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617B1 -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 Google Patents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617B1
KR101497617B1 KR20130137201A KR20130137201A KR101497617B1 KR 101497617 B1 KR101497617 B1 KR 101497617B1 KR 20130137201 A KR20130137201 A KR 20130137201A KR 20130137201 A KR20130137201 A KR 20130137201A KR 101497617 B1 KR101497617 B1 KR 10149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skin
mask
light sour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7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근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단일에스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단일에스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단일에스엠씨
Priority to KR20130137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및 살균 등의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광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LED 등과 같은 광원체가 사용자의 안면(顔面)에 광을 직접 조사함으로써 안면 피부에 미백 및 살균과 같은 효과를 주고, 사용자의 안면 크기에 상관없이 다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안면을 덮도록 된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에 고정되어 안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링커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다수 개의 안면커버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Mask apparatus for skin beauty care using light for variable control of range size}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및 살균 등의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광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LED 등과 같은 광원체가 사용자의 안면(顔面)에 광을 직접 조사함으로써 안면 피부에 미백 및 살균과 같은 효과를 주고, 사용자의 안면 크기에 상관없이 다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안면 피부가 탄력을 잃지 않도록 관리하여 젊고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화장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피부 표피의 각질층 밑에는 두꺼운 단백질 보호층으로 방어벽이 형성되어 보호하고 있고, 이 단백질 보호층에 의해 피부의 표피와 진피층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바이오 물질 등이 첨가되어 피부 보호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을 사용하더라도 진피층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고, 또한 화장품의 영양이 진피층까지 깊숙이 침투되지 못하여 피부 보호의 효과가 매우 미흡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 갈바닉 이온전류, 원적외선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피부를 미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피부 미용기기가 알려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 피부 미용기기는 사용시 사용자 또는 미용관리사(이하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미용기기를 쥔 채 안면에 접촉시키면서 조작해야하므로 조작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마스크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안면을 덮도록 된 피부미용 전용 광 마스크가 개발되었다. 종래 광 마스크는 하나 이상의 광원체를 갖추고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면 간단히 실행됐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시간의 미용시행도 불편함 없이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피부미용 및 치료 전용 광 마스크는 피부미용 전문업소 또는 병원 등(이하 '피부 미용업소')에서 주로 활용하므로, 다양한 안면 사이즈와 윤곽을 갖는 다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활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 광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에 자국을 남기거나 광이 사용자의 안면 내에서 지정된 위치에 효율적인 조사를 이루지 못하게 되므로, 피부미용효율 또한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해당 피부 미용업소가 다양한 사이즈의 광 마스크를 비치하고, 사용자의 안면 사이즈에 따라 광 마스크를 교체해 활용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해당 피부 미용업소가 다수의 광 마스크를 구매해 비치해야 하는 경제적 불리함이 있고, 사이즈별로 광 마스크를 비치하고 있어도 2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일한 사이즈의 광 마스크를 활용해야 하는 경우엔 1명은 사용 중인 다른 1명의 미용시행이 끝날 때까지 대기해야 하는 문제 또한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074882호(2011.10.19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안면 피부를 효과적으로 케어(care)하고, 사용자의 다양한 안면 사이즈에 맞춰 활용할 수 있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면을 덮도록 된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에 고정되어 안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링커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다수 개의 안면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안면커버는 안면을 덮는 투명재질의 내피와, 상기 내피와 이격하게 나란히 고정되는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체는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서 안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된 피부미용 광 마스크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광 마스크가 다수 개의 안면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안면커버는 링커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안면 형태와 사이즈에 따라 변형되므로, 사용자는 안면 사이즈에 상관없이 동일한 광 마스크에 대해 편안한 착용감으로 안면 피부의 미용관리를 받을 수 있고, 피부 미용업소는 안면 사이즈별로 다양한 크기의 광 마스크를 비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 이익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를 구성하는 피부미용장치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를 분해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의 내면 모습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에 구성된 링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의 다른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넥커버가 보강된 광 마스크의 내면 모습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9는 넥커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를 구성하는 피부미용장치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200)는 하나 이상의 안면커버(231, 232, 232')가 조합돼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230)와, 마스크 본체(23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체(211, 212, 213)로 구성된다.
