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068B1 - 탄성중합체 및 입자 형태가 불규칙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성중합체 및 입자 형태가 불규칙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068B1
KR100976068B1 KR1020030014323A KR20030014323A KR100976068B1 KR 100976068 B1 KR100976068 B1 KR 100976068B1 KR 1020030014323 A KR1020030014323 A KR 1020030014323A KR 20030014323 A KR20030014323 A KR 20030014323A KR 100976068 B1 KR100976068 B1 KR 100976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molecular weight
composition
polyethylene
high mole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4306A (ko
Inventor
하프트카슈타니슬라브
구시크마인하르트
엘레르스옌스
뤼트케케르스틴
Original Assignee
티코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코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코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7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불규칙한 형상의 고분자량 및/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입자의 상 이외에 다른 상을 하나 이상 갖는 하나 이상의 탄성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당해 조성물은 인열 전개 저항이 높고, 이들은, 예를 들면, 막, 개스킷, 댐퍼 또는 컨베이어 벨트로서 사용된다.
Figure R1020030014323
탄성중합체 조성물, 불규칙한 입자 형상, 폴리에틸렌 입자, 인열 전개 저항, 막, 개스킷, 댐퍼, 컨베이어 벨트.

Description

탄성중합체 및 입자 형태가 불규칙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s comprising elastomers and 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s with irregular particle shape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도 1은 소정의 화합물에 대한 전단 모듈러스 및 손실 각 (tan δ)의 온도 의존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 형상의 폴리에틸렌 입자를 포함하며 특정한 유동 특성을 갖는 다상(multiphase) 탄성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들 조성물은 여러 산업 분야에서, 예를 들면, 고무막, 댐퍼, 개스킷 또는 컨베이어 벨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이하, UHMWPE라고도 함)은 우수한 내마모성 및 마찰 성능으로 인해 고무 혼합물에 사용되어 왔다. 미국 특허 제6,187,420호에는 결정성 폴리올레핀(예: UHMWPE,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및 디엔 고무)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성 탄성중합체 혼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735,982호에는 가황 고무, UHMWPE 및 내마모성 윤활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고무 혼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6,202,726호에는, 고무 및 UHMWPE로부터 제조된 성분을 포함하고 소정의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기체역학적 타이어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이하, HMWPE라고도 함)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기존의 플라스틱 가공방법을 사용하여 후처리 또는 가공하기 어려우며, 당해 물질의 입자는 다양한 형태로 추정될 수 있다는 사실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기존의 UHMWPE 분말은 규칙적인 형상을 갖는다. 즉, 이들 분말은 대체로 완전히 둥근 구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규칙적이거나 실제로 구 형태를 갖는 이러한 유형의 대표적인 제품은 미펠론(Mipelon) 220 [제조원: MPC(Mitsui Petrochemicals)]이다.
지금까지 기술된, 고무와 HMWPE 또는 UHMWPE와의 모든 배합물은 규칙적인 형상을 갖는 HMWPE 또는 UHMWPE의 입자를 사용하였다.
또한, 입자 형태가 불규칙적인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고분자량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도 공지되어 있다. 이들 제품은 벌크 밀도가 낮고 통상 다공성이다. 이러한 유형의 UHMWPE 입자의 예는 제WO-A-00/18,810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이르러, 탄성중합체 및 불규칙한 형태의 고분자량 및/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입자를 포함하는 다상 조성물은 높은 수준의 tan δ로부터 반영되는 바와 같이, 개선된 에너지 분산능과 같은 다수의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HMWPE 및, 각각, UHMWPE을 사용하는 경우, 공지된 바와 같이 고무/UHMWPE 혼합물의 내마모성 및 마찰 성능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놀랍게도 인열 전개 저항까지도 개선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러한 거동은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입자의 경우 특히 명백하다.
