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106B1 - 호흡 보조구 - Google Patents

호흡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106B1
KR100976106B1 KR1020070081643A KR20070081643A KR100976106B1 KR 100976106 B1 KR100976106 B1 KR 100976106B1 KR 1020070081643 A KR1020070081643 A KR 1020070081643A KR 20070081643 A KR20070081643 A KR 20070081643A KR 100976106 B1 KR100976106 B1 KR 100976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nasal septum
breathing aid
pole
na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5736A (ko
Inventor
노리오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키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키트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키트론
Publication of KR20080015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8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ose ; Devices for enlarging the nostril, e.g. for breathing impr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과제) 장시간 장착한 경우나 콧물이 나온 경우라도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미끄러져 떨어질 가능성도 적을 뿐만 아니라, 사용 내구성이 우수하며, 반복 장착한 경우라도 비공내에 유지시키는 능력이 약해지지 않고, 비공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되는 호흡 보조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1 쌍의 비중격 가압부 (2, 2) 각각의 대향면 (2a) 의 내부에는, 일방의 N 극과 타방의 S 극이 마주하여 서로 끌어당기도록 제 1 자석 (2b) 을 배치하고, 또한 1 쌍의 아암부 (3, 3) 각각의 대향면 (3a) 의 내부에는, 일방의 N 극과 타방의 S 극이 마주하여 서로 끌어당기도록, 제 2 자석 (3c) 을 배치함으로써 과제를 달성하였다.

Description

호흡 보조구{BREATHING AID}
본 발명은, 비중격(鼻中隔)을 가압함으로써, 코의 연동 중추 (비도의 확대 축소를 담당하는 신경계) 를 자극하여 비도를 확개시키는 호흡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비강의 내면은 점막으로 덮여 있다. 특히 외비공의 안쪽에 있는 비갑개부는, 정맥총(靜脈叢)이 풍부하기 때문에, 한기 등의 자극에 의해 종창(腫脹)되면 비도가 좁아지므로, 코로부터의 공기 유입량이 적어져 호흡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사람이 비도가 좁은 상태에서 위를 향하고 잠을 자면, 설근이 목의 안쪽으로 처지기 때문에 공기의 통로가 좁아지고, 이 좁은 통로를 입으로부터 들어온 공기가 통과하므로, 이완된 연구개가 진동하여 코를 골기 쉬워진다. 이때, 코로부터의 공기가 충분히 유입되면, 입 내부의 부드러운 조직이 진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비도를 넓힘으로써 코로부터의 공기 유입량을 증대시키는 호흡 보조구는, 운동시의 산소 섭취량을 증가시키고, 코골이를 방지하며, 코막힘을 해소하기 때문에 유익하다.
호흡 보조구로는, 예를 들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상태에 있 어서 양단 사이의 간격이 외비공의 간격보다 약간 넓어지도록 성형된 U 자형 스프링 레버 (a) 의 양단에, 스프링 레버 (a) 의 폭보다 대직경의 확개부 (b) 를 형성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호흡 보조구를 장착할 때에는, 스프링 레버 (a) 의 양단부를 손가락으로 눌러 조이면서 확개부 (b) 각각을 좌우의 외비공에 집어넣고, 그 후 스프링 레버 (a) 를 해방시킨다. 그렇게 하면, 스프링 레버 (a) 가 원래의 폭으로 복귀하려고 하는 힘에 의해 호흡 보조구가 유지됨과 함께, 외비공이 바깥쪽으로 확개된다.
그러나, 이 호흡 보조구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무리하게 비공을 넓히기 때문에, 매우 위화감이 있다는 중대한 결점이 있고, 또한, 스프링 레버 (a) 는 일정 이상의 스프링력을 갖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 굵기 및 경도를 지나치게 작게 할 수 없고, 오히려 방해가 되거나 호흡을 저해할 우려가 있으며, 게다가, 반복 사용한 결과 스프링 레버 (a) 의 스프링력이 약해지면, 착용중에 쉽게 탈락되게 된다.
