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168B1 -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 Google Patents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168B1
KR102292168B1 KR1020190114606A KR20190114606A KR102292168B1 KR 102292168 B1 KR102292168 B1 KR 102292168B1 KR 1020190114606 A KR1020190114606 A KR 1020190114606A KR 20190114606 A KR20190114606 A KR 20190114606A KR 102292168 B1 KR102292168 B1 KR 102292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holder
skin
sea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798A (ko
Inventor
김일수
Original Assignee
(주)셀리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셀리턴 filed Critical (주)셀리턴
Publication of KR20210008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얼굴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부가 안착되는 마스크거치부와, 마스크부가 마스크거치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마스크부의 측면부와 접하는 마스크홀딩부를 포함하고, 마스크홀딩부는, 마스크부와 면접촉되는 홀더내피부와, 홀더내피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홀더내피부와의 사이에 전자부품을 설치가능한 제3조립공간부를 형성하며, 외관을 이루는 홀더외피부와, 홀더내피부와 홀더외피부를 상호 결속하는 홀더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MASK APPARATUS FOR SKIN CARE}
본 발명은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얼굴 피부를 관리, 개선하기 위한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질환 치료를 위한 광선 요법은 광이 피부 내에서 생화학적 반응을 촉진하는 사실에 기반한 것으로서, 태양광, 레이저, 형광등, UV 램프 등 다양한 광원을 이용하여 피부 조직의 재생 또는 파괴 등을 통해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는 광 의료 기술이다. 최근에는 피부질환치료뿐만 아니라 피부 미용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피부 치료 방법은 피부과, 피부 전용 치료샵, 미용실 등의 일정한 규모를 갖춘 업소에서 시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가정이나 직장 등에서 피부 관리를 받기는 쉽지 않다. 또한, 피부 관리는 일정 시간 간격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또한 장기간 시행되어야 효과가 있으나, 피부과, 피부 전용 치료샵, 미용실 등에서 피부 관리를 받기 위한 시간을 별도로 내기가 어려워 실질적으로 지속적인 관리를 받기가 쉽지 않고, 무엇보다도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므로 금전적 부담으로 인해 피부 관리를 장시간 지속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823263호(2018.01.24 등록, 발명의 명칭: 피부개선과 흉터치료를 겸비하는 엘이디 미용 마스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가정, 직장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장소에서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얼굴 피부를 관리, 치료할 수 있는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는, 얼굴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부가 안착되는 마스크거치부; 및 상기 마스크부가 상기 마스크거치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부의 측면부와 접하는 마스크홀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홀딩부는, 상기 마스크부와 면접촉되는 홀더내피부; 상기 홀더내피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내피부와의 사이에 전자부품을 설치가능한 제3조립공간부를 형성하며, 외관을 이루는 홀더외피부; 및 상기 홀더내피부와 상기 홀더외피부를 상호 결속하는 홀더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3조립공간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마스크부에 내장된 상기 광조사부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전원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내피부와 상기 홀더외피부 중 적어도 일측은, 상기 제3조립공간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무선전원공급장치가 장착되는 무선충전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충전설치부는, 상기 무선전원공급장치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고, 원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원형리브부; 상기 원형리브부의 내부에 직선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직선리브부; 및 상기 원형리브부의 내부에 상기 직선리브부와 교차되게 형성되는 교차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석을 포함하여 상기 제3조립공간부 상에 설치되고, 자성에 의해 상기 홀더내피부를 상기 마스크부에 밀착시키는 마스크홀딩자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내피부와 상기 홀더외피부 중 적어도 일측은, 상기 제3조립공간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홀딩자석부가 장착되는 홀딩자석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딩자석설치부는, 복수개가 이격간격을 두고 상기 마스크홀딩자석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마스크홀딩자석부와 탄성접촉되는 스냅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조립부는, 상기 홀더외피부 상에 형성되는 암조립부; 상기 홀더내피부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부; 상기 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암조립부에 체결되는 홀더체결부재; 및 상기 홀더체결부재를 커버링하며 상기 홀더내피부에 부착되는 부착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는, 마스크부를 얼굴에 장착한 상태에서 광조사부를 이용해 피부 치료용 광을 조사하면서 얼굴 피부 관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가정, 직장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장소에서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얼굴 피부를 관리, 치료할 수 있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2, 도 14,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부분, B부분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C부분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D부분, E부분, F부분 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G부분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착용밴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착용밴드부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1, 도 22,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부와 착탈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홀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측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홀딩부의 회동 작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2, 도 14,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A부분, B부분 확대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C부분 확대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D부분, E부분, F부분 확대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G부분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착용밴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착용밴드부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1, 도 22,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부와 착탈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홀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측면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의 마스크홀딩부의 회동 작동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는, 얼굴의 피부 관리, 개선에 도움이 되는 파장의 광을 얼굴의 피부에 조사하기 위한 장치로, 전체적으로 마스크 형상을 가지는 피부관리장치(도면부호 미표기)와, 마스크 형상을 가지는 피부관리장치를 거치한 상태로 보관, 관리하기 위한 거치장치(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는, 마스크부(10), 광조사부(20), 착용밴드부(30), 착탈커버(40), 커버홀딩자석부(50), 유선충전접속부(61), 무선충전접속부(62), 마스크거치대(70), 무선전원공급장치(80), 마스크홀딩자석부(90)를 포함한다. 마스크부(10), 광조사부(20), 착용밴드부(30), 착탈커버(40), 커버홀딩자석부(50), 유선충전접속부(61), 무선충전접속부(62)는 피부관리장치의 구성요소이고, 마스크거치대(70), 무선전원공급장치(80), 마스크홀딩자석부(90)는 거치장치의 구성요소이다.
마스크부(10)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된다. 광조사부(20)는 피부 관리를 위한 광원(21)을 구비하여 마스크부(10)의 내부에 설치된다. 광원(21)에서는 피부 세포를 자극하는 파장의 빛을 발산한다. 마스크부(10)를 얼굴에 착용한 상태에서 광조사부(20)에서 발산된 광은 얼굴로 조사되고, 광원(21)의 파장 영역에 따라 표피세포 활성화, 청결, 피부 재생 촉진 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광원(21)은 서로 다른 파장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다양한 사양이 복합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광원(21) 중 일부는 460nm 내지 470nm의 파장을 출력하는 LED일 수 있고, 다른 일부는 620nm 내지 680nm의 파장을 출력하는 LED일 수 있고, 또 다른 일부는 760nm 내지 900nm 파장을 출력하는 LED일 수 있다.
460nm 내지 470nm의 적외선 파장의 경우, 표피세포를 활성화시키고, 혈류량을 증가시켜 피부 조직을 활성화함으로써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원(21)에서 발광되는 광과 그 발광에 의해 발생되는 열 등에 의해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만드는 세포를 자극하여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활발한 생성을 유도할 수 있다.
620nm 내지 680nm의 파장의 경우, 피부 표피세포의 살균, 청결시킴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760nm 내지 900nm 파장의 적외선의 경우, 상기 서술한 2개의 파장 영역대를 가지는 광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그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광조사부(20)의 작용에 의해 얼굴 피부 및 주름 개선, 치료, 예방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착용밴드부(30)는 마스크부(10)를 얼굴을 포함한 안면부에 결속시키기 위한 장치부로, 안면부를 커버하는 마스크 형상을 가지는 마스크부(10)에 후방으로 연장되게 연결된다. 착용밴드부(30)는 밴드 형상을 가지고, 후두부를 감싸며 착용된다.
착탈커버(40)는 마스크부(10)의 전면부에 착탈된다. 커버홀딩자석부(50)는 착탈커버(40)의 착용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부로, 자석을 포함하여, 마스크부(10)에 내장된다. 착탈커버(40)는 얼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마스크부(10)의 중앙부에 착탈된다.
커버홀딩자석부(50)는 착탈커버(40)의 중앙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눈개방부(112)와 코개방부(113)의 사이에 좌우측 한 쌍이 배치된다. 착탈커버(40) 중 커버홀딩자석부(5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커버자성부착부(49)가 설치된다. 커버자성부착부(49)는 자석 또는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커버홀딩자석부(50)의 자력에 의해 마스크부(10)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커버홀딩자석부(50)는 자석을 포함하여 마스크부(10)에 내장됨으로써, 안면부에 자기장을 작용시켜 통증 완화 및 혈액순환 촉진을 도모할 수 있다. 혈액에 포함된 여러가지 이온들은 커버홀딩자석부(50)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 및 이에 의해 유도된 전류로 인해 원활하게 활성화되어, 자율신경에 순영향을 끼치고, 혈액순환 촉진, 질병 개선 등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유선충전접속부(61)는 광조사부(20)를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유선으로 연결하여 충전하기 위한 장치부로, 마스크부(10)에 설치된다. 유선충전접속부(61)는 전원공급장치의 단자가 삽입, 접속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마스크부(10)의 상부 후단부에 배치되고, 마스크부(10)의 제1조립공간부(123)에 내장된 광조사부(20)의 배터리(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선충전접속부(61)를 형성함으로써, 거치장치 없이도 광조사부(20)의 충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직접적으로 전원을 공급받게 되므로, 무선 충전과 비교해 보다 신속하게 충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조사부(20)를 충전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무선 또는 유선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하다.
무선충전접속부(62)는 마스크부(10)가 마스크거치대(70)에 거치된 상태에서 광조사부(20)를 무선충전하기 위한 장치부로, 마스크부(10)에 설치되고, 마스크거치대(70)에 설치된 무선전원공급장치(80)와 무선으로 접속된다. 무선충전접속부(62)는 무선전원공급장치(80)와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마스크부(10)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배치되고, 마스크부(10)의 제1조립공간부(123)에 내장된 광조사부(20)의 배터리(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마스크거치대(70)는 마스크부(10)가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장치부이다. 무선전원공급장치(80)는 마스크부(10)를 마스크거치대(7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광조사부(20)의 배터리를 무선충전하기 위한 장치부로, 전류의 흐름에 의해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전자석의 구조를 가지고 마스크거치대(70)의 마스크홀딩부(76)에 설치된다.
