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536B1 -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 Google Patents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536B1
KR102059536B1 KR1020180058902A KR20180058902A KR102059536B1 KR 102059536 B1 KR102059536 B1 KR 102059536B1 KR 1020180058902 A KR1020180058902 A KR 1020180058902A KR 20180058902 A KR20180058902 A KR 20180058902A KR 102059536 B1 KR102059536 B1 KR 102059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nequin
pulse module
vibration
infan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3916A (ko
Inventor
정목
임경범
허웅
김남훈
이남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Priority to KR1020180058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53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Algebra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영아용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아용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는, 인공 호흡을 위한 머리와, 흉부 압박을 위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사지를 포함하는 영아 형태의 마네킹; 상기 마네킹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마네킹에 맥박 진동을 발생시키는 맥박 모듈; 및 상기 맥박 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맥박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CPR TRAINGING DEVICE FOR INFANT}
아래의 실시예는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이란 심폐기능이 심하게 저하되거나 정지되었을 때 심
폐 기능을 회복시켜 소생시키는 처치인데,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은 우선 의식을 확인하고 기도를 확보한 후에 인공호흡을 실시하고, 심장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심장마사지를 수행하게 된다.
심폐소생술은 먼저, 어깨 등을 두드리는 동작을 통해 의식을 확인한 후 기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도란 비강, 구강, 인두, 후두, 기관지 등 폐까지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로써, 심장정지 및 호흡정지상태가 되면 혀의 근 긴장이 저하되어 인두부로 들어감으로써 기도 폐색이 발생하게 된다. 기도 폐색은 심장정지 및 호흡정지 상태뿐만 아니라 두부 외상 및 뇌졸중 등으로 의식장애가 일어나는 경우에도 많이 나타난다.
기도 확보를 위해서는, 우선 구강 내에 구토물 등 이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이물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고, 이물제거가 끝나면 한 손으로 목을 받쳐 위로 들어올리고, 다른 한 손은 앞이마에 대고 두부를 누르면서 뒤로 젖히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후, 기도가 확보되면, 호흡 유무를 확인하고, 사람이 호흡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공호흡을 실시하게 된다. 인공호흡이란 물에 빠지거나 중독 및 출혈 등으로 심장은 뛰고 있으나 호흡이 멈추어 가사상태에 있을 때, 인공적으로 폐의 기능을 소생시켜 호흡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인공호흡은 크게 두 단계로 진행되는데, 시술자의 날숨을 환자의 폐로 불어 넣는 숨 불어넣기 단계와, 시술자가 손을 사용하여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여 들숨 및 날숨을 일으키는 용수 인공호흡 단계가 있다.
이러한 심폐소생 시술은, 인체를 대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시술자가 이를 반복적으로 자가 학습하기에 무리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인체의 형상으로 구성된 마네킹 형상의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를 통해 심폐소생술을 훈련하였으나, 이 경우, 시술자가 올바르게 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지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심폐소생술 훈련을 수행하는 경우, 시술자가 직관적으로 올바른 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영아에게 수행되는 심폐소생술 동작의 훈련을 보조하는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마네킹에 실제 인체와 같은 맥박을 발생시킴으로써, 올바른 심폐소생술 훈련 동작을 용이하게 숙지시키는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아용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는, 인공 호흡을 위한 머리와, 흉부 압박을 위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사지를 포함하는 영아 형태의 마네킹; 상기 마네킹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마네킹에 맥박 진동을 발생시키는 맥박 모듈; 및 상기 맥박 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맥박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마네킹은 외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맥박 모듈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마네킹 머리의 정수리, 상기 마네킹 팔의 상박, 또는 상기 마네킹 다리의 허벅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맥박 모듈은, 수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상기 컨트롤러와 연동되어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작동신호를 통해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용홈의 내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맥박 모듈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외측의 일부가 돌출되는 돌출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돌출부위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에 인접한 수용홈의 내면까지의 거리 이하일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전자석 및, 영구자석으로 형성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은 상기 수용홈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전자석의 작동에 따라 상기 수용홈의 타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공갈 젖꼭지(dummy)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마네킹의 