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211B1 - 함입식 볼라드 - Google Patents

함입식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211B1
KR100975211B1 KR1020090129100A KR20090129100A KR100975211B1 KR 100975211 B1 KR100975211 B1 KR 100975211B1 KR 1020090129100 A KR1020090129100 A KR 1020090129100A KR 20090129100 A KR20090129100 A KR 20090129100A KR 100975211 B1 KR100975211 B1 KR 100975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rod
bollard
lock ring
inlet pipe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우
Original Assignee
강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우 filed Critical 강준우
Priority to KR1020090129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 E01F13/04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the obstructing members moving up in a translatory motion, e.g. telescopic barrie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입식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볼라드(1)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1)는 윗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자물쇠 고리(9a)와 상기 자물쇠 고리(9a) 사이에 형성되는 자물쇠 고리 돌출구멍(8)이 구성되고, 외주연에는 시인성 확보를 위한 다수 개의 반사지(10)가 부착되며, 하단의 외주연에는 걸림턱(7a)이 형성된 차단봉(2)과;
상기 차단봉(2)을 고정하기 위해 상단에 자물쇠 고리(9b)가 형성된 축대(5)가 내부 중심에 고정되고, 상기 차단봉(2)을 떠받쳐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6)이 장입된 차단봉 함입관(3) 및; 상기 차단봉 함입관(3)속에 일단이 삽입된 차단봉(2)을 잡아주기 위해 내부에 걸림턱(7b)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봉 함입관(3) 상단에 나사체결되는 상승제한 플랜지(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볼라드는 공원이나 광장 등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다가 필요에 의해 차량의 출입을 허용할 경우 볼라드를 해체하지 않고도 신속, 간단하게 노면 속으로 함입시킬 수 있는 관리상의 편리성과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볼라드, 차단봉, 차단봉 함입관, 스프링, 상승제한 플랜지, 축대, 함입