무선충전접속부(62)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코일을 포함하여 마스크부(10)에 내장된다. 마스크부(10)를 마스크거치대(70)에 안착 시, 마스크부(10)의 좌측부와 우측부는 마스크거치대(70)의 마스크홀딩부(76)와 마주하게 되고, 무선충전접속부(62)는 마스크홀딩부(76)에 설치된 무선전원공급장치(80)와 마주함과 동시에 설정간격 이내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무선충전접속부(62)와 무선전원공급장치(80)가 설정간격 이내로 근접하게 마주한 상태에서, 무선충전접속부(62)는 무선전원공급장치(80)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장 내에 위치하게 되고, 전자기 유도에 의해 무선충전접속부(62)에 전류가 생성되어 흐르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무선으로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유선충전접속부(61)와 무선충전접속부(62)를 마스크부(10)에 배치함에 있어서는, 마스크부(10)를 마스크거치대(70)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마스크부(10)와 마스크거치대(70)간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에는 유선충전접속부(61)가 위치되고, 마스크부(10)와 마스크거치대(70)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에는 무선충전접속부(62)가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선충전접속부(61)는 마스크부(10)를 마스크거치대(70)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마스크거치대(70)와 접하지 않는 마스크부(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무선충전접속부(62)는 유선충전접속부(61)는 마스크부(10)를 마스크거치대(70)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마스크거치대(70)와 접하는 마스크부(10)의 하부 또는 측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마스크부(10)를 마스크거치대(70)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편의에 따라 유선충전과 무선충전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마스크홀딩자석부(90)는 마스크홀딩부(76)에 의한 마스크부(10)의 지지력 및 유선충전접속부(61)와 무선충전접속부(62)간의 접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부로, 자석을 포함하여 마스크홀딩부(76) 상에 배치된다. 마스크부(10) 중 마스크홀딩자석부(9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홀더자성부착부(17)가 설치된다.
홀더자성부착부(17)는 자석 또는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조립공간부(123)에 내장된다. 마스크홀딩자석부(90)의 자력에 의해 홀더자성부착부(17)와 마스크홀딩자석부(90)간에 인력이 작용하게 되고, 홀더자성부착부(17)와 마스크홀딩자석부(90)의 사이에 위치되는 마스크부(10)의 외피부(122)와 마스크홀딩부(76)의 홀더내피부(77)가 상호 밀착된다.
마스크부(10)를 마스크거치대(70)에 거치 시 홀더자성부착부(17)와 마스크홀딩자석부(90)간의 자성 작용에 의해, 상기와 같이 마스크부(10)와 마스크홀딩부(76)간의 밀착, 접속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마스크홀딩부(76)를 이용해 마스크부(10)의 좌측부와 우측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유선충전접속부(61)와 무선충전접속부(62)간의 이격간격을 설정간격 이내로 안정되게 확보, 유지할 수 있어 무선 충전 기능의 안정성,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부(10)는 얼굴커버부(11), 전두커버부(12), 목커버부(13), 착탈커버안착부(14), 커버조립턱부(15), 연장선부(16), 홀더자성부착부(17)를 포함한다.
얼굴커버부(11)는 마스크부(10)중 얼굴을 커버하는 장치부이다. 얼굴커버부(11)에 내장되는 광원(21)은 파장 영역에 따라 얼굴의 피부를 구성하는 표피세포 활성화, 청결, 피부 재생 촉진 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굴커버부(11)는 얼굴커버본체부(11a)와 귀간섭방지부(11b)를 포함한다.
얼굴커버본체부(11a)는 얼굴의 윤곽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가지고, 눈, 코, 입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개방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굴커버본체부(11a)는 상부곡면부(111a), 하부곡면부(111b), 전후방단턱부(111c), 눈개방부(112), 코개방부(113), 입개방부(114), 통기개방부(115)를 포함한다.
상부곡면부(111a)는 코의 하부에서 이마에 이르는 얼굴 상부를 커버하는 장치부로, 얼굴 상부를 커버할 수 있는 곡면의 형상을 가진다. 상부곡면부(111a)는 이마에서 코의 하부에 이르기까지 전방 및 측방향으로 연속하여 볼록한, 즉 곡률 중심이 내측에 위치되는 곡면의 형상을 가진다. 상부곡면부(11a) 상에는 눈개방부(112)가 형성된다.
하부곡면부(111b)는 코의 하부에서 턱에 이르는 얼굴 하부를 커버하는 장치부로, 얼굴 하부를 커버할 수 있는 곡면의 형상을 가진다. 하부곡면부(111b)는 인중에서 턱에 이르기까지 전방 및 측방향으로 연속하여 볼록한, 즉 곡률 중심이 내측에 위치되는 곡면의 형상을 가진다. 하부곡면부(111b) 상에는 입개방부(114)가 형성된다.
하부곡면부(111b)는 상부곡면부(111a)보다 큰 곡률반경을 가진다. 또한, 하부곡면부(111b)의 상단부는 상부곡면부(111a)의 하단부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전후방단턱부(111c)는 상부곡면부(111)와 하부곡면부(111b)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단턱지게 형성된다.
하부곡면부(111b)가 상부곡면부(111a)보다 큰 곡률반경을 가지고, 그 상단부가 상부곡면부(111a)의 하단부보다 후방에 위치됨에 따라, 전후방단턱부(111c)는 코의 하부에서 좌우측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U'자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전후방단턱부(111c) 상에는 코개방부(113)가 형성된다.
눈개방부(112)는 눈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코개방부(113)는 코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코개방부(113)는 전후방단턱부(111c)의 좌우 연장방향의 중간부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입개방부(114)는 입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통기개방부(115)는 마스크부(10)를 얼굴에 착용한 상태에서 피부에서 배출된 노폐물이 포함된 공기가 마스크부(10)를 통과하여 마스크부(10)의 외측으로 유동될 수 있게 개방형성되는 통기 장치부이다. 통기개방부(115)는 착용자의 좌측 볼과 우측 볼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통기개방부(115)는 코개방부(113)와 연통되고 볼측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을 가진다.
통기개방부(115)는 코개방부(113)의 좌우측부에 연통되게 형성되고, 전후방단턱부(111c)와 하부곡면부(111b)간의 경계부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통기개방부(115)는 마스크부(10)의 외관 일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얼굴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볼에 배치되면서도, 또한 통기 성능 확보를 위해 좌우방향으로 설정길이로 연장되면서도, 마스크부(10)의 고급스러운 미감을 저해하지 않는다.
마스크부(10)의 외관 디자인은, 사용자가 피부관리 제품을 선정함에 있어서, 기능 못지 않게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마스크부(10)의 미감을 저해하지 않기 위해, 통기를 고려한 개방부를 형성하지 않거나, 통기를 위한 개방부를 마스크부(10)의 가장자리부에 형성할 수 밖에 없었다. 상기와 같이 전후방단턱부(111c)와 하부곡면부(111b)간의 경계부를 따라 통기개방부(115)를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함으로써, 얼굴의 중앙부에 통기 성능을 확보가능한 설정길이의 개방부를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마스크부(10)의 고급스러운 미감을 유지할 수 있다.
귀간섭방지부(11b)는 귀를 커버하는 장치부로, 얼굴커버본체부(11a)의 후방부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착용밴드부(30)는 마스크부(10)의 좌우측 후방부에 연결되는데, 귀간섭방지부(11b)에 대응되는 구성을 생략하고, 얼굴커버본체부(11a)에 착용밴드부(30)를 직접 결합시키는 경우, 착용밴드부(30)의 착용 시 착용밴드부(30)가 사용자의 귀나 귀 주변의 머리카락과 간섭될 수 있다.
얼굴커버본체부(11a)를 사용자의 안면부를 커버하게 착용 시 귀갑섭방지부(11b)는 자연히 사용자의 좌우측 귀를 커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착용밴드부(30)는 귀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고, 착용밴드부(30)와 사용자의 귀 간의 간섭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이에 따라 착용밴드부(30)의 착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두커버부(12)는 얼굴의 상측에 위치한 전두부를 커버하는 장치부로, 얼굴커버부(11)의 상부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전두커버부(12)에 내장되는 광원(21)은 탈모 치료에 도움이 되는 파장의 빛을 발광한다. 전두커버부(12)에 내장된 광원(21)의 파장 영역에 따라 두피 조직의 활성화, 청결, 발모 촉진 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두커버부(12)는 전두커버본체부(12a)와 안착착용부(12b)를 포함한다.
전두커버본체부(12a)는 전두부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두커버본체부(12a)는 상부곡면부(111a)의 상부에 연속하여 형성되되, 상부곡면부(111a)와 연속된 곡면을 이룬다. 안착착용부(12b)는 착용자의 머리에 안착되는 장치부로, 전두커버본체부(12a)의 상부 중앙부에 정수리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마스크부(10)를 얼굴에 착용함에 있어서, 착용밴드부(30)를 이용해 횡방향으로의 착용력을 확보할 수 있고, 안착착용부(12b)가 머리에 안착되어 걸쳐짐에 따라 종방향으로의 착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목커버부(13)는 얼굴의 하측에 위치한 턱과 목을 커버함과 동시에 마스크거치대(70)에 안착되는 장치부로, 얼굴커버부(11)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목커버부(13)에 내장되는 광원(21)은, 얼굴커버부(11)에 내장되는 광원(21)과 마찬가지로, 파장 영역에 따라 목과 턱의 피부를 구성하는 표피세포 활성화, 청결, 피부 재생 촉진 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커버부(13)는 목커버본체부(13a), 턱커버부(13b)를 포함한다.
목커버본체부(13a)는 목의 전방부를 커버하는 장치부로, 목의 전방부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가진다. 턱커버부(13b)는 턱을 커버하는 장치부로, 목커버본체부(13a)와 얼굴커버부(11)의 사이에 형성된다. 턱커버부(13b)는 하부곡면부(111b)의 하부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목커버본체부(13a)는 턱커버부(13b)의 하부에 하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마스크부(10)는 얼굴커버부(11), 전두커버부(12), 목커버부(13)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안면부 뿐만 아니라, 턱과 목의 피부까지 관리, 치료할 수 있고, 전두부의 두피까지 관리,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에 의하면, 얼굴, 목, 두피 관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개별적으로 수행함에 따른 번거로움이나 시간 소모를 해결할 수 있고, 광원(21)의 점등을 조절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부위별로 선택적으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목커버부(13)는 마스크거치대(70)에 안착된다. 도 4, 도 8을 참조하면, 마스크거치대(70)와 실질적으로 접하게 되는 목커버부(13)의 가장자리부는, 마스크거치대(70)에 형성된 전방유도안착부(71b)와 하중분산안착부(76b)에 대응되는 굴곡진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커버부(13)의 가장자리부는, 슬라이딩굴곡부(131)와 걸침굴곡부(132)를 포함한다.
슬라이딩굴곡부(131)는 후방으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증가하는 굴곡진 형상을 가지고, 전방유도안착부(71b)에 안착된다. 걸침굴곡부(132)는 후방으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감소하는 굴곡진 형상을 가지고, 하중분산안착부(76b)에 안착된다.
착탈커버안착부(14)는 착탈커버(40)가 장착되는 장치부로, 마스크부(10)의 전면부 상에 착탈커버(4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착탈커버(40)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커버조립턱부(15)는 착탈커버안착부(14)의 가장자리부에 단턱지게 형성된다.
착탈커버(40)를 착탈커버안착부(14)에 장착한 상태에서, 착탈커버(40)의 가장자리부는 커버조립턱부(15)에 걸린다. 커버조립턱부(15)를 착탈커버안착부(14)의 전 둘레에 걸쳐 연장되게 형성함으로써, 착탈커버(40)가 착탈커버안착부(14)의 외부로 유동되거나 슬립되어 이탈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다.
