는 상술한 카메라(C)의 삼각대결합공(A1)과 연통되는 관통공(23)이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첨부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에서 지지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2)는 고정부(21)와 연결부(25)로 구분할 수 있다.
고정부(21)는 상술한 관통공(23)이 판면을 관통하는 부재로써,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연결부(25)가 삽입 고정되도록 고정홈(22)이 함몰 형성된다. 고정홈(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5)는 몸체부(1)의 바닥면에서 몸체부(1)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써, 고정부(21)의 고정홈(22)에 삽입 고정된다. 연결부(25)는 도 2에 도시된 바 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ㄷ"자 형상의 고정홈(22)에 삽입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고정홈(22)에 삽입되는 연결부(25)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21)의 고정홈(22) 내벽에는 제1걸림부(221)가 형성되고, 연결부(25)의 외측면에는 제1걸림부(221)와 결합되는 제2걸림부(252)가 형성되어 연결부(25)가 안정되게 고정부(21)에 삽입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부(221)는 홈 형태를 이루고, 제2걸림부(252)는 돌기 형태를 이루어 끼움 결합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여기서 제2걸림부(252)는 일단부가 연결부(25)에서 연장되어 단부가 자유단을 형성하는 연결바에 형성되어 있고, 연결바는 탄성이 부여되어 있어 고정홈(22)에서 연결부(25)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51은 관통공(23)에 의해 고정홈 내에 형성되는 격벽을 수용하기 위한 안착홈이다.
또한, 지지부(2) 또는 상술한 고정부(21)에는 카메라(C)의 보조결합공(A2)에 삽입 고정되는 보조결합돌기(2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조결합돌기(24)는 보조결합공(A2)에 삽입 고정되어 몸체부(1)의 유동을 방지하고, 안정되게 직각파인더(H)가 카메라(C)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2)가 고정부(21)와 연결부(25)로 분리되어 탈부착됨에 따라 카메라(C)의 뷰파인더(V)를 통한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정나사(3)는 지지부(2) 또는 고정부(21)에 형성된 관통공(23)을 통과하여 삼각대결합공(A1)에 결합된다. 고정나사(3)가 삼각대결합공(A1)에 결합되면, 직각 파인더(H)가 카메라(C)에 안정되게 고정되고, 카메라(C)의 화면(D)에 입사되는 빛을 차단한다. 고정나사(3)는 관통공(23)을 통과하여 삼각대결합공(A1)과 결합되는 나사부(32)와, 나사부(32)에 연결되어 지지부(2)의 일측면 또는 고정부(21)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핸들(31)로 구성된다. 이때, 핸들(31)에는 카메라(C)의 삼각대결합공(A1)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삼각대연결공(311)이 나사부(32)와 동일한 축 상에서 함몰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직각파인더(H)에서 몸체부(1)의 입력창(14) 가장자리에는 밀착부재(4)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밀착부재(4)는 카메라(C)와 몸체부(1)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틈을 폐쇄하여 빛의 차단을 향상시킨다. 직각파인더(H)가 설치되면, 밀착부재(4)는 카메라(C)의 화면 가장자리를 감싸게 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의 제1실시예의 설치 및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2) 또는 고정부(21)의 관통공(23)과 삼각대결합공(A1)이 연통되도록 하고, 고정나사(3)가 삼각대결합공(A1)과 결합되어 카메라(C)의 후면에 몸체부(1)가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면, 화면(D)이 입력창(14)과 연통되도록 몸체부(1)가 카메라(C)의 후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8)를 개방하면, 수직출력창(15)이 개 방되고, 화면(D)에 나타나는 피사체는 제1반사경(11)과 제2반사경(12)을 통해 반사되어 수직출력창(15)으로 출사된다. 여기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반사경(11)은 수평출력창(16)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면, 화면(D)에 나타나는 피사체는 상하좌우의 반전이 없이 화면(D)에 나타나는 피사체 그대로 카메라(C)의 상측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홀더(17) 또는 제1반사경(11)을 회동시키면, 제1반사경(11)이 회동하면서 수평출력창(16)이 개방되어 화면(D)에 나타나는 피사체를 그대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측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 덮개(18)로 수직출력창(15)을 폐쇄하는 것이 유리하다. 반사경홀더(17) 또는 제1반사경(11)은 스토퍼(19)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므로, 반사경홀더(17) 또는 제1반사경(11)은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수평출력창(16)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스토퍼(19)가 반사경홀더(17) 또는 제1반사경(11)의 회동 제한을 해제하면, 부드럽게 반사경홀더(17) 또는 제1반사경(11)이 회동하여 수평출력창(16)을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직각파인더(H)는 상술한 설치 방법에 따라 카메라의 뷰파인더(V)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의 저면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의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에서 지지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직각파인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카메라 V: 뷰파인더 D: 화면
A1: 삼각대결합공 A2: 보조결합공 H: 직각파인더
1: 몸체부 10: 측벽 11: 제1반사경
12: 제2반사경 13: 내부공간 14: 입력창
15: 수직출력창 16: 수평출력창 17: 반사경홀더
171: 힌지축 18: 덮개 181: 회동축
19: 스토퍼 2: 지지부 21: 고정부
22: 고정홈 221: 제1걸림부 23: 관통공
24: 보조결합돌기 25: 연결부 251: 안착홈
252: 제2걸림부 3: 고정나사 31: 핸들
311: 삼각대연결공 32: 나사부 4: 밀착부재

