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808B1 - 제품이송장치 및 이를 갖춘 제품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제품이송장치 및 이를 갖춘 제품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808B1
KR100972808B1 KR1020080025299A KR20080025299A KR100972808B1 KR 100972808 B1 KR100972808 B1 KR 100972808B1 KR 1020080025299 A KR1020080025299 A KR 1020080025299A KR 20080025299 A KR20080025299 A KR 20080025299A KR 100972808 B1 KR100972808 B1 KR 100972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product
transfer
crawl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9976A (ko
Inventor
이기태
Original Assignee
이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태 filed Critical 이기태
Priority to KR1020080025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8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9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고 제품을 목표위치까지 이송하자마자 이송부재가 제품의 이송방향과 반대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품이송장치 및 이를 갖춘 제품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이송장치는 제품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레일과; 제품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무한궤도부재와; 무한궤도부재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회전부재들과; 제품의 이송을 위해 무한궤도부재에 장착된 이송부재를 포함하고, 무한궤도부재는 이송레일과 근접하며 제품의 이송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는 반송측과, 반송측보다 이송레일로부터 더 이격되며 제품의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측을 구비하며, 이송부재는 무한궤도부재에 연결된 부분이 이송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송측으로부터 반송측을 넘어 이송레일의 이송경로까지 연장된 것이다.

Description

제품이송장치 및 이를 갖춘 제품포장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PRODUCTS AND APPARATUS FOR PACKING PRODUCT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품이송장치 및 이를 갖춘 제품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을 목표위치까지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제품이송장치 및 이를 갖춘 제품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품이송장치는 각종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현장에서 제품을 원하는 위치까지 이송시키기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품이송장치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무한궤도형 이송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 제품이송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P)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이송레일(1), 이송레일(1)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회전부재들(2,3), 회전부재들(2,3)에 의해 회전하는 무한궤도부재(4), 제품(P)을 이송시키기 위해 무한궤도부재(4)의 외면에 결합된 복수의 이송부재(5)를 구비한다. 이송부재(5)는 무한궤도부재(4)의 외면과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장착되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회전부재들(2,3)은 통상의 롤러, 스프라켓, 기어 등일 수 있고, 무한궤도부재(4)는 벨트, 체인, 로프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제품이송장치는 무한궤도부재(4)의 동작에 의해 이송부재(5)가 이송레일(1) 위에 놓인 제품(P)을 밀어줌으로써 제품을 이송시킨다. 이송레일(1)의 투입위치(A)로 공급된 제품을 이송부재(5)가 목표위치(B)까지 밀어서 이동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이송장치는 이송부재(5)가 제품(P)을 목표위치(B)까지 이송시킨 후 하측으로 회전하여 방향이 급격히 바뀌기 때문에 목표위치(B)까지 이송한 제품을 이송부재(5)가 순간적으로 더 빠르게 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이송부재(5)의 방향이 바뀌는 시점에서 이송부재(5)의 단부가 이송속도보다 빠르게 선회하면서 제품을 밀기 때문에 제품이 이송경로로부터 이탈하거나 제품의 방향이 틀어질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티슈처럼 두께가 얇고 가벼운 제품을 이송시키거나 제품의 이송속도를 빠르게 할수록 심화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제품이송장치는 고속생산라인이나 고속포장장치에 채용하기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을 목표위치까지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송장치 및 이를 갖춘 제품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을 목표위치까지 이송하자마자 이송부재가 제품의 이송방향과 반대로 동작하여 고속운전을 하더라도 제품이 이송경로로부터 이탈하거나 제품의 방향이 틀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송장치 및 이를 갖춘 제품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이송장치는 제품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레일과; 제품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무한궤도부재와; 상기 무한궤도부재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회전부재들과; 제품의 이송을 위해 상기 무한궤도부재에 장착된 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한궤도부재는 상기 이송레일과 근접하며 제품의 이송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는 반송측과, 상기 반송측보다 상기 이송레일로부터 더 이격되며 제품의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측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무한궤도부재에 연결된 부분이 상기 이송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측으로부터 상기 반송측을 넘어 상기 이송레일의 이송경로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한궤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들은 상기 이송레일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재는 그 양단이 상기 이송레일 양측의 상기 무한궤도부재에 각각 결합된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로부터 연장된 하나이상의 이송핀을 포함한다.
상기 무한궤도부재는 내면에 치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들은 외면에 상기 무한궤도부재의 치형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치형을 구비한다.
