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597B1 -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 - Google Patents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597B1
KR100970597B1 KR1020080059393A KR20080059393A KR100970597B1 KR 100970597 B1 KR100970597 B1 KR 100970597B1 KR 1020080059393 A KR1020080059393 A KR 1020080059393A KR 20080059393 A KR20080059393 A KR 20080059393A KR 100970597 B1 KR100970597 B1 KR 100970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loor
plate
wheel
pi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052A (ko
Inventor
김성완
박준영
김신
한남수
권문희
서영주
류동수
손원득
박경순
이명광
양승근
Original Assignee
대한주택공사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삼신설계(주)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주택공사,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삼신설계(주),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filed Critical 대한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080059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597B1/ko
Publication of KR20100000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2Flooring consisting of parquetry tiles on a non-rollable sub-layer of other material, e.g. board, concrete, cor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정원을 조망할 수 있는 조립식 마루를 구성하여 주거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에 관한 것이며, 두개의 외측마루(11) 사이에 중간마루(12) 두개가 끼워지게 이루어지고, 외측마루(11)와 중간마루(12)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 박스로 이루어진 함체(13)와 덮개(14)로 이루어지며, 함체(13)의 내부 양측에 바퀴설치부(15)가 형성되고, 바퀴설치부(15)의 하부에 바퀴어셈블리(20)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덮개(14)는 함체(13) 상부 일측에 힌지(16)로 개폐 가능하게 고정되고, 가변벽체(40)측의 외측마루(11)의 덮개(14)에 클립홈(17)이 형성되는 마루(10); 두개의 수평대(21) 일측 단부가 서로 마주 닿아 고정부(24)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수평대(21)의 타측 단부에 바퀴(22)가 고정되며, 수평대(21)의 일측에 핀홀(23)이 형성되되 핀홀(23)은 바퀴(22)가 고정된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수평대(21)의 핀홀(23)은 고정핀(23)으로 바퀴설치부(15)에 고정되어 핀홀(2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고정부(24)의 상단에 수직봉(25)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수직봉(25)의 상단에 손잡이(27)가 형성되며, 수직봉(25)의 상부 일측에 수평으로 걸림봉(26)이 형성되는 바퀴어셈블리(20); 바퀴설치부(15)의 내측 벽면과 함체(13)의 벽면 사이에 고정되어 바퀴어셈블리(20)가 가이드 되고, 두개의 판체(31)가 이동틈(33) 만큼의 간격을 가지도록 바퀴설치부(15)에 고정되며, 판체(31)의 저면에 경사면(32)이 형성되어 수평대(21)의 상향 이동시 이동공간이 구비되고, 이동 틈(33)의 일측에 멈춤홈(34)이 형성되어 걸림봉(26)이 삽입되며, 이동틈(33)에 수직봉(25)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판(30); 상부판(42)과 하부판(41)으로 이루어져 상부판(42)의 상단이 고정브라켓(44)으로 마루(10)의 일측 천정에 고정되고, 상부판(42)과 하부판(41)은 힌지(43)에 의하여 접힐수 있게 서로 고정되며, 천정에 걸림고리(45)의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걸림고리(45)의 하단이 접힌 상태의 힌지(43)에 걸려 고정되며, 하부판(41)에 클립홈(46)이 형성되어 고정클립(47)이 하부판(41)과 외측마루(11)의 클립홈(17)에 동시에 삽입 고정되는 가변벽(4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루, 가변벽, 외측마루, 바퀴어셈블리, 가이드판

Description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A knockdown garden floor including account book}
본 발명은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정원을 조망할 수 있는 조립식 마루를 구성하여 주거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에 관한 것이다.
마루는 전통가옥에서 자주 사용하는 구조로서, 여러가지 형식이 있다. 누마루는 전통 한옥에서 일반적으로 채용된 부분으로서, 누마루는 대개 사랑방에 이어서 건축되며 마루 주변을 따라 난간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누마루는 고주(高柱)로 높여져 있으며 연등천정 또는 부분적으로 우물천정을 한 전망이 좋은 공간으로서 특히 여름철에는 청한(淸閑)한 한 때를 보낼 수 있는 곳이다. 사랑방의 꾸밈과 같이 병풍, 서안,연상, 궤상, 탁자, 책장과 끽연도구, 거문고, 바둑판 및 차를 끓일 수 있도록 화로가 적당히 배치되고 있으며, 평상과 그 위에 죽부인이 놓여 있다.
