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286A -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 - Google Patents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286A
KR20220036286A KR1020200118653A KR20200118653A KR20220036286A KR 20220036286 A KR20220036286 A KR 20220036286A KR 1020200118653 A KR1020200118653 A KR 1020200118653A KR 20200118653 A KR20200118653 A KR 20200118653A KR 20220036286 A KR20220036286 A KR 20220036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device
unit
complex medical
user
light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783B1 (ko
Inventor
임현태
Original Assignee
(주) 헥사이노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헥사이노힐 filed Critical (주) 헥사이노힐
Priority to KR1020200118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7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2Electromedical brushes, combs, massa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7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의료기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 끝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결수단, 상기 연결수단와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비강 내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비강 내에 안착되며 광원이 형성된 방사조립체;, 상기 접촉면 상에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저주파를 출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저주파 자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Complex Medical Device For Rhinitis Treatment And Pain Treatment}
본 발명은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비강 내에 삽입되어 빛을 조사함으로써 비염 등을 포함한 코 질환의 개선을 진행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목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여 마사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비강 내에 치료기를 삽입한 상태에서 들숨과 날숨을 포함한 호흡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계절의 변화에 따른 온도의 차나, 환경오염과 대기오염물질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감기나 비염 및 호흡기 질환에 감염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특히 유아들은 저항력이 약하여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고, 스스로 체온을 조절하는 능력이 떨어짐으로 감기, 비염 및 호흡기 계통의 바이러스성 질환에 자주 걸리게 된다.
감기에 걸리면 콧물이 흐르거나 콧물에 의한 코막힘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유아들의 경우 호흡장애를 일으켜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도 있으며, 성인들의 경우에도 정상적인 호흡이 곤란하여 활동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비염 혹은 축농증 등과 같은 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그리고 인체의 호흡기관인 코 내부의 비강점막에 생기는 염증을 일으키는 비염은 감기로 인한 바이러스성 비염 및 알레르기성 비염이 가장 많이 발생되고 있으며, 비염에 감염되면 호흡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수반되는 두통이나 주의력 감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통상적으로 비염 치료기로서는, 치료용 약물, 예컨대 식염수, 염화벤젠토늄, 알코올 등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작은 알갱이의 증기로 만들어 분무하는 초음파 분무방식과, 상기 치료용 약물이나 식염수를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발생되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수증기가 팽창되면서 분출되는 압축공기 분무방식으로 제작된 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중에서 압축공기 분무방식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치료약물을 미세하고 강력하게 분무시킴으로써, 초음파 분무 방식에 비하여 치료효과가 우수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초음파 분무방식과 압축공기 분무방식으로 제작된 비염 치료기들은 매 사용 시 마다 과량의 약품이 소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비염 치료기들은 결과적으로 코속의 환부에 이물질인 액상의 약물을 직접 분사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분사할 때의 충격으로 인하여 코속에 자극을 주게 되어 또 다른 비염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등 사용감이 좋지 않아 상대적으로 비염질환이 많은 어린이나 노약자가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며, 일정한 공간에 비치해 놓은 상태에서 사용해야 되므로 사용상 제약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초음파 분무방식은 주로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압축공기 분무방식은 주로 병원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비염 치료기 모두 부피와 무게가 상당하여 휴대가 불편하며, 사용자가 사용하는 동안 호흡이 용이하지 않아,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1548693 '비염개선용 마사지기'(2015.08.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 비염 등을 포함한 코 질환을 용이하게 개선함과 동시에 목 부위에 마사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의료기를 작용한 상태에서 들숨과 날숨을 포함한 호흡을 용이하게 진행하도록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의료기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 끝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결수단, 상기 연결수단와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비강 내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비강 내에 안착되며 광원이 형성된 방사조립체;, 상기 접촉면 상에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저주파를 출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저주파 자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방사조립체는, 측면 일단이 상기 연결수단과 결합 가능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하는 패드부를 포함하는 방사몸체부; 및 상기 방사몸체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조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방사몸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사조립체를 비강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호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패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몸체 통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광조사유닛은, 유닛몸체; 및 상기 유닛몸체를 관통 형성하며, 상기 몸체통기공과 연통되는 