안면커버(231, 232, 232')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를 위해 안면커버(231, 232, 232')는 경첩, 힌지 또는 피봇 등과 같은 링커(233)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링커(233)에 피봇을 적용해서 안면커버(231, 232, 232')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했다. 그러나, 링커(233)는 피봇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안면커버(231, 232, 232')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할 수 기구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안면커버(231, 232, 232')는 사용자 안면의 정면을 덮는 제1안면커버(231)와, 사용자 안면의 측면을 덮는 한 쌍의 제2안면커버(232, 232')로 구성된다. 제1안면커버(231)는 사용자 안면의 정면을 덮게 되므로, 사용자의 눈과 코 및 잎이 마주하는 위치에 성형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제2안면커버(232, 232')는 제1안면커버(23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서 사용자 안면의 측면을 덮는 형상으로 된다. 참고로, 제1안면커버(231)에서 눈, 코, 잎과 마주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원활한 호흡을 위해서 코와 잎이 마주하는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을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제1안면커버(231)에 눈, 코, 잎에 대응하는 구멍을 각각 천공하였으나(도 4 참조), 광 마스크의 형태가 본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본체(230)는 사용자 안면의 정면을 덮는 제1안면커버(231)와, 사용자 안면의 양측면을 각각 덮는 한 쌍의 제2안면커버(232, 232')로 구성되므로, 광 마스크(200) 착용시 눈, 코, 입 등의 기관으로 인해 외부 접촉에 상대적으로 민감한 정면은 안면 형태에 따라 일체로 성형된 제1안면커버(231)에 의해서 거부감 없는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제1안면커버(231)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안면커버(232, 232')에 의해서 사용자는 안면 사이즈에 상관없이 제1,2안면커버(231, 232, 232')가 안면 둘레를 따라 감싸도록 하므로, 사용자는 안정감을 느끼며 광 마스크(200)를 안락하게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제1,2안면커버는 2개가 상하 또는 좌우로 대칭하는 형상을 이룰 수도 있고, 다수 개의 제1,2안면커버로 구성되어서 안면 형상에 따라 절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200)는 광 발산을 위한 광원체(211, 212, 213)를 더 포함한다. 광원체(211, 212, 213)는 광 마스크(2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안면에 광이 조사되도록 상기 안면을 향해 마스크 본체(230)에 설치된다.
광원체(211, 212, 213)는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서 사용자 안면을 조사하며, 다양한 광 파장이 사용자 안면 피부에 영향을 주도록 다양한 종류의 광원체(211, 212, 213)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647 ~ 723nm 범위의 파장대인 적색계열의 가시광을 출력하는 제1광원체(211)와, 455 ~ 492nm 범위의 파장대인 청색계열의 가시광을 출력하는 제2광원체(212)와, 750nm ~ 1mm 범위의 파장대인 적외선 광을 출력하는 제3광원체(213)로 구성한다. 적외선 광의 경우, 파장대가 0.75∼3μm인 적외선을 근적외선이라 하고, 파장대가 3∼25μm 인 적외선을 일반 적외선이라 하며, 파장대가 25μm 이상인 적외선을 원적외선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청색계열의 가시광은 무기성 박테리아를 완벽하게 섬멸시키므로, 피부에 기생하는 무기성 박테리아를 섬멸해서 피부노화를 방지한다.
