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461B1 -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461B1
KR100979461B1 KR1020070106843A KR20070106843A KR100979461B1 KR 100979461 B1 KR100979461 B1 KR 100979461B1 KR 1020070106843 A KR1020070106843 A KR 1020070106843A KR 20070106843 A KR20070106843 A KR 20070106843A KR 100979461 B1 KR100979461 B1 KR 100979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yclopentenyl
enyl
nmr
oc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1242A (ko
Inventor
유복렬
한준수
임원철
정동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06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461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0834Compounds having one or more O-Si linkage
    • C07F7/0836Compounds with one or more Si-OH or Si-O-metal link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클로알케닐 기와 두 개 이상의 알콕시 기를 가지고 있는 실란화합물을 산 촉매 하에서 가수분해하여 시클로알케닐 기와 두개 이상의 실란올 기를 가지고 있는, 산업적으로 유용한 기능성 실리콘 고분자를 생산하거나 무기물 소재의 표면개질 또는 박막을 만드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 실란화합물, 가수분해

Description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Cycloalkenylsilanepolyols and their preparation methods}
본 발명은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클로알케닐 기와 두 개 이상의 알콕시 기를 가지고 있는 실란화합물을 산 촉매 하에서 가수분해하여 시클로알케닐 기와 두개 이상의 실란올 기를 가지고 있는, 산업적으로 유용한 기능성 실리콘 고분자를 생산하거나 무기물 소재의 표면개질 또는 박막을 만드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란올이라는 것은 Si-OH 결합을 가지고 있는 실란 화합물을 총칭하는 것으로, 실란 단량체를 가수분해해서 실리콘 중합물을 얻을 때 중간생성물로 잘 알려진 화합물이다. 할로실란이나 알콕시실란과 같이 가수분해가 가능한 실란 화합물을 가수분해 시키면 중간체로 실란올이 생성되고, 두개의 실란올에서 물이 빠져나오면서 축합되어 Si-O-Si 결합이 생기는 것이다. 그러나, 실란올의 경우 반응성이 크기 때문에 중간생성물을 분리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실란디올 또는 실란트 리올과 같은 실란폴리올의 경우, 반응성이 더 크기 때문에 분리된 화합물이 많지 않다. 실란트리올의 결정구조는 이시다(Ishida)와 공동연구자들이 1982년 시클로헥실실란트리올의 결정구조를 밝힘으로써 최초로 확인되었으며[J. Chem. Phys. 1982, 77, 5748], 그 후 몇몇 실란트리올의 구조가 보고되었다. 이와 같이 반응성이 큰 실란폴리올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입체장애가 큰 치환기가 요구된다.
실란트리올의 일반적인 합성방법은 알콕시실란 또는 클로로실란과 같은 가수분해가 가능한 결합을 가지고 있는 실란을 물에서 가수분해하는 방법이다. Ishida와 공동연구자들은 초산으로 pH 3.5를 만든 수용액에 시클로헥실트리메톡시실란을 섞어서 실온에서 한 두 시간 동안 교반하여 수용액으로부터 시클로헥실실란트리올을 합성하였다[Ishida, H.; Koenig, J. L. J. Polymer Sci . 1979, 17, 1807]. Jutzi와 공동연구자들은 입체장애가 큰 치환기를 갖고 있는 (1-트라이메틸실릴시클로펜타-2,-4-디엔닐)트리클로로실란을 에틸에테르에 녹이고 아닐린과 물을 첨가한 에틸에테르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여 0 ℃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아닐닌 염을 여과로 제거한 다음 에틸에테르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여 (1-트라이메틸실릴시클로펜타-2,4-디엔닐)실란트리올을 98%의 수율로 합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Jutzi, P.; Schneider, M.; Stammler, H.-G.; Neumann, B. Organometallics 1997, 16, 5377].
