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726B1 - 공기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726B1
KR100974726B1 KR1020077006222A KR20077006222A KR100974726B1 KR 100974726 B1 KR100974726 B1 KR 100974726B1 KR 1020077006222 A KR1020077006222 A KR 1020077006222A KR 20077006222 A KR20077006222 A KR 20077006222A KR 100974726 B1 KR100974726 B1 KR 100974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ion generating
contamination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5328A (ko
Inventor
겐지 후루하시
다까시 고하마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5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24F11/523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for displaying temperature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흡입구로부터 취출구에 이르는 경로에 배치된 이온 발생 장치와, 경로에 이온 발생 장치보다도 흡입구측에 배치된 가습 필터와, 공기의 오염을 검출하기 위한 더스트 센서, 오더 센서와,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와, 더스트 센서 및 오더 센서에 의해 오염이 검출되고, 또한 온도와 습도가 특정 상태에 있을 때에는(S06 내지 S08에서 예), 특정 상태에 없을 때보다도 많은 수분이 이온 발생 장치에 공급되도록 팬 모터를 구동한다(S14).
공기 조절 장치, 공기 청정기, 이온 발생 장치, 가습 필터, 팬 모터

Description

공기 조절 장치 {AIR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공기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의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공기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간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이온화하는 이온 발생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이온 발생 장치에는 연면 방전법을 이용한 것이 있다. 종래의 이온 발생 장치에서는 이온 발생 소자에 교류의 전압을 인가하면,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발생한다. 이 발생하는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이 공기 중의 곰팡이, 부유균 또는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이온 발생 장치를 공기 조화기에 적용하여 곰팡이를 억제하는 기술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83593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83593호 공보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는 이온 발생 장치로부터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검지한 실내의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서 제습하는지 여부, 또는 냉난방을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83593호 공보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는 구동하고 있는 동안은 항상 이온 발생 장치로부터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실내의 온도 또는 습도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에서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저온이고 또한 저습도에서의 생존율이 높은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바이러스가 번식하기 쉬운 환경에 있어서는, 바이러스가 번식하기 어려운 환경에 있을 때보다도 실내의 이온 농도를 높게 하는 것이 기대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83593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실내의 부유 세균을 효율적으로 살균하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어느 국면에 따르면, 공기 조절 장치는 흡입구로부터 취출구에 이르는 경로에 배치되어 이온을 발생하는 이온 발생부와, 경로에 이온 발생부보다도 흡입구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부와, 공기의 오염을 검출하기 위한 오염 검출부와, 온도와 습도를 검출하는 온습도 검출부와, 오염 검출부에 의해 오염이 검출되고, 또한 온습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습도가 소정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소정의 상태에 없을 때보다도 많은 수분이 이온 발생부에 공급되도록 가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습부가 흡입구로부터 취출구에 이르는 경로에 이온 발생부보다도 흡입구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오염이 검출되고, 또한 온도와 습도가 소정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소정의 상태에 없을 때보다도 많은 수분이 이온 발생부에 공급된다. 이온이 물 분자에 둘러싸임으로써 잔존 기간이 길어진다. 이로 인해, 이온 발생부에 많은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이온의 잔존 기간을 장기화하여 제균 효과를 향상시킨 공기 조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습부는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취출구로부터 취출하기 위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부와, 물을 보유하는 받침 접시와, 받침 접시에 보유된 물에 일부가 침지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송풍부를 제어하여 풍량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풍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므로, 기화되는 물이 많아진다. 이로 인해, 풍량을 증가시키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온 발생부에 공급하는 수분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오염 검출부에 의해 오염이 검출된 경우, 온습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습도가 소정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이온 발생부를 제어하여 소정의 상태에 없을 때보다 많은 이온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소정의 상태에 없을 때보다도 많은 이온이 발생되어 많은 수분이 공급된다. 이로 인해, 이온의 잔존 기간을 장기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검출 결과 및/또는 습도 검출 결과를 고지하는 상태 고지부와, 가습부의 제어를 개시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지시 접수부를 더 구비하고, 가습부는 지시 접수부에 의한 지시 접수에 따라서 제어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실내의 이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온 발생부는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상태는 바이러스가 번식하기 쉬운 상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오염 검출부는 더스트 센서(dust sensor ; 먼지 센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오염 검출부는 오더 센서(odor sensor ; 냄새 센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기의 오염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청정부를 더 구비한다.
도1은 이온 발생 장치를 탑재한 공기 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공기 청정기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3은 공기 청정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4A는 특정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B는 특정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오염도 평가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이온 발생 장치의 구동 모드별로, 팬 모터 출력 및 이온 발생 장치에 인가되는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자동 모드에 있어서의 풍량 결정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다.
도8은 풍량과 가습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부유 세균의 잔존율을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탈취 시험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11은 탈취 시험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12는 탈취 시험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제3 도면이다.
도13은 탈취 시험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제4 도면이다.초
도14는 공기 청정기의 조작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5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평면도이다.
도1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17은 이온 발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8은 전압 인가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19A는 전압 인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B는 전압 인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은 전압 인가 회로의 변형예의 회로도이다.
도21A는 변형된 전압 인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B는 변형된 전압 인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는 이온 발생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3은 변형된 이온 발생 장치에 접속되는 전압 인가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24는 자동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공기 청정기 본체
2a : 흡입구
6a, 6b : 취출구
10, 10A : 이온 발생 장치
20, 20a, 20b : 전압 인가 회로
103 : 조작부
104 : 운전 절환 버튼
115 : 감시 램프
130 : 리모트 컨트롤러
150 : 제어부
151 : 온도 센서
152 : 습도 센서
153 : 더스트 센서
154 : 오더 센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에서는,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들의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1은 이온 발생 장치를 탑재한 공기 청정기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의 본체 정면도, 도3은 도1의 본체의 단면도이다.
이온 발생 장치를 탑재한 공기 청정기는, 도1로부터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의 본체(1), 본체 전방판(2), 복수 종류의 필터로 이루어지는 필터부(3), 팬용 모터(4), 터보 팬(5), 탱크(44), 가습 필터(41), 제1 취출구(6a), 제2 취출구(6b), 이온 발생 장치(10), 운전 상태의 표시 기능을 갖는 조작부(103), 전방판(2)의 흡입구(2a) 및 공기 청정기의 운전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조작부(103)에 대해 지시하기 위해 조작되는 리모콘(리모트 컨트롤러의 약어)(130)을 구비한다.
공기 청정기의 본체(1)는 본체(1)의 전방면의 일부를 덮도록 전방판(2)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체(1)는 전방면측에서 볼 때, 필터부(3)를 수납하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수납부이며 직사각형을 이룬 개구부를 갖고 있다. 개구부의 바닥면부에는 필터부(3)를 통과한 실내 공기를 통과시키는 구멍(24)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방사형의 구멍(24)의 배면에는 터보 팬(5) 및 이를 회전시키는 팬 모터(4)가 배치된다. 터보 팬(5)의 상측에, 공기를 실내에 취출하는 제1 취출구(6a) 및 제2 취출구(6b)가 마련되어 있다. 이온 발생 장치(10)는 터보 팬(5)의 상방에 송풍 경로(25)의 도중에 배치된다.
전방판(2)은 본체(1)로부터 일정 공간을 갖고 본체(1)에 결합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그 중앙부에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a)가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판(2)과 본체(1)의 간극으로부터도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전방판(2)을 본체(1)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필터부(3)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 필터(3a), 탈취 필터(3b) 및 집진 필터(3c)의 3종류로 구성되고, 이들이 흡입구(2a)측으로부터 차례로 필터 프레임(34)에 수납되어 본체(1)의 전방면 오목부에 수납된다. 프리 필터(3a)는 진애나 먼지의 큰 입자를 포집하고, 탈취 필터(3b)는 아세트알데히드, 암모니아, 아세트산 등의 냄새 성분을 흡착하고, 집진 필터(3c)는 HEPA 시트에 의해 공기 중의 진애나 먼지를 포집한다.
