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037B1 -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 - Google Patents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037B1
KR101308037B1 KR1020120035057A KR20120035057A KR101308037B1 KR 101308037 B1 KR101308037 B1 KR 101308037B1 KR 1020120035057 A KR1020120035057 A KR 1020120035057A KR 20120035057 A KR20120035057 A KR 20120035057A KR 101308037 B1 KR101308037 B1 KR 101308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ick
uncoiler
pinch roll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도
Original Assignee
에이앤피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앤피산업(주) filed Critical 에이앤피산업(주)
Priority to KR1020120035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16Unwinding or unco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가공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코일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언코일링되는 코일지지장치와, 상기 코일지지장치에서 언코일링 된 코일을 가공하는 코일가공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로서, 상기 코일지지장치에서 언코일링되는 코일의 단부를 상기 코일가공장치 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코일가공장치의 일측에 상기 코일가공장치와 상기 코일지지장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코일의 단부를 집어서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픽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코일의 언코일링 작업시에 코일의 단부를 용이하게 코일가공장치 측으로 인입시킴으로써 코일의 가공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PICK UP DEVICE FOR UNCOILING}
본 발명은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 가공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을 가공함에 있어서는 조압연기에서 압연되어 권취된 코일이 운반된 후에 언코일링 장치에 의하여 해권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언코일링 장치는 코일의 일측에 열을 이루며 복수로 배치되어 코일이 해권되도록 하는 롤러에 의하여 언코일링 작업이 수행되며, 언코일링 작업이 완료된 코일은 별도의 코일가공장치로 인입되어 필요로 하는 가공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코일을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언코일링 장치에서 해권되는 코일의 단부를 코일가공장치 측으로 인입시키기 위해서 작업자가 직접 해권되는 코일의 단부를 잡고 코일가공장치의 입구에 맞추어 밀어 넣어야 하는데, 코일의 중량이 고중량일 뿐만 아니라, 코일에 굴곡지려는 탄성이 잔존하기 때문에 코일의 단부를 작업자가 직접 코일가공장치의 입구로 안내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이러한 안내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코일의 언코일링 작업시에 코일의 단부를 용이하게 코일가공장치 측으로 인입시킴으로써 코일의 가공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는, 코일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언코일링되는 코일지지장치와, 상기 코일지지장치에서 언코일링 된 코일을 가공하는 코일가공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로서, 상기 코일지지장치에서 언코일링되는 코일의 단부를 상기 코일가공장치 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코일가공장치의 일측에 상기 코일가공장치와 상기 코일지지장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코일의 단부를 집어서 그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픽업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코일가공장치의 내부와 외부로 인입출되는 가이드 샤프트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는 일단이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코일가공장치의 일측에는 결합되는 제1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상기 코일지지장치와 상기 코일가공장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업부는 일단이 상기 픽업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상기 코일지지장치와 상기 코일가공장치사이에서 호상 궤적을 갖도록 회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픽업부에는 상기 코일의 단부가 픽업부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이동을 안내하는 코일가이드롤과, 상기 코일가이드롤에 의하여 내부로 인입된 상기 코일의 단부를 집어서 상기 코일가공장치 측으로 인출시키는 제1핀치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가이드롤과 상기 제1핀치롤의 일측에는 수동 방식에 의하여 회전 조작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호 대향되게 복수로 구비된 상기 제1핀치롤 중 상측에 배치된 제1핀치롤은 제1핀치롤과 제1핀치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핀치롤 액츄에이터가 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는, 코일의 언코일링 작업시에 코일의 단부를 용이하게 코일가공장치 측으로 인입시킴으로써 코일의 가공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400)는, 코일(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언코일링되는 코일지지장치(100)와, 코일지지장치(100)에서 언코일링 된 코일(1)을 가공하는 코일가공장치(300) 사이에 설치되는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로서, 코일지지장치(100)에서 언코일링되는 코일(1)의 단부를 코일가공장치(300) 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코일가공장치(300)의 일측에 코일가공장치(300)와 코일지지장치(100)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410)와, 이동부(410)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코일(1)의 단부를 집어서 그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픽업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코일지지장치(100)는 해권되어 그 판면의 평탄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 권취된 코일(1)이 일정한 높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부재로서,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직립되게 배치되는 제1지지부재(110)와, 제1지지부재(110)의 상면 중앙 영역에는 코일(1)의 중심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돌부(120)가 구비되어 있다.
