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237Y1 -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237Y1
KR200359237Y1 KR20-2004-0013874U KR20040013874U KR200359237Y1 KR 200359237 Y1 KR200359237 Y1 KR 200359237Y1 KR 20040013874 U KR20040013874 U KR 20040013874U KR 200359237 Y1 KR200359237 Y1 KR 200359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mergency
pump
engine
s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봉윤
Original Assignee
한봉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봉윤 filed Critical 한봉윤
Priority to KR20-2004-0013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2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2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E03B5/04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arranged in wells
    • E03B5/06Special equipment, e.g. well seals and connections for well cas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집수정의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 및 비상발전기의 고장에 의해 집수정에 설치된 전동펌프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구동펌프가 비상 구동됨으로써, 정전시에도 집수정의 오폐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부가적으로 비상전원을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원 고안은, 제어패널이 정전을 감지하여 비상전원장치의 전원을 엔진구동펌프로 인가하여 엔진을 구동시키며, 구동된 엔진은 펌프를 구동하여 집수정의 저장수를 외부로 배출함은 물론, 전기를 생산하여 공급함으로써 전동펌프 또한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An emergency drainage pump for collector well}
본원 고안은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 및 비상발전기의 고장에 의해 집수정에 설치된 전동펌프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구동펌프가 비상 구동됨으로써, 정전시에도 집수정의 오폐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비상전원을 발전하여 공급함으로써 전동펌프 또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하는 경우 지하실에는 다수의 기계실이 위치된다. 그리고, 건축물에서 발생되는 오수 및 폐수를 저장하여 정화한 후, 자동으로 전동모터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집수정의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지하실에는 집수정에 저장된 저장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장치가 구비되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의 배수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의 배수 장치는, 제어패널(1)이 구비되고, 제어패널에 의해 구동되어 자동으로 배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동모터(2)와 펌프(3)로 구성되는 전동펌프가 설치된다. 그리고 펌프(3)는 배수 파이프에 의해 집수정 및 외부와 연결 구성된다. 이에 부가하여 정전시 비상전력의 공급을 위한 비상발전기(5)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집수정의 배수 장치는 집수정의 수위를 감지하여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전동펌프를 구동시켜 집수정에 저장된 저장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동작되며, 정전시에는 비상발전기가 구동되어 비상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동펌프가 구동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서의 배수장치는 정전이 발생되는 경우 비상발전기는 전력을 공급 기능만을 수행하게 되므로 매우 비효율적이게 된다. 그리고, 정전시에 비상발전기 마저 고장난 경우에는 전동펌프를 구동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 없어 집수정에 저장되어 있는 오폐수를 외부로 방출하지 못하게 되어 지하실이 침수될 수 있으며, 지하실이 침수되는 경우에는 지하에 설치되는 기계실의 기계장치의 고장이 발생되므로 막대한 재산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기술에서의 배수장치는 배수 용량이 전동펌프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전동펌프의 배수 용량을 초과하여 빗물, 오폐수 등이 유입되는 경우, 유입되는 빗물, 오폐수 등을 모두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하시설의 침수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즉, 종래기술에서의 배수 장치는 비상발전기의 이용 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점, 비상발전기가 고장난 경우에는 정전 등의 비상시에 대비할 수 없는 문제점, 그리고, 집수정으로 유입되는 빗물, 오폐수 등이 전동펌프의 최대 배출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적절한 배수를 수행하지 못하여 침수피해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원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전 및 비상발전기의 고장에 의해 집수정에 설치된 전동펌프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구동펌프가 시동되어 운전됨으로써 배수를 수행하고, 또한, 전기를 생산하여 전동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원 고안은 또한, 홍수, 태풍 등으로 집수정으로 유입되는 유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에도, 집수정에 저장되는 저장수(빗물, 오폐수 등)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의 배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원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비상 배수 장치의 설치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제어패널 200 : 전동모터