상기 이송부재는 그 길이가 상기 회전부재들의 직경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제품포장장치는 박(薄)형 제품을 적층시키는 적층장치과, 상기 적층장치로 제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적층장치에서 적층된 제품을 설정한 목표위치로 이송시키는 제품이송장치와, 상기 적층장치에서 적층된 제품을 설정한 수량으로 분리하여 상기 제품이송장치의 투입위치로 공급하는 분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이송장치는 상기 투입위치로 투입된 제품을 상기 목표위치로 안내하는 이송레일과; 제품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무한궤도부재와; 상기 무한궤도부재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회전부재들과; 상기 무한궤도부재에 장착된 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한궤도부재는 상기 이송레일과 근접하며 제품의 이송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는 반송측과, 상기 반송측보다 상기 이송레일로부터 더 이격되며 제품의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측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무한궤도부재에 연결된 부분이 상기 이송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측으로부터 상기 반송측을 넘어 상기 이송레일의 이송경로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층장치는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제품이 삽입되도록 그 외주부에 나선방향으로 절개되고 상호 회전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삽입홈을 갖춘 적층휠과, 상기 적층휠이 회전할 때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제품들이 상기 적층휠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여 상기 적층휠의 반경방향으로 적층되도록 안내하는 제1적층안내부재와, 상기 제1적층안내부재에 적층되는 제품의 이탈방지를 위해 상기 제1적층안내부재로부터 상기 적층휠의 회전 역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2적층안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적층휠은 원판형으로 마련되며 다수개가 축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적층된 형태이고, 상기 제1 및 제2적층안내부재는 그 일부가 상기 적층휠과 간섭없이 상기 각 적층휠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는 포크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장치는 제품을 상기 적층휠의 삽입홈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적층휠 외측에 설치된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에 설치된 이송벨트와, 상기 적층휠이 회전하는 가운데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안내된 낱개의 제품을 상기 적층휠의 삽입홈으로 투입시키기 위해 상기 안내판 상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투입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장치는 적층된 제품들 사이로 삽입되어 적층된 제품을 설정한 수량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부재와, 상기 분리부재를 설정한 궤적으로 진퇴시키거나 승강시키는 캠링크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품포장장치는 상기 제품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목표위치로 이송된 제품을 포장을 위한 후공정으로 이동시키는 연계컨베이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이송장치는 무한궤도부재의 반송측이 이송레일과 근접하고 무한궤도부재의 이송측이 반송측보다 이송레일로부터 더 이격되며, 이송부재가 이송측으로부터 반송측을 넘어 이송레일의 이송경로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제품을 목표위치까지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이송장치는 제품을 목표위치까지 이송하자마자 이송부재가 제품의 이송방향과 반대로 동작하기 때문에 제품이 이송경로로부터 이탈하거나 제품의 방향이 틀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티슈처럼 두께가 얇고 가벼운 제품도 자세가 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제품포장장치는 제품이송장치의 이송부재가 제품을 목표 위치까지 이송시키자마자 제품의 이송방향과 반대로 동작하여 제품의 이송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기기를 고속으로 운전하더라도 기기의 오동작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이송장치가 적용된 제품포장장치는 수회 접힌 휴대용 티슈처럼 두께가 얇고 면적이 넓은 박(薄)형 제품을 제조자가 설정한 수량으로 적층하여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2는 이러한 제품포장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제품포장장치 요부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티슈를 예로 들었으나, 그 종류에 상관없이 두께가 얇은 형태의 제품이라면 이 제품포장장치를 통하여 적층상태로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포장장치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薄)형 제품을 적층하는 적층장치(10), 적층장치(10)로 낱개의 제품(P)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20), 적층장치(10)에서 적층된 제품을 설정한 목표위치(d)로 이송시키는 제품이송장치(40), 적층장치(10)에서 적층된 제품을 설정한 수량으로 분리하여서 제품이송장치(40)의 투입위치(c)로 공급하는 분리장치(30), 그리고 제품이송장치(40)에 의해 목표위치(d)로 이송된 제품을 포장을 위한 후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연계컨베이어(60)를 포함한다.