또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성을 갖는 클립 형상의 연결부 (c) 의 양단에 각각 가압부 (d) 를 형성하고, 통상 상태에 있어서 좌우의 가압부 (d) 가 맞닿는 호흡 보조구가 알려져 있다. 이에 따르면, 연결부 (c) 의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좌우의 가압부 (d) 가 비중격을 사이에 두고 끼워지고, 이 부분의 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코의 운동 중추에 작용시켜 비도를 넓혀 호흡을 편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호흡 보조구도, 연결부 (c) 의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코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 (c) 가 비교적 굵고 단단하게 형성되어 있어,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스프링력의 약화에 의한 탈락을 방지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양단부가 좌우의 외비공내에 삽입되는 거의 U 자형이고 탄성을 갖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양단에 형성된 좌우 1 쌍의 비중격 가압부를 구비하고, 좌우의 비중격 가압부의 대향부에 자석이 각각 N 극과 S 극이 마주하도록 장착되고, 자력에 의한 흡착력을 비중격의 양측에 비중격 가압부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정도로 하는 호흡 보조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1 쌍의 탄성 아암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볼록부가 각각 형성되고, 1 쌍의 탄성 아암부가 비공에 유삽(遊揷)되며, 또한 아암 접속부가 비공 외단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볼록부가 상기 비공의 내단부에 걸리고, 1 쌍의 탄성 아암부가 구형상부를 통하여 비공내의 비주(鼻柱)를 사이에 두고 끼워지고, 또한 구형상부가 비공을 넓히도록 구성된 호흡 보조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20186호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제2857637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호흡 보조구는, 연결부를 가늘고 유연하게 할 수 있어 방해가 되지 않고, 장착시의 위화감도 적은 우수한 것이지만, 좌우의 비중격 가압부의 대향부에 장착된 N 극과 S 극의 자석만으로는, 비공내의 비주를 사이에 두고 끼워넣는 힘으로서 반드시 충분하지 않은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장시간 장착한 경우나 콧물이 나온 경우에는 불가항력적으로 위치가 어긋나고, 미끄러져 떨어질 가능성도 높아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호흡 보조구는, 1 쌍의 탄성 아암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된 볼록부에 의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호흡 보조구보다 비공내의 비주를 사이에 두고 끼워넣는 힘은 높다고 생각되지만, 여전히, 장시간 장착한 경우나 콧물이 나온 경우에는 위치가 어긋나기 쉽고, 미끄러져 떨어질 가능성도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호흡 보조구는, 장착하기 위하여 1 쌍의 탄성 아암부를 밖으로 벌리는 조작을 실시하는데, 이 조작을 반복하여 실시하면 아암 접속부가 변형되어 아암 접속부가 구비하고 있는 탄성이 없어지고, 1 쌍의 볼록부의 거리가 서서히 넓어져, 볼록부가 비공의 내단부에 걸리는 효과가 약해지기 때문에, 호흡 보조구가 비공에서 쉽게 빠지게 되므로, 사용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장시간 장착한 경우나 콧물이 나온 경우라도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미끄러져 떨어질 가능성도 적을 뿐만 아니라, 사용 내구성이 우수하며, 반복 장착한 경우라도 비공내에 유지시키는 능력이 약해지지 않아 비공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되는 호흡 보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검토를 거듭한 결과, 각각의 아암부의 대향면 내부에는, 일방의 N 극과 타방의 S 극이 마주하여 서로 끌어당기도록 자석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호흡 보조구는, 선단 부분에, 외비공보다 소직경이고, 비중격을 사이에 두고 끼워넣어서 가압하는 1 쌍의 비중격 가압부와, 그 1 쌍의 비중격 가압부와 접속되는 1 쌍의 아암부와, 그 1 쌍의 아암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대략 U 자 형상이고, 탄성을 가지며, 그 1 쌍의 비중격 가압부 및 그 1 쌍의 아암부를 좌우의 외비공내에 삽입하여 유지시킬 수 있는 호흡 보조구로서, 상기 1 쌍의 비중격 가압부 각각의 대향면의 내부에는, 일방의 N 극과 타방의 S 극이 마주하여 서로 끌어당기도록 제 1 자석을 배치하고, 또한 상기 1 쌍의 아암부 각각의 대향면의 내부에는, 일방의 N 