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067B1 -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 - Google Patents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067B1
KR100973067B1 KR1020090057267A KR20090057267A KR100973067B1 KR 100973067 B1 KR100973067 B1 KR 100973067B1 KR 1020090057267 A KR1020090057267 A KR 1020090057267A KR 20090057267 A KR20090057267 A KR 20090057267A KR 100973067 B1 KR100973067 B1 KR 100973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pump
signal
fir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수
Original Assignee
(주)이스트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스트파워 filed Critical (주)이스트파워
Priority to KR1020090057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ynamo-electric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시 비상용 전원을 공급하고 화재시 소화전 또는 스프링쿨러에 소방수를 공급하여 소방을 수행하되, 소방시 사용되는 펌프에 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정전 신호 또는 화재 신호의 발생시,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비상 발전을 수행하거나 소방전 또는 스프링쿨러의 작동에 필요한 소방용 급수를 공급하는 비상용 발전기에 있어서, 회전축이 상기 엔진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정전 신호 또는 화재 신호의 발생시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와, 일측이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화재 신호의 발생시 턴온되는 전자 클러치와, 상기 전자 클러치의 타측에 회전축이 연결되어 상기 전자 클러치의 턴온시 소방용 급수를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가 개시된다.
비상, 정전, 화재, 펌프, 전원, 동력축

Description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Power Take Off System Generator}
본 발명은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시 비상용 전원을 공급하고 화재시 소화전 또는 스프링쿨러에 필요한 소방수를 원활히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펌프에 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발전기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건물들 특히, 고층 건물들은 필수적으로 정전에 대비하기 위한 내부에 비상용 발전기를 구비하여 설계된다. 또한, 건물의 내부에는 화재에 대비하기 위해 소방용 펌프 설비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만약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통상 우선적으로 한전의 주 전원이 차단되고, 비상용 발전기가 정전으로 인식하여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비상용 발전기에 의해 소방용 펌프에 전원이 인가되면, 소화전 및 스프링쿨러 등이 동작을 하여 화재를 소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실제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용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화재에 노출되어 파손될 염려가 있다. 그런데 전원선이 화재로 인해 끊어지게 되면, 소방용 펌프에 전원이 공급될 수 없으므로, 동작할 수 없게 된다.
만약, 화재 발생시 소방용 펌프가 동작하지 않으면, 인명 및 재산에 회복할 수 없는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것이 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은 안정상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화재시에도 소방용 펌프에 동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시 비상용 전원을 공급하고 화재시 소화전 또는 스프링쿨러를 급수하는 펌프를 동작시켜 소방을 수행하되, 소방시 사용되는 펌프에 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는 정전 신호 또는 화재 신호의 발생시,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비상 발전을 수행하거나 소방전 또는 스프링쿨러의 작동에 필요한 소방용 급수를 공급하는 비상용 발전기에 있어서, 회전축이 상기 엔진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정전 신호 또는 화재 신호의 발생시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일측이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화재 신호의 발생시 턴온되는 전자 클러치; 및 상기 전자 클러치의 타측에 회전축이 연결되어, 상기 전자 클러치의 턴온시 소방용 급수를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 클러치는 정상시 및 상기 정전 신호의 발생시 턴오프되고, 상기 화재 신호의 발생시 턴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는 상기 정전 신호의 발생으로 상기 전자 클러치가 턴오프되는 경우 상기 펌프와 분리되어 비상 발전을 수행하고, 상기 화재 신호의 발생 으로 상기 전자 클러치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클러치는 상기 화재 신호 발생시 턴온되어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과 상기 펌프의 회전축을 기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는 상기 전자 클러치가 턴온되면, 상기 엔진의 회전축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소방용 급수의 펌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 및 압력 탱크의 사이에는 상기 소방용 급수의 공급관 또는 상기 압력 탱크의 압력을 유지시키는 보조 펌프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발전기의 구동 방법은 정전 신호 또는 화재 신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신호가 인가되는 신호 인가 단계; 상기 신호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 단계; 상기 신호가 정전 신호인 경우 전자 클러치를 턴오프시켜서 발전기와 펌프의 분리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신호가 화재 신호인 경우 상기 전자 클러치를 턴온시켜서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에 상기 펌프의 회전축을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 구동 단계; 및 상기 엔진을 구동하여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을 구동하는 엔진 구동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가 정전 신호인 경우, 상기 엔진 구동 단계의 이후에는 