적층장치(10)는 공급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낱개의 제품이 삽입될 수 있도 록 외주부에 다수의 삽입홈(12)이 형성된 원판형의 적층휠들(11)을 구비한다. 다수의 삽입홈들(12)은 적층휠(11)의 외주연으로부터 나선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이고 상호 적층휠(11)의 회전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된 형태이다. 이러한 적층휠들(1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각 적층휠(11)의 삽입홈들(12)은 그 위치가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공급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제품(P)이 복수 적층휠(11)의 삽입홈(12)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적층휠(11)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그 축으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회전한다.
적층장치(10)는 적층휠(11)이 회전할 때 삽입홈(12)으로 삽입된 제품들이 적층휠(11)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여 적층휠(11)의 상측(대략 반경방향)으로 적층되도록 하는 제1적층안내부재(13)와, 제1적층안내부재(13)에 의해 적층되는 제품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적층안내부재(14)를 구비한다.
제1적층안내부재(13)는 적층휠들(11)의 상측 외주부에 배치되며 그 일부가 다수의 적층휠들(11)과 간섭 없이 각 적층휠(11) 사이 공간으로 진입하는 포크형태이다. 제1적층안내부재(1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휠(11)의 상부로부터 적층휠(11)의 회전중심 쪽으로 연장되되 원활한 적층 안내를 위해 약간의 경사나 곡률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 삽입홈들(12)이 형성된 위치보다 더 하부까지 연장되는 것이 좋다. 적층휠(11)이 회전할 때 삽입홈(12)으로 투입된 제품들(P)이 제1적층안내부재(13)에 걸리면서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제2적층안내부재(14)는 제1적층안내부재(13)의 위치로부터 적층휠(11)의 회전 역 방향으로 소정간격(대략 제품의 길이만큼) 이격된 적층휠(11)의 상부 위치에 마련된다. 제2적층안내부재(14)도 그 일부가 각 적층휠(11)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는 포크형태이며 원활한 적층 안내를 위해 그 끝이 상방으로 휘어진 형태이다. 이러한 제2적층안내부재(14)는 제품(P)이 제1적층안내부재(13)에 걸려 적층되는 과정에서 제1적층안내부재(13)에 걸리는 충격에 의해 회전 역방향으로 이탈하려는 현상을 저지함으로써 원활한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적층휠(11)로 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장치(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을 적층휠(11)의 삽입홈(12)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적층휠(11)의 외측에 설치되며 적층휠(11)의 삽입홈(12) 경사와 거의 대응하는 경사를 유지하는 안내판(21), 제품 이송을 위해 안내판(21)에 설치된 이송벨트(22)를 구비한다. 또 이송벨트(22)에 의해 순차적으로 안내되는 낱개의 제품(P)을 회전하는 적층휠(11)의 삽입홈(12)으로 투입시키기 위해 안내판(21) 상부에 설치된 투입롤러들(23,24)을 포함한다. 이송벨트(2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롤러(25) 및 회전부재들(26,27)에 의해 회전하는 무한궤도형 벨트이다. 투입롤러들(23,24)은 회전하는 적층휠(11)의 삽입홈들(12)로 제품(P)을 순차적으로 정확히 투입한다. 이를 위해 투입롤러(23)에 의해 제품이 투입되는 시기와 적층휠(11)의 회전에 의해 삽입홈들(12)이 투입위치(안내판의 단부)에 위치하는 시기는 정확히 일치되도록 한다. 이는 적층휠(11)과 투입롤러(23)의 회전비를 고려하여 적층휠(11)과 투입롤러(23)가 타이밍벨트(미도시)나 기어열(미도시) 등에 의해 동력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거나 센서의 감지를 통해 투입시기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분리장치(30)는 적층장치(10)에 의해 적층된 제품들을 설정한 수량으로 분리시킨 후 그 상부에 위치하는 제품이송장치(40)로 공급한다. 분리장치(3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된 제품들 사이로 진입하여 제품들을 설정한 수량으로 분리시키는 포크형태의 분리부재(31)와, 분리부재(31)를 설정한 궤적으로 진퇴시키거나 승강시키는 캠링크장치(32)를 포함한다.