구강에 착탈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마네킹의 구강 내에 끼움(fit) 삽입되는 젖꼭지부; 일면이 상기 젖꼭지부에 연결되되, 상기 입의 크기보다 확장된 크기를 가지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타면에 돌출 형성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젖꼭지부의 내부에는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따른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맥박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복수의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맥박 모듈의 작동을 중지하는 오프(off) 모드; 상기 맥박 모듈이 제1주파수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모드; 및 상기 맥박 모듈이 제1주파수보다 높은 제2주파수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2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는, 영아에게 수행되는 심폐소생술 동작의 훈련을 보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는, 마네킹에 실제 인체와 같은 맥박을 발생시킴으로써, 올바른 심폐소생술 훈련 동작을 용이하게 숙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 전동기 회전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의 평면 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맥박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의 평면 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는 응급 환자, 특히, 영아에게 필요한 심폐소생술(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훈련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영아(Infant)란, 3세 미만의 아이로써 어머니의 젖꼭지를 물고 자라나는 시기의 아이를 의미한다. 영아의 신체는 성인의 신체에 비해 크기와 강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영아에게 수행되는 심폐소생술은 성인에게 수행되는 심폐소생술과 세부적인 부분에 있어 차이가 있다.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는,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이 올바르게 수행되는 경우, 영아의 응급상태가 해소되었음을 인공 맥박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올바르게 영아용 심폐소생술을 습득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는, 마네킹(100), 맥박 모듈(130) 및 컨트롤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네킹(100)은 사용자가 실제 영아에게 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영아의 인체와 유사한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네킹(100)은 영아의 표준체형에 따라 50 cm ~ 60 cm 키의 인체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마네킹(100)의 표면은 실제 피부의 탄성과 유사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실리콘 도는 우레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마네킹(100)은 인공 호흡을 위한 머리(101)와, 흉부 압박을 위한 몸체(102) 및, 상기 몸체(102)에 연결되는 사지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마네킹(100)의 머리(101)는 인공호흡이 가능하도록 기도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101)는 구강(1011)이 형성된 입과, 비강이 형성된 코를 포함하고, 구강(1011) 및 비강은 서로 연통됨으로써 머리(101)의 내부에서 기도를 형성할 수 있다.
머리(101)는 몸체(10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인체와 유사한 관절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머리(101)는 외력에 의해 몸체(102)에 대하여 전후로 젖혀지도록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머리(101) 내부의 기도는, 머리(101)가 몸체(102)에 대해 젖혀지는 경우에만 후술하는 에어백(140)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 경우, 마네킹(100)은 머리(101)를 젖혀 기도를 확보하는 동작을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몸체(102)는 영아의 상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2)는 사용자의 흉부 압박이 가능하도록 압박에 따라 눌러지거나 인공호흡에 따라 부풀어 오르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2)의 흉곽은 가압되는 경우 등 부위로 눌러지고, 인공호흡에 따라 에어백(140)이 부풀어 오르면 전방으로 밀려질 수 있다.
몸체(102)의 외관에는 인체의 외관과 유사하도록, 젖꼭지(nipple)등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몸체(102)에 대한 흉부압박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몸체(102)의 내부에는 압박판(151), 탄성체(152) 및 에어백(140)이 구비될 수 있다.
압박판(151)은 몸체(102)의 내부에 배치되고, 심폐소생술 수행에 따라 몸체(102)의 전후로 승강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몸체(102)를 흉부 압박하는 경우, 압박판(151)은 몸체(102) 흉각의 움직임에 따라 등 부위로 가압되면서 눌러지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탄성체(152)는 압박판(151)을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원복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체(152)는 몸체(102)의 등 부위 및 압박판(151) 사이에 배치되고, 압박판(151)이 눌러짐에 따라 압축됨으로써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고, 압박판(151)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압박판(151)을 흉곽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압박판(151)의 위치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152)는 몸체(102)에 수행되는 흉부압박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압박판(151)의 위치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에어백(140)은 인공호흡이 가능하도록 기도와 연결되고, 기도에 주입되는 공기를 통해 부피가 변화할 수 있다. 에어백(140)은 압박판(151) 및 몸체(102)의 흉각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백(140)은 인공호흡이 수행되면 부풀어 오르면서 흉곽을 부풀어 오르게 하고, 흉부압박이 수행되면 흉곽의 압박에 따라 눌러지면서 보관된 공기를 기도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140)은 인공호흡에 따른 몸체(102)의 흉곽 움직임을 재현할 수 있다.