내부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내부 유로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유닛몸체를 관통 형성하는 메인 유로; 및 상기 메인 유로로부터 분기되며, 상호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내부 유로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유닛몸체부를 관통 형성하는 메인 유로; 및 상기 메인 유로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분기되는 분기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방사몸체부는, 상기 방사몸체부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 1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조사유닛은, 상기 제 1 전극과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광조사유닛은, 상기 유닛몸체 상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조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광조사부재는 근적외선 및 가시광선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파장 영역대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광조사부재는, LED 모듈 및 저출력 레이저 모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합 의료기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방사조립체와 상기 저주파 자극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충전연결수단; 및 상기 충전연결수단을 통한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합 의료기는, 상기 몸체부의 끝단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방사조립체 또는 저주파 자극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출력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합 의료기는, 상기 연결수단와 체결되어, 상기 연결수단의 연장길이로 가변하도록 마련되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 의료기가 몸체부, 연결수단, 방사조립체 및 저주파 자극부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의 비강 내의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강 내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염증 부위의 세포 기능을 활성화하여 비염이나 통증과 같은 코와 관련된 질환 개선을 진행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목 부분에는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여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질환 개선 효과와 마사지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방사조립체가 방사몸체부와 광조사유닛을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광조사유닛을 비강 내에 삽입하고 비강 내에 광이 조사되는 과정에서, 유통구를 통해 원활히 호흡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호흡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상황을 방지하여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복합 의료기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질환 개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부 유로가 유닛몸체를 관통 형성하는 메인 유로와 메인 유로로 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 유로를 포함함에 따라, 유체가 유동가능한 유동 면적을 높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방사조립체를 사용과는 과정에서의 호흡을 보다 원활히 진행하도록 할 수 있어,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호흡이 원활하지 않아 불편함을 느끼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광조사유닛이 서로 상이한 파장대를 가져 서로 다른 질환 개선 효과를 갖는 광원으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비염 개선에 효과적인 파장대를 갖는 광원과 통증 개선에 효과적인 파장대를 갖는 광원을 비강 내에 조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비염 개선 효과와 통증 개선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여, 복합적인 질환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충전부가 충전연결수단 및 충전표시부를 포함함에 따라, 제품으로 전원을 공급가능하며, 충전을 진행하지 않는 경우 충전연결수단를 폐쇄하여 이물질 등이 충전연결수단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충전연결수단로 충전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충전표시부의 작동으로 인해 충전중인 경우를 표기할 수 있으므로, 제품 고장으로 인하여 충전이 안되는 경우를 사용자에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의료기가 입력부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복합 의료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방사조립체 또는 저주파 자극부의 출력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제품을 착용한 후, 제품의 작동 온/오프를 제어하거나, 사용하는 과정에서 광원의 강도가 강하게 느껴질 경우 광원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제품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합 의료기가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함에 따라, 얼굴 둘레가 비교적 큰 사용자의 경우 길이조절부를 통해 연결수단의 길이를 늘려 방사조립체의 착용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으며, 얼굴 둘레가 비교적 작은 사용자의 경우 길이조절부를 통해 연결수단의 길이를 축소하여 방사조립체의 착용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얼굴 둘레에 상관없이 제품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조립체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조립체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조립체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의 연결수단 및 방사조립체를 제외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의 연결수단 및 방사조립체를 제외하고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의 연결수단 및 방사조립체를 제외하고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유닛과 살균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유닛과 살균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1000)는 몸체부(100), 연결수단(200), 방사조립체(300) 및 저주파 자극부(400), 충전부(500) 및 입력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몸체부(10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접촉면은 사용자의 뒷목과 상기 몸체부(100)가 맞닿는 면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사용자의 목 부분에 걸어 거치될 수 있도록 소정각도 만곡된 원호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목 부위에 거치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몸체부(100)는 구부러진 형상을 하여 사용자의 뒷목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유연성 및 탄성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실리콘 및 우레톤 