극과 타방의 S 극이 마주하여 서로 끌어당기도록 제 2 자석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호흡 보조구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비중격 가압부, 상기 1 쌍의 아암부 및 상기 연결부가 연질의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호흡 보조구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비중격 가압부가 실리콘 고무 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호흡 보조구는, 각각의 아암부의 대향면 내부에 배치된 자석의 자력에 의해 발생하는 흡착력에 의해, 1 쌍의 아암부가 비중격 연골의 외측 돌기에 확실하게 걸리기 때문에, 장기간 장착한 경우나 콧물이 나온 경우라도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비공에서 미끄러져 떨어질 가능성도 적을 뿐만 아니라, 격렬한 움직임 도중이라도 탈락할 염려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 연결부의 스프링력에 의해 가압하는 호흡 보조구는, 장착을 반복하면, 1 쌍의 비중격 가압부의 간격을 넓히는 동작이 반복 실시되기 때문에, 연결부가 구비하고 있는 탄성이 없어져, 1 쌍의 비중격 가압부의 간격이 서서히 넓어져 가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의 호흡 보조구는, 각각의 아암부의 대향면 내부에 배치된 자석의 자력에 의해 발생하는 흡착력이 저하되지 않고, 사용 내구성이 우수하며, 장착을 반복해도 아암부 및 연결부의 피로가 적고, 비공내에 유지시키는 능력도 약해지지 않아, 비공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호흡 보조구 (1) 는, 1 쌍의 비중격 가압부 (2, 2) 와, 1 쌍의 아암부 (3, 3) 와, 연결부 (4) 를 구비하고, 각각의 비중격 가압부 (2) 의 대향면 (2a) 내부에는 제 1 자석 (2b) 이 배치되고, 또한 각각의 아암부의 대향면 (3a) 내 부에는 제 2 자석 (3c) 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호흡 보조구 (1) 의 크기를 표시하기 위하여, 도면은 제 1 자석 (2b) 의 자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을 때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제 1 자석 (2b, 2b) 이 서로 끌어당겨, 좌우의 비중격 가압부 (2, 2) 의 대향면이 접촉되어 있다.
호흡 보조구 (1) 는, 대략 U 자 형상이고 탄성을 가지며, 좌우의 외비공내에 삽입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호흡 보조구 (1) 는, 외면이 매끄럽게 완곡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에 요철이 없어 비점막의 손상을 방지하고, 전체의 세정이 용이하다. 호흡 보조구 (1) 는, 장시간 인체에 접촉해도 무해한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호흡 보조구의 소재로는, 인체에 무해하고 적절한 탄성을 갖는 것이면, 실리콘 고무를 사용해도 되고, 실리콘 고무 이외의 엘라스토머를 사용해도 된다.
호흡 보조구 (1) 에 있어서, 비중격 가압부 (2), 아암부 (3) 및 연결부 (4) 는, 장착시 및 장착후의 피부에 대한 접촉감을 부드럽게 하여, 위화감을 없앰과 함께 비점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 연질의 탄성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질의 탄성체로는, 예를 들어, 듀로미터 A 경도로 20 ∼ 50 도 정도인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중격 가압부 (2), 아암부 (3) 및 연결부 (4) 를 연질의 탄성체로 한 경우에는, 아암부 (3) 및 연결부 (4) 의 보형성(保形性)이 약해지지만, 비중격 가압부 (2) 는 제 1 자석 (2b, 2b) 의 자력에 의해 비중격 연골 (5a) 의 양측에 유지되기 때문에, 사용시에 각별한 지장은 없다.
호흡 보조구 (1) 에 있어서는, 소재로서, 특히 비중격 가압부 (2) 에는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중격 가압부 (2) 에 대전되기 쉬운 성질을 갖는 실리콘 고무를 사용한 호흡 보조구를 장착하면, 호흡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에 따른 마찰로 인해 실리콘 고무가 대전되기 때문에, 그 정전 작용에 의해 실리콘 고무가 비도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서 유해한 미립자를 흡착하여 제거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비중격 가압부 (2) 에 실리콘 고무를 사용한 본 발명의 호흡 보조구를 장착함으로써, 예를 들어, 조깅 등의 가벼운 스포츠를 보다 건강하게 실시할 수 있어 건강면에서 더욱 좋아진다.
1 쌍의 비중격 가압부 (2, 2) 는, 모두 외비공보다 소직경이고, 1 쌍의 아암부 (3, 3) 의 선단과 각각 접속하도록 일체로 장착된다. 비중격 가압부 (2) 는, 도 2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방체의 모서리부를 모나지 않게 하여 매끄럽게 완곡하게 한 형상을 이루며, 이 직방체는 1 변의 길이가 아암부 (3) 의 폭보다 약간 길다.