한편, 최근에는 Korkin과 공동연구자들이 페닐트리메톡시실란을 0.5% 초산 수용액에 적가시키고 5 ~ 10 ℃를 유지하면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백색의 고체가 생성되고 거름종이로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68%의 수율로 페닐실란트리올을 얻었다고 보고하였다[Korkin, S. D.; Buzin, M. I.; Matukhina, E. V.; Zherlitsyna, L. N.; Auner, N.; Shchegolikhina, O. I. J. Organomet. Chem. 2003, 686, 313]. 이 방법은 물에 녹지 않는 고체가 생성되어야만 생성물을 얻을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물에 대한 용해도에 상관없이 실란폴리올의 합성을 최적화하였으며, 본 발명을 통해 합성된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시클로알케닐 기와 두 개 이상의 알콕시 기를 가지고 있는 실란화합물을 산 촉매 하에서 가수분해하여 시클로알케닐 기와 두 개 이상의 실란올 기를 가지고 있는, 산업적으로 유용한 기능성 실리콘 고분자를 생산하거나 무기물 소재의 표면개질 또는 박막을 만드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불포화되어 있는 고리형 화합물인 시클로알케닐기를 함유하는 유기실란으로서 신규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를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7588356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헥센닐, 3- 또는 4-메틸시클로헥사-3-엔닐의 이성질체 혼합물, 3,4-디메틸시클로헥사-3-에닐 및 바이시클로[2,2,2]옥타-5-엔-2-일 중에서 선택되며, Y는 수산기, C1 ~ 6의 알킬기 및 ((2-시클로펜테닐)디하이드록시실릴)옥시 중에서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산 수용액 하에서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유기실란 화합물을 가수분해 반응하여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Figure 112007075883563-pat00002
상기 반응식 1에서, R은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헥센닐, 3- 또는 4-메틸시클로헥사- 3-엔닐, 3,4-디메틸시클로헥사-3-에닐 및 바이시클로[2,2,2]옥타-5-엔-2-일 중에서 선택되며, Y는 수산기, C1 ~ 6의 알킬기 및 ((2-시클로펜테닐)디하이드록시실릴)옥시 중에서 선택되고, R'은 C1 ~ 6의 알킬기이며, X는 C1 ~ 6의 알킬기, C1 ~ 6의 알콕시기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클로알케닐실폴리란올 유도체는 물 또는 알콜에 녹기 때문에 친환경 커플링제이고, 무기물 표면 개질에 사용 시에 촉매가 필요 없고, 단순히 가열에 의해 무기물 표면의 수산기와 축합반응으로 공유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은 축합반응 시에 부산물로 물이 생성되기 때문에 휘발성 유기물이나 염화수소가 생성되는 종래의 실란에 비하여 환경에 친화적이고 위험하지 않은 물질이며, 시클로알케닐기를 포함하고 있어 불포화 결합을 이용한 유기물과의 결합반응도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입체장애가 큰 시클로알케닐기로 인하여 폴리헤드랄 케이지(polyhedral cage) 형의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을 제조하기도 용이한 구조이며, 산업적으로 기능성 실리콘 고분자를 생산하거나 무기물 소재의 표면개질 또는 박막을 만드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시클로알케닐 기와 두 개 이상의 알콕시 기를 가지고 있는 실란화합물을 산 촉매 하에서 가수분해하여 시클로알케닐 기와 두개 이상의 실란올 기를 가지고 있는, 산업적으로 기능성 실리콘 고분자를 생산하거나 무기물 소재의 표면개질 또는 박막을 만드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 합성공정은 상온 상압 하에서 초산 수용액이 들어있는 플라스크에 상기 화학식 2로 표기되는 유기실란 화합물을 넣고 교반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즉, 다음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산 수용액 하에서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유기실란 화합물을 넣고 교반하여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를 제조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07075883563-pat00003
상기 반응식 1에서, 화학식 1의 R과 Y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화학식 2의 R은 화학식 1과 같으며, 화학식 2의 R'은 C1 ~ 6의 알킬기이며, 화학식 2의 X는 C1 ~ 6의 알킬기, C1 ~ 6의 알콕시기이다.