300a : UPS 300b : 배터리
400 : 엔진구동펌프
120 : 정전감지기 140 : 펌프구동스위치
130 : 전원절체스위치
201 : 전동모터 203 : 펌프
203, 204, 413, 414 : 파이프
401 : 엔진 402 : 연료탱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고안의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는, 집수정의 저장수를 배출하기 위한 전동펌프가 구비된 배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펌프로 외부입력전원을 공급하여 구동을 제어하며, 외부로부터 외부입력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정전을 감지하여 비상전원을 공급받도록 스위칭되는 제어패널과, 상기 제어패널의 일단에 구성되어 정전시 상기 제어패널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장치와, 상기 제어패널의 비상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으로부터 비상전원을 공급받도록 설치되어 정전시 비상전원에 의해 시동되고, 시동된 후에는 자체 연료의 연소에 의해 구동을 유지하면서 집수정에 저장된 저장수를 배출하고 발전을 수행하는 엔진구동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원고안의 배수장치는 또한, 정전시 전기를 생산하는 비상발전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널은, 외부입력전원이 없는 경우 정전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정전감지기와, 정전감지기에 의해 출력되는 정전감지신호에 의해 비상전원장치의 전원이 엔진구동펌프로 공급되도록 스위칭되는 전원절체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엔진구동펌프는, 제어패널의 정전 감지에 따른 스위칭에 의해 비상전원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비상전원을 입력받아 시동되어 자체 연료의 연소에 의해 구동을 유지하면서 회전구동력을 출력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집수정에 저장된 저장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전감지기는 제어패널에 부착되어 외부 입력전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정전을 신호를 전원절체스위치로 출력하여 비상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절체를 수행하며, 전원절체스위치의 전원절체에 의해 비상전원장치로부터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엔진이 구동되어 배수 및 발전이 수행된다.
엔진은,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엔진에 주입된 연료의 점화를 위해 비상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고전압 전류를 발생시키는 스타트모터와, 스타트모터에 의해 시동된 엔진의 회전 구동력을 펌프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과, 구동축의 회전력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연료탱크와 엔진의 사이에는 연료를 엔진으로 강제 주입하기 위한 연료펌프가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엔진은 제어패널이 정전을 감지하여 비상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비상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시동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관리자가 수동으로 시동을 걸어 구동될 수 있으며, 구동된 후에는 배수 작용 및 발전기에 의해 발전을 수행한다. 그리고, 엔진의 발전기에 의해 생성되는 전원은 비상전원장치를 충전시키며, 전동펌프를 구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실내 등의 비상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본원발명의 비상 배수 장치는 정전시의 집수정의 저장수를 비상 배출하며 전기를 생산함은 물론 홍수, 태풍 등으로 집수정의 집수정로 유입되는 빗물, 오폐수 등의 유입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엔진구동펌프 및 전동펌프가 외부 전원없이 구동되어 배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하실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원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원 고안의 집수정 비상 배수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전원을 입력받아서 공급하는 제어패널(100)이 구성되며, 비상전원장치로서의 UPS(300a) 또는 배터리(300b)가 정전시 제어패널(100)로 비상전원을 공급하고, 평상시에는 제어패널(100)의 출력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집수정(600)의 일 측에는 정전시 UPS(300a) 또는 배터리(300b)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시동된 후 구동되어 비상 배수 동작 및 발전 기능을 수행하는 엔진구동펌프(400)가 구성된다. 