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446B1 - 호흡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호흡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446B1
KR100873446B1 KR1020070059172A KR20070059172A KR100873446B1 KR 100873446 B1 KR100873446 B1 KR 100873446B1 KR 1020070059172 A KR1020070059172 A KR 1020070059172A KR 20070059172 A KR20070059172 A KR 20070059172A KR 100873446 B1 KR100873446 B1 KR 100873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thing
control
information
control box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0128A (ko
Inventor
이인태
Original Assignee
이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태 filed Critical 이인태
Priority to EP07851773A priority Critical patent/EP2106276A1/en
Priority to CN2007800494601A priority patent/CN101573158B/zh
Priority to JP2009543938A priority patent/JP5048786B2/ja
Priority to PCT/KR2007/006819 priority patent/WO2008078954A1/en
Priority to CA2673939A priority patent/CA2673939C/en
Publication of KR20080060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40Rhyth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40Rhythm
    • G10H1/42Rhythm comprising tone forming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88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modulated by a simulated respiratory frequenc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흡속도와 호흡방법을 임의로 조정하여 사용자가 들숨과 날숨을 따라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호흡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흡조절장치는 사용자의 코 주변에 착용되어져 코의 일측 또는 양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호흡조절수단과 이 호흡조절수단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박스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호흡조절수단은 코 주변을 감싸도록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지는 본체와, 본체의 하면에 배치되어 코의 양측을 눌러주는 누름부 및, 상기 콘트롤박스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누름부의 왕복운동을 제어하는 이송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콘트롤박스는 상기 이송부재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이송부재의 왕복운동을 위한 신호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송부재에 의한 누름부의 왕복운동에 따라 사용자의 코가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호흡,조절

Description

호흡조절장치{Breathe controlling devic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호흡조절장치의 개념도.
도2와 도3 및 도9는 도1에 도시된 호흡조절수단(100)의 외관사시도.
도4와 도5a 내지 도5c 및 도6a 와 도6b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이송부재(130)의 다양한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7은 도2 또는 도3에 도시된 호흡조절수단(100)의 착용상태도.
도8은 도1에 도시된 콘트롤박스(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10은 도9에 도시된 호흡조절수단(100)의 요부구성을 기능블럭화하여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호흡조절수단, 110 : 본체,
120 : 누름부, 130 : 이송부재,
140 : 고정부재, 150 : 통신포트,
200 : 콘트롤박스, 210 : 통신포트,
220 : 정보입력부, 230 : 표시부,
240 : 음성처리블럭, 250 : 메모리블럭,
260 : 타이머, 270 : 제어부,
280 : 전원부.
본 발명은 호흡속도와 호흡방법을 임의로 조정하여 사용자가 들숨과 날숨을 따라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방법을 개선시켜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호흡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법은 아무런 도구나 기기의 도움없이 사용자가 혼자서 마음의 안정과 건강증진을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 예로부터 많은 연구를 거듭하여 왔다.
호흡기법의 종류에는 호흡방법에 따라 복식호흡, 흉부호흡, 교대호흡, 단전호흡 등이 있다.