착탈커버안착부(14) 중 얼굴의 중앙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연장선부(16)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연장선부(16)는 선형의 형태를 이루어 연장되게 형성되되,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각진 형상을 가진다. 즉, 연장선부(16)는 전방으로 뾰족한 모서리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장선부(16)는 착탈커버안착부(14)와 함께 얼굴에 대응되는 입체적인 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착탈커버(40)의 좌우방향으로의 유동, 슬립을 안정되게 구속할 수 있는 걸림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홀더자성부착부(17)는 자석 또는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마스크홀딩자석부(9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홀더자성부착부(17)는 자석 또는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조립공간부(123)에 내장된다. 마스크홀딩자석부(90)의 자력에 의해 홀더자성부착부(17)와 마스크홀딩자석부(90)간에 인력이 작용하게 되고, 홀더자성부착부(17)와 마스크홀딩자석부(90)의 사이에 위치되는 마스크부(10)의 외피부(122)와 마스크홀딩부(76)의 홀더내피부(77)가 상호 밀착된다.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부(10)는 내피부(121), 외피부(122), 내외피조립부(124)를 포함한다.
내피부(121)는 얼굴과 마주하는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광원(21)에서 발광된 빛이 투광될 수 있는 투광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피부(121)는 내피본체부(121a)와 갭커버부(121b)를 포함한다.
내피본체부(121a)는 외피부(122)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외피부(122)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외피부(122)와 내피본체부(121a)의 사이에는 제1조립공간부(123)에 해당되는 중공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제1조립공간부(123)는 마스크부(10)의 전반에 걸쳐 연속하여 연통되게 형성된다.
갭커버부(121b)는 제1조립공간부(123)의 가장자리부를 폐쇄하기 위한 장치부로, 내피본체부(121a)의 가장자리부에 외피부(122)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외피부(122)의 가장자리부와 접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갭커버부(121b)는 상부갭커버부(121c), 하부갭커버부(121d), 중간갭커버부(121e)가 연속하여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상부갭커버부(121c)는 내피본체부(121a)의 상부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부갭커버부(121c)의 상부는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갭커버부(121c)의 하부는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하부갭커버부(121d)는 내피본체부(121a)의 하부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하부갭커버부(121d)의 상부는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갭커버부(121d)의 하부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마스크부(10)를 마스크거치대(70)에 거치 시, 하부갭커버부(121d)가 실질적으로 마스크거치대(70)와 접하게 되고, 상부갭커버부(121c)는 마스크거치대(70)의 상측에 이격되게 위치된다. 도 4, 도 8을 참조하면, 하부갭커버부(121d)는 마스크거치대(70)의 전방유도안착부(71b)와 하중분산안착부(76b)에 대응되는 굴곡진 형상을 가지고, 마스크거치대(70)에 안착된다.
중간갭커버부(121e)는 착용밴드부(30)가 결합되는 장치부로, 상부갭커버부(121c)와 하부갭커버부(121d)의 사이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간갭커버부(121e)는 중간갭커버본체부(121f)와 밴드삽입홀부(121g)를 포함한다.
중간갭커버본체부(121f)는 상부갭커버부(121c)와 하부갭커버부(121d)의 사이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밴드삽입홀부(121g)는 중간갭커버본체부(121f) 상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중간갭커버부(121e)의 전방에는 착용밴드부(30)의 단부가 체결, 고정되는 밴드체결부(128)가 설치된다. 착용밴드부(30)의 단부는 후방에서 밴드삽입홀부(121g)에 끼워지고, 밴드삽입홀부(121g)를 관통하여 밴드삽입홀부(121g) 전방의 밴드체결부(128)까지 도달될 수 있다.
외피부(122)는 사용자가 마스크부(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외부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마스크부(10)의 외관 디자인을 주요하게 형성한다. 내피부(121)와 외피부(122)의 사이에는 중공의 제1조립공간부(123)가 형성된다. 제1조립공간부(123)에는 복수개의 광원(21)과 배터리를 포함하는 광조사부(20), 홀더자성부착부(17), 유선충전접속부(61), 무선충전접속부(62) 등이 수용된다.
내외피조립부(124)는 내피부(121)와 외피부(122)를 상호 결속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외피조립부(124)는 제1암체결부(124a), 제2암체결부(124b), 커버조립홈부(124c), 조립홈부(125), 내외피체결부재(126), 조립커버부재(127), 밴드체결부(128)를 포함한다.
제1암체결부(124a)는 내피부(121) 상에 형성된다. 제2암체결부(124b)는 외피부(122) 상에 형성되고, 내피부(121)와 외피부(122)를 겹친 상태에서 제1암체결부(124a)와 연통된다. 내외피체결부재(126)는 수나사 구조를 가지고, 제1암체결부(124a)를 관통하여 제2암체결부(124b)에 체결된다. 제1암체결부(124a), 제2암체결부(124b), 내외피체결부재(126)에 의해 내피부(121)와 외피부(122)가 상호 결속될 있다.
커버조립홈부(124c)는 외피부(122) 상에 제2암체결부(124b)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내피부(121)와 외피부(122)를 겹친 상태에서, 커버조립홈부(124c)는 내피부(121)의 갭커버부(121b) 상에 관통되게 형성된 커버조립홀부(125c)와 연통된다. 조립커버부재(127) 상에 형성된 외피체결부(127c)는 커버조립홀부(125c)를 관통하여 커버조립홈부(124c)에 끼워져 체결된다.
커버조립홈부(124c), 커버조립홀부(125c), 외피체결부(127c)에 의해, 조립커버부재(127)로 내외피체결부재(126)를 커버링하면서 외피부(122)에 결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립커버부재(127)의 체결 구조에 의해 조립커버부재(127)를 내피부(121)에 결속시킴과 동시에, 내피부(121)와 외피부(122)를 상호 결속시킬 수 있다.
제1암체결부(124a), 제2암체결부(124b), 내외피체결부재(126)간의 체결부와, 커버조립홈부(124c), 커버조립홀부(125c), 외피체결부(127c)간의 체결부는, 내피부(121)와 외피부(122)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이격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된다. 이러한 내외피조립부(124)의 조립구조에 의해, 내외피체결부재(126) 등과 같은 체결부재의 외부 노출 없이 내피부(121)의 가장자리부와 외피부(122)의 가장자리부를 상호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어, 마스크부(10)의 디자인 심미감과 구조적 견고성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조립홈부(125)는 조립커버부재(127)가 삽입되는 홈부로, 갭커버부(121b) 상에 조립커버부재(127)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조립홈부(125)는 제1암체결부(124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홈부(125)는 조립홈본체부(125a), 커버체결홀부(125b), 커버조립홀부(125c)를 포함한다.
조립홈본체부(125a)는 갭커버부(121b) 상에 조립커버부재(127)의 두께에 대응되는 설정깊이로, 즉 균일한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조립홈본체부(125a)를 제1암체결부(124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조립홈본체부(125a)는 제1암체결부(124a)와 연통된다.
커버체결홀부(125b)는 조립커버부재(127)의 단부가 체결되는 장치부로, 조립홈본체부(125a)의 연장방향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 상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커버조립홀부(125c)는 조립홈본체부(125a)의 연장방향의 중간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암체결부(124a)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커버조립홈부(124c)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내외피체결부재(126)는 수나사 구조를 가지고 조립홈본체부(125a)에 인입되고, 내피부(121)를 관통하여 외피부(122)에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외피체결부재(126)는 내피부(121) 상에 형성된 제1암체결부(124a)를 관통하여, 외피부(122) 상에 형성된 제2암체결부(124b)에 체결된다.
제1암체결부(124a)의 후단부에는, 수나사 구조를 가지는 내외피체결부재(126)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내외피체결부재(126)를 체결 시 내외피체결부재(126)는 조립홈본체부(125a)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고, 조립홈본체부(125a)에 끼워지는 조립커버부재(127)와 간섭되지 않는다.
조립커버부재(127)는 조립홈본체부(125a)의 후방에 노출되는 내외피체결부재(126)의 헤드부를 커버링하며 조립홈부(125)에 결합된다. 조립커버부재(127)를 조립홈부(125)에 삽입한 상태에서, 조립커버부재(127)의 후면부는 갭커버부(121b)의 후면부와 연속된 외면을 이룬다. 조립커버부재(127)는 상부갭커버부(121c)의 좌우측부, 하부갭커버부(121d)의 좌우측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커버부재(127)는 조립커버본체부(127a), 내피체결부(127b), 외피체결부(127c)를 포함한다.
조립커버본체부(127a)는 조립커버부재(127)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조립홈본체부(125a)에 대응되는 설정두께를 가지고, 조립홈본체부(125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내피체결부(127b)는 조립커버본체부(127a)의 단부 상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내피체결부(127b)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전방돌출부(도면부호 미표기)와, 전방돌출부의 단부에 전방돌출부의 연장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예를 들어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이향돌출부(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한다.
즉, 내피체결부(127b)는 조립커버본체부(127a)의 단부 상에 'ㄱ'자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내피체결부(127b)는 후방으로부터 커버체결홀부(125b)에 끼워지고, 커버체결홀부(125b)를 관통한 전단부가, 즉 이향돌출부가 커버체결홀부(125b)의 전방부에 걸려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커버체결홀부(125b)와 내피체결부(127b)간의 체결구조에 의해, 조립커버부재(127)로 내외피체결부재(126)를 커버링하면서 조립홈부(125)에 안정되게 결속할 수 있다.
외피체결부(127c)는 내피부(121)를 관통하여 외피부(122)와 결합되는 장치부로, 조립커버본체부(127a) 상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외피체결부(127c)는 내피부(121)의 후단부에 형성된 조립홈부(125)를,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립홈본체부(125a)와 커버조립홀부(125c)를 관통하여, 외피부(122) 상에 형성된 커버조립홈부(124c)에 끼워진다.
상기와 같은 커버조립홈부(124c), 커버조립홀부(125c), 외피체결부(127c) 간의 체결 구조에 의해, 조립커버부재(127)로 내외피체결부재(126)를 커버링하면서 외피부(122)에 안정되게 결속시킬 수 있고, 내피부(121)와 외피부(122), 조립커버부재(127)를 상호 결속시킬 수 있다.
밴드체결부(128)는 착용밴드부(30)와 결합되는 장치부로, 내피부(121) 상에 설치되고, 착용밴드부(30)의 마스크결합부(310)와 결합된다. 중간갭커버본체부(121f) 상에는 밴드삽입홀부(121g)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밴드체결부(128)는 중간갭커버부(121e)의 전방에 설치된다.
착용밴드부(30)의 단부를 구성하는 마스크결합부(310)는 후방에서 밴드삽입홀부(121g)에 끼워지고, 밴드삽입홀부(121g)를 관통하여 밴드삽입홀부(121g) 전방의 밴드체결부(128)까지 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체결부(128)는 밴드체결본체부(128a), 밴드체결홀부(128b), 밴드조립턱부(128c), 브라켓고정홀부(128d)를 포함한다.
