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955B1 - 센서 포밍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포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955B1
KR100972955B1 KR1020080047583A KR20080047583A KR100972955B1 KR 100972955 B1 KR100972955 B1 KR 100972955B1 KR 1020080047583 A KR1020080047583 A KR 1020080047583A KR 20080047583 A KR20080047583 A KR 20080047583A KR 100972955 B1 KR100972955 B1 KR 100972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sensor
support
uni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604A (ko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김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민 filed Critical 김경민
Priority to KR1020080047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95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6Wiring by machi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센서의 리드선을 포밍(Forming)하는 포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리드선의 전단부가 수평 상태로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센서지지부와 상기 센서지지부의 상측부에서 상기 리드선의 전단부 상부를 가압 고정하는 센서고정부 및 상기 센서지지부의 전방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리드선을 일정 폭으로 평행하게 변형시키는 리드선변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드선의 전단부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리드선절단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센서지지부, 센서고정부, 리드선변형부 및 리드선절단부를 슬라이딩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온도센서에 구비된 리드선을 일정 규격의 길이와 형태로 자동 포밍(Forming)할 수 있게 하여 온도센서의 보관 또는 관리를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현장에서 온도센서의 장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센서 포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도센서, 센서지지부, 센서고정부, 구동부

Description

센서 포밍 장치{A sensor forming machine}
본 발명은 온도센서의 리드선을 포밍(Forming)하는 포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온도센서에 구비된 복수의 리드선을 센서지지부와 센서고정부를 이용하여 일정 위치에 고정시킨 후, 리드선변형부와 리드선절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리드선을 평행하게 변형시킴과 동시에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리드선을 일정 규격의 길이와 형태로 자동 포밍함으로써, 온도센서의 보관 또는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온도센서의 장착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센서 포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장품이나 계측기 또는 일반 전자기기 등의 회로기판에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가 장착될 뿐 아니라, 저항체, 콘덴서(condencer), 트랜지스터(trangister)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전자소자들이 장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센서나 전자소자들은 일반적으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 연결되어 회로기판에 결합되는 리드선으로 구성된다.
도 1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온도센서(100)를 도시한 것으로서, 특정 기능 (온도 감지)을 수행하는 머리부(105)와 머리부(105)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통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리드선(106)으로 구성된다.
이때 온도센서(100)는 두개의 리드선(106)을 납땜(soldering) 등을 통해 회로기판 등에 통전 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장착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센서나 전자소자 등은 머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리드선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나, 리드선의 길이와 형태가 작업 현장에서 간편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작업조건에 맞는 특정 길이와 형태로 규격화 되어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자동차의 전장품이나 계측기 또는 일반 전자기기의 회로기판에 온도센서를 장착하기 위해 특정 길이나 형태로 리드선을 후가공한 후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센서나 전자소자는 리드선의 길이와 형태가 작업 현장의 특성에 맞게 규격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관 또는 관리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작업자가 작업 현장에서 온도센서를 회로기판에 장착시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될 뿐 아니라, 장착을 자동화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온도센서의 리드선을 지지하는 센서지지부와 리드선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센서고정부를 구비하고, 리드선절단부와 리드선변형부를 이용하여 고정된 상기 센서의 리드선을 일정 형태로 변형시킴과 동시에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규격화 함으로써, 센서나 소자의 보관 또는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회로기판에 장착시 작업자가 별도의 추가적인 가공 없이 효율적으로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게 한 센서 포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온도센서에 복수로 구비된 리드선의 전단부가 삽입되어 수평 상태로 안착되도록 상기 리드선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센서지지부, 상기 센서지지부의 상측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리드선의 전단부 상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센서고정부, 상기 센서지지부의 전방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센서지지부와 센서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리드선을 가압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평행하게 변형시키는 리드선변형부, 상기 센서고정부의 일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고정된 리드선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리드선절단부, 상기 센서고정부와 리드선변형부 및 리드선절단부를 슬라이딩 작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센서고정부와 리 드선변형부 및 