코일지지장치(100)의 일측에는 코일지지장치(100)에 구비된 코일(1)을 해권시키는 별도의 코일해권장치(200)가 구비되는데, 코일해권장치(200)는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직립되게 배치되는 제2지지부재(210)와, 제2지지부재(2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단부가 각각 코일(1) 측으로 탄성지지되는 코일푸셔(220)와, 루프테이블(230)이 구비되어 있다.
코일푸셔(220)의 일측 단부에는 코일(1)과 접촉되어 코일(1)이 회전 구동하도록 하는 해권롤러(221)가 구비되어 있으며, 루프테이블(230)은 코일푸셔(220)가 제2지지부재(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코일(1)에서 해권되는 코일이 하측으로 쳐지지 않도록 받치는 역할을 한다.
루프테이블(230)의 단부에는 루프테이블(230)일 해권되는 코일을 받친 상태에서도 해권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지지롤러(23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코일가공장치(300)는 해권된 코일을 가공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장치가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해권된 코일(1)의 단부가 내부로 인입되어 그 판면이 평탄하도록 레벨링 작업을 수행하는 코일가공장치(300)가 마련된다.
이러한 코일가공장치(300)의 내부에는 코일(1)의 단부를 집어서 내부로 인입시키는 제2핀치롤(310)과, 제2핀치롤(310)에 의하여 인입되는 코일(1)을 평탄하게 하는 복수의 레벨링롤(320)과, 레벨링롤(320)에 의하여 평탄해진 코일(1)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피딩롤(330)이 설치될 수 있다.
제2핀치롤(310)은 두 개의 롤러가 한 쌍이 이루도록 상호 대응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코일(1)이 코일가공장치(300)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레벨링롤(320)은 굴곡진 형태로 복귀되려는 탄성이 존재하는 상태로 내부로 인입된 코일(1)의 판면이 평탄하도록 상기 탄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복수의 롤러가 상호 교번적으로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피딩롤(330)은 레벨링롤(320)에서 평탄화 작업이 완료된 코일(1)을 코일가공장치(300)의 외부로 인출하여 후속 공정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제2핀치롤(310)과 동일하게 두 개의 롤러가 한 쌍이 이루도록 상호 대응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400)는 코일가공장치(300)의 일측에 코일가공장치(300)와 코일지지장치(100)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410)와, 이동부(410)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코일(1)의 단부를 집어서 그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픽업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410)의 일측에는 이동부(41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코일가공장치(300)의 내부와 외부로 인입출되는 가이드 샤프트(4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동부(410)는 일단이 이동부(41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코일가공장치(300)의 일측에는 결합되는 제1액츄에이터(412)에 의하여 코일지지장치(100)와 코일가공장치(300)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이동부(4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수단은 제1액츄에이터(412)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동수단을 코일지지장치(100)와 코일가공장치(300)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제1액츄에이터(412)가 코일가공장치(300)의 내부와 외부로 각각 인입출되는 길이는 이동부(41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픽업부(420)의 코일가이드롤(421)이 해권된 코일(1)의 단부를 집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부(41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픽업부(420)는 일단이 픽업부(42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이동부(410)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액츄에이터(422)에 의하여 코일지지장치(100)와 코일가공장치(300) 사이에서 호상 궤적을 갖도록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픽업부(420)에는 코일(1)의 단부가 픽업부(42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이동을 안내하는 코일가이드롤(421)과, 코일가이드롤(421)에 의하여 내부로 인입된 코일(1)의 단부를 집어서 코일가공장치(300) 측으로 인출시키는 제1핀치롤(423)이 설치될 수 있다.
