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003B1 - 호흡교정기 - Google Patents

호흡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003B1
KR100417003B1 KR10-2002-0008751A KR20020008751A KR100417003B1 KR 100417003 B1 KR100417003 B1 KR 100417003B1 KR 20020008751 A KR20020008751 A KR 20020008751A KR 100417003 B1 KR100417003 B1 KR 100417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late
abdomen
user
respi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947A (ko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김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대 filed Critical 김영대
Priority to KR10-2002-0008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003B1/ko
Publication of KR20030068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흡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사용자의 복부에 착용되어 복식호흡을 유도하는 것으로, 평판의 형태를 취하며 양단부에는 사용자의 허리를 둘러 상호 연결되는 벨트가 구비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일측면의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탄성수단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진퇴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복부와 접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호흡교정기는, 사용자의 복부에 벨트식으로 착용한 상태로 복부근육으로 호흡교정기를 밀어주기만 함으로서 호흡의 교정이 이루어지므로 복식호흡을 하려고 신경을 쓰지 않아도 저절로 복식호흡이 이루어진다. 또한 벨트식으로 구성되어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복부근육이 호흡교정기를 가압하여야 하므로 복부근육의 운동이 이루어져 복부에 낀 지방이나 장간의 지방을 연소시켜 제거할 수 도 있고 변비도 더불어 치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호흡교정기{Apparatus for correcting breath}
본 고안은 복부에 착용하는 호흡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호흡을 통해 복부근육으로 하여금 교정기를 밀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복식호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호흡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호흡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대표적으로 흉식호흡과 복식호흡이 있다. 해부학적인 견지에서 보면, 흉식호흡을 통해 들이마신 공기는 폐까지 들어가는 것이지 복부까지 들어가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흉식호흡은 인간의 두뇌가 발달하고 두부가 무거워짐에 따라 점차 몸의 중심이 하단전으로부터 위로 올라가게 되어 하게되는 호흡이다.
한편, 동물은 본능적으로 복식호흡을 하며 어린아이들이 뜀박질을 하고도 어른처럼 숨가빠하지 않는 이유는 바로 복식호흡 덕분이다. 복식호흡을 하게되면 폐의 하단이 발달하면서 횡경막을 상하로 운동시켜 아랫배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식호흡을 하면 혈액 순환도 잘되고 몸의 중심도 하단전으로 옮겨져 안정되며 두뇌도 명쾌해지고 마음도 명랑해지며 동작 또한 민첩해진다. 또한 복식호흡을 하면 척추가 앞뒤로 진동한다. 척추의 이와 같은 진동은 결국 배골 전체의 운동이 되어 특히 흉추가 앞으로 밀려가면서 곧게 펴지려고 한다. 이 운동에 의해 척수액과 뇌수액의 순환이 활성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배골도 호흡 덕분에 정상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복식호흡의 잇점에도 불구하고 사람은 살아가면서 점차 흉식호흡을 하게 되고 마침내는 습관적으로 계속 흉식호흡을 하게 된다. 이와같이 흉식호흡을 계속 하게되면 몸에 스트레스가 점차 쌓여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고 복부근육이 약해져서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복부에 벨트식으로 착용한 상태로 복부근육으로 호흡교정기를 밀어주기만 함으로서 호흡의 교정이 이루어지므로 복식호흡을 하려고 신경을 쓰지 않아도 저절로 복식호흡이 이루어지고, 또한 벨트식으로 구성되어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복부근육이 호흡교정기를 가압하여야 하므로 복부근육의 운동이 이루어져 복부에 낀 지방이나 장간의 지방을 연소시켜 제거할 수 도 있으며 변비도 더불어 치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호흡교정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교정기를 사용할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교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교정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절제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교정기의 동작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호흡교정기 12:지지플레이트
14:벨트 16:탄력커버
18:가압플레이트 20:걸이끈
22:디스플레이장치 23:신호전달선
24:벨크로테입 26:가압돌기
28:옥(玉) 30:영구자석
32:포켓스프링 34:포켓
36:스프링 38: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복부에 착용되어 복식호흡을 유도하는 것으로, 평판의 형태를 취하며 양단부에는 사용자의 허리를 둘러 상호 연결되는 벨트가 구비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일측면의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탄성수단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진퇴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복부와 접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플렉시블한 평판으로서 복부와 접하는 일측면에는 다수의 가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가압플레이트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가압플레이트의 테두리부를 상호 연결하여 외부에 대하여 지지플레이트와 가압플레이트 사이의 내부영역을 구획하는 신축가능한 탄력커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가압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지지플레이트와 가압플레이트간의 간격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싱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탄력커버의 외측부에는 신호전달선을 통하여 상기 센싱부와 연결되어 센싱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받아 계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가압돌기 사이에는 원적외선방사광물 또는 영구자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은 양단이 지지플레이트 및 가압플레이트에 각각 지지되는 하나이상의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호흡교정기는 사용자의 복부에 벨트식으로 착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호흡을 통해 복부를 내밀어 교정기를 가압하도록하여 복식호흡을 유도하는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교정기를 사용할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호흡교정기는 사용자의 복부에 벨트(14)에 의해 밀착 설치된다.