이러한 호흡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자는 의식적으로 호흡을 조절하거나 또는 자신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한쪽 또는 양쪽 코를 개폐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호흡조절을 행하는 방법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며, 손가락을 이용하는 경우 호흡을 조절하는 동안 손의 위치가 계속 코에 위치하고 있어야 하므로 일정 시간 이상 호흡조절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호흡조절시 들숨과 멈춤, 날숨의 길이를 의식적으로 또는 손 가락을 이용하여 조정하려면 많은 신경을 써야 하고 이러한 호흡속도를 일정하게 계속 유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코에 고정되어 각종 호흡방법에 대응되도록 자동으로 코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호흡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유도하는 호흡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흡조절장치는 사용자의 코 주변에 착용되어져 코의 일측 또는 양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호흡조절수단과 이 호흡조절수단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박스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호흡조절수단은 코 주변을 감싸도록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지는 본체와, 본체의 하면에 배치되어 코의 양측을 눌러주는 누름부 및, 상기 콘트롤박스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누름부의 왕복운동을 제어하는 이송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콘트롤박스는 상기 이송부재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이송부재의 왕복운동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사용자는 심신을 맑게 하는 배경소리를 들으면서 호흡조절 안내음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호흡함으로써 용이하게 호흡을 고르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호흡조절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흡조절장치는 사용자의 코에 고정되어 코의 일측 또는 양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호흡조절수단(100)과 이 호흡조절수단(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박스(2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호흡조절수단(100)과 콘트롤박스(200)는 소정 케이블(C1)에 의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호흡조절수단(100)과 콘트롤박스(200)는 케이블(C1)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도록 일측에 통신포트(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C)의 양단에는 상기 통신포트에 대응되는 형태의 잭(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2 내지 도5는 도1에 도시된 호흡조절수단(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2와 도3은 외관사시도이고, 도4와 도5a 내지 도5c 및 도5a와 도5b는 도2 내지 도3에 도시된 이송부재(130)의 다양한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호흡조절수단(100)은 사용자의 안면, 보다 상세하게는 코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띠형상의 본체(110)와, 본체(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코의 양측 또는 일측을 선택적으로 눌러주는 누름부(120), 이 누름부(120)를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부재(130), 본체(110)의 양측을 연결하여 본체(110)를 사용자의 안면상에 고정 유지시키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재(140) 및,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콘트롤박스(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C1)과 접속하기 위한 통신포트(15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포트(150)는 케이블(C2)을 통해 상기 이송부재(130)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본체(110)는 도6a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a)과 하면(110b) 으로 구성되고, 이 상면(110a)과 하면(110b) 사이에 누름부(120)와 이송부재(130)를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직물과 같은 섬유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가 부드러운 플라스틱과 같이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누름부(120)가 코를 안정적으로 눌러주도록 하기 위해 도6a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측에 홈(111)을 형성하여 상기 누름부(120)가 일부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부(120)는 코가 눌러질때의 촉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코와 닿는 부분이 구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누름부(120)는 본체(110)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코와 직접 맞닿게 되므로 촉감이 부드러운 재질, 예컨대 실리콘이나 우레탄, 고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13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31a)와, 이 모터(131a)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기(131b) 및, 상기 누름부(120)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면서 모터(131a)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31c)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131a)는 상기 누름부(120)가 양방향으로 각각 30°즉, 전체적으로 60°의 범위내에서 왕복운동하도록 회전구동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130)는 도5a 내지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31a)의 회전축(131c)에 모터(131a)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키는 이송수단(132)이 결합되고, 이 이송수단(132)의 타단에 누름부(120)가 고정 결합되어 구 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누름부(120)는 이송수단(132)의 직선운동에 의해 사용자의 코를 눌러 줄 수 있는 적당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모터(131a)와 이송수단(132) 사이에는 모터(131a)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감속기(131b)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132)은 양측에 각각 제1 및 제2 관통홈(132a,132b)가 형성되는 케이스(132c)를 구비한다. 케이스(132c)는 상부덮개(132c1)와 하부덮개(132c2)로 분리될 수 있다.
케이스(132c)의 제1 관통홈(132a)을 통해 모터(131a)의 회전축(131c)이 케이스(132c)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케이스(132c) 내측에 배치된 모터(131a)의 회전축(131c)에는 기어(132d)가 결합된다.
기어(132d)에는 나선이 돌출 형성된 일정 길이의 스크류축(132e)이 결합된다.
스크류축(132e)의 일단은 케이스(132c)의 내측에 형성된 홈(132f)에 배치된다. 스크류축(132e)의 타단에는 스크류축(132e)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부(132g)가 스크루축(132e)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송부(132g)의 내측에는 스크류축(132e)에 형성된 나선에 대응되는 나선홈(132g1)이 형성된다.
이송부(132g)는 일단이 케이스(132c)의 제2 관통홈(132b)를 통해 돌출되고, 돌출된 선단에는 누름부(120)가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누름부(120)가 결합된 이송 부(132g)의 타단 외주면에는 걸림턱(132g2)이 형성된다.