코일가이드롤(421)과 제1핀치롤(423)은 각각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며, 코일가이드롤(421)과 제1핀치롤(423)의 일측에는 수동 방식에 의하여 회전 조작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핸들(424)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호 대향되게 복수로 구비된 제1핀치롤(423) 중 상측에 배치된 제1핀치롤(423)은 제1핀치롤과 제1핀치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핀치롤 액츄에이터(425)가 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핀치롤(423)은 코일지지장치(10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코일(1)의 판면 두께에 따라 그들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해권 된 코일(1)을 픽업부(420)의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하여 제1핀치롤(423)이 코일(1)의 단부를 픽업하는 힘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코일 언코일링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초기 상태에서는 코일해권장치(200)의 코일푸셔(220)와 루프테이블(230)이 코일(1)의 외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400)는 코일가공장치(300)의 일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언코일링 작업이 시작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해권장치(200)의 루프테이블(230)이 코일(1)의 하면 측으로 이동하여 해권되는 코일(1)을 받칠 준비가 완료되며, 제1액츄에이터(412)가 작동하여 가이드샤프트(411)가 인출되면서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400)가 코일(1) 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코일푸셔(220)가 코일(1) 측으로 회동하여 해권롤러(221)가 코일(1)의 외면고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구동하면 코일(1)이 회전하면서 코일(1)의 해권이 시작된다.
코일(1)의 해권이 진행됨에 따라 코일(1)의 단부는 루프테이블(230)에 받쳐진 상태에서 점진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픽업부(420)의 코일가이드롤(421)에 닿게 되고, 코일가이드롤(421)과 연결된 핸들(424)의 회전에 의하여 일정 간격 픽어부재(420)의 내부로 인입된다.
핸들(424)의 회전이 더욱 진행되면 코일(1)의 단부는 제1핀치롤(423)에 닿게 되고, 제1핀치롤(423)고 연결된 핸들(424)의 회전에 의하여 제1핀치롤(423) 사이에 물리게 되고, 핸들(424)이 더욱 회전하면 코일(1)의 단부는 일정 간격픽업부(420)의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액츄에이터(422)의 동작에 의하여 픽업부(4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픽업부(420)의 외부로 인출된 코일(1)의 단부가 코일가공장치(300)의 제2핀치롤(310)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그 후, 제1액츄에이터(412)가 동작하여 이동부(410)가 코일가공장치(300) 측으로 이동하면서 코일(1)의 단부가 코일가공장치(300)의 제2핀치롤(310)에 물리어 코일가공장치(30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도 4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핀치롤(310)의 회전 구동이 진행됨에 따라 코일(1)의 단부는 레벨링롤(320)을 지나면서 판면 평탄화 작업이 수행된 후에 피딩롤(330)을 통하여 코일가공장치(300)의 외부로 인출되어 후속 공정으로 전달됨으로써 코일의 언코일링 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코일지지장치 110 : 제1지지부재
120 : 지지돌부 200 : 코일해권장치
210 : 제2지지부재 220 : 코일 푸셔
221 : 해권롤러 230 : 루프 테이블
231 : 지지롤러 300 : 코일가공장치
310 : 제2핀치롤 320 : 레벨링롤
330 : 피딩롤 400 :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
410 : 이동부 411 : 가이드 샤프트
412 : 제1유압실리더 420 : 픽업부
421 : 코일가이드롤 422 : 제2액츄에이터
423 : 제1핀치롤 424 : 핸들
425 : 핀치롤 액츄에이터

Claims (7)

  1. 코일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언코일링되는 코일지지장치와, 상기 코일지지장치에서 언코일링 된 코일을 가공하는 코일가공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로서,