맥박 모듈(130)은 마네킹(100)에 맥박과 유사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맥박 모듈(130)은, 마네킹(100)에 심폐소생술이 올바르게 수행되면, 마네킹(100)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마네킹(100)에 맥박이 발생하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제공하고, 올바르게 심폐소생술이 수행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습득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맥박 모듈(130)은 마네킹(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네킹(100)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160)이 형성되고, 맥박 모듈(130)은 안착홈(160)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안착홈(160)은 마네킹(100) 머리(101)의 정수리 부위, 팔(103)의 상박, 다리(104)의 허벅지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실제 상황에서, 영아의 머리(101), 팔(103), 다리(104)등의 맥박을 통해 영아의 상태를 확인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마네킹(100)의 신체 부위에 설치된 맥박 모듈(130)의 작동을 통해, 실제와 같은 방식으로 영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맥박 모듈(130)과 무선으로 연결되고, 맥박 모듈(1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공갈 젖꼭지(dummy) 형태로 형성되고, 마네킹(100)의 구강(1011)에 착탈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마네킹(100)의 구강(1011)에 연결되어 보관되고,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구강(1011)으로부터 이탈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20)는 젖꼭지부(123), 플랜지(122), 스위치(121) 및 송신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젖꼭지부(123)는 유두(nipple)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젖꼭지부(123)는 마네킹(100)의 구강(1011) 내에 끼움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젖꼭지부(123)의 최대 외경의 지름은, 입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젖꼭지부(123)는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마네킹(100) 머리(101)의 구강(1011) 내에 삽입되거나 이탈함으로써, 보관시의 컨트롤러(120)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다.
플랜지(122)는 일면이 젖꼭지부(123)의 후단에 연결되되 입의 크기보다 확장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122)의 타면에는 스위치(1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121)는 맥박 모듈(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송신부(124)는 스위치(121)의 작동에 따른 작동 신호를 맥박 모듈(130)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124)는 젖꼭지부(123)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맥박 모듈(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복수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모드에 대한 작동 신호를 송신부(124)를 통해 맥박 모듈(130)에 전달하여, 맥박 모듈(130)의 복수의 모드에 따라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모드는 맥박 모듈(130)의 작동을 중지하는 오프(off) 모드, 맥박 모듈(130)이 제1주파수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작동시키는 제1모드 및, 맥박 모듈(130)이 제1주파수보다 높은 제2주파수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2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주파수는 60 내지 80 CPM (Cycle per Minute) 이고, 제2주파수는 80 내지 160 CPM 일 수 있다. 영아의 정상 맥박은 분당 80 회 내지 160 회이므로, 제2모드에 따른 맥박 모듈(130)의 작동을 통해 마네킹(100)에 정상 맥박이 발생하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컨트롤러(120)에 의해 제어되는 맥박 모듈(130)의 작동 모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맥박 모듈(130)의 사시도이다.
맥박 모듈(130)은 마네킹(100)의 안착홈(160)에 삽입되도록 모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맥박 모듈(130)은, 하우징(131), 진동부(133), 통신부(134) 및 제어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1)은 안착홈(160)에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안착홈(16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31)의 내부에는 진동부(133)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진동부(133)는 수용홈(132)에 수용되고,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맥박 모듈(130)의 맥박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통신부(134)는 컨트롤러(120)와 연동되어 컨트롤러(120) 조작에 따른 작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4)는 컨트롤러(120)의 송신부(124)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통신부(134)는 외부 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103)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됨으로써, 작동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135)는 통신부(134)가 수신한 작동신호에 따라 진동부(13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부(133)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진동부(133)는 진동부재(1331), 모터(1333) 및 접촉부재(1332)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재(1331)는 수용홈(132)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진동부재(1331)는 진동부(133)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맥박 모듈(130) 전체로 전달할 수 있다.
모터(1333)는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 작동할 수 있다. 모터(1333)의 회전축에는 접촉부재(1332)가 연결될 수 있다. 접촉부재(1332)는 모터(1333)의 회전에 따라 진동부재(1331)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면서 맥박 모듈(130)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접촉부재(1332)는 예를 들어, 외측의 일부가 돌출되는 돌출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1333)의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부위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모터(1333)의 회전축으로부터 진동부재(1331)까지의 거리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모터(1333)의 회전에 따라 접촉부재(1332)의 돌출부위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진동부재(1331)에 접촉할 수 있다.