또한, 집수정(600)의 타 측에는 종래기술에서 같이 제어패널(100)로부터 외부 입력 전원(한전 등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배수를 수행하는 전동펌프(200)가 구성된다. 그리고, 전동펌프(200) 및 엔진구동펌프(400)는 집수정에 인입된 파이프(204,414)와 외부로 노출된 파이프(203,413)에 의해 집수정의 저장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패널(100)에는 한전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컨버터(110)가 구성된다. AC/DC컨버터(110)의 후단에는 출력전원의 유무에 의해 정전을 판단하는 정전감지기(120)가 구성되며, 정전감지기의 후단에는 정전감지기(120)에서 출력되는 정전신호에 의해 전원절체를 수행하는 전원절체스위치(130)가 구성된다. 전원절체스위치(130)와 AC/DC컨버터(110)의 사이에는 절원절체스위치(130)의 출력단과 AC/DC컨버터(110)의 일 출력단이 각각 분리되어 입력되는 펌프구동스위치(140)가 구성된다. 펌프구동스위치(140)에는 전동펌프(200)로 전원공급하기 위한 제 1 스위치(이하 'S1'이라 함)(141)와 엔진구동펌프(400)로 시동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칭되는 제 2 스위치(이하 'S2'라 함)(142)가 구성된다. 또한, 스위치 S1 및 S2의 각각에는 집수정(600)으로 인입된 고수위센서(140a) 및 저수위센서(140b)가 연결 구성된다. 그리고, S1(141)의 후단에는 S1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한전으로부터 입력되는 3상 교류 전원 또는 엔진구동펌프(400)에서 생성된 교류전원을 전동펌프(200)로 공급하도록 스위칭되는 릴레이(relay) 등으로 구성되는 제 3 스위치(150)가 구성 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10, 20은 일방향 전류 흐름을 나타내기 위한 다이오드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상술한 전원절체스위치를 트랜지스터로 도시하였으나 전원절체스위치가 트랜지스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제어패널(100)에는 펌프(202,412)들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며, 외부입력 전원 표시, 비상전원의 전원 표시 등을 위한 다수의 계기판이 부착된다(도 1 참조). 그리고, 엔진구동펌프 또는 전동펌프를 수동으로 구동시키고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 및 정지 버튼 등이 제어패널에 구성됨으로써, 필요시에 관리자가 엔진구동펌프 및 전동펌프를 수동으로 구동시키고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어패널에 부착되는 계기판 및 펌프의 구동 및 정지 버튼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 및 도2에서의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였다.
상술한 AC/DC 컨버터(110)는 한전 등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가변한 후, 여러 전압을 가지는 서로 다른 값의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다수의 출력단을 가지고 구성되어, 제어패널(100)의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동펌프(200)는 전동모터(201)와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202)로 구성되고, 제어패널(100)에 구성된 제 3 스위치(15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제 3 스위치(150)의 입력단에는 외부입력 전원과 엔진구동펌프(400)의 발전 전원이 입력되며, 제 2 스위치(141a)가 온(on)되는 경우 온(on)되어 외부 입력 전원 또는 엔진구동펌프(400)에서 생성된 전원이 전동펌프(400)로 공급되게 된다. 즉, 전동펌프(200)는 평상시에는 한전 등의 외부 입력 전원을 인가 받아 구동되며, 정전시에는 엔진구동펌프(400)에 의해 발전된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된다. 따라서, 정전시 UPS(300a) 또는 배터리(300b)로 구성되는 비상전원장치에 의해 엔진구동펌프(400)가 구동되면 연료저장탱크(402)에 저장된 연료가 잔류하는 한 집수정의 배수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집수정이 설치된 실내 뿐 아니라 외부로도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비상전원장치(300a, 300b)는 충전용 배터리(300b) 또는 다수의 배터리를 가지는 무정전전원장치(UPS : uninteruptible power supply)(300a)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AC/DC컨버터(110)의 일 출력단 및 엔진구동펌프(400)에 구성되는 발전기(404)의 직류출력단에 연결되어 충전이 수행된다. 충전된 상태에서 비상전원장치는 평상시에는 정전감지기(120)의 입력단에 인가되어 정전감지기(120)의 정전 감지를 위한 기준 신호 및 정전감지기(120)의 구동 전원으로 이용되고, 비상시에는 제어패널(100)의 전원절체스위치(130)와 펌프구동스위치(140)에 의해 엔진구동펌프(400)로 비상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전원절체스위치(130)의 입력단에는 UPS(300a) 또는 배터리(300b)의 출력 전원이 인가되며, 제어단자에는 정전감지기(120)의 출력단이 연결된다. 전원절체스위치(130)의 출력단에는 엔진구동펌프(400)의 엔진(401)에 장착된 스타트모터(405)와 연료공급펌프(도면에 미도시)가 연결된다. 엔진(401)에 구성되는 스타트모터(405)는 비상시 전원절체스위치(130)의 출력단에서 인가되는 직류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엔진 시동을 위한 고전압의 전류를 생성하며, 연료펌프는 연료탱크(402)의 연료를 강제로 엔진(401)에 주입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정전감지기(120)로부터 정전 감지 신호가 인가 되면, 전원절체스위치(130)가 온되어 UPS(300a) 또는 배터리(300b)의 전원이 펌프구동스위치(140)를 통해 엔진구동펌프(400)로 공급된다.