소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구비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상기의 소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연성 및 탄성을 갖는 어떠한 소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몸체부(100)는 사용자의 목과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 소재로 구비되는 별도의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함으로써, 착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연결수단(200)은 상기 몸체부(100)의 양 끝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한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연결수단(200)은 상기 사용자의 귀 부분에 걸어 거치될 수 있도록, 끈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귀 부분에 거치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연결수단(200)은 일단은 상기 몸체부(100)와 결합되며, 타단은 후술할 방사조립체(30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200)은 후술할 충전부(5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후술할 방사조립체(300)를 향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수단(200)은 사용자에 귀에 걸어질 뿐만 아니라, 상몸체부(100)와 방사조립체(300) 간의 기계적 연결과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방사조립체(300)는 상기 연결수단(200)과 결합되며, 사용자의 비강(N) 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방사조립체(300)는 일부분이 상기 비강(N) 내에 삽입되며, 일부분은 사용자의 안면 부위에 접촉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사조립체(300)의 양측면은 상기 한 쌍의 연결수단(200)과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방사조립체(300)를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경우, 상기 방사조립체(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방사조립체(300)가 연결수단(200)으로 인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방사조립체(300)가 사용자의 비강(N) 내에 안착되어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방사조립체(300)를 사용할 경우, 별도로 상기 방사조립체(300)를 파지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사용자가 다른 일이 하면서 비염 등을 포함한 코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조립체(300)는 사용자의 비강(N) 내에 안착된 후, 상기 사용자의 비강(N) 내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광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빛은 사용자의 질환에 대한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방사조립체(3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복합 의료기(1000)를 착용하는 순서를 나열하면, 먼저 사용자는 몸체부(100)를 목에 걸치고, 연결수단(200)을 귀에 걸친 다음, 방사조립체(300)를 비강(N)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복합 의료기(1000)를 착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저주파 자극부(4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접촉면 상에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저주파를 출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저주파 자극부(400)는 사용자의 뒷목 부분에 저주파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뒷목 부분의 마비된 근육을 수축시켜 마사지하거나 흥분된 신경을 진정시켜 통증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주파 자극부(400)는 제 1 저주파 자극수단(410) 및 제 2 저주파 자극수단(4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저주파 자극수단(410) 및 제 2 저주파 자극수단(420)은 서로 다른 강도를 갖는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 1 저주파 자극수단(410) 및 제 2 저주파 자극수단(420)은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저주파 자극수단(410)이 맞닿는 뒷목 부위에만 마사지를 원할 경우, 사용자는 제 2 저주파 자극수단(420)을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제 1 저주파 자극수단(410)만을 작동시킴으로써, 저주파 출력을 선호하는 부위에만 출력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복합 의료기(1000)가 비강(N) 내에 빛을 조사하여 염증 부위의 세포 기능을 활성화하여 비염과 같은 질환 개선효과와 사용자의 목 부분에는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여 마사지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충전부(500)는 복합 의료기(10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 상기 몸체부(100)의 일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부(500)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입력부(600)는 방사조립체(300) 및 저주파 자극부(4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작동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말단 일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입력부(600)는 사용자가 복합 의료기(10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손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끝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력부(600)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조립체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조립체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조립체(300)는 방사몸체부(310) 및 광조사유닛(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방사몸체부(310)는 측면 일단이 연결수단(200)과 결합 가능한 것으로, 패드부(311), 몸체 통기공(312) 및 제 1 전극(3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사몸체부(310)는 사용자의 안면 부위, 특히, 사용자의 인중 부위에 일부분이 안착한 후,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 곡률을 갖도록 만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패드부(311)는 상기 방사몸체부(310)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방사몸체부(310)의 상기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 통기공(312)은 사용자가 상기 광조사유닛(320)을 비강(N)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호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방사몸체부(310) 및 패드부(311)를 직선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몸체 통기공(312)는 후술할 내부 유로(322)와 연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전극(313)은 상기 방사몸체부(310)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양극 및 음극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조사유닛(320)은 상기 방사몸체부(31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광조사유닛(320)이 탈부착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비강(N) 