밴드체결본체부(128a)는 착용밴드부(30)의 전단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밴드삽입홀부(121g)를 관통한 마스크결합부(310)의 돌출브라켓부(312)의 일측면부와 접하는 장치부로, 내피부(121) 상에 형성된 밴드삽입홀부(121g)의 전방에 배치된다. 돌출브라켓부(312)의 일측면부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밴드체결본체부(128a)는 돌출브라켓부(312)의 일측면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즉 전후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돌출브라켓부(312)와 측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밴드체결홀부(128b)는 밴드체결본체부(128a) 상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돌출브라켓부(312) 상에는 밴드고정홀부(313)가 형성되고, 밴드체결홀부(128b)는 밴드고정홀부(31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밴드체결부재(314)는 수나사 구조를 가지고, 밴드고정홀부(313)를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밴드체결홀부(128b)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밴드체결홀부(128b), 밴드고정홀부(313), 밴드체결부재(314) 간의 체결구조에 의해, 착용밴드부(30)를 마스크부(10)에 안정되게 결속할 수 있다. 착용밴드부(30)를 후방으로 당기는 장력이 작용 시, 착용밴드부(30)에 작용되는 후방 장력은,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밴드체결부재(314)를 통해, 정위치에 고정설치된 밴드체결본체부(128a)까지 전달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착용밴드부(30)의 후방 이동을 안정되게 구속, 방지할 수 있다.
밴드조립턱부(128c)는 밴드체결본체부(128a)의 전단부에 측방향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브라켓부(312)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밴드조립턱부(128c)는 돌출브라켓부(312)의 전방에 배치되고, 밴드삽입홀부(121g)를 통과한 돌출브라켓부(312)는 밴드조립턱부(128c)에 걸쳐 전방 이동이 구속된다.
브라켓고정홀부(128d)는 내피부(121)와 체결되는 장치부로, 밴드조립턱부(128c)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브라켓체결부재(128e)에 의해 내피부(121) 상에 형성된 브라켓체결홈부(121h)에 체결된다. 브라켓체결홈부(121h)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홈부의 구조를 가지고, 내피부(121)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브라켓체결부재(128e)는 밴드조립턱부(128c)의 전방에서 브라켓고정홀부(128d)를 관통하여, 밴드조립턱부(128c)의 후방에 배치된 브라켓체결홈부(121h)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착용밴드부(30)를 후방으로 당기는 장력이 작용 시, 착용밴드부(30)에 작용한 후방 장력은 밴드체결본체부(128a)를 거쳐 밴드체결본체부(128a)와 일체로 연결된 밴드조립턱부(128c)로 전달된다. 이때, 밴드조립턱부(128c)는 밴드조립턱부(128c)의 후방에 배치된 브라켓체결홈부(121h)에 걸려 후방 이동이 안정되게 구속, 방지된다.
밴드체결본체부(128a), 밴드체결홀부(128b), 밴드조립턱부(128c), 브라켓고정홀부(128d)는 하나의 금속 판재 상에 밴드체결홀부(128b)와 브라켓고정홀부(128d)에 대응되는 홀부를 펀칭 가공하고, 밴드체결본체부(128a)와 밴드조립턱부(128c)간의 경계부를 절곡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브라켓체결부재(128e)와 밴드체결부재(314)에 의해 내피부(121), 착용밴드부(30)와 안정되게 결속될 수 있다.
도 5, 도 12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밴드부(30)는 제1밴드부(31), 제2밴드부(32)를 포함한다.
제1밴드부(31)는 밴드 형상을 가지고 마스크부(10)의 좌측부와 연결되며, 제1결속돌기부(33)와 제2결속돌기부(34)가 형성된다. 제2밴드부(32)는 밴드 형상을 가지고 마스크부(10)의 우측부와 연결되며, 제1결속돌기부(33)와 제2결속돌기부(34)가 끼워져 걸리는 복수개의 결속홀부(36)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밴드부(31)와 제2밴드부(32)는 마스크결합부(310)와 밴드본체부(320)를 포함한다.
마스크결합부(310)는 마스크부(10)와 결합되는 장치부로, 금속, 플라스틱 등과 같이 밴드본체부(320)보다 강성이 우수한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밴드본체부(320)는 고무재 등과 같이 외력에 의해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연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결합부(310)는 밴드연결부(311), 돌출브라켓부(312), 밴드고정홀부(313)를 포함한다.
밴드연결부(311)는 마스크결합부(310) 중 밴드본체부(320)와 연결되는 장치부로, 밴드본체부(320)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된다. 돌출브라켓부(312)는 마스크부(10)와 결합되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밴드체결부(128)와 결합되는 장치부로, 밴드연결부(311)와 일체로 연결되고, 밴드본체부(320)의 외부로 돌출된다.
돌출브라켓부(312)는 밴드삽입홀부(121g)를 통해 마스크부(10)의 내부에, 즉 제1조립공간부(123)에 삽입되고, 내피부(121) 상에 고정설치된 밴드체결부(128)에 체결, 고정된다. 밴드고정홀부(313)는 돌출브라켓부(312) 상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수나사 구조를 가지는 밴드체결부재(314)에 의해 관통되어 밴드체결부(128)에 고정된다.
밴드본체부(320)는 제1밴드부(31)와 제2밴드부(32)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밴드 형상을 가지고, 마스크결합부(310)와 일체로 연결된다. 밴드본체부(320)는 연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밴드본체부(320)보다 강한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 마스크결합부(310)를 인서트하여 사출 성형됨으로써, 마스크결합부(310)와 일체로 연결,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본체부(320)는 결합강성확보부(321)와 유연연장부(322)를 포함한다.
결합강성확보부(321)는 마스크결합부(310)의 밴드연결부(311)와 일체로 연결되는 장치부로, 마스크결합부(310)보다 확장된 두께로 형성된다. 마스크결합부(310)는 밴드연결부(311)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밴드연결부(311)와 일체로 결합된다. 유연연장부(322)는 결합강성확보부(321)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결합강성확보부(321)보다 얇은 두께로 연장된다.
제1밴드부(31)의 유연연장부(322) 상에는 제1결속돌기부(33)와 제2결속돌기부(34)가 형성된다. 제2밴드부(35)의 유연연장부(322) 상에는 결속홀부(36)가 형성된다. 제1결속돌기부(33)는 제1밴드부(31)의 연장방향의 중간부에 배치된다. 제2결속돌기부(34)는 제1밴드부(31)의 단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결속돌기부(34)는 단부결속돌기부(34A)와 결속강화돌기부(34B)를 포함한다.
단부결속돌기부(34A)는 제1결속돌기부(33)와 제1설정간격(dn)을 두고 제1밴드부(31)의 단부에 배치된다. 결속강화돌기부(34B)는 단부결속돌기부(34A)와 제1설정간격(dn)/n에 해당되는 제2설정간격(d)을 두고 배치된다. 결속홀부(36)는 복수개가 제2설정간격(d)을 두고 배치된다. 제1결속돌기부(33)와 제2결속돌기부(34)에 의해 제1밴드부(31)의 중간부와 단부를 제2밴드부(35)의 결속홀부(36)에 다중으로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제2결속돌기부(34)에 의해 제1밴드부(31)의 단부를 제2밴드부(35)에 결속시킴에 있어서는, 단부결속돌기부(34A)와 결속강화돌기부(34B)에 의해 다중으로 제2밴드부(35)에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결속돌기부(33), 단부결속돌기부(34A), 결속강화돌기부(34B)는, 걸림돌출부(331)와 이탈방지단부(332)를 포함한다.
걸림돌출부(331)는 제1밴드부(31)의 상에 제2밴드부(35)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결속홀부(36)를 관통하여 끼워진다. 결속홀부(36)는 걸림돌출부(331)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진다. 이탈방지단부(332)는 걸림돌출부(331)의 단부에 걸림돌출부(331)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결속홀부(36)의 가장자리부가 걸린다.
걸림돌출부(331)를 제2밴드부(35)의 유연연장부(322)의 두께와 동일한 정도로 돌출되게 형성하면, 이탈방지단부(332)에 의해 제1밴드부(31)와 제2밴드부(35)는 상호 간의 들뜸 없이 견고하게 밀착된다. 이에 따라, 걸림돌출부(331)는 결속홀부(36)에 결속, 구속된 상태를 보다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단부(332)는 유연연장부(322)를 구성하는 소재의 연성에 의해 결속홀부(36)의 관통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결속홀부(36)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속돌기부(33)와 제2결속돌기부(34)를 결속홀부(36)에 체결하여 착용한 상태에서, 유연연장부(322)에는 그 연장방향으로, 즉 결속홀부(36)의 관통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착용밴드부(30)를 착용한 상태에서 걸림돌출부(331)는 결속홀부(36)에 결속, 구속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커버(40)는 마스크부(10)의 외관을 가변시키거나, 눈개방부(112), 입개방부(114) 등의 개방부를 통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개방부를 커버링하는 장치부로, 마스크부(10)의 외피부(122)에 착탈된다. 착탈커버(40)로는 디자인마스크(40A), 반사마스크(40B), 보호마스크(40C)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디자인마스크(40A)는 마스크부(10)의 외관을 가변시키기 위한 장치부로, 마스크부(10)와 다른 색상이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례로, 마스크부(10)의 외피부(122)는 검정색 또는 흰색의 색상을 가질 수 있고, 디자인마스크(40A)는 마스크부(10)와 대비되는 금색 또는 은색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디자인마스크(40A)를 부착함으로써, 마스크부(10)의 외관을 가변시킬 수 있고, 복수개의 서로 다른 디자인마스크(40A)를 구비하면, 마스크부(10)의 외관을 디자인마스크(40A)의 개수에 비례하여 보다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반사마스크(40B)는 착탈커버(40)는 광조사부(20)에서 발산되는 빛을 반사하는 광반사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눈개방부(112)와 입개방부(114)를 커버링하며 마스크부(10)에 부착된다. 반사마스크(40B)에 의해 눈개방부(112)와 입개방부(114)를 통해 외부 이물질이 사용자의 얼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광원(21)에서 조사된 빛이 마스크부(10)의 눈개방부(112)와 입개방부(114)를 통해 외부로 누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눈과 입 주변의 피부 관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보호마스크(40C)는 투시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마스크부(10)의 눈개방부(112)와 입개방부(114)를 커버링하며 마스크부(10)에 부착된다. 보호마스크(40C)에 의해 눈개방부(112)와 입개방부(114)를 통해 외부 이물질이 사용자의 얼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저해하지 않아 눈가림으로 인한 불안함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착탈커버(40)는 상부곡면부(111a)에서 전후방단턱부(111c)를 거쳐 하부곡면부(111b)에 이르는 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얼굴커버부(11)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착탈커버(40)는 설정두께에 해당되는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착탈커버안착부(14)에 안착, 장착된다.