초산 수용액의 농도는 0.1 내지 10 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나, 유기기의 입체장애가 작은 유기실란 화합물에는 바람직하게는 0.5 ~ 1.5 중량%를 사용하는 것 이 좋고 유기기의 입체장애가 커서 물에 녹지 않아 반응 도중 고체가 생성되는 유기실란 화합물에는 바람직하게는 3 ~ 7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초산 수용액의 양은 상기 화학식 2로 표기되는 유기실란 화합물 100 부피부에 비하여 70 내지 200 부피부 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20 부피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가수분해 반응 온도는 0 내지 40 ℃까지 가능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30 ℃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화학식 2의 유기실란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 2-시클로펜테닐트리메톡시실란, 2-시클로펜테닐트리에톡시실란, 3-시클로헥센닐트리메톡시실란, 3-시클로헥센닐트리에톡시실란, 3- 또는 4-메틸시클로헥사-3-엔닐메톡시실란의 이성질체 혼합물, 3- 또는 4-메틸시클로헥사-3-엔닐에톡시실란의 이성질체 혼합물, 3,4-디메틸시클로헥사-3-에닐트리메톡시실란, 3,4-디메틸시클로헥사-3-에닐트리에톡시실란, (바이시클로[2,2,2]옥타-5-엔-2-일)트리메톡시실란, (바이시클로[2,2,2]옥타-5-엔-2-일)트리에톡시실란, 2-시클로펜테닐(메틸)디메톡시실란, 2-시클로펜테닐(메틸)디에톡시실란, 2-시클로헥센닐(메틸)디메톡시실란, 2-시클로헥센닐(메틸)디에톡시실란, (바이시클로[2,2,2]옥타-5-엔-2-일)(메틸)디메톡시실란, (바이시클로[2,2,2]옥타-5-엔-2-일)(메틸)디에톡시실란 등 중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상기 유기실란 화합물에 따라 각기 다르다.
반응 후 회전증발기로 반응에서 생성되는 메탄올과 물과 초산을 제거하여 준 후 생성된 고체를 n-헥산으로 수회 닦아줌으로써 순도가 높은 생성물을 얻을 수 있 다.
상기와 같은 성분과 방법으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시클로알케닐실란올 유도체는 다음 실시예에서 제시한 바와 같은 여러 종류의 실란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실리콘 고분자의 원료물질, 무기물의 표면개질, 박막 및 실란 결합제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규한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이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는 다양한 실리콘 고분자의 원료물질, 표면개질, 박막 및 실란 결합제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시클로펜테닐)트리메톡시실란의 가수분해 반응
50 mL 이구 플라스크에 1 중량% 농도의 초산 수용액 1 mL을 넣고 교반하면서, (2-시클로펜테닐)트리메톡시실란 1 mL를 넣고 상온(20 ℃)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액이 투명해지면 교반을 멈추고 회전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하여 백색 고체의 생성물을 얻었다. 이 고체 생성물을 헥산 20 mL로 수회 세척하여 (2-시클로펜테닐)실란트리올 0.77 g(수율 98%)을 얻어 NMR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2-시클로펜테닐)실란트리올