캠링크장치(32)는 상호 다른 궤적의 제1캠홈(33a)과 제2캠홈(33b)을 구비하는 회전캠(33), 제1캠홈(33a)에 연계되어 분리부재(31)의 승강을 위해 동작하는 제1링크장치(34), 제2캠홈(33b)에 연계되어 분리부재(31)의 진퇴를 위해 동작하는 제2링크장치(35)를 구비한다. 분리부재(31)는 제1링크장치(34)의 암에 진퇴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 결합부(31a)를 구비한다. 제1링크장치(34)와 제2링크장치(35)는 각각의 회전중심이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회전캠(33)의 회전에 따라 제1링크부재(34)와 제2링크부재(35)가 상호 궤적이 다른 제1캠홈(33a)과 제2캠홈(33b)에 대응하여 작동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분리부재(31)의 진퇴 및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분리부재(31)가 적층된 제품들로부터 정확한 시기에 설정한 수량의 제품들을 분리시켜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분리부재(31)의 이동궤적은 회전캠(33)에 형성된 제1캠홈(33a)과 제2캠홈(33b) 궤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고, 분리부재(31)의 동작속도는 회전캠(33)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장치(30)는 적층휠(11)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회전캠(33)의 회전속도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적층휠(11)의 회전속도 변화하더라도 항상 정확한 시기에 설정한 수량의 제품들을 분리하여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분리장치(30)에 의해 상승된 제품들은 제품이송장치(40)에 의해 목표위치(d)로 이송된다. 제품이송장치(40)는 투입위치(c)로 공급된 적층상태의 제품들을 연계컨베이어(60)로 이송시킨다.
제품이송장치(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부재(31)에 의해 상승된 제품을 연계컨베이어(60) 쪽으로 안내하는 이송레일(41)과, 이송레일(41)의 양측에 제품의 이송방향으로 각각 길게 배치된 제1 및 제2무한궤도부재(42,43)와, 각 무한궤도부재(42,43)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회전부재들(44a,44b,45a,45b)과, 제품의 이송을 위해 두 무한궤도부재(42,43)에 장착된 이송부재(47)를 포함한다.
무한궤도부재들(42,43)은 내면에 치형이 형성된 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지고, 각 무한궤도부재(42,4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회전부재들(44a,44b,45a,45b)은 외면에 무한궤도부재들(42,43)의 치형에 대응하는 치형이 형성된 기어로 이루어진다. 또 각 무한궤도부재(42,43)의 양측에 설치되는 회전부재들(44a,44b,45a,45b)은 각 무한궤도부재(42,43)가 평평하게 당겨지도록 장력을 유지하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무한궤도부재들(42,43)이 동작할 수 있도록 벨트(48) 등에 의해 구동원(미도시)과 연결된다. 무한궤도부재들(42,43)을 동작시키는 회전부재(44b,45b)는 적층휠(11)을 동작시키는 구동원과 연결될 수 있다. 두 무한궤도부재들(42,43)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동력이 연결된다.
또 무한궤도부재들(42,43)은 이송레일(41)과 근접하도록 배치되며 제품의 이 송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는 반송측(R)과, 반송측(R)보다 이송레일(41)로부터 상방으로 더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제품의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측(T)을 구비한다. 즉 이송측(T)이 반송측(R)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송부재(47)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이 이송레일(41) 양측의 제1 및 제2무한궤도부재(42,43)에 각각 결합된 연결바(47a)와, 연결바(47a)에 설치된 복수의 이송핀(47b)을 포함한다. 연결바(47a)는 제품의 이송방향과 대략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이송핀들(47b)은 연결바(47a)에 대하여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이송핀들(47b)은 회전부재들(44a,44b,45a,45b)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송핀들(47b)은 도 3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바(47a)가 이송측(T)에 위치한 상태에서 연결바(47a)로부터 반송측(R)의 위치를 넘어서 이송레일(41)의 위치까지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다. 즉 연결바(47a)와 이송핀들(47b)로 이루어지는 이송부재(47)가 무한궤도부재(42,43)의 이송측(T)으로부터 반송측(R)을 넘어 이송레일(41)에 이르도록 연장된 형태이다. 이송핀들(47b)과 무한궤도부재(42,43)의 반송측(R)은 간섭되지 않는다. 또 이송핀들(47b)의 자유단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을 걸어주도록 절곡된 걸이부(47c)가 마련된다.
또 제품이송장치(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회전부재들(44a,44b,45a,45b)을 지지하는 프레임(50)의 하측에 제품들이 들뜨지 않고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바들(51,52)이 설치된다. 안내바들(51,52)은 이송레일(41)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된다.
