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232B1 - 언코일러 - Google Patents

언코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232B1
KR100980232B1 KR1020080055196A KR20080055196A KR100980232B1 KR 100980232 B1 KR100980232 B1 KR 100980232B1 KR 1020080055196 A KR1020080055196 A KR 1020080055196A KR 20080055196 A KR20080055196 A KR 20080055196A KR 100980232 B1 KR100980232 B1 KR 100980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guide
leveler
support drum
unc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098A (ko
Inventor
김정섭
Original Assignee
무송기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송기공(주) filed Critical 무송기공(주)
Priority to KR102008005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23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9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16Unwinding or uncoiling
    • B21C47/18Unwinding or uncoiling from reel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을 회전시켜서 원활한 동작으로 코일로부터 강판을 풀어서 원하는 이송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언코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10)에 장착되며 코일(2)이 삽입되는 지지드럼(12)과, 상기 지지드럼(12)의 일측에 배치되며 거치된 코일(2)의 표면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구동롤러(26)를 구비한 코일푸셔(20)와, 상기 지지드럼(12)의 타측에 배치되며 다수의 롤러(33,34)가 상하 이열로 배치되어 강판을 평탄화시키면서 이송하는 레벨러(30)와, 상기 레벨러(30)의 도입부 상하부에 구비되며 인출되는 코일을 레벨러(30)의 도입부로 안내하는 가이드기구(4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롤러(26)가 코일(2)의 표면에 접촉되면 코일(2)에 마찰접촉되어 코일(2)을 이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가이드기구(40)에 의해 안내되어 레벨러(30)로 도입되는 언코일러가 제공된다.
Figure R1020080055196
언코일러, 강판, 레벨러, 가이드