착탈커버(40) 중 마스크부(10)의 연장선부(16)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즉 착탈커버(40)의 좌우방향 중간부에는 중심선부(46)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연장선부(16)는 선형의 형태를 이루어 연장되게 형성되되,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각진 형상을 가진다. 즉, 연장선부(16)는 전방으로 뾰족한 모서리의 형태로 형성된다. 중심선부(46)는 연장선부(16)에 대응되는 형상을, 즉 전방으로 돌출되게 각진 형상을 가지고, 연장선부(16)에 전방에 중첩되게 배치된다.
착탈커버(40)를 착탈커버안착부(14)에 안착, 부착시킴에 있어서는, 먼저 커버조립턱부(15)에 착탈커버(40의 가장자리부를 걸친 후, 커버조립턱부(15)와의 접촉부를 기준으로 하여 착탈커버(40)의 나머지 부분을 착탈커버안착부(14)에 대응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착탈커버(40)를 착탈커버안착부(14)에 안착, 부착시킴에 있어서는, 중심선부(46)를 착탈커버(40)의 다른 부분보다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어, 중심선부(46)를 연장선부(16)에 대응되게 위치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이 커버조립턱부(15)에 착탈커버(40의 가장자리부를 걸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착탈커버(40)를 착탈커버안착부(14)에 대응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거치대(70)는 마스크거치부(71), 마스크홀딩부(76), 전방유도안착부(71b), 하중분산안착부(76b)를 포함한다.
마스크거치부(71)는 마스크부(10)가 안착되는 장치부로, 마스크부(10)를 설정각도로 하단지지한다. 마스크부(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면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하부보다 후방에 위치되게 기울어진 상태로 마스크거치부(71)에 안착된다.
즉, 마스크부(10)는 눈개방부(112)가 정면을 향하는 각도를 기준으로 하여, 눈개방부(112)가 전방 상측을 향하는 설정각도로 기울어지게 눕혀진 상태로 마스크거치부(71)에 안착된다. 이때, 마스크부(10)는 그 하부가, 보다 구체적으로는 목커버부(13)의 가장자리부가, 보다 구체적으로는 갭커버부(212b) 중 하부갭커버부(121d)와, 하부갭커버부(121d)에 결합된 조립커버부재(127)가, 마스크거치부(71)와 접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거치부(71)는 메인거치부(71a), 전도방지부(71d), 마스크안착부(72), 안착턱부(73), 홀더결합부(74), 안착유도경사부(75), 손삽입홈부(751)를 포함한다.
메인거치부(71a)는 마스크거치부(71)의 전방부를 구성하는 장치부이고, 전도방지부(71d)는 마스크거치부(71)의 후방부를 구성하는 장치부이다. 마스크부(10)는 상부가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메인거치부(71a)에 안착되는데, 메인거치부(71a)에 안착된 상태에서 마스크부(10)의 하부는 메인거치부(71a)에 안착되고, 상부는 메인거치부(71a)의 후방의 공중에 위치된다.
메인거치부(71a)의 좌우측단부 중 후단부에는 마스크홀딩부(76)가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어, 마스크부(10)의 좌우측부 중 상하방향의 중간부와 면접촉된다. 전도방지부(71d)는 마스크부(10)의 상부가 위치되는 마스크홀딩부(76)의 후방에 메인거치부(71a)와 연속하여 형성된다.
마스크부(10)를 마스크거치부(71)에 안착시킴에 있어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마스크부(10)의 상부를 파지하고, 마스크부(10)를 마스크부(10)의 거치 각도에 해당되는 설정각도보다 더 기울어지게 시계방향으로(도 4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 눕힌 상태에서, 좌우측 한 쌍의 마스크홀딩부(76) 사이에 위치시키는 과정, 마스크부(10)의 하부를 마스크홀딩부(76) 또는 마스크홀딩부(76)가 설치된 메인거치부(71a)의 후방부에 걸치는 과정, 마스크부(10)의 하부가 메인거치부(71a)의 전방부에 보다 근접하거나 접하도록 마스크부(10)를 반시계방향으로 기울기면서 파지력을 해제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된다. 마지막 거치 동작을 거치면, 마스크부(10)가 메인거치부(71a)의 경사면을 타고 전방으로 자연히 하향 이동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위치에 설정각도로 안착된다.
상기와 같은 거치 동작 시, 마스크부(10)가 마스크홀딩부(76) 또는 메인거치부(71a)의 후방부에 걸쳐진 상태에서는, 마스크부(10)의 무게 중심이 메인거치부(71a)의 후방부에 편중되게 위치된다. 메인거치부(71a)의 후방에 전도방지부(71d)를 형성함으로써, 마스크부(10)의 중량이 메인거치부(71a)의 후방부에 편중되더라도, 전도방지부(71d)가 바닥을 기준으로 메인거치부(71a)의 후방부를 지지하게 되므로, 메인거치부(71a)가 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스크안착부(72)는 마스크부(10)의 하부가 안착되는 장치부로, 메인거치부(71a) 상에 마스크부(10)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마스크안착부(72)는 마스크부(10)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대응되는 'U'자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중간부에서 양단부측으로 갈수록 후방에 위치되고, 후방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안착턱부(73)는 마스크안착부(72)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마스크안착부(72)와, 그 외 마스크안착부(72)와 관련된 다른 구성요소과 관련하여, 내측, 외측을 설정함에 있어서는, 마스크부(10)의 내피부(121)와 접하거나 마주하는 내경부측을 내측, 마스크부(10)의 외피부(122)와 접하거나 마주하는 외경부측을 외측이라 한다. 마스크부(10)는 마스크안착부(72)에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턱부(73)에 걸려 마스크안착부(72) 외측으로의 슬립, 이동이 구속된다.
홀더결합부(74)는 마스크홀딩부(76)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부로, 메인거치부(71a) 중 마스크안착부(72)의 좌우측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결합부(74)는 홀더안착부(741), 힌지설치홀부(744), 고정축부(745)를 포함한다.
마스크홀딩부(76)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회동부(762)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밀착날개부(761)가 연결된 'ㄴ'자 형상을 가지고, 홀더결합부(74)에 설치된다. 안착회동부(762)는,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마스크안착부(72)의 후단부와 연속하여 배치되어, 마스크안착부(72)와 함께 연속된 마스크안착면을 형성한다. 밀착날개부(761)는 안착턱부(73)의 후단부와 연속하여 배치되어, 안착턱부(73)와 함께 연속된 이탈방지턱을 형성한다.
홀더안착부(741)는 마스크홀딩부(76)가 안착되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착회동부(762)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제공하는 장치부로, 메인거치부(71a) 중 마스크안착부(72)와 안착턱부(73)의 후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안착부(741)는 홀더안착홈부(742)와 회동구속턱부(743)를 포함한다.
홀더안착홈부(742)는 마스크홀딩부(76)가 삽입, 안착가능한 홈부의 형상을 가진다. 홀더안착홈부(742) 중 안착턱부(73)의 후단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외측부는 마스크안착부(72)의 후단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내측부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즉, 홀더안착홈부(742)는 외측부가 내측부보다 낮은 단턱진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마스크홀딩부(76)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마스크홀딩부(76)가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외향 회동된다고 하고, 마스크홀딩부(76)가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내향 회동된다고 한다. 도 30 상에 2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마스크홀딩부(76)가 외향 회동된 상태에서, 한 쌍의 마스크홀딩부(76)의 밀착날개부(761)는 상대적으로 더 이격되고, 도 30상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마스크홀딩부(76)가 내향 회동된 상태에서, 한 쌍의 마스크홀딩부(76)의 밀착날개부(761)는 상대적으로 더 근접된다.
회동구속턱부(743)는 마스크홀딩부(76)의 내향 회동을 구속하는 장치부로, 홀더안착홈부(742)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내향 회동 중인 마스크홀딩부(76)는 안착회동부(762)가 마스크홀딩부(76)와 접하면서 더 이상의 내향 회동이 구속된다. 마스크홀딩부(76)가 최대로 내향 회동된 상태에서 안착회동부(762)는 회동구속턱부(743)와 접하고, 마스크홀딩부(76)가 최대로 외향 회동된 상태에서, 안착회동부(762)는 홀더안착홈부(742)의 외측부와 접한다.
즉, 마스크홀딩부(76)의 회동 가능 범위는 회동구속턱부(743)와 홀더안착홈부(742)의 단턱진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마스크홀딩부(76)의 밀착날개부(761)와 마스크부(10)가 접하는 각도를 마스크홀딩부(76)의 최대 내향 각도로 설정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회동구속턱부(743)를 형성함으로써, 밀착날개부(761)와의 무리한 접촉력으로 인한 마스크부(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설치홀부(744)는 고정축부(745)를 홀더안착홈부(742)의 하측에 배치가능하게 하는, 다른 표현으로는 홀더안착홈부(742)의 하측에 배치된 고정축부(745)와 홀더안착홈부(742)의 상측에 배치된 마스크홀딩부(76)를 상호 연결가능하게 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힌지설치홀부(744)는 홀더안착부(741)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마스크홀딩부(76)의 하부가 통과한다. 고정축부(745)는 힌지설치홀부(744)의 하측에 설치되고, 마스크홀딩부(76)의 하부를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힌지설치홀부(744)는 회동축부(765)와 힌지 결합된 상태의 고정축부(745) 및 회동축부(765)가 관통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마스크홀딩부(76)와 고정축부(745)를 힌지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축부(745)와 회동축부(765)를 힌지설치홀부(744)에 하향 진입, 통과시키고, 힌지설치홀부(744)의 하측에서 거치본체부(712)에 고정결합시킴으로써, 마스크홀딩부(76)를 거치본체부(712)에 설치할 수 있다.
안착유도경사부(75)는 반원형 내지 반타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마스크안착부(72)의 내측부에 마스크안착부(72)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후방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안착유도경사부(75)에 마스크부(10)의 하부를 걸치면, 마스크부(10)의 하부가 마스크부(10)의 자중에 의해 안착유도경사부(75)의 경사면을 타고 안착유도경사부(75)의 하부에 위치된 마스크안착부(72)의 하부로 자연히 이동된다.
이에 따라, 마스크부(10)의 하부 가장자리부를 마스크안착부(72)에 정확하게 대응되게 위치를 조정하는 번거로움 없이, 마스크안착부(72)보다 현저하게 확장된 면적을 가지는 안착유도경사부(75) 상에 마스크부(10)의 하부를 올려놓는 용이한 동작을 취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마스크안착부(72) 상에 마스크부(1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손삽입홈부(751)는 사용자가 마스크부(10)를 마스크거치부(71)로부터 분리, 이탈시키는 동작을 용이하게 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치부로, 안착유도경사부(75)의 상부에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마스크부(10)의 하부를 메인거치부(71a)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마스크부(10)의 상부와, 마스크부(10)의 중간부에 결합된 착용밴드부(30)는 메인거치부(71a)의 후방에 위치된다.