이러한 마루는 가옥에서 조망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정원과 전 망이 좋은 곳을 볼 수 있게 난간과 같이 형성하였다.
하지만 아파트와 같은 현대의 공동주택은 이러한 전통적인 가옥 형식을 전혀 채용하지 못하고, 딱딱한 콘크리트 구조물로만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아파트 내부 인테리어에서 전통 한옥구조를 채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하지만 전통 한옥구조에서 채용할 수 있는 것은 창호나 기타 소품에 불과하고, 전술한 마루 같은 구조는 채용할 수 없었고, 아파트의 특성상 공간의 활용도를 높여야 하므로 마루는 만들 수 없었다.
그리고 아파트에서 정서적 환경을 위하여 베란다에서 화초를 키우거나 기타 식물을 키우는 것은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실내에서 화초 등을 키울 수 있는 작은 규모의 전용 정원을 아파트 베란다에 만드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정원을 만들 경우에 정원을 조망할 수 있는 곳이 별도로 없어 불편하였고, 따로 정원 앞에 앉을 수 있는 구조물을 만들 경우 미관상 좋지 않고, 다니기에도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에 사용할 수 없는 죽은 공간이 되어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파트의 경우 한정된 공간에 많은 수납공간을 만들어야 하나 이러한 수납공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아파트 내부에 마루를 구비한 정원을 두어 전통가옥처럼 조망을 할 수 있게 하고, 마루는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내부에 수납공간을 두어 편리하게 하며, 마루에 상하 이동하여 노출과 수납이 되는 바퀴어셈블리를 설치하여 이동이 간편하게 한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마루의 일측면에 가변벽체를 두어 실내의 공간을 구분할 수 있게 하고, 전체적인 조망이 필요할 때나 마루를 이동시켜 의자로 사용하게 할 경우 가변벽체를 접을 수 있게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개의 외측마루 사이에 중간마루 두개가 끼워지게 이루어지고, 외측마루와 중간마루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 박스로 이루어진 함체와 덮개로 이루어지며, 함체의 내부 양측에 바퀴설치부가 형성되고, 바퀴설치부의 하부에 바퀴어셈블리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덮개는 함체 상부 일측에 힌지로 개폐 가능하게 고정되고, 가변벽측의 외측마루의 덮개에 클립홈이 형성되는 마루; 두개의 수평대 일측 단부가 서로 마주 닿아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수평대의 타측 단부에 바퀴가 고정되며, 수평대의 일측에 핀홀이 형성되되 핀홀은 바퀴가 고정된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수평대의 핀홀은 고정핀으로 바퀴설치부에 고정되어 핀홀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고정부의 상단에 수직봉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수직봉의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수직봉의 상부 일측에 수평으로 걸림봉이 형성되는 바퀴어셈블리; 바퀴설치부의 내측 벽면과 함체의 벽면 사이에 고정되어 바퀴어셈블리가 가이드 되고, 두개의 판체가 이동틈 만큼의 간격을 가지도록 바퀴설치부에 고정되며, 판체의 저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수평대의 상향 이동시 이동공간이 구비되고, 이동틈의 일측에 멈춤홈이 형성되어 걸림봉이 삽입되며, 이동틈에 수직봉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판;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이루어져 상부판의 상단이 고정브라켓으로 마루의 일측 천정에 고정되고, 상부판과 하부판은 힌지에 의하여 접힐수 있게 서로 고정되며, 천정에 걸림고리의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걸림고리의 하단이 접힌 상태의 힌지에 걸려 고정되며, 하부판에 클립홈이 형성되어 고정클립이 하부판과 외측마루의 클립홈에 동시에 삽입 고정되는 가변벽;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외측마루와 중간마루가 합쳐져 하나의 마루가 되므로 각각의 조각은 이동시켜 의자나 소파 대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마루는 바퀴어셈블리에 의하여 이동이 가능하고, 바퀴어셈블리는 평소에는 들어가 있다가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아래로 내려가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편리하다.