Description

언코일러 {Uncoiler}
본 발명은 언코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거치된 코일을 회전시켜서 원활한 동작으로 코일로부터 강판을 풀어서 원하는 이송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언코일러에 관한 것이다.
언코일러는 코일 형태로 감겨서 공급되는 강판(이하에서 '코일'이라 칭함)으로부터 강판을 풀어서 인출하여 이송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언코일러는 코일을 확장가능한 지지드럼에 삽입하고, 강판의 선단부를 픽업하여 인접배치된 레벨러의 교정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강판을 평탄하게 교정하였다. 그런데 강판의 중량이 상당히 크고 잘 휘어지지 않기 때문에, 코일로부터 강판의 선단을 인출하여 레벨러로 도입하는 일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언코일러에 코일을 설치한 후에 강판을 인출하여 평탄화시켜서 뽑아내는 과정이 복잡하고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언코일러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언코일러에 거치된 코일로부터 강판의 선단을 픽업하여 용이하게 인접하는 레벨러로 도입시킬 수 있어서 강판의 언코일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언코일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프레임(10)에 장착되며 코일(2)이 삽입되는 지지드럼(12)과, 상기 지지드럼(12)의 일측에 배치되며 거치된 코일(2)의 표면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구동롤러(26)를 구비한 코일푸셔(20)와, 상기 지지드럼(12)의 타측에 배치되며 다수의 롤러(33,34)가 상하 이열로 배치되어 강판을 평탄화시키면서 이송하는 레벨러(30)와, 상기 레벨러(30)의 도입부 상하부에 구비되며 인출되는 코일을 레벨러(30)의 도입부로 안내하는 가이드기구(4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롤러(26)가 코일(2)의 표면에 접촉되면 코일(2)에 마찰접촉되어 코일(2)을 이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가이드기구(40)에 의해 안내되어 레벨러(30)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코일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기구(40)는 기단부가 상기 레벨러(30)의 도입부 하부에 장착되며 선단부가 상기 코일(2)의 하부 제1점(4)에 접촉 또는 근접되도록 변위가능한 하부가이드(42)와, 상기 하부가이드(42)를 변위시키는 하부가이드구동부와, 기단부가 상기 레벨러(30)의 도입부 상부에 장착되며 선단부가 코일(2)의 상기 제1점(4)보다 높은 제2점(5)에 접촉 또는 근접되는 변위가능한 상부가이드(46)와, 상기 상부가이드(46)를 변위시키는 상부가이드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코일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가이드(42)의 선단에는 가이드롤러(45)가 구비되어 코일(2)의 외부면에 미끄럼접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코일러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드럼(12)의 일측에 코일(2)의 외부면에 접촉가능한 구동롤러(26)를 접촉 또는 이격가능하게 배치하여, 이 구동롤러(26)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드럼(12)에 거치된 코일(2)을 회전시킴으로써 풀리는 강판(3)이 코일(2)에서 들뜨지 않고, 가이드기구(40)에 의해 인접하는 레벨러(30)로 원활하게 도입되므로, 코일(2)로부터 강판(3)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레벨러(30)의 도입부에 구비되는 가이드기구(40)는 코일(2)의 강판 선단부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하부가이드(42)와 강판 선단부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가이드(46)를 신축 또는 출몰가능하게 구비하여, 이 하부가이드(42)와 상부가이드(46)가 강판(3)의 유입로를 형성하므로, 작업자의 별도의 작업이 없이도 강판(3)의 선단부가 원활하게 상부가이드(46)와 하부가이드(42)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따라 레벨러(30)의 도입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가이드(42)의 선단에는 가이드롤러(45)가 구비되어 코일(2)의 외부면에 미끄럼 접촉되므로, 코일의 외부면에 스크래치가 나지 않으면서, 코일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10)에 축(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지지드럼(12)이 배치된다. 이 지지드럼(12)에는 코일(2)이 삽입되어 거치되며, 이 지지드럼(12)은 신축아암(13)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신축가능하다. 이 지지드럼(12)의 축방향 전방에는 삽입된 코일(2)의 측면에 접촉되어 코일(2)의 위치를 잡아주는 측면지지롤(15)과, 이 측면지지롤(15)을 코일(2)의 측면으로 진출 또는 후퇴시키는 공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진 출몰구동부(16)가 프레임(10)의 일부를 이루는 브라켓(14)에 장착된다.
한편, 지지드럼(12)의 일측에는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지지드럼(12)에 거치된 코일(2)의 상부 일측 표면에 접근하거나 후퇴되도록 된 회동암(21)을 포함하는 코일푸셔(20)가 구비된다. 이 회동암(21)의 선단에는 코일(2)의 표면에 접촉가능한 구동롤러(26)가 장착되고, 이 회동암(21)의 기단측에는 회동암(21)을 회동구동하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된 회동구동부(22)가 링크 등을 통해 구동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이 지지드럼(12)의 타측에는 다수의 롤러(33,34)가 상하 이열로 배치된 레벨러(30)가 구비된다. 이 레벨러(30)는 롤러(33,34) 사이로 통과되는 강판(3)을 평탄화시키는 작동을 한다. 그런데, 이 레벨러(30)의 도입부의 하부에는 하부가이드(42)의 기단부가 실린더(4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하부가이드(42)는 신축가능한 두 개의 아암 또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서 또 다른 실린더(44)에 의해 신축된다. 그리고 이 하부가이드(42)의 선단에는 가이드롤러(45)가 부착된다.
상기 실린더(43)와 실린더(44)는 하부가이드(42)를 회동 및 신축시켜서 가이드롤러(45)를 코일(2)의 하부 둘레부 제1 점(4)에 접촉 또는 후퇴시키는 하부가이드구동부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레벨러(30)의 도입부의 상부에는 상부가이드(46)의 기단부가 실린더(4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상부가이드부(46)도 신축가능한 아암 또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서 또 다른 실린더(48)에 의해 신축된다. 그리고 이 상부가이드(46)의 선단부는 뾰쪽하게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47)와 실린더(48)는 상부가이드구동부를 이루어서, 상부가이드(46)를 회동시켜서 그 선단부를 코일(2)의 제1 점(4)보다 높은 위치의 제2 점(5)에 접근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코일(2)이 지지드럼(12)에 삽입되어 거치된 후에, 구동롤러(26)를 회전시켜서 이에 마찰접촉되는 코일(2)을 서서히 회전시켜서, 코일(2)에 감긴 강판(3)의 선단부가 상기 제1 점(4)과 제2 점(5)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 후에, 상기 하부가이드(42)를 회동 상승시킨 후에 신장시켜서 그 선단부의 가이드롤러(45)가 코일(2)의 하부 둘레부의 제1 점(4), 즉 강판(3)의 선단부 위치보다 아래쪽에 접촉시키고, 상기 상부가이드(46)를 회동 하강시킨 후에 신장시켜서 그 선단부가 코일(2)의 제2 점(5), 즉, 강판(3)의 선단부 위치보다 위쪽 위치에 근접시킨다. 그리고 코일(2)의 결속밴드를 절단하여 제거하면, 강판(3)의 선단부가 상부가이드(52)와 하부가이드(42) 사이에서 안내되고, 구동롤러(26)와의 마찰접촉에 의해 코일(2)의 강판이 이송되어 레벨러(30)의 상하 롤러(33,34) 사이로 진입하여 이송되면서 평탄화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정면 구성도