리드선절단부가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서지지부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블록과 이동지지블록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리드선이 안착되도록 리드선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리드선지지블록 및 리드선지지블록의 전면에 결합되는 리드선가이드블록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드선지지블록은 리드선이 각각 삽입될 수 있게 상부에 복수의 리드선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고정부는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의 일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리드선고정구로 구성하되, 상기 리드선고정구의 하단부에는 상기 리드선지지블록의 리드선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리드선 상부를 가압할 수 있게 가압돌부가 하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리드선가이드블록은 상기 리드선의 전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지지홈과 평행하게 가이드홈이 수직 형성되며, 상기 리드선변형부는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블록과 상기 베이스블록에 설치되는 리드선변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리드선변형부재는 상기 베이스블록에 설치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가압부로 구성하되,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리드선을 가압 변형시키는 가압돌부가 전면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는 상기 리드선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드선절단부는 상기 센서고정부의 가이드블록에 상,하로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블록과 상기 이동지지블록 하단부에 결합되 는 절단구로 구성하되, 상기 절단구는 하향 이동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의 전단력에 의해 상기 리드선을 절단하는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면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절단구는 상기 리드선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하단면에 상측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리드선변형부의 지지체는 상기 베이스블록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대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는 리드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센서지지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센서지지부의 이동경로 상의 상측부에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센서지지부에 안착된 온도센서를 취출할 수 있는 에어척이 구비된 센서취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센서지지부, 센서고정부, 리드선변형부, 리드선절단부, 및 센서취출부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각각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각 실린더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분배기 및 상기 에어분배기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센서나 소자에 구비된 리드선의 길이와 형태를 규격화함으로써, 부품의 보관이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작업자가 작업 현장에서 추가적인 가공없이 센서나 전자소자를 효율적으로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 향상은 물론 생산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센서 포밍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지지부(10), 센서고정부(20), 리드선절단부(40), 리드선변형부(30), 구동부(50) 및 제어부(70)로 구성된다.
센서지지부(10)는 온도센서(100)(도14에 도시함)에 구비된 두개의 리드선(106)의 전단부(a)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80)의 상부 일측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프레임(85)의 하측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센서지지부(10)는 포밍(Forming) 하고자 하는 온도센서(10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리드선(106)의 전단부(a)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센서고정부(20)는 센서지지부(10)의 연직 방향으로 상측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지지프레임(85)의 상측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센서고정부(20)는 센서지지부(10)의 상측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센서지지부(10)에 안착된 온도센서(100)의 리드선(106) 전단부(a)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온도센서(100)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리드선절단부(40)는 센서고정부(20)에 설치되어 센서고정부(20)와 함께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자체적으로도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리드선절단부(40)는 온도센서(100)가 센서고정부(2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리드선(100)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리드선변형부(30)는 센서지지부(10)의 전방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고정된 리드선(100)이 리드선절단부(40)에 의해 절단되기 전에 리드선(100)을 일정 형태로 변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센서지지부(10)는 가공이 완료된 온도센서(100)의 취출이 용이하도록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센서지지부(10)의 이동 경로 상의 상측부의 지지프레임(85)에는 온도센서(100)를 자동적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에어척(65)이 구비된 센서취출부(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50)는 센서지지부(10), 센서고정부(20), 리드선절단부(40), 리드선변형부(30) 및 센서취출부(6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실린더(56d,56a,56b,56e,56c)와 각 실린더(56d,56a,56b,56e,56c)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51) 및 에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분배하는 에어분배기(57)로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부(50)는 에어분배기(57)와 에어공급관(53)을 통해 각 실린더(56d,56a,56b,56e,56c)에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각 구성요소를 자동 적으로 슬라이딩 작동시키게 된다.
에어공급부(51)는 일반적인 에어콤프레서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부(70)는 에어분배기(57)를 통해 각 구성요소의 슬라이딩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부에는 다수의 작동버튼이 구비된 콘트롤박스(75)가 구비된다.