이때, 착용밴드부(30)는 메인거치부(71a)의 후방부 또는 전도방지부(71d)의 전방부와 근접하게 위치된다. 손삽입홈부(751)를 형성함으로써, 마스크부(10)를 마스크거치부(7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착용밴드부(30)의 하측에 여유공간이 형성되고, 착용밴드부(30)의 전 둘레에 걸쳐 중공의 공간부가 확보된다. 이에 따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밴드부(30)의 제1밴드부(31)와 제2밴드부(35)를 체결한 상태로 마스크부(10)를 거치 시, 손삽입홈부(751)로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어, 착용밴드부(30)를 파지한 상태로, 마스크부(10)를 마스크거치대(70)로부터 용이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거치부(71)는 베이스부(711), 거치본체부(712), 거치대조립부(714), 보강리브부(715)를 포함한다.
베이스부(711)는 마스크거치부(71)의 하부를 이루는 장치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711)는 바닥안착부(711a)와 상향연장부(711b)를 포함한다.
바닥안착부(711a)는 마스크부(10)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다른 표현으로, 메인거치부(71a)와 전도방지부(71d)는 함께 원형의 형태를 이루어 연속하여 연결된 하부 구조를 가진다. 바닥안착부(711a)가 원형의 형상을 가짐에 따라, 특정한 방향성을 가지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마스크부(10)를 마스크거치대(70)에 다양한 방향에서 거치시키는 과정에서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편중됨으로 인한 마스크거치대(70)의 전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향연장부(711b)는 거치본체부(712)를 하단지지함과 동시에 마스크거치대(7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부로, 바닥안착부(711a)의 가장자리부에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단부가 거치본체부(712)와 접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향연장부(711b)는 전방상향연장부(711c), 후방상향연장부(711b), 전도방지연장부(711e)를 포함한다.
전방상향연장부(711c)는 바닥안착부(711a)의 전방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하향되는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후방상향연장부(711b)는 바닥안착부(711a)의 후방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하향되는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전도방지연장부(711e)는 전방상향연장부(711c)와 후방상향연장부(711b)의 연결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전도방지연장부(711e)는 베이스부(711)의 중심부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거치본체부(712)는 마스크부(10)가 안착되는 마스크거치부(71)의 상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베이스부(711)의 상부에 배치된다. 베이스부(711)와 거치본체부(712)의 사이에는 회로기판 등과 같이 무선전원공급장치(80) 등의 운용에 필요한 각종 전자부품을 설치가능한 제2조립공간부(713)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원공급장치(80)는 마스크홀딩부(76)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3조립공간부(781) 상에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원공급장치(80)는 무선충전접속부(62)에 무선으로 접속가능하다면, 그 설치 위치가 특정하게 한정되게 않는다. 무선전원공급장치(80)는 제2조립공간부(713) 상에 설치될 수 있고, 무선충전접속부(62)는 마스크부(10)의 하부 중 무선전원공급장치(8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본체부(712)는 상부안착부(712a)와 하향연장부(712b)를 포함한다.
상부안착부(712a)는 마스크부(10)가 안착되는 거치본체부(712)의 상부를 이루는 장치부이다. 상부안착부(712a) 상에 마스크안착부(72), 안착턱부(73), 홀더결합부(74), 안착유도경사부(75)가 형성되고, 마스크홀딩부(76)가 결합된다.
하향연장부(712b)는 상부안착부(712a)의 가장자리부에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향연장부(711b)와 함께 연속된 외관을 이룬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향연장부(712b)는 전방하향연장부(712c), 후방하향연장부(712d), 걸림오목부(712e)를 포함한다.
전방하향연장부(712c)는 상부안착부(712a)의 전방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하향되는 형상을 가지고, 전방상향연장부(711c)에 안착된다. 후방하향연장부(712d)는 상부안착부(712a)의 후방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하향되는 형상을 가지고, 후방상향연장부(711b)에 안착된다. 걸림오목부(712e)는 전방하향연장부(712c)와 후방하향연장부(712d)의 사이에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걸림오목부(712e)는 전도방지연장부(711e)에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전도방지연장부(711e)에 안착된다.
전도방지연장부(711e)가 베이스부(711)의 중심부보다 후방에 위치되고, 걸림오목부(712e)가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전방하향연장부(712c)가 후방하향연장부(712d)보다 연장된 길이와 큰 중량을 가지게 된다. 거치본체부(712)는, 걸림오목부(721e)를 기준으로 하여 전방하향연장부(712c) 상에 자연히 무게중심이 위치한 상태로 베이스부(711)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마스크부(10)를 마스크거치대(70)에 거치시키는 과정에서 마스크부(10)의 무게중심이 마스크거치대(10)의 후방부에 편중되게 작용하게 됨에 따른 후방 전도를 보다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거치대조립부(714)는 베이스부(711)와 거치본체부(712)를 상호 결속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조립부(714)는 하부암체결부(714a)와 상부수체결부(714b)를 포함한다.
하부암체결부(714a)는 베이스부(711) 상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단부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된 홈부의 구조를 가진다. 상부수체결부(714b)는 거치본체부(712) 상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암체결부(714a)에 끼워진다. 하부암체결부(714a)와 상부수체결부(714b)는 베이스부(711)와 거치본체부(712)의 가장자리부와 중간부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보강리브부(715)는 베이스부(711)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부로, 베이스부(711)의 내면부 상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리브부(715)는 중앙리브부(715a), 방사리브부(715b), 수직리브부(715c)를 포함한다.
중앙리브부(715a)는 베이스부(711)의 중앙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베이스부(711)의 바닥안착부(711a)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앙리브부(715a)는 바닥안착부(711a)의 중앙부에 원형 링의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방사리브부(715b)는 중앙리브부(715a)의 외경부에서 베이스부(711)의 가장자리부까지 연장되고,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방사리브부(715b)는 설정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수직리브부(715c)는 베이스부(711)의 가장자리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향연장부(711b) 상에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고,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수직리브부(715c)는 마스크부(10)의 하중을 주요하게 지지하게 되는 전방상향연장부(711c) 상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중앙리브부(715a)에 의해 바닥안착부(711a)의 굽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고, 수직리브부(715c)에 의해 상향연장부(711b)의 굽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마스크홀딩부(76)는 마스크부(10)의 좌측부와 접하는 좌측홀딩부(76A)와, 마스크부(10)의 우측부와 접하는 우측홀딩부(76B)를 포함한 한 쌍이 구비된다. 좌측홀딩부(76A)와 우측홀딩부(76B)는 좌우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마스크거치부(71)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배치된다.
좌측홀딩부(76A)와 우측홀딩부(76B)는 마스크부(10)가 마스크거치부(71)에 안착된 상태에서 마스크부(10)의 좌측부와 우측부를 각각 홀딩한다. 좌측홀딩부(76A)와 우측홀딩부(76B)를 설치함으로써, 마스크거치부(71)만으로 마스크거치대(70)를 형성하는 실시예와 비교해, 마스크부(10)의 측방향으로의 이탈을 명확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좌측홀딩부(76A)와 우측홀딩부(76B)를 설치함으로써, 마스크부(10)와의 접촉면적을 보다 확장시킴과 동시에 마스크부(10)와의 접촉이 보다 다양한 방향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거치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홀딩부(76)는, 즉 좌측홀딩부(76A)와 우측홀딩부(76B)는, 밀착날개부(761), 안착회동부(762), 회동축부(765), 이격탄성부재(766)를 포함한다.
밀착날개부(761)는 마스크홀딩부(76) 중 마스크부(10)의 측면부와 접하는 장치부로, 마스크부(10)의 측면부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무선전원공급장치(80)가 내장된다. 안착회동부(762)는 밀착날개부(761)의 하부에 연결되고, 홀더결합부(74)에 형성된 홀더안착홈부(742)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회동부(762)는 날개설치부(763)와 안착연동회동부(764)를 포함한다.
날개설치부(763)는 밀착날개부(761)와 연결되는 장치부로, 밀착날개부(761)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날개설치부(763)의 하부에는 회동축부(765)가 연결된다. 날개설치부(763)를 홀더안착홈부(74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회동축부(765)는 힌지설치홀부(744)를 관통하여 홀더안착홈부(742)의 하측의 제2조립공간부(713) 상에 배치된 고정축부(745)와 연결된다.
안착연동회동부(764)는 마스크부(10)의 안착력을 마스크홀딩부(76)의 회동력으로서 전달받는 장치부로, 날개설치부(763)의 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면부가 마스크안착부(72)와 연속하여 마스크부(10)가 안착되는 마스크안착면을 형성한다. 마스크부(10)가 마스크거치대(70)에 안착됨에 있어서, 마스크부(10)의 일부는 마스크안착부(72)에 안착되고, 다른 일부는 안착연동회동부(764)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연동회동부(764)는 홈안착부(764a), 연동안착부(764b), 마스크안착홈부(764c)를 포함한다.
홈안착부(764a)는 안착연동회동부(764)의 하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홀더안착홈부(742)에 안착된다. 연동안착부(764b)는 안착연동회동부(764)의 상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홈안착부(764a)의 상부에 형성되고, 마스크부(10)가 안착된다. 연동안착부(764a)는, 마스크홀딩부(76)가 마스크부(10)측으로 내향 회동된 상태에서 마스크안착부(72)와 함께 마스크부(1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연속된 곡면을 이룬다.
홈안착부(764a)는 마스크부(10)의 안착력, 즉 하중에 연동하여 회동되는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스크부(10)의 가장자리부보다, 즉 마스크부(10)의 두께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진다. 마스크안착홈부(764c)는 연동안착부(764b) 중 마스크부(10)와 실질적으로 접하는 일부에, 마스크부(10)의 두께에 대응되는 너비로, 다른 표현으로는 갭커버부(121b)에 대응되는 너비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마스크부(1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마스크안착홈부(764c)는 마스크홀딩부(76)가 마스크부(10)측으로 내향 회동된 상태에서 마스크안착부(72)와 함께 마스크부(1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연속된 곡면을 이룬다. 홈안착부(764a) 상에 마스크안착홈부(764a)를 형성함으로써, 마스크부(10)의 정위치 안착이 보다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마스크부(10)가 마스크거치대(70)에 안착된 상태에서, 마스크홀딩부(76)가 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회동축부(765)는 날개설치부(763)의 하부에 설치되고, 홀더결합부(74)의 고정축부(745)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다. 회동축부(765)는 안착연동회동부(764)로 부터 전달된 하향력이나 이격탄성부재(766)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축부(745)를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날개설치부(763)와 연결된 밀착날개부(761)는 회동축부(765)를 기준으로 하여, 마스크부(10)와 접하거나 이격되는 측방향으로 회동된다.
무선전원공급장치(80)는 밀착날개부(761)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마스크홀딩자석부(90)는 회동축부(765)로부터 무선전원공급장치(80) 보다 이격된 지점에 배치된다. 마스크홀딩자석부(90)에 의해 회동축부(765)를 중심으로 하는 회동 동선을 가지는 밀착날개부(761) 전체가 단부의 들뜸없이 보다 명확하고 안정되게 마스크부(10)에 밀착될 수 있다. 마스크홀딩자석부(90)와 회동축부(765)의 사이에 위치되는 무선전원공급장치(80) 또한, 마스크부(10)에 내장된 무선충전접속부(62)와 무선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설정간격 이내의 거리를 안정되게 확보, 유지할 수 있다.
