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959B1 -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 및 이를 배치한 건조물 - Google Patents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 및 이를 배치한 건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959B1
KR100973959B1 KR1020057022102A KR20057022102A KR100973959B1 KR 100973959 B1 KR100973959 B1 KR 100973959B1 KR 1020057022102 A KR1020057022102 A KR 1020057022102A KR 20057022102 A KR20057022102 A KR 20057022102A KR 100973959 B1 KR100973959 B1 KR 100973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resin
roof
bag
resin film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2664A (ko
Inventor
요시아키 이시사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그린-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78072A external-priority patent/JP4032307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그린-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그린-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2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01G9/1415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 장의 투명 수지 필름을, 마룻대로부터 처마도리에 이르는 가장자리 서까래에 고정시켜 자루 형상으로 구성한 건조물의 지붕으로서, 급기구로부터 자루 형상물에 온난한 공기를 공급하고, 자루 형상물을 긴장 상태로 유지하여, 자루 형상물 내의 공기를 배기구로부터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의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을 제공한다.
또한, 건조물의 연동식 지붕의 2 장의 투명 수지 필름의 사이의 골부 근방에, 장척상 필름 고정구와 동일한 방향으로 통액관을 배치하고, 그 통액관에 온수 또는 온부동액을 통액할 수 있도록 한 연동식 건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 및 이를 배치한 건조물{TRANSPARENT RESIN FILM ROOF AND BUILD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조물의 지붕에 쌓인 눈을 융해하거나, 실내를 보온하기에 알맞은 이중 구조의 지붕, 및 그 지붕을 설치한 건조물, 특히 온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물 재배를 촉진시키는 온실의 융설 (融雪) 장치로는, 온실의 지붕부의 외측에 살수용 배관을 배치하고, 지하수나 온수를 공급하여 살포하는 융설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263021호 등). 그러나, 이 장치는, 살수용 배관이 옥외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겨울철의 야간 등에는, 배관 내의 물을 빼지 않으면 동결되어 배관을 손상시키는 결점이 있다.
또한, 경사진 지붕 위의 눈을 홈통 쪽으로 활락 (滑落) 시키고, 홈통 가까이에 설치된 융설 수단으로 활락된 눈을 녹이는 제설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07806호 등). 이 장치의 활락은, 공조장치에 의해 온실 내를 난방하여, 피복재 (유리판, 경질 합성 수지판 등) 로 형성된 지붕을 따뜻하게 하여, 지붕 위의 적설을 융해하고, 서서히 적설을 홈통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또한, 이 장치의 홈통에는, 구멍이 뚫린 온탕관과 온수관이 미리 설치되어 있고, 온탕관에 더운물과 찬물을 통과시킴으로써, 눈의 브리지를 파괴하고, 또한 온수관 의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온수가 적설을 융해하는 방식이다. 지붕은 판이고, 한 겹이며, 지붕 위의 적설을 융해하기 위한 열원은 온실 내의 난기이다. 이 방식에서는, 노즐이 동결되거나, 눈을 전부 완전히 녹이지 못해, 쌓인 눈이 터널형상으로 되거나, 융설이 불충분하거나, 노즐이 쓰레기로 막히거나, 공기가 아니라 물을 사용하여 융설하기 때문에 강력한 펌프가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연동 (連棟) 하우스의 지붕의 골부에, 홈통을 설치하고, 홈통에 온수 순환 파이프를 설치하며, 또한 골부 근방의 실내에 온풍 덕트를 배치하여, 온풍을 골부를 향하여 분출하는 융설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43789호 등). 이 장치에서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덮여진 지붕 위의 적설은, 온풍 난방기에 의해 난방된 온실 내의 난기에 의해 융해되어, 평활한 필름 상을 미끄러져 떨어진다. 미끄러져 떨어지는 눈의 일부는, 홈통에 고이지만, 온수 파이프를 순환하는 온수에 의해 융설되어, 홈통을 따라 배수된다. 보조적으로 온풍을 필름을 향하여 분출시키면, 홈통 상부의 눈의 공동부를 용이하게 융해할 수 있어, 융설의 완전화 또는 신속화에 유효하다. 지붕은 판이고, 한 겹이며, 지붕 위의 적설을 융해하기 위한 열원은 온실 내의 난기이다. 그러나, 온풍의 분출이 국부적이기 때문에, 융설이 불충분하여 강력한 펌프가 필요하게 되거나, 동결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일본농업기상학회 2000년도 전국대회, 일본생물환경조절학회 2000년 대회합동대회강연 요지의 450∼451페이지에는, 공기막 지붕구조에 의한 태양 에너지 이용 하우스에 관한 기재가 있다. 그 공기막 지붕구조는, 하우스의 채광성을 손상시 키지 않고 구조적인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는 기재는 있다. 그러나, 공기막 지붕, 즉 자루 형상의 지붕에 온난한 공기를 공급하고, 그 자루 형상물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것에 관한 기재는 없다. 따라서, 그 공기막 지붕 내의 공기는 온난하지 않기 때문에 단열이나 보온효과가 작아, 지붕에 적설된 경우에는 융설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없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종래의 투명 수지 필름제의 이중 구조의 지붕이 갖는 결점을 해소하는 것, 즉, 그림자를 만들지 않고, 빗물·융설수의 유하 (流下), 눈의 활락이 원활하고, 융설·보온 성능이 양호하고, 내구성이 있고, 이중 구조 (자루 형상물) 의 두께, 온도분포가 일정하고, 조립 시공이 간편하고, 작업성이 양호하고, 재료비 및 건설비가 저렴한 지붕과 그 지붕을 설치한 건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2 장의 투명 수지 필름을, 마룻대로부터 처마도리에 이르는 가장자리 서까래에 고정시켜 자루 형상으로 구성한 건조물의 지붕으로서, 급기구로부터 자루 형상물에 온난한 공기를 공급하고, 자루 형상물을 긴장 상태로 유지하여, 자루 형상물 내의 공기를 배기구로부터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의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이다.