각각의 비중격 가압부 (2) 의 대향면 (2a) 의 내부에는, 각각의 N 극과 S 극이 마주하도록 자석 (2b) 이 배치된다. 1 쌍의 제 1 자석 (2b, 2b) (N 극과 S 극) 의 자력에 의해 발생하는 흡착력에 의해, 좌우의 외비공내에 삽입된 비중격 가압부 (2) 가, 비중격 연골 (5a) 을 사이에 두고 끼워 넣어서 가압하여 자극을 준다 (도 5, 도 8 참조). 또한, 호흡 보조구 (1) 는, 1 쌍의 비중격 가압부 (2, 2) 의 대향면 (2a, 2a) 내부에 제 1 자석 (2b, 2b) 을 매설하였기 때문에, 연결부의 스프링력에 의해 가압하는 호흡 보조구와 비교하여, 연결부 (4) 를 가늘고 유연하 게 형성할 수 있어 장착시의 위화감도 적다.
1 쌍의 제 1 자석 (2b, 2b) 의 자력에 의해 발생하는 흡착력은, 1 쌍의 제 1 자석 (2b, 2b) 이 비중격 연골 (5a) 을 사이에 두고 흡착되었을 때에 통증이 느껴지지 않고, 비중격 연골 (5a) 의 양측에 1 쌍의 비중격 가압부 (2, 2) 를 유지시키는 데에 충분한 흡착력이 얻어지도록 하는 정도가 좋다. 제 1 자석 (2b) 은,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비중격 가압부 (2) 의 대향면에, 그 대향면과 교차하는 면으로부터 안쪽으로 2/3 이상 깊이의 삽입 구멍에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제 1 자석 (2b) 의 자력으로는, 예를 들어 0.18 테슬라 정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1 쌍의 아암부 (3, 3) 는, 비첨의 외측에 좌우로 걸치고, 그 양단부로부터 연결부 (4) 와 직교하여 서로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아암부 (3) 의 대향면 (3a) 내부에는, 각각의 N 극과 S 극이 마주하여 서로 끌어당기도록 제 2 자석 (3c) 이 배치된다. 1 쌍의 제 2 자석 (3c, 3c) (N 극과 S 극) 의 자력에 의해 발생하는 흡착력에 의해, 1 쌍의 아암부 (3, 3) 가 비중격의 외측 돌기 (5b) 의 내부 근방에 확실하게 걸리게 되어, 장시간 장착한 경우라도 위치의 어긋남이 없고, 비공에서 미끄러져 떨어질 가능성도 적다는 효과와 사용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각각의 아암부 (3) 의 대향면 (3a) 에는, 비중격의 외측 돌기 (5b) 의 내부 근방에 의해 확실하게 걸려, 장시간 장착한 경우라도 위치가 더욱 어긋나기 어려워, 비공에서 미끄러져 떨어질 가능성도 더욱 적게 하기 때문에, 볼록부 (3b)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 (3b) 로는, 예를 들어, 도 1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비중격 가압부와 동일한 형상 (모서리부를 모나지 않게 하여 매끄럽게 완곡하게 하고,·1 변의 길이가 아암부 (3) 의 폭보다 약간 긴 직방체) 이나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을 들 수 있다.
1 쌍의 제 2 자석 (3c, 3c) 의 자력에 의해 발생하는 흡착력은, 1 쌍의 제 1 자석 (2b, 2b) 의 자력에 의해 발생하는 흡착력과 동일해도 되고, 1 쌍의 제 1 자석 (2b, 2b) 의 자력에 의해 발생하는 흡착력보다 약해도 된다.