적색계열의 가시광은 각종 의료기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수술 후의 상처회복에 빠른 효과가 있고 경직된 근육조직을 이완시키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준다. 이를 통해서, 피부에 발생한 각종 여드름 및 뾰루지 등의 자국을 없애준다. 또한, 모공을 열어 피부에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적색계열의 가시광은 섬유모세포 생성을 위한 백혈구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므로, 새로운 근육조직을 형성하게 하며 노화된 피부 세포를 건강하게 활성화시킨다.
계속해서, 적외선은 생체활성화, 물분자 활성화, 탈취작용, 생육촉진 등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온열효과 및 패오효과를 준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200)는 제1,2,3광원체(211, 212, 213)가 적색계열, 청색계열 및 적외선을 모두 조사하도록 한다. 또한, 적색계열의 제1광원체(211) 또는 청색계열의 제2광원체(212)가 동작할 때에는 적외선 계열의 제3광원체(213)가 함께 동작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2,3광원체(211, 212, 213)는 적색계열, 청색계열 및 적외선 계열의 광 중 선택된 하나 이상만을 조사하도록 할 수도 있고, 다른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광 마스크(200)는 광원체가 구성된 전자제품의 일종이므로, 광 마스크(200)의 구동 및 제어를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광 마스크(200)는 광 컨트롤러(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동작이 제어된다.
광 컨트롤러(100)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입력부(110)와, 입력부(110)의 입력신호에 따라 광원체의 발광을 제어하는 광 제어부(120)로 구성된다.
입력부(110)는 버튼방식, 터치스크린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버튼방식의 경우, 광 컨트롤러(100) 일면에 기기판을 형성시켜서 사용자가 상기 기기판을 조작하면 아날로그 형식의 입력신호가 발생되어 광 제어부(120)로 전달되는 방식이다. 광 제어부(120)는 버튼방식의 입력부(110)로부터 일방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공지,공용의 시스템이다.
터치스크린 방식의 경우, 광 컨트롤러(100) 일면에 터치스크린 화면을 형성시켜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을 조작하면 디지털 형식의 입력신호가 발생되어 광 제어부(120)로 전달되는 광 제어부(120)는 처리 결과를 터치스크린 화면에 출력시키는 방식이다. 터치스크린 방식의 광 제어부(120)는 양방향으로 발,수신하는 공지,공용의 시스템이다.
광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수신한 입력신호를 처리해서 광 마스크(200)에 설치된 광원체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광 제어부(120)는 제어모듈(121)과 광출력모듈(123)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타이머(122)가 더 보강될 수 있다.
제어모듈(121)은 입력부(110)의 입력신호를 수신해서 확인 및 처리하고, 설치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모듈(121)은 입력신호에 따라 광원체의 ON/OFF를 단순히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지정된 스케줄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예시는 타이머(122)를 설명하면서 한다.
광출력모듈(123)은 제어모듈(121)의 제어신호를 수신해서 광원체의 ON/OFF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에는 제어 대상 광원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제1,2,3광원체(211, 212, 213)의 ON/OFF가 제어모듈(121)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참고로, 광출력모듈(123)은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체에 연결된 전원라인의 개폐를 직접 제어해서, 해당 광원체의 ON/OFF를 스위칭한다.