본 발명의 건조물의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은, 자루 형상물의 중간부를 서까래에 고정시켜, 자루 형상물을 서까래 방향으로 구분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2 장의 투명 수지 필름을 아치형 외측 프레임에 고정시켜 자루 형상으로 구성한 건조물의 아치형 지붕으로서, 자루 형상물의 중간부를 아치형 중간 프레임에 고정시켜, 자루 형상물을 서까래 방향으로 구분하고, 급기구로부터 자루 형상물에 온난한 공기를 공급하고, 자루 형상물을 긴장 상태로 유지하여, 자루 형상물 내의 공기를 배기구로부터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의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이다.
본 발명의 건조물의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은, 전술한 각 자루 형상물의 사이에 연통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어느 하나의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을 갖는 건조물, 특히 온실이다.
본 발명의 건조물의 연동식 지붕이, 상기의 어느 하나의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으로 구축되고, 또한 마주 보는 지붕의 골부에, 온난한 공기의 공급에 의해 긴장 상태로 유지된 투명 수지 필름제 융설 덕트가 배치된 연동식 건조물이다.
본 발명의 연동식 건조물은, 건조물의 연동식 지붕의 2 장의 투명 수지 필름의 사이의 골부 근방에, 장척상 필름 고정구와 동일 방향으로 통액관을 배치하고, 그 통액관에 온수 또는 온부동액을 통액할 수 있도록 한 연동식 건조물 온수관을 배치하고, 그 온수관에 온수를 통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지붕의 일례를 나타내는 견취도.
도 2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장척상 필름 고정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견취도.
도 3 은 본 발명의 온실의 일례를 나타내는 견취도.
도 4 는 본 발명의 온실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견취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투명 수지 필름
2 : 자루 형상물
3 : 급기구
4 : 배기구
5 : 연통관
11 : 마룻대
12 : 처마도리
13 : 가장자리 서까래
14 : 서까래
15 : 지붕
16 : 지주
17 : 벽
18 : 골부
21 : 길이가 긴 형상의 필름 고정구 (하부 받이 부재)
22 : 길이가 긴 형상의 필름 고정구 (누름 부재)
31 : 융설 덕트
32 : 윙
33 : 튜브
34 : 급기구
35 : 기체분출구
36 : 파이프
41 : 통액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맞배 지붕을 갖는 온실에서 대표되는 건조물은, 일반적으로, 기둥, 큰 들보, 작은 들보 등의 부재를 조립하여 구축된 본체와, 마룻대, 처마도리, 가장자리 서까래, 서까래, 도리, 합장 등의 부재를 조립하여 구축된 맞배 지붕으로 구성된 골격으로 이루어진다. 각 부재는 주로 금속제 파이프, 형재 (型材) 이고, 이것을 직교 클램프, 자재 (自在) 클램프 등의 결합 금구를 사용하여 조립하여, 각각 본체, 지붕의 골격으로 구축된다. 골격에, 주로 투명 수지제의 시트 또는 필름을 전장 (展張) 고정시켜, 예를 들어 온실이 구축된다.
본 발명의 건조물의 본체 및 지붕의 구성은, 일반적인 건조물의 경우와 전혀 다를 바 없어, 본체 및 지붕의 골격은 일반적인 것으로 상관없다. 본 발명의 건조물의 지붕 및 그 지붕을 갖는 건조물의 일례인 온실을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장의 투명 수지 필름 (1) 을 마룻대 (11) 부터 처마도리 (12) 에 이르는 가장자리 서까 래 (13) 에 고정시켜 자루 형상으로 구성한 맞배 지붕 (15) 으로서, 자루 형상물 (2) 을 급기구 (3) 로부터 공급한 온난한 공기에 의해 긴장 상태로 유지하여, 자루 형상물 내의 공기를 배기구 (4) 로부터 배출하는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 (15) 이다. 바람직한 것은, 자루 형상물 (2) 의 중간부를 서까래 (14) 에 고정시켜, 자루 형상물 (2) 을 서까래 방향으로 구분하고, 각 자루 형상물 (2) 사이에는 연통관 (5) 을 형성하여, 공기가 각 자루 형상물 (2) 사이를 서로 유통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경우이다.
구분된 자루 형상물 (2) 의 폭, 즉 인접하는 서까래 (14) 사이의 거리 또는 서까래 (14) 와 가장자리 서까래 (13)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20∼4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250㎝ 이다.