1H NMR (THF-d8) δ1.86-2.04(m, 3H, C H 2C H Si,overlap), 2.22-2.36(m, 2H, CH2C H 2CH), 5.00(s, 3H, Si(O H )3 ), 5.51-5.54 (m, 1H, CH=C H CH2), 5.72-5.75(m, 1H, C H CHSi); 13C NMR (THF-d8) δ25.91( C H2CHSi), 33.5(CH=CH C H2), 33.6(Si C H), 127.9(CH= C HCHSi), 133.7(CH= C HCH2)
반응조건을 바꾸면 (2-시클로펜테닐)실란트리올 대신에 이것의 이량체 구조인 1,1,3,3-디실록산테트라올을 주생성물로 합성할 수 있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3 중량% 농도의 초산 수용액 1 mL 과 2-시클로펜테닐트리메톡시실란 1 mL를 넣고 반응시켜 비스(2-시클로펜텐-1-일)-1,1,3,3-디실록산테트라올 0.59 g(수율 81%)을 얻어 NMR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비스(2-시클로펜텐-1-일)-1,1,3,3-디실록산테트라올
1H NMR (THF-d8) δ1.91-2.06(m, 3H, C H 2C H Si,overlap), 2.22-2.39(m, 2H, CH2C H 2CH), 5.20(s, 4H, SiO H ), 5.52-5.54 (m, 1H, CH=C H CH2), 5.77-5.79(m, 1H, C H CHSi); 13C NMR (THF-d8) δ25.70( C H2CHSi), 33.5(CH=CH C H2), 33.6(Si C H), 128.2(CH= C HCHSi), 133.3(CH= C HCH2)
실시예 2: (3-시클로헥센닐)트리메톡시실란, 3- 또는 4-메틸시클로헥사-3-엔닐트리 메톡시실란 이성질체 혼합물의 가수분해 반응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1 중량% 농도의 초산 수용액하에서 (3-시클로헥센닐)트리메톡시실란과 3- 또는 4-메틸시클로헥사-3-엔닐트리메톡시실란 이성질체 혼합물을 각각 상온(20 ℃)에서 4시간, 12시간 반응 후 (3-시클로헥센닐)실란트리올과 3- 또는 4-메틸시클로헥사-3-엔닐실란트리올 이성질체 혼합물을 각각 0.78 g(수율 98%), 0.54 g(수율 67%) 얻어 각각 NMR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3-시클로헥센닐)실란트리올
1H NMR (THF-d8) δ0.79-0.87(m, 1H, Ha), 1.42-1.50(m, 1H, Hb), 1.88~1.96(m, 3H, Hc,Hf,Hg overlap), 2.03~2.05(m, 2H, Hh,Hi), 5.02(s, 3H, Si(O H )3 ), 5.59~5.62(m, 1H, He), 5.66~5.68(m, 1H, Hd); 13C NMR (THF-d8) δ21.2(SiCH C H2CH2), 24.2(SiCHCH2 C H2), 26.7(SiCH C H2CH), 26.8(Si C H), 127.4(SiCHCH2CH= C H), 129.1(SiCHCH2 C H=CH)
3- 또는 4-메틸시클로헥사-3-엔닐실란트리올 (mixture of isomers)
1H NMR (THF-d8) δ0.68~0.89(m, 1H, SiC H ), 1.35-1.49(m, 2H, C H 2CH2CHSi), 1.59(s, 3H, C H 3C=CH), 1.84-2.06(m, 4H, SiCHC H 2C, SiCHC H 2CH2, overlap), 4.96 or 4.98(s, 3H, Si(O H )3), 5.38-5.42(m, 1H, CH3C=C H ); 13C NMR (THF-d8) δ20.8, 21.6 ( C H3C=CH), 23.8, 24.3(SiCH C H2CH2), 24.5, 24.7(SiCHCH2 C H2), 26.7, 26.9(SiCH C H2C), 31.5, 31.7(Si C H), 121.5, 123.0(CH3C= C H), 133.8, 135.4(CH3 C =CH)