본 발명은 유동 특성이 우수(높은 수준의 tan δ)하고 인열 전개 저항(tear propagation resistance)이 매우 탁월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불규칙한 형상의 고분자량 및/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입자의 상 이외에 다른 상을 하나 이상 갖는 하나 이상의 탄성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분말은 불규칙한 입자 형상으로 인해 벌크 밀도가 극도로 낮으며 이에 상응하게 비표면적은 큰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에 맞게, 용어 "탄성중합체"는 탄성 중합체 거동을 나타내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전이 온도가 사용 온도보다 낮은 중합체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탄성중합체의 예는 아크릴레이트 고무(ACM),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고무(AU), 브롬화 부틸 고무(BIIR), 폴리부타디엔(BR), 염소화 부틸 고무(CIIR), 염소화 폴리에틸렌(CM),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단독중합체(CO), 폴리클로로프렌(CR), 유황화 폴리에틸렌(CSM),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고무(EAM), 에피클로로하이드린 공중합체(ECO),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황-가교결합 또는 과산화물-가교결합(EPDM/S, EPDM/P 및 EPM/P), 폴리에테르-우레탄 고무(EU),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M), 불소화 고무(FKM), 플루오로실리콘 고무(FVMQ), 수소화 니트릴 고무(H-NBR), 부틸 고무(IIR), 비닐 함유 디메틸폴리실록산(VMQ), 니트릴 고무(NBR), 천연 고무(NR, IR), 티오플라스틱스(OT), 폴리플루오로포스파젠(PNF), 폴리노르보넨(PN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및 카복시 그룹 함유 니트릴 고무(X-NBR)이다.
천연 고무, EPDM, SBR 및 NBR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매우 바람직하다.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이라는 용어는, 점도계로 측정한 몰 질량이 3 x 105 g/mol 이상, 특히 3 x 105 내지 1 x 106 g/mol인 폴리에틸렌에 대해 사용된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점도계로 측정한 몰 질량이 1 x 106 g/mol 이상, 특히 2.5 x 106 내지 1 x 107 g/mol인 폴리에틸렌으로 이해된다. 점도계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참고: CZ-Chemische Technik, 4(1974), p.129].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특히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바람직한 예는 매우 다양한 형태, 바람직하게는 분말 형태의 선형 폴리에틸렌이다.
지금까지 공지된 모든 UHMWPE 탄성중합체는 불규칙한 형상의 UHMWPE로서 사용된다. 규칙적이거나 실제로 구 형상인 제품(예: Mipelon)이 시판 중이며, 특히 첨가제로서 사용된다.
규칙적이거나 실제로 구 형상인 입자 이외에도, 특정한 불규칙적 형상을 갖는 HMWPE 및 UHMWPE 입자가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들 입자를 포함하는 제품은 벌크 밀도가 0.35 g/cm3 미만,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32g/cm3, 특히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30g/cm3, 특히 매우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28g/cm3으로 낮고, 통상 다공성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고분자량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은 통상, 중간 입자 크기 D50이 1 내지 6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 특히 30 내지 200㎛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고분자량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의 제조방법은 제WO-A-00/18,810호 또는 DE-A 제1,595,666호에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탄성중합체 블렌딩 기술에 통상적인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자체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불규칙적 형상의 고분자량 및/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 입자를, 필요한 경우 기타 통상적인 탄성중합체 첨가제와 함께, 탄성중합체 내로 혼합시키는 단계(a) 및
생성된 혼합물을 자체 공지된 방식으로 가황시키는 단계(b)를 포함하는, 상술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블렌드 중의 불규칙한 형상의 입자의 농도는 통상 1 내지 50phr(고무 100부 당 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phr, 특히 5 내지 20phr이다.
불규칙한 형태의 입자 및 탄성중합체는 2상 블렌드를 형성하며, 불규칙한 형태의 입자는 분산 상 중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점도 및 인성이 높고, 인열 전개 저항이 개선된 블렌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산업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적용 분야는 막, 개스킷, 댐퍼 또는 컨베이어 벨트로서 사용된다.