내에 안착된 후, 비강(N) 내부의 이물질로 인해 오염이 되었을 경우, 상기 광 조사유닛(320)을 상기 방사몸체부(310)로부터 분리하여 세척 또는 살균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조사유닛(320)은 유닛몸체(321), 내부 유로(322), 광조사부재(323) 및 제 2 전극(3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유닛몸체(321)는 비강(N) 내에 삽입되어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유닛몸체(321)은 비강(N)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성을 갖는 소재로 구비되어 비강(N) 내부에 삽입되면서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내부 유로(322)는 사용자가 상기 광조사유닛(320)을 비강(N)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호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유닛몸체(321)를 직선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유로(322)는 상기 몸체 통기공(312)과 연통되어 상기 방사조립체(300)의 외부로부터 공기와 같은 유체가 유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유로(322)의 형성 면적은 상기 몸체 통기공(312)의 형성 면적보다 작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비강(N)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증대시켜, 사용자의 호흡을 원활히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이로 인해, 몸체 통기공(312)과 내부 유로(322)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광조사유닛(320)을 비강(N)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 통기공(312)과 상기 내부 유로(322)를 통해 통과 가능한 유체로 인하여 들숨과 날숨을 포함한 호흡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조사유닛(320)을 비강(N)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비강(N) 내부로 유체가 통과되지 않아 사용자가 원활히 호흡을 진행할 수 없어 불편함을 느끼는 상황을 방지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 통기공(312)과 내부 유로(322)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광조사유닛(320)을 비강(N)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호흡이 원활해지는 바, 상기 사용자가 장시간 또는 적정시간 동안 복합 의료기(1000)를 사용하도록 유도 수 있으므로, 질환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광조사부재(323)는 빛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유닛몸체(321) 상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광조사부재(323)는 상기 유닛몸체(321)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유닛몸체(321)는 실리콘 소재와 같은 투명한 소재로 감싸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광조사부재(323)에서 발생한 빛을 투과 가능하면서 방수 성능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조사부재(323)는 근적외선 및 가시광선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파장 영역대의 빛을 사용자의 비강(N) 내에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조사부재(323)는 서로 다른 질환 개선 효과를 갖는 LED 모듈 및 저출력 레이저 모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조사부재(323)는 교차출력을 진행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적절한 자극을 인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광조사부재(323)는 제 1 광원(323a) 및 제 2 광원(323b)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 1 광원(323a)과 제 2 광원(323b)은 서로 다른 파장 영역대의 빛을 사용자의 비강(N) 내에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광원(323a)과 제 2 광원(323b)는 근적외선 및 가시광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광원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근적외선 및 상기 가시광선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시광선은 650nm의 파장을 가지는 빛이며, 상기 근적외선은 850nm 및 940nm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파장을 가지는 빛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광원(323a) 또는 제 2 광원(323b)은 650nm, 850nm 및 940nm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파장을 갖는 빛을 조사가능한 LED모듈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비강(N) 내에 조사될 경우, 광화학 반응을 통해 비강(N) 내의 염증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비염 개선 효과 또는 통증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광원(323a) 또는 제 2 광원(323b)은 세포분열 촉진 효과와 세포활성 효과를 갖는 650nm, 850nm 및 940nm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파장을 갖는 저출력 레이저 모듈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이로 인해, 상기 제 1 광원(323a)과 제 2광원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빛을 조사할 수 있음에 따라, 비염 개선 효과와 통증 개선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등 복합적인 질환 개선을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광원(323a)과 제 2 광원(323b)은 서로 다른 영역대의 파장을 갖도록 구비되며, 하나의 광조사유닛(320)은 제 1 광원(323a)만 갖도록 구비되고, 하나의 광조사유닛(320)은 제 2 광원(323b)만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조사유닛(320)이 방사몸체부(310)로부터 탈착 가능하며, 다양한 파장대의 영역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질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원하는 영역대의 파장대를 비강(N) 내에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염 질환을 앓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 650nm 및 850nm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파장을 갖는 광조사유닛(320)을 방사몸체부(310)에 장착하여 비염에 대한 개선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강(N) 내부에 통증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 940nm 대의 파장을 갖는 광조사유닛(320)을 방사몸체부(310)에 장착하여 통증에 대한 개선을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광조사유닛(320)이 조사하는 빛은 상기에 기재된 파장대의 영역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질환에 대한 개선 효과를 구현해내기 위하여, 다양한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 2 전극(324)은 상기 제 1 전극(313)과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양극 및 음극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갖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전극(324)은 상기 제 1 전극(313)과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전극(313)과 동일 평면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사조립체(300)는 