실시예 3: 3,4-디메틸시클로헥사-3-엔닐트리메톡시실란의 가수분해 반응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1 중량% 농도의 초산 수용액 하에서 3,4-디메틸시클로헥사-3-엔닐트리메톡시실란 1 mL를 넣고 상온(20 ℃)에서 24시간동안 반응시켜, 3,4-디메틸시클로헥사-3-엔닐실란트리올 0.66 g을 얻고 NMR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3,4-디메틸시클로헥사-3-엔닐실란트리올
1H NMR (THF-d8) δ0.74-0.87(m, 1H, Ha), 1.34-1.53(m, 1H, Hg), 1.57(br. s, 6H, C H 3C=CC H 3), 1.84-2.05(m, 5H, Hb,Hc,Hf,Hh,Hi overlap), 4.98(s, 3H, Si(O H )3); 13C NMR (THF-d8) δ19.3(SiCHCH2C C H3), 19.5(SiCHCH2C=C C H3), 22.2(SiCH C H2CH2), 33.1(SiCH C H2C), 33.3(SiCHCH2 C H2), 33.5(Si C H), 125.6(SiCHCH2C= C ), 127.1(SiCHCH2 C =C)
실시예 4: 바이시클로[2,2,2]옥타-5-엔-2-일트리메톡시실란 이성질체 혼합물의 가수분해 반응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1 중량% 농도의 초산 수용액 하에서 바이시클로[2,2,2]옥타-5-엔-2-일트리메톡시실란을 상온(20 ℃)에서 36시간 동안 반응시켜, 바이시클로[2,2,2]옥타-5-엔-2-일실란트리올 0.79 g(수율 96%)을 얻고 NMR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바이시클로[2,2,2]옥타-5-엔-2-일실란트리올 이성질체 혼합물
1H NMR (THF-d8) δ0.59~0.62, 0.87~0.91(m, 1H, SiC H ), 0.92-1.56(m, 6H, SiCHC H 2, CHC H 2C H 2CH overlap), 2.43-2.68(m, 2H, C H CH=CHC H ), 4.74, 5.04(s, 3H, Si(O H )3), 6.23-6.28, 6.36-6.40 (m, 1H, SiCHCHCH=C H ), 6.10-6.16(m, 1H, SiCHCHC H =CH overlap); 13C NMR (THF-d8) δ23.9, 24.1(Si C H), 25.5, 26.8(SiCHCH C H2CH2), 28.2, 29.6(SiCHCHCH2 C H2), 30.5, 31.1(Si C H), 31.3, 31.4(SiCH C H), 31.2(SiCHCH2 C H overlap), 132.8, 133.9(SiCHCHCH= C H), 135.3, 138.5(SiCHCH C H=CH)
실시예 5: 2-시클로펜테닐(메틸)디메톡시실란과 3-시클로헥센닐(메틸)디메톡시실란 의 가수분해 반응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1 중량% 농도의 초산 수용액 하에서 2-시클로펜테닐(메틸)디메톡시실란과 3-시클로헥센닐(메틸)디메톡시실란을 각각 상온(20 ℃)에서 1시간, 3시간 동안 반응하여 2-시클로펜테닐(메틸)실란디올과 3-시클로헥센닐(메틸)실란디올을 각각 0.76 g(수율 91%), 0.77 g(수율 91%) 얻고 NMR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2-시클로펜테닐(메틸)실란디올
1H NMR (THF-d8) δ0.06(s, 1H, SiC H 3), 1.85-1.98(m, 3H, C H 2C H Si,overlap), 2.27-2.32(m, 2H, CH2C H 2CH), 4.95(d, J=3.60Hz, 2H, Si(O H )2 ), 5.54-5.57(m, 1H, CH=C H CH2), 5.71-5.74(m, 1H, C H CHSi); 13C NMR (THF-d8) δ-3.1(Si C H3), 25.4( C H2CHSi), 33.5(CH=CH C H2), 36.3(Si C H), 128.1(CH= C HCHSi), 133.2(CH= C HCH2)
3-시클로헥센닐(메틸)실란디올