필터부(3)를 이와 같은 필터 구성으로 함으로써, 프리 필터(3a)에서 실내로부터 흡입한 공기 중의 진애나 먼지를 포집하고, 탈취 필터(3b)에서는 공기 중의 냄새 성분인 아세트알데히드, 암모니아, 아세트산 등을 흡착시키고, 마지막으로 집진 필터(3c)에서 프리 필터(3a)를 통과한 미세한 진애나 먼지가 포집되므로, 필터부(3)를 나온 공기는 냄새나 진애ㆍ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된다.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터보 팬(5)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4)는 필터부(3)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터보 팬(5)의 형태는 후방 굴곡의 반경 방향으로 긴 날개를 이루고, 가장 정압이 높고, 정음 효과를 발휘한다. 팬 모터(4)에는 제어성을 중시한 직류 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팬 모터(4)는 풍량을 6단계로 절환 가능하다고 하고 있다.
공기 청정기 본체(1)의 한쪽의 측부에는 물을 저장해 두기 위한 착탈 가능한 탱크(44)가 수납된다. 탱크(44)의 하방의 급수구가 받침 접시(43)와 결합된다. 탱크(44)에 저류된 물은 급수구로부터 받침 접시(43)로 흘러나와 받침 접시(43)에 공급된다. 받침 접시(43)에 저류되는 물은 수면이 소정의 높이로 유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가습 필터(41)는 받침 접시(43)의 상면을 덮는 상부 덮개(42)에 의해 지지되고, 그 하방의 일부가 받침 접시(43)에 저류된 물에 침지된다. 가습 필터(41)는 필터부(3)의 하류측, 터보 팬(5)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가습 필터(41)는 이온 발생 장치(10)보다도 흡입구(2a)측에 배치된다.
가습 필터(41)는 받침 접시(43)에 저류된 물을 빨아올려 수분을 포함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가습 필터(41)에 바람이 이송되면, 가습 필터(41)에 포함되는 물이 기화된다. 터보 팬(5)이 회전함으로써 공기가 유동하고, 흡입구(11a)로부터 흡입되어 필터부(3)를 투과한 공기는 그 일부가 가습 필터(41)를 통과하여 이온 발생 장치(10)를 향하게 되어 반송된다. 그 후, 제1 취출구(6a) 또는 제2 취출구(6b)로부터 실내로 방출된다.
공기 청정기의 본체(1)는 필터부(3)를 수납하는 수납부의 상부에 온도 센서(151)와, 습도 센서(152)와, 더스트 센서(153)와, 오더 센서(154)를 구비한다. 더스트 센서(153)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입자를 검출하는 입자 센서이다. 오더 센서(154)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센서 표면에 가스 성분이 흡착하면 저항치가 변화되는 것을 이용한 주지의 것이다.
다음에, 공기 청정기의 운전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 청정기는 자동 모드, 15분간 강 모드, 꽃가루 모드, 정음 모드, 급속 모드의 5개의 운전 모드에서 구동 가능하다. 자동 모드는 온도 센서(151)와, 습도 센서(152)와, 더스트 센서(153)와, 오더 센서(154)에서 검출된 온도, 습도, 오염도를 기초로 하여 이온 발생 장치(10)와, 팬 모터(4)를 제어하는 운전 모드이다. 이것에 대해서는 이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15분간 강 모드, 꽃가루 모드, 정음 모드, 급속 모드는 팬 모터(4)의 구동 모드를 나타내고, 팬 모터(4)를 제어하여 풍량을 시간적으로 변화시키는 운전 모드이다. 15분간 강 모드라 함은, 터보 팬(5)을 15분간 강(풍량 5)으로 구동한 후, 자동 모드로 절환한다. 꽃가루 모드에서는, 예를 들어 10분간, 터보 팬(5)이 풍량 「강(풍량 5)」에서 운전한 후에 풍량 「중(풍량 4)」, 「강(풍량 5)」에서 반복해서 운전을 한다. 정음 모드에서는 터보 팬(5)에 의해 미풍으로 조용한 운전을 한다. 급속 모드에서는 터보 팬(5)에 의한 풍량「급속(풍량 6)」으로 운전된다.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에는 이온 제어 모드와, 클린 모드가 있다. 이온 제어 모드라 함은, 이온 발생 장치(10)로부터 마이너스 이온을 플러스 이온보다도 많이 발생시키는 모드, 또는 마이너스 이온만을 발생시키는 모드를 말한다. 클린 모드라 함은, 이온 발생 장치(10)로부터 대략 동일 정도의 양의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키는 모드를 말한다.
자동 모드에 있어서는 더스트 센서(153)와, 오더 센서(154)의 출력을 기초로 오염도를 산출하고, 이 오염도를 기초로 하여 풍량이 결정된다. 또한, 온도 센 서(151)와, 습도 센서(152)에서 검출된 온도와 습도가 특정 상태에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어, 특정 상태에 있는지 여부와 오염도로부터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가 결정된다. 오염이 가장 낮은 경우이고 특정 상태에 없는 경우에, 이온 제어 모드가 되고, 그 밖의 경우에는 클린 모드가 된다. 또한, 특정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감시 모드가 된다.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 중 클린 모드는 감시 모드를 포함한다. 감시 모드는 클린 모드의 일부이다. 감시 정화 모드는 온도 센서(151)에서 검출된 온도와 습도 센서(152)에서 검출된 습도가 특정 상태에 있을 때의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이다. 여기서는, 온도 센서(151)에서 검출된 온도와 습도 센서(152)에서 검출된 습도가 특정 상태에 없는 상태를 통상 상태라고 한다. 이온 발생 장치(10)는 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특정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구동 모드가 감시 모드가 되고, 통상 상태에 있는 경우보다도 많은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킨다.
도4A 및 도4B를 참조하여, 종축에 온도를, 횡축에 습도를 취하고, 온도와 습도로 정해지는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특정 상태는 온도가 24 ℃ 이상 34 ℃ 이하이고 습도가 0 % 이상 25 % 이하인 제1 영역과, 온도가 0 ℃ 이상 24 ℃ 이하이고 습도가 0 % 이상 40 % 이하인 제2 영역과, 온도가 0 ℃ 이상 13 ℃ 이하이고 습도가 40 % 이상 100 % 이하인 제3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은 바이러스가 활동하기 쉬운 영역이다. 특히, 제2 영역은 알레르겐이 부유하기 쉬운 환경이다.
도5는 오염도 평가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오염도 평가 테이블은 공기 청정기가 갖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것이다. 도5를 참조하여, 오염도 평가 테이블은 오더 센서 출력 레벨, 더스트 센서 출력 레벨, 양 센서 가산치 및 오염도를 대응하여 기억하는 테이블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오더 센서(154)의 출력 레벨을 0 내지 3으로 하고 더스트 센서(153)의 출력 레벨을 0 내지 3으로 하고 있다. 각각 4단계에서 오더의 양 및 더스트의 양을 출력한다. 오더 센서 출력 레벨은 값이 클수록 공기 중의 오더를 발생하는 물질량이 많은 것을 나타내고, 더스트 센서 출력 레벨은 값이 클수록 공기 중의 더스트의 양이 많은 것을 나타내는 값이다. 가산치는 오더 센서 출력 레벨과 더스트 센서 출력 레벨의 합이다. 가산치는 0 내지 6 사이의 값이다.
오더 센서 출력 레벨과 더스트 센서 출력 레벨에 오염도가 대응되어 있다. 가산치가 동일한 값이라도 오염도가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오더 센서 출력 레벨이 1이고, 더스트 센서 출력 레벨이 2인 경우에 가산치는 3이 되고, 오염도는 1이 대응되어 있다. 한편, 오더 센서 출력 레벨이 3이고 더스트 센서 출력 레벨이 0일 때에는, 가산치는 3이 되는 것에도 불구하고, 오염도는 2가 대응되어 있다. 이는, 오더 센서 출력 레벨이 오더를 발생하는 물질량이 가장 많은 것을 나타내는 3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오염도를 1로 하는 것은 아니고, 2로 하도록 대응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오염도를 0, 1, 2의 3개의 레벨로 하였지만, 오염도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것보다 많은 오염도를 설정해도 좋고, 또한 이것보다 적은 2개의 레벨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오더 센서(154)와 더스트 센서(153)의 2개의 센서의 출력치를 기초로 오염도를 검출하도록 하였지만, 어느 한쪽의 센서 출력을 이용하여 오염도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도6은 이온 발생 장치의 구동 모드별로, 팬 모터 출력 및 이온 발생 장치에 인가되는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이온 발생 장치(10)에 인가되는 전압은 듀티를 변화시키는 경우를 예로 나타내고 있다. 도6을 참조하여, 구동 모드가 클린 모드에 있는 경우, 감시 모드에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면, 풍량이 동일해도 감시 모드에 있는 경우에는 듀티가 크기 때문에,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의 발생량이 감시 모드에 없는 경우보다도 많이 발생한다. 또한, 이온 발생 장치의 구동 모드가 클린 모드인 경우에는 이온 발생 장치(10)로부터 발생하는 이온은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이고, 이온 제어 모드인 경우에 이온 발생 장치(10)로부터 발생하는 이온은 마이너스 이온이 플러스 이온보다도 많아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온 발생 장치(10)에서 발생하는 이온의 양은 공기 중에 차지하는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의 비율을 말하고, 팬 모터(5)의 출력과 관계된다. 여기서는, 팬 모터(5)의 출력을 풍량으로 나타내고, 그 풍량을 풍량 1로부터 풍량 6의 6 레벨로 분류하고 있다. 풍량 1보다도 풍량 6의 쪽이 풍속이 빠르다.