이들 용도 역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실시예
개선된 유동 특성 및 개선된 인열 전개 저항이,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하기 실시예에 예시되어 있다. 제조된 혼합물은 HMWPE 또는, 각각, UHMWPE/EPDM 또는 HMWPE 또는, 각각 UHMWPE/NBR, 또는 HMWPE 또는, 각각, UHMWPE/SBR이다. 이들 혼합물은 주로 고무인 고무 혼합물에 HMWPE 또는, 각각, UHMWPE의 용도를 나타내고자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HMWPE 또는, 각각, UHMWPE/SBR 혼합물에서 나타난다. 사용된 HMWPE 및 UHMWPE는 티코나 게엠베하로부터의 GUR 등급이다.
EPDM 혼합물의 제조 - 혼합 공정
당해 혼합물은 베르너 운트 플라이더러(Werner & Pfleiderer) GK 1,5 E 실험용 내부 혼합기에서 2단계로 제조된다( 단계 1 : 기본 혼합물; 단계 2 : 혼합물의 기타 성분의 혼합).
혼합 파라미터 (단계 1)
EPDM 혼합 파라미터
충전율 : 75% 75%
예비 온도 설정: 60℃ 40℃
로터 회전속도 : 80rpm 40rpm
뱃치 온도 : 최대 151 내지 156℃ 최대 117℃
혼합 사이클 : 중합체 0.0 내지 0.5분; 1/2 카본 블랙, GUR 분말, 산화아연 및 스테아르산 0.5 내지 1.5분; 1/2 카본 블랙 및 가소제 오일 1.5 내지 5.0분.
총 혼합 시간 : 5.0분(효과적) - 4.0분 후 퍼징 및 통기.
혼합 파라미터 (단계 2)
기본 혼합물을 70℃의 초기 온도 및 80 내지 100rpm의 로터 회전 속도를 사용하여 약 130 내지 140℃로 가열한다. 이러한 온도에 도달해야만, 램이 안정화된다. 즉, 혼합물이 가소화되어 가공 가능해진다. 이어서, 로터 회전 속도를 60rpm으로 감소시키며, 황/가속화제를 45초에 걸쳐서 혼합시킨다. 혼합물의 분사 온도는 GUR 등급 및 GUR 농도에 따라 약 110 내지 약 130℃이다. 혼련기 충전율은 65%이다.
각각의 SBR 및 NBR 혼합 공정용 혼합물의 제조
당해 혼합물은 베르너 운트 플라이더러 GK 1,5 E 실험용 내부 혼합기에서 제조된다. 이어서, 황 및 가황 촉진제를 실험용 롤 밀에서 혼합한다.
내부 혼합기에 대한 혼합 파라미터
충전율 : 75%
예비 온도 설정: 40℃
로터 회전속도 : 50rpm
뱃치 온도 : 최대 137 내지 138℃
혼합 사이클 : 중합체 0.0 내지 1.0분; 3/4 카본 블랙, GUR 분말, 산화아연, 스테아르산, 산화방지제 및 쿠마론 수지 1.0 내지 2.5분; 1/4 카본 블랙 및 가소제 (Vestinol AH) 2.5 내지 4.5분.
총 혼합 시간 : 4.5분(효과적) - 3.5분 후 퍼징 및 통기.
롤 밀에 대한 혼합 파라미터
롤 온도 : 50℃
롤 회전 속도 : 16:20rpm
혼합 사이클 : 내부 혼합기로부터의 기본 혼합물 0.0 내지 1.0분; 황 및 가황 촉진제 1.0 내지 5.0분.
가황 공정
수득된 혼합물을 160℃(SBR 및 NBR) 또는 170℃(EPDM)에서 가황처리한다. 가황 시간은 시험편 두께 1mm 당 t90 + 1분 이다.
EPDM 혼합물 조성
65 쇼어 A 표준 혼합물을 니트로스아민이 배제되도록 조정된 가속화제 시스템과 함께 사용한다.
