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847Y1 - 승하강식 볼라드 - Google Patents

승하강식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847Y1
KR200355847Y1 KR20-2004-0009817U KR20040009817U KR200355847Y1 KR 200355847 Y1 KR200355847 Y1 KR 200355847Y1 KR 20040009817 U KR20040009817 U KR 20040009817U KR 200355847 Y1 KR200355847 Y1 KR 200355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lower body
vehicle
bollard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원
Original Assignee
김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원 filed Critical 김태원
Priority to KR20-2004-0009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8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8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 E01F13/04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the obstructing members moving up in a translatory motion, e.g. telescopic barrie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걸림구가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가 내부로 삽입되어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승하강을 유도하는 가이드수단 및 상기 상부몸체가 하부몸체에 걸려져 지지되도록 하는 걸림수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평소에는 상부몸체를 지상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여 보행자를 보호하도록 하고, 화재 또는 응급환자 발생 등의 유사시에는 상부몸체를 하부몸체 내부로 삽입하여 소방차량이나 구급차, 방송차량, 행사차량 등에 대하여 통행이 가능하도록 볼라드의 설치를 선택적으로 전환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승하강식 볼라드{Ascend and descend type bollard}
본 고안은 승하강식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로 매립되는 하부몸체의 내부에 상부몸체를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한 것으로, 평소에는 지상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고, 화재 또는 응급환자 발생 등의 유사시에는 소방차량이나 구급차, 방송차량, 행사차량 등에 대하여 통행이 가능하도록 볼라드의 설치 상태를 선택적으로 간단히 전환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광장, 인구 밀집지역 또는 보도 등에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거나 주차를 금지시키고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볼라드(Bollard)가 설치된다.
이러한 볼라드는 주로 석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기둥형으로 형성되어 고정 설치된다.
즉, 차량의 통행이 통제되는 지역의 초입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다수개의 볼라드를 설치하여 보행자를 보호하도록 하거나, 폭이 넓은 보도에 차량을 주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볼라드로 인하여 화재로 인한 소방차량이나 구급차 등의 긴급차량도 그 통행이 제한되며, 그로 인해 보다 큰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송차량이나 행사차량, 공무수행차량 등의 특별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에 대해서도 통행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평소에는 지상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고, 유사시에는 지면과 거의 동일 높이로 하강시켜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그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식 볼라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 승하강식 볼라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승하강식 볼라드의 분해사시도.
도 2a 및 도 2c는 본 고안에 의한 승하강식 볼라드의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몸체 11 : 걸림구
20 : 하부몸체 30 : 가이드수단
31 : 가이드홈 32 : 가이드레일
40 : 걸림수단 41 : 끼움홈
42 : 끼움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승하강식 볼라드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걸림구가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가 내부로 삽입되어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승하강을 유도하는 가이드수단 및 상기 상부몸체가 하부몸체에 걸려져 지지되도록 하는 걸림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지상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고, 유사시에는 지면과 거의 동일 높이로 하강시켜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그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다.
또,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승하강식 볼라드의 분해사시도로서,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20)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도 2c는 본 고안에 의한 승하강식 볼라드의 설치 상태도로서, 하부몸체(20)에 삽입되어 있는 상부몸체(1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고정시킴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승하강식 볼라드 몸체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몸체(10)는 지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형상은 기둥형으로 형성하되 그 재질은 승하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고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에는 지름이 하부몸체(20)의 외면지름보다 크도록 형성된 걸림구(11)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20)의 하측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를 밀폐하여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20)의 하측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도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하부몸체(20)는 지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매립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몸체(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수단(30)은 상부몸체(10)가 동일한 궤적으로 승하강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31)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20)의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홈(31)과 대응되도록 가이드레일(32)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수단(40)은 상부몸체(10)가 승강하였을 경우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몸체(10)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끼움홈(41)이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20)의 내측면에 상기 끼움홈(41)과 대응되도록 끼움돌기(42)가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승하강식 볼라드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상부몸체(10)에 형성된 걸림구(11)의 하측면이 하부몸체(20)의 상부면과 접촉되도록 하부몸체(20)의 내부에 상부몸체(10)가 삽입되어, 상기 하부몸체(20)가 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매립된다.
즉,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부몸체(10)의 상측가 거의 지면과 동일 높이를 유지하거나 차량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약간 돌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10)의 상측부는 지면으로 돌출 되었을 경우, 보행자의 보행시나 차량의 주행시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완만한 경사를 갖는 라운드로 형성된다.
차량의 통행을 통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상부몸체(10)의 가이드홈(31)이 하부몸체(20)의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부몸체(1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부몸체(10)의 이동은 하부몸체(20)에 형성된 끼움돌기(42)가 상부몸체(10)에 형성된 끼움홈(41)에 걸려질 때까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하부몸체(20)의 끼움돌기(42)가 상부몸체(10)의 끼움홈(41)에 걸려지게되면, 상부몸체(10)의 상승이동을 중지하고 상부몸체(10)를 회전시켜 끼움홈(41)의 걸림부(41a)에 하부몸체(20)의 끼움돌기(42)가 걸려지도록 한다.
즉, 끼움홈(41)의 걸림부(41a)에 끼움돌기(42)가 끼워져 걸려지게 되면, 상기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 후, 차량의 통행을 재개하고자 하면 상부몸체(10)를 회전시켜 끼움홈(41)의 걸림부(41a)로부터 끼움돌기(42)를 분리시킨 후, 가이드홈(31)이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부몸체(10)를 하부몸체(20)의 내부로 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평소에는 상부몸체(10)를 지상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여 보행자를 보호하도록 하고, 화재 또는 응급환자 발생 등의 유사시에는 상부몸체(10)를 하부몸체(20) 내부로 삽입하여 소방차량이나 구급차, 방송차량, 행사차량 등에 대하여 통행이 가능하도록 볼라드의 설치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걸림구(11)가 형성된 상부몸체(10)와,
    상기 상부몸체(10)가 내부로 삽입되어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몸체(20)와,
    상기 상부몸체(10)의 승하강을 유도하는 가이드수단(30) 및
    상기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20)에 걸려져 지지되도록 하는 걸림수단(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볼라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30)은,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31)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20)의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홈(31)과 대응되도록 가이드레일(32)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걸림수단(40)은, 상기 상부몸체(10)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끼움홈(41)이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20)의 내측면에 상기 끼움홈(41)과 대응되도록 끼움돌기(42)가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볼라드.
KR20-2004-0009817U 2004-04-09 2004-04-09 승하강식 볼라드 KR200355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817U KR200355847Y1 (ko) 2004-04-09 2004-04-09 승하강식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817U KR200355847Y1 (ko) 2004-04-09 2004-04-09 승하강식 볼라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322A Division KR100684978B1 (ko) 2004-04-09 2004-04-09 승하강식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847Y1 true KR200355847Y1 (ko) 2004-07-09