급기구 (3) 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60㎝, 보다 바람직하게는 4∼30㎝ 이다. 배기구 (4) 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4∼8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40㎝ 이다. 배기구 (4) 의 직경을 변경함으로써, 융설 및 보온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연통관 (5) 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60㎝ 이다.
서까래 (14) 에 투명 수지 필름 (1) 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붕 (15) 을 구성하는 2 장의 투명 수지 필름 (1) 또는 자루 형상의 투명 수지 필름 (1) 의 단부를, 가장자리 서까래 (13) 에 고정한 길이가 긴 형상의 필름 고정구 (하부 받이 부재 ; 21) 에 실어, 쌍으로 되어 있는 길이가 긴 형상의 필름 고정구 (누름 부재 ; 22) 를 씌워 실시된다. 필름 고정구 (21, 22) 로서는, 시판되는 슬라이록식 「슬라이레일」 (상표: 토토흥업주식회사 제조) 이 예시된다. 물론, 투명 수지 필름 (1) 의 고정은 이 적합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온실의 지붕 (15) 이 반원통 형상의 아치형인 경우도, 상기의 맞배 지붕 (15) 의 경우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즉, 맞배 지붕 (15) 의 경우에는, 직선인 가장자리 서까래 (13), 서까래 (14) 가, 아치형 지붕 (15) 인 경우에는, 아치형으로 만곡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투명 수지 필름 (1) 의 고정은, 만곡된 길이가 긴 형상의 필름 고정구 (21 ; 하부 받이 부재와 22 ; 누름 부재) 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실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인 맞배 지붕을 갖는 온실에 관해서 도 3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자루 형상물 (2) 을 서까래 방향으로 구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루 형상물 (2) 의 중간부를 서까래 (14) 에 고정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연통관이 불필요하다.
맞배 지붕 (15) 을 갖는 온실로서, 맞배 지붕 (15) 은, 2 장의 투명 수지 필름 (1) 을 마룻대 (11) 로부터 처마도리 (도시 생략) 에 이르는 가장자리 서까래 (13) 에 고정시켜 자루 형상으로 구성하고, 자루 형상물 (2) 의 중간부를 서까래 (14) 에 고정시켜, 자루 형상물 (2) 을 서까래 방향으로 구분하고, 각 자루 형상물 (2) 을 급기구 (3) 로부터 공급한 온난한 공기에 의해 긴장 상태로 유지하여, 자루 형상물 내의 공기를 배기구 (4) 로부터 배출하는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 (15) 이다. 각 자루 형상물 (2) 의 사이에는 연통관 (5) 을 형성하여, 공기가 각 자루 형상물 (2) 사이를 서로 유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온실 본체의 골격은, 지주 (16), 또한 적절하게 사용되는 큰 들보, 작은 들보 등의 본체를 구성하는 부재를, 알루미늄제 직교 클램프, 자재 클램프, 이음새 금구를 사용하여 조립하여 구축된다. 온실 본체의 골격에는 투명 수지 시트 또는 투명 수지 필름 (1) 을 둘러쳐, 도 2 에 나타내는 길이가 긴 형상의 필름 고정구 (21, 22) 를 사용하여, 골격에 고정시켜, 벽 (17) 이 구축된다.
출입구에는, 벽 (17) 의 경우와 동일하게, 테두리에 투명 수지 시트 또는 투명 수지 필름 (1) 을 둘러쳐, 길이가 긴 형상의 필름 고정구 (21, 22) 를 사용하여, 골격에 고정시키고, 도어 (도시 생략) 를 구축하여 설치한다. 도어는 온실 내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벽 (17), 특히 외벽에는, 투명 수지 시트 또는 필름 (1) 을 2중으로 전장하고, 나아가서는 자루 형상으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온 면에서는 바람직하다.
연동식 온실에 있어서는, 경사져 마주 보는 맞배 지붕 (15) 의 골부 (18) 의 공간에, 바람직하게는, 골부 (18) 의 깊이와 동일한 길이의 투명 수지 필름제 융설 덕트 (31) 가 배치된다. 융설 덕트 (31) 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투명 수지 필름제 윙 (32) 이 지붕 (15) 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 필름 (1) 과 중첩되어, 도 2 에 나타내는 길이가 긴 형상의 필름 고정구 (21, 22) 를 사용하여 가장자리 서까래 (13) 에 고정된다. 그 후, 온난한 공기를, 융설 덕트 (31) 내에 유치한 투명 수지 필름제 튜브 (33) 의 급기구 (34) 로부터 튜브 (33) 내에 공급하고, 다시 튜브 (33) 의 복수의 기체분출구 (35) 로부터 분출시켜, 융설 덕트 (31) 는 긴장 상태로 유지된다. 자루 형상물 내의 공기는, 융설 덕트 (31) 의 윙 (32) 이 중첩 되어, 길이가 긴 형상의 필름 고정구 (21, 22) 에 의해 접합된 영역에 형성된 틈으로부터 배출된다.