타이머(122)는 시간정보를 제어모듈(121)에 전달해서, 제어모듈(121)이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광원체를 제어하도록 한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제어해서 광원체를 동작시키면, 제어모듈(121)은 광원체의 동작이 3분 동안 지속되도록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3분 후 광출력모듈(123)에 OFF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어모듈(121)은 3분에 대한 시간경과 체크를 타이머(122)로부터 전달되는 시간정보를 통해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광 출력에 대한 설정 프로세스를 적색계열 가시광 재1출력모드, 청색계열의 가시광 제2출력모드, MIX 제3출력모드 등의 3가지로 한다. 상기 제1출력모드는 적색계열 광과 적외선 광만이 출력되도록 제1광원체(211) 및 제3광원체(213)가 동작하는 것이고, 상기 제2출력모드는 청색계열 광과 적외선 광만이 출력되도록 제2광원체(212) 및 제3광원체(213)가 동작하는 것이고, 상기 제3출력모드는 적색계열 가시광과 청색계열 가시광 및 적외선 광 모두가 출력되도록 제1,2,3광원체(211, 212, 213)가 동작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3출력모드의 경우, 제어모듈(212)은 순차적으로 제1,3광원체(211, 213)만을 1분간 우선 동작시키고, 제2,3광원체(212, 213)만을 1분간 동작시키며, 제1,2,3광원체(211, 212, 213)을 3분간 동작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전술한 설정 프로세스는 광 컨트롤러(100)의 구동행태에 대한 일실시 예이며,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를 분해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본체(230)는 광 마스크(200)의 형태를 이루는 외피(231a, 232a, 232a')와, 사용자 안면과 마주하는 내피(231b, 232b, 232b')를 포함한다. 외피(231a, 232a, 232a')는 마스크 본체(23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단단한 재질로 제작되고, 광원부(210a, 210b, 210c)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외피(231a, 232a, 232a')로 방출되지 않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피(231b, 232b, 232b')는 사용자 안면과 마주하면서 안면 피부와 직접 접촉할 수도 있으므로, 피부에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광원부(210a, 210b, 210c)로부터 조사된 빛이 안면 피부에 효과적으로 조사될 수 있는 투명도를 갖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피(231b, 232b, 232b')는 외피(231a, 232a, 232a')와 더불어 마스크 본체(23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굴곡이 심한 안면 피부와의 접촉시 해당 굴곡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서로 분리된 외피(231a, 232a, 232a')와 내피(231b, 232b, 232b')는 볼트 또는 핀 등과 같은 공지,공용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서로 고정될 수도 있고, 외피(231a, 232a, 232a')와 내피(231b, 232b, 232b')의 가장자리가 서로 맞물리도록 성형되어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내피(231b, 232b, 232b')의 가장자리가 절곡된 용기 형상으로 되고, 외피(231a, 232a, 232a')가 내피(231b, 232b, 232b')의 절곡 부분과 결합하면서 내피(231b, 232b, 232b')에 끼워지는 구조로 한다. 이를 통해 내피(231b, 232b, 232b')의 절곡된 가장자리는 외피(231a, 232a, 232a')와의 고정시 내부 패킹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외피(231a, 232a, 232a')와 내피(231b, 232b, 232b')가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광원부(210a, 210b, 210c)는 외피(231a, 232a, 232a')와 내피(231b, 232b, 232b') 사이에 배치되며, 내피(231b, 232b, 232b')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외피(231a, 232a, 232a')에 고정된다. 참고로, 광원부(210a, 210b, 210c)는 제어모듈(121)의 제어를 받는 광출력모듈(123)의 스위칭에 따라 전력을 수신하는 기판(214)과, 기판(214)에 실장되어 광을 발하는 광원체(211, 212, 213)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판(214)은 통상적인 PCB기판이 적용될 수 있고, 광원체(211, 212, 213)은 열에 의한 피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LED 등과 같이 최소한의 발열로 광을 발하는 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판(214)은 다수의 광원체(211, 212, 213)를 고정하면서 이들을 용이하게 일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광원체(211, 212, 213)를 외피(231a, 232a, 232a')에 직접 고정하고 일일이 전기배선을 할 수도 있으므로, 기판(214)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본체(230)는 제1안면커버(231)와 제2안면커버(232, 232')로 분리 구성되므로, 광원부(210a, 210b, 210c) 역시 제1,2안면커버(231, 232, 232') 별로 분리된다. 