Description

함입식 볼라드{SUBSIDENCE TYPE BOLLARD}
본 발명은 함입식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원이나 광장의 출입구 등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볼라드를 설치하였다가 필요에 의해 차량의 출입 허용이 필요한 경우 볼라드를 해체하지 않고도 쉽고 간단하게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한 함입식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공원이나 광장의 출입구 등에는 평상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기둥 형태의 볼라드를 다수 개 횡 방향으로 설치한다.
한편, 공원이나 광장 등은 시설물의 유지보수나 특별 행사 시 차량의 출입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현재 공원이나 광장 등 출입구에는 설치된 볼라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전 고정하거나 앵커 볼트로 고정한 구조이기 때문에 차량의 출입이 불가능하다.
상기 구조의 볼라드는 차량의 출입을 위해 타설된 콘크리트를 장비를 이용하여 깨고 파내거나 앵커 볼트를 분해하여 해체하여야 하므로 시간과 경비가 많이 소요 되고, 다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시공하여야 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원이나 광장 등의 출입구에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볼라드를 설치하되 필요에 의해 차량의 출입을 허용할 경우 볼라드를 해체하지 않고도 신속, 간단하게 차량의 출입이 가능한 함입식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차단봉 함입관의 내부에 스프링을 장입하여 차단봉을 수직으로 떠받침으로써 차량의 출입이 제한되고, 상기 차단봉을 누르면서 스프링을 압축하여 차단봉 함입관 속에 넣으면 노면 속으로 들어가 차량의 출입이 허용되도록 하는 수단을 강구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볼라드는 공원이나 광장 등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다가 필요에 의해 차량의 출입을 허용할 경우 볼라드를 해체하지 않고도 신속, 간단하게 노면 속으로 함입시킬 수 있는 관리상의 편리성과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함입식 볼라드 구성을 이하,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함입식 볼라드로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차단봉이 노면 위로 돌출된 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차량의 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차단봉이 노면 속으로 함입된 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함입식 볼라드(1)는 차단봉(2)과; 노면 속에 묻히는 차단봉 함입관(3)과; 상기 차단봉(2)이 차단봉 함입관(3) 속으로 함입되었을 때 고정하는 축대(5) 및; 상기 차단봉(2)을 떠받치는 스프링(6)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봉(2)은 윗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자물쇠 고리(9a)와 상기 자물쇠 고리(9a) 사이에 형성되는 자물쇠 고리 돌출구멍(8)이 구성되고, 외주연에는 시인성 확보를 위한 다수 개의 반사지가 부착되며, 하단의 외주연에는 걸림턱(7a)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봉 함입관(3)은 상단 외주연에 수나사가 형성된 원통형 관으로 형성되어 노면 속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봉 함입관(3)의 내부 중심에는 축대(5)가 고정 형성되는데, 상기 축대(5)의 상단에는 자물쇠 고리(9b)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자물쇠 고리(9b)는 상승제한 플랜지(4) 상단보다 높게 돌출된다.
상기 축대(5)가 형성된 차단봉 함입관(3) 속에는 스프링(6)을 장입한 다음 상기 차단봉(2)을 상기 차단봉 함입관(3)에 넣고 걸림턱(7b)이 내부에 형성된 상승 제한 플랜지(4)를 상기 차단봉 함입관(3)의 상단에 나사 체결하면 상기 차단봉(2)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7a)이 상기 상승제한 플랜지(4)의 걸림턱(7b)에 걸려 지지가 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봉(2)은 노면 속에 매설된 차단봉 함입관(3) 위로 돌출되어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차량의 출입 허용이 필요한 경우, 상기 차단봉(2)의 윗면을 누르면 스프링(6)이 압축되면서 상기 차단봉(2)은 차단봉 함입관(3) 속으로 함입되고, 상기 차단봉 함입관(3) 속에 형성된 축대(5)의 자물쇠 고리(9b)는 상기 차단봉(3)의 윗면에 형성된 자물쇠 고리 돌출구멍(8)으로 돌출되어 상기 차단봉(2)의 상단에 형성된 2개의 자물쇠 고리(9a) 사이에 자리를 잡게 되므로 자물쇠를 잠가 고정하면 차단봉(2)은 노면 속으로 함입된다.
즉, 차단봉(2)이 아래로 하강되면 차단봉(2)이 차단봉 함입관(3)에 함입됨으로써 축대(5)의 자물쇠 고리(9b)는 차단봉(2)에 형성된 자물쇠 고리 돌출구멍(8)에 돌출됨과 동시에 차단봉(2)에 형성된 자물쇠고리(9a)에 인입된 상태가 된다.
이때 차단봉(2)의 상단에 형성된 자물쇠 고리(9a)는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기 때문에 축대(5)의 자물쇠 고리(9b)는 양단이 자물쇠 고리(9a)에 인입되며 중단은 자물쇠 고리(9a) 사이에 자리를 잡게 되는 형태가 된다.
상기 자물쇠 고리(9a) 사이의 자물쇠 고리(9b)의 중단에 자물쇠를 채워 고정시킴으로써 차단봉(2)은 노면 속으로 함입된 채로 고정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함입식 볼라드로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차단봉이 노면 위로 돌출된 상태 단면도
도 2는 차량의 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차단봉이 노면 속으로 함입된 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볼라드 2 : 차단봉
3 : 차단봉 함입관 4 : 상승제한 플랜지
5 : 축대 6 : 스프링
7a, 7b : 걸림턱 9a, 9b : 자물쇠고리

Claims (1)