Claims (3)

  1. 프레임(10)에 장착되며 코일(2)이 삽입되는 지지드럼(12)과, 상기 지지드럼(12)의 일측에 배치되며 지지드럼(12)에 거치된 코일(2)의 상부 일측 표면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구동롤러(26)를 구비한 코일푸셔(20)와, 상기 지지드럼(12)의 타측에 배치되며 다수의 롤러(33,34)가 상하 이열로 배치되어 강판을 평탄화시키면서 이송하는 레벨러(30)와, 상기 레벨러(30)의 도입부 상하부에 구비되며 인출되는 코일을 레벨러(30)의 도입부로 안내하는 가이드기구(4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롤러(26)가 코일(2)의 표면에 접촉되면 코일(2)에 마찰접촉되어 코일(2)을 이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가이드기구(40)에 의해 안내되어 레벨러(30)로 도입되고, 상기 가이드기구(40)는 기단부가 상기 레벨러(30)의 도입부 하부에 장착되며 선단부가 상기 코일(2)의 하부 제1점(4)에 접촉 또는 근접되도록 변위가능한 하부가이드(42)와, 상기 하부가이드(42)를 변위시키는 하부가이드구동부와, 기단부가 상기 레벨러(30)의 도입부 상부에 장착되며 선단부가 코일(2)의 상기 제1점(4)보다 높은 제2점(5)에 접촉 또는 근접되는 변위가능한 상부가이드(46)와, 상기 상부가이드(46)를 변위시키는 상부가이드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코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이드(42)의 선단에는 가이드롤러(45)가 구비되어 코일(2)의 외부면에 미끄럼접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코일러.
  3. 삭제
KR1020080055196A 2008-06-12 2008-06-12 언코일러 KR100980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196A KR100980232B1 (ko) 2008-06-12 2008-06-12 언코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196A KR100980232B1 (ko) 2008-06-12 2008-06-12 언코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098A KR20090129098A (ko) 2009-12-16
KR100980232B1 true KR100980232B1 (ko) 2010-09-06