이격탄성부재(766)는 회동축부(765)에 결합되고, 밀착날개부(761)를 마스크부(10)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즉 외향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한다. 이격탄성부재(766)는 토션스프링의 구조를 가지고 고정축부(745)의 둘레에 끼워지고, 단부가 회동축부(765) 또는 날개설치부(763)와 탄성적으로 접하게 설치된다.
마스크홀딩부(76)는 마스크부(10)가 마스크거치대(70)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격탄성부재(766)에 의해 도 30 상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마스크부(10)를 마스크거치대(70)에 안착시키면, 안착회동부(762)에 작용하는 마스크부(10)의 자중에 의해 마스크홀딩부(76)가 내향 회동되며 마스크부(10)의 측면부를 홀딩한다.
도 24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홀딩부(76)는 홀더내피부(77), 홀더외피부(78), 홀더조립부(79)를 포함한다.
홀더내피부(77)는 마스크홀딩부(76) 중 마스크부(10)와 면접촉되는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이다. 홀더외피부(78)는 마스크홀딩부(76) 중 마스크부(10)와 접하지 않는, 다른 표현으로는 홀더내피부(77)가 마스크부(10)와 접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외면을 이루는 장치부로, 홀더내피부(77)의 외측에 배치된다.
홀더내피부(77)와 홀더외피부(78)의 사이에는 무선전원공급장치(80), 마스크홀딩자석부(90) 등의 전자부품을 설치가능한 제3조립공간부(781)가 형성된다. 무선전원공급장치(80)는 제3조립공간부(781) 상에 설치된다. 무선전원공급장치(80)는 홀더내피부(77)와 외피부(122)를 사이에 두고 제1조립공간부(123)상에 위치한 무선충전접속부(62)와 무선으로 접속된다.
마스크홀딩자석부(90)는 자석을 포함하여 제3조립공간부(781) 상에 설치된다. 마스크홀딩자석부(90)의 자성에 의해 마스크홀딩자석부(90)와 홀더자성부착부(17) 간에는 인력이 작용하게 되고, 마스크홀딩자석부(90)와 홀더자성부착부(17)의 사이에 위치되는 홀더내피부(77)와 마스크부(10)의 외피부(122)가 상호 밀착된다.
홀더내피부(77)와 홀더외피부(78) 중 적어도 일측에는 무선전원공급장치(80)가 장착되는 무선충전설치부(771)가 형성된다. 무선충전설치부(771)는 제3조립공간부(781)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홀더내피부(77)와 홀더외피부(78)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무선충전설치부(771)는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설치부(771)는 원형리브부(772), 직선리브부(773), 교차리브부(774)를 포함한다.
원형리브부(772)는 무선전원공급장치(8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가능한 너비를 가지고, 원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직선리브부(773)는 원형리브부(772)의 내부에 직선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교차리브부(774)는 원형리브부(772)의 내부에 직선리브부(773)와 교차되게 형성된다. 원형리브부(772)의 내부에 직선리브부(773)와 교차리브부(774)를 형성하는 구조에 의해 다양한 방향의 굽힘력에 대해 굽힘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원형리브수(772)의 내부는 직선리브부(773)와 교차리브부(774)에 의해 복수개로 분할되며, 무선전원공급장치(80)는 복수개의 공간부 상에 분할되어 설치되거나, 복수개의 공간부 중 일측에 해당되는 소형의 너비를 가지고 복수개의 공간부 중 일측에 설치된다.
또한, 홀더내피부(77)와 홀더외피부(78) 중 적어도 일측에는 마스크홀딩자석부(90)가 장착되는 홀딩자석설치부(775)가 형성된다. 홀딩자석설치부(775)는 제3조립공간부(781)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홀더내피부(77)와 홀더외피부(78)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홀딩자석설치부(775)는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홀딩자석설치부(775)는 복수개의 스냅돌출부(776)가 이격간격을 두고 마스크홀딩자석부(9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열되는 구조를 가진다. 마스크홀딩자석부(90)는 복수개의 스냅돌출부(776)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부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진다. 복수개의 스냅돌출부(776)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부 상에 마스크홀딩자석부(90)를 삽입 시, 복수개의 스냅돌출부(776)가, 마스크홀딩자석부(90)와의 접촉력에 의해 돌출단부간의 간격이 보다 이격되게 휘어지는 탄성 변형을 하면서 마스크홀딩자석부(90)를 복수개의 스냅돌출부(776)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부 상에 인입시킬 수 있다.
마스크홀딩자석부(90)를 복수개의 스냅돌출부(776)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부 상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복수개의 스냅돌출부(776)는 다양한 방향에서 마스크홀딩자석부(90)의 가장자리부와 탄성접촉된다. 이러한 스냅돌출부(776)의 탄성접촉력에 의해 마스크홀딩자석부(90)를 정위치에 안정되게 장착, 고정할 수 있다.
홀더조립부(79)는 홀더내피부(77)와 홀더외피부(78)를 상호 결속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조립부(79)는 암조립부(791), 관통홀부(792), 홀더체결부재(793), 부착커버(794)를 포함한다.
암조립부(791)는 홀더외피부(78) 상에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암조립부(791) 상에는 홀더내피부(77)와 마주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측으로 함몰된 홈부가 형성된다. 관통홀부(792)는 홀더내피부(77) 중 암조립부(791)에 대응되는 위치에 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홀더체결부재(793)는 수나사 구조를 가지고, 관통홀부(792)를 관통하여 암조립부(791)에 나사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암조립부(791), 관통홀부(792), 홀더체결부재(793) 간의 조립구조에 의해 홀더내피부(77)와 홀더외피부(78)를 견고하게 상호 결속시킬 수 있다.
관통홀부(792) 상에는 홀더체결부재(793)의 헤드부가 수용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된다. 홀더체결부재(793)를 체결한 상태에서, 홀더체결부재(793)의 헤드부는 관통홀부(792)의 내부에 수용되고, 홀더내피부(77)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부착커버(794)는 홀더내피부(77)의 외부로 노출되는 홀더체결부재(793)의 헤드부를 커버링하며 홀더내피부(77)에 부착된다. 부착커버(794)로는 일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스티커 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부착커버(794)로서 스티커 부재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홀더내피부(77)의 색상, 질감과 조화되는 다양한 색상과 질감을 적용함으로써, 미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마스크거치대(70)의 마스크안착부(72)와 안착연동회동부(764)는 함께 마스크부(10)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대응되는 연속된 마스크안착면을 형성한다. 도 4, 도 26을 참조하면, 마스크거치대(70) 중 마스크부(10)가 안착되는 마스크안착면은 전방유도안착부(71b)와 하중분산안착부(76b)를 포함한다.
전방유도안착부(71b)는 마스크부(10)가 안착되는 마스크안착면 중 전방부 및 하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후방으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증가하는 곡면을 이룬다. 전방유도안착부(71b)의 곡률 중심은 전방유도안착부(71b)의 전방 상부에 위치된다.
하중분산안착부(76b)는 마스크안착면 중 후방부 및 상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전방유도안착부(71b)의 상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감소하는 곡면을 이룬다. 하중분산안착부(76b)의 곡률 중심은 하중분산안착부(76b)의 후방 하부에 위치된다.
전방유도안착부(71b)는 목커버부(13)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직선으로 잇는 연장선보다 하측에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중분산안착부(76b)는 목커버부(13)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직선으로 잇는 연장선보다 상측에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마스크부(10)의 하부를 구성하는 목커버부(13)의 가장자리부는 전방유도안착부(71b)와 하중분산안착부(76b)에 대응되는 굴곡진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커버부(13)의 가장자리부는 슬라이딩굴곡부(131)와 걸침굴곡부(132)를 포함한다. 이러한 목커버부(13)의 가장자리부는 하부갭커버부(121d)와 조립커버부(127)가 연속된 곡면을 이루게 상호 조립됨으로써 형성하게 된다.
슬라이딩굴곡부(131)는 전방유도안착부(71b)에 대응되는 형상을, 즉 후방으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증가하는 굴곡진 형상을 가진다. 걸침굴곡부(132)는 하중분산안착부(76b)에 대응되는 형상을, 즉 후방으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감소하는 굴곡진 형상을 가진다. 슬라이딩굴곡부(131)는 전방유도안착부(71b)에 안착되고, 걸침굴곡부(132)는 하중분산안착부(76b)에 안착된다.
목커버부(13)의 하부를 구성하는 슬라이딩굴곡부(131)는, 후방으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증가하는 곡면 형상을 가지는 전방유도안착부(71b)에 의해, 후방으로의 기울어짐이 보다 안정되게 구속된 상태로 전방유도안착부(71b) 상에 정위치 안착될 수 있다.