이하 각 구성요소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센서지지부(1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센서지지부(10)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리드선지지블록(13)과 리드선 가이드블록(17)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센서지지부(10)에 온도센서(100)가 장착된 상태의 일부 절개 사시도와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지지부(10)는 이동지지블록(11)과 리드선지지블록(13)과 리드선가이드블록(17)으로 구성된다.
이때 이동지지블록(11)은 베이스프레임(80)에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85)의 하측부에 횡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일측에는 실린더(56d)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동지지블록(11)의 전면부에는 리드선지지블록(13)과 리드선가이드블록(17)이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이동지지블록(11)은 실린더(56d)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레일(12) 상에서 슬라이딩 됨으로써, 센서지지부(10)가 횡 방향으로 왕복 운동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리드선지지블록(13)과 리드선가이드블록(17)은 이동지지블록(11)의 전면부에 순차로 나사 결합되며, 이때 이동지지블록(11)의 전면부 하측에는 리드선지지블록(13)과 리드선가이드블록(17)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게 지지턱(1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선지지블록(13)은 온도센서(100)에 구비된 복수의 리드선(106) 전단부(a)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직사각형의 판재 형상이며, 상부 중앙에는 리드선삽입홈(14)이 나란하게 일정 깊이로 수직 형성된다.
이때 리드선(106)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리드선삽입홈(14)의 상부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15)이 형성된다.
또한 중앙부 전면에는 일정 높이의 단턱부(16)가 횡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측부 양측에는 나사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결합공(13a)이 관통 형성된다.
단턱부(16)는 리드선가이드블록(17) 결합시 리드선지지블록(13)과 리드선가이드블록(17) 상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리드선(106)이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리드선가이드블록(17)은 리드선지지블록(13)에 대응되는 판재 형상으로서, 중앙부에는 리드선지지블록(13)의 리드선삽입홈(14)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홈(18)이 수직 형성된다.
가이드홈(18)은 리드선삽입홈(14)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리드선(106)이 리드선변형부(30)에 의해 변형될 때 리드선(106)의 양측부를 각각 지지하여 일정 폭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리드선가이드블록(17)의 하측부에는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리드선지지블록(13)의 결합공(13a)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17a)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100)는 센서지지부(10)의 상부에 장착된다.
온도센서(100)의 장착은 리드선(106) 전단부(a)를 리드선지지블록(13)의 리드선삽입홈(14)에 삽입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머리부(105)는 이동지지블록(11)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지지블록(11)의 상부에는 머리부(105)의 선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블록(5)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리드선(106)은 리드선가이드블록(17)의 가이드홈(18)의 상부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리드선삽입홈(14)은 리드선(106)이 유동되지 않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센서고정부(20)를 설명한다.
도 6은 센서고정부(20)와 리드선절단부(40)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센서고정부(20)에 구비된 리드선고정구(23)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리드선고정구(23)와 센서지지부(10)의 리드선지지불록(13)이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고정부(20)는 지지프레임(85)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블록(21)과 리드선고정구(23)로 구성된다.
가이드블록(21)은 지지프레임(85)에 수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에는 지지프레임(85)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56a)의 피스톤로드가 결합된다.
따라서 가이드블록(21)은 실린더(56a)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한편 리드선고정구(2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하측면에는 가압돌부(24)가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다.
가압돌부(24)는 리드선지지블록(13)의 리드선삽입홈(14)에 각각 삽입될 수 있게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리드선지지블록(13)의 경사면(15)에 밀착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경사면(25)의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리드선고정구(23)의 하측부에는 단턱부(2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리드선고정구(23)의 상부에는 가이드블록(21)의 전면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공(23a)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리드선고정구(2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블록(21)이 슬라이딩 되어 하강된 상태에 위치하게 되면, 가압돌부(24)는 리드선삽입홈(14)에 각각 삽입되어 리드선(106)의 상부를 가압하여 리드선(106)을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리드선절단부(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고정부(20)의 가이드블록(21)의 상부 일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지지블록(49)과 절단구(45)로 구성된다.