따라서, 전원라인이 제1,2안면커버(231, 232, 232")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전선인입관(WI)으로 인입되면, 광원부(210a, 210b, 210c)는 별도의 배선라인(미 도시함)을 매개로 직렬 또는 병렬 방식의 전기적 연결을 이루어 동작한다. 이외에도 전선인입관(WI)이 제1,2안면커버(231, 232, 232')에 각각 형성되고, 배선된 다수의 전원라인은 전선인입관(WI)을 통해 제1,2안면커버(231, 232, 232')로 인입되어 광원부(210a, 210b, 210c)에 전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2안면커버(231, 232, 232') 모두에 외피(231a, 232a, 232a')와 내피(231b, 232b, 232b') 및 광원체(211, 212, 213)가 구성된 것으로 했으나, 이외에도 제1안면커버(231) 또는 제2안면커버(232, 232')에는 얼굴 광원체(211, 212, 213)를 포함하면서 외피(231a, 232a, 232a') 또는 내피(231b, 232b, 232b')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구성될 수 있고, 광원체(211, 212, 213)를 제외한 외피(231a, 232a, 232a') 또는 내피(231b, 232b, 232b')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안면커버(231)의 내피(231b)와 외피(231a)는 사용자의 눈이 마주하는 위치가 천공되어 눈구멍(EH, EH')을 이룬다. 그런데, 광원부(210a)의 조사 광은 사용자의 눈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해서 보호대(231c)를 보강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보호대(231c)는 양단에 플랜지가 돌출 형성된 관 형상을 이루며, 상기 플랜지는 눈구멍(EH, EH') 각각의 가장자리와 맞물리며 고정된다. 결국, 보호대(231c)는 눈구멍(EH, EH')이 서로 연통하게 하고, 내피(231b)와 외피(231a)를 서로 연결해 고정함은 물론, 내피(231b)와 외피(231a) 사이의 공간을 패킹해서 이물질이 눈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위험을 방지한다. 한편, 보호대(231c)는 눈구멍(EH, EH')과의 원활한 조립과, 안면 피부와의 접촉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실리콘 등의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광 마스크(200)는 사용자의 안면을 덮어 그 위치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광 마스크(200)는 사용자의 얼굴을 감쌀 수 있는 벨트(미도시함)가 더 보강될 수 있다. 상기 벨트는 제2안면커버(232, 232')에 형성된 고정대(232c, 232c')에 양단이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이렇게 연결된 벨트는 사용자의 안면을 덮은 광 마스크(200)가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감싼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의 내면 모습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제1,2안면커버(231, 232, 232')는 링커(233)를 매개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피봇 구조의 연결대(233a)가 제1안면커버(231) 외피(231a)에 돌출형성되고, 연결대(233a)가 유동성을 갖도록 맞물리는 연결홈(233b, 233b')이 제2안면커버(232, 232')의 외피(232a, 232a')에 각각 형성된다.
결국, 제2안면커버(232, 232')는 제1안면커버(231)를 중심으로 해서 전후로 회동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 사이즈에 상관없이 광 마스크(200)를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a)는 해당 광 마스크(200)의 사이즈에 맞는 안면 사이즈를 갖는 사용자가 착용했을 때의 모습이고, 도 5(b)는 해당 광 마스크(200)의 사이즈보다 큰 안면 사이즈를 갖는 사용자가 착용하면서 제2안면커버(232, 232')가 전방으로 회동한 모습이며, 도 5(c)는 해당 광 마스크(200)의 사이즈보다 작은 안면 사이즈를 갖는 사용자가 착용하면서 제2안면커버(232, 232')가 후방으로 회동한 모습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에 구성된 링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230)를 구성하는 제1안면커버(231)와 제2안면커버(232, 232')는 링커(233')를 매개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링커(233')는 경첩, 힌지 또는 피봇 등과 같은 기구가 활용될 수도 있으나, 플렉시블한 재질이면서도 접착성능을 갖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이 활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제1안면커버(231)와 제2안면커버(232, 232')가 각각 접하는 위치에 링커(233')를 도포하고, 이를 매개로 제1,2안면커버(231, 232, 232')가 서로 접착하도록 한다. 결국, 제1,2안면켜버(231, 232, 232')의 경계 부분은 링커(233')에 의해서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은 물론 제1,2안면커버(231, 232, 232')의 경계 부분에 발생하는 틈새를 패킹해서 미용효과를 극대화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의 다른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넥커버가 보강된 광 마스크의 내면 모습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9는 넥커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마스크(200')는 사용자의 안면 피부는 물론 목 피부에 대한 피부미용을 시행할 수 있도록 넥커버(240)를 더 포함한다.