Family

ID=4943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817U KR200355847Y1 (ko) 2004-04-09 2004-04-09 승하강식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84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322B1 (ko) 2006-05-22 2006-12-08 (주)그린피아이 상하조절식 볼라드
KR100975211B1 (ko) * 2009-12-22 2010-08-10 강준우 함입식 볼라드
KR101075581B1 (ko) 2009-06-10 2011-10-21 신국재 승하강식 볼라드 장치
KR101347073B1 (ko) * 2011-12-14 2014-01-06 김황자 볼라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322B1 (ko) 2006-05-22 2006-12-08 (주)그린피아이 상하조절식 볼라드
KR101075581B1 (ko) 2009-06-10 2011-10-21 신국재 승하강식 볼라드 장치
KR100975211B1 (ko) * 2009-12-22 2010-08-10 강준우 함입식 볼라드
KR101347073B1 (ko) * 2011-12-14 2014-01-06 김황자 볼라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7409B2 (en) Vehicle incursion inhibitors
KR200355847Y1 (ko) 승하강식 볼라드
KR200403447Y1 (ko) 상하조절식 볼라드
KR200451457Y1 (ko) 높이 조절 식 볼라드
KR100655322B1 (ko) 상하조절식 볼라드
KR100632414B1 (ko) 승하강식 볼라드
KR101246249B1 (ko)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KR100684978B1 (ko) 승하강식 볼라드
KR200401533Y1 (ko) 차량진입방지대
US7423552B2 (en) “Warning Bump” traffic safety device
ES2939407T3 (es) Sistema de extracción de contaminación de carretera
KR101571816B1 (ko) 상사점과 하사점이 설정된 승하강식 볼라드
US2655225A (en) Vehicle barrier
KR101347073B1 (ko) 볼라드
KR101449876B1 (ko) 볼라드
KR20100127899A (ko) 보행자 안전용 차량통제장치
JP2018044424A (ja) 迷惑駐車防止抑制装置
KR200422824Y1 (ko) 차량 진입 방지용 지주
KR20110049423A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0355848Y1 (ko) 승하강식 볼라드
KR200443383Y1 (ko) 주차 금지장치
KR200237672Y1 (ko) 도로의 단턱 통과용 경사매트
KR200453054Y1 (ko) 승하강식 볼라드
KR200305575Y1 (ko) 분리형 볼라드
KR101251954B1 (ko) 상하 이동식 볼라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