가변벽은 마루의 일측을 막고 있다가 전체적 조망을 원할 때 걷을 수 있고, 마루를 이동시킬 때 걷어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과 조망의 선택을 쉽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두개의 외측마루(11)와 두개의 중간마루(12)가 조립되어 하나의 마루(10)를 이루어 정원(2)을 바라보고 설치되고, 마루(10)의 일측에 가변벽(40)이 설치되며, 마루(10)에는 가이드판(30)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는 바퀴어셈블리(20)를 두어 바퀴(22)가 아래로 내려오게 하거나 수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마루(10)는 길이가 긴 두개의 외측마루(11)와 외측마루(11) 사이에 길이가 짧은 중간마루(12) 두개가 끼워져 이루어진다.
외측마루(11)와 중간마루(12)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 박스 모양의 함체(13)와 함체(13)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덮개(14)로 이루어지고, 함체(13)의 내부 양측에 바퀴설치부(15)가 형성된다.
바퀴설치부(15)는 판체에 가이드판(30)이 고정된 것으로 가이드판(30)의 사이를 통하여 바퀴어셈블리(20)가 이동하게 된다. 즉 바퀴설치부(15)의 하부에 바퀴 어셈블리(20)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노출과 수납이 선택에 따라 이루어진다.
마루(10)의 덮개(14)는 함체(13) 상부 일측에 힌지(16)로 개폐 가능하게 고정되어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고, 수납된 물건을 보관하고 마루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덮개(14)를 형성한다. 이러한 덮개(14)의 표면에 긴 판자를 다수개 붙여 마루의 형상과 유사하게 한다.
마루(10)에서 가변벽체(40)측에 위치한 외측마루(11)의 덮개(14)에 클립홈(17)이 형성된다.
바퀴어셈블리(20)는 마루(10)의 바퀴설치부(15)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두개의 수평대(21) 일측 단부가 서로 마주 닿아 고정부(24)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수평대(21)의 타측 단부에 바퀴(22)가 고정된다. 고정부(24)는 두개의 수평대(21)를 감싼 상태에서 고정핀으로 고정되고, 고정부(24)는 수직봉(25)에 의하여 상하 이동된다.
수평대(21)의 일측에 핀홀(23)이 형성되되 핀홀(23)은 바퀴(22)가 고정된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수평대(21)의 핀홀(23)은 고정핀(23)으로 바퀴설치부(15)에 고정되어 핀홀(2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따라서 바퀴(22)에 인접하게 고정핀(23)이 고정되므로 고정핀(2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나,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바퀴(22)를 내릴 때 작은 힘으로도 내릴 수 있게 된다.
고정부(24)의 상단에 수직봉(25)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수직봉(25)의 상단에 손잡이(27)가 형성되며, 수직봉(25)의 상부 일측에 수평으로 걸림 봉(26)이 형성된다. 걸림봉(26)은 180도 방향으로 두개가 형성된다.
가이드판(30)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두개의 판체(31)로 이루어지고, 두개의 판체(31)가 서로 마주보게 바퀴설치부(15)의 내측 벽면과 함체(13)의 벽면 사이에 고정된다.
가이드판(30)은 바퀴어셈블리(20)가 가이드 되고, 두개의 판체(31)가 이동틈(33) 만큼의 간격을 가지도록 바퀴설치부(15)에 고정된다. 이동틈(33)은 걸림봉(26)의 두께만큼 간격을 두어 형성하되, 그 중간에 멈춤홈(34)을 형성한다.
각각의 판체(31) 저면에 경사면(32)이 형성되어 수평대(21)의 상향 이동시 이동공간이 구비되고, 경사면(32)은 중앙을 보고 상향되도록 형성한다.
이동틈(33)의 일측에 형성된 멈춤홈(34)에 걸림봉(26)이 삽입되게 되는데, 이는 수직봉(25)이 아래로 내려가 바퀴(22)가 수납되었을 때 더 이상 바퀴가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수직봉(25)을 회전시켜 걸림봉(26)을 멈춤홈(34)에 삽입할 수 있다.