넥커버(240)는 광 마스크의 제1,2안면커버(231, 232, 232')의 구조와 동일하게 외피(241)와 내피(242)가 서로 이격하게 고정되고, 그 사이에 광원부(210d)가 배치된다. 여기서, 광원부(210d)는 제1,2,3광원체(211, 212, 21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2,3광원체(211, 212, 213)의 광 조사 방향은 목 피부이다.
넥커버(240)를 구성하는 외피(241)는 목을 감싼 상태에서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단단한 재질로 제작되고, 내피(242)는 제1,2,3광원체(211, 212, 213)로부터 발하는 광이 목 피부에 조사될 수 있는 투명도의 재질로 된다. 넥커버(240)를 구성하는 외피(241)와 내피(242)는 전술한 제1,2안면커버(231, 232, 232')의 내피(231b, 232b, 232b') 및 외피(231a, 232a, 232a')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넥커버(240)는 마스크 본체(230)와 탈착가능하도록 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동일한 광마스크(200')로도 안면 피부 케어와, 안면 및 목 피부 케어를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목 피부미용 전용 광 마스크를 별도로 비치해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마스크 본체(230)와 넥커버(240) 간의 연결은 탈착부재(243)를 매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 탈착부재(243)는 넥커버(240)의 내피(242)에 고리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해서 마스크 본체(230)에는 고리 형태의 탈착부재(243)가 걸리도록 걸림턱(SC)을 형성한다. 결국, 탈착부재(243)는 걸림턱(SC)에 탈착가능하게 걸리면서 마스크 본체(230)와 넥커버(24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더불어서 안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쪽으로 치우친 목에 넥커버(240)가 원활히 근접할 수 있도록 넥커버(240)는 회동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탈착부재(243)가 넥커버(240)에 구성되고, 걸림턱(SC)이 마스크 본체(230)에 구성된 것으로 했으나, 탈착부재(243)가 마스크 본체(230)에 구성되고, 걸림턱(SC)이 넥커버(240)에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탈착부재(243)는 고리 형태에 한정하지 않으며, 마스크 본체(230)와 탈착가능하다면 자석, 볼팅, 핀, 벨크로테잎 등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광 컨트롤러 110; 입력부 120; 광 제어부
121; 제어모듈 122; 타이머 123; 광출력모듈
200, 200'; 광 마스크 210a, 210b, 210c, 210d; 광원부
211; 제1광원체 212; 제2광원체 213; 제3광원체
214; 기판 230; 마스크 본체 231; 제1안면커버
232, 232'; 제2안면커버
231a, 232a, 232a'; 외피 231b, 231b', 231b"; 내피
231c; 보호대 233, 233'; 링커 233a; 연결대
233b, 233b'; 연결홈 240; 넥커버 241; 외피
242; 내피 243; 탈착부재 EH, EH'; 눈구멍
WI; 전선인입관 SC; 걸림턱

Claims (4)

  1. 안면을 덮도록 된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에 고정되어 안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링커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다수 개의 안면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안면커버는 안면을 덮는 투명재질의 내피와, 상기 내피와 이격하게 나란히 고정되는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체는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서 안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커버는
    안면의 정면을 덮는 제1안면커버; 및
    안면의 양측면을 각각 덮도록, 상기 제1안면커버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안면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을 덮으면서 상기 마스크 본체에 탈착부재를 매개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넥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넥커버는 목을 덮는 투명재질의 내피와, 상기 넥커버의 내피와 이격하게 나란히 고정되는 외피와,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서 목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재는 고리 형태를 이루며 상기 넥커버 또는 마스크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탈착부재가 걸리는 걸림턱은 상기 넥커버 또는 마스크 본체 중 남은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KR20130137201A 2013-11-12 2013-11-12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KR101497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7201A KR101497617B1 (ko) 2013-11-12 2013-11-12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7201A KR101497617B1 (ko) 2013-11-12 2013-11-12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617B1 true KR101497617B1 (ko) 2015-03-03