펌프구동스위치(140)에는 전동펌프(200)와 엔진구동펌프(400)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두 개의 제 1 스위치(S1)(141a)와 제 2 스위치(S2)(141b)가 구성된다. 상술한 S1의 제어단자에는 고수위감지센서(140a) 및 저수위감지센서(140b)가 연결되고, 입력단에는 직류전원이 공급되며, 출력단은 전동펌프(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릴레이 등으로 구성되는 제 3 스위치(150)의 스위치단자와 연결된다. 그리고, S2의 제어단자에는 고수위감지센서(140a) 및 저수위감지센서(140b)가 연결되고, 입력단에는 전원절체스위치(130)의 출력단이 연결되며, 제어단자에는 UPS(300a) 또는 배터리(300b)의 출력 전원과 AC/DC컨버터(110)의 일 출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엔진구동펌프(400)의 점화장치에 연결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펌프구동스위치(140)는 고수위센서(140a)가 수위를 감지하는 경우 온(on)되어, 전동펌프(200) 또는 엔진구동펌프(400)가 동작되고, 저수위감지센서의 수위 감지 신호가 없는 경우 오프(off)되어 전동펌프 또는 엔진구동펌프의 동작이 멈추게 된다.
엔진구동펌프(400)는 엔진(401)과 연료탱크(402)와 펌프(410)로 구성되며, 상술한 엔진(401)은 피스톤이 내부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의 실린더로 구성되는 연소실과, 연소실 내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펌프 및 연소실 내의 점화를 위한 고압전류를 생성하는 스타트모터(405) 및 스타트모터에 의해 생성된 고전압의 전류를 방전하기 위한 점화플러그(도면에 미도시)로 구성되는 점화장치가 실린더의 상부에 장착 구성된다. 그리고, 피스톤의 연소실 외부에 위치되는 단부에는 캠(도면에 미도시)이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동축(회전샤프트)(403)과 연결된다. 그리고, 구동축(403)은 펌프(4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수차(도면에 미도시)에 연결 구성되어 수차를 회전시킴으로서 배수를 수행한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구동축(403)의 일 위치에는 선택적으로, 배터리의 충전 및 비상시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발전기(또는 제너레이터 : generator)(404)가 구동축의 일 위치에 구성된다. 그리고, 발전기의 출력은 AC/DC컨버터(110)의 일 입력단 또는 UPS(300a) 및 배터리(300b)로 공급된다. 상술한 발전기(404)에는 발전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기 및 변압기와 안정된 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안정기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전동펌프(200)및 엔진구동펌프(400)에는 집수정(600)에 집수된 저장수의 배출을 위한 파이프(203,204,412, 414)가 입수구와 출수구에 각각 장착된다.