이러한 제품이송장치(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한궤도부재(42,43)의 동작에 의해 이송부재(47)의 연결바(47a)가 무한궤도부재(42)의 이송측(T)에 위치할 때 이송핀들(47b)의 자유단 쪽(제품을 밀어주는 부분)이 이송레일(41)의 제품이송경로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때는 이송핀들(47b)이 제품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서 이동시킨다. 반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바(47a)가 무한궤도부재(42,43)의 반송측(R)에 위치할 때는 이송핀(47b)의 자유단이 상부를 향하게 되므로 이송핀들(47b)이 제품의 이송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러한 제품이송장치(40)의 동작은 적층장치(10) 및 분리장치(30)의 동작과 연계된다. 아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이러한 동작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공급장치(20)와 적층장치(10)가 동작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휠(11)의 상부에 제품들이 적층된다. 이때 분리장치(30)의 분리부재(31)는 제품이 적층된 위치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품의 적층이 설정한 수준에 이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부재(31)가 적층된 제품 사이로 진입하여 설정한 수량의 제품을 분리시켜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품이송장치(40)는 이송부재(47)의 연결바(47a)가 반송측(R)에 위치하므로 이송핀들(47b)이 상승하는 제품과 간섭되지 않는다.
분리장치(30)에 의해 분리된 제품들이 제품이송장치(40)의 투입위치(c)까지 상승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부재(47)의 위치가 도 5의 상태와 역으로 전환되면서 제품을 이송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는 이송부재(47)의 연결바(47a)가 무한궤도부재(42,43)의 이송측(T)에 위치하고 제품을 밀어주는 자유단 쪽이 이송레일(41)의 이송경로에 위치하므로 제품을 이송시킬 수 있다.
도 6의 상태에서 무한궤도부재(42,43)의 동작에 의해 제품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표위치(d)까지 이송되면, 제품은 연계컨베이어(60)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후 연계컨베이어(60)의 동작에 의해 포장을 위한 후 공정으로 이송된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연계컨베이어(60)는 제품을 포장유닛 쪽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적층된 상태의 제품이 후 공정에서 포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송핀들(47b)이 목표위치(d)까지 제품을 이송시킨 후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핀들(47b)의 회전중심이 회전부재(44b)의 회전중심과 거의 일치한 상태로 이송핀들(47b)이 180도 회전하므로 이송핀들(47b)의 연결부분(연결바의 위치)과 자유단 위치가 순간적으로 바뀐다. 이때는 이송핀들(47b)의 자유단 쪽(제품을 밀어주는 부분)이 제품이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면서 제품으로부터 신속히 이격된다. 이처럼 이송핀들(47b)이 제품을 목표위치(d)까지 이송시키자마자 순식간에 역방향으로 동작하면서 제품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제품의 이송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송부재(47)의 이송핀들(47b)이 이송측(T)으로부터 반송측(R)을 넘어 이송레일(41)에 이르도록 길게 연장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품이송장치(40)가 고속으로 동작하더라도 제품이 이송경로로부터 이탈하거나 제품의 방향이 틀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송부재(47)가 제품을 목표위치(d)까지 이송시킨 후에는 다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부재(47)는 연결바(47a)가 반송측(R)에 위치한 상태에서 복귀한다. 이때 이송핀들(47b)의 자유단은 상부를 향하므로 제품의 이송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적층된 제품들에도 걸리지 않는다.
도 9는 도 5의 상태에서 도 6의 상태로 이송부재(47)가 움직이는 동작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이송부재(47)의 이송핀들(47b)은 도 5의 상태에서 회전부재(44a)의 위치에 이르러 역시 180도를 회전하므로 순식간에 다시 제품을 이송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즉 이송부재(47)의 연결바(47a)가 이송측(T)에 위치하고 제품을 밀어주는 자유단이 이송경로에 위치하도록 신속히 전환된다.