Figure 112003008082982-pat00001

SBR 혼합물 조성
Figure 112008016506516-pat00007
Figure 112003008082982-pat00003

NBR 혼합물 조성
Figure 112003008082982-pat00004

실시예 1 : SBR/GUR 혼합물의 인열 전개 저항
불규칙한 형상의 GUR 등급 및 규칙적 형상의 GUR 등급을 상술한 블렌드에 대해 사용한다. 당해 생성물들은 중간 입자 크기 및 분자량도 상이하다. DIN 53507 A에 따르는 인열 전개 저항을 모든 혼합물에 대해 측정한다.
다음 표 5에 입자의 특성 및 시험 결과를 열거하였다.
Figure 112003008082982-pat00005
불규칙한 GUR 등급의 경우, 정적 인열 전개 저항이 증가되는 현상은, GUR 입자에 인열이 일어나는 경우 응력이 나뉘어짐에 따르는 응력 분산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인열 전개 저항의 증가 효과는 불규칙한 GUR 등급의 경우 가장 명백해진다. 이는, 이들 생성물의 입자 용적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실시예 2: 중간 입자 크기(MPS)가 30㎛인 SBR/GUR 혼합물의 에너지 분산 개선
주파수 1 Hz 및 0.5% 변형에서의 동적 전단 모듈러스 측정은, 다양한 GUR 형상(규칙적 입자 형태 및 불규칙한 입자 형태)을 사용하여 SBR/GUR 혼합물에 대해 온도의 함수로서 수행된다. 도 1은 소정의 화합물에 대한 전단 모듈러스 및 손실 각 (tan δ)의 온도 의존성을 도시한 것이다.
규칙적 형상의 GUR 입자가 사용되는 경우(곡선 3), 대조용 혼합물에 비해 모듈러스 증가와 함께 댐핑 성능(tan δ)에 대해 명백한 효과가 발견되지 않는다.
불규칙한 형상의 GUR 입자가 사용되는 경우, 10phr만큼 낮은 농도는 30 내지 120℃의 온도 범위에서 tan δ의 증가와 함께 모듈러스의 증가를 초래한다(참조: 곡선 1). 20phr 가황처리물에 대한 tan δ 곡선의 형상은, 이러한 효과가 전체적임을 명백히 보여준다(참조: 곡선 2). tan δ의 수치는 2배 농도를 반영하는 수치로 상승되었다. 이러한 상이한 거동이 일어나는 이유는, 불규칙한 형상의 GUR 분말의 상이한 형상 및 상이한 압축성에 기인한다. 다공성 입자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블렌드 구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불규칙한 형상의 입자를 갖는 GUR이 동적 응력하에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으며, 이는 추가의 넓은 tan δ최대치에 반영된다. 입자 크기가 상이한 생성물은 이러한 거동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내마모성 및 마찰 성능뿐만 아니라 인열 전개 저항이 높아, 예를 들면, 막, 개스킷, 댐퍼 또는 컨베이어 벨트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10)

  1. 탄성중합체 상 및 불규칙한 형상의 고분자량 및/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입자의 상을 탄성중합체 100중량부당 폴리에틸렌 입자 5 내지 2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고, 상기 불규칙한 입자가 다공성 구조를 갖고 벌크 밀도가 0.15 내지 0.28g/cm3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가, 아크릴레이트 고무(ACM),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고무(AU), 브롬화 부틸 고무(BIIR), 폴리부타디엔(BR), 염소화 부틸 고무(CIIR), 염소화 폴리에틸렌(CM),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단독중합체(CO), 폴리클로로프렌(CR), 유황화 폴리에틸렌(CSM),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고무(EAM), 에피클로로하이드린 공중합체(ECO),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황-가교결합 또는 과산화물-가교결합(EPDM/S, EPDM/P 및 EPM/P), 폴리에테르-우레탄 고무(EU),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M), 불소화 고무(FKM), 플루오로실리콘 고무(FVMQ), 수소화 니트릴 고무(H-NBR), 부틸 고무(IIR), 비닐 함유 디메틸폴리실록산(VMQ), 니트릴 고무(NBR), 천연 고무(NR, IR), 티오플라스틱스(OT), 폴리플루오로포스파젠(PNF), 폴리노르보넨(PN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및 카복시 그룹 함유 니트릴 고무(X-NBR)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가 천연 고무, EPDM, SBR 및 NBR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입자 크기가 1 내지 600㎛인 불규칙한 입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다공성 구조이고 벌크 밀도가 0.15 내지 0.28g/cm3인 불규칙한 형상의 고분자량 및/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입자를, 필요한 경우 기타 통상적인 탄성중합체 첨가제와 함께, 탄성중합체 내로 탄성중합체 100중량부당 폴리에틸렌 입자 5 내지 20중량부의 양으로 혼합시키는 단계(a) 및
    생성된 혼합물을 자체 공지된 방식으로 가황시키는 단계(b)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르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막, 개스킷, 댐퍼 또는 컨베이어 벨트로서 사용되는 조성물.