    상기 코일지지장치에서 언코일링되는 코일의 단부를 상기 코일가공장치 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코일가공장치의 일측에 상기 코일가공장치와 상기 코일지지장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코일의 단부를 집어서 그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픽업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코일가공장치의 내부와 외부로 인입출되는 가이드 샤프트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일단이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코일가공장치의 일측에는 결합되는 제1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상기 코일지지장치와 상기 코일가공장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는 일단이 상기 픽업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상기 코일지지장치와 상기 코일가공장치사이에서 호상 궤적을 갖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에는 상기 코일의 단부가 픽업부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이동을 안내하는 코일가이드롤과, 상기 코일가이드롤에 의하여 내부로 인입된 상기 코일의 단부를 집어서 상기 코일가공장치 측으로 인출시키는 제1핀치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가이드롤과 상기 제1핀치롤의 일측에는 수동 방식에 의하여 회전 조작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핸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호 대향되게 복수로 구비된 상기 제1핀치롤 중 상측에 배치된 제1핀치롤은 제1핀치롤과 제1핀치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핀치롤 액츄에이터가 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
KR1020120035057A 2012-04-04 2012-04-04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 KR101308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57A KR101308037B1 (ko) 2012-04-04 2012-04-04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57A KR101308037B1 (ko) 2012-04-04 2012-04-04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037B1 true KR101308037B1 (ko) 2013-09-12

Family

ID=4945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057A KR101308037B1 (ko) 2012-04-04 2012-04-04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0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4918B1 (de) * 1987-04-03 1992-02-19 SUNDWIGER EISENHÜTTE MASCHINENFABRIK GmbH & CO. Überleitvorrichtung für Bänder zwischen einer Ablaufhaspel und einer Bandbe- oder Bandverarbeitungseinrichtung
JPH04238627A (ja) * 1991-01-07 1992-08-26 Aida Eng Ltd コイル先端誘導装置
JPH07241620A (ja) * 1994-03-04 1995-09-19 Kawasaki Steel Corp 鋼板ストリップコイルのプリパレ−ション装置
KR20090129098A (ko) * 2008-06-12 2009-12-16 무송기공(주) 언코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4918B1 (de) * 1987-04-03 1992-02-19 SUNDWIGER EISENHÜTTE MASCHINENFABRIK GmbH & CO. Überleitvorrichtung für Bänder zwischen einer Ablaufhaspel und einer Bandbe- oder Bandverarbeitungseinrichtung
JPH04238627A (ja) * 1991-01-07 1992-08-26 Aida Eng Ltd コイル先端誘導装置
JPH07241620A (ja) * 1994-03-04 1995-09-19 Kawasaki Steel Corp 鋼板ストリップコイルのプリパレ−ション装置
KR20090129098A (ko) * 2008-06-12 2009-12-16 무송기공(주) 언코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940035U (zh) 一种自动送辊下料卷布机
KR20090129098A (ko) 언코일러
KR100878464B1 (ko) 고온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열연 예비 스트립의 권취 및권출 장치
CN104692169A (zh) 卷至卷膜处理系统
JP2014040328A (ja) ガイドローラー装置
CN107672307A (zh) 全自动覆膜机
KR101308037B1 (ko) 언코일러용 픽업 장치
KR101758494B1 (ko) 스트립 권취 장치
CN207823608U (zh) 一种适用于不锈钢生产的开卷机
JP5495068B2 (ja) ロール体用搬送車
CN107352325A (zh) 筒纱卸纱用缓冲省力滑道机构
CN113106717B (zh) 一种服装面料的除皱熨烫装置
CN102837984A (zh) 用于柔性卷材的自动送料和收料装置
KR20140080367A (ko) 스테인리스 소둔 루퍼의 와이어 쏠림 방지 시스템
CN112756405A (zh) 一种行星轧机出料装置
JPS58116930A (ja) コイルカ−
JP2014031227A (ja) 巻取りロール移送装置、ワインダー装置および巻取りロール抜き取り方法
KR101518665B1 (ko) 코일 헤드 굽힘 장치
KR20200011705A (ko) 선재코일 이송설비
JP2015168004A (ja) スペーサ投入装置
CN110152493A (zh) 一种用于工业滤芯卷绕及下料的辅助装置
KR100742889B1 (ko) 열연코일 오작재 처리장치
CN211254655U (zh) 一种具有收卷限位结构的收卷检验机
CN213566891U (zh) 自动高速送料器
KR100939266B1 (ko) 권취기의 간지 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