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128Y1 - 여름철 통풍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 Google Patents

여름철 통풍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128Y1
KR200365128Y1 KR20-2004-0021779U KR20040021779U KR200365128Y1 KR 200365128 Y1 KR200365128 Y1 KR 200365128Y1 KR 20040021779 U KR20040021779 U KR 20040021779U KR 200365128 Y1 KR200365128 Y1 KR 200365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ventilation
house
cover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김기고
Original Assignee
김기고
이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고, 이재영 filed Critical 김기고
Priority to KR20-2004-0021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1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1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01G2009/1446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with perfo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비닐필름인 피복비닐 위에 통풍공을 형성한 덮개비닐을 융착 또는 점융착 방법으로 고정시킨 비닐하우스용비닐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덮개비닐이 위로 가도록 비닐하우스에 설치하여, 기온이 점차 높아지는 하절기에 덮개비닐과 겹쳐지는 피복비닐의 일정부분을 절취한 환기공을 형성하여,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상승한 더운 공기가 환기공을 통과해서, 통풍공 또는 융착부 사이로 배출되어, 환기 및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조를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통상 비닐하우스에 설치되는 비닐필름인 피복비닐(10)의 중앙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광폭의 띠 형상인 덮개비닐(20)을 고정시키되, 덮개비닐(20)의 양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 또는 점융착을 하여 고정시킨 구조로, 덮개비닐(20)은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통풍공(21)을 형성하는 대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비닐하우스용비닐은 통상의 철제 파이프 등을 밴딩하여 지어진 터널 형태의 프레임 겉면에 덮어씌우면서 설치되어,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기밀성을 높여 보온성을 좋게 하고, 기온이 올라가는 하절기에는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피복비닐의 중앙부를 일정 크기로 절취해낸 환기공을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되, 덮개비닐의 통풍공과 겹치지 않도록 형성하여, 비가와도 빗물이 유입되지 않으며, 비닐하우스 내부의 상승한 공기가 환기공을 통과해서, 통풍공 및 융착부 사이로 빠져나가므로, 원활한 환기 및 통풍이 이루어져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작물에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여름철 통풍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 the vinyl film of greenhouse for ventilation in summer }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비닐필름인 피복비닐 위에 통풍공을 형성한 덮개비닐을 융착 또는 점융착 방법으로 고정시킨 비닐하우스용비닐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덮개비닐이 위로 가도록 비닐하우스에 설치하여, 기온이 점차 높아지는 하절기에 덮개비닐과 겹쳐지는 피복비닐의 일정부분을 절취한 환기공을 형성하여,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상승한 더운 공기가 환기공을 통과해서, 통풍공 또는 융착부 사이로 배출되어, 환기 및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철제 파이프 등을 밴딩하여 터널 형태의 프레임을 짜고 그 위로 염화비닐필름, 폴리에틸렌필름 등의 비닐필름으로 덮은 것으로, 주로 채소류, 화훼류, 과실류의 재배에 쓰임은 물론, 축산업계에서도 두루 쓰이고 있으며, 특히, 폭설과 강풍 및 한파 등에 대한 기상 재해를 고려하여 설계한 농가보급형 비닐하우스의 종류 및 규격을 두어 비닐하우스 종류에 따른 크기와 사용 재료의 규격을 권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비닐하우스는 기밀성이 높아 비교적 보온력이 좋으므로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난방을 주로 하게 되고,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는 난방보다는 비닐하우스 내의 온도 및 습도가 일정 부분 유지되도록 적절한 환기 및 통풍이 필요한데, 이와 관련한 통풍 방법을 살펴보면, 환풍기를 달아 강제 환기시키는 방법, 비닐하우스 상단 부분에 천공하는 방법, 설치된 비닐필름의 측면 가장자리를 걷어올리는 방법, 또는, 비닐하우스에 개폐 장치를 설치하여 통풍을 하는 방법 등이 주로 쓰이고 있다.