또한, 인가하는 전압 듀티가 커지면, 발생하는 방전음도 커지기 때문에, 팬 모터의 출력이 작고, 바람이 끊기는 소리가 작은 경우에는 이온 발생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방전음도 작은 쪽이 바람직하고, 팬 모터의 출력에 따라서 인가되는 전압 듀티를 바꿈으로써 제품 전체적으로 조용한 운전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풍속이 느린 경우에는 바람이 끊기는 소리도 작아지고, 전체의 운전음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이온 발생 장치가 발생하는 방전음도 작은 쪽이 바람직하고, 전압 듀티는 작은 쪽이 좋다. 반대로 풍속이 빠른 경우에는 바람이 끊기는 소리도 커지기 때문에, 이온 발생 장치가 발생하는 방전음이 커도, 전체의 운전음에 미치는 영향은 작으므로 신경쓰이지 않는다. 따라서, 풍량 5 또는 6이고 듀티 100 %로 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운전음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정음성을 실현한 후, 원하는 이온 농도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자동 모드에 있어서의 풍량 및 이온 발생 장치의 구동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은 자동 모드에 있어서의 풍량 결정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동 모드에 있어서는 풍량을 오염도를 기초로 하여 정한다.
오염도가 「0」인 경우, 통상 상태와 특정 상태 모두 풍량 1로 한다. 오염도가 「1」인 경우, 통상 상태에서는 풍량 3으로 하고, 특정 상태에서는 풍량 4로 한다. 오염도가 「2」인 경우, 통상 상태에서는 풍량 5로 하고, 특정 상태에서는 풍량 6으로 한다.
오염이 검출된 경우, 여기서는 오염도가 1 이상인 경우, 특정 상태의 풍량을 통상 상태의 풍량보다도 많게 하고 있다. 이는, 이온 발생 장치(10)에 공급되는 수분이 많을수록 발생한 클러스터 이온이 잔존하는 기간이 장기화되는 것에 의한다. 풍량을 많게 하면, 가습 필터(41)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므로, 보다 많은 물이 기화된다. 이로 인해, 이온 발생 장치(10)에 공급되는 수분량이 증가한다.
도8은 풍량과 가습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풍량이 증가하면 가습량(기화되는 수분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9는 부유 세균의 잔존율을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를 참조하여, 점선 301A는 자연의 상태에 있어서의 부유 세균의 잔존율을 나타내고, 실선 301B는 이온 발생 장치(10)에서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킨 경우의 부유 세균의 잔존율을 나타내고, 실선 301C는 가습한 공기를 이온 발생 장치(10)에 공급한 상태에서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킨 경우의 부유 세균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가습한 공기를 이온 발생 장치(10)에 공급한 상태에서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킨 경우의 쪽이, 가습하지 않고 이온 발생 장치(10)로부터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킨 경우에 비해, 부유 세균을 소멸시키는 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도10 내지 도13은 탈취 시험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통합 시험 결과를 나타내고, 도11은 암모니아의 잔존율을 나타내고, 도12는 아세트알데히드의 잔존율을 나타내고, 도13은 아세트산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실선 302A는 이온 발생 장치(10)에서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킨 경우의 오더 성분의 잔존율을 나타내고, 실선 302B는 가습한 공기를 이온 발생 장치(10)에 공급한 상태에서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킨 경우의 오더 성분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가습한 공기를 이온 발생 장치(10)에 공급한 상태에서 플러스 마 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킨 경우의 쪽이, 가습하지 않고 이온 발생 장치(10)로부터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킨 경우에 비해, 오더 성분을 소멸시키는 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도14는 공기 청정기의 조작부(103)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조작부(103)는 본체(1)의 전원을 온 오프하기 위한 전원 버튼(106)과, 리모트 컨트롤러(130)로부터의 적외선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부(105)와, 가습 필터의 세정이 필요한 시기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미스트 유닛 손질 램프(111)와, 필터부(3)의 세정이 필요한 시기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탈취 필터 세정 램프(112)와, 공기 청정기의 운전 모드를 표시하기 위한 미스트 램프(113)와, 실내의 공기의 오염도를 표시하기 위한 클린 사인 램프(114), 실내의 온도 및 습도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감시 램프(115) 및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클러스터 이온 램프(116)와, 공기 청정기의 운전 모드를 도시하기 위한 자동 램프(117a), 15분간 강 램프(117b), 꽃가루 램프(117c), 정음 램프(117d), 급속 램프(117e)와, 운전 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운전 절환 버튼(104)과, 오프 타이머의 설정 시간을 나타내는 오프 타이머 시간 램프(120)를 포함한다.
운전 절환 버튼(104)은 본체(1)의 운전 모드를 절환하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 전원 버튼(106)이 눌리면 운전은 개시되고 자동 운전 모드에서의 운전이 되어 자동 램프(117a)가 점등된다.
운전 절환 버튼(104)을 누를 때마다 자동 모드 ⇒ 15분간 강 모드 ⇒ 꽃가루 모드 ⇒ 정음 모드 ⇒ 급속 모드 ⇒ 자동 모드 …로 차례로 운전 모드가 절환되고, 더불어 자동 램프(117a) ⇒ 15분간 강 램프(117b) ⇒ 꽃가루 램프(117c) ⇒ 정음 램프(117d) ⇒ 급속 램프(117e) ⇒ 자동 램프(117a) …로 절환된 운전 모드에 대응하는 램프가 소등 → 점등으로 절환된다.
탈취 필터 세정 램프(112)는 공기 청정기의 가동 시간의 적산치가 미리 정해진 탈취 필터 세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을 때에 점등하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소등한다. 이에 의해, 탈취 필터(3b)를 세정하는 타이밍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탈취 필터 세정 램프(112)는 그 가로에 설치된 리세트 버튼에 의해 적산치가 제로로 리세트된다.
미스트 유닛 손질 램프(111)는 탱크(44) 및 받침 접시(43)에 물이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의 공기 청정기의 가동 시간, 즉 가습 운전 시간의 적산치가 미리 정해진 가습 필터 세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을 때에 점등하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소등한다. 이에 의해, 가습 필터(41)를 세정하는 타이밍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미스트 유닛 손질 램프(111)는 그 가로에 설치된 리세트 버튼에 의해 적산치가 제로로 리세트된다.
오프 타이머 램프(120)는 사용자에 의한 지시에 따른 타이머의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램프이고, 사용자에 의한 지시 횟수에 따라서 2개의 오프 타이머 시간 램프(120)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된다.
미스트 램프(113)는 받침 접시(43)에 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점등한다.
클린 사인 램프(114)는 실내의 공기의 오염도를 나타낸다. 클린 사인 램프(114)는 가장 오염이 적은 오염도 「0」인 경우에 녹색으로 점등하고, 중간 정도 의 오염을 나타내는 오염도 「1」인 경우에 주황색으로 점등하고, 가장 오염이 심한 오염도 「2」인 경우에 적색으로 점등한다.
클러스터 이온 램프(116)는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를 도시하기 위한 램프이다. 클러스터 이온 램프(116)는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가 이온 제어 모드에 있을 때에는 녹색으로 점등한다. 클린 모드에 있을 때, 감시 모드인 경우에는 청색으로 5초 주기로 점멸하고, 감시 모드에 없는 경우에는 청색으로 점등한다. 이온 발생 장치(10)가 구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클러스터 이온 램프(116)는 소등한다.