제 2 자석 (3c) 은,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비중격 가압부 (2) 의 대향면에, 그 대향면과 교차하는 면으로부터 안쪽으로 2/3 이상 깊이의 삽입 구멍에 끼워 넣어진다. 또한, 제 2 자석 (3c) 의 자력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1 쌍의 제 2 자석 (3c, 3c) 의 자력에 의해 발생하는 흡착력이 1 쌍의 제 1 자석 (2b, 2b) 의 자력에 의해 발생하는 흡착력보다 약해지도록 하는 경우에 대하여 생각해 보면, 예를 들어, 제 2 자석 (3c) 과 제 1 자석 (2b) 의 방향으로 동일한 자력의 자석을 사용할 때에는, 아암부 (3) 의 대향면으로부터 제 2 자석 (3c) 까지의 피복 두께는, 비중격 가압부 (2) 의 대향면으로부터 제 1 자석 (2b) 까지의 피복 두께보다 길게 하는 것이 좋고, 아암부 (3) 의 대향면으로부터 제 2 자석 (3c) 까지의 피복 두께를 비중격 가압부 (2) 의 대향면으로부터 제 1 자석 (2b) 까지의 피복 두께와 동일하게 할 때에는, 제 2 자석 (3c) 은 제 1 자석 (2b) 보다 약한 자력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연결부 (4) 는 1 쌍의 아암부 (3, 3) 를 서로 연결한다. 연결부 (4) 는, 1 쌍의 비중격 가압부 (2, 2) 의 흡착이 떨어진 경우라도 비첨에 걸리기 때문에, 호흡 보조구 (1) 가 잘못하여 흡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호흡 보조구 (1) 를 장착하였을 때의 불쾌감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각 부분의 크기가 극히 중요한 요소로서, 일례를 들면, 대개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호흡 보조구 (1) 전체로서는, 길이 방향의 길이는 15 ∼ 17㎜, 폭 방향의 길이는 13 ∼ 15㎜ 가 된다. 비중격 가압부 (2) 의 세로 방향은 약 5㎜, 횡방향은 약 5㎜, 높이 방향은 4 ∼ 5㎜ 가 된다. 각각의 비중격 가압부 (2) 의 대향면 (2a) 으로부터 제 1 자석 (2b) 까지의 피복 두께는, 제 1 자석 (2b) 의 흡착력을 저해하지 않도록, 0.5㎜ 정도의 매우 얇은 것이 되고, 자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1 쌍의 비중격 가압부 (2, 2) 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는 약 2㎜ 가 된다. 아암부 (3) 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8 ∼ 15㎜, 폭 방향의 길이는 1.5 ∼ 2㎜, 두께 방향의 길이 약 3㎜ 가 된다. 각각의 아암부 (3) 의 대향면 (3a) 에 형성된 볼록부 (3b) 의 세로 방향은 약 5㎜, 가로 방향은 약 5㎜, 높이 방향은 4 ∼ 5㎜ 가 된다. 각각의 아암부 (3) 의 대향면 (3a) 으로부터 제 2 자석 (2b) 까지의 피복 두께는, 제 2 자석 (3c) 의 흡착력을 저해하지 않도록, 0.5㎜ 정도의 매우 얇은 것이 되고, 자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1 쌍의 아암부 (3, 3) 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는 약 2㎜ 가 된다. 연결부 (4) 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7 ∼ 8㎜, 폭 방향의 길이는 1.5 ∼ 2㎜, 두께 방향의 길이는 약 3㎜ 가 된다. 단, 이들 치수는 성인과 아동, 여성과 남성, 혹은 개인차에 따라 약간의 조정이 필요하다.
호흡 보조구 (1) 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장착된다. 1 쌍의 아암부 (3, 3) 의 선단부를 손가락으로 벌려 1 쌍의 비중격 가압부 (2, 2) 의 대향면 사이에 간격을 만들고, 1 쌍의 아암부 (3, 3) 의 양단부 및 1 쌍의 비중격 가압부 (2, 2) 의 각각을 좌우의 외비공에 삽입한다. 이어서, 1 쌍의 아암부 (3, 3) 로부터 손가락을 놓으면, 내부에 매립된 제 1 자석 (2b, 2b) 의 자력에 의해, 1 쌍의 비중격 가압부 (2, 2) 가 사이에 비중격을 끼워 흡착된다 (도 5, 도 7, 도 8 참조). 또한, 호흡 보조구 (1) 를 외비공내에 장착하면, 비중격이 가압되어 적당히 자극되고, 이 자극이 뇌에 전달되어 코의 운동 중추에 작용시켜 비도가 확개되기 때문에, 호흡시에 코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이 증대되므로, 비염 등에 의한 코막힘이 억제되고, 호흡도 편해지며, 코골이를 억제하고, 운동시에는 심폐 기능 및 신진 대사를 활발하게 할 수도 있다.
