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945B1 - 코골이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945B1
KR100893945B1 KR1020080089101A KR20080089101A KR100893945B1 KR 100893945 B1 KR100893945 B1 KR 100893945B1 KR 1020080089101 A KR1020080089101 A KR 1020080089101A KR 20080089101 A KR20080089101 A KR 20080089101A KR 100893945 B1 KR100893945 B1 KR 100893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snoring
nasal
contac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일
Original Assignee
민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일 filed Critical 민경일
Priority to KR1020080089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8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ose ; Devices for enlarging the nostril, e.g. for breathing impr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의 비강에 삽입시켜서 비강을 넓혀줌으로써, 공기가 기도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여 결국 코골이를 방지함은 물론, 코골이에 의한 각종 질환을 예방하도록 한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라운드 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신축부재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중심부재들과; 상기 중심부재들의 바깥쪽으로 연결부재에 의해 일체화되게 설치된 외비 밀착부재들들과; 상기 외비 밀착부재들과 보조 신축부재들에 의하여 상기 중심부재들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비중격 밀착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골이, 비강, 방지, 예방

Description

코골이 방지기구{Snoring preven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의 비강 내에 삽입하여 코골이를 방지하도록 한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골이란 폐쇄성 호흡을 가리키는 속어로서, 비교적 유발률이 높은 것이 특징이며, 기도생리학이 발전하면서 질병으로 간주되고 있는데, 코골이는 인체가 숨을 쉬는 동안 공기가 기도로 들어가기 전에 통과하게 되는 인후부가 좁아져 공기가 쉽게 드나들 수 없을 때 생기는 것으로 수면시 호흡곤란이 있음을 나타내는 하나의 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인체가 숨을 쉴 때는 공기가 입천장, 목젖, 편도, 혀 등과 같이 유연한 구조물을 지나게 되는데 낮에는 이 부분들이 제자리를 유지하도록 주위 근육들이 도와주어 공기 통로를 막지 않게 되지만, 수면 중에는 근육들이 이완되어 늘어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공기통로가 좁아져서 이 부분을 공기가 통과할 때에 주변의 부드러운 부분들을 진동시키기 때문에 코고는 소리가 나게 되는 것이다.
수면 중, 근육 이완이 심하거나 혹은 심한 비만증 등 기타 원인으로 인해 공기통로가 완전히 막히게 되면 공기가 폐로 전혀 흐르지 못하게 되는데, 이를 수면무호흡증이라고 하며,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폐가 신선한 공기를 얻지 못하게 되므로 이를 감지한 뇌가 우리 몸을 깨우고 근육을 수축시켜 공기 통로를 다시 열어주게 되고, 이로 인해 숨을 크게 한 번 몰아 쉰 다음에 호흡을 다시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이 발생하는 현상을 살펴보면, 내면이 점막으로 덮여 있는 비강의 비갑개부는 정맥총이 풍부하기 때문에 한기 등에 의해 종창되면서 비도를 폐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코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적어지게 되어 호흡이 곤란하게 되고, 이와 같이 비도가 좁아진 상태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하면서 수면을 취하게 되면 설근이 목구멍의 안쪽으로 늘어져서 공기통로를 협소하게 하거나 폐쇄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좁아진 통로를 통하여 공기를 들이마시게 되면 이완된 연구개가 진동하면서 코를 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면을 취하면서 무호흡 현상이 발생하거나 코를 심하게 골게 되면, 공기를 충분히 들이킬 수 없으므로 숙면을 취할 수 없게 되고, 수면 후에도 졸리거나 머리가 무겁고 개운하지 않아 집중력과 판단력이 저하됨은 물론, 졸음 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위험성이 높고, 또한 이러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 산소부족현상으로 인하여 심장이나 폐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키며, 고혈압, 심장마비, 발작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코의 비강에 삽입시켜서 비강을 넓혀줌으로써, 공기가 기도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여 결국 코골이를 방지함은 물론, 코골이에 의한 각종 질환을 예방하도록 한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의 비강에 삽입되어 비강의 크기를 넓혀 주는 구조물이, 살균력이 우수한 은과, 혈액의 흐름을 빠르게 해주는 자석과,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천연자수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함으로써, 코의 비강 내를 살균하고 코 주변의 혈액순환을 원활히하도록 함은 물론 혈관 내의 노폐물이 제거되도록 하여 건강증진도 도모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의 비강 내에 삽입되는 구조물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가 