그러나 환풍기 및 개폐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은, 초기 설비비가 증가하고, 각 장치에 의해 기밀성이 떨어지므로, 보온력이 낮아지고, 빗물의 유입으로 인한 작물의 피해가 우려되는 문제가 내포되어 있으며, 또한, 측면 가장자리를 걷어올리는 방법과 개폐 장치를 이용한 환기 방법은 대개 수작업으로써, 비닐하우스는 기본 한 개 동이 상당히 긴 것을 감안하면, 시간과 인건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비닐하우스의 비닐필름인 피복비닐과 광폭의 띠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통풍공을 형성한 덮개비닐을 구비하여, 피복비닐의 중앙부분에 덮개비닐을 길이방향으로 융착하여 고정시킨 비닐하우스용비닐을 구성하고, 이를 덮개비닐이 위로 가도록 비닐하우스에 설치함으로써,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기밀성을 높여 보온력을 좋게 하고, 기온이 올라가는 하절기에는 덮개비닐이 덮인 피복비닐에 환기공을 형성함으로써,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상승한 더운 공기가 환기공을 통과해서, 덮개비닐의 통풍공으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환기 및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피복비닐에 덮개비닐을 융착하여 고정시키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어 융착하거나, 일정간격으로 점융착 하는 방법으로 고정시킨 비닐하우스용비닐을 구성하여, 이를 상기 방법으로 비닐하우스에 설치하고,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 환기공을 형성하되, 덮개비닐의 통풍공과는 겹치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통풍 및 환기가 잘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비가 내려 통풍구로 유입된 빗물은 융착부 사이로 빠지게 하여, 비닐하우스 내부로는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접는 방법의 예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3에 따라 접은 것을 롤 형태로 감은 것을 보여 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도5의 B에서의 작용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 예시에 대한 평면도 및 BB'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피복비닐 11 : 환기공 20 : 덮개비닐
21 : 통풍공 22 : 융착부 30 : 비닐하우스용비닐
40 : 프레임 41 : 받침대 50 : 비닐하우스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비닐필름인 피복비닐 위에 통풍공을 형성한 덮개비닐을 융착 또는 점융착 방법으로 고정시킨 비닐하우스용비닐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덮개비닐이 위로 가도록 비닐하우스에 설치하여, 기온이 점차 높아지는 하절기에 덮개비닐과 겹쳐지는 피복비닐의 일정부분을 절취한 환기공을 형성하여,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상승한 더운 공기가 환기공을 통과해서, 통풍공 또는 융착부 사이로 배출되어, 환기 및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조를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통상 비닐하우스에 설치되는 비닐필름인 피복비닐(10)의 중앙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광폭의 띠 형상인 덮개비닐(20)을 고정시키되, 덮개비닐(20)의 양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 또는 점융착을 하여 고정시킨 구조로, 덮개비닐(20)은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통풍공(21)을 형성하는 대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구조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비닐하우스용비닐(30)은 피복비닐(10)과 덮개비닐(20)로 구성되되, 이들 재질은 통상 비닐하우스에 설치되는 비닐필름으로, 먼저, 피복비닐(10)은 비닐하우스에 덮이는 일반 비닐필름의 형상이고, 덮개비닐(20)은 광폭의 띠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통풍공(21)을 형성하되, 후설 할 환기공(11)의 위치를 고려하여, 정중앙 부분은 피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비된 피복비닐(10)과 덮개비닐(20)은 피복비닐(10)의 중앙부분에 길이방향으로 덮개비닐(20)을 융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비닐하우스용비닐(30)을 완성하되, 이는 서로 완전히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하거나 또는, 도2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비닐(20)에 형성되는 양측 융착부(22) 사이의 길이가 피복비닐(10)에 형성되는 양측 융착부(22) 사이의 길이보다 길도록 융착·고정하여, 피복비닐(10)과 덮개비닐(20) 사이에 여유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후설 할 환기공(11)을 형성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비닐하우스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비닐필름의 재질을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이는 주로 염화비닐필름(PVC)과 폴리에틸렌필름(PE)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이외에도 아세트산비닐필름(EVA)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중 투과율이 가장 높은 것은 염화비닐필름이고 가장 낮은 것은 폴리에틸렌필름이므로, 야간에 보온을 고려한다면 염화비닐필름이 유리하며, 두께는 대부분 0.04∼0.1㎜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 비닐하우스용비닐(30)의 설치 방법을 도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비닐하우스(50)를 설치하기 위해 대나무, 철제 파이프, 경질 PVC 파이프 등의 골격 재료를 이용하여 프레임(40)을 짜게 되는데, 이때에는 폭설과 강풍 등의 자연재해와 비닐하우스(50)의 규모 및 크기를 고려하여, 알맞은 골격 재료의 종류 및 규격 등을 결정하며, 프레임(40)을 설치한 후에는, 이에 폭 및 길이 등이 맞는 비닐하우스용비닐(30)을 덮어 설치하게 되는데, 폭을 그대로 감은 롤 형태의 비닐하우스용비닐(30)은 덮개비닐(20)이 위로 가도록 하여, 양쪽에서 비닐하우스용비닐(30)의 끝단을 잡아 풀어 덮어씌우면서 설치한다.