Family

ID=5302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7201A KR101497617B1 (ko) 2013-11-12 2013-11-12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617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169B1 (ko) * 2015-08-13 2016-02-24 김종천 안면치료용 마스크장치
KR101635927B1 (ko) * 2016-01-08 2016-07-04 김종천 안면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1637343B1 (ko) * 2015-07-08 2016-07-08 김택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원적외선 찜질기
KR101720879B1 (ko) * 2015-11-23 2017-03-29 김준호 분할 방식의 미용 마스크
WO2018066848A1 (en) * 2016-10-06 2018-04-12 Lg Electronics Inc. Skin care device
KR20200026476A (ko) 2018-09-03 2020-03-11 주식회사 더유핏 안경형 광미용 기기
US10610001B2 (en) 2017-06-13 2020-04-07 Jong-Chen KIM Mask device for facial skin care
WO2020130454A1 (ko) * 2018-12-18 2020-06-25 주식회사 프시케 저주파 자극 마스크
US10857379B2 (en) * 2017-09-29 2020-12-0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Diagnostic and treatment kit
KR20210008795A (ko) * 2019-07-15 2021-01-25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20210108519A (ko) * 2020-02-25 2021-09-03 문쥬리 스팀 마사지 미용장치
KR20210145004A (ko) * 2020-05-22 2021-12-01 김진성 다단분리 다기능 led 마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2166A1 (en) * 2009-06-03 2010-12-09 Castel J Chri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pical Anesthesia Prior to and During a Cosmetic Procedure
KR20120063169A (ko) * 2010-12-07 2012-06-15 전경천 미용 마스크 장치
KR101418294B1 (ko) * 2013-05-20 2014-07-14 (주)옵티스 도파관을 이용한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
KR20140136590A (ko) * 2013-05-20 2014-12-01 (주)옵티스 실시간 피부상태 관찰 가능한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2166A1 (en) * 2009-06-03 2010-12-09 Castel J Chri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pical Anesthesia Prior to and During a Cosmetic Procedure
KR20120063169A (ko) * 2010-12-07 2012-06-15 전경천 미용 마스크 장치
KR101418294B1 (ko) * 2013-05-20 2014-07-14 (주)옵티스 도파관을 이용한 광조사 피부 관리장치
KR20140136590A (ko) * 2013-05-20 2014-12-01 (주)옵티스 실시간 피부상태 관찰 가능한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Cited B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343B1 (ko) * 2015-07-08 2016-07-08 김택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원적외선 찜질기
KR101597169B1 (ko) * 2015-08-13 2016-02-24 김종천 안면치료용 마스크장치
KR101720879B1 (ko) * 2015-11-23 2017-03-29 김준호 분할 방식의 미용 마스크
WO2017090850A1 (ko) * 2015-11-23 2017-06-01 김준호 분할 방식의 미용 마스크
KR101635927B1 (ko) * 2016-01-08 2016-07-04 김종천 안면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20180038199A (ko) * 2016-10-06 2018-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케어 기기
WO2018066848A1 (en) * 2016-10-06 2018-04-12 Lg Electronics Inc. Skin care device
US10799697B2 (en) 2016-10-06 2020-10-13 Lg Electronics Inc. Skin care device
KR102182169B1 (ko) 2016-10-06 2020-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케어 기기
US10610001B2 (en) 2017-06-13 2020-04-07 Jong-Chen KIM Mask device for facial skin care
US10857379B2 (en) * 2017-09-29 2020-12-0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Diagnostic and treatment kit
US10857380B2 (en) * 2017-09-29 2020-12-0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ethod of evaluating skin conditions
KR20200026476A (ko) 2018-09-03 2020-03-11 주식회사 더유핏 안경형 광미용 기기