자신의 비강 넓이에 맞춰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라운드 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신축부재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중심부재들과; 상기 중심부재들의 바깥쪽으로 연결부재에 의해 일체화되게 설치된 외비 밀착부재들들과; 상기 외비 밀착부재들과 보조 신축부재들에 의하여 상기 중심부재들과 일정간격 이격 되게 설치된 비중격 밀착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심부재들과, 외비 밀착부재들 및 비중격 밀착부재들의 일측에는 각각 자석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심부재들과, 연결부재, 외비 밀착부재들 및 비중격 밀착부재들은 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비중격 밀착부재들의 바깥쪽 면에는 천연자수정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에 의하면, 수면 중 비강이 인위적으로 넓어지게 됨으로써, 기도로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유입되는 바, 코골이가 예방되어 건강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에 의하면, 코의 비강에 삽입되는 부재들이 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바, 코 속의 유해균이 살균되어 더욱 건강이 증진되는 효과도 거둘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에 의하면, 코의 비강에 삽입되는 부재들에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바, 코 속 혈관을 흐르는 혈액의 순환을 빠르게 하여 역시 건강이 증진되는 효과도 거둘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에 의하면, 코의 비강에 삽입되는 부재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천연자수정이 설치되어 있는 바, 코 속 혈관의 노폐물을 제거하는 등 역시 건강을 증진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10)는, 신축성을 갖되 라운드 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신축부재(20)의 양단에 각각 중심부재(22a,22b)들이 설치되어 있고, 이 중심부재(22a,22b)들의 바깥쪽으로는 연결부재(24a,24b)에 의해 일체화된 외비 밀착부재(26a,26b)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비 밀착부재(26a,26b)들과 보조 신축부재(28a,28b)들에 의하여 상기 중심부재(22a,22b)들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비중격 밀착부재(30a,30b)들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중심부재(22a,22b)와, 외비 밀착부재(26a,26b) 및 비중격 밀착부재(30a,30b)는 각각 신축부재(20)에 의하여 양쪽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신축부재(20)의 신축에 따라 그 간격이 조절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신축부재(20)는 그 내부에 신축이 용이한 철사재가 구비되고, 그 외표면에 실린콘재가 커버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신축부재(20)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중심부재(22a,22b)들의 바깥쪽으로는 각각 연결부재(24a,24b)에 의하여 외비 밀착부재(26a,26b)들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바, 그 간격은 조절이 가능하지 않지만, 상기 비중격 밀착부재(30a,30b)들은 외비 밀착부재(22a,22b)들과 보조 신축부재(28a,28b)들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바, 외비 밀착부재(26a,26b)와 비중격 밀착부재(30a,30b)는 그 중간에 중심부재(22a,22b)를 사이에 두고 간격이 조절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신축부재(28a,28b) 또한 그 내부에 신축이 용이한 철사재가 구비되고, 그 외표면에 실린콘재가 커버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인체의 코는 바깥 외형을 이루는 외비와 코 안의 공간인 비강으로 나뉘어지는데, 콧구멍과 코 안이 비중격(연골과 뼈로 이루어진 코 중간 구조물)에 의하여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비중격에 의하여 비강은 양쪽으로 두 군데가 형성되며, 각 비강은 한쪽에 외비의 내면이 위치되고, 다른 한쪽에는 비중격의 일면이 위치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10)는 중심부재(22a,22b)와, 외비 밀착부재(26a,26b) 및 비중격 밀착부재(30a,30b)가 각각 양쪽으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와 같은 한 쌍의 구조물들을 인체의 비강에 삽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람들은 모두 그 외모가 다르게 생겼는 바, 각각의 비강크기 또한 다르고, 비강 사이의 간격 또한 다를 수밖에 없게 된다.
이에, 신축부재(20)를 이용하여 양쪽을 다소 벌리거나 오므리면서,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비강 간격에 맞추어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각각의 보조 신축부재(28a,28b)를 벌리거나 오므리면서,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비강 크기에 맞추어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비강크기 및 그 간격에 맞추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10)의 각 간격을 맞춘 상태에서, 한 쌍을 이루는 구조물들을 동일하게 양쪽의 비강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각각의 외비 밀착부재(26a,26b)는 코의 외비 내면에 각각 밀착되고, 비중격 밀착부재(30a,30b)는 각각 코의 비중격 양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비강을 넓혀주게 된다.