상기 발전기에 의해 비상 발전이 이루어지는 발전기 구동 단계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 구동 단계의 이후에는 복전 신호가 인가되어, 엔진이 정 지하는 단계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가 화재 신호인 경우, 상기 엔진 구동 단계의 이후에는 상기 엔진에 의해 상기 발전기가 비상 발전을 수행하고, 상기 펌프가 소방용 급수를 펌핑하는 발전기 및 펌프 구동 단계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기 및 펌프 구동 단계가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발전기는 비상 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최소 전력을 발전하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기 및 펌프 구동 단계의 이후에는 소화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클러치를 턴오프시키고, 상기 엔진을 정지시키는 단계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는 정전 발생시 전자 클러치가 턴오프되어 발전기와 펌프를 분리시켜 발전기가 엔진에 의해 비상 발전을 수행할 수 있고, 화재 발생시 엔진에 연결된 발전기의 회전축을 전자 클러치를 통해 펌프와 기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펌프에 안정적으로 엔진의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1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100)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100)의 간략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100)는 엔진(110), 상기 엔진(110)에 연결된 발전기(130), 상기 발전기(130)에 일단이 연결된 전자 클러치(140), 상기 전자 클러치(140)의 타단에 연결된 펌프(1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엔진(110)의 측면에는 방열을 위한 라디에이터(120)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펌프(150)에 연결된 압력 탱크(160)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 탱크(160)에 연결된 보조 펌프(17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엔진(110), 발전기(130) 및 펌프(150)에는 제어부(180)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엔진(110)은 건물 등에 정전 또는 화재 발생시 구동된다. 상기 엔진(110)은 제어부(180)가 정전 신호 또는 화재 신호를 수신하면 구동되어, 비상 발전 또는 소방용 급수 펌핑에 필요한 동력을 생성한다. 상기 엔진(110)은 내연기관이나 외연기관 등 통상의 엔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110)은 가스, 휘발류 또는 경유 등과 같은 통상의 연료를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라디에이터(120)는 상기 엔진(110)의 일측면에 연결된다. 상기 라디에이터(120)는 상기 엔진(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상기 라디에이트(120)는 상기 엔진(110)의 온도를 낮추어줌으로써, 효율을 증가시키고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한다.
상기 발전기(130)는 상기 엔진(110)과 연결된다. 상기 발전기(130)의 회전축(131)은 상기 엔진(110)의 회전축(미도시)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엔진(110)의 구동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100)의 제어부(180)에 정전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발전기(130)는 상기 펌프(150)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130)는 상기 엔진(110)의 구동에 따라 비상 발전을 수행한다. 상기 발전기(130)에 의해 비상 발전이 수행되면, 절체기(ATS, 미도시)가 동작하여 한전 전원에서 상기 발전기(130)의 전원으로 절환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발전기(130)의 전원이 부하(load)에 인가된다. 이 때, 제 1 스위치(SW1)가 턴온되어 상기 발전기(130)와 부하(load)가 연결된다. 상기 제 1 스위치(SW1)와 부하(load)의 사이에는 과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과전류 차단기(Molded Case Circuit Breaker, MCCB) 또는 기중차단기(Air Circuit Breakers, ACB)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에 화재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발전기(130)는 상기 전자 클러치(140)의 턴온에 의해 상기 펌프(15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발전 기(130)에 인가된 상기 엔진(110)의 동력은 상기 펌프(150)로 전달된다. 이 때, 제 1 스위치(SW1)가 턴오프되어 부하(load)의 연결은 차단되고, 제 2 스위치(SW2)가 턴온되어 비상 부하(emergency load)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130)는 상기 엔진(110)이 회전하는 동안 최소한의 비상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즉, 화재 발생시 상기 발전기(130)는 비상등이나 화재 경고등과 같은 비상 부하(emergency load)를 구동하기 위해 비상 발전을 최소로 수행하여 비상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엔진(110)의 동력을 상기 펌프(15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전자 클러치(140)는 상기 발전기(130)의 회전축(141)과 상기 펌프(150)의 회전축(151)을 기계적으로 분리 또는 결합시킨다. 상기 전자 클러치(140)는 쌍을 이루어 형성된 제 1 마찰판(141) 및 제 2 마찰판(1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자 클러치(140)의 제 1 마찰판(141)은 상기 발전기(130)의 회전축(131)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2 마찰판(142)은 상기 펌프(150)의 회전축(151)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자 클러치(14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마찰판(141) 및 제 2 마찰판(142)을 이격시키나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발전기(130)의 회전축(131)과 펌프(150)의 회전축(151)을 상호간에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발전기(100)의 제어부(180)에 정전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전자 클러치(140)의 제 1 마찰판(141) 및 제 2 마찰판(142)은 상호간에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발전기(130)의 회전축(131)과 상기 펌프(150)의 회전축(151)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발전기(130)는 상기 엔진(110)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비상 발전을 수행한다.