(시험예 1) 호흡 보조구의 연속 장착 시험
20 대 ∼ 60 대의 패널러 20 명에게, 도 1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호흡 보조구,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20186호의 도 1 에 기재된 호흡 보조구, 일본 특허 제2857637호의 도 1 에 기재된 호흡 보조구에 대하여, 장착감과 탈락 정도를 질문 조사하였다. 시험 방법은, 패널러에게 각각의 호흡 보조구를 따로따로 코에 장착하고, 그 후 5 시간 계속 장착하여 사용하게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호흡 보조구에 대해서는, 패널러의 전원으로부터, 장착시의 위화감이 매우 적고, 사용하는 도중에는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미끄러져 떨어지는 감각도 없으며, 격렬한 움직임 도중이라도 탈락될 염려가 없었다는 감상을 얻었다. 또한, 일부의 패널러로부터는, 콧물이 나온 경우라도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미끄러져 떨어지는 감각도 없었다는 감상을 얻었다.
한편,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20186호의 도 1 에 기재된 호흡 보조구에 대해서는, 장착시의 위화감이 적었지만, 계속 사용하였을 때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고, 미끄러져 떨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격렬한 움직임 도중에는 탈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일부의 패널러로부터는, 콧물이 나온 경우에는,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여 미끄러져 떨어져 버렸다는 보고가 있었다.
일본 특허 제2857637호의 도 1 에 기재된 호흡 보조구에 대해서는, 장착시의 위화감이 많이 있고, 시험 종료 즈음에는,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여 미끄러져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며, 격렬한 움직임 도중에는 왠지 용이하게 탈락해 버린다는 감상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일부의 패널러로부터는, 콧물이 나온 경우에는,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여 미끄러져 떨어져 버렸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 결과에 의해, 본 발명의 호흡 보조구는, 장착시의 위화감이 매우 적고, 장시간 장착한 경우나 콧물이 나온 경우라도 위치가 어긋나지 않아 비공에서 미끄러져 떨어질 가능성도 적을 뿐만 아니라, 격렬한 움직임 도중이라도 탈락할 염려가 없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시험예 2) 호흡 보조구의 사용 내구 시험
20 대 ∼ 60 대의 패널러 5 명이 협력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패널러 5 명에게 도 1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호흡 보조구와 일본 특허 제2857637호 에 있어서의 도 1 에 기재된 호흡 보조구의 각각에 대하여 코에 장착하게 하였다. 다음으로, 도 1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호흡 보조구와 일본 특허 제2857637호의 도 1 에 기재된 호흡 보조구의 각각에 대하여, 솔레노이드를 사용한 치공구(治工具)를 이용하여 대략 U 자 형상의 간극을 넓히는 동작을 각각 5000 회 실시하였다. 그 후, 패널러 5 명에게게 각각의 호흡 보조구를 코에 장착하게 하였다.
그 결과, 도 1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호흡 보조구에 대해서는, 패널러의 전원으로부터, 대략 U 자 형상의 간극을 넓히는 동작을 실시한 후라도, 비공내에 유지시키는 능력이 약해지지 않아, 비공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되었다는 감상을 얻었다.
한편, 일본 특허 제2857637호에 있어서의 도 1 에 기재된 호흡 보조구에 대해서는, 패널러의 전원으로부터, 대략 U 자 형상의 간극을 넓히는 동작을 실시한 후의 호흡 보조구는, 장착해도 바로 낙하해 버린다는 보고를 얻었다.
이 결과에 의해, 본 발명의 호흡 보조구는, 사용 내구성이 우수하여 장착을 반복해도 비공내에 유지시키는 능력이 약해지지 않아, 비공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도 1 은, 본 발명의 호흡 보조구의 일 실시형태에 대한 개략 사시도.
도 2 는, 동상(同上)의 정면도.
도 3 은, 동상의 측면도.
도 4 는, 도 1 에 있어서의 A-A 면의 단면도.
도 5 는, 동상의 장착 상태의 개략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호흡 보조구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대한 개략 사시도.
도 7 은, 동상의 장착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8 은, 동상의 장착 상태의 개략 단면도.
도 9 는, 종래의 호흡 보조구에 대한 개략 사시도.