물론,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비강 간격이나 크기에 맞추어 신축부재(20) 또는 보조 신축부재(28a,28b)를 조절하여 편한 상태가 되도록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외비 밀착부재(26a,26b)들과 비중격 밀착부재(30a,30b)들 간격에 따라 비강의 간격이 벌어지게 됨으로써,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는 보다 손쉽게 넓어진 비강을 통해 기도를 따라 인체 내부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10)를 비강에 삽입시킨 상태로 수면을 취하게 되면, 인위적으로 비강을 넓혀주게 됨으로써, 공기가 쉽게 기도를 통해 인체 내부로 유입이 이루어짐으로써, 앞선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은 해소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중심부재(22a,22b)들과, 연결부재(24a,24b)들, 외비 밀착부 재(26a,26b)들 및 비중격 밀착부재(30a,30b)들은 각각 그 재질이 은으로 이루어진 것이 적용된다.
은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살균기능이 매우 우수한 재질인 바, 코의 비강에 삽입되는 각각의 부재들을 은 재질로 하게 되면, 코 속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균 등을 살균처리하여 보다 건강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은 재질로 이루어진 중심부재(22a,22b)들과, 외비 밀착부재(26a,26b)들 및 비중격 밀착부재(30a,30b)들의 일측 선단에는 각각 자석(22a-1,22b-1,26a-1,26b-1,30a-1,30b-1)이 설치되어 있다.
자석은 인체에 닿았을 때, 인체의 혈관을 흐르는 혈액순환을 빠르게 해주어 혈액에 쌓이게 되는 노폐물을 제거하는데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는 바, 상기와 같은 부재들의 일측에 자석(22a-1,22b-1,26a-1,26b-1,30a-1,30b-1)이 설치됨으로써, 코 주변 즉 외비 내의 혈관을 통과하는 혈액의 순환을 빠르게 해주게 되면, 인체 전반에 걸친 혈액순환을 개선시켜서 신경통 등의 원인을 제거하는 등의 부수적인 기능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외비 밀착부재(26a,26b)의 바깥면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천연자수정(26a-2, 26b-2)이 설치되어 있다.
천연자수정(26a-2, 26b-2)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태양열이 방출하는 원적외선을 91% 이상 방출하는 것으로서, 코의 비강 내 더욱 상세하게는 코의 외비쪽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게 된다.
원적외선은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열을 만들게 되는데, 이러한 열작용은 각 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되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준다. 또 세포를 구성하는 수분과 단백질 분자에 닿으면 세포를 1분에 2,000번씩 미세하게 흔들어줌으로써 세포조직을 활성화하여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만성피로 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를 착용하게 되면, 코골이를 방지함은 물론, 살균효과와 혈액순환개선 및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만성피로 등의 원인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코골이 방지기구 20 : 신축부재
22a,22b : 중심부재 24a,24b : 연결부재
26a,26b : 외비 밀착부재 28a,28b : 보조 신축부재
30a,30b : 비중격 밀착부재
22a-1,22b-1,26a-1,26b-1,30a-1,30b-1 : 자석
26a-2,26b-2 : 천연자수정

Claims (4)

  1. 라운드 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신축부재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중심부재들과;
    상기 중심부재들의 바깥쪽으로 연결부재에 의해 일체화되게 설치된 외비 밀착부재들들과;
    상기 외비 밀착부재들과 보조 신축부재들에 의하여 상기 중심부재들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비중격 밀착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들과, 연결부재, 외비 밀착부재들 및 비중격 밀착부재들은 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들과, 외비 밀착부재들 및 비중격 밀착부재들의 일측에는 각각 자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기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격 밀착부재들의 바깥쪽 면에는 천연자수정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기구.