걸림턱(132g2)에는 이송부(132g)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132g3)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홈(132g3)은 케이스(132c)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32h)에 체결되어 이송부(132g)가 회전이 방지되면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송부재(130)는 도6a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의 극성변화에 따라 누름부(120)를 왕복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130)는 상면(110a)과 하면(110b)으로 구성되는 본체(110)의 사이에 하우징(133a)을 구비한다. 상기 하면(110b)에는 이송부재(130)에 결합된 누름부(120)를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홈(111)이 형성된다.
하우징(133a)은 내부 중앙에 분리턱(133a')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누름부(120)를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홈(133a'')이 형성된다.
상기 홈(133a'')은 본체(110)의 하면(110b)에 형성된 홈(111)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33a)의 분리턱(133a') 상측 공간에는 I자 형상의 금속바(133b1)에 코일(133b2)이 권취된 형태로 구성되는 전자석(133b)이 배치되고, 분리턱(133a') 하측 공간에는 영구자석(133c)이 배치된다.
영구자석(133c)의 하측에는 누름부(120)가 고정결합된다.
영구자석(133c)의 상측에는 스프링(132d)이 배치된다. 즉, 전자석(133b)의 극성에 따라 영구자석(133c)이 상하 이동되고, 이에 따라 영구자석(133c)의 하측에 고정 결합된 누름부(120)가 하우징(133a)의 홈(133a'')과 본체(110b)의 홈(111)을 통해 상하 이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130)는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a)과 하면(110b)으로 구성되는 본체(110)의 사이에 하우징(134a)을 구비한다. 상기 하면(110b)에는 이송부재(130)에 결합된 누름부(120)를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홈(111)이 형성된다.
하우징(134a)은 하측에는 누름부(120)를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홈(134a')이 형성된다.
상기 홈(134a')은 본체(110)의 하면(110b)에 형성된 홈(111)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34a)의 상측에는 I자 형상의 금속바(134b1)에 코일(134b2)이 권취된 형태로 구성되는 전자석(134b)이 배치되고, 하우징(134a)의 하측 공간에는 영구자석(134c)이 배치된다.
영구자석(134c)의 하측에는 누름부(120)가 고정결합된다.
영구자석(134c)은 자바라(134d)를 통해 전자석(134b)와 고정 결합된다. 즉, 전자석(134b)의 극성에 따라 영구자석(134c)이 상하 이동되고, 이에 따라 영구자석(134c)의 하측에 고정 결합된 누름부(120)가 하우징(134a)의 홈(134a')과 본체(110)의 하면(110b)에 형성된 홈(111)을 통해 상하 이동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4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의 밴드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분이 분리되면서 그 각 끝단에 별도의 체결수단, 예컨대 상호 대응되는 형태의 벌크로테이프(141,142)나, 또는 고리와 걸이, 단추 등과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각종 형태의 것이 구비될 수 있다.
도7은 상술한 호흡조절수단(100)의 사용상태도이다.