이동지지블록(49)은 센서고정부(20)의 가이드블록(21) 상부에 일측으로 연장 되어 돌출 형성된 지지판(28)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블록(21)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절단구지지체(41)와 지지판(48)으로 구성된다.
이때 지지판(48)은 절단구지지체(41)의 상부에 결합되고, 가이드블록(21)의 지지판(28)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56b)의 피스톤로드가 결합되게 된다.
또한 지지판(48)의 일측에는 지지판(28)에 설치된 가이드관(29)에 관통 삽입될 수 있게 수직으로 상향 돌출된 가이드바(48a)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동지지블록(49)는 실린더(56b)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바(48a)가 가이드관(29)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는 리드선절단부(40)의 절단구지지체(41)와 절단구(45)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절단구지지체(41)는 지지판(48)의 하측면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나사 결합공(41a)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결합홈(42)이 형성된다.
절단구(45)는 일정 길이의 사각 바 형상이며, 상부 일측면에는 결합홈(4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기(44)가 삽입될 수 있게 고정홈(47)이 형성된다.
따라서 절단구(45)는 돌기(44)가 고정홈(47)에 삽입되도록 절단구지지체(41)의 결합홈(42)에 삽입한 후, 고정부재(43)를 절단구지지체(41)에나사 결합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한편 절단구(45)의 하단면에는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경사면(46)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리드선변형부(3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리드선변형부(30)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리드선변형부재(39)의 가압부(34)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선변형부(30)는 베이스프레임(80)(도1에 도시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블록(31)과 리드선변형부재(39)로 구성된다.
베이스블록(31)은 베이스프레임(80)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2)에 설치되고, 전단부는 실린더(56e)(도2에 도시함)의 피스톤로드가 결합됨으로써, 실린더(56e)의 작동에 따라 센저지지부(10)의 전방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작동되게 된다.
한편 리드선변형부재(39)는 베이스블록(31)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체(33)와 가압부(34)로 구성된다.
한편 지지체(33)는 베이스블록(31)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대(38)에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는 리드스크류(38a)에 결합되어 리드스크류(38a)의 회전에 의해 횡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체(33)의 전면부 상측에는 가압부(34)가 안착 고정될 수 있게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압부(34)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록(36)과 가압돌부(35)로 구성되는 것으로, 지지블록(36)의 일측면 상부에는 지지플레이트(37)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지지플레이트(37)의 전면부에는 리드선(106)을 가압하는 바 형상의 가압돌부(35)가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지지플레이트(37)의 후면부는 경사면(37a)으로 형성되고, 가압돌부(35)는 상단부가 지지플레이트(37)의 상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전면부 양측 모서리부는 라운드(35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2,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와 13은 온도센서(100)의 가공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와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100)가 센서지지부(10)의 리드선지지블록(13)과 리드선가이드블록(17)에 안착된 상태에서 센서고정부(20)가 하강하게 되면, 센서고정부(20)의 리드선고정구(23)는 하강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선(106)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리드선절단부(40)도 하강하여 절단구(45)가 일정 위치에 대기하게 된다.
이때 온도센서(100)의 머리부(105)는 이동지지블록(11)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지지블록(5)은 머리부(105)의 선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리드선(106)은 센서지지부(10)의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하게 되어 리드선변형부(30)의 지지블록(36)에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37)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가압돌부(35)는 리드선(106)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리드선변형부(3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전진하게 되면 리드선(106) 사이에 위치한 가압돌부(35)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선가이드블록(17)의 가이드홈(18)의 내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가압돌부(3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18)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리드선(106)을 가이드홈(18)의 양측벽에 각각 밀착시키게 되어 리드선(106)을 변형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15는 온도센서(100)가 가공된 후를 나타낸 것으로서, 온도센서(100)는 리드선(106)이 일정 길이와 형태로 규격화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리드선(106)은 가압돌부(35)의 가압력에 의해 리드선지지블록(13)과 리드선가이드블록(1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서 이중으로 절곡 되어 변형되는 것이다.