KR1020080089101A 2008-09-10 2008-09-10 코골이 방지기구 KR100893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101A KR100893945B1 (ko) 2008-09-10 2008-09-10 코골이 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101A KR100893945B1 (ko) 2008-09-10 2008-09-10 코골이 방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945B1 true KR100893945B1 (ko) 2009-04-22

Family

ID=4075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101A KR100893945B1 (ko) 2008-09-10 2008-09-10 코골이 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94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7723B1 (ja) * 2013-03-12 2014-05-28 株式会社アメイズプラス 鼻孔拡張具
EP2877230A4 (en) * 2012-07-27 2016-04-13 Asap Breatheassist Pty Ltd DEVICE FOR IMPROVING THE AIR FLOW THROUGH THE NOSE CAVITY DURING A PHYSICAL EXERCISE, SUCH AS A SPORTING ACTIVITY
USD791315S1 (en) 2015-12-24 2017-07-04 Asap Breatheassist Pty Ltd Nasal dilator device
USD791313S1 (en) 2015-06-05 2017-07-04 Asap Breatheassist Pty Ltd Nasal dilator device
IT201700048002A1 (it) * 2017-05-04 2018-11-04 Amel Medical Div S R L Dispositivo nasale per favorire la respirazione
US11090181B2 (en) 2015-06-05 2021-08-17 Asap Breatheassist Pty Ltd Nasal dilators
US11154671B2 (en) 2015-07-31 2021-10-26 Asap Breatheassist Pty Ltd Nasal devices
USD952141S1 (en) 2019-06-13 2022-05-17 Asap Breatheassist Pty Ltd Nasal dilator device
KR20220080242A (ko) 2020-12-07 2022-06-14 임화목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
US11712361B2 (en) 2014-06-20 2023-08-01 Asap Breatheassist Pty Ltd Nasal dilator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2129U (ko) * 1989-08-08 1991-03-28
JP2002301153A (ja) 2001-04-04 2002-10-15 Keytron:Kk 呼吸補助具
US7055523B1 (en) 2005-02-24 2006-06-06 Brown Thomas W Internal nasal dilator and delivery mechanism
KR20080015736A (ko) * 2006-08-16 2008-02-20 가부시키가이샤 키트론 호흡 보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2129U (ko) * 1989-08-08 1991-03-28
JP2002301153A (ja) 2001-04-04 2002-10-15 Keytron:Kk 呼吸補助具
US7055523B1 (en) 2005-02-24 2006-06-06 Brown Thomas W Internal nasal dilator and delivery mechanism
KR20080015736A (ko) * 2006-08-16 2008-02-20 가부시키가이샤 키트론 호흡 보조구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77230A4 (en) * 2012-07-27 2016-04-13 Asap Breatheassist Pty Ltd DEVICE FOR IMPROVING THE AIR FLOW THROUGH THE NOSE CAVITY DURING A PHYSICAL EXERCISE, SUCH AS A SPORTING ACTIVITY
JP5507723B1 (ja) * 2013-03-12 2014-05-28 株式会社アメイズプラス 鼻孔拡張具
US11712361B2 (en) 2014-06-20 2023-08-01 Asap Breatheassist Pty Ltd Nasal dilator devices
US11717432B2 (en) 2014-06-20 2023-08-08 Asap Breatheassist Pty Ltd Nasal dilator devices
USD791313S1 (en) 2015-06-05 2017-07-04 Asap Breatheassist Pty Ltd Nasal dilator device
US11090181B2 (en) 2015-06-05 2021-08-17 Asap Breatheassist Pty Ltd Nasal dilators
US11154671B2 (en) 2015-07-31 2021-10-26 Asap Breatheassist Pty Ltd Nasal devices
USD791315S1 (en) 2015-12-24 2017-07-04 Asap Breatheassist Pty Ltd Nasal dilator device
IT201700048002A1 (it) * 2017-05-04 2018-11-04 Amel Medical Div S R L Dispositivo nasale per favorire la respirazione
USD952141S1 (en) 2019-06-13 2022-05-17 Asap Breatheassist Pty Ltd Nasal dilator device
KR20220080242A (ko) 2020-12-07 2022-06-14 임화목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
KR20230107158A (ko) 2020-12-07 2023-07-14 임화목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945B1 (ko) 코골이 방지기구
ES2639565T3 (es) Dispositivo oral y kit para su uso en asociación con el mismo
US8517729B2 (en) Oral mouthpie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AU2013205102A1 (en) Oral devi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US10028885B2 (en) Oral mouthpie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Levrini et al. Model of oronasal rehabilitation in children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undergoing rapid maxillary expansion: Research review
CN208809048U (zh) 一种用于疼痛科的可穿戴颈椎辅助治疗装置
US8372215B2 (en) Human-interface cleaning device
JP3199236B2 (ja) 口内刺激具
US11517470B2 (en) Lip sealing tape
CA2949170A1 (en) Oral mouthpiece and method for use thereof
RU2662875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яемой подачи морской воды в нос
KR101828841B1 (ko)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
KR20220036286A (ko)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
WO2017002051A1 (en) No exhaler (nitric oxide exhaler) device especially to reduce absorbtion and production of excess nitric oxide in the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es and the supression of neuropsychiatric and respiratory diseases
KR200390031Y1 (ko) 코골이 방지구
US11957840B2 (en) Device for speech therapy, administration of inhalation medication and for treatment of otitis, sinusitis and barotrauma
US20080289658A1 (en) Human-interface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Bartley Nasal influences on breathing
WO2007049836A1 (en) Mask for inhibiting mouth opening during the sleep
RU2104051C1 (ru)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дыхания противохраповым аппаратом и аппарат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BR102012020935A2 (pt) Sistema dissuasivo do ronco e congêneres
CN204192837U (zh) 一种止鼾器
AU2017265041A1 (en) Oral appliance
CN113081766B (zh) 一种治疗打鼾的器具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