전원절체스위치(130)는 정전감지기(120)로부터 정전에 따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온되어, UPS(300a) 또는 배터리(300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펌프구동스위치(140)의 제 2 스위치(142)로 공급한다. 펌프구동스위치(140)의 제 2 스위치(S2)(141b)는 고수위센서(140a)로부터 수위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온되어, 엔진구동펌프(400)로 시동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정전이 되는 경우 곧바로 발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원절체스위치(130)의 출력단은 펌프구동스위치(140)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엔진구동펌프(400)의 스타트모터(405)로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펌프구동스위치(140)의 제 1 스위치(141)가 고수위센서(140a)의 수위감지 신호에 의해 온되면, 제 3 스위치(150)가 온되어 전동펌프(200)로 외부 입력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정전시의 상황에서 고수위센서(140a)의 수위 감지 신호에 의해 제 2 스위치(142)가 온 되면 UPS(300a) 또는 배터리(300b)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엔진구동펌프(400)의 스타트모터(405)에 인가되어 엔진이 구동되어, 집수정에 저장된 저장수를 외부로 배출하며, 발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비상 배수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원고안의 비상 배수 장치는, 평상시에는 외부전원(한전 등의 전원)이 제 3 스위치(150)에 인가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후, 고수위센서(140a)에 의해 수위 감지 신호가 펌프구동스위치(140)의 제 1 스위치(S1)(141)로 인가되면 제 1 스위치(141)는 릴레이 등으로 구성된 제 3 스위치(150)를 온 시킨다. 제 3 스위치(150)가 온되면, 전동펌프(200)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됨으로써 배수가 수행된다. 즉, 제어패널(100)은 평상시에는 집수정의 수위에 따라 전동펌프(200)를 구동 또는 정지시킴으로써 집수정(600)에 저장된 빗물, 지하수, 오폐수 등의 저장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정전이 되는 경우에는, 제어패널(100)의 정전감지기(120)가 외부입력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것을 감지한 후, 전원절체스위치(130)로 정전감지신호를 출력하면, 전원절체스위치(130)가 스위칭되어 UPS(300a) 또는 배터리(300b)의 전원이 펌프구동스위치(140)의 제 2 스위치(141b)로 공급된다. 다음은 고수위센서(140a)로부터 수위감지신호가 제 2 스위치(141b)로 입력되면, 제 2 스위치(S2)(142)가 온되고, UPS(300a) 또는 배터리(300b)로부터 엔진(401)의 스타트모터(405) 및 연료펌프로 비상전원이 공급되어 엔진이 시동된다. 엔진(410)은 시동 이후에는 연료탱크(402)에 저장된 연료를 연소하여 운전되면서 펌프를 구동하여 집수정에 저장된 저장수를 배출함은 물론, 발전기(404)에 의해 전기를 생산한다. 정전이 되는 경우 비상전원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비상전원은 펌프구동스위치(140)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엔진구동펌프(400)로 인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엔진(401)의 발전기에 의해 생산된 교류 전류는 일정 전압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안정기(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다시 제어패널(100) AC/DC컨버터(110) 또는 제어패널(100)의 제 3 스위치(150)로 인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401)이 구동되어 발전이 수행되면, 전동펌프(200) 또한 엔진(401)의 발전기에 의해 생성되는 교류전류에 의해 구동되어 엔진구동펌프(400)와 함께 배수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엔진구동펌프(400)의 내부에 구성되는 변압기(도면에 미도시) 및 정류기(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직류 전류는 UPS(300a) 또는 배터리(300b)로 공급되어 비상전원장치를 충전시킨다. 또한, 엔진구동펌프(400)에서 생성된 교류 전류는 외부로 비상전원으로서 공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원고안의 비상 배수 장치는 정전시, 이를 감지하여 비상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자동으로 전원절체를 수행한 후, 집수정의 수위에 따라 엔진구동펌프(400)를 구동시켜 배수작용 및 발전을 수행한다. 그리고, 발전된전기는 전동펌프(200)와 엔진구동펌프(400)가 동시에 배수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동펌프(200)로 공급된다. 따라서 태풍, 홍수 등으로 집수정으로 유입되는 빗물, 오폐수 등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에도 전동펌프(200) 및 엔진구동펌프(400)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어 집수정에 저장된 오폐수의 배출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지하실 등의 지하시설물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서 종래 기술의 배수장치보다 현저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술한 본원 고안은 정전시에도 집수정으로 유입되어 저장되는 빗물, 오폐수 등의 저장수를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황 및 비상발전기의 고장에 의해 발전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없이 엔진구동펌프에 의해 배수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 의해 전동펌프 또한 동작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정전시 지하실 등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원 고안은 또한, 태풍, 홍수 등으로 집수정으로 유입되는 유량이 전동펌프의 배수량을 초과하더라도 전동펌프와 엔진구동펌프를 함께 구동되어 배출용량을 극대화시킴으로써 하여 집수정에 저장된 저장수를 더욱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원 고안은 정전시에 비상발전기로 동작되어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또한 제공한다.