감시 램프(115)는 온도와 습도가 특정 상태에 있을 때 점등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에 대해 실내가 바이러스의 번식이 쉬운 환경이 된 것이 통지된다. 사용자는 이 시점에서 운전 절환 버튼(104)을 조작하고, 운전 모드를 자동 모드로 절환함으로써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가 감시 모드의 클린 모드로 절환되어 풍량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이온 발생 장치(10)로부터 발생하는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이 증가하는 동시에, 이온 발생 장치(10)에 공급되는 수분이 증가하므로, 발생한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의 잔존 기간이 길어진다. 이에 의해, 보다 많은 이온을 실내에 방출시켜 실내의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의 농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도15는 리모트 컨트롤러(130)의 평면도이다. 리모트 컨트롤러(130)는 공기 청정기의 전원의 온 오프를 절환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106A)와, 탈취 필터를 세정한 후에 운전 적산 시간을 리세트하기 위한 필터 리세트 버튼(129)과, 공기 청정기의 운전 모드를 자동 모드로 지정하기 위한 자동 버튼(116A)과, 수동 모드로 절환 하여 팬 모터(4)의 풍량을 지정하기 위한 풍량 버튼(119A)과, 꽃가루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꽃가루 버튼(118A)과, 오프 타이머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오프 타이머 버튼(122A)과, 매일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매일 모드 버튼(121)과, 취침 자동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취침 자동 버튼(122)과, 바쁨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바쁨 버튼(123)과, 조작부(103)의 표시의 온 오프를 절환하기 위한 표시 절환 스위치(124)와,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설정 버튼(125 내지 128)을 구비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30)는 눌린 스위치에 따른 적외광의 신호를 출력한다. 공기 청정기에서 그 적외광의 신호가 수광부(105)에서 수광되면, 수광된 적외광의 신호에 따라서 구동한다.
또한, 적외광을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러(13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리모트 컨트롤러(130)와 공기 청정기 사이의 통신은 적외광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자파, 음파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무선에 의해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면, 적외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동 버튼(116A)이 눌리면, 공기 청정기는 운전 모드를 자동 모드로 설정하여 운전한다. 풍량 버튼(119A)이 눌리면, 공기 청정기는 풍량 버튼(119A)이 눌릴 때마다 정음, 표준, 급속의 순으로 풍량을 변경한다. 꽃가루 버튼(118A)이 눌리면, 공기 청정기는 운전 모드를 꽃가루 모드로 설정하여 운전한다. 오프 타이머 버튼(122A)이 눌릴 때마다 오프 타이머 시간이 1, 4시간의 순으로 설정된다.
매일 모드 버튼(121)이 눌리면, 공기 청정기는 운전 모드를 미리 기억된 운 전 모드로 하여 운전한다. 취침 자동 버튼(122)이 눌리면, 공기 청정기는 운전 모드를 정음 모드로 하여 운전한다. 바쁨 버튼(123)이 눌리면, 공기 청정기는 운전 모드를 바쁨 모드로 하여 운전한다.
설정 버튼(125 내지 128) 중 어느 하나가 눌리면,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가 절환된다. 설정 버튼(126)이 눌리면, 이온 발생 장치(10)에 인가되는 전압이 정지되어,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이 정지된다. 설정 버튼(125)이 눌리면, 이온 발생 장치(10)가 클린 모드로 구동된다. 설정 버튼(127)이 눌리면, 공기 청정기(100)에서는 이온 발생 장치(10)를 이온 제어 모드에서 구동한다. 설정 버튼(128)이 눌리면, 공기 청정기(100)는 자동 모드에서 운전된다.
도1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16을 참조하여, 공기 청정기는,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50)는 온도 센서(151)와, 습도 센서(152)와, 더스트 센서(153)와, 오더 센서(154)와,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 설정부(155)와, 습도를 설정하기 위한 습도 설정부(156)와, 이온 발생 장치(10)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인가 회로(20)와, 팬 모터(4)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 구동 회로(31)와 접속된다. 이온 발생 장치(10)는 전압 인가 회로(20)에 접속되고, 팬 모터(4)는 모터 구동 회로(31)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는 운전 모드가 자동 모드인 경우, 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특정 상태에 있을 때에는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를 감시 모드로 절환한다. 온도 설정부(155) 및 습도 설정부(156)는 이 특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치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이다. 이 온도 설정부(155) 및 습도 설정 부(156)는, 예를 들어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된 버튼 스위치 혹은 슬라이드 스위치로, 온도와 습도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30)에 온도 설정부(155) 및 습도 설정부(156)를 설치하도록 하고,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리모트 컨트롤러(130)로부터 공기 청정기로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모터 구동 회로(31)는 제어부(15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팬 모터(4)의 회전수를 6단계로 절환한다. 또한, 전압 인가 회로(20)는 제어부(15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이온 발생 장치(10)를 구동한다.
도17은 이온 발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7의 (A)는 이온 발생 장치(10)의 평면도이고, 도17의 (B)는 이온 발생 장치(10)를 측면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온 발생 장치(10)는 유전체(11)와, 방전 전극(12a)과, 유도 전극(12b)과, 코팅층(13)을 구비한다. 방전 전극(12a)과 유도 전극(12b)에 전압이 인가되면, 방전 전극(12a)과 유도 전극(12b) 사이에서 생기는 방전에 의해 플러스 마이너스 양 이온 또는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킨다.
유전체(11)는 상부 유전체(11a)와 하부 유전체(11b)를 맞댄 평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전 전극(12a)은 상부 유전체(11a)의 표면에 상부 유전체(11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도 전극(12b)은 상부 유전체(11a)와 하부 유전체(11b) 사이에 형성되고, 방전 전극(12a)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방전 전극(12a)과 유도 전극(12b) 사이의 절연 저항은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방전 전극(12a)과 유도 전극(12b)은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 발생 장치(10)에 있어서, 방전 전극(12a)과 유도 전극(12b)을 상부 유 전체(11a)의 표리면에 대향하여 배치함으로써, 방전 전극(12a)과 유도 전극(12b)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방전 전극(12a)과 유도 전극(12b) 사이의 방전 상태가 안정되고, 플러스 마이너스 양 이온 또는 마이너스 이온을 적절하게 발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방전 전극 접점(12e)은 방전 전극(12a)과 동일 형성면에 설치된 접속 단자(12c)를 거쳐서 방전 전극(12a)과 도통하는 접점이다. 도통 가능한 리드선의 일단부를 방전 전극 접점(12e)에 접속하고, 타단부를 전압 인가 회로(20)와 접속함으로써, 방전 전극(12a)과 전압 인가 회로(20)를 도통시킬 수 있다. 유도 전극 접점(12f)은 유도 전극(12b)과 동일 형성면에 설치된 접속 단자(12d)를 거쳐서 유도전극(12b)과 도통하는 접점이다. 동선으로 이루어지는 리드선의 일단부를 유도 전극 접점(12f)에 접속하고, 타단부를 전압 인가 회로(20)와 접속함으로써, 유도 전극(12b)과 전압 인가 회로(20)를 도통시킬 수 있다.
도18은 전압 인가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18을 참조하여, 전압 인가 회로(20)는 교류 전원(201)과, 스위칭 트랜스(202)와, 절환 릴레이(203)와, 저항(204)과, 다이오드(205a 내지 205d)와, 콘덴서(206)와, 사이댁(등록 상표)(207)을 포함한다. 사이댁(등록 상표)(207)은 실리콘 제어 정류 소자 SCR(Silicon Control Rectifier)의 일종이고, 신덴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의 제품이다.