도 12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리드선변형부(30)가 전진하여 센서지지부(10)에 도킹된 상태가 되면 리드선절단부(40)의 절단구(45)의 일측면은 지지플레이트(37)의 경사면(37a) 상단부 모서리의 연직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절단구(45)의 하단부 측면 모서리와 지지프레이트(37)의 상단 모서리는 서로 충돌되지 않도록 미세하게 이격되도록 연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리드선절단부(40)의 하강에 의해 절단구(45)가 하강하게 되면, 절단구(45) 하단면의 일측 모서리는 지지플레이트(37)의 경사면(37a) 상단부 모서리를 스치면서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리드선(106)은 절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리드선(106)의 변형과 절단이 마무리되면, 리드선절단부(40)는 다시 상승하고, 리드선변형부(30)는 후퇴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85)에는 센서고정부(20)와 나란하게 센서취출부(60)가 설치될 수 있다.
센서취출부(60)는 지지프레임(85)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56c)의 피스톤로드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판(67)의 하측부에 에어척(65)이 결합된다.
따라서 에어척(65)은 실린더(56c)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며, 하측에는 온도센서(100)의 머리부(105)를 잡을 수 있게 서로 마주보도록 집게가 형성된다.
집게는 에어에 의해 좌,우로 서로 대향되게 이동하면서 머리부(105)를 취부할 수 있게 구비된다.
에어척(65)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부품 등을 취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다양한 형태의 에어척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온도센서(100)의 변형과 절단이 마무리되어 센서고정부(20)와 리드선절단부(40) 및 리드선변형부(30)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센서지지부(10)는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지지프레임(85)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센서취출부(6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센서취출부(60)의 에어척(65)은 하강하여 온도센서(100)의 머리부(105)를 잡고 상승함으로써, 온도센서(100)를 센서지지부(10)로부터 취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 후 센서지지부(10)는 다시 센서고정부(20)의 하측으로 다시 이동하여 연속적인 다음 작업을 위해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구동부(50)는 각 구성요소들을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에 각각 구비되는 실린더(56d,56a,56e,56b,56c)와 에어분배기(57) 및 에어공급부(51)로 구성된다.
에어분배기(57)는 에어공급관(53)을 통해 실린더(56d,56a,56e,56b,56c)와 연결되어 지지프레임(85)의 후측부에 설치되며, 각 구성요소들이 순차적으로 적절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부(7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각각의 실린더(56d,56a,56e,56b,56c)에 선택적으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에어분배기(57)는 에어공급부(51)와 연결되며, 이때 에어의 수분 등을 제거하는 레귤레이터(55)가 에어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각 구성요소가 적절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에어공급부(51)와 에어분배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베이스프레임(80)의 후측부에 설치된다.