Family

ID=4168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196A KR100980232B1 (ko) 2008-06-12 2008-06-12 언코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2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5101A (zh) * 2012-09-16 2012-12-19 福州开发区宇辉钢铁制品有限公司 用于连续加工直缝高频焊接钢管的箱式钢带开卷机
CN103949499A (zh) * 2014-04-25 2014-07-30 无锡市桥联冶金机械有限公司 钢板矫直装置
KR102083623B1 (ko) 2018-09-21 2020-03-02 연산메탈(주) 언코일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032B1 (ko) * 2010-02-19 2011-04-25 에이앤피산업(주) 코일 레벨 장치
KR101308037B1 (ko) * 2012-04-04 2013-09-12 에이앤피산업(주)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
CN104624722B (zh) * 2015-01-29 2017-04-19 浙江富日进精密金属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带钢卷放卷牵送装置
CN106345847B (zh) * 2016-10-28 2018-01-19 无锡龙翔印业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钢带放卷装置
KR102129909B1 (ko) 2018-12-12 2020-07-0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제품의 성형 잔량 개수 파악이 가능한 언코일러 및 이를 구비한 강판 성형시스템
KR102076682B1 (ko) * 2019-08-12 2020-02-12 김찬재 코일 무게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벨러 피더
KR102437534B1 (ko) * 2021-02-03 2022-08-29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
KR102476596B1 (ko) * 2021-12-07 2022-12-13 (주)제이아이테크 데크플레이트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
KR102538218B1 (ko) * 2022-09-06 2023-06-01 권항구 코일강판 연속 가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4553A (ja) * 1995-10-09 1997-04-22 Kyowa Seisakusho:Kk コイル状材料のガイド装置
JPH11169951A (ja) * 1997-12-12 1999-06-29 Orii Corp レベラにおけるコイル材の通板機構
KR20050015311A (ko) * 2003-08-05 2005-02-21 주식회사 포스코 압착마크 방지용 냉연코일의 스트립 유도장치
KR100806775B1 (ko) * 2006-12-01 2008-02-28 주식회사 디엠씨테크 싱글타입 언코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4553A (ja) * 1995-10-09 1997-04-22 Kyowa Seisakusho:Kk コイル状材料のガイド装置
JPH11169951A (ja) * 1997-12-12 1999-06-29 Orii Corp レベラにおけるコイル材の通板機構
KR20050015311A (ko) * 2003-08-05 2005-02-21 주식회사 포스코 압착마크 방지용 냉연코일의 스트립 유도장치
KR100806775B1 (ko) * 2006-12-01 2008-02-28 주식회사 디엠씨테크 싱글타입 언코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5101A (zh) * 2012-09-16 2012-12-19 福州开发区宇辉钢铁制品有限公司 用于连续加工直缝高频焊接钢管的箱式钢带开卷机
CN103949499A (zh) * 2014-04-25 2014-07-30 无锡市桥联冶金机械有限公司 钢板矫直装置
KR102083623B1 (ko) 2018-09-21 2020-03-02 연산메탈(주) 언코일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098A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232B1 (ko) 언코일러
SE418728B (sv) Apparat och forfarande for upptagning och avskiljning av skikt av slappt material
US10906078B2 (en) Apparatus for winding up a metal strip
JP2004537419A (ja) 高温の金属から成る熱間圧延された粗ストリップの巻取り及び巻戻しをするための装置
US5531398A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moving a coil of material from a mandrel
JP3148557U (ja) アンコイラ
US4867434A (en) Apparatus for grasping ends of belt-like members
SE501532C2 (sv) Sätt och anordning för ihoprullning av en eller flera grästorvor
CN102615104B (zh) 冷轧带钢废边卷取机
KR102521374B1 (ko) 스크랩 투입장치
JP5435121B2 (ja) コイルオープニング装置及びコイルの巻き戻し方法
CN102581069A (zh) 一种板卷铲头装置
JP6347058B2 (ja) スペーサ投入装置
JPH06155632A (ja) スチールコード入り帯状ゴム部材の切断方法および 装置
JP2010207864A (ja) コイルオープニング装置及びコイルの巻き戻し方法
JP6527500B2 (ja) ピンチロー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帯状体供給装置
KR100829961B1 (ko) 권취기의 스트립 선단 굽힘장치
JP2017159344A (ja) コイル繰出し装置及び方法
JP7323678B2 (ja) 帯状材供給装置
JP3979954B2 (ja) 巻取機のシート引出装置
JP7143175B2 (ja) 帯状材供給装置
JP3293877B2 (ja) プレス機械用の材料板供給装置
CN117798954B (zh) 一种瓦楞纸卷取放机械手
CN217807808U (zh) 一种聚乙烯地膜生产用收卷装置
CN220406741U (zh) 一种卷板机的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