  9. 제6에 있어서, 입자 크기가 20 내지 300㎛인 불규칙한 입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입자 크기가 30 내지 200㎛인 불규칙한 입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30014323A 2002-03-08 2003-03-07 탄성중합체 및 입자 형태가 불규칙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6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10314.3 2002-03-08
DE10210314A DE10210314A1 (de) 2002-03-08 2002-03-08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Elastomere und Polyethylene hohen Molekulargewichts mit irregulärer Partikelform,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306A KR20030074306A (ko) 2003-09-19
KR100976068B1 true KR100976068B1 (ko) 2010-08-17

Family

ID=27740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323A KR100976068B1 (ko) 2002-03-08 2003-03-07 탄성중합체 및 입자 형태가 불규칙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40006170A1 (ko)
EP (1) EP1342751B1 (ko)
JP (2) JP5220980B2 (ko)
KR (1) KR100976068B1 (ko)
CN (1) CN100509946C (ko)
AT (1) ATE294216T1 (ko)
BR (1) BR0300522B1 (ko)
DE (2) DE10210314A1 (ko)
ES (1) ES2240871T3 (ko)
TW (1) TWI3068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0314A1 (de) * 2002-03-08 2003-09-25 Ticona Gmbh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Elastomere und Polyethylene hohen Molekulargewichts mit irregulärer Partikelform,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JP4071147B2 (ja) 2003-04-18 2008-04-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CA2561893C (en) * 2004-06-07 2012-10-09 Ticona Llc Polyethylene molding powder and porous articles made therefrom
WO2009105070A1 (en) * 2008-02-22 2009-08-27 Dudek Stanley P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articles
KR101622409B1 (ko) * 2009-10-07 2016-05-18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가스켓용 소재
CN102040823A (zh) * 2009-10-23 2011-05-04 上海华向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阻尼橡胶
EP2658902A2 (en) * 2010-12-30 2013-11-06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Improved silicone membrane for lamination process
CN103270116A (zh) * 2010-12-30 2013-08-28 美国圣戈班性能塑料公司 用于层压方法的改进的硅酮膜
CN102399382B (zh) * 2011-11-01 2013-02-20 铜陵兴怡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高强度耐老化硫化橡胶及其制备方法
CN103789860A (zh) * 2012-10-30 2014-05-14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高分子量聚乙烯纤维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4182910A1 (en) * 2013-05-08 2014-11-13 Schlumberger Canada Limited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reinforced rubber compositions for subterranean applications
WO2016056038A1 (ja) * 2014-10-07 2016-04-14 有限会社コーキ・エンジニアリング 摺動性を有する医療用シリコーンゴムと該ゴムを使用したガスケット及び該ガスケットを使用した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CN104830007B (zh) * 2015-04-09 2017-05-17 茂泰(福建)鞋材有限公司 一种高阻尼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829892B (zh) * 2015-05-22 2017-02-08 福建起步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鞋底用高耐磨橡胶材料及其制备方法
JP6976862B2 (ja) 2015-06-19 2021-12-08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を含んでいる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同をつくる方法
CN105367921A (zh) * 2015-12-18 2016-03-02 杨甫进 一种三元乙丙橡胶
DE102016101312A1 (de) 2016-01-26 2017-07-27 Cooper Standard GmbH Profilstra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Profilstrang-Herstellungsverfahren