상기 제 1 전극(313)과 상기 제 2 전극(324)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극(313) 및 제 2 전극(324)을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복합 의료기(1000)를 사용한 후, 상기 광조사유닛(320)과 상기 방사몸체부(310) 간의 분리를 진행하여 세척 또는 살균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조립체(300)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유로(322)는 메인 유로(322a) 및 분기 유로(322b)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메인 유로(322a)는 수직 방향으로 유닛몸체(321)를 관통 형성되어, 유체가 유동 가능한 유동 면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분기 유로(322b)는 상기 메인 유로(322a)로부터 분기되며, 상호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유체가 유동 가능한 유동 면적이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기 유로(322b)는 상기 상기 메인 유로(322a)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분기되어, 유체가 유동 가능한 유동 면적이 상기 분기 유로(322b)를 구비하지 않았을 때 보다,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기 유로(322b)는 유체가 유동 가능한 유동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유로(322a)에서 다양한 형태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광조사유닛(320)을 비강(N) 내에 안착하여 들숨 또는 날숨을 진행할 경우, 상기 내부 유로(322) 및 분기 유로(322b)로 유체가 통과 가능하여, 호흡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이로 인해, 사용자가 복합 의료기(10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호흡이 원활하지 않아 불편함을 느끼는 상황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복합 의료기(1000)를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의 연결수단 및 방사조립체를 제외하고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의 연결수단 및 방사조립체를 제외하고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의 연결수단 및 방사조립체를 제외하고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의료기(1000)는 충전부(500) 및 입력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부(500)는 충전연결부 및 충전표시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충전연결수단(510)은 상기 몸체부(10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방사조립체(300) 및 저주파 자극부(4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충전연결수단(510)으로부터 상기 방사조립체(3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수단(200)은 내부에 별도의 전선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충전연결수단(510)은 내부에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지된 충전용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상기 배터리내에 공급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합 의료기(10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으로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충전연결수단(510)은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개폐 가능한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충전표시부(520)는 상기 충전연결수단(510)을 통한 충전 상태를 나타낼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충전표시부(520)는 복합 의료기(1000)의 전원 공급 여부, 방사조립체(300) 또는 저주파 자극부(400)의 작동여부 및 복합 의료기(1000)의 배터리 부족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표시부(520)는 상기 정보를 빛, 문자, 음성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충전연결수단(510)을 통하여 복합 의료기(1000)에 대한 충전을 진행하는 경우, 충전표시부(520)로 인하여 충전 상태와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600)는 몸체부(100)의 끝단 외측면에 형성되며, 방사조립체(300) 또는 저주파 자극부(4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출력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입력부(600)는 사용자가 복합 의료기(100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작동 가능한 위치에 구비되어,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600)는 누름식 버튼 방식 또는 다이얼 버튼 방식 등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합 의료기(10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600)를 통해 용이하게 저주파 자극수단 또는 상기 방사조립체(300)의 작동 시작 또는 작동 멈춤을 진행하거나, 상기 저주파 자극수단 또는 상기 방사조립체(300)의 작동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10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1000)는 길이조절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부(700)는 연결수단(200)과 체결되어, 상기 연결수단(200)의 연장길이로 가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길이조절부(700)는 상기 연결수단(200)의 길이를 가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길이조절부(700)는 길이조절수단(7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수단(710)은 내부에 상기 연결수단(200)의 일부를 파지가능한 것으로, 외압에 의해 상기 연결수단(200)을 단계적으로 인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결수단(200)은 한쌍의 체결공을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한쌍의 체결공 중 어느 하나의 체결공에서 어느 하나의 체결공으로 상기 연결수단(200)이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합 의료기(1000)가 길이조절부(700)를 더 포함함에 따라, 얼굴 둘레가 비교적 큰 사용자의 경우 길이조절부(700)를 통해 연결수단(200)의 길이를 연장시켜 방사조립체(300)의 착용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의료기(1000)가 길이조절부(700)를 더 포함함에 따라, 얼굴 둘레가 비교적 작은 사용자의 경우 길이조절부(700)를 통해 연결수단(200)의 길이를 축소시켜 방사조립체(300)의 착용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길이조절부(700)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 둘레에 구애받지 않고 방사조립체(300)의 안정적인 착용을 진행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유닛과 세척살균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유닛과 세척살균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1000)는 광조사유닛(320)의 세척 또는 살균을 위하여 구비되는 세척살균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료기의 세부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15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먼저, 상기 세척살균부(800)는 개폐 가능하면서, 사용자의 비강(N) 내에 안착되어 사용을 완료 한 광조사유닛(320)을 체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낟.