작업자는 콘트롤박스(75)에 구비되는 작동버튼을 이용하여 작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드선절단부(40)와 리드선변형부(30)를 이용하여 온도센서(100)의 리드선(106)을 일정 형태로 변형시킴과 동시에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규격화 함으로써, 온도센서(100)의 보관 또는 관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가 회로기판에 장착시 별도의 추가적인 가공 없이 효율적으로 간편하게 온도센서(100)를 장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센서 포밍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센서 포밍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센서지지부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센서지지부의 리드선지지블록과 리드선가이드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센서지지부에 온도센서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센서고정부와 리드선절단부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센서고정부의 리드선고정구의 사시도,
도 8은 센서지지부의 리드선지지블록과 센서고정부의 리드선고정구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리드선절단부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리드선변형부의 부분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리드선변형부의 가압부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센서지지부와 리드선변형부가 도킹된 상태의 평면도,
도 14는 가공 전 온도센서의 평면도,
도 15는 가공 후 온도센서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36 : 지지블록 10 : 센서지지부
11,49 : 이동지지블록 12,22,32 : 가이드레일
13 : 리드선지지블록 14 : 리드선삽입홈
15,25,37a,46 : 경사면 16,26 : 단턱부
17 : 리드선가이드블록 18 : 가이드홈
19 : 지지턱 20 : 센서고정부
21 : 가이드블록 23 : 리드선고정구
24,35 : 가압돌부 28,48,67 : 지지판
29 : 가이드관 30 : 리드선변형부
31 : 베이스블록 33 : 지지체
34 : 가압부 37 : 지지플레이트
38 : 지지대 38a : 리드스크류
39 : 리드선변형부재 40 : 리드선절단부
41 : 절단구지지체 42 : 결합홈
43 : 고정부재 44 : 돌기
45 : 절단구 47 : 고정홈
48a : 가이드바 50 : 구동부
51 : 에어공급부 53 : 에어공급관
55 : 레귤레이터 57 : 에어분배기
60 : 센서취출부 65 : 에어척
70 : 제어부 75 : 콘트롤박스
80 : 베이스프레임 85 : 지지프레임
100 : 온도센서

Claims (9)

  1. 온도센서(100)에 복수로 구비된 리드선(106)의 전단부(a)가 삽입되어 수평 상태로 안착되도록 리드선(106)의 전단부(a)를 지지하는 센서지지부(10);
    상기 센서지지부(10)의 상측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리드선(106)의 전단부(a) 상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센서고정부(20);
    상기 센서지지부(10)의 전방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되, 센서지지부(10)와 센서고정부(20)에 의해 고정된 리드선(106)을 가압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평행하게 변형시키는 리드선변형부(30);
    상기 센서고정부(20)의 일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되, 리드선(106)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리드선절단부(40);
    상기 센서고정부(20)와 리드선변형부(30) 및 리드선절단부(40)를 슬라이딩 작동시키는 구동부(50); 및
    상기 센서고정부(20)와 리드선변형부(30) 및 리드선절단부(40)가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서 포밍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지지부(10)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블록(11)과 이동지지블록(11)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리드선(106)이 안착되도록 리드선(106)의 전 단부(a)를 지지하는 리드선지지블록(13) 및 리드선지지블록(13)의 전면에 결합되는 리드선가이드블록(1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포밍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지지블록(13)은 리드선(106)이 각각 삽입될 수 있게 상부에 복수의 리드선삽입홈(14)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고정부(20)는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블록(21)과 가이드블록(21)의 일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리드선고정구(23)로 구성하되, 리드선고정구(23)의 하단부에는 리드선지지블록(13)의 리드선삽입홈(14)에 각각 삽입되어 리드선(106) 상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돌부(24)가 하향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포밍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가이드블록(17)은 리드선(106)의 전단부(a)가 삽입될 수 있게 리드선삽입홈(14)과 평행하게 가이드홈(18)이 수직 형성되며,
    상기 리드선변형부(30)는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블록(31)과 베이스블록(31)에 설치되는 리드선변형부재(39)로 구성되고,
    상기 리드선변형부재(39)는 베이스블록(31)에 설치되는 지지체(33)와 지지체(33)의 전방에 설치되는 가압부(34)로 구성하되, 가압부(34)는 가이드홈(18)에 삽입되면서 리드선(106)을 가압 변형시키는 가압돌부(35)가 전면부에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포밍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34)의 상부에는 리드선(106)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37)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드선절단부(40)는 상기 센서고정부(20)의 가이드블록(21)에 상,하로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블록(49)과 이동지지블록(49) 하단부에 결합되는 절단구(45)로 구성하되, 절단구(45)는 하향 이동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37)와의 전단력에 의해 리드선(106)을 절단하는 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포밍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37)의 일측면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절단구(45)는 리드선(106)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하단면에 상측 방향으로 경사면(4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포밍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변형부(30)의 지지체(33)는 상기 베이스블록(3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대(38)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는 리드스크류(38a)에 나사 결합되어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포밍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지지부(10)는 상기 구동부(50)에 의해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센서지지부(10)의 이동경로 상의 상측부에는 구동부(50)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센서지지부(10)에 안착된 온도센서(100)를 취출할 수 있는 에어척(65)이 구비된 센서취출부(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포밍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센서지지부(10), 센서고정부(20), 리드선변형부(30), 리드선절단부(40) 및 센서취출부(6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각각 설치되는 실린더(56d,56a,56e,56b,56c)와 상기 제어부(70)의 신호에 따라 각 실린더(56d,56a,56e,56b,56c)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분배기(57) 및 에어분배기(57)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5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포밍 장치.