US11262172B2 (en) * 2017-12-19 2022-03-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Energy absorbing and spall mitigating ammunition compartment liner cassette
CN108707256A (zh) * 2018-05-18 2018-10-26 吴伟华 一种抗热氧老化导热减震橡胶的制备方法
CN108864710A (zh) * 2018-07-27 2018-11-23 山东建华阀门制造有限公司 一种阀门密封圈用塑胶料
CN109161069A (zh) * 2018-08-01 2019-01-08 中轻联(大连)包装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液体过滤器的橡胶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294022B (zh) * 2018-08-20 2020-07-31 国网江苏省电力公司盐城供电公司 一种高抗压的变压器储油柜隔膜
CN109251377B (zh) * 2018-11-15 2023-06-30 烟台鑫汇包装有限公司 一种低穿刺落屑聚异戊二烯垫片及其制备方法
CN110305385A (zh) * 2019-07-04 2019-10-08 石忠辉 一种耐磨耐高温的传送带及制作方法
BE1027490B1 (nl) * 2019-08-09 2021-03-10 Anheuser Busch Inbev Sa Tpe-gebaseerde bekledingen voor houders onder druk
KR102261795B1 (ko) * 2019-12-23 2021-06-04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내마모성이 향상된 씰용 아크릴 고무 조성물
CN111234505A (zh) * 2020-03-16 2020-06-05 谢强 一种环保阻尼胶板及其制备方法
KR102665653B1 (ko) * 2021-11-19 2024-05-14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불소실리콘 고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가교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343A (ja) * 1984-06-21 1986-01-14 Mitsui Petrochem Ind Ltd 低比重ゴム組成物
EP0645403A1 (de) * 1993-09-27 1995-03-29 Hoechst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ltrahochmolekularem Polyethylen mit hoher Schüttdichte
WO2000018809A1 (de) * 1998-09-25 2000-04-06 Ticon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olymers
JP2000289415A (ja) * 1999-03-23 2000-10-17 Goodyear Tire & Rubber Co:The サイドウォールゴムインサートを有する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47795A (en) * 1984-03-29 1988-12-28 George S. Van Delinder Polyethylene moulding composition and process
BR8707098A (pt) * 1987-12-28 1989-08-15 Petroleo Brasileiro Sa Processo de preparacao de sistema catalitico tipo ziegler e processo de preparacao de polietileno de altissimo peso molecular
BR9301438A (pt) * 1993-04-05 1994-11-15 Petroleo Brasileiro Sa Processo de preparação de catalisador esférico tipo ziegler para polimerização de alfa-olefinas, catalisador esférico, processo de obtenção de polietileno esférico de altíssimo peso molecular e polietileno esférico de altíssimo pelo molecular
JPH09164980A (ja) * 1995-12-19 1997-06-24 Bridgestone Corp ゴムクローラ用突起ゴム組成物
JPH09207274A (ja) * 1996-02-05 1997-08-12 Kureha Elastomer Kk 耐摩耗性ゴム複合体
DE19844167A1 (de) * 1998-09-25 2000-04-06 Ticona Gmbh Aktivkohlefilter
JP2001001450A (ja) * 1999-06-24 2001-01-09 Mitsui Chemicals Inc 積層体
DE10210314A1 (de) * 2002-03-08 2003-09-25 Ticona Gmbh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Elastomere und Polyethylene hohen Molekulargewichts mit irregulärer Partikelform,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343A (ja) * 1984-06-21 1986-01-14 Mitsui Petrochem Ind Ltd 低比重ゴム組成物
EP0645403A1 (de) * 1993-09-27 1995-03-29 Hoechst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ltrahochmolekularem Polyethylen mit hoher Schüttdichte
WO2000018809A1 (de) * 1998-09-25 2000-04-06 Ticon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olymers
JP2000289415A (ja) * 1999-03-23 2000-10-17 Goodyear Tire & Rubber Co:The サイドウォールゴムインサートを有する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80913A (ja) 2010-12-16
ATE294216T1 (de) 2005-05-15
TWI306877B (en) 2009-03-01
JP2003268163A (ja) 2003-09-25
BR0300522B1 (pt) 2012-11-27