이러한 제품이송장치(40)의 동작은 적층장치(10)에 의해 설정한 수량의 제품들이 적층되는 시기에 맞추어 정확히 반복된다. 따라서 제품이송장치(40)는 매번 설정한 수량(예를 들어 6개 또는 7개 등)으로 적층된 제품을 목표위치(d)까지 신속하고 안정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이송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예는 무한궤도부재(142)가 이송레일(141)의 하부에 배치된 형태이다. 이 경우는 상술한 예와 반대로 무한궤도부재(142)의 반송측(R)이 이송측(T)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송부재(147)의 형태는 상술한 예와 동일하다. 도 10의 제품이송장치(140)는 이송부재(147)의 연결부분이 하부의 이송측(T)에 위치한 상태일 때 이송핀들(147b)이 제품을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 예들은 무한궤도부재가 이송레일 양측에 각각 설치된 경우이나, 제품이송장치는 무한궤도부재가 하나인 형태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이송부재는 무한궤도부재의 이송측(T)에 연결된 상태에서 무한궤도부재의 반송측을 간섭 없이 우회하도록 절곡된 후 이송레일까지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무한 궤도부재는 치형을 가진 타이밍벨트 외에도 통상의 평벨트, V벨트, 체인, 로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회전부재들는 스프라켓 또는 원통형 풀리, 외면에 홈을 가진 풀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들은 제품이송장치(40,140)가 티슈와 같은 박(薄)형 제품을 포장하는 제품포장장치에 채용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제품이송장치(40,140)는 이러한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제품이나 반제품 또는 원료의 이송을 목적으로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또 제품이송장치(40,140)는 다른 장치와 연계되어 사용되거나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제품이송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이송장치가 적용된 제품포장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이송장치가 적용된 제품포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이송장치의 동작을 각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이송장치의 이송부재가 제품의 이송시킨 후 반송측으로 이동하면서 제품으로부터 이격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이송장치의 이송부재가 반송측으로부터 이송측으로 이동하여 이송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이송장치의 측면도로 다른 실시 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적층장치, 11: 적층휠,
13: 제1적층안내부재, 14: 제2적층안내부재,
20: 공급장치, 30: 분리장치,
31: 분리부재, 40: 제품이송장치,
41: 이송레일, 42,43: 무한궤도부재,
44a,44b,45a,45b: 회전부재, 47: 이송부재,
47a: 연결바, 47b: 이송핀,
60: 연계컨베이어.

Claims (12)

  1. 제품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레일과; 제품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무한궤도부재와; 상기 무한궤도부재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회전부재들과; 제품의 이송을 위해 상기 무한궤도부재에 장착된 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한궤도부재는 상기 이송레일과 근접하며 제품의 이송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는 반송측과, 상기 반송측보다 상기 이송레일로부터 더 이격되며 제품의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측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무한궤도부재에 연결된 부분이 상기 이송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측으로부터 상기 반송측을 넘어 상기 이송레일의 이송경로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들은 상기 이송레일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재는 그 양단이 상기 이송레일 양측의 상기 무한궤도부재에 각각 결합된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로부터 연장된 하나이상의 이송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부재는 내면에 치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들은 외면에 상기 무한궤도부재의 치형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치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그 길이가 상기 회전부재들의 직경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이송장치.
  5. 제품을 적층시키는 적층장치과, 상기 적층장치로 제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적층장치에서 적층된 제품을 설정한 목표위치로 이송시키는 제품이송장치와, 상기 적층장치에서 적층된 제품을 설정한 수량으로 분리하여 상기 제품이송장치의 투입위치로 공급하는 분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이송장치는 상기 투입위치로 투입된 제품을 상기 목표위치로 안내하는 이송레일과; 제품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무한궤도부재와; 상기 무한궤도부재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회전부재들과; 상기 무한궤도부재에 장착된 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한궤도부재는 상기 이송레일과 근접하며 제품의 이송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는 반송측과, 상기 반송측보다 상기 이송레일로부터 더 이격되며 제품의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측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무한궤도부재에 연결된 부분이 상기 이송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측으로부터 상기 반송측을 넘어 상기 이송레일의 이송경로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포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들은 상기 이송레일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재는 그 양단이 상기 이송레일 양측의 상기 무한궤도부재에 각각 결합된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로부터 연장된 하나이상의 이송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포장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부재는 내면에 치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들은 외면에 상기 무한궤도부재의 치형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치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포장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장치는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제품이 삽입되도록 그 외주부에 나선방향으로 절개되고 상호 회전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삽입홈을 갖춘 적층휠과, 상기 적층휠이 회전할 때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제품들이 상기 적층휠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여 상기 적층휠의 반경방향으로 적층되도록 안내하기 위 해 상기 적층휠의 외주부에 배치된 제1적층안내부재와, 상기 제1적층안내부재에 적층되는 제품의 이탈방지를 위해 상기 제1적층안내부재로부터 상기 적층휠의 회전 역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2적층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포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휠은 원판형으로 마련되며 다수개가 축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적층된 형태이고,
    상기 제1 및 제2적층안내부재는 그 일부가 상기 적층휠과 간섭없이 상기 각 적층휠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는 포크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포장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는 제품을 상기 적층휠의 삽입홈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적층휠 외측에 설치된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에 설치된 이송벨트와, 상기 적층휠이 회전하는 가운데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안내된 낱개의 제품을 상기 적층휠의 삽입홈으로 투입시키기 위해 상기 안내판 상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투입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포장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는 적층된 제품들 사이로 삽입되어 적층된 제품을 설정한 수량 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부재와, 상기 분리부재를 설정한 궤적으로 진퇴시키거나 승강시키는 캠링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포장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목표위치로 이송된 제품을 포장을 위한 후공정으로 이동시키는 연계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포장장치.