즉, 호흡조절수단(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가 사용자의 코 주변을 감싸도록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된 상태로 이송부재(130)를 통해 누름부(120)를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코의 한 쪽 또는 양쪽을 개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사용자의 코 주변을 감싸면서 사용자의 눈까지 가릴 수 있는 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8은 도1에 도시된 콘트롤박스(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박스(200)는 상기 호흡조절수단(100)의 통신포트(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C1)과 접속하기 위한 포트와, 별도의 외부기기와 결합하기 위한 포트 및 이어폰과 결합하기 위한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포트(210)와, 호흡조절관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보입력부(220), 호흡조절관련 각종정보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부(230), 마이크(24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스피커(242)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음성처리부(2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성처리블럭(240), 호흡조절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블럭(250), 타이머(260), 본 콘트롤박스(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70) 및, 본 호흡조절장치의 구동을 위한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부(28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포트(210)는 외부기기와 결합되어 각종 호흡조절관련정보를 업데이트시킨다. 예컨대, 새소리나 물소리 등과 같은 자연의 소리를 추가로 등록하거나 등록된 음성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정보입력부(220)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키와, 볼륨조정키, 호흡시간설정키, 호흡종류선택키, 테마선택키와 같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230)는 LCD액정표시창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정보와 콘트롤박스(200)의 동작상태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상기 음성처리블럭(240)은 마이크(24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녹음처리하거나 상기 메모리블럭(250)으로부터 읽어낸 음성신호를 스피커(242)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블럭(250)은 상기 제어부(270)의 전반적인 동작프로그램과 제어부(270)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메모리(251)와, 스피커(242) 또는 상기 통신포트(210)를 통해 제공할 새소리나 물소리 등과 같은 배경소리와 호흡종류별 호흡조절을 위한 안내정보가 저장되는 음성정보저장부(252) 및, 호흡종류별 누름부(120)의 왕복운동을 위한 호흡조절 제어신호가 저장되는 호흡정보저장부(25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경소리는 스트레스를 풀어주고 심신을 안정시켜 줄 수 있는 각종 소리가 될 수 있다. 상기 호흡조절을 위한 안내정보는 예컨대, 교대호흡의 경우 "오른쪽 코로 3초 숨 들여 마시고 왼쪽 코로 10초 천 천히 내쉽니다"가 될 수 있다. 상기 호흡조절 제어신호는 예컨대, 교대호흡의 경우 "왼쪽코 3초 막은 후, 오른쪽 코 10초 막기"에 대응되는 공급전원 제공정보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호흡종류로는 교대호흡과 단전호흡, 복부호흡, 복식호흡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블럭(250)은 테마별 호흡조절시간이 등록된 테마선택정보저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테마선택정보저장부에는 예컨대 휴식프로그램은 호흡조절시간 20분, 숙면 프로그램은 호흡조절수단 30분, 우울/불안 프로그램은 호흡시간 30분의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정보입력부(220)에 의해 설정된 정보에 대응되는 호흡관련정보를 근거로 호흡조절 제어신호를 통신포트(210)를 통해 호흡조절수단(100)으로 제공함과 더불어, 음성처리블럭(240)의 스피커(242)를 통해 해당 호흡조절 음성안내정보를 음성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70)는 전원부(280)로부터 제공되는 공급전원(Vcc)을 상기 통신포트(210)를 통해 호흡조절수단(100)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표시부(230)를 통해 호흡조절을 위한 각종 선택정보를 표시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통신포트(210)를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근거로 상기 메모리블럭(250)을 업데이트시킨다.
상기 전원부(280)는 충전잭(미도시)과 결합되는 전원단자(미도시)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호흡조절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호흡조절수단(100)을 케이블(C1)을 통해 콘트롤박스(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설정하고, 호흡조절수단(100)을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얼굴에 착용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정보입력부(220)의 전원키를 조작하여 콘트롤박스(200)를 동작상태로 설정하고, 정보입력부(220)의 각종 기능키를 조작하여 원하는 호흡종류와 볼륨, 호흡주기 등과 같은 호흡조절선택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마음의 긴장을 풀고 허리를 곧게 펴면서 눈을 지긋이 감는다.