1H NMR (THF-d8) δ-0.05(s, 3H, Si C H3), 0.75-0.82(m, 1H, Ha), 1.35-1.45(m, 1H, Hb), 1.83-1.88(m, 1H, Hc), 1.91-2.05(m, 4H, Hf,Hg,Hh,Hi overlap),4.88(d, J=1.20Hz, 2H, Si(O H )2 ), 5.60-5.64(m, 1H, He), 5.66-5.70(m, 1H, Hd); 13C NMR (THF-d8) δ-3.3(Si C H3), 23.4(SiCH C H2CH2), 23.7(SiCHCH2 C H2), 26.2(SiCH C H2CH), 26.8(Si C H), 127.5(SiCHCH2CH= C H), 128.9(SiCHCH2 C H=CH)
실시예 6: 3,4-디메틸시클로헥사-3-에닐(메틸)디메톡시실란의 가수분해 반응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5 중량% 농도의 초산 수용액 하에서 3,4-디메틸시클로헥사-3-엔닐(메틸)디메톡시실란 1 mL를 반응시켜 3,4-디메틸시클로헥사-3-엔닐(메틸)실란디올 0.70 g(수율 81%)을 얻어 NMR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3,4-디메틸시클로헥사-3-엔닐(메틸)실란디올
1H NMR (THF-d8) δ-0.05(s, 3H, Si C H3), 0.70-0.79(m, 1H, Ha), 1.29-1.54(m, 1H, Hg), 1.58-1.59(m, 6H, C H 3C=CC H 3), 1.82-1.98(m, 5H, Hb,Hc,Hf,Hh,Hi overlap), 4.83(br. s, 2H, Si(O H )2); 13C NMR (THF-d8) δ-3.3(Si C H3), 19.2(SiCHCH2C C H3), 19.4(SiCHCH2C=C C H3), 22.4(SiCH C H2CH2), 24.6(SiCH C H2C), 32.9(SiCHCH2 C H2), 33.4(Si C H), 125.7(SiCHCH2C= C ), 126.9(SiCHCH2 C =C)
실시예 7: 바이시클로[2,2,2]옥타-5-엔-2-일(메틸)디메톡시실란 이성질체 혼합물의 가수분해 반응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5 중량% 농도의 초산 수용액 하에서 이성질체 혼합물인 바이시클로[2,2,2]옥타-5-엔-2-일(메틸)디메톡시실란 1 mL를 8시간 동안 반응시켜 바이시클로[2,2,2]옥타-5-엔-2-일(메틸)실란디올을 0.74 g(수율 85%) 얻고 NMR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바이시클로[2,2,2]옥타-5-엔-2-일(메틸)실란디올 이성질체 혼합물
1H NMR (THF-d8) δ-0.14, 0.02(s, 3H, Si C H3), 0.52~0.58, 0.83~0.87(m, 1H, SiC H ), 0.99-1.96(m, 6H, SiCHC H 2, CHC H 2C H 2CH overlap), 2.54-2.65(m, 2H, C H CH=CHC H ), 4.62, 4.91(d, J=1.60Hz, J=20.01Hz, 2H, Si(O H )2), 6.12-6.17(m, 1H, SiCHCHC H =CH overlap), 6.20-6.24, 6.37-6.41 (m, 1H, SiCHCHCH=C H ); 13C NMR (THF-d8) δ-2.2, -1.5(Si C H3), 24.2, 25.5(Si C H), 26.6, 26.6(SiCHCH C H2CH2), 26.6, 26.8(SiCHCHCH2 C H2), 27.8, 29.2(Si C H), 30.5, 30.9(SiCHCH2 C H), 31.1, 31.2(SiCH C H), 132.9, 134.3(SiCHCHCH= C H), 135.1, 138.5(SiCHCH C H=CH)

Claims (4)

  1. 무기산화물 표면처리제로 사용되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712010002385133-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2-시클로펜테닐, 3-시클로헥센닐, 3- 또는 4-메틸시클로헥사-3-엔닐의 이성질체 혼합물, 3,4-디메틸시클로헥사-3-엔닐 및 바이시클로[2,2,2]옥타-5-엔-2-일 중에서 선택되며, Y는 수산기, 및 ((2-시클로펜테닐)디하이드록시실릴)옥시기 중에서 선택된다.