Claims (5)

  1. 집수정의 저장수를 배출하기 위한 전동펌프가 구비된 배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의 일측에 설치되어 정전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장치와,
    상기 전동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며, 정전시 상기 비상전원장치로부터 비상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패널과,
    상기 제어패널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비상전원장치의 전원에 의해 시동되어 집수정에 저장된 저장수를 배출하는 엔진구동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은,
    정전을 감지하여 정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정전감지기와,
    상기 정전감지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비상전원장치의 전원이 상기 엔진구동펌프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절체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구동펌프는,
    상기 제어패널로부터 공급되는 비상전원장치의 전원에 의해 시동된 후 자체 연료의 연소에 의해 구동을 유지하여 회전구동력을 출력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집수정에 저장된 저장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상기 회전구동력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정전시 비상전원을 생산하는 비상발전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
KR20-2004-0013874U 2004-05-19 2004-05-19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 KR200359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874U KR200359237Y1 (ko) 2004-05-19 2004-05-19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874U KR200359237Y1 (ko) 2004-05-19 2004-05-19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460A Division KR100649544B1 (ko) 2004-05-19 2004-05-19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237Y1 true KR200359237Y1 (ko) 2004-08-16

Family

ID=4943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874U KR200359237Y1 (ko) 2004-05-19 2004-05-19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2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067B1 (ko) * 2009-06-25 2010-07-30 (주)이스트파워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067B1 (ko) * 2009-06-25 2010-07-30 (주)이스트파워 동력 전달 다기능 시스템 발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4732C (zh) 电源装置
JP6007287B1 (ja) 発電機付エンジン駆動ポンプ
CN1340894A (zh) 发动机发电机设备
CN1755111A (zh) 供水装置
CN106961239A (zh) 能量收集系统
KR200359237Y1 (ko)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
KR100649544B1 (ko) 집수정의 비상 배수 장치
CN113246802B (zh) 高压系统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4511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ransient power disruptions on ESP motor drives
CN1967989A (zh) 太阳能光伏电池大启动电流的供电系统
CN105896714A (zh) 电子设备及其供电系统
CN208486968U (zh) 一种柴油发电机手动自动液压启动装置
TWM637193U (zh) 應用於引擎驅動泵之電力控制系統
KR101292522B1 (ko) 임피던스 매칭형 태양광 충방전 제어장치, 조명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10331204A (ja) バッテリ駆動の油圧ショベル
KR200380026Y1 (ko) 솔라모듈을 이용한 소변자동세척기용 전원공급 제어장치
US20020021008A1 (en)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ity from pressurized irrigation systems
CN113852174A (zh) 一种用于野外环境的独立移动式油田储能电源系统
CN105576810A (zh) 移动电子设备供电系统和移动电子设备
CN205544546U (zh) 移动电子设备供电系统和移动电子设备
KR20150135640A (ko) 이동식 발전기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30060468A (ko) 플라이휠을 이용한 비상발전시스템
CN203905095U (zh) 蓄水控制系统
CN114278486A (zh) 循环水发电装置
CN219139252U (zh) 液压发电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