KR1020080025299A 2008-03-19 2008-03-19 제품이송장치 및 이를 갖춘 제품포장장치 KR100972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299A KR100972808B1 (ko) 2008-03-19 2008-03-19 제품이송장치 및 이를 갖춘 제품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299A KR100972808B1 (ko) 2008-03-19 2008-03-19 제품이송장치 및 이를 갖춘 제품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976A KR20090099976A (ko) 2009-09-23
KR100972808B1 true KR100972808B1 (ko) 2010-07-29

Family

ID=41358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299A KR100972808B1 (ko) 2008-03-19 2008-03-19 제품이송장치 및 이를 갖춘 제품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8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786B1 (ko) 2019-12-26 2020-05-15 주식회사 인테크코리아 자동 중량 선별 기능을 갖는 정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3707B (zh) * 2012-11-09 2016-05-04 浙江海悦自动化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蓄电池极板输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611Y1 (ko) 1997-08-09 1999-12-15 이상윤 라면 이송 포장장치
KR20010062611A (ko) * 1999-12-23 2001-07-07 윌리엄 비. 켐플러 동적 임계 전압 4t sram 셀
US20040154902A1 (en) 2003-02-12 2004-08-12 Schoeneck Richard Jerome Retractable transfer device metering and product arranging and loading apparatus and methods
JP3580679B2 (ja) * 1997-09-19 2004-10-27 東芝電池株式会社 筒型電池の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611Y1 (ko) 1997-08-09 1999-12-15 이상윤 라면 이송 포장장치
JP3580679B2 (ja) * 1997-09-19 2004-10-27 東芝電池株式会社 筒型電池の搬送装置
KR20010062611A (ko) * 1999-12-23 2001-07-07 윌리엄 비. 켐플러 동적 임계 전압 4t sram 셀
US20040154902A1 (en) 2003-02-12 2004-08-12 Schoeneck Richard Jerome Retractable transfer device metering and product arranging and loading apparatus and metho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786B1 (ko) 2019-12-26 2020-05-15 주식회사 인테크코리아 자동 중량 선별 기능을 갖는 정렬 장치
EP3842349A1 (en) 2019-12-26 2021-06-30 Intechkorea Co., Ltd. Alignment device having automatic weight sort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976A (ko)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758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용 약제다발 이송장치
JP2006312552A (ja) 多目的カートン詰機械
JP6524561B2 (ja) 物品を方向転換するコンベヤベルト
EP2310305B1 (en) Buffer conveyor for conveying and buffering products
JP5628548B2 (ja) 箱詰め装置
CN107080283A (zh) 用于供送棒形制品的质量流的装置和该装置的用途
CA2747453A1 (en) Machine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nd grouping articles and packaging machine
US8191702B2 (en) Article lifting device
US4564104A (en) Article feeding and stacking mechanism
KR102147805B1 (ko) 고속으로 상품을 포장할 수 있는 낱개상품 정렬장치
KR100972808B1 (ko) 제품이송장치 및 이를 갖춘 제품포장장치
JP2009249111A (ja) 搬送装置
US4997339A (en) Device for stacking trays with articles
KR101112674B1 (ko) 파우치 제품 공급 및 적재장치
JP2008013227A (ja) 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箱詰め装置
JP4943667B2 (ja) 仕分け装置
EP2007659B1 (en) Device for moving and orienting long tubular items
JP2015145312A (ja) 搬送装置
JP4773752B2 (ja) 棒状物品段積み装置
JP7244739B2 (ja) 物品搬送装置
JP4247522B2 (ja) 物品揃え装置
IE910835A1 (en) Infeed grouping mechanism for a packaging machine
US1176258A (en) Brick-conveyer.
JP6341835B2 (ja) 物品移載装置
JP4036067B2 (ja) 物品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