그리고, 상기 세척살균부(800)는 살균 광원(810) 및 제 3 전극(8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살균 광원(810)은 세척살균부(800)의 내부 일단에 구비되어,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균 광원(810)은 살균 효과를 갖는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자외선램프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종래의 살균 효과를 갖는 그 어떠한 광원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살균 광원(810)은 별도의 조작신호에 의해 작동되거나, 상기 광조사유닛(320)이 세척살균부(800)에 체결된 상태를 감지하여 소정 시간동안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3 전극(820)은 광조사유닛(320)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광조사유닛을 작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방사몸체부(310)의 제 1 전극(313)은 상기 제 3 전극(820)과 상이한 전극 패턴을 보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광조사유닛(320)은 살균광조사부재(3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살균광조사부재(325)는 살균 효과를 갖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광조사유닛(320)은 표면에 광조사부재(323)와 살균광조사부재(325)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광조사부재(323)는 조사 전극(32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살균광조사부재는 살균 전극(32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방사몸체부(310)의 제 1 전극(313)은 상기 조사 전극(324a)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광조사유닛(320)이 방사몸체부(310)에 결합될 경우, 상기 광조사부재(323)만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제 3 전극(820)은 상기 살균 전극(324b)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광조사유닛(320)이 세척살균부(800)의 내부에 결합될 경우, 상기 살균광조사부재(325)만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광조사유닛(320)이 상기 방사몸체부(310)에 결합된 후, 사용자의 비강(N) 내에 안착되는 경우, 광조사부재(323)로 인한 질환 개선효과만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광조사유닛(320) 사용자의 비강(N) 내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살균광조사부재(325)로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므로 작동되지 않아, 불필요한 빛이 비강(N) 내에 조사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균광조사부재(325)는 상술한 내부유로(322)의 내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세척이 어려운 상기 내부유로(322)로의 살균을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비강(N) 내에 안착되어, 사용을 완료한 상기 광조사유닛(320)에 비강(N) 내의 세균과 같은 오염물질을 포함할 경우, 광조사유닛(320)에 대한 살균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 청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살균 광원(810)과 살균광조사부재(325)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광조사유닛(320)의 외부, 내부 등 전면적에 대한 살균을 진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세척살균부(800)는 별도의 건조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수로 구비되는 광조사유닛(320)을 방사몸체부(310)로부터 분리하여 물과 같은 액체를 통해 세척을 진행한 후, 세척살균부(800)에 상기 광조사유닛(320)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광조사유닛(320)에 대한 건조를 진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N : 비강
1000 : 복합 의료기
100 : 몸체부
200 : 연결수단
300 : 방사조립체
310 : 방사몸체부
311 : 패드부
312 : 몸체 통기공
313 : 제 1 전극
320 : 광조사유닛
321 : 유닛몸체
322 : 내부 유로
322a : 메인 유로
322b : 분기 유로
323 : 광조사부재
323a : 제 1 광원
323b : 제 2 광원
324 : 제 2 전극
324a : 조사 전극
324b : 세척 전극
325 : 살균광조사부재
400 : 저주파 자극부
410 : 제 1 저주파 자극수단
420 : 제 2 저주파 자극수단
500 : 충전부
510 : 충전연결수단
520 : 충전표시부
600 : 입력부
700 : 길이조절부
710 : 길이조절수단
800 : 세척살균부
810 : 살균 광원
820 : 제 3 전극

Claims (12)

  1.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양 끝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결수단(200);
    상기 연결수단(200)와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비강(N) 내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비강(N) 내에 안착되며 광원이 형성된 방사조립체(300);
    상기 접촉면 상에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저주파를 출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저주파 자극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조립체(300)는,
    측면 일단이 상기 연결수단(200)과 결합 가능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하는 패드부(311)를 포함하는 방사몸체부(310); 및
    상기 방사몸체부(31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조사유닛(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몸체부(31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사조립체(300)를 비강(N)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호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패드부(31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몸체 통기공(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유닛(320)은,
    유닛몸체(321); 및
    상기 유닛몸체(321)를 관통 형성하며, 상기 몸체 통기공(312)과 연통되는 내부 유로(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로(322)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유닛몸체(321)를 관통 형성하는 메인 유로(322a); 및
    상기 메인 유로(322a)로부터 분기되며, 상호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 유로(32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로(322)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유닛몸체(321)를 관통 형성하는 메인 유로(322a); 및
    상기 메인 유로(322a)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분기되는 분기 유로(32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몸체부(310)는,
    상기 방사몸체부(310)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 1 전극(3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조사유닛(320)은,