한편, 비닐하우스용비닐(30)은 덮개비닐(20)의 폭에 비해 피복비닐(10)의 폭이 상당히 클 경우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접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아낸 롤 형태로 공급하게 되며, 이와 같은 비닐하우스용비닐(30)을 현장에서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덮개비닐(20) 및 접힌 양 가장자리가 위로 가도록 하여, 상단에 접혀있는 양끝단을 잡아 펼쳐 덮어씌우면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비닐하우스용비닐(30)이 설치된 비닐하우스(50)는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통상 비닐하우스와 같은 기능으로 기밀성을 높여주어 작물의 보온을 담당하게 되며,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는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상승하므로 생육 조건에 알맞은 적절한 환기와 통풍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비닐하우스(50) 내부에서 덮개비닐(20)이 덮인 피복비닐(10)을 일정 크기로 절취한 환기공(11)을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비닐하우스(50) 내부에서 상승한 더운공기가 환기공(11)을 통과하여, 덮개비닐(20)의 통풍공(21)으로 빠지게되므로 환기 및 통풍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비닐하우스용비닐(30)에 융착부(22)를 형성함에 있어, 덮개비닐(20)의 양측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융착부(22)를 형성하되, 융착부(22)를 간격을 두어 형성시키거나, 도5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포인트 부분 열을 주어 융착시킨 점융착 방법으로 융착부(22)를 형성하는 것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각 융착부(22) 사이는 연속적인 연결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덮개비닐(20)과 외부 공간 사이에는 통풍공(21) 이외에도 연결되는 통로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닐하우스용비닐(30)은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작물의 보온을 담당하고,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는 덮개비닐(20)이 덮인 피복비닐(10)에 환기공(11)을 형성하되, 통풍공(21)과는 겹치지 않고, 비닐하우스의 제일 높은 부분인 중앙부를 따라 형성하여, 비가 내려 통풍공(21)으로 유입된 빗물은 다시 융착부(22) 사이로 빠져나가므로, 빗물이 비닐하우스(50)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50) 내부에서 대류현상에 의해 상승한 더운 공기가, 피복비닐(10)의 환기공(11)을 통과하여, 덮개비닐(20)의 통풍공(21)은 물론 융착부(22) 사이로 배출되므로, 통풍 및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는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작물의 성장에 가장 접합한 상태로 유지하여, 최적의 생육 조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피복비닐(10)과 덮개비닐(20) 사이에 여유가 있도록 한 비닐하우스용비닐(30)에는 도7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로폼 같은 가벼운 재질의 받침대(41)를 환기공으로 넣어 피복비닐(10)과 덮개비닐(20) 사이에 설치하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하여, 도7의 요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비닐이 상시 들려진 상태로 만들어 환기 및 통풍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비닐필름인 피복비닐과 광폭의 띠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통풍공을 형성한 덮개비닐을 구비하여, 피복비닐의 중앙부분에 덮개비닐을 길이방향으로 융착하여 고정시킨 비닐하우스용비닐을 구성하고, 이를 덮개비닐이 위로 가도록 비닐하우스에 설치함으로써,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기밀성을 높여 보온력을 좋게 하고, 기온이 올라가는 하절기에는 덮개비닐이 덮인 피복비닐에 환기공을 형성함으로써,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상승한 더운 공기가 환기공을 통과해서, 덮개비닐의 통풍공으로 빠져나가므로, 환기 및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복비닐에 덮개비닐을 융착하여 고정시키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어 융착하거나, 일정간격으로 점융착하는 방법으로 고정시킨 비닐하우스용비닐을 구성하여, 이를 상기 방법으로 비닐하우스에 설치하고,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 환기공을 형성하되, 덮개비닐의 통풍공과는 겹치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통풍 및 환기가 잘 이루어짐은 물론, 비가 내려 통풍구로 유입된 빗물은 융착부 사이로 빠지므로, 비닐하우스 내부로는 빗물이 유입되지 않으며, 이는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작물에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여 최적의 생육 조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반적인 비닐하우스의 비닐필름인 피복비닐(10)과,