상기 호흡교정기(10)는, 벨트(14) 및 걸이끈(20)에 의해 사용자의 몸에 착용되는 것으로 지지플레이트(12)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2)에 대해 진퇴운동이 가능하며 복부에 밀착하는 가압플레이트(18)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2)와 가압플레이트(18)의 테두리를 연결하며 외부에 대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탄력커버(1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12)의 양단부에는 벨트(14) 및 걸이끈(2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압플레이트(18)와 지지플레이트(12)와의 진퇴운동은 지지플레이트(12)와 가압플레이트(18)사이에 구비된 포켓스프링(도 3의 32)에 의해 탄성적으로 구현된다. 아울러 상기 탄력커버(16)가 구획하는 내부공간에는 후술하는 센서(도 3의 38)가 구비되는데 상기 센서(38)는 신호전달선(23)을 통해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22)와 연결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2)는 탄성을 가지며 직사각 형태를 갖는 평판으로서 예를들면 플라스틱이나 경금속류로 제작할 수 있다. 이와같이 지지플레이트(12)의 양면이 평평하므로 외측면에는 각종 도안이나 문구를 디자인해 넣을 수 있으며 내측면으로는 후술할 스프링을 안정되이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2)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벨트(14)는 신축성을 가지지 않는 가죽류나 헝겊류로 제작되며 각자의 단부에는 상호 접착되는 벨크로테입(24)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벨트(14)가 신축성을 가지지 않으므로, 벨트(14)가 사용자의 허리를 감은 상태에서 지지플레이트(12)는 도 4의 화살표 a방향의 지지력을 받는다.
또한 상기 가압플레이트(18)도 탄성력을 갖는 평판으로서 복부와 접하는 내측면에는 다수의 가압돌기(도 3의 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플레이트(18)도 지지플레이트(12)와 마찬가지로 대략 직사각형태를 취한다.
상기 탄력커버(16)는 신축성을 갖는 부재로서 지지플레이트(12)에 대한 가압플레이트(18)의 간격변화에 대응하여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상기 탄력커버(16)는 지지플레이트(12)에 대한 가압플레이트(18)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여, 스프링(도 3의 36)이 줄어들 때 같이 줄어들고 스프링이 늘어날 때 같이 늘어나는 것이다. 상기 탄력커버(16)는 예를들어 공지의 스판덱스(spandex)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걸이끈(20)은 가령 사용자의 목에 걸어 호흡교정기(10)가 하부로 쳐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걸이끈(20)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끈길이조절수단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2)는 센서(도 3의 38)와 함께 동작하는 것으로서, 가압플레이트(18)의 눌림횟수를 체크하고 외부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호흡의 횟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계수수단이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2)는 통상의 액정표시소자(LCD)를 적용하며 계수원리는 통상의 계수기의 원리에 따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교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압플레이트(18)의 복부와 접하는 내측면에는 다수의 가압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돌기(26)는 가압플레이트(18)의 내측면에돌출형성된 돌기로서 복부의 지방층과 경락을 자극하여 기와 혈액의 흐름을 개선한다. 또한 상기 가압돌기(26)의 끝부분은 둥글게 마감처리되어 있다.