도 10 은, 종래의 다른 호흡 보조구에 대한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흡 보조구
2 : 비중격 가압부
2a : 비중격 가압부의 대향면
2b : 제 1 자석
3 : 아암부
3a : 아암부의 대향면
3b : 볼록부
3c : 제 2 자석
4 : 연결부
5a : 비중격 연골
5b : 비중격의 외측 돌기

Claims (3)

  1. 선단 부분에, 외비공보다 소직경이고, 비중격을 사이에 두고 끼워 넣어서 가압하는 1 쌍의 비중격 가압부와, 그 1 쌍의 비중격 가압부와 접속되는 1 쌍의 아암부와, 그 1 쌍의 아암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U 자 형상이고, 탄성을 가지며, 그 1 쌍의 비중격 가압부 및 그 1 쌍의 아암부를 좌우의 외비공내에 삽입하여 유지시킬 수 있는 호흡 보조구로서,
    상기 1 쌍의 비중격 가압부 각각의 대향면의 내부에는, 일방의 N 극과 타방의 S 극이 마주하여 서로 끌어당기도록 제 1 자석을 배치하고, 또한 상기 1 쌍의 아암부 각각의 대향면의 내부에는, 일방의 N 극과 타방의 S 극이 마주하여 서로 끌어당기도록 제 2 자석을 배치하며,
    상기 1 쌍의 아암부는 각각의 대향면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보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비중격 가압부, 상기 1 쌍의 아암부 및 상기 연결부가 연질의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보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비중격 가압부가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보조구.
KR1020070081643A 2006-08-16 2007-08-14 호흡 보조구 KR100976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06-00006655 2006-08-16
JP2006006655U JP3126464U (ja) 2006-08-16 2006-08-16 呼吸補助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736A KR20080015736A (ko) 2008-02-20
KR100976106B1 true KR100976106B1 (ko) 2010-08-16

Family

ID=3938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643A KR100976106B1 (ko) 2006-08-16 2007-08-14 호흡 보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26464U (ko)
KR (1) KR100976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45B1 (ko) * 2008-09-10 2009-04-22 민경일 코골이 방지기구
WO2013073934A1 (en) 2011-11-14 2013-05-23 Robert Andre Nasal dilator and use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412U (ko) * 1996-10-10 1997-01-21 박호조 코골이 방지기
JP2857637B2 (ja) * 1995-04-12 1999-02-17 宮川樹脂工業株式会社 呼吸補助具
KR100229700B1 (ko) * 1995-07-05 1999-11-15 노리오 요시다 호흡 보조구
JP2002301153A (ja) 2001-04-04 2002-10-15 Keytron:Kk 呼吸補助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7637B2 (ja) * 1995-04-12 1999-02-17 宮川樹脂工業株式会社 呼吸補助具
KR100229700B1 (ko) * 1995-07-05 1999-11-15 노리오 요시다 호흡 보조구
KR970000412U (ko) * 1996-10-10 1997-01-21 박호조 코골이 방지기
JP2002301153A (ja) 2001-04-04 2002-10-15 Keytron:Kk 呼吸補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736A (ko) 2008-02-20
JP3126464U (ja) 200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20186U (ja) 呼吸補助具
US5381558A (en) Garment having massaging protuberances
KR200422999Y1 (ko) 지압용 베개
KR101547259B1 (ko) 전기자극용 마스크
KR100976106B1 (ko) 호흡 보조구
JP2010246832A (ja) 呼吸補助具
JP2004243108A (ja) 医療用脊髄反射点調節器具
KR20110090370A (ko) 금연 및 다이어트를 위한 손목 경혈 자극 자석 팔찌
KR20110020523A (ko) 얼굴 피부를 리프팅 시켜주는 미용기구
KR100417003B1 (ko) 호흡교정기
JP2002301153A (ja) 呼吸補助具
JPH11501552A (ja) 鼻中隔神経刺激器
KR20110003018U (ko) 수동 타격식 안마기
KR20190079737A (ko) 허리지압구
KR19980042961A (ko) 부항 자기침
JP2004073805A (ja) 指圧機能を有するヘッドセット
KR102566002B1 (ko) 코 부착용 장치
KR102178007B1 (ko) 스윙 운동을 겸한 자세교정용 경추지지대
JP2003164507A (ja) 口内刺激具
CN2430960Y (zh) 腰肌功能康复器
KR102038340B1 (ko) 어깨 관절 관리용 볼
JP3147875U (ja) 磁気治療器
JP3090990U (ja) 治療具
KR890005245Y1 (ko) 혈액 순환용 지압밴드
WO2005051253A1 (fr) Dispositif de prevention de ronf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