반면, 제어부(180)에 화재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전자 클러치(140)의 제 1 마찰판(141) 및 제 2 마찰판(142)은 상호간에 접촉되어, 상기 발전기(130)의 회전축(131)과 펌프(150)의 회전축(151)을 기계적으로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엔진(110)의 동력은 상기 발전기(130)를 통해 상기 펌프(150)까지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엔진(110)이 구동되면, 상기 발전기(130)는 비상 부하(emergency load) 구동을 위해 최소로 비상 발전하며, 상기 펌프(150)는 동력을 인가받아 상기 압력 탱크(160)로 소방용 급수를 펌핑하여 소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전자 클러치(140)는 화재 발생시 상기 엔진(110)에 의해 발생한 에너지를 상기 펌프(150)에 전기적인 전원이 아닌 기계적인 동력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상기 펌프(1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선을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펌프(150)에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클러치(140)는 화재 발생시 안정하게 펌프(150)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펌프(150)는 그 회전축(151)이 상기 전자 클러치(140)의 제 2 마찰판(142)에 결합된다. 상기 펌프(150)는 상기 전자 클러치(140)에 동작에 따라 상기 발전기(130)와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상기 펌프(150)는 상기 제 2 마찰판(142)에 연결된 회전축(151)이 회전함에 따라 내부의 진공 압력을 높여 소방용 급수를 펌핑한다. 따라서, 상기 펌프(150)는 화재 발생시 소화전을 사용하거나, 스프링 쿨러가 동작하여 소방용 급수의 소화 배관 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동작하여 상기 압력 탱크(160)로부터 소방용 급수를 펌핑한다.
상기 펌프(150)는 화재가 발생하여 상기 전자 클러치(140)의 제 1 마찰판(141) 및 제 2 마찰판(142)이 접촉한 경우, 상기 발전기(130)의 회전축(131)에 결합되어 상기 엔진(110)의 동력을 인가받는다.
따라서, 상기 펌프(150)는 상기 전자 클러치(140)에 의해 상기 엔진(110)의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축(151)이 회전함으로써 펌핑을 수행한다.
상기 압력 탱크(160)는 내부에 소방용 급수를 구비한다. 상기 압력 탱크(160) 및 상기 펌프(150)의 사이에 구비된 소화 배관에는 소방용 급수가 채워져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소화전을 사용하거나, 스프링 쿨러가 동작하면 상기 소화 배관의 수방용 용수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소화 배관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펌프(150)가 동작하여 상기 압력 탱크(160)에 상기 소방용 급수의 펌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보조 펌프(170)는 상기 압력 탱크(160)에 연결된다. 상기 보조 펌프(170)는 배관 등의 미소 누수에 의해서 소화 배관 내의 압력이 저하되었을 때 펌핑을 통해 압력을 보충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 펌프(170)는 상기 소화 배관의 압력을 일정 기준 이상으로 유지하여, 화재시 상기 펌프(150)가 용이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엔진(110), 발전기(130) 및 전자 클러치(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100)의 조작, 계측 또는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정전 신호 또는 화재 신호 수신시 상기 엔진(110)을 구동하여 발전기(130)의 동작을 제어하며, 전자 클러치(140)를 제어하여 화재 신호 수신시 상기 펌프(150)를 구동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100)는 정전 발생시 전자 클러치(140)가 턴오프되어 발전기(130)와 펌프(150)를 분리시켜 발전기(130)가 엔진(110)에 의해 비상 발전을 수행할 수 있고, 화재 발생시 엔진(110)에 연결된 발전기(130)의 회전축(131)을 전자 클러치(140)를 통해 펌프(150)와 기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펌프(150)에 안정적으로 엔진(110)의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100)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100)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100)의 구동 방법은 먼저,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S10)로부터 시작된다. 상기 신호를 인가하는 단 계(S10)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100)의 제어부에 정전 신호, 화재 신호, 복전 신호 및 소화 신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신호가 인가되는 단계이다.