반대로 바퀴(22)를 돌출시켜 마루(10)를 이동시키려면, 손잡이(27)를 회전시켜 걸림봉(26)을 멈춤홈(34)에서 이탈시켜 이동틈(33)과 평행되게 움직인후 위로 들어올리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고정핀(23-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바퀴(22)는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그리고 내려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손잡이(27)를 다시 회전시키면 걸림봉(26)이 가이드판(30)의 판체(31) 상단에 걸려 더 이상 내려가지 않게 된다.
가변벽(40)은 마루(10)의 일측에서 벽체를 만들었다가 다시 걷어 공간을 연 결하여 주는 것으로서, 힌지(43)에 의해 고정된 상부판(42)과 하부판(41)으로 이루어져 상부판(42)의 상단이 고정브라켓(44)으로 마루(10)의 일측 천정에 고정된다.
천정에 상부판(42)과 하부판(41)이 겹쳐져 수평으로 회동하였을 때의 위치에 걸림고리(45)의 상단이 고정되고, 걸림고리(45)는 회동이 가능하게 고정된다.
걸림고리(45)의 하단은 걸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판(42)과 하부판(41)이 접힌 상태의 힌지(43)에 걸려 고정된다. 힌지는 접힌 상태에서 회전축 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그 사이 틈에 걸고리를 걸어 고정한다.
가변벽(40)은 하부판(41)에 클립홈(46)이 형성되고, 고정클립(47)이 하부판(41)과 외측마루(11)의 클립홈(17)에 동시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에서 중간마루의 덮개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의 중간마루에서 바퀴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의 바퀴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의 바퀴어셈블리를 도시한 작동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변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에서 가변벽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의 가변벽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의 가변벽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고정벽 2 : 정원
10 : 마루 11 : 외측마루
12 : 중간마루 13 : 함체
14 : 덮개 15 : 바퀴설치부
16 : 힌지 17 : 클립홈
20 : 바퀴어셈블리 21 : 수평대
22 : 바퀴 23 : 핀홀
23-1 : 고정핀 24 : 고정부
25 : 수직봉 26 : 걸림봉
27 : 손잡이 30 : 가이드판
31 : 판체 32 : 경사면
33 : 이동틈 34 ; 멈춤홈
40 : 가변벽 41 : 하부판
42 : 상부판 43 : 힌지
44 : 고정브라켓 45 : 걸림고리
46 : 클립홈 47 : 고정클립

Claims (1)

  1. 두개의 외측마루(11) 사이에 중간마루(12) 두개가 끼워지게 이루어지고, 외측마루(11)와 중간마루(12)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 박스로 이루어진 함체(13)와 덮개(14)로 이루어지며, 함체(13)의 내부 양측에 바퀴설치부(15)가 형성되고, 바퀴설치부(15)의 하부에 바퀴어셈블리(20)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덮개(14)는 함체(13) 상부 일측에 힌지(16)로 개폐 가능하게 고정되고, 가변벽체(40)측의 외측마루(11)의 덮개(14)에 클립홈(17)이 형성되는 마루(10);
    두개의 수평대(21) 일측 단부가 서로 마주 닿아 고정부(24)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수평대(21)의 타측 단부에 바퀴(22)가 고정되며, 수평대(21)의 일측에 핀홀(23)이 형성되되 핀홀(23)은 바퀴(22)가 고정된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수평대(21)의 핀홀(23)은 고정핀(23)으로 바퀴설치부(15)에 고정되어 핀홀(2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고정부(24)의 상단에 수직봉(25)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수직봉(25)의 상단에 손잡이(27)가 형성되며, 수직봉(25)의 상부 일측에 수평으로 걸림봉(26)이 형성되는 바퀴어셈블리(20);
    바퀴설치부(15)의 내측 벽면과 함체(13)의 벽면 사이에 고정되어 바퀴어셈블리(20)가 가이드 되고, 두개의 판체(31)가 이동틈(33) 만큼의 간격을 가지도록 바퀴설치부(15)에 고정되며, 판체(31)의 저면에 경사면(32)이 형성되어 수평대(21)의 상향 이동시 이동공간이 구비되고, 이동틈(33)의 일측에 멈춤홈(34)이 형성되어 걸림봉(26)이 삽입되며, 이동틈(33)에 수직봉(25)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 판(30);