이후, 제어부(270)는 정보입력부(220)에 의해 설정된 호흡조절선택정보를 근거로 호흡정보저장부(253)에서 호흡제어정보를 읽어내어 이 호흡제어정보를 근거로 전원부(280)로부터 제공되는 공급전원을 통신포트(210)를 통해 호흡조절수단(100)으로 제공한다. 이때, 정보입력부(220)에 의해 호흡주기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270)는 타이머(260)를 구동하여 설정된 호흡주기에 대응되도록 공급전원을 호흡조절수단(100)으로 제공하게 된다. 호흡조절수단(100)으로 제공되는 공급전원은 통신포트(150)를 통해 이송부재(130)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이송부재(130)에 고정 결합된 누름부(120)가 왕복운동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코의 일측 또는 양측을 선택적으로 눌러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호흡종류는 반드시 설정할 필요는 없고, 사용자가 정보입력부(220)를 통해 임의로 호흡주기와 호흡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정보입력부(220)를 통해 배경소리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270)는 정보입력부(220)에 의해 설정된 호흡조절선택정보를 근거로 음성정보저장부(252)에서 해당 호흡에 대응되는 배경소리 및 안내음성을 읽어내어 스피커(242)를 통해 음성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70)은 테마선택에 의해 호흡조절동작시간이 종료되는 경우 스피커(242)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음성종료안내메시지를 송출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심신을 맑게 하는 배경소리를 들으면서 호흡조절 안내음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호흡함으로써 용이하게 호흡을 고르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흡조절수단(100)의 일측에 이어폰과 결합되는 별도의 결합포트(160)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구성하고, 콘트롤박스(200)의 제어부(27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호흡제어를 위한 공급전원과 해당 호흡에 대응되는 배경소리 및 안내음성을 호흡조절수단(100)으로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호흡조절수단(100)에 결합된 이어폰을 이용하여 배경소리와 호흡조절안내음성을 듣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호흡조절수단(100)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포트(150)를 통해 콘트롤박스(2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분리하여 호흡제어를 위한 공급전원은 이송부재(130)로 제공하고, 배경소리와 호흡조절안내음성을 이어폰과 결합된 이어폰포트(160)로 제공하는 신호분배부(170)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콘트롤박스(200)를 거치시켜 사용자의 벨트상에 체결하기 위한 벨트걸이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심신을 맑게 하는 배경소리를 들으면서 호흡조절 안내음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호흡함으로써 용이하게 호흡을 고르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사용자의 코 주변에 착용되어져 코의 일측 또는 양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호흡조절수단과 이 호흡조절수단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박스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호흡조절수단은 코 주변을 감싸도록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지는 본체와, 본체의 하면에 배치되어 코의 양측을 눌러주는 누름부 및, 상기 콘트롤박스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누름부의 왕복운동을 제어하는 이송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콘트롤박스는 상기 이송부재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이송부재의 왕복운동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박스는 호흡조절관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보입력부와, 호흡조절관련 각종정보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음성처리블럭, 호흡종류별 호흡조절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블럭, 상기 정보입력부에 의해 설정된 호흡관련정보에 대응되는 호흡조절 제어정보를 호흡조절수단으로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정보입력부에 의해 설정된 호흡관련정보에 대응되는 호흡조절을 위한 음성안내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콘트롤박스로부터 인가되는 공급전원에 따라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누름부는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콘트롤박스로부터 인가되는 공급전원에 따라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기어,
    기어와 결합되면서 나선이 돌출 형성된 스크류축,
    상기 스크류축과 나사결합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이 걸림턱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의 걸림턱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가 내부 일측에 스크류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걸림턱이 형성된 이송부의 타단은 외부로 돌출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이송부의 타단 선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영구자석과 전자석으로 구성되어 콘트롤박스로부터 인가되는 공급전원에 따라 전자석의 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누름부를 왕복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조절장치.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박스의 메모리블럭에는 배경소리와 호흡종류별 호흡조절안내정보가 저장되는 음성정보저장부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콘트롤박스의 제어부는 선택된 호흡정보에 대응되는 배경소리와 호흡조절안내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이어폰을 결합시키기 위한 이어폰포트가 구비되어 콘 트롤박스로부터 인가되는 배경소리와 호흡조절 음성안내정보를 이어폰포트로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콘트롤박스는 배경소리와 호흡조절 음성안내정보를 본체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조절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박스는 외부기기와 결합하기 위한 외부기기 접속포트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조절장치.