상기 가압플레이트(18)는 플렉시블하며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플레이트(18)의 중앙부위를 복부측으로 볼록하게 만곡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볼록하게 만곡시킴으로서 상기 가압돌기(26)가 복부를 보다 깊이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가압돌기(26)의 사이에는 옥(玉)(28)과 영구자석(30)이 구비된다. 상기 옥(28)과 영구자석(30)은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가압돌기(26)의 사이에 위치되어 복부에 원적외선과 자기력을 제공한다. 상기 옥(28)과 영구자석(30)의 두께는 가압돌기(26)의 돌출높이보다 작아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옥(28)만 설치할 수 도 있고 영구자석(30)만을 설치할 수 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교정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절제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플레이트(12)와 가압플레이트(18) 사이에 다수의 포켓스프링(32)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포켓스프링(32)은 포켓(34)과 상기 포켓(34)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36)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탄성수단으로서 지지플레이트(12)에 대해 가압플레이트(18)를 이격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따라서 가압플레이트(18)를 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하면 가압플레이트(18)는 스프링(36)의 탄성력을 이기며 하부로 이동한다. 상기 가압력을 제거하면 가압플레이트(18)가 다시 상승하여 처음의 위치로 복원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지지플레이트(12) 및 가압플레이트(18)의 중앙부에는 센서(38)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38)는 공지의 접촉센서로서 가압플레이트(18)가 지지플레이트(12)측으로 근접하면 신호를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38)의 일단은 지지플레이트(12)에 고정되고 타단이 가압플레이트(18)에 고정된다. 상기 센서(38)는 복식호흡의 횟수를 체크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호전달선(23)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22)와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센서(38) 및 디스플레이장치(22)는 공지의 요소로서 센서(38)로부터 발생한 신호가 디스플레이장치(22)로 전달되어 문자 또는 숫자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교정기의 동작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는 복부를 당겨 가압플레이트(18)를 가압하기 전의 상태이고 도 5는 복부를 내밀어 상기 가압플레이트(18)를 가압한 상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압플레이트(18)가 지지플레이트(12)로부터 최대로 이격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가압플레이트(18)를 아직 가압하지 않은 상태로서 스프링(36)은 최대한 이완되어 있고 센서(38)도 별다른 동작을 하지 않고 있다.
이 상태로 사용자가 복부를 내밀어 가압플레이트(18)를 화살표 b방향으로 가압하면 가압플레이트(18)는 스프링(36)의 힘을 이기며 지지플레이트(12)측으로 밀려들어간다. 이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12)는 벨트(14)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지지되고 있으므로 이동하지 않고 그 자리를 유지함은 물론이다.
가압플레이트(18)가 밀려들어가면 센서(38)가 작동하여 신호를 발생하고 그신호를 신호전달선(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22)로 전달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2)는 센서(38)로부터 신호를 받은 횟수를 계수하여 문자 또는 숫자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호흡교정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복부를 당긴 상태로 상기 가압플레이트(18)와 복부가 접촉만 하도록 한 상태로 벨트(14)를 두른다. 이와같이 벨트(14)의 착용이 완료된 상태로 사용자는 숨을 들이쉬어 복부로 보내고 복부근육으로 하여금 상기 가압플레이트(18)를 민다.
상기한 바와같이 지지플레이트(12)는 벨트(14)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지지되므로 지지플레이트(12)에 대한 가압플레이트(18)의 접근이 가능하다. 숨을 내쉬어 복부를 당기면 스프링(36)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플레이트(18)가 처음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 때 상기 계수기(22)를 통해 호흡의 횟수를 계속적으로 체크해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국 사용자는 상기 가압플레이트(18)를 가압하기 위해서 복식호흡을 할 수 밖에 없으므로 본 발명의 호흡교정기를 착용한 상태라면 저절로 복식호흡을 하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호흡조절기를 통해 복식호흡이 습관화되면 호흡조절기를 착용하지 않아도 복식호흡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호흡조절기를 통해 변비도 치료할 수 있는데, 변비로 고통을 겪고 있는 10명의 사람에게 본 발명의 호흡교정기를 하루에 한 시간씩 착용시켜 실험을 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기간 1 2 3 4 5 6 7 8 9 10 개선효과
1일차 x x x x x x x x o x 10%
2일차 x o x o x x o x o o 50%
3일차 o o x o o x o x o o 70%
4일차 o o o o o x o o o o 90%
5일차 o o o o o o o o o o 100%
(x:변비가 있는 사람 o:변비가 치료된 사람)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호흡교정기를 이용하여 변비까지 치료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출원인은 상기와 동일조건으로 상기 10명이 본 발명의 호흡교정기를 착용하지 않아도 습관적으로 복식호홉을 하기 시작하는 날을 체크해 다음 결과를 얻었다.