WO2020130454A1 (ko) * 2018-12-18 2020-06-25 주식회사 프시케 저주파 자극 마스크
KR20210008792A (ko) * 2019-07-15 2021-01-25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355063B1 (ko) 2019-07-15 2022-01-25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20210008793A (ko) * 2019-07-15 2021-01-25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20210008798A (ko) * 2019-07-15 2021-01-25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20210008795A (ko) * 2019-07-15 2021-01-25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20210008791A (ko) * 2019-07-15 2021-01-25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20210008797A (ko) * 2019-07-15 2021-01-25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20210008790A (ko) * 2019-07-15 2021-01-25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20210008789A (ko) * 2019-07-15 2021-01-25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20210008796A (ko) * 2019-07-15 2021-01-25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292168B1 (ko) 2019-07-15 2021-08-24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358198B1 (ko) 2019-07-15 2022-02-07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358199B1 (ko) 2019-07-15 2022-02-07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358197B1 (ko) 2019-07-15 2022-02-07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355062B1 (ko) 2019-07-15 2022-01-25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355064B1 (ko) 2019-07-15 2022-01-25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20210008794A (ko) * 2019-07-15 2021-01-25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355742B1 (ko) 2019-07-15 2022-01-27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355743B1 (ko) 2019-07-15 2022-01-27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355744B1 (ko) 2019-07-15 2022-01-27 (주)셀리턴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340242B1 (ko) 2020-02-25 2021-12-16 문쥬리 스팀 마사지 미용장치
KR20210108519A (ko) * 2020-02-25 2021-09-03 문쥬리 스팀 마사지 미용장치
KR20210145004A (ko) * 2020-05-22 2021-12-01 김진성 다단분리 다기능 led 마스크
KR102377505B1 (ko) * 2020-05-22 2022-03-24 김진성 다단분리 다기능 led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617B1 (ko)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KR101497619B1 (ko) 얼굴과 목을 광자극할 수 있는 피부미용장치
KR101550320B1 (ko) 광을 이용한 피부미용장치
KR101497620B1 (ko) 광을 이용한 피부미용장치
KR101807533B1 (ko) 엘이디 마스크
US20190336787A1 (en) Mask apparatus for skin beauty and mask apparatus for skin beauty with complex layer including gold and silver
KR20160095878A (ko) 미용 마스크
KR20170008842A (ko) 피부 치료를 위한 광치료 장치
KR101214552B1 (ko) 안면마사지용 마스크
KR101932579B1 (ko) 피부관리기
US11123572B2 (en) Eyewear phototherapy device for eye cosmetology
CN209405520U (zh) 一种led保健头盔装置
KR20150135618A (ko) 치료 또는 미용용 발광모듈
KR102091241B1 (ko) 산소공급 눈마스크가 구비되는 led 피부 마스크
KR102305199B1 (ko)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
JP2024012108A (ja) 個人用組み合わせ刺激ledマスク
KR20220036286A (ko) 비염치료 및 통증치료를 위한 복합 의료기
CN109045482A (zh) 一种led保健头盔装置
KR102375681B1 (ko) 피부관리용 마스크
KR102091249B1 (ko) 눈마스크가 구비되는 산소공급 led 피부 마스크
CN204972714U (zh) 一种用于皮肤治疗的led面具
KR20220042012A (ko) 눈 마사지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엘이디 마스크
CN210078629U (zh) 一种背部光疗装置
KR102128022B1 (ko) 복합형 헤드 미용장치
JP2021072984A (ja) 光線療法スポット付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