교류 전원(201)의 일단부는 다이오드(205a)의 애노드와 다이오드(205c)의 캐소드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는 절환 릴레이(203)의 공통 단자(203a)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205a)의 캐소드는 저항(204)의 일단부와 다이오드(205d)의 캐소드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저항(204)의 타단부는 트랜스(202)의 1차 코일(L1)의 일단부와 콘덴서(206)의 일단부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1차 코일(L1)의 타단부는 사이댁(등록 상표)(207)의 애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206)의 타단부와 사이댁(등록 상표)(207)의 캐소드는 서로 접속되어 있고, 그 접속 노드는 절환 릴레이(203) 중 하나의 선택 단자(203b)와, 다이오드(205b, 205c)의 각 애노드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205b)의 캐소드와 다이오드(205d)의 애노드는 서로 접속되어 있고, 그 접속 노드는 절환 릴레이(203)의 다른 선택 단자(203c)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스(202)의 2차 코일(L2)의 일단부는 이온 발생 장치(10)의 방전 전극 접점(12e)에 접속되어 있다. 2차 코일(L2)의 타단부는 릴레이(208)의 공통 단자(208a)에 접속되어 있다. 릴레이(208)의 한쪽 선택 단자(208c)는 다이오드(209)의 애노드에 접속되어 있고, 다이오드(209)의 캐소드는 유전 전극 접점(12f)에 접속되어 있다. 이온 발생 장치(10)의 유전 전극 접점(12f)은 릴레이(208)의 다른 쪽 선택 단자(208b)와, 다이오드(209)의 애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전압 인가 회로(20)는 통상 상태에 있어서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가 클린 모드에 있을 때, 절환 릴레이(203)는 선택 단자(203b)가 선택되고, 절환 릴레이(208)는 선택 단자(208b)가 선택된다.
이때, 교류 전원(201)의 출력 전압은 다이오드(205a)에서 반파정류된 후, 저항(204)으로 전압 강하되어 콘덴서(206)에 인가된다. 콘덴서(206)의 충전이 진행되어 양단부 전압이 소정 임계치에 도달하면, 사이댁(등록 상표)(207)이 온 상태가 되고, 콘덴서(206)의 충전 전압이 방전된다. 따라서, 트랜스(202)의 1차 코일(L1) 에 전류가 흘러 2차 코일(L2)로 에너지가 전달되고, 이온 발생 장치(10)에 펄스 전압이 인가된다. 그 직후, 사이댁(등록 상표)(207)은 오프 상태가 되고, 다시 콘덴서(206)의 충전이 개시된다.
상기한 충방전을 반복함으로써, 이온 발생 장치(10)의 방전 전극(12a)과 유도 전극(12b) 사이에는 도19A의 교류 임펄스 전압{예를 들어, pp(Peak-to-Peak)값 : 3.5 [㎸], 방전 횟수 : 120 [회 /초]}이 인가된다. 이때, 이온 발생 장치(10)의 근방에서는 코로나 방전이 생겨 주변의 공기가 이온화되고, 정전압 인가 시에는 플러스 이온인 H(H2O)m이 발생하고, 부전압 인가 시에는 마이너스 이온인 O2 (H2O)n(m, n은 0 또는 임의의 자연수)이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온 발생 장치(10)의 방전 전극(12a)과 유도 전극(12b) 사이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공기 중의 산소 내지는 수분이 전리에 의해 에너지를 받아 이온화되고, H(H2O)m(m 은 0 또는 임의의 자연수)과 O2 (H2O)n(n은 0 또는 임의의 자연수)을 주체로 한 이온을 생성한다. 이들 H(H2O)m 및 O2 (H2O)n은 팬 등에 의해 공간으로 방출되어 부유균의 표면에 부착되고, 화학 반응하여 활성종인 H2O2 또는 ㆍOH를 생성한다. H2O2 또는 ㆍOH는 매우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므로, 이들에 의해 공기 중의 부유균을 둘러싸고 불활화할 수 있다. 여기서, ㆍOH는 활성종의 일종이고, 라디칼의 OH를 나타내고 있다.
플러스 마이너스의 이온은 부유 세균의 세포 표면에서 식(1) 내지 식(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 반응하고, 활성종인 과산화수소(H2O2) 또는 수산기 라디칼(ㆍOH)을 생성한다. 여기서, 식(1) 내지 식(3)에 있어서, m, m', n, n'는 0 또는 임의의 자연수이다.
이에 의해, 활성종의 분해 작용에 의해 부유 세균이 파괴된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공기 중의 부유 세균을 불활화, 제거할 수 있다.
[식1]
H3O(H2O)m + O2 (H2O)n → ㆍOH + 1/2O2 + (m + n + 1)H2O
[식2]
H3O(H2O)m + H3O(H2O)m' + O2 (H2O)n + O2 (H2O)n' → 2ㆍOH + O2 + (m + m' + n + n' + 2)H2O
[식3]
H3O(H2O)m + H3O(H2O)m' + O2 (H2O)n + O2 (H2O)n' → H2O2 + O2 + (m + m' + n + n' + 2)H2O
이상의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의 방출에 의해 부유 세균 등의 불활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식(1) 내지 식(3)은 공기 중의 유해 물질 표면에서도 동일한 작 용이 생기게 할 수 있으므로, 활성종인 과산화수소(H2O2) 또는 수산기 라디칼(ㆍOH)이 유해 물질을 산화 혹은 분해하여 포름알데히드나 암모니아 등의 화학 물질을 이산화탄소, 물, 질소 등의 무해한 물질로 변환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무해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팬 모터(4)를 구동함으로써, 이온 발생 장치(10)에 의해 발생된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본체 밖으로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의 작용에 의해 공기 중의 곰팡이나 균을 불활화하고, 그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에,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에는 콕사키 바이러스, 폴리오 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류도 불활화하는 작용이 있고, 이들 바이러스의 혼입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에는 냄새의 기본이 되는 분자를 분해하는 작용이 있는 것도 확인되어 있고, 공간의 탈취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터보 팬(5)으로부터 이온 발생 장치(10)를 향해 바람을 보내고, 약 25 ㎝ 이격된 부분의 이온 카운터에 도착한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 각각의 양을 계측한 결과, 이온 카운터에서는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각각 약 30(만개/cc) 계측된다.
한편, 특정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는 반드시 클린 모드가 된다. 이때, 절환 릴레이(203)는 선택 단자(203c)가 선택되고, 절환 릴레이(208)는 선택 단자(208b)가 선택된다.
이에 의해, 교류 전원(201)의 출력 전압은 다이오드(205a 내지 205d)로 이루어지는 다이오드 브리지에서 전파정류된 후, 저항(204)으로 전압 강하되어 콘덴서(206)에 인가된다. 따라서, 이온 발생 장치(10)의 방전 전극(12a)과 유도 전극(12b) 사이에는, 도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상태에 없을 때보다도 방전 빈도가 높은 교류 임펄스 전압{예를 들어, pp값 : 3.5 [㎸], 방전 횟수 : 240 [회/초]}이 인가된다.
이때, 전술한 조건으로 이온량을 계측한 결과, 이온 카운터에서는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이 각각 약 50만개/cc 계측되었다. 즉, 특정 상태에 없는 통상 상태 시에 비해 약 1.7배의 이온량이 계측되었다.
또한, 절환 릴레이(203) 대신에, 다이오드(205b)의 캐소드와 다이오드(205d)의 애노드와의 접속 노드를 교류 전원(201)의 타단부에 접속하는 동시에, 다이오드(205c) 또는 다이오드(205d)의 애노드 또는 캐소드에 개폐 스위치를 직렬 접속하고, 상기 개폐 스위치를 구동 모드에 따라서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상기와 동일한 동작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온 발생 장치(10)가 이온 제어 모드에 있는 경우에는, 절환 릴레이(203)는 선택 단자(203b)가 선택되고, 절환 릴레이(208)는 선택 단자(208c)가 선택된다.
이에 의해, 다이오드(209)에 의해 반파정류됨으로써, 이온 발생 장치(10)에는 도19A에 나타낸 전압 인가 펄스 중 부전압의 펄스만이 인가되게 된다. 그 결 과, 이온 발생 장치(10)의 근방에서는 코로나 방전이 생겨 주변의 공기가 이온화되지만, 부전압만이 인가되므로, 마이너스 이온인 O2 (H2O)n이 발생한다.