    광폭의 띠 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통풍공(21)을 다수개 형성한 덮개필름(20)을 구비하여,
    상기 덮개비닐(20)을 피복비닐(10)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놓고, 그 양단 가장자리에 융착을 하여 고정시킨 비닐하우스용비닐(30)을 구성하여,
    이를 비닐하우스(50)에 설치하되, 덮개비닐(20)이 위로 가도록 프레임(40)에 덮어씌우면서 설치하여,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보온성을 높이고, 기온이 올라가는 하절기에는,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피복비닐의 중앙부를 일정 크기로 절취한 환기공(11)을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상승한 더운 공기가 환기공을 통과해서, 피복비닐의 통풍공으로 배출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여름철 통풍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비닐(10)에 형성되는 양측 융착부(22) 사이의 길이와 덮개비닐(20)에 형성되는 양측 융착부(22) 사이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융착시켜, 피복비닐과 덮개비닐은 서로 밀착한 상태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름철 통풍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비닐(20)에 형성되는 양측 융착부(22) 사이의 길이가 피복비닐(10)에 형성되는 양측 융착부(22) 사이의 길이보다 길도록 융착시켜, 피복비닐과 덮개비닐이 서로 밀착되지 않으므로, 환기공 형성을 위한 피복비닐의 절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여름철 통풍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융착부(22)는 일정 간격을 띄워 융착시키는 점융착 방식으로 고정시켜, 융착부 사이로 배수와 환기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여름철 통풍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KR20-2004-0021779U 2004-07-30 2004-07-30 여름철 통풍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KR200365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779U KR200365128Y1 (ko) 2004-07-30 2004-07-30 여름철 통풍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779U KR200365128Y1 (ko) 2004-07-30 2004-07-30 여름철 통풍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128Y1 true KR200365128Y1 (ko) 2004-10-15

Family

ID=4943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779U KR200365128Y1 (ko) 2004-07-30 2004-07-30 여름철 통풍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1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on Elsner et al. Review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s in European Union countries, part II: Typical designs
JP5660720B2 (ja) 寒冷地用の植物栽培ハウス
US4979331A (en) Hothouse for cultivation
US20210219501A1 (en) Greenhouse improvements
CN104620903B (zh) 大跨度通风型日光温室
US20190313586A1 (en) Atrium/hybrid multi-purpose greenhouse building
KR101377218B1 (ko) 터널형 온실
WO2017113237A1 (zh) 一种多功能蔬菜种植大棚
WO2015025513A1 (ja) 農業用ビニールハウス
US20040049991A1 (en) Multi-purpose structure
CN104642004B (zh) 通风型日光温室
KR200365128Y1 (ko) 여름철 통풍 위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JP3690605B2 (ja) 温室
KR101889419B1 (ko) 반지하형 온실
CN205431264U (zh) 太阳能植物工厂温室
KR200384772Y1 (ko) 비닐하우스용 통풍창
US4020605A (en) Roof utility unit
CN206791169U (zh) 一种带喷雾外遮阳网装置的双拱架下挖式日光温室
WO1981002176A1 (en) Method and means for recuding the heat consumption in a building or the like
KR20150073511A (ko) 치마부용 보온덮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JP5182862B2 (ja) 棟方向傾斜建築物
CN208768560U (zh) 一种双侧果蔬大棚
Short Greenhouse structures and plant growth control systems for energy efficient crop production
KR200410253Y1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고정수단.
CN208908679U (zh) 一种新型果蔬大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