  1.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볼라드(1)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1)는 윗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자물쇠 고리(9a)와 상기 자물쇠 고리(9a) 사이에 형성되는 자물쇠 고리 돌출구멍(8)이 구성되고, 외주연에는 시인성 확보를 위한 다수 개의 반사지가 부착되며, 하단의 외주연에는 걸림턱(7a)이 형성된 차단봉(2)과;
    노면 속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고정되며 상단 외주연에 수나사가 형성된 원통형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봉(2)의 함입을 도모하는 차단봉 함입관(3)과;
    내부로 상기 차단봉 함입관(3)속에 일단이 삽입된 차단봉(2)을 잡아주는 걸림턱(7b)이 형성되어 차단봉 함입관(3) 상단에 나사체결되는 상승제한 플랜지(4)와;
    상기 차단봉 함입관(3)의 내부 중심에 고정되며 상단으로 차단봉(2)의 자물쇠 고리(9a)에 인입되는 자물쇠 고리(9b)가 형성되어 차단봉 함입관(3)에 함입된 차단봉(2)을 고정하는 축대(5)와;
    차단봉 함입관(3)에 장입되어 차단봉(2)을 지지하는 스프링(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입식 볼라드.
KR1020090129100A 2009-12-22 2009-12-22 함입식 볼라드 KR100975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100A KR100975211B1 (ko) 2009-12-22 2009-12-22 함입식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100A KR100975211B1 (ko) 2009-12-22 2009-12-22 함입식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211B1 true KR100975211B1 (ko) 2010-08-10

Family

ID=4275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100A KR100975211B1 (ko) 2009-12-22 2009-12-22 함입식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2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7995A (ja) * 2001-11-15 2003-05-21 Denyo Co Ltd 伸縮支柱
KR20030055847A (ko) * 2001-12-27 200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퍼 홀더
KR20040022824A (ko) * 2002-09-09 2004-03-18 이주한 주약기의 구조와 조작 방법
KR200355847Y1 (ko) * 2004-04-09 2004-07-09 김태원 승하강식 볼라드
KR200422824Y1 (ko) * 2006-05-15 2006-07-31 신상원 차량 진입 방지용 지주
KR20090009644U (ko) * 2008-03-21 2009-09-24 주식회사 부림이엔씨 높이 조절 식 볼라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7995A (ja) * 2001-11-15 2003-05-21 Denyo Co Ltd 伸縮支柱
KR20030055847A (ko) * 2001-12-27 200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퍼 홀더
KR20040022824A (ko) * 2002-09-09 2004-03-18 이주한 주약기의 구조와 조작 방법
KR200355847Y1 (ko) * 2004-04-09 2004-07-09 김태원 승하강식 볼라드
KR200422824Y1 (ko) * 2006-05-15 2006-07-31 신상원 차량 진입 방지용 지주
KR20090009644U (ko) * 2008-03-21 2009-09-24 주식회사 부림이엔씨 높이 조절 식 볼라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7651B2 (en) Ground anchor assembly
EP0584109A1 (en) POST INSTALLATION.
CN201276708Y (zh) 雨、污水检查井安全防坠井口装置
KR200435077Y1 (ko) 휀스 지주 조립구조 및 기초뚜껑
KR100991886B1 (ko) 기둥 정착구조
KR100775816B1 (ko) 기초 구조물과 분리 결합이 용이한 가로등주
KR101114840B1 (ko) 보강 지주조립체
KR101353515B1 (ko) 낙상 방지장치를 가지고 있는 맨홀틀
KR100975211B1 (ko) 함입식 볼라드
KR20120040042A (ko)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58741Y1 (ko) 길이연장이 용이한 시설물 고정구
KR102024683B1 (ko)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폴
KR101314649B1 (ko) 회전수단이 구비된 지주형 구조물
KR20190002728U (ko) 지주 설치용 구조물
KR101077971B1 (ko)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
KR101148172B1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KR102163410B1 (ko) 도로안전시설물용 지주 설치 구조
KR20100104104A (ko) 지지 구조물
KR101120561B1 (ko) 가로등 지주 교체장비
US20200263375A1 (en) Twist and lock removable bollard
JP4113095B2 (ja) 側溝蓋
KR101074226B1 (ko) 수납형 볼라드
CN214301449U (zh) 一种安装方便的市政道路用防护栏
KR102606981B1 (ko) 맨홀 추락방지 안전장치 및 추락방지 공법
JP6968618B2 (ja) 車止めポール支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