이후 상기 신호를 판단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를 판단하는 단계는 정전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 화재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 복전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4), 소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S20 내지 S26)는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며, 순차적으로 혹은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신호가 정전 신호로 판단된 경우(S20), 먼저 엔진(110)이 구동하는 단계(S30)가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전자 클러치(140)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발전기(130)와 펌프(150)는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150)가 비상 발전을 수행하도록 엔진(110)에 의해 구동되는 단계(S40)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비상 발전이 수행되면, 차단기(미도시)가 구동되어 한전의 주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부하에 상기 발전기(130)에 의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S50)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신호가 화재 신호로 판단된 경우(S22), 먼저 상기 엔진(110)이 구동되는 단계(S32)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소방용수 관로의 압력 저하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 클러치(140)가 턴온되어 발전기(130)의 회전축(131)과 펌프(150)의 회전 축(151)이 연결되는 단계(S42)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엔진(110)의 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발전기(130)가 구동되고, 상기 펌프(150)가 회전축(151)을 통해 구동되는 단계(S52)를 통해 비상 부하(emergency load)에 비상 전력이 공급되고 소방용 급수가 펌핑된다. 이 때, 상기 엔진(110)과 펌프(150)의 사이에 연결된 발전기(130)는 비상 발전으로 최소한의 발전을 수행하고, 상기 엔진(110)의 동력을 상기 펌프(150)에 전달한다. 또한, 차단기(미도시)가 구동되어 한전의 주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부하에 상기 발전기(130)에 의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S62)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후 소화전이 사용되거나, 스프링쿨러가 동작되며, 소화 배관의 압력의 변화에 의하여 상기 전자 클러치(140)는 가역 운전을 하여, 상기 펌프(150)가 소방용수의 압력을 유지하여 소화전 및 스프링 쿨러가 동작되는 소화전/쿨러 구동 단계(S72)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신호가 복전 신호로 판단된 경우(S24), 먼저 차단기가 차단되어, 부하(load)에 상기 발전기(130)의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주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S34)가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엔진(110)은 라디에이터(120)를 통해 쿨링이 수행되는 쿨링 단계(S44)를 거쳐서 정지하여 동작을 마무리 하게 된다(S54).
또한, 상기 신호가 소화 신호로 판단된 경우(S26), 먼저 차단기가 차단되어, 비상 부하(emergency load)에 상기 발전기(130)의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부하(load)에 주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S36)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자 클러치(140)를 턴오프시켜 상기 발전기(130)의 회전축(131)과 상기 펌프(150)의 회전축(151)을 분리시키는 클러치 턴오프 단계(S46)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펌프(150)는 펌핑 동작을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디에이터(120)를 통해 상기 엔진(110)을 쿨링시키고(S56), 엔진(110)이 정지하여 동작을 마무리하게 된다(S66).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100)의 구동 방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100)는 화재시 상기 전자 클러치(140)를 통해 상기 엔진(110)의 동력을 기계적으로 상기 펌프(150)에 전달하므로 펌프(150)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음은 상술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의 간략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
110; 엔진 120; 라디에이터
130; 발전기 140; 전자 클러치
150; 펌프 160; 압력 탱크
170; 보조 펌프 180; 제어부

Claims (12)

  1. 정전 신호 또는 화재 신호의 발생시,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비상 발전을 수행하거나 소방전 또는 스프링쿨러의 작동에 필요한 소방용 급수를 공급하는 비상용 발전기에 있어서,
    회전축이 상기 엔진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정전 신호 또는 화재 신호의 발생시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일측이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화재 신호의 발생시 턴온되는 전자 클러치; 및
    상기 전자 클러치의 타측에 회전축이 연결되어, 상기 전자 클러치의 턴온시 소방용 급수를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는 상기 정전 신호의 발생으로 상기 전자 클러치가 턴오프되는 경우 상기 펌프와 분리되어 비상 발전을 수행하고, 상기 화재 신호의 발생으로 상기 전자 클러치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클러치는 정상시 및 상기 정전 신호의 발생시 턴오프되고, 상기 화재 신호의 발생시 턴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클러치는 상기 화재 신호 발생시 턴온되어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과 상기 펌프의 회전축을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전자 클러치가 턴온되면, 상기 엔진의 회전축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소방용 급수의 펌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및 압력 탱크의 사이에는 상기 소방용 급수의 공급관 또는 상기 압력 탱크의 압력을 유지시키는 보조 펌프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
  7. 정전 신호 또는 화재 신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신호가 인가되는 신호 인가 단계;
    상기 인가받은 신호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 단계;
    상기 인가받은 신호가 정전 신호인 경우 전자 클러치를 턴오프시켜서 발전기와 펌프의 분리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인가받은 신호가 화재 신호인 경우 상기 전자 클러치를 턴온시켜서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에 상기 펌프의 회전축을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 구동 단계; 및
    엔진을 구동하여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을 구동하는 엔진 구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의 구동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받은 신호가 정전 신호인 경우, 상기 엔진 구동 단계의 이후에는 상기 발전기에 의해 비상 발전이 이루어지는 발전기 구동 단계가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의 구동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구동 단계의 이후에는 복전 신호가 인가되어, 엔진이 정지하는 단계가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의 구동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받은 신호가 화재 신호인 경우, 상기 엔진 구동 단계의 이후에는 상기 엔진에 의해 상기 발전기가 비상 발전을 수행하고, 상기 펌프가 소방용 급수를 펌핑하는 발전기 및 펌프 구동 단계가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의 구동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및 펌프 구동 단계가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발전기는 비상 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최소 전력을 발전하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전기의 구동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및 펌프 구동 단계의 이후에는 소화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클러치를 턴오프시키고, 상기 엔진을 정지시키는 단계가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다기능 복합 시스템 발전기의 구동 방법.