연동식 온실의 경우에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져 마주 보는 맞배 지붕 (15) 의 하부의 골부 근방, 즉, 길이가 긴 형상의 필름 고정구 (21, 22) 근방에, 그 고정구 (21, 22) 와 같은 방향으로, 통액관 (41) 을 배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액관 (41) 은 물론, 마주 보는 맞배 지붕 (15) 의 양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통액관 (41) 에는 온실외에서 온수 또는 온부동액을 통액할 수 있도록 한다. 맞배 지붕 (15) 의 자루 형상물 및 융설 덕트 (31) 에 온난한 공기를 공급하는 것에 더하여, 그 통액관 (41) 에 온수 또는 온부동액을 통액함으로써, 그 통액관 (41) 으로부터의 방열에 의해, 자루 형상물 내의 공기를 따뜻하게 하는 등의 상승적인 효과를 발휘하여, 융설이 원활하고 또한 신속하게 진행하게 된다.
통액관 (41) 의 길이는, 길수록 바람직하지만, 직관이어도 되고, 곡관이어도 된다. 통액관의 직경은 3∼20㎝, 바람직하게는 3∼8㎝ 이고, 두께는 0.05∼5㎜, 바람직하게는 0.1∼0.2㎜ 이다. 통액관은 수지관 또는 금속관인 것이 바람직하고, 투명성 수지 필름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온수 또는 온부동액의 온도는 50∼95℃, 바람직하게는 60∼90℃, 보다 바람직하게는 75∼85℃ 이다. 온수 또는 온부동액의 유량은 융설 상태를 보면서 적절하게 정하면 된다.
융설 덕트 (31) 의 단면 형상은 원통 형상 또는 각통 (角筒) 형상이 일반적 이지만, 이것에 구애되지 않는다. 다른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각통 형상의 경우도, 가급적 모가 적게 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설 덕트 (31) 의 단면 크기는, 온실의 지붕 (15) 의 크기, 골부 (18) 의 크기 등에 의해 좌우되지만, 원통 형상의 경우에 직경으로, 바람직하게는 5∼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150㎝ 이다. 융설 덕트 (31) 의 길이는, 지붕 (15) 의 깊이, 골부 (18) 의 깊이와 거의 동일하다.
융설수 (融雪水) 는 골부 (18) 의 융설 덕트 (31) 의 상면에 형성한 집수구 (도시 생략) 를 향하여, 집수구에 연결된 배수홈통 (도시 생략) 으로부터 온실 내의 지면 또는 온실 외로 배수된다.
튜브 (33) 의 단면 형상은 원통 형상 또는 각통 형상이 일반적이지만, 이것에 구애되지 않는다. 다른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각통 형상의 경우도, 가급적 모가 적게 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 (33) 의 단면 크기는, 융설 덕트 (31) 중에서 이동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원통 형상의 경우에 직경으로, 바람직하게는 2∼190㎝,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 이다. 튜브 (33) 의 길이는, 융설 덕트 (31) 의 길이의 70∼100% 정도이다. 튜브 (33) 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 필름 (1) 은 상기의 융설 덕트 (31) 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 필름 (1) 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 (33) 를 구성할 때는, 융설 덕트 (31) 를 구성할 때보다는, 약간 얇게 또는 부드러운 투명 수지 필름 (1) 을 사용하는 것이, 튜브 (33) 가 융설 덕트 (31) 내를 이동할 때에, 융설 덕트 (31) 를 손상시킬 우려가 적다.
튜브 (33) 의 둘레면의 상류측에는 급기구 (34) 가 형성된다. 구경은 바람직하게는 1∼60㎝, 보다 바람직하게는 4∼30㎝ 이다. 급기구 (34) 는 온풍 난방기 등의 온난한 공기를 발생하는 기기로부터 신장된 파이프 또는 튜브 (36) 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튜브 (33) 의 둘레면에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에 걸쳐 적당한 간격으로, 기체분출구 (35) 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기체분출구 (35) 의 수는, 20∼1000개/㎡ 가 바람직하고, 40∼400개/㎡ 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체분출구 (35) 의 구경은 바람직하게는 3∼20㎜,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 이다.
투명 수지 필름으로서는, 불소 수지, 염화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는데, 불소 수지 필름이 투명성, 기계적 강도, 내후성, 내자외선성, 내열성, 용착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불소 수지로서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 (이하, ETFE 라 약기한다),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 (이하, FEP 라 약기한다),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 (이하, PFA 라 약기한다),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불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이하, THV 라 약기한다), 폴리불화비닐리덴,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계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ETFE, FEP 및 THV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한 것은 ETFE 이다. 불소 수지의 필름의 두께는, 주로 수지의 기계적 강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40∼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60㎛ 이다.