    상기 제 1 전극(313)과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 2 전극(3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유닛(320)은,
    상기 유닛몸체(321) 상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조사부재(323);를 포함하며,
    상기 광조사부재(323)는 근적외선 및 가시광선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파장 영역대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재(323)는,
    LED 모듈 및 저출력 레이저 모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의료기(1000)는 충전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5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방사조립체(300)와 상기 저주파 자극부(4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충전연결수단(510); 및
    상기 충전연결수단(510)을 통한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표시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의료기(1000)는,
    상기 몸체부(100)의 끝단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방사조립체(300) 또는 저주파 자극부(4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출력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입력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의료기(1000)는,
    상기 연결수단(200)와 체결되어, 상기 연결수단(200)의 연장길이를 가변하도록 마련되는 길이조절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
KR1020200118653A 2020-09-15 2020-09-15 광조사 및 자극 장치 KR102546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653A KR102546783B1 (ko) 2020-09-15 2020-09-15 광조사 및 자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653A KR102546783B1 (ko) 2020-09-15 2020-09-15 광조사 및 자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286A true KR20220036286A (ko) 2022-03-22
KR102546783B1 KR102546783B1 (ko) 2023-06-22

Family

ID=8099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653A KR102546783B1 (ko) 2020-09-15 2020-09-15 광조사 및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7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376A (ko) * 2021-11-25 2023-06-01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비염 치료 장치
WO2024025054A1 (ko) * 2022-07-27 2024-02-01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비염 치료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202A (ko) * 2009-04-30 2010-11-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광선 비염 치료기
KR101548693B1 (ko) 2015-06-12 2015-09-01 박종식 비염개선용 마사지기
KR20160095574A (ko) * 2015-02-03 2016-08-11 김상찬 휴대용 비염 치료기
KR101810511B1 (ko) * 2017-04-20 2017-12-20 주식회사 제이씨코퍼레이션 블루투스 스피커가 내장된 무선 안면 마사지기
JP2018517857A (ja) * 2015-07-01 2018-07-05 エアラボ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鼻腔挿入型マスク
KR102033422B1 (ko) * 2018-04-19 2019-10-17 주식회사 옵토웰 비염 치료장치
KR20200089032A (ko) * 2019-01-16 2020-07-24 (주)셀리턴 목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202A (ko) * 2009-04-30 2010-11-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광선 비염 치료기
KR20160095574A (ko) * 2015-02-03 2016-08-11 김상찬 휴대용 비염 치료기
KR101548693B1 (ko) 2015-06-12 2015-09-01 박종식 비염개선용 마사지기
JP2018517857A (ja) * 2015-07-01 2018-07-05 エアラボ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鼻腔挿入型マスク
KR101810511B1 (ko) * 2017-04-20 2017-12-20 주식회사 제이씨코퍼레이션 블루투스 스피커가 내장된 무선 안면 마사지기
KR102033422B1 (ko) * 2018-04-19 2019-10-17 주식회사 옵토웰 비염 치료장치
KR20200089032A (ko) * 2019-01-16 2020-07-24 (주)셀리턴 목 관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376A (ko) * 2021-11-25 2023-06-01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비염 치료 장치
WO2024025054A1 (ko) * 2022-07-27 2024-02-01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비염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783B1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8272B1 (en) Therapy apparatus with laser irradiation device
KR102495335B1 (ko) 뇌의 비-침입성 신경자극 치료요법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6443978B1 (en) Photomatrix device
KR100753426B1 (ko) 피부 미백 및 치료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101497619B1 (ko) 얼굴과 목을 광자극할 수 있는 피부미용장치
KR101049189B1 (ko) 광선 비염 치료기
KR101497617B1 (ko)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KR102546783B1 (ko) 광조사 및 자극 장치
KR101548693B1 (ko) 비염개선용 마사지기
KR101288405B1 (ko) 두피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안마의자
CN212592697U (zh) 一种美容眼罩
KR101947661B1 (ko) 비염치료기
US20240066315A1 (en) Therapeutic devices and methods to improve body functions
KR20110064707A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복대
CN115955992A (zh) 改善身体功能的治疗装置和方法
KR101834267B1 (ko) 라이트 테라피를 이용한 안면 착용형 비염 치료장치
US20130303838A1 (en) Open type ear treatment module
KR20090044452A (ko) 컬러테라피용 마사지기
KR20210075492A (ko) 턱관절 통증 치료용 광원치료기
KR101288406B1 (ko) 숙면 유도 장치가 구비된 안마 의자
US20230181922A1 (en) Nasal disease treatment aid device
KR101834268B1 (ko) 라이트 테라피를 이용한 안면 착용형 비염 치료장치
KR200383031Y1 (ko) 발열용 관절보호 밴드
KR20220042012A (ko) 눈 마사지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엘이디 마스크
US9731145B2 (en) Device for stimulation of the brain by laser circularly or elliptically polarized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