모터(1333)의 회전 속도는, 제어부(135)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5)가 제1모드로 모터(1333)를 작동시키면, 모터(1333)는 분당 60 내지 80의 회전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35)가 제2모드로 모터(1333)를 작동시키면 모터(1333)는 80 내지 160의 회전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진동부(233)는 전자석(2333) 및 이동부재(2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2333)은 선택적으로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석(2333)은 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하면서 자기력을 반복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동부재(2332)는 영구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2332)는 전자석(2333)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반복적으로 움직이면서 진동부재(2331)에 충돌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동부재(2331)에 대한 이동부재(2332)의 충돌을 통해, 맥박 모듈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0: 마네킹
120: 컨트롤러
130: 맥박 모듈

Claims (10)

  1. 인공 호흡을 위한 머리와, 흉부 압박을 위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사지를 포함하는 형태의 마네킹;
    상기 마네킹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마네킹에 맥박 진동을 발생시키는 맥박 모듈; 및
    상기 맥박 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맥박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공갈 젖꼭지(dummy)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마네킹의 구강에 착탈되는 영아용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네킹은 외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맥박 모듈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영아용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마네킹 머리의 정수리, 상기 마네킹 팔의 상박, 또는 상기 마네킹 다리의 허벅지에 형성되는, 영아용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맥박 모듈은,
    수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고,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상기 컨트롤러와 연동되어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작동신호를 통해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아용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면에 접촉하는 진동부재; 및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맥박 모듈의 진동부재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영아용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외측의 일부가 돌출되는 돌출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돌출부위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진동부재까지의 거리 이하인, 영아용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전자석 및, 영구자석으로 형성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전자석의 작동에 따라 반복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영아용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마네킹의 구강 내에 끼움(fit) 삽입되는 젖꼭지부;
    일면이 상기 젖꼭지부에 연결되되, 상기 입의 크기보다 확장된 크기를 가지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타면에 돌출 형성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젖꼭지부의 내부에는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따른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가 구비되는, 영아용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맥박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복수의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맥박 모듈의 작동을 중지하는 오프(off) 모드;
    상기 맥박 모듈이 제1주파수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모드; 및
    상기 맥박 모듈이 제1주파수보다 높은 제2주파수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2모드를 포함하는, 영아용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KR1020180058902A 2018-05-24 2018-05-24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KR102059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902A KR102059536B1 (ko) 2018-05-24 2018-05-24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902A KR102059536B1 (ko) 2018-05-24 2018-05-24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916A KR20190133916A (ko) 2019-12-04
KR102059536B1 true KR102059536B1 (ko) 2019-12-26

Family

ID=69004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902A KR102059536B1 (ko) 2018-05-24 2018-05-24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5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554B1 (ko) * 2021-10-27 2022-07-14 정재은 아기돌봄 교육시스템용 아기모형 학습장치
KR102465784B1 (ko) * 2022-05-03 2022-11-09 정재은 아기돌봄 및 응급처치 교육을 병행할 수 있는 아기모형 복합학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916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8690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facemask compliance
KR100887375B1 (ko) 심폐소생 시술 훈련용 마네킹
CN108348722A (zh) 患者接口
CN109166433B (zh) 一种医疗模拟人系统
KR102059536B1 (ko) 영아를 위한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EP2422263A2 (en) Nasal flow device controller
CA268938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a rescuer in resuscitation
CN105579104A (zh) 呼吸治疗装置、传感器及使用方法
CN214312323U (zh) 一种多机互联群体化心肺复苏急救考核模型
JP2018533084A (ja) 心肺蘇生術の訓練用マネキン
KR100903554B1 (ko) 심폐소생술 실습용 모형 시스템
CN109599018A (zh) 一种心肺复苏训练与考核一体装置
RU2689756C9 (ru) Способ отработки практических навыков по оказанию первой медицинской помощи и аускультации с помощью медицинского тренажера
US20190274917A1 (en) Ear therapeutic device
KR101298488B1 (ko)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
CN209729253U (zh) 一种心肺复苏训练与考核一体装置
US10420905B2 (en) CPR template
JP2541337Y2 (ja) 新生児挿管訓練人形
KR200366260Y1 (ko) 심폐소생시술 훈련용 마네킹
RU2278420C1 (ru) Робот-тренажер
CN107737006A (zh) 一种腕表式cpr感应器
KR20230080263A (ko) 응급처치 훈련용 영아 모형
KR102014533B1 (ko) 구급대원 훈련용 영아 응급처치 마네킹
RU2134913C1 (ru) Робот-тренажер
RU163369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отработки навыков оказания первой медицинской помощ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