건조물의 실내측의 투명 수지 필름의 내측 표면에는, 친수화 처리하여, 실내측의 수분이 투명 수지 필름 상에 결로된 경우에도, 물방울을 흐르기 쉽게 하여, 물방울이 작물에 낙하되어 작물의 성장을 저해하는 등의 영향을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화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무기질 콜로이드, 친수성 수지, 금속산화물 등의 용액을 도공기 (塗工機) 로 코팅하는 방법, 스프레이하는 방법, 규소, 주석, 티탄 등의 금속의 산화물을 스퍼터링하는 방법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 및 그 지붕을 배치한 온실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자루 형상물의 지붕 공간에, 온풍 난방기 등으로부터의 온난한 공기가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자루 형상물 내의 공기는, 자루 형상물을 적당한 긴장 상태로 유지함과 함께, 자루 형상물 내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기 때문에, 높은 융설 성능이나 보온 성능이 얻어진다. 그리고 자루 형상물 내의 공기는, 배기구로부터 자루 형상물 밖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투명 수지 필름의 자루 형상물을 서까래 방향으로 구분한 지붕 및 그 지붕을 배치한 온실의 경우에는, 상기 작용효과에 더하여, 자루 형상물이 적당한 크기·용적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온풍) 의 순환, 확산이 양호하고, 열효율이 높다. 또한 그 지붕은 자루 형상물을 구분한 부분 (서까래 방향) 을 향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그 지붕 위의 융설수나 눈이 미끄러져 떨어지기 쉬워진다.
지붕의 골부에 배치한 덕트 또는 덕트 내의 튜브에는, 온풍 난방기 등으로부 터의 온풍 (예를 들어 20℃) 이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덕트 또는 튜브 및 덕트를 적당히 긴장시킨다. 그 때, 덕트 내를 온실 내보다 상당히 높은 쪽의 온도로 조정하면, 덕트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 필름을 통해, 골부에 퇴적된 눈을 보다 신속하게 융해할 수 있다. 그리고, 자루 형상물이 서까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눈 및/또는 융설수가, 마룻대로부터 처마도리의 방향으로, 극단적으로 사행하지 않고, 거의 일정하게 동일 방향으로 원활하게 흘러, 거의 쌓이는 일이 없다. 융설수는, 바람직하게는, 융설 덕트에 형성한 집수구, 배수홈통으로부터 배수된다.
다음으로 도 3 에 근거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적합한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주 (16), 마룻대 (11), 가장자리 서까래 (13) 등으로 구축되는 온실로서, 정면의 지주간 거리 12m, 깊이 6m, 마룻대 높이 6.3m 이고, 지주 (16) 끼리의 중간점에 지붕 (15) 의 골부 (18) 가 있고, 그 지붕 (15) 의 경사각도가 20°인 온실을, 홋카이도 가바토군 우라우스마찌의 농장에서 시공하였다. 지주 (16) 의 주위에, 가장자리 서까래 (13) 로부터 지면에 이르는 전체면에 ETFE 필름 (두께 100㎛, 아사히가라스주식회사 제조, 「에프클린」 (등록상표)) 을 전장하여, 벽 (17) 을 구축하였다. 또한, 가장자리 서까래 (13), 서까래 (14) 등의 지붕 프레임의 골조 위에는, ETFE 필름을 2중으로 전장하여, 지붕 (15) 을 구축하였다.
마주 보는 지붕 (15) 의 골부 (18) 에, 2 장의 ETFE 필름으로 구성한 융설 덕트 (31) 의 단부 윙 (32) 을, 지붕 (15) 을 구성하는 2 장의 ETFE 필름의 단부와 중첩시키고, 중첩 영역을,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필름 고정구 (21, 22) 사이 에 끼워, 융설 덕트 (31) (폭 108㎝, 높이 40㎝, 길이 600cm) 를 구성하여, 지붕 프레임에 고정하였다. 고정되어도 여전히 투명 수지 필름의 중첩 영역에는, 틈이 형성되었다. 융설 덕트 (31) 의 내부에는, 골부 (18) 의 깊이와 동일한 길이로, 직경 10㎝ 의 튜브 (33) 를 유치하였다. 튜브 (33) 에는, 80개/㎡ 가 되는 간격으로 직경 1㎝ 의 기체분출구 (35) 를 형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온풍 난방기로부터의 온난한 공기를 파이프 (36 ; 직경 5㎝) 를 통해, 튜브 (33) 의 급기구 (34 ; 직경 5㎝) 로부터 공급하고, 튜브 (33) 를 긴장 상태로 유지하며, 또한 튜브 (33) 의 둘레면의 기체분출구 (35) 로부터 융설 덕트 (31) 내에 온난한 공기를 분출하여, 융설 덕트 (31) 를 긴장 상태로 유지하였다. 융설 덕트 (31) 내의 공기는, 중첩한 투명 수지 필름을 필름 고정구 (21, 22) 사이에 끼워도 여전히 형성되는 틈으로부터, 온실 외로 배출되었다. 또한, 지붕 (15) 을 구성하는 2 장의 투명 수지 필름의 공간에도, 온풍 난방기로부터의 온난한 공기를 파이프 (36 ; 직경 5㎝) 를 통해서 급기구 (3 ; 직경 5㎝) 로부터 공급하였다. 온난한 공기는, 연통관 (5 ; 직경 5㎝) 을 지나 지붕 (15) 내 전체에 퍼졌다. 그리고, 지붕 (15) 내의 공기는 배기구 (4 ; 직경 1㎝) 로부터 배출되었다.