    상부판(42)과 하부판(41)으로 이루어져 상부판(42)의 상단이 고정브라켓(44)으로 마루(10)의 일측 천정에 고정되고, 상부판(42)과 하부판(41)은 힌지(43)에 의하여 접힐수 있게 서로 고정되며, 천정에 걸림고리(45)의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걸림고리(45)의 하단이 접힌 상태의 힌지(43)에 걸려 고정되며, 하부판(41)의 하단에 클립홈(46)이 형성되고, 고정클립(47)이 하부판(41)과 외측마루(11)의 클립홈(17)에 동시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변벽(4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
KR1020080059393A 2008-06-24 2008-06-24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 KR100970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393A KR100970597B1 (ko) 2008-06-24 2008-06-24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393A KR100970597B1 (ko) 2008-06-24 2008-06-24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052A KR20100000052A (ko) 2010-01-06
KR100970597B1 true KR100970597B1 (ko) 2010-07-16

Family

ID=4181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393A KR100970597B1 (ko) 2008-06-24 2008-06-24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5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051Y1 (ko) 1995-11-20 1999-06-15 허진호 절첩식 침대를 구비한 가구세트
KR20010044051A (ko) * 2000-06-07 2001-06-05 김동승 인터넷상에서의 토탈 웨딩서비스 방법
KR100355128B1 (ko) 1993-10-22 2003-01-29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마루높이를가변시키는신축식계단형이동관람석
KR20100023476A (ko) * 2008-08-22 2010-03-04 윤춘배 공간활용형 다용도 가구의 회동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128B1 (ko) 1993-10-22 2003-01-29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마루높이를가변시키는신축식계단형이동관람석
KR200144051Y1 (ko) 1995-11-20 1999-06-15 허진호 절첩식 침대를 구비한 가구세트
KR20010044051A (ko) * 2000-06-07 2001-06-05 김동승 인터넷상에서의 토탈 웨딩서비스 방법
KR20100023476A (ko) * 2008-08-22 2010-03-04 윤춘배 공간활용형 다용도 가구의 회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052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3347B2 (ja) 建物
US20190360260A1 (en) Screen door kit for patio sliding glass doors that swing out
KR100970597B1 (ko) 수납장을 겸한 조립식 정원 마루
KR100706168B1 (ko) 다양한 물품의 장착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박스형 앵커
KR101915216B1 (ko) 외벽에서 돌출된 구조의 테라스를 가지는 공동주택
JP2023055964A (ja) 壁面造作家具及び部屋構造
JP6574123B2 (ja) 収納家具
JP6558401B2 (ja) 玄関部構造
Brown The very small home: Japanese ideas for living well in limited space
JP7407506B2 (ja) 住居構造
KR100690623B1 (ko) 건축물의 확장 가능한 난간 구조
KR20200098239A (ko)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
JP3244897U (ja) 集合住宅用玄関の構造
JP3230398U (ja) 住宅
KR101239697B1 (ko) 가변형 수납 기능이 있는 건축물의 벽체구조
KR20060125657A (ko) 공동주택의 빌트인 가구 일체형 사다리
JP6583727B2 (ja) 構造体
RU219788U1 (ru) Стол с вращающейся многоярусной полкой карусельного типа
JP2022105925A (ja) 二世帯住宅
KR100502472B1 (ko) 공동주택 측면 외벽 돌출부의 내부공간을 이용한 실내가구겸용 벽난로 및 사용방법
JP2008081974A (ja) 住宅の間取り変更構造
JP2022056079A (ja) 住宅構造
Ochoa Caballero Space, function and symbol. Architectural furniture in domestic spaces
JP6839917B2 (ja) 収納家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住宅
JP6682132B2 (ja) 遮断部材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0