KR1020070059172A 2006-12-26 2007-06-15 호흡조절장치 KR100873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851773A EP2106276A1 (en) 2006-12-26 2007-12-26 Respiration adjustment device
CN2007800494601A CN101573158B (zh) 2006-12-26 2007-12-26 呼吸调整装置
JP2009543938A JP5048786B2 (ja) 2006-12-26 2007-12-26 呼吸調節装置
PCT/KR2007/006819 WO2008078954A1 (en) 2006-12-26 2007-12-26 Respiration adjustment device
CA2673939A CA2673939C (en) 2006-12-26 2007-12-26 Respiration adjust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33790 2006-12-26
KR1020060133790 2006-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128A KR20080060128A (ko) 2008-07-01
KR100873446B1 true KR100873446B1 (ko) 2008-12-11

Family

ID=3981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172A KR100873446B1 (ko) 2006-12-26 2007-06-15 호흡조절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106276A1 (ko)
JP (1) JP5048786B2 (ko)
KR (1) KR100873446B1 (ko)
CN (1) CN101573158B (ko)
CA (1) CA2673939C (ko)
WO (1) WO20080789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157B1 (ko) * 2008-08-06 2015-03-31 이인태 호흡조절장치
WO2023026296A1 (en) * 2021-08-25 2023-03-02 Patel Dr Daxesh Pranayam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795B1 (ko) 1999-07-26 2001-12-20 이종호 단전호흡용 호흡조절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1375A (ja) * 1986-05-09 1987-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呼吸法訓練装置
CN2237463Y (zh) * 1995-05-27 1996-10-16 张玉章 多功能鼻塞
US5572989A (en) * 1995-10-31 1996-11-12 Johnson Worldwide Associates Pressure equalizing mechanism for a diving mask
US6302103B1 (en) * 1999-09-10 2001-10-16 Todd A. Resnick Protective hood with integrated externally adjustable nose clip
JP2001218850A (ja) * 2000-02-14 2001-08-14 Man O 気功装置
JP2002219174A (ja) * 2001-01-24 2002-08-06 Akio Shirasaki 簡易腹式呼吸機
KR100417003B1 (ko) * 2002-02-19 2004-02-05 김영대 호흡교정기
FR2872054B1 (fr) * 2004-06-28 2007-03-02 Alexandre Yazdi Dilatateur nasal
CN2722961Y (zh) * 2004-08-27 2005-09-07 郭炳琪 鼻呼吸气体分流器
US7735492B2 (en) * 2004-12-08 2010-06-15 Ventus Medical, Inc. Nasal respiratory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795B1 (ko) 1999-07-26 2001-12-20 이종호 단전호흡용 호흡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78954A1 (en) 2008-07-03
JP5048786B2 (ja) 2012-10-17
JP2010514492A (ja) 2010-05-06
CA2673939C (en) 2012-07-03
CN101573158A (zh) 2009-11-04
CN101573158B (zh) 2012-05-02
EP2106276A1 (en) 2009-10-07
KR20080060128A (ko) 2008-07-01
CA2673939A1 (en)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1563B2 (ja) 気道確保の装置及び方法
CN109865199A (zh) 美容面膜
US20160255944A1 (en) Dynamic Fit Adjustment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CN109414369A (zh) 刺激装置
WO2018013429A1 (en) Therapeutic wand system, kit, and method
TW201701915A (zh) 呼吸面罩、系統及方法
CN105579104A (zh) 呼吸治疗装置、传感器及使用方法
US20140207033A1 (en) Vibration apparatus for stimulating paranasal sinuses
NL1040380C2 (en) Face masks and software/application for activating no production in sinuses.
KR100873446B1 (ko) 호흡조절장치
WO2020018990A1 (en) Bilateral stimulation devices
KR101519842B1 (ko) 코골이 방지용 수면안대
EP3531996B1 (en) Ear therapeutic device
KR102059536B1 (ko)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CN206557553U (zh) 一种智能穿戴设备
KR20160074062A (ko) 수면 관리 시스템
KR20090047642A (ko) 얼굴 마사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얼굴 마사지 방법
KR102407286B1 (ko)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 예방 시스템
KR101463993B1 (ko) 호흡조절장치
KR100960026B1 (ko) 호흡조절장치
KR101306951B1 (ko) 호흡조절장치
CN205005135U (zh) 一种信息提示用固定带及终端
CN215080636U (zh) 止鼾器
CN215938252U (zh) 一种颌部理疗仪
CN208770358U (zh) 一种乳房按摩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