또한, 하중분산안착부(76b)가 전방유도안착부(71b)의 곡률 중심측으로 돌출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짐에 따라, 목커버부(13)의 상부를 구성하는 걸침굴곡부(132)는 하중분산안착부(76b)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마스크부(10)의 하단부를 하단지지하는 전방유도안착부(71b)에만 마스크부(10)의 하중이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걸침굴곡부(132)가 걸쳐지는 하중분산안착부(76b)에도 마스크부(10)의 하중이 분산되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마스크부(10)를 그 하부가 전방에 위치되게 기울어진 형태로 마스크거치대(70)에 거치함에 있어서, 마스크부(10)의 하중이 전방유도안착부(71b)와 하중분산안착부(76b)를 포함한 마스크안착면 전체에 걸쳐 보다 균일하게 분산되어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마스크부(10)를 지지하는 마스크거치대(7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유도안착부(71b)는 마스크거치부(71)의 마스크안착부(72) 상에 형성되고, 하중분산안착부(76b)는 마스크홀딩부(76)의 안착연동회동부(764) 상에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방유도안착부(71b)와 하중분산안착부(76b)는 굴곡된 형상과 위치에 따라 구분되는 명칭으로, 마스크홀딩부(76)가 전방으로 보다 연장되게 형성되거나, 마스크안착부(72)의 연장방향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경우, 마스크홀딩부(76)의 전단부가 전방유도안착부(71b)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마스크안착부(72)가 하중분산안착부(76b)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마스크부 11 : 얼굴커버부
11a : 얼굴커버본체부 11b : 귀간섭방지부
12 : 전두커버부 12a : 전두커버본체부
12b : 안착착용부 13 : 목커버부
13a : 목커버본체부 13b : 턱커버부
14 : 착탈커버안착부 15 : 커버조립턱부
16 : 연장선부 17 : 홀더자성부착부
20 : 광조사부 21 : 광원
30 : 착용밴드부 31 : 제1밴드부
33 : 제1결속돌기부 34 : 제2결속돌기부
34A : 단부결속돌기부 34B : 결속강화돌기부
35 : 제2밴드부 36 : 결속홀부
40 : 착탈커버 40A : 디자인마스크
40B : 반사마스크 40C : 보호마스크
46 : 중심선부 49 : 커버자성부착부
50 : 커버홀딩자석부 61 : 유선충전접속부
62 : 무선충전접속부 70 : 마스크거치대
71 : 마스크거치부 71a : 메인거치부
71b : 전방유도안착부 71d: 전도방지부
72 : 마스크안착부 73 : 안착턱부
74 : 홀더결합부 75 : 안착유도경사부
76 : 마스크홀딩부 76A : 좌측홀딩부
76B : 우측홀딩부 76b : 하중분산안착부
77 : 홀더내피부 78 : 홀더외피부
79 : 홀더조립부 80 : 무선전원공급장치
90 : 마스크홀딩자석부 111a : 상부곡면부
111b : 하부곡면부 111c : 전후방단턱부
112 : 눈개방부 113 : 코개방부
114 : 입개방부 115 : 통기개방부
121 : 내피부 121a : 내피본체부
121b : 갭커버부 121c : 상부갭커버부
121d : 하부갭커버부 121e : 중간갭커버부
121f : 중간갭커버본체부 121g : 밴드삽입홀부
121h : 브라켓체결홈부 122 : 외피부
123 : 제1조립공간부 124 : 내외피조립부
124a : 제1암체결부 124b : 제2암체결부
124c : 커버조립홈부 125 : 조립홈부
125a : 조립홈본체부 125b : 커버체결홀부
125c : 커버조립홀부 126 : 내외피체결부재
127 : 조립커버부재 127a : 조립커버본체부
127b : 내피체결부 127c : 외피체결부
128 : 밴드체결부 128a : 밴드체결본체부
128b : 밴드체결홀부 128c : 밴드조립턱부
128d : 브라켓고정홀부 128e : 브라켓체결부재
131 : 슬라이딩굴곡부 132 : 걸침굴곡부
310 : 마스크결합부 311 : 밴드연결부
312 : 돌출브라켓부 313 : 밴드고정홀부
314 : 밴드체결부재 320 : 밴드본체부
321 : 결합강성확보부 322 : 유연연장부
331 : 걸림돌출부 332 : 이탈방지단부
711 : 베이스부 711a : 바닥안착부
711b : 상향연장부 711c : 전방상향연장부
711d : 후방상향연장부 711e : 전도방지연장부
712 : 거치본체부 712a : 상부안착부
712b : 하향연장부 712c : 전방하향연장부
712d : 후방하향연장부 712e : 걸림오목부
713 : 제2조립공간부 714 : 거치대조립부
714a : 하부암체결부 714b : 상부수체결부
715 : 보강리브부 715a : 중앙리브부
715b : 방사리브부 715c : 수직리브부
741 : 홀더안착부 742 : 홀더안착홈부
743 : 회동구속턱부 744 : 힌지설치홀부
745 : 고정축부 751 : 손삽입홈부
761 : 밀착날개부 762 : 안착회동부
763 : 날개설치부 764 : 안착연동회동부
764a : 홈안착부 764b : 연동안착부
764c : 마스크안착홈부 765 : 회동축부
766 : 이격탄성부재 771 : 무선충전설치부
772 : 원형리브부 773 : 직선리브부
774 : 교차리브부 775 : 홀딩자석설치부
776 : 스냅돌출부 781 : 제3조립공간부
791 : 암조립부 792 : 관통홀부
793 : 홀더체결부재 794 : 부착커버

Claims (8)

  1. 얼굴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부가 안착되는 마스크거치부; 및
    상기 마스크부가 상기 마스크거치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부의 측면부와 접하는 마스크홀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홀딩부는,
    상기 마스크부와 면접촉되는 홀더내피부;
    상기 홀더내피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내피부와의 사이에 전자부품을 설치가능한 제3조립공간부를 형성하며, 외관을 이루는 홀더외피부; 및
    상기 홀더내피부와 상기 홀더외피부를 상호 결속하는 홀더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조립공간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마스크부에 내장된 광조사부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전원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내피부와 상기 홀더외피부 중 적어도 일측은,
    상기 제3조립공간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무선전원공급장치가 장착되는 무선충전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설치부는,
    상기 무선전원공급장치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고, 원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원형리브부;
    상기 원형리브부의 내부에 직선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직선리브부; 및
    상기 원형리브부의 내부에 상기 직선리브부와 교차되게 형성되는 교차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자석을 포함하여 상기 제3조립공간부 상에 설치되고, 자성에 의해 상기 홀더내피부를 상기 마스크부에 밀착시키는 마스크홀딩자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내피부와 상기 홀더외피부 중 적어도 일측은,
    상기 제3조립공간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홀딩자석부가 장착되는 홀딩자석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자석설치부는,
    복수개가 이격간격을 두고 상기 마스크홀딩자석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마스크홀딩자석부와 탄성접촉되는 스냅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조립부는,
    상기 홀더외피부 상에 형성되는 암조립부;
    상기 홀더내피부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부;
    상기 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암조립부에 체결되는 홀더체결부재; 및
    상기 홀더체결부재를 커버링하며 상기 홀더내피부에 부착되는 부착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0190114606A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292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85235 2019-07-15
KR1020190085235 2019-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798A KR20210008798A (ko) 2021-01-25
KR102292168B1 true KR102292168B1 (ko) 2021-08-24

Family

ID=74237896

Famil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597A KR102355062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0190114604A KR102358198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0190114598A KR102355063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0190114606A KR102292168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0190114599A KR102355064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0190114605A KR102358199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0190114600A KR102355742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0190114601A KR102355743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0190114603A KR102358197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0190114602A KR102355744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597A KR102355062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0190114604A KR102358198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0190114598A KR102355063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599A KR102355064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0190114605A KR102358199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0190114600A KR102355742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0190114601A KR102355743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0190114603A KR102358197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20190114602A KR102355744B1 (ko) 2019-07-15 2019-09-18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0) KR102355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852B1 (ko) * 2020-08-05 2022-09-21 주식회사 성일플러스 Led 마스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617B1 (ko) 2013-11-12 2015-03-03 주식회사 단일에스엠씨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KR101497620B1 (ko) 2013-11-12 2015-03-03 주식회사 단일에스엠씨 광을 이용한 피부미용장치
KR101735703B1 (ko) 2016-03-24 2017-05-15 (주)엠엠코리아 안면과 두피를 복합 관리하는 엘이디 마스크 장치
KR101741067B1 (ko) 2017-01-18 2017-05-29 주식회사 웰파인 안면 테라피용 마스크
KR101937382B1 (ko) 2017-10-19 2019-04-09 주식회사 셀피코리아 피부 개선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05559A1 (en) * 2002-11-12 2004-05-27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performing optical dermatology
KR100753426B1 (ko) * 2005-11-21 2007-09-03 김태형 피부 미백 및 치료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100926573B1 (ko) * 2007-11-16 2009-11-12 주식회사 아롱엘텍 피부 맛사지용 마스크 장치
US8192473B2 (en) * 2008-09-19 2012-06-05 Apira Science, Inc. Phototherapy apparatus for hair, scalp and skin treatment
US20140350643A1 (en) * 2013-05-23 2014-11-27 Apira Science, Inc. Phototherapy apparatus for skin treatment
KR20140058327A (ko) * 2013-09-23 2014-05-14 (주) 로우티에스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KR101550320B1 (ko) * 2013-11-12 2015-09-04 주식회사 지티지웰니스 광을 이용한 피부미용장치
KR101616707B1 (ko) * 2013-12-06 2016-05-12 박귀남 Led 마스크
CN109069853A (zh) * 2016-03-11 2018-12-21 奈斯普利斯股份有限公司 包括发光元件的皮肤附着物及其保管装置
KR20170108532A (ko) * 2016-03-18 2017-09-27 이용식 스마트모바일(Smart Mobile)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무선방식의 마스크 팩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KR200484381Y1 (ko) * 2016-04-08 2017-08-31 (주)엠엠코리아 엘이디 마스크 장치용 무통증 고정 밴드
KR102254843B1 (ko) * 2017-08-14 202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KR102290626B1 (ko) * 2018-04-09 2021-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KR20210023587A (ko) * 2019-08-23 2021-03-04 한수진 Led 경락 마사지 장치
KR20210033189A (ko) * 2019-09-18 2021-03-26 (주)하배런메디엔뷰티 인체곡면을 고려한 3d최적화 광균일 엘이디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617B1 (ko) 2013-11-12 2015-03-03 주식회사 단일에스엠씨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KR101497620B1 (ko) 2013-11-12 2015-03-03 주식회사 단일에스엠씨 광을 이용한 피부미용장치
KR101735703B1 (ko) 2016-03-24 2017-05-15 (주)엠엠코리아 안면과 두피를 복합 관리하는 엘이디 마스크 장치
KR101741067B1 (ko) 2017-01-18 2017-05-29 주식회사 웰파인 안면 테라피용 마스크
KR101937382B1 (ko) 2017-10-19 2019-04-09 주식회사 셀피코리아 피부 개선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063B1 (ko) 2022-01-25
KR102355742B1 (ko) 2022-01-27
KR20210008793A (ko) 2021-01-25
KR20210008790A (ko) 2021-01-25
KR20210008794A (ko) 2021-01-25
KR102358199B1 (ko) 2022-02-07
KR20210008789A (ko) 2021-01-25
KR102358197B1 (ko) 2022-02-07
KR20210008797A (ko) 2021-01-25
KR20210008798A (ko) 2021-01-25
KR20210008791A (ko) 2021-01-25
KR102355743B1 (ko) 2022-01-27
KR20210008796A (ko) 2021-01-25
KR102355062B1 (ko) 2022-01-25
KR20210008792A (ko) 2021-01-25
KR20210008795A (ko) 2021-01-25
KR102355064B1 (ko) 2022-01-25
KR102358198B1 (ko) 2022-02-07
KR102355744B1 (ko)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168B1 (ko) 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20200081881A (ko) 헤어 관리 장치 세트
KR20200083722A (ko)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KR20200081876A (ko) 헤어 관리 장치
KR20200081885A (ko) 헤어 상태 분석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KR200493830Y1 (ko) 탈모 방지를 위한 두피 관리장치
KR102177368B1 (ko)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10233B1 (ko)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KR102205415B1 (ko) 헤어 관리 장치
KR102177362B1 (ko) 헤어 관리 장치
KR20200081887A (ko) 통신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KR20200081884A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KR102165722B1 (ko) 헤어 관리 장치용 크래들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05417B1 (ko)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KR102204822B1 (ko) 헤어 관리 장치 세트
KR102165721B1 (ko) 헤어 관리 장치
KR102204819B1 (ko) 헤어 관리 장치
KR102204821B1 (ko) 헤어 관리 장치 세트
KR102205416B1 (ko) 통신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KR102177365B1 (ko) 긴장 제거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KR20200081883A (ko) 헤어 관리 장치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