Claims (13)

  1. 삭제
  2.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에 설치되는 직각파인더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는 삼각대결합공이 함몰 형성되고,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일측면에서 상기 카메라에 나타나는 피사체가 입사되는 입력창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창의 대향면에서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사된 피사체를 반사시키는 제1반사경을 형성하며, 상기 입력창과 상기 입력창의 대향면 사이에서 상기 제1반사경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를 반사시키는 제2반사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반사경의 대향면에서 상기 제2반사경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가 출사되는 수직출력창이 형성되는 중공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서 연장되되, 판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삼각대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카메라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측면에서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의 내벽에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걸림부와 결합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삼각대결합공과 결합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핸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는 상기 삼각대결합공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삼각대연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삼각대결합공의 일측에서 보조결합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보조결합공에 결합되는 보조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8.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에 설치되는 직각파인더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일측면에서 상기 카메라에 나타나는 피사체가 입사되는 입력창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창의 대향면에서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사된 피사체를 반사시키는 제1반사경을 형성하며, 상기 입력창과 상기 입력창의 대향면 사이에서 상기 제1반사경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를 반사시키는 제2반사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반사경의 대향면에서 상기 제2반사경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가 출사되는 수직출력창이 형성되는 중공의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반사경은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반사경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10.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에 설치되는 직각파인더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일측면에서 상기 카메라에 나타나는 피사체가 입사되는 입력창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창의 대향면에서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사된 피사체를 반사시키는 제1반사경을 형성하며, 상기 입력창과 상기 입력창의 대향면 사이에서 상기 제1반사경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를 반사시키는 제2반사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반사경의 대향면에서 상기 제2반사경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가 출사되는 수직출력창이 형성되는 중공의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상기 수직출력창을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일측에 형성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덮개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몸체부 사이를 폐쇄하도록 상기 입력창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13.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경과 상기 제2반사경은 각각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KR1020090112752A 2009-11-20 2009-11-20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KR100980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752A KR100980251B1 (ko) 2009-11-20 2009-11-20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PCT/KR2010/008199 WO2011062440A2 (ko) 2009-11-20 2010-11-19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752A KR100980251B1 (ko) 2009-11-20 2009-11-20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251B1 true KR100980251B1 (ko) 2010-09-06

Family

ID=43009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752A KR100980251B1 (ko) 2009-11-20 2009-11-20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80251B1 (ko)
WO (1) WO2011062440A2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6448A (ja) * 1994-05-16 1995-11-21 Nikon Corp ファインダ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0524A (ja) * 1993-11-15 1995-06-02 Canon Inc カメラのファインダー装置
KR200150460Y1 (ko) * 1997-05-26 1999-07-01 이해규 카메라 파인더용 파노라마 시야 조정장치
JP2007033968A (ja) * 2005-07-28 2007-02-08 Ricoh Co Ltd カメラ用ビュワ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6448A (ja) * 1994-05-16 1995-11-21 Nikon Corp ファインダ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62440A2 (ko) 2011-05-26
WO2011062440A3 (ko)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6143111A (ru) Мобильный телефон складного типа с камерой
KR20180012688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US7489359B2 (en) Lens adapter
US7529479B2 (en) Camera viewer device
KR100980251B1 (ko) 카메라용 직각파인더
ES2312072T3 (es) Visor optico de una camara.
JPH08331424A (ja) 電子ファインダーカメラ
KR101821412B1 (ko) 촬영 장치
JP2006301637A (ja) レンジファインダカメラのファインダのためのアングルアタッチメント
JP2004078048A (ja) カメラ
TWI396429B (zh) 移動通訊裝置
KR20060085023A (ko) 회동형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627298B1 (ko)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
WO2019236056A1 (en) Shutter elements for cameras
JP6504862B2 (ja) ファインダ、及び撮像装置
JP2004297561A (ja) デジタルカメラ用画像観察アタッチメント
WO2009113887A1 (en) A case for a digital camera
JP3181509U (ja) 液晶表示ビデオカメラ用のケース兼用外付け光学ファインダー
JP3322158B2 (ja) カメラ
JP2002328410A (ja) カメラ装置
JPH11136546A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の表示装置
JP4047355B2 (ja) 撮像装置
KR100620686B1 (ko) 전후방 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
KR200356776Y1 (ko) 카메라의 액정유니트 지지장치
JP2016038450A (ja) 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