2002년 2월 1일부터 동년 4월 5일까지의 약 2개월간, 튜브 (33) 내에 끊임없이 온난한 공기를 공급하였다. 온난한 공기의 온도는, 급기구 (34) 에서 44.4℃±8.4℃, 기체분출구 (35) 에서 29.4℃∼-14.5℃, 그 유량은 0.1㎥/분이었다. 지붕 (15) 의 2 장의 투명 수지 필름의 자루 형상의 내측의 공간에 공급된 온난한 공기의 온도는, 급기구 (3) 에서 44.4∼8.4℃, 배기구 (4) 에서 52.5∼-0.3℃, 그 유량은 0.1㎡/분이었다.
그 기간의 총강설량은 217㎝ 이었는데, 지붕 (15) 위에 내린 눈은 모두 융해되어 퇴적되지 않았다. 또한, 이 기간 중에서의 1일당 최대 강설량은, 3월 4일의 16㎝ 이었는데, 같은 날 (최고 기온 -1.1℃, 최저 기온 -6.2℃) 에도 지붕 (15) 및 융설 덕트 (31) 위에 내린 눈은 모두 융해되어 퇴적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지붕은 경량인 투명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루 형상물을 구분하기 위한 서까래와 서까래에 고정시키기 위한 길이가 긴 형상의 필름 고정구가 존재하여도, 온실 내의 식물 생육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는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다. 그 때문에, 온실 내의 경지 면적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필름으로서 불소 수지 필름을 사용하면 내후성, 내자외선성, 기계적 강도 등이 뛰어나기 때문에, 수지 필름의 교환 기간을 10여년 이상의 장기간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붕은 자루 형상으로 구성되고, 또한 급기구와 배기구를 갖기 때문에, 항상 자루 형상물 내에, 온풍 난방기 등으로부터의 온난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융설 능력이나 온실 내의 보온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지붕이 구분되어, 적당한 크기·용적의 자루 형상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루 형상물에 공급된 온풍이, 자루 형상물 내에 확산되었을 때의, 자루 형상물, 즉, 지붕의 온도분포의 불균형, 편차의 폭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 에, 열효율이 높다. 또한 그 지붕은, 자루 형상물을 구분한 부분 (서까래 방향) 을 향하여 경사지기 때문에, 그 지붕 위의 융설수나 눈이 미끄러져 떨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실외를 통과하는 돌풍 등에 의한 자루 형상물, 즉, 지붕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자루 형상물, 즉, 지붕이 어떠한 원인으로 손상을 받아, 찢어졌을 때의 수리, 수복 범위가 좁은 이점도 있다. 또한, 맞배 지붕의 마룻대로부터 처마도리로의 경사면을 가로지르는 칸막이가 없기 때문에, 마룻대 방향으로부터 처마도리 방향으로의 빗물, 융설수의 유하, 눈의 미끄러져 떨어짐에 지장이 없다. 또한, 마룻대 상부에 눈이 고이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더하여, 지상에서 미리 조립한 지붕의 골격에, 미리 투명 수지 필름을 2중으로 둘러쳐, 또는 미리 자루 형상의 투명 수지 필름을 둘러쳐 구축한 프리-페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지붕을, 본체의 골격 위에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 올려, 온실을 조립할 때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지붕의 골부에 투명 수지 필름제 덕트를 배치한 경우에는, 덕트 내에 공급한 온난한 공기에 의한, 덕트에 쌓인 눈, 덕트 위에 미끄러져 떨어진 눈을 신속하게 융해할 수 있다.
또한, 통액관 (41) 에 온수 또는 온부동액을 통액함으로써, 자루 형상물에 온난한 공기를 공급하는 것과의 상승적인 효과를 발휘하여, 융설이 보다 원활하고 또한 신속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9)

  1. 2 장의 투명 수지 필름을, 마룻대로부터 처마도리에 이르는 가장자리 서까래에 고정시켜 자루 형상으로 구성한 건조물의 지붕으로서, 상기 2 장의 투명 수지 필름 중, 건조물의 실내측의 투명 수지 필름의 내측 표면에 친수화 처리가 실시되고, 급기구로부터 자루 형상물에 온난한 공기를 공급하고, 자루 형상물을 긴장 상태로 유지하여, 자루 형상물 내의 공기를 배기구로부터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의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
  2. 제 1 항에 있어서, 자루 형상물의 중간부를 서까래에 고정시키고, 자루 형상물을 서까래 방향으로 구분한 건조물의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
  3. 2 장의 투명 수지 필름을 아치형 외측 프레임에 고정시켜 자루 형상으로 구성한 건조물의 아치형 지붕으로서, 상기 2 장의 투명 수지 필름 중, 건조물의 실내측의 투명 수지 필름의 내측 표면에 친수화 처리가 실시되고, 자루 형상물의 중간부를 아치형 중간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자루 형상물을 서까래 방향으로 구분하여, 급기구로부터 자루 형상물에 온난한 공기를 공급하고, 자루 형상물을 긴장 상태로 유지하여, 자루 형상물 내의 공기를 배기구로부터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물의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전술한 각 자루 형상물의 사이에 연통관을 갖는 건조물의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투명 수지 필름이, 불소 수지 필름인 건조물의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을 갖는 건조물.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을 갖는 온실.