KR20030074306A (ko) 2003-09-19
CN1448435A (zh) 2003-10-15
TW200304466A (en) 2003-10-01
CN100509946C (zh) 2009-07-08
DE10210314A1 (de) 2003-09-25
ES2240871T3 (es) 2005-10-16
US20040006170A1 (en) 2004-01-08
EP1342751A1 (de) 2003-09-10
DE50300475D1 (de) 2005-06-02
JP5406810B2 (ja) 2014-02-05
BR0300522A (pt) 2004-08-10
EP1342751B1 (de) 2005-04-27
JP5220980B2 (ja)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068B1 (ko) 탄성중합체 및 입자 형태가 불규칙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George et al. Studies on NBR/PVC blends
KR910000942B1 (ko) 폴리올레핀 및 에틸렌 함량이 높은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탄성중합체의 열가소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Nakason et al. Thermoplastic vulcanizates based on maleated natural rubber/polypropylene blends: effect of blend ratios on rheological, mechan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Wang et al. Dynamically vulcanized blends of polyethylene–octene elastomer and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
Ghosh et al. Thermoplastic elastomers from blends of polyethylene and 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influence of vulcanization technique on phase morphology and vulcanizate properties
Prut et al. Mechanical and rheological behavior of unvulcanized and dynamically vulcanized i‐PP/EPDM blends
Sangwichien et al. Effect of filler loading on curing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 vulcanizate
Mousa et al. Rheological and viscoelastic behavior of dynamically vulcanized poly (vinyl chloride)–epoxidized natural‐rubber thermoplastic elastomers
EZATI et al. Correlation between the rheological behaviours and morphologies of PP/EPDM blends in various dynamic vulcanization systems
JP2888842B2 (ja) アクリル系ゴム組成物
Onyeagoro Effect of zinc oxide level and blend ratio on vulcanizate properties of blend of natural rubber and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in the presence of epoxidized natural rubber
RU245894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ермопластичной эластомерной композиции
Nakason et al. Effect of grafted maleic anhydride content and recyclability of dynamically cured maleated natural rubber/polypropylene blends
JPS617348A (ja) ポリマ−組成物
JP2006057003A (ja) 耐熱性ゴム組成物
Ismail et al. The effect of dynamic vulcanization on properties of rice husk powder filled polystyrene/styrene butadiene rubber blends
Sae-Oui et al. Properties of natural rubber filled with ultra fine acrylate rubber powder
Chandra et al. Studies on dynamic behaviour and flow properties of HDPE/EPDM blends by torque rheometer
Wang et al. Effects of 4, 4′-bismaleimidodiphenylmethane curing agent on morphological, rhe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dynamically vulcanized BIIR/polypropylene elastomers
Srichan et al. Influence of accelerator/sulfur ratio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mal resistance of natural rubber containing hybrid fillers
Kim et al. Blends of epoxidized natural rubber with chloroprene rubber
JP6697668B2 (ja) 防舷材用ゴム組成物
Singh et al. Development of elastomer blends for specific defence application
Prasertsri et al. Influence of Maleic Anhydride-Grafted Polybutadiene on the Properties of 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Ethylene-Propylene Diene Rubber Ble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