기간 1 2 3 4 5 6 7 8 9 10 개선효과
1일차 x x x x x x x x x x 0%
2일차 x x x o x x o x o x 30%
3일차 o o x o x x o x x o 40%
4일차 o o x o o x o x o o 70%
5일차 o o o o o o o o o o 100%
(x:본 발명의 호흡교정기를 착용하지 않으면 복식호홉을 할 수 없는 사람)
(o:본 발명의 호흡교정기를 착용하지 않아도 복식호흡을 할 수 있는 사람)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호흡교정기를 1시간씩 사용한 2일차에 복식호흡을 습관적으로 할 수 있게 된 사람이 30%, 3일차에 40%, 4일차에 70%가 되었고 5일차에는 모두가 복식호흡을 습관적으로 할 수 있도록 되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호흡교정기는, 사용자의 복부에 벨트식으로 착용한 상태로 복부근육으로 호흡교정기를 밀어주기만 함으로서 호흡의 교정이 이루어지므로 복식호흡을 하려고 신경을 쓰지 않아도 저절로 복식호흡이 이루어진다. 또한 벨트식으로 구성되어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복부근육이 호흡교정기를 가압하여야 하므로 복부근육의 운동이 이루어져 복부에 낀 지방이나 장간의 지방을 연소시켜 제거할 수 도 있고 변비도 더불어 치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사용자의 복부에 착용되어 복식호흡을 유도하는 것으로,
    평판의 형태를 취하며 양단부에는 사용자의 허리를 둘러 상호 연결되는 벨트가 구비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일측면의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탄성수단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진퇴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복부와 접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교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플렉시블한 평판으로서 복부와 접하는 일측면에는 다수의 가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교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가압플레이트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가압플레이트의 테두리부를 상호 연결하여 외부에 대하여 지지플레이트와 가압플레이트 사이의 내부영역을 구획하는 신축가능한 탄력커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교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가압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지지플레이트와 가압플레이트간의 간격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싱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탄력커버의 외측부에는 신호전달선을 통하여 상기 센싱부와 연결되어 센싱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받아 계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교정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압돌기 사이에는 원적외선방사광물 또는 영구자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교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양단이 지지플레이트 및 가압플레이트에 각각 지지되는 하나이상의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교정기.
KR10-2002-0008751A 2002-02-19 2002-02-19 호흡교정기 KR100417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751A KR100417003B1 (ko) 2002-02-19 2002-02-19 호흡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751A KR100417003B1 (ko) 2002-02-19 2002-02-19 호흡교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947A KR20030068947A (ko) 2003-08-25
KR100417003B1 true KR100417003B1 (ko) 2004-02-05

Family

ID=32221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751A KR100417003B1 (ko) 2002-02-19 2002-02-19 호흡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0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450B1 (ko) 2010-02-24 2012-05-24 (주)잉큐영어교실 복부 발성 감지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1737267B1 (ko) * 2016-02-29 2017-05-18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들숨근 훈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446B1 (ko) * 2006-12-26 2008-12-11 이인태 호흡조절장치
KR101580542B1 (ko) * 2014-10-16 2016-01-06 김휘곤 복식 호흡용 복대
CN110448314B (zh) * 2019-09-06 2024-04-02 安徽阳光心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心理评估的无线压触式呼吸采集器
KR102494460B1 (ko) * 2021-01-18 2023-02-06 주식회사 삼육오엠씨(365mc) 지방 흡입 수술용 복대
CN114618132B (zh) * 2022-02-28 2023-10-20 重庆大学 一种脂肪肝治疗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5256U (ko) * 1979-12-24 1981-07-28
JPS5969757U (ja) * 1982-10-29 1984-05-11 上原 久尚 痩身運動具
KR20000055303A (ko) * 1999-02-05 2000-09-05 조상준 복근 운동용 요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5256U (ko) * 1979-12-24 1981-07-28
JPS5969757U (ja) * 1982-10-29 1984-05-11 上原 久尚 痩身運動具
KR20000055303A (ko) * 1999-02-05 2000-09-05 조상준 복근 운동용 요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450B1 (ko) 2010-02-24 2012-05-24 (주)잉큐영어교실 복부 발성 감지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1737267B1 (ko) * 2016-02-29 2017-05-18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들숨근 훈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947A (ko) 200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9940A (en) Posture training and correcting device
US5381558A (en) Garment having massaging protuberances
US11541201B2 (en) Sleep performance system and method of use
AU2015262263A1 (en) Smart mask for health care service
CN109906098A (zh) 用于患者接口的换气口和换气口适配器
CN109414369A (zh) 刺激装置
US20080142004A1 (en) Deep breathing training device
CA3076215C (en) Neck collar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KR101652437B1 (ko) 실시간 자세 교정 방석 및 의자
KR100417003B1 (ko) 호흡교정기
KR101653869B1 (ko)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 치료 보조기기
KR102183964B1 (ko) 허리 보호 벨트
US20080146957A1 (en) Deep breathing training device
KR101563149B1 (ko) 의료용 복대
Joshi Yogic pranayama: Breathing for long life and good health
KR101580542B1 (ko) 복식 호흡용 복대
KR102318827B1 (ko) 호흡 훈련을 통한 고혈압 치료 방법 및 장치
KR101118024B1 (ko) 복식호흡 조절용 복대
US11213720B2 (en) Posture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90124546A (ko)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방지 기구
Johnson JR et al. Volume-pressure relationships during pressure breathing and voluntary relaxation
US20170225031A1 (en) Breathing Training Device
RU114847U1 (ru) Анатомический корсет для опоры спины при сидении
CN111921063B (zh) 一种性欲控制方法及其控制系统
KR102566002B1 (ko) 코 부착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