  8. 건조물의 연동식 지붕이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으로 구축되고, 또한 마주 보는 지붕의 골부에, 온난한 공기의 공급에 의해 긴장 상태로 유지된 투명 수지 필름제 융설 덕트가 배치된 연동식 건조물.
  9. 제 8 항에 있어서, 건조물의 연동식 지붕의 2 장의 투명 수지 필름의 사이의 골부 근방에, 장척상 필름 고정구와 동일한 방향으로 통액관을 배치하고, 그 통액관에 온수 또는 온부동액을 통액할 수 있도록 한 연동식 건조물.
KR1020057022102A 2003-06-23 2003-11-28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 및 이를 배치한 건조물 KR100973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78072A JP4032307B2 (ja) 2002-06-27 2003-06-23 透明樹脂フィルム製屋根およびそれを配置した建造物
JPJP-P-2003-00178072 2003-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664A KR20060022664A (ko) 2006-03-10
KR100973959B1 true KR100973959B1 (ko) 2010-08-05

Family

ID=3353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102A KR100973959B1 (ko) 2003-06-23 2003-11-28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 및 이를 배치한 건조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40458B2 (ko)
EP (1) EP1637031A4 (ko)
KR (1) KR100973959B1 (ko)
CN (1) CN1787736B (ko)
AU (1) AU2003284499A1 (ko)
CA (1) CA2530158A1 (ko)
WO (1) WO2004112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1054A1 (en) * 2005-09-06 2007-03-08 John Devincenzo Retractable greenhouse
JP2007319138A (ja) 2006-06-05 2007-12-13 Asahi Glass Green Tekku Kk 建築資材、建造物および建造物の室内環境調節方法
NL2000352C2 (nl) * 2006-12-04 2008-06-06 Diemen B V Van Dakconstructie voor een teeltruimte.
WO2008069658A1 (en) 2006-12-04 2008-06-12 Van Diemen B.V. Roof construction for a cultivation space
US20100064978A1 (en) * 2008-09-15 2010-03-18 Hoefling Robert G Multi-purpose livestock shelter
KR100989766B1 (ko) * 2010-05-19 2010-10-26 박일흥 무색 부동액의 순환구조를 갖는 유리온실
TWM432257U (en) * 2012-02-10 2012-07-01 Sunny Rich Power Co Ltd Greenhouse scaffolding structure capable of being modulated with solar facility
US9303426B2 (en) * 2012-03-02 2016-04-05 Bare Bones Systems Llc Modular frame and structure system
US9797123B2 (en) * 2012-12-24 2017-10-24 Purepods Limited Dwelling
CN103125307B (zh) * 2013-02-27 2015-07-01 张玉贵 喷淋式清雪除尘双中空中通风拱型日光温室
US11006584B2 (en) 2014-01-17 2021-05-18 Lufa Farms, Inc. Snow melting system and method for greenhouse
CN112655433B (zh) * 2014-12-26 2023-01-06 富士胶片株式会社 农业大棚
CA2882972A1 (en) * 2015-02-24 2016-08-24 Gaston Beaulieu Vertically integrated industrial scale multilevel closed ecosystem greenhouse
US20180020626A1 (en) * 2015-09-24 2018-01-25 Amelia's Backyard Farm Company, LLC Modular Greenhouse and Kit
CN105484450B (zh) * 2015-12-17 2018-06-26 深圳市中德膜结构有限公司 气膜建筑融雪装置
AU2018213849B2 (en) * 2017-01-25 2023-07-27 Glasspoint Solar, Inc. Thin film housing structures for collecting solar energy,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725389B2 (en) 2018-04-03 2023-08-15 Heath Austin Hicks Roofing debris collection apparatus
US10724246B1 (en) 2018-04-03 2020-07-28 Heath Austin Hicks Roofing debris collection apparatus
US10704265B1 (en) * 2018-04-03 2020-07-07 Heath Austin Hicks Roofing debris collection apparatus
CN108889718A (zh) * 2018-08-13 2018-11-27 陈鹏 一种卫星天线自动除雪装置
WO2021014223A1 (en) * 2019-07-22 2021-01-28 Luciano Lillo Snow and ice melting system on external surfaces and areas
US11814899B2 (en) 2020-03-20 2023-11-14 Heath Hicks Ladder securing device
WO2024036059A2 (en) * 2022-08-10 2024-02-15 Sensei Ag Holdings, Inc. Pretensioned greenhouse pane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7135A (en) * 1976-07-24 1978-02-16 Toto Kogyo Kk Vinyl house
JPH078119A (ja) * 1993-06-24 1995-01-13 Hitachi Ltd 空調換気壁体型温室
JPH07255291A (ja) * 1994-03-28 1995-10-09 Tomita Tekkosho:Kk 2層構造のビニル温室
JP2000139237A (ja) * 1998-11-05 2000-05-23 Green System:Kk 連棟ハウスの融雪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0940A (en) * 1977-11-10 1979-06-07 Yoshitane Kurimoto Greenhouse apparatus
DE2855154A1 (de) * 1978-12-20 1980-06-26 Lamm Helmut Folienhalle
EP0013080B1 (en) * 1978-12-21 1983-02-16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Double-glazing assemblies