KR1020080047583A 2008-05-22 2008-05-22 센서 포밍 장치 KR100972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583A KR100972955B1 (ko) 2008-05-22 2008-05-22 센서 포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583A KR100972955B1 (ko) 2008-05-22 2008-05-22 센서 포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604A KR20090121604A (ko) 2009-11-26
KR100972955B1 true KR100972955B1 (ko) 2010-07-29

Family

ID=4160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583A KR100972955B1 (ko) 2008-05-22 2008-05-22 센서 포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9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4611A (ko) * 1997-11-14 2001-03-26 온라인 에니웨어 범용 컴퓨터를 특정 목적 시스템에 접속시키기 위한 방법및 장치
JP2002261493A (ja) 2001-02-28 2002-09-13 Tdk Corp 電子部品リード線のカットアンドクリンチ装置および電子部品挿入装置
KR100492162B1 (ko) 2003-01-22 2005-06-02 주식회사 케이이씨메카트로닉스 전자 부품의 리드선 포밍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4611A (ko) * 1997-11-14 2001-03-26 온라인 에니웨어 범용 컴퓨터를 특정 목적 시스템에 접속시키기 위한 방법및 장치
JP2002261493A (ja) 2001-02-28 2002-09-13 Tdk Corp 電子部品リード線のカットアンドクリンチ装置および電子部品挿入装置
KR100492162B1 (ko) 2003-01-22 2005-06-02 주식회사 케이이씨메카트로닉스 전자 부품의 리드선 포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604A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015B1 (ko) 부스바의 펀칭위치 설정구조가 구비된 부스바 가공장치
CN2900087Y (zh) 快速架模定位治具
CN101934513B (zh) 自动安装机构
US20010002380A1 (en) Assembling device
JP6589134B2 (ja) スティックフィーダ及び部品実装装置
KR100972955B1 (ko) 센서 포밍 장치
WO2006051643A1 (ja) 基板検査装置
CN210147473U (zh) 一种机电产品研发用精密切割机
CN108655690A (zh) 一种电工钳剥线刀片自动装配设备的上料机构
US7346426B2 (en) Automatic dotting machine for manufacture of heat sink for electronic component
CN105499469A (zh) 一种可测工件厚度的铆接机
US10470350B2 (en) Work machine
CN209830107U (zh) 一种自动折线装置
CN203696743U (zh) 塑胶模具顶针磨削治具
KR20200144983A (ko)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KR101173373B1 (ko) 커스터머 트레이 스택커
CN110943365A (zh) 一种半导体激光器管座快速固定装置及固定方法
CN218192142U (zh) 一种压铆螺母柱设备
CN208196912U (zh) 一种电路板的分切取板装置
JP2020064906A (ja) 部品装着装置、及び、部品装着方法
CN217595740U (zh) 一种自动成型踢脚机
CN115179010B (zh) 一种二极管取料压装机构
JP2020064904A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装着装置
CN213457229U (zh) 一种电路板检测装置
CN218963115U (zh) 点胶装置及点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