<전압 인가 회로의 제1 변형예>
도20은 전압 인가 회로의 변형예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을 참조하여, 도18에 도시한 전압 인가 회로(20)와 다른 부분은 교류 전원(201)과 스위칭 트랜스(202)의 1차 코일(L1) 사이의 회로가 다르다. 그 밖의 회로는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교류 전원(201)의 일단부는 저항(214)의 일단부와 접속되어 있고, 저항(214)의 타단부는 다이오드(215)의 애노드와 접속되어 있다. 교류 전원(201)의 타단부는 사이댁(등록 상표)(207)의 캐소드와, 콘덴서(206a)의 일단부와, 릴레이(213)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215)의 캐소드는 콘덴서(206a, 206b) 및 1차 코일(L1)의 일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206b)의 타단부는 릴레이(213)의 타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변형된 전압 인가 회로(20a)는, 특정 상태에 없는 경우에는 릴레이(213)가 폐쇄된다. 교류 전원(201)의 출력 전압은 다이오드(215)에서 반파정류된 후, 콘덴서(206a 및 206b)에 인가된다. 콘덴서(206a 및 206b)의 충전이 진행되어 양단부 전압이 소정 임계치에 도달하면, 사이댁(등록 상표)(207)이 온 상태가 되어 콘덴서(206a 및 206b)의 충전 전압이 방전된다. 따라서, 트랜스(202)의 1차 코일(L1)에 전류가 흘러 2차 코일(L2)로 에너지가 전달되어, 이온 발생 장치(10)에 펄스 전압이 인가된다. 그 직후, 사이댁(등록 상 표)(207)은 오프 상태가 되어, 다시 콘덴서(206a 및 206b)의 충전이 개시된다.
한편, 특정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릴레이(213)가 개방된다. 교류 전원(201)의 출력 전압은 다이오드(215)에서 반파정류된 후, 콘덴서(206a)에만 인가된다. 콘덴서(206a)의 충전이 진행되어 양단부 전압이 소정 임계치에 도달하면, 사이댁(등록 상표)(207)이 온 상태가 되고, 콘덴서(206a) 충전 전압이 방전된다. 따라서, 트랜스(202)의 1차 코일(L1)에 전류가 흘러 2차 코일(L2)로 에너지가 전달되어, 이온 발생 장치(10)에 펄스 전압이 인가된다. 그 직후, 사이댁(등록 상표)(207)은 오프 상태가 되고, 다시 콘덴서(206a)의 충전이 개시된다.
릴레이(213)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사이댁(등록 상표)(207)에 인가되는 전압이 빨리 임계치에 도달한다. 이로 인해, 릴레이(213)가 개방된 경우의 쪽이, 폐쇄된 경우에 비해 이온 발생 장치(10)에 인가하는 전압 펄스의 방전 빈도가 높아진다. 이온 발생 장치(10)에 인가되는 펄스의 방전 빈도가 높을수록 발생하는 이온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릴레이(213)를 절환하는 것만으로 이온 발생 장치(10)로부터 발생하는 이온의 양을 절환할 수 있다.
도21A 및 도21B는 변형된 전압 인가 회로(20a)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A는 릴레이(213)가 폐쇄된 경우에 있어서의 파형을 나타내고, 다이오드(215)에서 반파정류된 전압 파형과, 이온 발생 장치(10)에 인가되는 전압 펄스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21B는 릴레이(213)가 개방된 경우에 있어서의 반파정류된 전압 파형과 이온 발생 장치(10)에 인가되는 전압 펄스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술한 전압 인가 회로(20)에서는 스위치(203)를 절환함으로써, 반파정류와 전파정류를 절환하도록 하였다. 변형된 전압 인가 회로(20a)에 있어서는, 반파정류만을 이용하는 것을 설명했지만, 전파정류와 반파정류의 절환을 조합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이온 발생 장치(10)에 방전 빈도가 낮은 전압 펄스를 인가하는 경우에는 반파정류된 전압과 릴레이(213)를 폐쇄한 상태로 하면 좋고, 방전 빈도가 높은 전압 펄스를 인가하는 경우에는 전파정류를 이용하여 릴레이(213)를 개방한 상태로 하면 좋다.
<이온 발생 장치 및 전압 인가 회로의 제2 변형예>
도22는 이온 발생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를 참조하여, 변형예에 있어서의 이온 발생 장치(10A)는, 상술한 이온 발생 장치(10)와 다른 부분은 방전 전극(21a)과 유도 전극(21b)을 갖는 제1 방전부(21)와, 방전 전극(22a)과 유도 전극(22b)을 갖는 제2 방전부(22)를 갖는 것이다. 즉, 변형된 이온 발생 장치(10A)에서는 2개의 제1 방전부(21), 제2 방전부(22)를 갖는 점이 다르다.
변형된 이온 발생 장치(10A)는 하부 유전체(11b)의 표면에 유도 전극(21b 및 22b)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유전체(11a)의 표면에 방전 전극(21a)과 방전 전극(22a)이 형성된다. 상부 유전체(11a)의 표면은 코팅층(13)으로 덮여 있다. 또한, 상부 유전체(11a)는 하부 유전체(11b)의 유도 전극(21b, 22b)이 형성된 면에 적층된다. 또한, 제1 방전부(21)의 방전 전극(21a)과 유도 전극(21b)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 방전부(22)의 방전 전극(22a)과 유도 전극(22b)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 방전부(21)에 있어서, 방전 전극(21a)의 접속 단자(21c)는 방전 전극 접점(21e)과 접속된다. 방전 전극 접점(21e)은 리드선으로 전압 인가 회로(20B)와 접속된다. 또한, 유도 전극(21b)의 접속 단자(21d)는 유도 전극 접점(21f)과 접속되어 있고, 유도 전극 접점(21f)은 전압 인가 회로(20B)와 리드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방전부(22)에 있어서는, 방전 전극(22a)의 접속 단자(22c)는 방전 전극 접점(22e)과 접속되어 있고, 방전 전극 접점(22e)은 전압 인가 회로(20B)와 리드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유도 전극(22b)의 접속 단자(22d)는 유도 전극 접점(22f)과 접속되어 있고, 유도 전극 접점(22f)은 전압 인가 회로(20B)와 리드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23은 변형된 이온 발생 장치(10A)에 접속되는 전압 인가 회로(20B)의 회로도이다. 도23을 참조하여, 전압 인가 회로(20B)는 교류 전원(201)과 트랜스(222)와, 절환 릴레이(233)와, 저항(224, 225)과, 다이오드(226 내지 230)와, 콘덴서(231a, 231b)와, 사이댁(등록 상표)(232)을 포함한다.
교류 전원(201)의 일단부는 저항(224)을 거쳐서 다이오드(226)의 애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226)의 캐소드는 트랜스(222)의 1차측을 구성하는 제1 코일(222a)의 일단부와, 다이오드(227)의 애노드와, 사이댁(등록 상표)(232)의 애노드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1 코일(222a)의 타단부와 다이오드(227)의 캐소드는 서로 접속되어 있고, 그 접속 노드는 콘덴서(231a 및 231b) 각각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사이댁(등록 상표)(232)의 캐소드와, 콘덴서(231a)의 타단부와, 릴 레이(233)의 일단부(233a)는 서로 접속되어 있고, 그 접속 노드는 교류 전원(201)의 타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릴레이(233)의 타단부(233b)는 콘덴서(231b)의 타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트랜스(222)의 2차측을 구성하는 제2 코일(222b)의 일단부는 제1 방전부(21)의 방전 전극 접점(21e)에 접속되어 있고, 제2 코일(222b)의 타단부는 제1 방전부(21)의 유도 전극 접점(21f)과, 다이오드(229)의 캐소드와, 다이오드(230)의 애노드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229)의 애노드는 절환 릴레이(223)의 한쪽 선택 단자(223a)에 접속되어 있고, 다이오드(230)의 캐소드는 절환 릴레이(223)의 다른 쪽 선택 단자(223b)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스(222)의 2차측을 구성하는 제3 코일(222c)의 일단부는 제2 방전부(22)의 방전 전극 접점(22e)에 접속되어 있고, 제3 코일(222c)의 타단부는 제2 방전부(22)의 유도 전극 접점(22f)과, 다이오드(228)의 애노드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절환 릴레이(223)의 공통 단자(223c)와 다이오드(228)의 캐소드가 서로 접속되어 있고, 그 접속 노드는 저항(225)을 거쳐서 교류 전원(201)의 타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전압 인가 회로(20B)에 있어서, 특정 상태가 아니고, 또한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가 클린 모드에 있을 때, 릴레이(233)는 폐쇄되고, 절환 릴레이(223)는 선택 단자(223a)가 선택된다. 이 경우, 제1 방전부(21)의 방전 전극 접점(21e)과 유도 전극 접점(21f) 사이에는 플러스의 직류 임펄스 전압이 인가되고, 제2 방전부(22)의 방전 전극 접점(22e)과 유도 전극 접점(22f) 사이에는 마이너스의 직류 임펄스 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제1 방전부(21)와 제2 방전부(22)의 근방에서는 코로나 방전이 생겨 주변의 공기가 이온화된다. 이때, 플러스의 직류 임펄스가 인가된 제1 방전부(21)의 근방에서는 플러스 이온인 H(H2O)m이 발생하고, 마이너스의 직류 임펄스가 인가된 제2 방전부(22)의 근방에서는 마이너스 이온인 O2 (H2O)n(m, n은 0 또는 임의의 자연수)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절환 릴레이(223)에서 선택 단자(223a)를 선택하면, 제1 방전부(21)로부터 플러스 이온을, 제2 방전부(22)로부터 마이너스 이온을 대략 동등량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을 공기 중의 부유 세균 등에 부착시키고, 그때에 생성되는 활성종의 과산화수소(H2O2) 및/또는 수산기 라디칼(ㆍOH)의 분해 작용을 갖고, 부유 세균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특정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릴레이(233)는 개방되고, 절환 릴레이(223)는 선택 단자(223a)가 선택된다. 이 경우, 콘덴서(231a)에만 축전되므로, 사이댁(등록 상표)(232)에 인가되는 전압이 소정의 임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빨라진다. 이로 인해, 제1 방전부(21)에 인가되는 플러스의 직류 임펄스 전압과, 제2 방전부(22)에 인가되는 마이너스의 직류 임펄스 전압의 방전 빈도가 상승한다. 이로 인해, 제1 방전부(21)에서는 보다 많은 플러스 이온이 생성되고, 제2 방전부(22)에서는 보다 많은 마이너스 이온이 생성된다.