US4452230A (en) * 1980-05-23 1984-06-05 Nelson Richard C Canopy system for a building structure
US4387533A (en) * 1980-08-01 1983-06-14 Green George H Method and apparatus for retaining heat in greenhouse and similar structures
DE3271948D1 (en) * 1982-10-14 1986-08-14 Canada Inc 116736 Canopy system for a building structure
DD250847A3 (de) * 1985-05-10 1987-10-28 Veg Gartenbau Barchfeld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klimatischen beeinflussung des innenraumes doppelwandiger gewaechshaeuser
HU198774B (en) * 1985-09-20 1989-11-28 Alagi Allami Tangazdasag Double-covered foil house
JPS6332620A (ja) 1986-07-28 1988-02-12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電源回路
JPS63263021A (ja) 1987-04-22 1988-10-31 三和シヤツタ−工業株式会社 栽培温室における屋根散水路構造
US4878322A (en) * 1987-08-10 1989-11-07 Ikege, Inc. Insulating plastic film structures and method
JP2627761B2 (ja) 1988-02-26 1997-07-09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ハウス構造
US5027564A (en) * 1988-05-09 1991-07-02 Colux Gesellschaft fur Licht - und Leichtbau mbH Building construction with a chamber which can be acted upon by a fluid medium
JP2701041B2 (ja) 1988-05-27 1998-01-21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ハウス構造
IL98486A (en) * 1991-06-13 1995-12-08 Constab Polymer Chemie Gmbh Plastic sheeting preventing water droplet formation on its surface
JPH06104017B2 (ja) * 1992-03-31 1994-12-21 サンキン株式会社 温室用シートの押さえ部材
JPH06317043A (ja) * 1993-05-07 1994-11-15 Shimizu Corp インフレータブルルーフを備えた廃棄物処分施設
DE19525374A1 (de) * 1995-07-12 1997-01-16 Festo Kg Dach eines Bauwerkes
JPH09107806A (ja) 1995-10-16 1997-04-28 Iseki & Co Ltd ハウスにおける除雪装置
JPH11243789A (ja) 1998-03-06 1999-09-14 Green System:Kk 連棟ハウスの融雪装置
JP4032139B2 (ja) * 2002-05-31 2008-01-16 Agcグリーンテック株式会社 融雪ダクトおよび融雪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7135A (en) * 1976-07-24 1978-02-16 Toto Kogyo Kk Vinyl house
JPH078119A (ja) * 1993-06-24 1995-01-13 Hitachi Ltd 空調換気壁体型温室
JPH07255291A (ja) * 1994-03-28 1995-10-09 Tomita Tekkosho:Kk 2層構造のビニル温室
JP2000139237A (ja) * 1998-11-05 2000-05-23 Green System:Kk 連棟ハウスの融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7736A (zh) 2006-06-14
CA2530158A1 (en) 2004-12-29
CN1787736B (zh) 2010-07-21
EP1637031A4 (en) 2009-05-27
US20060130410A1 (en) 2006-06-22
AU2003284499A1 (en) 2005-01-04
WO2004112465A1 (ja) 2004-12-29
US7240458B2 (en) 2007-07-10
KR20060022664A (ko) 2006-03-10
EP1637031A1 (en)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959B1 (ko) 투명 수지 필름제 지붕 및 이를 배치한 건조물
EP186456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door environment in a building
US8683740B2 (en) Intelligent canopy greenhouse control system
US20190313586A1 (en) Atrium/hybrid multi-purpose greenhouse building
JP5660720B2 (ja) 寒冷地用の植物栽培ハウス
CA3106268A1 (en) Greenhouse improvements
JP4032307B2 (ja) 透明樹脂フィルム製屋根およびそれを配置した建造物
US8881449B2 (en) Bay-type greenhouse with optimal performance
KR101532737B1 (ko) 이중 개폐식 에어 하우스
JP4032139B2 (ja) 融雪ダクトおよび融雪システム
JPH11243789A (ja) 連棟ハウスの融雪装置
JP4084897B2 (ja) 連棟ハウスの融雪装置
CN111246728B (zh) 环境控制系统
JP2701041B2 (ja) ハウス構造
JP2017131186A (ja) 連棟ビニールハウス、パネル部材、融雪装置
KR20130001671A (ko) 비닐하우스 보온블럭용 고정장치
KR20240050747A (ko) 온실용 누수방지 거터
KR970007854B1 (ko) 하우스의 풍선형 이중 피복 시스템
NL1009496C1 (nl) Een warmte instraling en warmte overdracht paneel met als medium een vloeistof, gedreven door zonne-instraling voor hellende daken, op dakpanelen vervaardigd uit kunststof en voorzien van dakpan-profiel in allerlei uitvoeringen, ten behoeve van en in combinatie met geïsoleerde reservoirs, genaamd zonne-boiler.
JP3019887U (ja) 地下水利用ビニ−ルハウス保温装置
JP2005002760A (ja) 中央天開ハウス
Short et al. Naturally ventilated greenhouses for Mediterranean climates
KR200365128Y1 (ko) 여름철 통풍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GR20190200035U (el) Συστημα υδρορροης θερμοκηπιο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