  2.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유기실란 화합물을 0.1 ~ 10 중량% 농도의 초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0 ~ 40 ℃의 온도 범위에서 가수분해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2]
    Figure 112009059182569-pat00005
    [화학식 1]
    Figure 112009059182569-pat00007
    상기 화학식 1과 2에서,
    R은 2-시클로펜테닐, 3-시클로헥센닐, 3- 또는 4-메틸시클로헥사-3-엔닐의 이성질체 혼합물, 3,4-디메틸시클로헥사-3-엔닐 및 바이시클로[2,2,2]옥타-5-엔-2-일 중에서 선택되며, R'은 C1 ~ 6의 알킬기 , X는 C1 ~ 6의 알킬기 , C1 ~ 6의 알콕시기 중에서 선택되고, Y는 수산기, 및 ((2-시클로펜테닐)디하이드록시실릴)옥시기 중에서 선택된다.
  3. 삭제
  4. 삭제
KR1020070106843A 2007-10-23 2007-10-23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KR100979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843A KR100979461B1 (ko) 2007-10-23 2007-10-23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843A KR100979461B1 (ko) 2007-10-23 2007-10-23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242A KR20090041242A (ko) 2009-04-28
KR100979461B1 true KR100979461B1 (ko) 2010-09-02

Family

ID=4076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843A KR100979461B1 (ko) 2007-10-23 2007-10-23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4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663B1 (ko) * 2009-10-28 2012-06-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능성 보강 충전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50300B1 (ko) * 2011-04-29 2013-04-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알케닐알콕시실란을 이용한 기능성 보강 충전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7695A (en) * 1987-12-03 1991-05-21 Rhone-Poulenc, Inc. Ceric hydrocarbyl silyloxid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KR100757068B1 (ko) * 2006-04-21 2007-09-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시클로펜테닐)알킬디알콕시실란 유도체와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7695A (en) * 1987-12-03 1991-05-21 Rhone-Poulenc, Inc. Ceric hydrocarbyl silyloxid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KR100757068B1 (ko) * 2006-04-21 2007-09-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시클로펜테닐)알킬디알콕시실란 유도체와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242A (ko) 200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123698A (ja) シルセスキオキサン誘導体の製造方法およびシルセスキオキサン誘導体
JP5153635B2 (ja) 新規エポキシ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001255A (ja) トリアルキルシリル基で保護されたアセト酢酸エステル基含有有機ケイ素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79461B1 (ko) 시클로알케닐실란폴리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JP5333971B2 (ja) β−シアノエステル基を含有する有機ケイ素化合物の製造方法
JP5652829B2 (ja) 無水条件におけるシラノールの製造方法
JPWO2002094839A1 (ja) 新規ケイ素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132591A (ja) 二量体化されたビニルビシクロヘプチル基含有ケイ素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97522B1 (ko) 유기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JP4605018B2 (ja) 有機ケイ素化合物の製造方法並びにジオールを有する有機ケイ素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
JP3915883B2 (ja) 有機ケイ素化合物
JP4433168B2 (ja) 保護された水酸基を有するオルガノキシシラン化合物
JPH0786117B2 (ja) アルコキシシラン
KR101097570B1 (ko) 환상 유기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20150016621A (ko) 옥사실라사이클 및 이의 제조 방법
JP6020410B2 (ja) [3−(2−ノルボルニル)−2−ノルボルニル]シラ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56503A (ja) 有機ケイ素化合物の製造方法
JPH06107671A (ja) 有機ケイ素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3592534B2 (ja) 有機けい素化合物
JP2022127233A (ja) シランカップリング剤の製造方法
Nasim et al. Methods of synthesis and properties of 1-vinylsilatranes
KR100765342B1 (ko) 시아노아세톡시기가 치환된 실리콘 결합제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물
JP4172342B2 (ja) 環状有機ケイ素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520497B2 (ja) 放射線重合性官能基含有有機ケイ素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93979A (ja) 新規な有機ケイ素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