특정 상태가 아니고, 또한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가 이온 제어 모 드에 있을 때, 릴레이(233)는 폐쇄되고, 절환 릴레이(223)는 선택 단자(223b)가 선택된다. 이 경우, 제1 방전부(21) 및 제2 방전부(22)에는 모두 마이너스의 직류 임펄스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이와 같은 마이너스의 직류 임펄스 전압이 인가되면, 제1 방전부(21) 및 제2 방전부(22)의 근방에서는 모두 마이너스 이온인 O2 (H2O)n(n은 0 또는 임의의 자연수)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절환 릴레이(223)에서 선택 단자(223b)를 선택하면, 제1 방전부(21) 및 제2 방전부(22)의 양쪽으로부터 마이너스 이온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온 밸런스를 조정하여 마이너스 이온이 풍부한 상태를 만들어, 이완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24는 자동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우선 오염도를 기초로 하여 풍량이 설정된다(스텝 S01 내지 S04). 스텝 S01에서 오염도가 판단되어, 오염도가 「0」인 경우에는 풍량 1로 설정되고(스텝 S02), 오염도가 「1」인 경우에는 풍량 3으로 설정되고(스텝 S03), 오염도가 「2」인 경우에는 풍량(5)이 설정된다(스텝 S04).
그리고, 다음에 특정 상태인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05 내지 S08). 특정 상태인 경우에는 스텝 S12로 진행되고, 특정 상태가 아닌 통상 상태인 경우에는 스텝 S09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05에 있어서, 온도 센서(151)와 습도 센서(152)에서 온도와 습도를 검출한다(스텝 S05). 그리고, 스텝 S06에 있어서, 온도가 34 ℃ 이하이고 또한 습도가 25 % 이하인 경우에는 특정 상태로서 스텝 S12 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07로 진행된다. 스텝 S07에서는 온도가 24 ℃ 이하이고 또한 습도 40 % 이하인 경우에는 특정 상태로서 스텝 S12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08로 진행된다. 스텝 S08에서는, 온도가 13 ℃ 이하인 경우에는 특정 상태로서 스텝 S12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09로 진행된다.
통상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09에서 오염도가 1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S10으로 진행되고,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 S11로 진행된다. 스텝 S10에서는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를 클린 모드로 한다. 이 클린 모드는 감시 모드가 아니므로, 감시 모드의 경우에 비해 이온 발생 장치(10)의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의 발생량은 적다. 스텝 S11에서는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를 이온 제어 모드로 한다. 이 경우, 이온 발생 장치(10)는 마이너스 이온을 플러스 이온보다도 많이 발생한다.
특정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12에서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를 클린 모드로 한다. 이 클린 모드는 감시 모드이다. 이로 인해, 감시 모드가 아닌 경우에 비해 이온 발생 장치(10)의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의 발생량이 많다. 그리고, 다음 스텝 S13에서는 오염도가 1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S14로 진행되고, 미만인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4에서는 스텝 S02 내지 S04에서 설정한 풍량을 증가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풍량 3을 풍량 4로 증가시키고, 풍량 5를 풍량 6으로 증가시킨다. 풍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가습 필터(41)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므로, 이온 발생 장치(10)에 공급되는 수 분이 증가한다. 그 결과, 발생하는 이온의 잔존 기간이 길어져, 보다 제균 효과가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청정기는 가습 필터(41)가 흡입구(2a)로부터 취출구(6a, 6b)에 이르는 경로에 이온 발생 장치(10)보다도 흡입구(2a)측에 배치되므로, 이온 발생 장치(10)에는 가습된 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오염도가 1 이상이고, 또한 특정 상태에 있을 때에는 통상 상태보다도 많은 수분이 이온 발생 장치(10)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이온이 물 분자에 둘러싸임으로써 잔존 기간이 길어지므로, 제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팬 모터(4)를 제어하여 풍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이온 발생 장치(10)에 공급하는 수분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클린 모드에서 구동하는 이온 발생 장치(10)를, 특정 상태에 있을 때에는 통상 상태에 있을 때보다도 많은 이온이 발생되는 감시 모드에서 구동하므로, 보다 많은 이온을 실내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특정 상태가 되면, 감시 램프(115)가 점등되므로, 사용자는 실내가 바이러스의 번식이 쉬운 바람직하지 않은 환경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시점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의사로 운전 절환 버튼(104)을 조작하여 운전 모드를 자동 모드로 절환하면, 공기 청정기는 이온 발생 장치(10)의 구동 모드를 감시 모드의 클린 모드로 하여 풍량을 증가한다. 사용자의 의사로 실내의 플러스 마이너스 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판 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닌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9)

  1. 흡입구로부터 취출구에 이르는 경로에 배치되어, 이온을 발생하는 이온 발생부(10, 10A)와,
    상기 경로에 상기 이온 발생부(10, 10A)보다도 흡입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온 발생부 부근의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부(41)와,
    공기의 오염을 검출하기 위한 오염 검출부(153, 154)와,
    온도와 습도를 검출하는 온습도 검출부(151, 152)와,
    상기 오염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오염의 정도에 따라서, 상기 가습부가 가습하는 정도를 변화시키는 가습 상태 변화부(150)를 구비하고,
    상기 가습 상태 변화부는, 상기 오염 검출부에 의해 오염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온습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습도가 소정의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오염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오염의 정도에 따라서, 상기 가습부가 상기 이온 발생부 부근의 공기의 가습하는 정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온습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습도가 상기 소정의 상태에 있어도, 상기 오염 검출부에 의해 오염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습부가 상기 이온 발생부 부근의 공기의 가습하는 정도를 변화시키지 않는, 공기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는,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취출구로부터 취출하기 위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부(5)와,
    물을 보유하는 받침 접시(43)와,
    상기 받침 접시에 보유된 물에 일부가 침지되는 필터(41)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 상태 변화부는,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여 풍량을 증가시키는 공기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상태 변화부는, 상기 오염 검출부에 의해 오염이 검출된 경우, 상기 온습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습도가 상기 소정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이온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소정의 상태에 없을 때보다 많은 이온을 발생시키는 공기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 결과 및/또는 상기 습도 검출 결과를 고지하는 상태 고지부(115)와,
    상기 가습부의 제어를 개시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지시 접수부(104)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습 상태 변화부는, 상기 지시 접수부에 의한 지시 접수에 따라서, 제어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부는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상태는 바이러스가 번식하기 쉬운 제2 상태를 포함하는 공기 조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검출부는 더스트 센서(153)를 포함하는 공기 조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검출부는 오더 센서(154)를 포함하는 공기 조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공기의 오염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청정부(10, 10A, 41, 5, S14)를 더 구비한 공기 조절 장치.