KR1020090057267A 2009-06-25 2009-06-25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 KR100973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267A KR100973067B1 (ko) 2009-06-25 2009-06-25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267A KR100973067B1 (ko) 2009-06-25 2009-06-25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067B1 true KR100973067B1 (ko) 2010-07-30

Family

ID=42646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267A KR100973067B1 (ko) 2009-06-25 2009-06-25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0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009A (ko) 2016-12-13 2018-06-21 에스티엑스엔진 주식회사 재난대응 및 독립 발전시설용 중속 디젤엔진
KR102199629B1 (ko) 2020-08-06 2021-01-07 김진영 발전기용 동력전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963A (ko) * 1999-07-31 2001-02-15 구자홍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
KR20030059237A (ko) * 2000-11-10 2003-07-07 롤란트융킨트 스포츠용 신발
KR200359237Y1 (ko) * 2004-05-19 2004-08-16 한봉윤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963A (ko) * 1999-07-31 2001-02-15 구자홍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
KR20030059237A (ko) * 2000-11-10 2003-07-07 롤란트융킨트 스포츠용 신발
KR200359237Y1 (ko) * 2004-05-19 2004-08-16 한봉윤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009A (ko) 2016-12-13 2018-06-21 에스티엑스엔진 주식회사 재난대응 및 독립 발전시설용 중속 디젤엔진
KR102199629B1 (ko) 2020-08-06 2021-01-07 김진영 발전기용 동력전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4741B2 (ja) 家庭用熱電併給ユニット
JP6468692B2 (ja) 本質安全的なブリードダウン回路、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ための制御ストラテジー
CN101390268A (zh) 使用了燃料电池的备用电源系统
KR100973067B1 (ko)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
JP6072657B2 (ja) エンジン駆動ヒートポンプ
JP5628736B2 (ja) 発電・空調装置の起動方法、及び、発電・空調装置の起動装置
JP6072673B2 (ja) エンジン駆動ヒートポンプ
US7080449B2 (en) Method and a connector arrangement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a generator to a circuit with an existing alternating current
KR101145662B1 (ko) Dead ship 상태에서 주 공기 압축기를 이용한 선박 발전기 엔진 시동 시스템
JP6129070B2 (ja) エンジン駆動ヒートポンプ
ES2355977T3 (es) Instalación de alimentación de energía para un submarino .
JP5027543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CN202091087U (zh) 一种安全启动控制器
JP2015059687A (ja) エンジン駆動ヒートポンプ
CN103281017B (zh) 一种电机转向控制设备、方法、系统和工程车辆
JP2008131694A (ja) ガスタービン発電装置
JP6373706B2 (ja) 空調システム
JP6181553B2 (ja) エンジン駆動ヒートポンプ
JP2013190110A (ja) 発電空気調和システム
JP2010123408A (ja) 燃料電池発電装置システム
KR20230153890A (ko) 소방펌프의 감시 및 동력 제어시스템
US11401871B2 (en) Engine system
CN104405627A (zh) 一种发电机冷却水泵控制柜
KR200240829Y1 (ko) 수산가스 발생기의 안전 시스템
KR20090087747A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