KR1020077006222A 2004-08-20 2005-08-04 공기 조절 장치 KR100974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1359 2004-08-20
JP2004241359A JP3795504B2 (ja) 2004-08-20 2004-08-20 空気調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328A KR20070045328A (ko) 2007-05-02
KR100974726B1 true KR100974726B1 (ko) 2010-08-06

Family

ID=3590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222A KR100974726B1 (ko) 2004-08-20 2005-08-04 공기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79879B2 (ko)
EP (1) EP1779873B1 (ko)
JP (1) JP3795504B2 (ko)
KR (1) KR100974726B1 (ko)
CA (1) CA2572422C (ko)
MY (1) MY143255A (ko)
WO (1) WO2006018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19478B1 (es) * 2006-05-12 2010-01-25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Aparato para la limpieza y la climatizacion de aire.
JP4716927B2 (ja) * 2006-06-02 2011-07-06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4831528B2 (ja) * 2006-07-21 2011-12-07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加湿器
JP4519815B2 (ja) * 2006-08-07 2010-08-04 三菱電機株式会社 加湿機能付き空気清浄機
US7973291B2 (en) * 2007-03-07 2011-07-05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nic apparatus
JP4983530B2 (ja) * 2007-10-17 2012-07-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清浄機
JP2010007871A (ja) * 2008-06-24 2010-01-14 Daikin Ind Ltd 換気装置
US8885183B2 (en) * 2009-07-22 2014-11-11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system with an air cleaner that displays an operating stat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9535407B2 (en) * 2009-08-14 2017-01-03 Opto Generic Devices, Inc. Intelligent total air climate and cleaning conditioner
JP4703770B1 (ja) * 2010-02-19 2011-06-15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及びイオンの有無判定方法
JP5520154B2 (ja) * 2010-07-22 2014-06-11 アズビル株式会社 送風制御装置および方法
CA3202964A1 (en) 2011-12-06 2013-06-13 Delta Faucet Company Ozone distribution in a faucet
KR101936632B1 (ko) * 2012-07-05 2019-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4025643A (ja) * 2012-07-26 2014-02-06 Sharp Corp 冷蔵庫
CN103542492A (zh) * 2013-08-23 2014-01-29 苏州康华净化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恒温恒湿控制系统
US9808754B2 (en) 2014-02-14 2017-11-07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ir treatment system
US9821260B2 (en) 2014-02-14 2017-11-2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ir treatment system
US10054572B2 (en) 2014-12-19 2018-08-21 Carrier Corporation Air purifying system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554722B1 (ko) * 2015-01-23 2015-09-21 황용희 풍량 가변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N104807151B (zh) * 2015-05-27 2017-11-07 成都德麦科技有限公司 一种恒温恒湿控制系统
US10746434B2 (en) * 2015-07-30 2020-08-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ousing cover an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the housing cover
CN108463437B (zh) 2015-12-21 2022-07-08 德尔塔阀门公司 包括消毒装置的流体输送系统
EP3193417A1 (en) * 2016-01-12 2017-07-19 Naturion Pte. Ltd. Ion generator device
KR20180065240A (ko) * 2016-12-07 2018-06-18 유버 주식회사 살균 공기 정화장치 및 제어방법
CN107477812A (zh) * 2017-09-21 2017-12-1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温感摄像头的婴儿环境空气系统与控制方法
CN108278663A (zh) * 2018-01-11 2018-07-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和空调器
CN108662709A (zh) * 2018-04-27 2018-10-16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室外pm2.5浓度的新风过滤系统及空气净化方法
CN111380291B (zh) * 2018-12-28 2022-03-25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风冷冰箱及其杀菌方法
KR102216410B1 (ko) 2019-05-02 202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온 발생 장치
WO2021111188A1 (en) * 2019-12-02 2021-06-10 Porvair Filtration Group Limited Gas filtration apparatus
US11828210B2 (en) 2020-08-20 2023-11-2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s using olfaction
US11813926B2 (en) 2020-08-20 2023-11-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Binding agent and olfaction sensor
US11760169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rticul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lfaction sensors
US11636870B2 (en) 2020-08-20 2023-04-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moking cess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760170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Olfaction sensor p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881093B2 (en) 2020-08-20 2024-01-2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moking in vehicles
US12017506B2 (en) 2020-08-20 2024-06-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ssenger cabin ai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932080B2 (en) 2020-08-20 2024-03-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and recircul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EP3964759A1 (en) * 2020-09-04 2022-03-09 Novoa Diz, Susana Device for generating hydroxyl radicals
KR102604293B1 (ko) * 2020-10-12 2023-11-20 어썸레이 주식회사 공기 살균장치 및 공기 살균장치를 이용한 공기 살균방법
CN117810910A (zh) * 2022-09-23 2024-04-02 开利公司 失电检测电路和用于可变制冷剂流量系统vrf的控制电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6356A (ja) * 2001-03-28 2002-10-03 Mitsubishi Electric Corp 負イオン及びオゾンの発生装置
JP2003056878A (ja) * 2001-08-13 2003-02-26 Daikin Ind Ltd 空気清浄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9031A (en) * 1982-09-27 1985-02-12 Allis-Chalmers Corp. Evaporative gas treating system
CH660569A5 (de) * 1985-06-26 1987-05-15 Eltex Elektrostatik Gesellscha Verfahren zum befeuchten eines plattenzylinders einer offset-druckmaschine und offset-druckmaschine.
GB2254447A (en) 1991-05-17 1992-10-07 Norm Pacific Automat Corp Interior atmosphere control system.
KR0152141B1 (ko) * 1995-08-22 1998-11-02 김광호 공기조화기에서의 제어부간 신호송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0081227A (ja) 1998-06-29 2000-03-21 Yoshitaka Kimoto 空気調和装置およびマイナスイオン発生器
JP3389544B2 (ja) * 1999-12-24 2003-03-24 三洋電機株式会社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US7045099B2 (en) 2000-02-18 2006-05-16 LK Luftqualität AG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ir of at least one room by air ionization
JP2002089932A (ja) * 2000-09-13 2002-03-27 Sanyo Electric Co Ltd 加湿装置
JP2002203657A (ja) * 2000-12-27 2002-07-19 Daikin Ind Ltd イオン発生器
JP3448686B2 (ja) 2001-09-12 2003-09-22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ビ抑制方法及び空気調和機
JP2004150734A (ja) * 2002-10-31 2004-05-27 Ricoh Elemex Corp 空気清浄装置
JP2004181999A (ja) * 2002-11-29 2004-07-02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US6985346B2 (en) * 2003-01-29 2006-01-10 Credenc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onization
JP2004232941A (ja) * 2003-01-30 2004-08-19 Hitachi Hometec Ltd 加湿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6356A (ja) * 2001-03-28 2002-10-03 Mitsubishi Electric Corp 負イオン及びオゾンの発生装置
JP2003056878A (ja) * 2001-08-13 2003-02-26 Daikin Ind Ltd 空気清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72422A1 (en) 2006-02-23
JP3795504B2 (ja) 2006-07-12
JP2006057941A (ja) 2006-03-02
US7679879B2 (en) 2010-03-16
WO2006018978A1 (ja) 2006-02-23
EP1779873B1 (en) 2013-10-02
CA2572422C (en) 2009-10-20
KR20070045328A (ko) 2007-05-02
US20080074824A1 (en) 2008-03-27
MY143255A (en) 2011-04-15
EP1779873A4 (en) 2009-10-28
EP1779873A1 (en)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726B1 (ko) 공기 조절 장치
KR100725576B1 (ko) 이온 발생 장치 및 공기 조절 장치
US7120006B2 (en) Ion generator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EP1382096B1 (en) Ion generator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06314365A (ja) 空気調節装置
JP4540424B2 (ja) 空気調節装置
JP3693663B2 (ja) 空気調節装置
JP2002216933A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節装置
JP2005274004A (ja) 空気調節装置
JP4530808B2 (ja) 空気調節装置
JP3608661B2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節装置
JP3467586B2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空気調節装置
JP2003227638A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空調機器
JP2007029282A (ja) 空気清浄機
JP2003175096A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空気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229

Effective date: 201001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